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7, No. 4, pp.277-290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18
Received 02 Jul 2018 Revised 08 Aug 2018 Accepted 11 Aug 2018
DOI: https://doi.org/10.5934/kjhe.2018.27.4.277

한복을 모티브로 활용한 패턴디자인 및 패션문화상품

김선영*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pplication of the Motifs of the Hanbok for Pattern Designs and Fashion Cultural Products
Kim, Sun Yo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Kim, Sun Young Tel: 061-750-3685 Fax: 061-750-3680 E-mail: ksy6341@sunchon.ac.kr

ⓒ 2018,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Hanbok in association with national emotion and native grace represents the traditional costume culture and it can be regarded as an inspirational source for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 nation's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different textile pattern designs and applying them to fashion cultural products by applying motifs from hanbok. For the research method, multi examinations were carried out with a literature review on hanbok, preference survey about basic motif design, and empirical examination of fashion design and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 result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basic motif design was developed into seven types including samhoejang coat, dangui, wonsam, combined form with dangui and skirts, combined form with saekdong coat and skirts, baeja, and men's pants. The schematized simplicity of costume enabled expression of the unique formative beauty of each item. Each basic motif extended into two types of different colors and through which various methods of the color arrangement were adopted with 5-color set obang, gray and brown series so that coordination with traditional image and modern sense could be harmonized. A total of 36-pattern designs were analyzed and applied to handkerchief and scarf, which further turned out to be the preference items, suggesting the applicability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Keywords:

Hanbok, Pattern Designs, Fashion Cultural Products

키워드:

한복, 패턴디자인, 패션문화상품

Ⅰ. 서론

문화의 다양성과 독창성 공존이 전개되는 오늘날 자국의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전개되는 디자인은 차별화된 아름다움을 지니게 되고 더 나아가 고부가가치의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이는 세계 각국의 문화유산이나 지역의 문화자원을 새로운 시각에서 재조명하여 출시되는 각종 디자인 제품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국가나 지역의 문화정체성 확립 및 홍보라는 차원에서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국 역시 수많은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한국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세계화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한복은 전통 복식 문화를 대표하며 아름다운 조형미로 패션디자인은 물론 각종 디자인 제품 및 문화상품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전 국립민속박물관장 조유진은 한복이 지닌 미적 아름다움과 기능적 우수성은 그 어느 나라와도 비교 불가한 것이며, 문화유산이자 전통 문화라는 측면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면서 앞으로도 더욱 차별화된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995). 이를 입증하듯 근래 들어서는 한류 문화 열풍과 함께 세계적으로 한복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었고, 국가정책적인 차원에서도 한복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해 다각적인 방안이 전개되었다. 특히 문화관광 측면에서 외국인들을 위한 한복 체험이나 젊은 층의 한복 입기 등은 새로운 문화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으며, 전통 한복에서 벗어나 새롭게 재해석한 디자인으로 차별화된 개성을 선보이는 신 한복 브랜드까지 등장하였다. 이와 같이 한복의 아름다움에 대한 전통 복식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는 가운데 학계의 연구도 여러 측면에서 진행되었는데, 복식사나 고증, 미학적인 측면에서의 이론적인 연구 외에 한복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분야 연구는 주로 각종 한복 아이템의 조형적 특징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개발(Chae & Na, 2011; Kwon & Park, 2006; Park & Shim, 2016; Yoon & Woo, 2011), 생활한복 디자인 개발(Ahn & Bae, 2016; Chai, 2006; Lee et al., 2016), 전통 한복에 나타난 문양이나 장식적 요소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및 패션문화상품 개발(Kim, 2010; Nam, 2004; Lee, 2009; Suh, 2008) 등 이다. 1990년대 이후 한국의 문화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노력으로 종래의 수공예품이나 생활한복에서 벗어나 한국 전통과 소재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의 비중이 커지고 있으나(Kim, 2009), 한복의 형태를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으로 활용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 목적은 한복 형태를 모티브로 활용하여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을 개발하고 이를 패션문화상품으로 적용하는데 두었다. 오랜 역사를 통해 구축된 고유의 복식문화로 대표되는 한복은 착용하는 자의 신분이나 성별은 물론 속옷과 겉옷, 의례용, 평상복 등 다양하게 분류되고, 또 각기 다른 형태를 지니는 등 차별화된 이미지를 표현함에 따라 패턴디자인 개발을 위한 모티브로서 무한한 활용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는 전통 복식 문화를 기반으로 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및 다양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을 위한 확장 방안이자, 앞으로 한복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문화상품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방법은 한복에 대한 문헌 고찰과 패턴디자인 개발의 실증적 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 내용은 첫째,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을 통해 한복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 및 한복을 활용한 문화상품 사례를 살펴보았다. 둘째, 기본 모티브로 선호하는 한복 아이템과 색상, 적용되기를 희망하는 패션문화상품 아이템 등을 조사하여 디자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참고한 한복 형태는 사회 문화 제도의 큰 발전과 더불어 복식 문화의 전성기를 이루었고 오늘날 한복 양식을 완성시킨 시기로 알려진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하였고(Cho, 1989), 도식화한 한복 형태를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였다. 셋째, 설문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남녀 한복의 기본 아이템인 저고리, 바지, 치마 및 당의, 원삼, 배자의 형태를 활용하여 기본 모티브 디자인 및 이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넷째, 선호하는 패션문화상품으로 파악된 손수건과 스카프에 적용하여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과 패턴디자인, 패션문화상품 전개는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CS6을 활용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한복에 대한 일반적 고찰

한복의 사전적 개념을 살펴보면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n.d.)는 과거부터 전해 내려오는 사상과 관습, 행위, 형태 등의 양식과 정신이 깃든 것으로 치마, 저고리, 바지, 두루마기, 조끼, 마고자 등이 포함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의복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 Son(1990)은 한복은 “우리 민족의 전통성과 조상의 얼이 담긴 민족의상”이라고 하였고, Cho와 Kim(2010) 역시 한복은 민족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국제 행사나 중요한 의례 시 착용하는 전통 의상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민족복식이며 생활문화의 일부분이자 민족 문화유산이라고 하였듯이, 한복은 우리 민족의 정신과 역사, 멋이 깃든 문화적 표상이라 하겠다.

한복은 상·하의가 분리된 이부제 복식을 기반으로 전개되며, 크게 의례복, 평상복, 작업복으로 구분되고 남녀 구별이 존재한다(Kim, 2009). 시대에 따라 신분이나 품계에 따라 소재, 문양, 색상, 장식 등에 엄격한 규제가 있었고, 한복이 민족 복식으로 정착된 조선시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평상복의 여자 한복은 치마와 저고리, 남자는 바지와 저고리를 기본으로 하고, 대표적인 의례복 중 하나인 혼례복의 경우 서민 남자는 관복, 서민 여자는 녹원삼, 활옷, 당의 등이 활용되었으며(Kim, 2009), 오늘날에는 조형요소의 변화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으로 선보여지고 있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풍성함과 자연스러운 선의 조화, 화려함과 소박함이 조화를 이루는 한복 특유의 조형적 아름다움은 서양 의복과 차별화된 특징을 나타낸다. 한복이 지닌 조형미에 대해 Kim, Y.(2005)는 저고리 도련선과 치마 밑단의 안정적인 균형감, 치마의 볼륨감과 부드러운 선의 흐름, 치마나 저고리, 바지, 포와 같이 간단한 구조이지만 착용하는 방식에서 나타나는 복합성, 한복 구성의 간결함이나 절제된 색의 사용 등으로 한옥과 같이 구조적인 측면에서 단순미를 추구하였고, 자연 그대로를 응용하는 소재의 소박함, 기교를 부리지 않은 간결함이라는 표현미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Son(1990)은 한복의 미는 곧은 선과 유연한 곡선의 조화를 통해 표현되는 선의 흐름과 우리 민족의 청렴결백함 및 전통성을 고수하는 음양오행 기반의 색채 조화라고 하였으며, Lim과 You(2000)는 한복에 표현된 형식미에 대해 직선과 곡선, 수직선과 수평선 등 서로 다른 성격이 조화된 선의 미, 초공간적 미의식과 원형보존 의식이 내재된 평면구성의 미, 비대칭의 파형의 미, 입는 사람의 동작에 따라 표현되는 가변성과 우연성의 미, 상징적인 색채미가 반영되어 있다고 하였다. Choi와 Kim(1993) 역시 한복은 자연스럽고 유연한 선의 흐름으로 대표되는 윤곽선, 저고리 선이나 치마 내부에 표현되는 드레이프에 의한 선의 미, 비구조적인 평면구조, 백색 애호와 더불어 절제된 무채색, 대비 및 섬세한 유사 색상 조화, 거칠고 투박한 소재 및 곱고 부드러운 소재 사용에 따른 생동감과 섬세함, 자연 모티브를 기반으로 한 사실적 표현과 양식적 표현 등 특유의 형식적 조형미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즉 한복은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흐르는 직선과 곡선의 조화, 여유 있는 형태감, 소박하고 간결한 색상, 소재, 문양의 사용 등이 어우러져 특유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며, 특히 저고리, 치마, 바지, 포 등 각 아이템별로 윤곽선이나 내부 구조에 표현되는 선의 미학, 착장방식의 다양성, 동작에 따라 변화되는 가변적 형태는 한복의 조형적 형식미를 부각시키는 중요 요소라고 하겠다.

2. 한복을 활용한 문화상품 사례

오늘날 한복을 기반으로 한 문화상품은 국가 정책적인 차원에서 다양한 방안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한복을 착용하고 체험할 수 있는 문화상품은 물론 각종 디자인 상품으로 개발되어 우리의 일상생활 가운데서도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자국의 고유한 전통 문화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었고, 한류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문화상품으로서 한복의 가치가 더욱 강조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복이 지닌 고유성을 회복하고 현대사회의 시대적 요구와 흐름에 조화시켜 한복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지원하기 위해 2014년 한국 공예디자인 문화진흥원의 부설기관으로 한복 진흥 센터를 설립하는 등 정책적인 차원에서 한복의 생활화 및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Hanbok Advancement Center, n.d.). 또한 우리나라의 문화적 가치가 담긴 우수상품을 한국의 대표 문화상품으로 지정하고 ‘케이-리본(K-Ribbon)’ 마크를 부여해 국내외 확산을 지원하는 우수문화상품 지정제도를 2016년부터 추진하여 도입하였으며, 2017년에는 한복을 비롯하여 공예, 한식, 식품, 디자인상품 등 5개 분야를 우수문화상품으로 신규 지정하였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7). 또 2016년 남산서울타워에 개장된 ‘한복문화체험관’은 전통 한복은 물론 개량한복, 전통 혼례복까지 테마 별로 전시하고 직접 체험할 수 있어 내국인은 물론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2016).

이처럼 국가적인 차원에서 전개하는 다양한 정책 및 한복을 직접 착용하고 체험할 수 있는 사례 외에 한복을 활용한 문화상품은 간단한 생활 소품이나 관광 기념품에 적용되어 시판되고 있다. 한복 형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목걸이형 카드 지갑[Figure 1], 휴대폰 케이스나 노트 등에 풍속화 이미지로 한복 착장한 모습을 표현한 것, 치마와 저고리 형태를 활용한 식기세트[Figure 2], 한복 형태를 활용한 [Figure 3]의 돈 봉투나 입체 카드[Figure 4], 다양한 한복 아이템을 장식으로 매달은 책갈피나 와인커버[Figure 5], 시대별 각종 한복 아이템을 종이접기로 직접 만들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한 디자인 색종이[Figure 6] 등이 있다. 즉 한복을 직접 착용하여 체험할 수 있는 문화상품 외에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상품은 제품 형태나 일부분에 한복 형태를 이용한 것들로 한복을 문양으로 활용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한복은 전통 복식 문화를 대표함은 물론 아름다운 선의 미학으로 표현되는 구조적 형태미, 색상, 장식 등 다양한 조형적 요소를 지니고 있어 패턴디자인으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

Card wallet-http://kcdfshop.kr/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4105

[Figure 2]

Tableware-http://kcdfshop.kr/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769

[Figure 3]

Money envelope-http://www.shopofkorea.com/shop_view.php?query=view&code=001002&no=29968&lv

[Figure 4]

Three-dimensional card-http://www.shopofkorea.com/shop_view.php?query=view&code=001002&no=32190&lv=

[Figure 5]

Wine bottle cover-http://www.shopofkorea.com/shop_view.php?query=view&code=002002&no=31583&lv=

[Figure 6]

Hanbok origami-http://www.udplus.kr/good/product_view?goodNum=200283488&sCateNum=&sProd=한복&listType=list&sOrder=oLike


Ⅲ. 한복 형태를 모티브로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1. 선호도 조사 및 패턴디자인 개발 방향

디자인 개발에 앞서 기본 모티브로 선호하는 한복 아이템과 색상 선호도, 적용되기를 희망하는 패션문화상품 등을 조사하여 디자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 조사는 2018년 3월 12일부터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전남 S시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15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응답지 총 132부를 분석하였다. 설문 항목은 연령과 성별의 인구 통계학적 항목과 열 가지 유형으로 제시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 중 가장 선호하는 디자인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활용한 아이템은 국내 소비자는 물론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도 쉽게 인지하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남녀 한복의 기본 아이템과 예복으로 널리 활용되는 아이템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아이템은 삼회장저고리, 치마, 당의, 원삼, 당의와 치마 착장 형태, 색동저고리와 치마 착장 형태, 남자 저고리, 배자, 남자 바지, 남자 저고리와 바지 착장 형태의 열 가지 종류이며, 의복 형태를 단순하게 도식화 처리하여 고유의 형태미가 표현되도록 고려하였다. 이는 형태를 왜곡시켜 변형할 경우 각 아이템에 대한 식별을 어렵게 하고 이미지가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한복의 각 아이템별로 원형의 형태적 특성을 유지하여 한복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지닐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적용 색상과 톤에 대한 선호도 및 패턴디자인에 반영되기를 희망하는 이미지, 선호하는 패션문화상품 아이템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 모두 20대로 남자 38(28.8%), 여자 94(71.2%)로 파악되었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는 당의가 22(16.7%)로 가장 높았고, 삼회장저고리와 바지가 각각18(13.6%), 원삼 및 색동저고리와 치마 착장 형태 역시 각각 15(11.4%)로 동일하게 나타났고, 배자 13(9.8%), 당의와 치마 착장 형태 10(7.6%), 치마 9(6.8%), 남자 저고리 7(5.3%), 남자저고리와 바지 착장 형태 5(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적용 색상은 무채색 계열이 35(26.5%)로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블루와 레드 계열이 각각 30(22.7%)으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그린 계열 20(15.2%), 옐로 계열 17(12.9%)의 순으로 나타났고, 색상 톤은 브라이트 톤이 40(30.3%)로 가장 높았고, 비비드 톤 37(28.0%), 수수한 톤 31(23.5%), 어두운 톤 24(18.2%)의 순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패턴디자인에 반영되기를 희망하는 이미지는 기하학적인 이미지가 54(40.9%)로 가장 높았고, 전통적 이미지 38(28.8%), 추상적 이미지 24(18.2%), 자연적 이미지 16(12.1%)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발된 패턴디자인을 활용할 경우 선호하는 패션문화상품은 손수건이 45(34.1%)로 가장 높았고, 스카프 34(25.8%), 가방이나 파우치 22(16.7%), 넥타이 18(13.6%), 티셔츠 13(9.8%)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설문 결과를 참고하여 패턴디자인의 개발 방향은 각 아이템이 지닌 한복 고유의 형태적 특성을 기반으로 현대적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설문 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삼회장저고리, 당의, 원삼, 배자, 남자 바지의 단품과 색동저고리와 치마 착장 형태의 여섯 가지 유형을 활용하였다. 색상은 전통적인 이미지와 현대적인 감각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계획하여 백색, 흑색, 황색, 적색, 청색과 같은 오방색 및 그레이, 브라운 계열을 중심으로 적용하였고, 적용한 색상의 다양한 톤 조절 및 그러데이션 배색, 악센트 배색, 톤 온 톤 배색, 톤 인 톤 배색 등을 활용하였다. 각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색상에 변화를 준 두 가지 유형으로 확장하여 변화를 주었고, 패턴디자인은 구성방법에 따라 각각 세 종류로 확장시켜 디자인하였다. 패턴디자인의 구성방법은 기본 단위 모티브의 평이음, 턴 오버, 턴 라운드, 하프 드롭, 스퀘어, 스팟, 스트라이프, 보더 패턴 등을 참고하여 레이아웃의 변화를 모색하였다(Lee, 1991; Oh & Lee, 1996; Rhee & Eom, 1997). 패턴디자인 개발 과정은 [Figure 7]과 같다.

[Figure 7]

Process of design development

2. 기본 모티브 디자인

삼회장저고리, 민 당의, 원삼, 여아 색동저고리와 치마, 남자 바지를 모티브로 한 기본 모티브는 다음의 과정으로 디자인하였다<Table 1, 2>.

Basic motif design using Samhoejang Jeogori, Dangeui and Wonsam

Basic motif design using Saegdong Jeogori, Chima, Baeja and Baji

기본 모티브 디자인 1은 [Figure 8]의 삼회장저고리의 형태적 특성을 단순화시켜 디자인 한 것이다. 길, 섶, 소매, 깃, 동정, 고름 등으로 구성되는 여자 저고리는 유연한 선의 흐름이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계절이나 만드는 방법에 따라 용도와 명칭이 달라지는데(Son, 1990), 삼회장저고리의 경우 저고리를 구성하는 부분 중 곁마기, 깃, 고름, 끝동에 배색을 다르게 적용하여 다양한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그린 몸판에 깃, 곁마기, 끝동, 고름은 짙은 퍼플을 적용하여 선명한 대비 효과를 준 것과 저고리 각 부분에 핑크의 톤 온 톤 배색을 적용하여 차분하고 온화한 이미지를 표현한 것으로 전개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 2는 [Figure 9]의 단순한 민 당의를 기반으로 디자인 한 것이다. 궁중 소례복이자 조선시대 여자용 예복으로 착용되었던 당의는(Son, 1990) 직선과 곡선의 조화는 물론 겨드랑이 아래부터 터진 양 옆선과 고름으로 유동적인 움직임이 표현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에 소매와 몸판의 곡선 라인을 부각시킨 윤곽선으로 당의 형태를 강조하였고, 깃, 고름, 수구는 짙은 핑크를 적용하고 몸판에 옅은 파스텔 톤 블루와 짙은 블루를 적용한 두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 3은 [Figure 10]의 원삼 형태를 활용한 것으로 넓은 소매와 앞뒤 길이 차이를 보이는 원삼의 특징을 표현하였고, 꽃문양이 삽입된 대대를 착장한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색상은 전통 황원삼과 녹 원삼의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몸판에는 그린과 옐로를 적용하였고, 소매의 색동 역시 녹 원삼 소매에는 옐로와 레드 색동을, 황 원삼 소매에는 블루와 레드를 적용하였으며, 두 디자인 모두 레드 안감에 블루 선 장식으로 처리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 4는 [Figure 11]의 여아 색동저고리와 치마를 착장한 형태를 단순화 시켜 표현한 것이다. 저고리 소매의 색동과 풍성한 치마 형태는 물론 치마 내부에 주름 선 장식을 삽입하여 면 분할과 색채배합, 그리고 내부 선의 미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저고리는 핑크와 그린을 중심으로 톤 온 톤 배색을 적용하였으며, 치마는 각각 파스텔 블루와 핑크를 그러데이션 처리하여 화사하고 입체감 있는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 5는 [Figure 12]의 남자 배자를 기반으로 하였고 끈을 묶어 착장한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색상은 그레이 계열의 톤 온 톤 배색으로 모던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표현한 것과 깃과 끈 부분에 옅은 블루와 오렌지를 적용하여 포인트를 준 두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 6은 [Figure 13]의 남자 바지의 기본적인 형태가 표현되도록 도식화 처리하여 디자인하였다. 남자 한복 바지의 구성은 원형의 허리, 방형의 마루폭, 삼각형의 큰사폭과 작은사폭이라는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되며, 구성방법에서도 뫼비우스의 띠와 동일한 방법으로 재단되는 등 꼬임의 미를 반영한다고 하였다(Kim, E., 2005). 이에 바지를 구성하는 기하학적 형태미가 부각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적용 색상은 그레이와 브라운 계열을 중심으로 각각 톤 온 톤 배색하여 모던한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고, 큰사폭, 작은사폭, 마루폭, 허리 등 바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에 색상을 다르게 적용하여 변화를 주었다.

3. 패턴디자인

1) 삼회장저고리 모티브의 패턴디자인

그린 몸판과 깃, 끝동, 곁마기, 고름에 퍼플을 적용한 삼회장저고리를 모티브로 활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 1A는 기본 모티브를 턴 라운드 시켜 하나의 반복 단위로 전개함으로써 마름모 형상으로 표현되도록 한 1A-1, 회전시킨 기본 모티브를 턴 오버 시켜 기본 반복 단위로 삼고 평이음 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표현한 1A-2, 상하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를 평이음 하여 반복단위로 전개한 1A-3의 세 가지 유형으로 디자인하였다. 파스텔 핑크와 퍼플의 톤 온 톤 배색을 적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 1B는 회전시킨 기본 모티브를 좌우 대칭시켜 기본 반복 단위로 삼고 평이음 하여 세로 스트라이프 형상과 꼬임 이미지를 표현한 1B-1, 기본 모티브를 상하좌우 반전 시켜 정사각형 형상으로 배치하고 평이음 한 1B-2, 기본 모티브의 회전과 상하 반전을 적용하여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표현한 1B-3의 세 가지 유형으로 디자인하였다<Table 3>.

Pattern design of Samhoejang Jeogoli motif

2. 당의 모티브의 패턴디자인

당의를 활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몸판에 블루의 톤 변화를 적용한 두 가지 유형으로 전개한 것이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 2A는 턴 오버 시킨 기본 모티브의 배치 간격을 조절하여 격자무늬 양상이 표현되도록 한 2A-1, 기본 모티브를 브릭 패턴 유형으로 전개한 2A-2, 회전 및 상하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를 반복단위로 전개하여 사선의 지그재그 형상으로 표현한 2A-3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몸판에 짙은 블루를 적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 2B는 턴 오버 시킨 기본 모티브를 평이음 하여 정사각형의 기하학적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한 2B-1, 회전 및 상하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를 반복단위로 삼고 간격 조절을 통해 사선 스프라이프 이미지를 표현한 2B-2, 턴 라운드 시킨 기본 모티브를 회전하여 다이아몬드 패턴 양식으로 전개한 2B-3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Table 4>.

Pattern design of Dang-ui motif

3. 원삼 모티브의 패턴디자인

녹 원삼을 모티브로 활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 3A는 상하반전 시켜 평이음 한 기본 모티브를 반복 단위로 전개한 3A-1, 회전 및 상하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를 반복 단위로 삼아 평이음 하여 직선과 곡선의 조화를 표현한 3A-2, 회전 및 좌우 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를 반복단위 삼아 평이음 한 3A-3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였다. 황 원삼을 모티브로 활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 3B는 상하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를 평이음 한 3B-1, 턴 라운드 시킨 기본 모티브를 회전하여 다이아몬드 패턴 양식으로 전개한 3B-2, 회전시킨 기본 모티브를 평이음 하여 사선이미지를 표현한 3B-3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였다<Table 5>.

Pattern design of Wonsam motif

4. 색동저고리와 치마 모티브의 패턴디자인

저고리에 핑크 색상의 톤 온 톤 배색을 적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 4A는 높낮이와 간격에 변화를 주어 평이음 한 4A-1, 회전 및 상하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를 반복 단위 삼아 평이음 하여 리본 형상이 사선으로 배치된 것처럼 표현한 4A-2, 턴 오버 시킨 기본 모티브의 배치 간격 조절을 통해 변화를 준 4A-3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였다. 저고리에 그린 색상의 톤 온 톤 배색을 적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 4B는 턴 오버시킨 기본 모티브를 평이음 한 4B-1, 기본 모티브의 회전과 상하반전 시킨 반복 단위를 평이음 하여 사선과 곡선의 조화를 표현한 4B-2, 기본 모티브를 턴 라운드 시켜 화사한 꽃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한 4B-3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였다<Table 6>.

Pattern design of Saegdong Jeogoli & Chima motif

5. 배자 모티브의 패턴디자인

배자 몸판과 깃, 허리띠 등 전체적으로 그레이의 톤 온 톤 배색을 적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 5A는 턴 오버 시킨 기본 모티브를 평이음 한 5A-1, 상하 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를 회전시키고 브릭 패턴 형상으로 전개한 5A-2, 회전 및 상하좌우 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를 반복 단위로 하여 평이음 한 5A-3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였다. 깃과 허리띠 부분에 포인트 색상을 적용하여 변화를 준 기본 모티브 디자인 5B는 기본 모티브를 하프 드롭 시켜 전개한 5B-1, 상하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를 반복 단위로 삼아 평이음 한 5B-2, 기본 모티브를 턴 라운드 시켜 변화를 중 5B-3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였다<Table 7>.

Pattern design of Baeja motif

6. 바지 모티브의 패턴디자인

바지 전체에 그레이의 톤 온 톤 배색을 적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 6A는 기본 모티브를 평이음 한 6A-1, 턴 오버 시킨 기본 모티브를 반복 단위로 평이음 하여 다이아몬드 패턴 이미지를 표현한 6A-2, 기본 모티브의 턴 라운드를 적용하여 변화를 준 6A-3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였다. 브라운의 톤 온 톤 배색을 적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 6B는 상하 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를 평이음 하여 반복 단위로 전개함으로써 지그재그 이미지를 표현한 6B-1, 기본 모티브를 브릭 패턴 양식으로 배열한 6B-2, 회전 시킨 두 개의 기본 모티브를 반복 단위로 삼고 상하반전 및 배치 간격을 조절하여 변화를 준 6B-3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였다<Table 8>.

Pattern design of men’s pants motif


Ⅳ. 패션문화상품 적용 예

패션문화상품은 선호 아이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손수건과 스카프에 적용하여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손수건 디자인의 경우 확대시켜 정사각형태의 스카프로도 활용할 수 있어 스카프 디자인은 트윌리 스카프로 제시하였다. 손수건 및 트윌리 스카프에 적용한 디자인은 개발된 패턴디자인의 원안을 변형하지 않고 그대로 배치하고 배경에 가로, 세로 스트라이프 및 바둑판 문양 등을 적용하여 변화를 준 것, 동일한 기본 모티브이지만 색상을 다르게 적용한 기본 모티브와의 조화, 서로 다른 기본 모티브의 패턴디자인을 조합한 것 등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Table 9>.

Applying to fashion cultural products

삼회장저고리 모티브의 패턴디자인을 활용한 손수건 디자인 1-1은 패턴디자인 1B-1을 활용하고 배경에 스트라이프를 적용하여 변화를 주었고, 1-2는 패턴디자인 1A-2와 1A-3을 조합하고 배경에 스트라이프를 적용하였으며, 1-3은 패턴디자인 1A-1과 당의 모티브 패턴디자인 2B-1을 조합하여 디자인하였다. 트윌리 스카프 1-4, 1-5는 패턴디자인 1B-3과 1A-2를 각각 적용하고 테두리선을 강조하여 디자인하였다.

당의 모티브의 패턴디자인을 활용한 손수건 디자인 2-1은 패턴디자인 2A-3을 적용하고 배경에 다이아몬드 문양을 조합하여 기하학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켰고, 2-2는 테두리에 패턴디자인 2B-3을 적용하고 중앙에는 반복단위를 회전시켜 배치하였고, 2-3은 패턴디자인 2A-3과 삼회장저고리 1B-1에 적용한 반복단위를 조합하여 세로 스트라이프 이미지로 디자인하였다. 트윌리 스카프 2-4, 2-5는 패턴디자인 2A-1과 2B-2를 각각 적용하고 테두리선을 강조하여 디자인하였다.

원삼 모티브의 패턴디자인을 활용한 손수건 디자인 3-1은 패턴디자인 3B-2를 적용하고 중앙에는 반복단위를 회전시켜 배치하였으며, 3-2는 패턴디자인 3A-1과 3B-1을 조합하여 스트라이프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고, 3-3은 패턴디자인 3A-1과 삼회장저고리 모티브의 패턴디자인 1B-2를 조합하고 배경에 바둑판 문양을 배치하여 기하학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트윌리 스카프 3-4, 3-5는 패턴디자인 3A-3과 3B-3을 각각 적용하고 테두리선을 강조하여 디자인하였다.

색동저고리와 치마 착장 형태 모티브의 패턴디자인을 활용한 손수건 디자인 4-1은 패턴디자인 4A-3과 배경에 스트라이프를 적용하였고, 4-2는 패턴디자인 4B-3과 배경에 바둑판 문양을 조합하였으며, 4-3은 패턴디자인 4B-3과 동일한 패턴 구성방식을 적용한 원삼 모티브의 패턴디자인 3B-2 등을 조합하여 화사한 이미지가 연상되도록 디자인하였다. 트윌리 스카프 4-4, 4-5는 패턴디자인 4A-2와 4B-2를 각각 적용하고 테두리선을 강조하여 디자인하였다.

배자 모티브의 패턴디자인을 활용한 손수건 디자인 5-1은 패턴디자인 5A-1을 테두리에 배치하고 중앙에는 5B-3을 조합하여 구성하였으며, 5-2는 패턴디자인 5A-2와 5B-3을 조합하여 스트라이프 이미지로 표현하였고, 5-3은 중앙에 패턴디자인 5B-3의 반복단위를 확대시켜 배치하였고 테두리에는 바지 모티브의 패턴디자인 6B-1을 적용하여 디자인하였다. 트윌리 스카프 6-4, 6-5는 패턴디자인 5A-1과 5B-2를 각각 적용하고 테두리선을 강조하여 디자인하였다.

바지 모티브의 패턴디자인을 활용한 손수건 디자인 6-1은 패턴디자인 6A-3과 6A-2를 조합하여 보더 패턴 형식으로 디자인하였고, 6-2는 패턴디자인 6B-2와 배경에 브릭 패턴 형식을 조합하였으며, 6-3은 패턴디자인 6A-2를 중앙에 배치하고 테두리에 배자 모티브의 패턴디자인 5A-1을 적용한 것이다. 트윌리 스카프 6-4, 6-5는 패턴디자인 6A-2와 6B-3을 각각 적용하고 테두리선을 강조한 디자인이다.

이상에서 개발한 손수건과 트윌리 스카프를 각 모티브별로 두 점씩 선택하여 총 12점을 실제 제작하였다. 손수건은 코튼 소재에 55×55cm로, 트윌리 스카프는 실크 소재에 5×120cm로 하였고 디지털 프린팅을 활용하였다[Figure 14].

[Figure 14]

Handkerchiefs and twilly scarves


Ⅴ. 결론

한국 고유의 우수한 문화 자원은 차별화된 감성의 문화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영감의 원천이다. 특히 민족의 정신과 멋이 깃든 한복은 우리 복식문화를 대표하는 미적 소산물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복 형태를 모티브로 활용하여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을 개발하고 이를 패션문화상품에 적용함으로써 향후 한복을 비롯한 전통 복식문화 기반의 고부가가치 패션문화상품 개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복은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흐르는 직선과 곡선의 조화, 여유 있는 형태감, 다양한 색상과 소재, 문양의 사용 등이 서로 어우러져 특유의 조형미를 나타낸다. 특히 각 아이템별로 윤곽선이나 내부 구조에 표현되는 선의 흐름, 착장방식의 다양성, 동작에 따라 변화되는 가변적 형태는 한복의 조형적 형식미를 부각시키는 중요 요소로 파악되었다.

둘째, 패턴디자인 개발은 선호도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기본 모티브는 삼회장저고리, 당의, 원삼, 색동저고리와 치마 착장 형태, 배자, 남자 바지의 여섯 가지 종류를 활용하였고, 의복 형태를 단순하게 도식화 처리하여 고유의 형태미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색상은 전통적인 이미지와 현대적인 감각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고, 다양한 배색기법을 적용하여 변화를 주었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색상에 변화를 준 두 가지 유형으로 확장하였고, 패턴디자인은 기본 모티브의 반복 단위를 중심으로 다양한 구성방법을 활용하여 총 36개의 패턴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셋째,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참고하여 손수건과 트윌리 스카프에 적용하였고, 이를 패션문화상품으로 실제 제작하여 개발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한복의 아름다움과 조형적 가치를 재확인할 수 있었고, 디자인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영감의 원천으로서 무한한 확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복을 활용한 문화상품이 생활한복이나 한복을 실제 착용하는 체험할 수 있는 상품, 또는 생활 잡화 및 수공예품 위주의 문화상품들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복 형태를 모티브로 활용한 패턴디자인 개발은 한복을 기반으로 한 문화상품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한복의 특정 아이템만을 모티브로 활용하였고, 특정 도시의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한계점이 있다. 또한 제안한 패턴디자인이 지면상의 한정된 공간으로 인하여 모티브로 활용한 한복의 형태적인 측면이 명확하게 가시화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있음을 밝힌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 모티브나 패턴디자인의 크기를 손수건과 트윌리 스카프 사이즈를 고려하여 적용하였으나, 기타 문화상품에 적용할 경우 아이템 종류나 크기, 용도에 따라 사이즈 변화를 적용한다면 한복의 형태적인 측면을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지털 프린팅 외에 염색이나 직조 등 다양한 표현기법을 적용한다면 보다 다채로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전통 문화에 대한 중요성이 보다 강조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한복을 비롯해 다양한 문화유산을 활용한 차별화된 문화상품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 Ahn, I. S., & Bae, S. H., (2016), A redesigning proposition for fusion Hanbok, The Korean Society of Illustration Reasearch, 47(-), p61-70.
  • Chae, K. S., & Na, Y. S., (2011), Development of Korean style loungewear(Part 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8), p946-958. [https://doi.org/10.5850/jksct.2011.35.8.946]
  • Chai, S. W., (2006), Study on living 'Hanbok' or Korea traditional costume that applied the traditional patterns, Unpublished master thesis, Kukmin University, Seoul.
  • Cho, H. S., (1989), Costume, Seoul, Daewonsa.
  • Cho, W. H., & Kim, M. Y., (2010), Research on consumer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2), p130-143.
  • Choi, S. W., & Kim, M. J., (1993), A study on beauty of traditional dress expressed in Korean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7(1), p103-117.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n.d.), Hanbok. Daum, Retrieved March 1, 2018, from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61645.
  • Hanbok Advancement Center, (n.d.), Introduce. Hanbok advancement center, Retrieved March 1, 2018, from http://www.hanbokcenter.kr/user/nd7952.do.
  • Kim, E. J., (2005), A study on the distinctive construction of Korean men`s traditional trous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7), p909-917.
  • Kim, M. J., (2009), Finding the Je-daum of Korean fashion design: focusing on the aesthetics of tradition and its modern adaptation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 Kim, W. K., (2010), A study on reproduction of the traditional Baeja and design methods for modern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0(3), p21-34.
  • Kim, Y. J., (2005), The analysis in the formative beauty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and hous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8(3), p121-128.
  • Kwon, S. K., & Park, S. K., (2006), A study on wedding dress design for modern application of traditional costu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6(2), p55-75.
  • Lee, M. L., Kim, H. K., & Song, H. R., (2016), Design development research in purpose of merchandising modernized Hanbok as cultural tourist commercial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6(3), p15-27.
  • Lee, M. S., (2009),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that utilize the traditional Saekdong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2), p101-110.
  • Lee, S. H., (1991), Textile design, Seoul, Mijinsa.
  • Lee, Y. J., (2016, August, 21), Namsan wearing a Hanbok... Namsan Seoul tower ‘Hanbok culture experience hall’ opened. Edaily, Retrieved March 1, 2018, from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1922086612749616&mediaCodeNo=257.
  • Lim, Y. J., & You, S. L., (2000), Special character of the Korean costume & changing process aestheti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8), p57-66.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7, August, 24), Announcement of new designation of 2017 excellent cultural product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trieved March 1, 2018, from http://www.mcst.go.kr/web/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6202.
  • Nam, J. K., (2004),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goods to which Korea image is applied: Mainly centering around the goods of scarf and necktie, Journal of Science of Art & Design, 6(2), p249-266.
  •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995), The exhibition of history of Korean costumes, Seoul,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 Oh, H. S., & Lee, J. W., (1996), Theory of textile design, Seoul, Kyohakyongusa.
  • Park, M. H., & Shim, S. B., (2016), Modern fashion design development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6(2), p134-147. [https://doi.org/10.7233/jksc.2016.66.2.134]
  • Rhee, S. C., & Eom, K. H., (1997), Textile design approach, Seoul, chohyungsa.
  • Son, K. J., (1990), Traditional Hanbok style, Seoul, Kyomunsa.
  • Suh, O. K., (2008), A study of development in cultural products on Korean image: Focused on the cultural products connected with Korean traditional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4(2), p230-236.
  • Yoon, J. A., & Woo, H. J., (2011), A study on the modern fashion design applying the characteristic of Hanbok,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4(1), p77-90.

[Figure 1]

[Figure 1]
Card wallet-http://kcdfshop.kr/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4105

[Figure 2]

[Figure 2]
Tableware-http://kcdfshop.kr/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769

[Figure 3]

[Figure 3]
Money envelope-http://www.shopofkorea.com/shop_view.php?query=view&code=001002&no=29968&lv

[Figure 4]

[Figure 4]
Three-dimensional card-http://www.shopofkorea.com/shop_view.php?query=view&code=001002&no=32190&lv=

[Figure 5]

[Figure 5]
Wine bottle cover-http://www.shopofkorea.com/shop_view.php?query=view&code=002002&no=31583&lv=

[Figure 6]

[Figure 6]
Hanbok origami-http://www.udplus.kr/good/product_view?goodNum=200283488&sCateNum=&sProd=한복&listType=list&sOrder=oLike

[Figure 7]

[Figure 7]
Process of design development

[Figure 14]

[Figure 14]
Handkerchiefs and twilly scarves

<Table 1>

Basic motif design using Samhoejang Jeogori, Dangeui and Wonsam

Design 1 Design 2 Design 3
Image
source

[Figure 8]
Samhoejang Jeogori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995). p.101.

[Figure 9]
Dangeui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995). p.83.

Figure 10]
Wonsam
-http://museum.sookmyung.ac.kr/sub03/06.asp
Basic
motif
design
Color 1

Pantone P 160-15U, 98-15U

Pantone P 110-2U, 76-15U

Pantone P 160-6U, 1-1U, 7-7U, 108-8U, 55-16U
Color 2

Pantone P 76-9U, 88-12U

Pantone P 103-15U, 80-8U

Pantone P 7-7U, 1-1U, 160-6U, 108-8U, 55-16U

<Table 2>

Basic motif design using Saegdong Jeogori, Chima, Baeja and Baji

Design 4 Design 5 Design 6
Image
source

[Figure 11]
Saegdong Jeogori
& Chima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4253500000

[Figure 12]
Baeja
-http://www.nfm.go.kr/common/ data/home/relic/detailPopup.do?s eq=PS0100200100103489500000

[Figure 13]
Baji
-http://www.emuseum.go.kr/deta il?relicId=PS0100200100105144800000
Basic
motif
design
Color 1

Pantone P 71-1U, 71-5U, 71-7U,
71-8U, 109-3U, 100-8U

Pantone P 179-3U, 1-1U, 179-6U,
179-10U, 179-13U

Pantone P 179-2U, 6U, 10U
Color 2

Pantone P 160-4U, 168-8U,
160-15U, 159-15U, 71-8U, 99-7U

Pantone P 124-16U, 1-1U, 179-10U,
179-6U

Pantone P 171-2U, 9U, 15U

<Table 3>

Pattern design of Samhoejang Jeogoli motif


1A

1B

1A-1

1A-2

1A-3

1B-1

1B-2

1B-3

<Table 4>

Pattern design of Dang-ui motif


2A

2B

2A-1

2A-2

2A-3

2B-1

2B-2

2B-3

<Table 5>

Pattern design of Wonsam motif


3A

3B

3A-1

3A-2

3A-3

3B-1

3B-2

3B-3

<Table 6>

Pattern design of Saegdong Jeogoli & Chima motif


4A

4B

4A-1

4A-2

4A-3

4B-1

4B-2

4B-3

<Table 7>

Pattern design of Baeja motif


5A

5B

5A-1

5A-2

5A-3

5B-1

5B-2

5B-3

<Table 8>

Pattern design of men’s pants motif


5A

5B

5A-1

5A-2

5A-3

5B-1

5B-2

5B-3

<Table 9>

Applying to fashion cultural products

1
1-1

1-2

1-3

1-4

1-5
2
2-1

2-2

2-3

2-4

2-5
3
3-1

3-2

3-3

3-4

3-5
4
4-1

4-2

4-3

4-4

4-5
5
5-1

5-2

5-3

5-4

5-5
6
6-1

6-2

6-3

6-4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