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7, No. 5, pp.397-410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8
Received 16 Aug 2018 Revised 11 Oct 2018 Accepted 22 Oct 2018
DOI: https://doi.org/10.5934/kjhe.2018.27.5.397

이영희 작품에 나타난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미적 특성

김선미 ; 박길순*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ostume Design in Lee Young-hee's Works
Sun-Mi Kim ; Kil-Soon Park*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Kil-Soon Park Tel: +82-42-821-6826 Email: kspark@cnu.ac.kr

ⓒ 2018,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y analyz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ostume design in the works of Lee Young-hee, who is a representative of Korean designer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ostume design in modern fashion. This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study, conducted i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focusing on literature and prior study. The subjects of the data were collected photos from Lee Young-hee to 2001S/S-2012F/W on the Internet site Firstview and photos of Lee Young-hee's homepage from 2001 to 2016F/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ternal form was divided into shape, color, material, and decoration and pattern. The inner aesthetic sense of Lee Young-hee's work was classified as natural purity, humor, symbolism, moderation, and a hidden beauty. The aesthetic sense of natural-purity, humor, symbolism, moderation, and hidden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the external form, i.e. the A-line and H-line silhouettes, the use of curves and asymmetrical structures. The aesthetic sense of symbolism was expressed using color, decoration and pattern,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color stripe and the use of three-handed Norigae.

Keywords:

Lee Young-hee, natural-purity, humor, symbolism, moderation, a hidden beauty

키워드:

이영희, 자연·순수성, 해학성, 상징성, 절제, 감춤

Ⅰ. 서론

최근 현대 사회는 그동안 주를 이루었던 서구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각 문화의 전통을 유지,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각 문화의 전통성을 차별화의 중요한 요소로 여기고 있다. 이러한 동향 속에서 우리나라도 우리의 미의식과 전통 문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어 1980년대 중후반부터는 패션 디자이너들도 한국적 이미지의 디자인을 발표하며 해외 무대에서 우리 민족 고유의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복식은 그 사회의 정신적 미의식과 시대상을 보여주는 가시적인 매체로서 건축, 미술 양식 등과 함께 한 문화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복식은 그 시대와 사회의 문화적 현상과 관련이 많으며 그 사회의 문화가 복식에 반영되어 복식문화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복식문화는 보편성과 다양성을 가지고 변화한다(Horn & Gurel, 1981/1988). 뿐만 아니라, 각 민족, 나라, 문화권에 따라 독특한 형태와 의미를 지니고 있어 복식을 통하여 문화권을 구별할 수 있다(Kim & Kim, 1991).

세계 문화를 크게 동양과 서양으로 분류할 때, 각각 서로 다른 문화정신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했으며, 따라서 예술 및 예술 이론은 서로 다르게 전개되어 왔다(Lee & Kim, 2006). 동서양의 문화정신 차이는 복식에서도 미의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고 복식 조형의 본질적 요소로 복식 형식의 차이를 결정짓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서양에서는 인체의 분석을 바탕으로 구조적 라인이나 다트, 솔기 등 실체적인 부분을 강조하는 구조적 형식이었고, 동양은 복식과 인체를 하나의 총체로 인식하여 인체를 드러내지 않는 평면적 형식으로 발전하였으며, 복식과 인체, 외부 세계와의 기의 순환과 정신의 전달을 중시하였다(Lee & Kim, 2006).

우리나라는 동양적 문화정신을 바탕으로 한 우리만의 독특한 미의식으로 주변 나라와는 다른 문화를 계승하였고 복식문화 역시 동양의 다른 나라와도 차별되는 양식을 보여준다.

조형예술의 양식에서 형식은 내용의 존재방식이며, 대상의 표면현상으로 독특한 미 또는 성격이 표출된 외적인 상태를 말하며(Takeuchi, 1989/2003), 표현적 개념과 시지각적 개념 형성의 결과물이다. 또한 내용은 본질적으로 형식 속에서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Hong, 2003). 이 형식을 통해 조형의지와 내적 미의식이 표출되므로 양식을 이해함에 있어서 형식과 내용이 같이 고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복식도 조형예술의 한 분야이므로 한국적 디자인을 고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외적 형식인 조형 요소와 내용인 내적 미의식으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이에 한국적 이미지를 반영한 작품을 국외에 발표한 1세대 디자이너로서(Choi & Kim, 2011)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임을 보여주고 있는 이영희 패션디자이너의 작품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의 외적 형식과 내적 미의식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특히 ‘한복’이라는 이름을 세계무대에 알리고, 한국적 디자인의 대표적인 디자이너인 이영희의 작품을 고찰하는 것은 현대 패션에 나타나고 있는 한국적 디자인의 외적 형식과 내적 미의식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우리 고유의 미의식을 환기하고, 한국적 디자인 연구 및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영희 작품을 연구한 선행 연구로는, 이영희의 초기 작품부터 2000년도까지의 작품을 표현 요소에 따른 디자인의 형태가 변화하는 과정과 배색의 특징을 분석한 연구(Kim, 2000), 이영희 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이미지의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Kim, Y., 2010)와 이영희 작품에 응용된 한복의 요소의 연구에서 한국 복식의 형태적 특징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고찰(Kim et al., 2001)하였고, 또한 이영희 패션디자인에 대한 도상해석학적 분석(Lee, 2011), 전통 미의식의 정체성 표현을 통한 이영희와 이세이미야케 디자인에 관한 한일 복식의 비교 연구에서 이영희 작품에 나타난 한국적 아름다움의 형태와 실루엣을 살펴보았다(Lee, 2005). 그리고 이영희 작품을 창조적 발상법에 의한 작품분석과 이를 기초로 한 한국적 디자인을 개발(Han, 2006) 하였으며, 한국 전통복식 이미지 제고에 관한 연구에서 이영희의 초기부터 2001년까지의 작품을 디자인의 변화에 따라 분류하고 한국적 복식이미지의 외적 요소와 내적 요소를 분석(Ryu et al., 2001)하였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금까지의 연구는 2001년 이전의 이영희 작품에 나타난 형태나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특히, 2001년도 이후의 이영희 작품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의 외적 형식과 내적 미의식을 함께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를 연구하는 것은 우리 문화의 정신적 기질과 감성을 이해하고 우리 고유의 문화적 전통을 확립하여 전통적 복식미를 세계의 패션으로 성장시켜 나감으로써 한국 문화의 이미지를 세계 속에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디자인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그 분석틀을 적용하여 2001년 이후의 이영희 작품에서 표현되어지고 있는 한국적 디자인의 외적 형식과 내적 미의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로서, 문헌 연구로는 복식의 미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한국적 디자인의 미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미학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영희 작품 속에 나타나고 있는 내적 미의식을 분석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 자료의 대상 시기는 2001년 이후 최근 16년간의 작품을 연구 범위로 선정하였다. 자료의 대상은 인터넷 사이트 퍼스트뷰 (www.firstview.com)에 실린이영희의 2001S/S~2012F/W 까지의 정기 컬렉션 사진 자료와 이영희 홈페이지(www.leeyounghee.co.kr)의 2001년 이후 작품 사진, 그리고 2016F/W 파리 오뜨 꾸뛰르(Haute couture)의 작품 사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영희 작품의 분석을 위한 자료의 선정은 총 2150장의 작품 사진 중 의류학을 전공하는 교수와 대학원생 등 10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에 의해 5인 이상의 동의를 얻은 것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선정에 있어서 두 가지 이상의 내적 미의식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거나 각 범주의 대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긴 하나 다른 요소가 가미된 사진은 모두 제외하였다. 또한 선정된 자료 중 내적 미의식의 표현 특성이 중복되는 경우 준거 집단의 동의를 얻어 그 특성을 보다 잘 나타낸다고 판단되는 115개의 사진을 선별하여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개념과 미적 특성

1)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개념

‘한국적’에 대해 Kim, M.(2010)은 우리의 전통성과 외래의 것, 또는 새로운 것이 접목되어 한국의 정체성이 표출되는 것을 뜻하며 대중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생활 속에 들어 있고 옛 것을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닌 세계적인 보편성이 가미된 것이라고 하였다. 한국적 패션디자인에 대하여 Kim, M.(2010)는 한국 전통 복식미와 현대 패션 디자인에 있어서 한국성(서양 패션의 무분별한 복제성)의 해체를 의미하며 종적사고로는 한국 전통 복식미의 특수성을, 횡적 사고로는 최첨단 기술과 세계 패션 트랜드를 반영하며 이들을 융합하여 새롭게 탄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를 빌려 한국적 이미지를 연상하고 한국적 정체성과 독창성이 서로 소통하는 것이라 하였다. Shim(2006)은 한국 전통복식과 한국미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를 혼합, 절충을 통해 한국적 미를 표출하는 것을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범주로 삼았으며 Kim & Kim(2014)은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한국의 복식미를 활용하는 것으로 전통복식의 모방이나 재현이 아닌 한국인의 감각 속에 있는 원형에 대한 이미지의 표현이며 한국적 조형감각의 패션화를 한국적 패션디자인이라 하였다.

따라서, ‘한국적 미’는 한국 사람들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표출하며 역사 속에 형성되어 온, 전통성을 느낄 수 있는 독특한 미라 할 수 있으며 ‘한국적 디자인’은 우리 고유의 전통적 요소가 디자인에 반영되어 디자인을 보았을 때 한국이라는 정체성이 느껴지는 디자인으로 한국적 이미지를 표출하는 복식 디자인이라 정의할 수 있다.

2)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미적 특성

한국적 디자인의 미적 특성을 형식과 내용으로 분류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Choi & Kim(1993)은 한국복식의 전통미를 조선시대 복식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서 한국복식의 조형미를 형식미와 내용미로 고찰하였는데, 형식미는 형태, 색채, 소재, 장식무늬로, 내용미는 순수미, 상징미, 절제된 비애미로 보았다. Ryu et al.(2001)는 한국적 복식 이미지를 고찰하면서 외적 요소와 내적 요소로 나누었고 외적 요소는 형태, 색채, 소재, 장식무늬로, 내적 요소는 무기교의 기교와 자연의 미로 보았다. Kim(2004)은 현대패션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 표현을 연구한 결과, 한국적 디자인의 미적 특징을 외형적 디자인 특징과 내면적 특징으로 분류하였고, 외형적 특성을 선/형태, 색채, 소재, 문양/장식으로 내면적 특징으로 자연성, 순수성, 해학성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Lee & Kim(2006)는 조형적 특성은 형식과 장식성으로, 미적 가치는 소박의 미, 상징의 미, 비움의 미, 감춤의 미로 정의하였다. Seo & Kim(2007)은 불이 사상에 영향을 받은 전통복식의 조형미 연구에서 비움의 미, 감춤의 미, 자연의 미를 전통복식의 미적가치로 구분하였다. Lee(2008)는 한국적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에서 외형적 특징으로 선·형태, 색채, 소재로 분석하였고 내재적 특징으로는 자연성, 순수성, 해학성으로 보았다. Kim et al.(2009)은 한국적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 연구에서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표현 특성은 형태, 색채, 소재, 문양으로, 미적 특성은 자연미, 전통미, 순수미, 소박미로 정리하였으며, Choi(2013)는 한국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한국미의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에서 디자인 특성과 미적 가치로 분류하고 디자인 특성은 실루엣, 색채와 소재, 문양과 장식으로 자연미, 절제미, 장식미를 한국 패션의 미적 가치로 정의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연구자가 가장 많이 분류하고 있는 것을 토대로 외적 형식은 형태, 색채, 소재, 장식과 문양 4가지로 분류하고자 한다. 내적 미의식도 선행연구들에서 연구한 내적 미의식을 바탕으로 자연미, 자연의 미, 자연성, 무기교의 기교, 순수성, 순수미, 소박의 미는 자연순수성으로, 해학의 미, 해학성은 해학성으로 정의하였고, 상징미, 상징의 미는 상징성으로, 인격미, 비애미, 절제미, 절제된 비애미는 절제로, 감춤의 미는 감춤으로 명명하여 5가지 미의식으로 분류하였다.

<Table 1>은 선행연구의 미적 특성 분류와 본 연구의 틀을 제시한 것이다.

Classification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design

①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외적 형식

(1) 형태

색채와 함께 복식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형태는(Kim & Hong, 2001) 선의 개념도 포함하고(Kim, 1995) 있다. 한국적 복식디자인에서 선은 배래나 도련, 섶, 신발, 버선 등에 나타나는 곡선이 전통적 형태의 특징(Yun, 2001)이며 직선도 경직된 선이 아닌 자연스러운 직선이(Geum, 1990) 곡선과 조화롭게 어우러져 형태를 이룬다. 평면 재단과 상하 분리형인 한국적 복식디자인은 상의는 비구조적 디자인으로 앞트임이 있는 카프탄형이 동적인 효과를 주며 하의인 치마는 자연스럽고 풍성한 주름에 의해 율동감을 보여 준다. 인체를 평면적이며 전체로 인식하여(Kim, M., 2010) 허리선의 강조가 없어 H자형이나 O자형, A자형의 형태가 주로 사용되었다.

(2) 색채

한국적 복식디자인에 나타난 색채의 특징은 흰색이며 주조색인 흰색은 가공하지 않은 자연의 색인 소색(素色)으로 본연의 것, 순수한 것, 비장식적인 것의 겸허한 마음이 함축되어 있다(Kim, M., 2010). 우리의 전통 색채 개념은 색상의 배정도 음양오행과 자연의 섭리에 따른 상관관계로 인식하여 동서남북 및 중앙의 오방으로 이루어진 다섯 가지 정색과 각 정색의 사이에 간색을 두어 이를 기본색으로 사용하였다(Yun & Park, 2009). 오방색은 상징성이나 길상의 의미도 내포하고 있어 단청이나 색동저고리, 연지곤지 등으로 음귀를 몰아내거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등의 상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Kim, H., 2010).

(3) 소재

비교적 형태의 변화가 적은 우리 전통복식은 소재가 복식 형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평면형의 단순한 구조이지만 인체에 착용하였을 때 움직임에 따라 직선과 곡선이 조화를 이루었으며(Kim, 2004) 소재에서 나타나는 한국적 이미지가 그 직물의 조직적인 특징과 함께 한국 복식 형태와 조화롭게 어우러져 분위기를 표현하고 있다(Lee, 2015). 한국 복식의 소재는 소박한 재질감의 삼베, 정교하고 섬세한 모시와 갑사, 소박한 정서의 무명, 광택과 유연성이 좋아 고급스러운 명주 등의 천연소재(Lee, 2015)가 사용되어 각각의 재질감과 특징으로 독특한 느낌과 멋을 느낄 수 있다(Kim, M., 2010).

(4) 장식과 문양

동양적 문화에서 장식은 겉치레나 허식 등의 부정적 의미가 있기도 하지만 정리, 정돈의 의미에서 유래한 용어이다. 동양의 장식성을 운용하는 원리는 음양오행으로 규정된 상징적 성격을 갖고 있어 장식에 신성한 사회적 성격을 부여하여 미적 외관이 상징이자 예의 기호가 되도록 하였다(Lee & Kim, 2006). 장신구에 사용된 모티브는 문양자체의 장식성과 상징성이 내포되었고 식물문, 동물문, 자연산수문, 문자문, 인물문, 기하학문 등으로 부귀, 장수, 다남, 부부화합 등 길상의 염원이 담겨있어 주술적인 의미를 갖는다. 재료는 금속류, 옥석류, 칠보류, 보패류 등이 사용되어 복식과 조화를 이루며 색채의 상징성과 심미적인 목적이 중시되었다(Geum, 1990).

②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내적 미의식

(1) 자연·순수성

소박미, 단순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우리 민족의 가장 대표적 미의식인 자연·순수성(Kim, 2004)은 자연에 순응하며 자연의 섭리에 따른 생활에서 비롯된 것으로 한국 미술에서 기교를 최대한 억제하고 인위적인 요소를 가능한 배제하는 방식이나 건축에서 목재 본래의 특징을 살려 사용하거나 옹기의 자연 그대로의 색, 분청사기의 수수함 등에서 느낄 수 있는 단아함, 단순성, 절제성(Kim, H., 2010)을 의미한다. 또한 복식에서 염색을 하지 않은 무명, 삼베의 고유색인 소색을 선호하는 것은 순결하고 깨끗한 마음을 표현하려는 우리 민족의 기질로서 흰색에 대한 애착은 인공을 배제하고 자연과의 친화, 화합하려는 표현이라 할 수 있다(Lee, 2015). 형태는 인체를 구속하지 않는 열린 형의 구조와 비대칭적 형상, 유기적인 곡선 등으로 나타나 대칭이나 기하학적 형태를 회피(Kim, 2004)하였고 저고리의 끝동과 깃, 치마단 등의 일부분에만 문양을 장식하거나 직물 자체의 지문을 이용하고 직물의 조직과 문양을 옷감과 같은 색을 사용하여 소박하고 단순한 미적 효과를 추구(Kim, H., 2010)하는 등으로 자연·순수성을 표현하였다.

한국적 복식에서 자연·순수성은 유기적인 곡선의 사용이나 열린 형의 비대칭적 구조, 천연 소재의 사용과 소재색의 사용, 자연 모티브 문양 등에서 표출되는 자연스럽고 편안한 아름다움으로 장식을 거부하고 인체를 왜곡이나 과장하지 않은 수수한 소박함으로 소박한 문양, 흰색의 사용과 천연 소재의 질감 등에서 느낄 수 있는 한국적 복식에서만 볼 수 있는 은근한 아름다움이라 하겠다.

(2) 해학성

해학은 마음의 여유, 긍정적인 해석과 웃음을 가지는 미의 부류로 인간적인 관용과 초월성, 해탈성, 무한한 포용력과 자기의식적인 아이러니를 더한 인간적 의의를 포함한다. 한국미에서 해학성은 자유분방성, 유희성의 미적 가치를 내포하며 자유로움 속에서 파격적이고 일탈적인 익살을 추구하며 웃음으로 여유를 찾고자하는 정신세계가 표현된 것이다(Kwon & Kim, 2010). 한국 복식에서는 치마 말기를 잡아당겨 허리끈으로 묶어 항아리 모양으로 부풀리거나 극단적으로 짧아진 저고리의 길이, 속치마로 하의를 풍성하게 부풀리는 등의 방식으로 표현(Kim, 2004)되었다.

해학성은 익살스런 표정이나 해맑은 미소에서 느껴지는 우리 민족 특유의 여유로움으로 복식에서는 주로 착장 방식의 변화, 인체의 과장이나 노출로 인한 복식 형태의 변화 등으로 표현되며, 풍자적, 골계미와도 상통하는 미의식이라 할 수 있다.

(3) 상징성

‘주술’, ‘벽사’ 등과 연결되는 개념인 상징성은 동양의 기본 원리인 음양오행의 영향으로 우주와 자연의 원리에 순응하여 사악한 존재로부터 근접을 막고, 길상을 축원하는 의지를 표현하는 미이다. 이는 색채의 시각적인 효과보다 의미와 상징성에 따라 색채 운용을 하거나 문자문, 자연문, 인물문, 기하학문 등의 무늬에도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여 표출하였다(Lee & Kim, 2006).

상징성은 복식의 장식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가치로서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색채와 문양에 주술적 의미를 부여하고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표출되었으며 미적 순수성 보다는 상징적인 의미로 표현된 인간의 욕망을 내포한 미적 특징이라 하겠다.

(4) 절제

절제는 비애, 인격미를 포함하며 유교사상에 기인하여 위엄이나 예의를 내포한 의관의 격식을 갖춘 정제된 복식미(Geum, 1988)를 의미하는 것으로 조선시대 유교의 서열의식으로 색채와 장식무늬를 부여하여 흰색 도포와 검은 색 갓의 무채색 조화나 선, 면, 장식을 최대한 줄이고 복식으로 자신의 신분을 나타냄으로써 절제, 비장을 구현하였다(Choi & Kim, 1993).

절제는 유교적 도덕성과 금욕적인 절제성에서 의거한 의례사상의 표현으로 무채색의 조화나 최소한의 선과 면, 장식 등으로 애수와 비애를 내포하고 있는 절제된 형식의 복식미라 할 수 있다.

(5) 감춤

감춤은 동양적 기의 우주관을 바탕으로 유교적인 세계관, 불교의 불이사상 등에 기인한 가치로 인체는 전체적으로 인지하며 인체와 복식, 외부 세계간의 기의 순환과 정신의 전달을 중요시하여 인체의 비례나 특정 부분을 강조하지 않는 비구조적 형태나 드레이퍼리형을 통해 인체에 밀착되지 않고 인체를 자연스럽게 은폐하거나 겹쳐 입는 방식으로(Lee & Kim, 2006) 강조하였다. 전통 복식에서는 도포나 쓰개치마, 중치막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인체를 크게 감싸는 감춤이 나타나는 복식들은 명료성과 폐쇄형의 특징을 가진다(Seo & Kim, 2007).

이로써 감춤은 인체를 감싸므로서 은폐하게 되는 미적 특징으로 감싸거나 겹쳐 입어 인체의 부분을 강조하지 않는 자연 동화의 정신적 가치라 하겠다.

2. 이영희 패션디자이너의 작품 활동

우리나라는 서양의 유행을 무조건적으로 쫓아가던 1960~70년대를 지나고 8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 것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민족적 정체성과 우리 문화를 되찾으려는 노력이 진행되었다. 이런 움직임이 패션계에도 나타나 현대 패션 디자인에 한국의 전통미를 반영하기 시작하여 90년대 들어 한국 디자이너들이 국제무대에서 한국적 미를 세계에 알리며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Yun, 2001). 이영희는 1977년 한복 디자인 사업을 시작하여 1981년 첫 패션쇼를 시작으로 1993년에는 파리 프레타 포르테(prê-a-porte)에 진출하여 ‘바람의 옷’ 이란 이름으로 한복의 아름다움을 서양인에게 알리는데 성공하였다.

2001년 이전 이영희 작품은 데뷔 초반에는 전통 한복의 외적 요소를 거의 변형 없이 응용하였고 그 후에 개량복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93 F/W 파리 컬렉션을 계기로 하여 서구식 복식에 한국적 이미지를 접목하면서(Kim, 2000)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기 시작하였다. 또한, 전통복식의 형태를 많이 응용하였는데 A라인과 H라인 실루엣, 유기적인 곡선을 많이 사용하였고, 비대칭적 구조가 많이 나타났다. 특히 한복 치마의 응용과 변형은 말기 치마와 함께 그녀의 대표적인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으며 주로 천연 소재를 사용한 전통 천연 염색법으로 우리 고유의 색채를 재연하였다(Kim et al., 2001).

또한 직접 천을 짜고 염색을 하며 전통적인 방식을 자신만의 독자적인 방식으로 재창조함으로서 한국의 전통 이미지를 표현하고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끊임없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녀는 세계 패션계에 우리 문화의 색깔과 우수성을 알리고 있는 대표적인 디자이너가 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고유한 패션 철학으로 경쟁력 있는 디자인을 창조하고 있다(Lee, 2005).

Kim(2004)은 이영희는 선과 형태, 색채를 통해 한국적 디자인을 표현하고 있는데 한복의 형태를 활용하여 자연미를 표현하고, 색채의 변화를 통하여 작품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자연성의 이미지는 비대칭적이고 풍성한 형태로 인한 자연적인 주름으로 유연한 곡선미를 나타내며 끈으로 묶는 방식이나 트임에서 느껴지는 여유로움과 외부에 대한 개방성 등에서 표현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영희 작품에 나타난 미적 특성을 A라인 실루엣과 유기적인 선의 흐름에서는 유동성과 연속성, 전통적인 복식의 소재와 문양, 색채의 사용은 연속성과 상징성이 나타나며 형태적 특징, 소재와 문양, 색채의 사용이 전통 복식 착장법의 파괴를 통해 상징성과 융합성이 나타나고 있다(Jung, 2015).


Ⅲ. 이영희 작품에 나타난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미적 특성

1. 이영희 작품에 나타난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외적 형식

1) 형태

이영희 작품에서 주로 표현되는 한복의 요소는 형태적인 면이며 한복의 형태를 전체적으로 응용하는 것보다는 한복의 독특한 분위기와 실루엣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응용하고 있다. 말기 치마 형태의 드레스와 치마의 형태를 상의로 응용하는 등, 치마 형태를 응용, 변형한 디자인이 많으며 남자 저고리나 두루마기를 응용한 형태의 카프탄형, A라인, 허리선의 강조 없이 단순한 형태의 H라인 등 다양한 형태로 한국적인 형태의 느낌을 유지하면서 현대적인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Figure 1-1]은 남자 저고리를 응용한 형태로 평면 재단과 비대칭 여밈으로 카프탄형을 표현하고 있다. [Figure 1-2]는 A자형 실루엣의 하이 웨이스트 라인을 보이며, 뒤 치맛자락을 연상시키는 치마폭을 표현하였다.

[Figure 1-1]

(2003 F/W)www.firstview.com

[Figure 1-2]

(2010 F/W)www.firstview.com

2) 색채

한국적이고 자연에 가까운 색을 표현하고자 노력하는 이영희는 천연 염색을 이용한 전통적 색채의 활용으로 한국적 분위기를 이끌어내고 있다. 오방색을 사용하거나 자연스럽고 편한 느낌의 소색, 색동을 이용한 줄무늬배색, 또는 치마의 겉감과 안감에 다른 색을 배색하여 새로운 느낌의 색감을 표현하고 정갈하고 단아한 느낌의 흑백의 조화 등이 있다. [Figure 1-3]에서 이영희는 오방색중 길상의 상징인 붉은색과 황제의 색이었던 노란색의 사용으로 강렬하면서 독특한 느낌의 화려한 드레스를 상징적인 색채로 완성하였고,[Figure 1-4]는 천연 염색으로 자연에 가까운 색을 표현하여 자연스럽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Figure 1-3]

(2005 S/S)www.firstview.com

[Figure 1-4]

(2011 S/S)www.firstview.com

3) 소재

다양한 질감의 천연 소재를 주로 사용하는 이영희는 부드럽고 우아한 느낌의 명주와 투박하고 거친 느낌의 삼베, 얇고 고은 노방 등의 사용과 함께 한지를 사용하거나 혼방, 직조 기법에 변화를 준 실험적인 소재를 개발하여 전통적인 소재와 함께 독창적인 새로운 소재의 사용으로 한국적 복식디자인을 표현하고 있다.

Figure 1-5]는 백금 원사로 짠 원단에 백금으로 수를 놓은 드레스를 제작하여 우아하면서 동양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Figure 1-6]은 한산모시를 사용하여 섬세하고 투명한 느낌으로 시원함과 소재색의 자연성을 나타낸다.

[Figure 1-5]

(2004 S/S)www.leeyounghee.co.kr

[Figure 1-6]

(2010 F/W)www.firstview.com

4) 장식과 문양

이영희는 작품에서 비녀와 족두리, 삼작노리개, 방한용 쓰개인 조바위 등 한국적 장신구들을 응용하여 한국적 이미지를 표출하거나, 산수화초문을 자수로 표현하여 동양적 신비감을 나타내고 치마폭에 연잎, 소나무 등을 먹으로 그려 넣어 장식하였다. 또한 조각보 기법을 응용하고, 소재 자체의 지문을 활용한 은은한 표현, 화려한 꽃문양 자수, 사군자문양 자수, 여의주문인 전보(錢寶)문양을 넣는 등 한국적 이미지의 장식과 문양을 응용하여 한국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다.

Figure 1-7]작품은 흉배형의 붉은 천에 화조문양을 자수로 장식하여 한국적 전통미를 표현하였고, [Figure 1-8]은 조각보 기법을 응용한 패치워크로 색다른 장식 효과를 보이고 있다.

[Figure 1-7]

(2003 F/W)www.firstview.com

[Figure 1-8]

(2016 F/W)www.leeyounghee.co.kr

<Table 2>는 이영희 작품에 나타난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외적 형식을 정리한 것이다.

external form of korean costume design in lee young-hee's works

2. 이영희 작품에 나타난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내적 미의식

1) 자연·순수성

자연·순수성은 인공적이지 않은 아름다움의 표현으로 이영희 작품에서는 천연 소재의 사용이나 천연 염색 기법을 이용한 자연스러운 색채, 비대칭적 구조, 유기적인 곡선, 해, 달, 파도 소나무, 사군자 등 자연 문양의 사용 등이 있다. 또한 흰색의 사용, 장식이 없는 소박함 등으로 형태, 색채, 소재, 장식과 문양에서 모두 자연·순수성이 표현되고 있다.

Figure 2-1]에서 소나무를 치마 위에 먹으로 그려 넣어 한 폭의 수묵화를 보는 듯 아름다운 문양으로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Figure 2-2]은 천연 소재인 삼베를 천연 염색하여 사용하였고 비대칭성, 끈 여밈과 도련에 적용한 유기적인 곡선의 사용 등이 자연성을 나타내며, [Figure 2-3]에서 꾸밈없는 단순한 구성선으로 인위적인 형을 배제하고 흰색을 사용하여 순수함이 표현되었다. [Figure 2-4]는 무명과 닥종이의 잇기를 이용한 드레스로 은은한 색채와 심플한 실루엣, 소박한 소재의 느낌으로 순수한 자연스러움이 나타나고 있다.

[Figure 2-1]

(2010 F/W)www.firstview.com

[Figure 2-2]

(2011 S/S)www.firstview.com

[Figure 2-3]

(2011 S/S)www.firstview.com

[Figure 2-4]

(2016 F/W)www.leeyounghee.co.kr

2) 해학성

해학성은 인체의 과장이나 노출, 복식 형태의 변화 등에서 나타나는 풍자적이고 익살, 골계미와도 상통하는 의외성으로 순수성과는 상반되는 미적 특성이다. 이영희는 주로 치마 형태를 변형하거나 저고리 깃 모양을 변형하는 등으로 해학성을 표출하고 있다.

Figure 2-5]는 남성 저고리의 깃 모양을 과장 되게 표현하여 익살스러움이 나타나고 있으며, [Figure 2-6]은 하의인 치마를 상의로 응용한 기발한 발상에서 해학성이 느껴지고 있다. [Figure 2-7]은 치마를 묶거나 잡아당겨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내며 익살스러움과 재치가 표현되고 있고,[Figure 2-8]은 바지 위에 짧은 말기치마 형태를 덧입혀 의외성을 보이고 있다.

[Figure 2-5]

(2001 F/W)www.firstview.com

[Figure 2-6]

(2003 F/W)www.firstview.com

[Figure 2-7]

(2008 S/S)www.leeyounghee.co.kr

[Figure 2-8]

(2012 F/W)www.firstview.com

3) 상징성

상징성은 음향오행의 원리에 따른 색채의 운용과 주술적인 의미를 가진 문양 등으로 장수와 길복 등의 욕망을 내포하고 있는 미적 특성으로 이영희의 작품에서 주로 색채와 장식과 문양으로 표현하고 있다. 주술적인 느낌의 붉은색이나 색동, 오방색을 사용하거나 꽃문양 자수, 식물문, 동물문 등으로 길운, 장수, 부귀, 다산, 순결, 풍요 등의 상징성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2-9]는 당의에 사군자 중 하나인 난초문양 자수와 노리개를 달아 순결, 다산, 장수, 절개 등 상징적인 의미를 표출하고 있다. [Figure 2-10]은 정열과 생명, 길상의 상징인 붉은색을 사용하였고, [Figure 2-11]은 머리에 꽂은 비녀 옆으로 늘어뜨린 앞댕기에 화려한 꽃문양과 십장생 자수를 이용하여 장수, 다산, 부귀 등을 표현하고 있다. [Figure 2-12]에서는 원삼의 소매에 흉(凶), 화(禍)는 막고 길(吉), 복(福)을 비는 주술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색동을 응용하여 주술적인 상징성을 표출하고 있다.

[Figure 2-9]

(2009 F/W)www.firstview.com

[Figure 2-10]

(2009 F/W)www.firstview.com

[Figure 2-11]

(2012 F/W)www.firstview.com

[Figure 2-12]

(2016 F/W)www.leeyounghee.co.kr

4) 절제

절제는 복식으로 자신의 신분을 나타내 예의를 행하고 유교의 서열 의식에 따르며 도덕성과 금욕적인 절제성에 의거한 의례사상의 표현으로 복식의 중요한 사회적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영희의 작품에서는 절제가 직선적 형태나 무채색, 흰색과 검은색의 사용, 남자 의복 형태, 과장된 섶의 모양, 절제된 장식, 단정하고 절제된 형식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Figure 2-13]은 남자 바지, 저고리의 직선적 형태와 흰색의 사용, 절제된 형식에서, [Figure 2-14]와 같이 무채색의 사용과 절제된 장식에서 금욕적인 의례사상이 나타나며, [Figure 2-15]는 도포 형태와 검은색의 사용, 직선적인 실루엣에서 격식을 갖춘 정제된 복식미가 나타난다. [Figure 2-16]은 흰색의 사용, 절제된 장식, 간결한 형태에서 절제된 미의식이 표현되고 있다.

[Figure 2-13]

(2001 F/W)www.firstview.com

[Figure 2-14]

(2002 F/W)www.firstview.com

[Figure 2-15]

(2007 F/W)www.firstview.com

[Figure 2-16]

(2011 S/S)www.firstview.com

5) 감춤

감춤은 유교적 가치관과 불교의 불이 사상 등에서 기인한 가치로, 비구조적인 형태로 인체를 감싸거나 겹쳐 입는 방식으로 표현되는 미적 특성으로 [Figure 2-17]에서와 같이 비구조적 커다란 형식의 옷으로 인체의 굴곡을 가리고, [Figure 2-18]과 같이 인체를 둘러 감싸는 방식으로 은폐를 표현하였다. [Figure 2-19]는 여러 겹을 겹쳐 입음으로, 또는 [Figure 2-20]에서와 같이 머리의 쓰개를 이용하는 등 주로 형태를 이용하여 감춤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2-17]

(2001 F/W)www.firstview.com

[Figure 2-18]

(2003 F/W)www.firstview.com

[Figure 2-19]

(2007 F/W)www.firstview.com

[Figure 2-20]

(2011 S/S)www.firstview.com

이상에서 분석한 이영희 작품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의 미적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3>과 같다.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design in Lee Young-hee's works


Ⅳ. 결론

2001년 이후 이영희의 작품에 나타난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외적 형식과 내적 미의식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적 형식에 있어서 형태는 A라인과 H라인 실루엣, 하이 웨이스트, 말기 치마의 형태, 치마 형태의 응용, 남자 두루마기 형태와 남자 저고리 형태, 여자저고리와 고름의 응용, 배자 형태의 응용 등이 있었다. 색채는 오방색, 붉은색, 소색의 사용과 흑백의 조화, 색동의 응용, 안감과 겉감의 다른 색 사용, 고름의 응용, 깃, 고름 곁마기, 끝동에 다른 색을 사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소재는 주로 천연 소재인 명주 삼베, 노방, 모시, 명주 등이 사용되었고 백금 원단이나 전통 소재를 이용한 실험적인 소재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장식과 문양은 화조 문양, 산수화초문, 연잎 문양, 소나무 그림, 꽃문양 지문, 은은한 지문의 활용, 조각보 응용, 패치워크 장식, 전보문양 이용, 금실로 자수, 꽃문양 자수, 비녀와 노리개, 조바위의 응용 등이 나타났다.

둘째, 내적 미의식의 경우, 자연순수성은 비대칭 구조와 여밈, 도련의 유기적인 곡선, 천연 염색과 소재색의 사용, 천연 소재의 사용, 먹으로 그린 꽃과 나무 그림 등으로 디자인의 외적 형식인 형태, 색채, 소재, 장식과 문양을 모두 활용하여 나타내고 있었다. 해학성은 치마의 형태 변형이나 깃 모양을 과장되게 변형하는 등 외적 형식 중 주로 형태를 이용하여 내적 미의식을 표현하고 있는데, 특히 한복 치마를 이용한 해학성의 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상징성의 표현은 색동의 응용, 삼작노리개를 사용하는 등 색채, 장식과 문양을 이용하였다. 절제는 도포의 형태, 무채색의 사용과 절제된 장식 등으로 주로 형태, 색채, 장식과 문양을 이용하여 내적 미의식을 표현하였다. 감춤은 머리에 쓰개를 이용하거나 겹쳐 입기 등으로 형태를 이용한 미의식의 표현이 많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영희 작품에 나타난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내적 미의식 표현은 디자인의 외적 형식중 형태의 활용이 많았고 외적 형식의 요소를 부분적으로 또는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한국적 이미지를 표출하고 있다. 2001년 이후의 작품에서 형태의 응용은 남자 복식의 바지저고리, 두루마기나 도포 등으로 훨씬 더 다양해지고 세련되어졌으며 색채는 전과 같이 천연 염색을 사용하여 한국적인 자연성을 표출하고 있었다. 소재는 주로 천연 소재를 사용하고 있지만 단순한 소재의 활용이 아닌 천연 소재들의 교직이나 쟈가드 직조 기법 등 실험적인 소재 개발의 꾸준한 노력으로 한국적 소재를 현대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한복 치마 형태의 응용은 꾸준히 나타나지만 상의, 머리쓰개로 응용하거나 묶고 잡아당기는 등 다양한 방법이 나타나고 있다. 내적 미의식의 표현은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간접적으로 표출하여 현대적인 디자인에 접목함으로써 현대 패션에서 우리의 전통성을 알리며 국제무대에서 디자이너로 자리를 굳히고 있다. 이는 곧 우리 고유의 복식 문화를 현대 패션에 적절히 적용하는 것이 차별화 된 경쟁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의 전통에 대한 재인식과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미적 특성에 대한 객관적 사유의 폭을 넓혀 앞으로 한국적 복식디자인 연구와 세계 속에 한국 문화의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후속연구로 2000년대의 한국적 복식디자인 작품을 시기적으로 구분하고 외적형식과 내적 미의식이 시기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적 복식디자인의 글로벌화에 도움을 주길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충남대학교학술연구비로 지원되었음.

References

  • Choi, H. J., (2013), A study on the expressed types of Korean beauty in Korea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1), p146-159.
  • Choi, S. W., & Kim, M. J., (1993), A study on beauty of traditional dress expressed in Korea fashion de 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7(1), p103-117.
  • Choi, Y. S., & Kim, S. Y., (2011), A study on the Korea n image used by domestic designers in entering the overseas market by the chronological classification,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4(3), p77-88.
  • Geum, K. S., (1988), A study on the Korean aesthetic co nsciousness through the Choson costu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 Geum, K. S., (1990), A study on the beauty in Choson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4(-), p167-183.
  • Han, O. H., (2006), An analysis of Lee Young Hee’s work and develoment of Korean gusto design pursued with creative idea gen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 Hong, J. W., (2003), The aesthetic problems of artistic forming in the plastic Arts, Aesthetic Art Studies, 18(-), p187-206.
  •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Hwa Yeon Lee, et al , Translated (1988), Seoul, Kachi.
  • Jung, K, S., (2015), A study on development of red carpet dress design us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5(2), p41-56.
  • Kim, E. J., (2004),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Korean design in modern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 Kim, H, J., (2009),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al aesthetics reflected through Korean and Japanese modern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 Kim, H. K., Hong, J. H., Cho, H. J., (2001), Design elem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applied in the work’s of Lee Young-Hee, Fashion & Texitile Research Journal, 3(2), p131-139.
  • Kim, I. K., (1995),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9(3), p536-547.
  • Kim, J. Y., & Kim, S. A., (2014),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appeared in international fashion collections, Design Forum, 42(-), p183-190.
  • Kim, M. J., (2010), Finding the Je-daum of Korean Fashion Desig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 Kim, S. B., Je, G. Y., Park, I. J., Ye, J. Y., Lee, K. H., (2009),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Korean style fashion design, Fashion & Texitile Research Journal, 11(1), p24-32.
  • Kim, Y, R., (2000), The clothing world of Lee Young He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 Kim, Y. H., & Kim, M. J., (1991), The from of Oriental dress depicted on the 20th century westerrn fashion(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9(1), p1-12.
  • Kim, Y. K., (2010), A study on color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images represented by Lee Young Hee’s col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16(3), p86-94.
  • Kwon, H, J., & Kim, M. J., (2010), Humors in female costumes depicted in 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2), p35-50.
  • Lee, E, J., (2015),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 sublime beauty expressed in Korean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 Lee, J. M., & Kim, M. J., (2006),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woman’s traditional costumes from the viewpoint of oriental aestheti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5), p132-149.
  • Lee, M. R., (2008), Development of the fashion using Korean 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Daegu.
  • Lee, Y. O., (2005), A study on the design of Lee Young Hee and Issey Miyake through the identification expression of traditional aesthetic,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 Lee, Y. Y., (2011), An iconologicai analysis of Lee Young Hee’s fashion design,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4), p473-483.
  • Ryu, J. H., Kim, Y. S., Bae, S. J., (2001), A study on promothing th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Korean J. of Human Ecology, 4(1), p121-133.
  • Seo, B, H., & Kim, M. J., (2007), The aesthetic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affected by non-dualistic theory of Buddhi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3), p165-175.
  • Shim, S. H., (2006), Study on high-class oriented character in fashion design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beau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 Takeuchi, T., (1989), Aesthetics Art Dictionary, Young Gil Ahn, et al , Translated (2003), Seoul, Mijin-sa.
  • Yun, B. Y., (2001), A study on the traditional aesthetic onsciousness reflected on the contemporary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 Yun, E. Y., & Park, S. K., (2009), Formative aesthetic of Korean fashion design in modern fashion,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0(2), p299-307.
  • http://www.firstview.com/
  • http://www.leeyounghee.co.kr/

[Figure 1-1]

[Figure 1-1]
(2003 F/W)www.firstview.com

[Figure 1-2]

[Figure 1-2]
(2010 F/W)www.firstview.com

[Figure 1-3]

[Figure 1-3]
(2005 S/S)www.firstview.com

[Figure 1-4]

[Figure 1-4]
(2011 S/S)www.firstview.com

[Figure 1-5]

[Figure 1-5]
(2004 S/S)www.leeyounghee.co.kr

[Figure 1-6]

[Figure 1-6]
(2010 F/W)www.firstview.com

[Figure 1-7]

[Figure 1-7]
(2003 F/W)www.firstview.com

[Figure 1-8]

[Figure 1-8]
(2016 F/W)www.leeyounghee.co.kr

[Figure 2-1]

[Figure 2-1]
(2010 F/W)www.firstview.com

[Figure 2-2]

[Figure 2-2]
(2011 S/S)www.firstview.com

[Figure 2-3]

[Figure 2-3]
(2011 S/S)www.firstview.com

[Figure 2-4]

[Figure 2-4]
(2016 F/W)www.leeyounghee.co.kr

[Figure 2-5]

[Figure 2-5]
(2001 F/W)www.firstview.com

[Figure 2-6]

[Figure 2-6]
(2003 F/W)www.firstview.com

[Figure 2-7]

[Figure 2-7]
(2008 S/S)www.leeyounghee.co.kr

[Figure 2-8]

[Figure 2-8]
(2012 F/W)www.firstview.com

[Figure 2-9]

[Figure 2-9]
(2009 F/W)www.firstview.com

[Figure 2-10]

[Figure 2-10]
(2009 F/W)www.firstview.com

[Figure 2-11]

[Figure 2-11]
(2012 F/W)www.firstview.com

[Figure 2-12]

[Figure 2-12]
(2016 F/W)www.leeyounghee.co.kr

[Figure 2-13]

[Figure 2-13]
(2001 F/W)www.firstview.com

[Figure 2-14]

[Figure 2-14]
(2002 F/W)www.firstview.com

[Figure 2-15]

[Figure 2-15]
(2007 F/W)www.firstview.com

[Figure 2-16]

[Figure 2-16]
(2011 S/S)www.firstview.com

[Figure 2-17]

[Figure 2-17]
(2001 F/W)www.firstview.com

[Figure 2-18]

[Figure 2-18]
(2003 F/W)www.firstview.com

[Figure 2-19]

[Figure 2-19]
(2007 F/W)www.firstview.com

[Figure 2-20]

[Figure 2-20]
(2011 S/S)www.firstview.com

<Table 1>

Classification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design

Researcher Classification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External form Inner aesthetic sense
Choi & Kim(1993) shape, color, material, decorative pattern pure beauty, symbolic beauty, The beauty of tempered tragedy
Ryu et al.(2001) shape, color, material, decorative pattern unskilled artifice, The beauty of natural
Kim(2004) line / form, Color, Material, pattern / Decoration natural, purity, humor
Lee & Kim(2006) forms, ornamentation The beauty of the simple, The beauty of the symbol, The beauty of the emptiness, The beauty of the hidden
Seo & Kim(2007) The beauty of the emptiness, The beauty of the hidden, The beauty of natural
Lee(2008) line · shape, color, material natural, purity, humor
Kim et al.(2009) shape, color, material, pattern natural beauty, traditional beauty, pure beauty, simple beauty
Choi(2013) silhouette, color and material, patterns and decorations natural beauty, moderate beauty, decorative beauty
Framework of research shape, color, material, decoration and pattern natural-purity, humor, symbolism, moderation, a hidden beauty

<Table 2>

external form of korean costume design in lee young-hee's works

form Analysis contents
shape A-line, H-line silhouette, high waist, Malgi-skirt shape, male Durumagi(Korean traditional man’s coat)shape, male Jeogori(Korean traditional jacket) shape, application of hanbok skirt, shape skirt shape deformation,
color Obang-color, red, material color, black and white harmony, application of Saekdong(rainbow-striped),
materia Moshi, hemp cloth, silk, platinum fabric
decoration and pattern Binyeo, Jogdurie, Norigae, Jobaui, embroidery, A picture drawn with Indian ink, natural pattern, use of self-pattern, application of patchwork, use of Jeonbo- pattern, headdress type

<Table 3>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design in Lee Young-hee's works

Aesthetic characteristics Analysis contents
Shape Color Material Decoration and pattern
Natural -purity asymmetric structure and closure, overlap of curves, organic curve of bleaching natural dyeing, material color cotton, Hansan Mosi, hemp cloth, silk, Dak Paper picture of flowers and trees to Indian ink, abstraction of decoration
Humor shape transformation of skirt, asymmetrical deformation of skirt, transform skirt into top, exaggerated collar Shape
Symbolism application of Saekdong(rainbow-striped), use red color pattern of the Daenggi(Korean hair ribbon), orchid embroidery, Norigae(Korean traditional ornament)
Moderation form of Dopo(Korean traditional man’s coat), men's pants, Jeogori(Korean traditional jacket) type, straight silhouette, moderated format, simple form use of white, use of black, use of achromatic
A hidden beauty using a headdress on a head, unstructured format, overlap, how to wr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