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JHE - Vol. 23, No. 3, pp.515-527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Jun 2014
Received 09 Apr 2014 Revised 12 May 2014 Accepted 03 Jun 2014
DOI: https://doi.org/10.5934/kjhe.2014.23.3.515

A Study on the Plasticity and Characteristics on Jump Suit Shown in the Modern Fashion

KimSun Yo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현대패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Jump Suit)의 조형성과 특성

Correspondence to: * Kim, Sun Young Tel: 061-750-3685 Fax: 061-750-3680 E-mail: ksy6341@sunchon.ac.kr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the creative and high value-added produc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diversity for jump suit for the future by analyzing the trend and feature shown in jump suit in the modern fashion. In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over a total of 351 work pieces on jump suit among those presented in the collection of Paris, Milan, New York and London from 2006S/S to 2013F/W as well as literature review. The aesthetic features on suit jump design introduced in the modern fashion could be characterized as the following. First, both upper and lower garments are composed with a simple array of items and the stress was put on modernity feature through minimal expression technique. The feature of solid simplicity was also given with achromatic color or neutral monochrome. Second, the feminity image was emphasized with adoption of such highlighting items as detailed add-ons, tops, camisoles and blouses that stress the organically curved streamline including silhouette, material itself, crease and drape that enable the direct and indirect exposition of human body and the expression of smooth curve in human body. Third, jump suit revealed the multipurpose feature as item available for the diverse wear such as working habiliment, sports wear, uniform, office wear and evening wear, depending on the terms and conditions. Fourth, the deconstructive characteristic appeared through integration with various items, destruction of formative structure, non-structural shape, and ambiguity in wearing method.

Keywords:

jump suit, deconstruction, femininity, simplicity, versatility, 점프 슈트, 해체성, 여성성, 단순성, 다 목적성

Ⅰ. 서 론

한 시대의 문화와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는 문화적 산물로서의 패션은 단순한 유행현상에 그치지 않고 사회생활을 위한 의사소통의 코드이자 자신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션에서 파생되는 현상은 인간의 감성과 미적 호기심을 자극해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패션뿐만 아니라 모든 영역에 있어 고정된 가치관이나 그 경계가 허물어진 오늘날 각 의복에 대한 스타일이나 아이템 또한 각각의 영역을 넘어 그 범위가 확대되었고 다양한 절충과 융합의 방식을 통해 창조적인 역동성으로 표현되고 있다(Kim, 2012).

수많은 의복의 아이템 중 슈트는 한 벌로 입는 것을 전제로 디자인 된 2∼3종의 의복 조합을 말한다. 슈트라고 하면 남성복을 상징하는 아이템으로, 또 남성이나 여성이 비즈니스 현장에서 착용하는 복식을 연상하게 되며, 공적인 장소에서 여성복에 슈트가 도입된 것은 20세기 이후에서이다. 그러나 슈트는 비즈니스 슈트, 테일러드슈트, 스모킹 슈트 등 남성과 여성의 일상복으로서의 슈트 외에도 짐나스틱 슈트, 조깅 슈트, 스키 슈트, 점프 슈트 등 스포츠웨어로서의 슈트도 존재한다(Lee at al., 2006).

이중 점프슈트(jump suit)는 상하가 연결된 슈트로 과거 작업복이나 비행기 조종사들의 비행복 등 기능적 목적에서 착용된 아이템이었으나, 현대 여성패션에 있어 이브닝웨어, 캐주얼웨어, 스포츠웨어, 작업복 등 다양한 용도 및 스타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성은 상하 연결된 의복임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이나 소재, 색상, 문양 등 조형적 요소에 의해 다양한 용도와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는데 기인한다고 사료된다. 특히 현대패션의 경향이 개인의 개성연출과 자유 표현의 장으로 전개되어 나가면서 기능적 용도가 중시되던 점프 슈트 디자인 역시 조형요소의 변형과 해체, 아이템의 결합 등 신선한 발상 전개를 통해 변화된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Kim, 2012). 점프슈트를 비롯하여 많은 패션 아이템들이 이러한 현대패션의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여성성을 드러내는 의복이라기보다는 남성의 기능적인 의복으로 시작된 점프 슈트의 변화는 주목할 만한 대상이라 사료되어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2009S/S에는 많은 디자이너들이 다채로운 점프슈트를 선보여 국내외 패션 매체들에서 패션 잇 아이템으로 부각되기도 하였다(Kim, 2009; Ryu, 2009). 그러나 점프슈트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로 현대패션에서 캐주얼한 리조트룩부터 시작하여 우아한 이브닝룩까지 다양한 스타일로 전개되고 있는 점프슈트의 조형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패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 디자인의 형태적 변화와 경향을 살펴보고, 점프 슈트 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다양한 점프 슈트 디자인의 발상전개와 독창적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점프 슈트의 제품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선행연구(Kim, 2012)로 현대패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의 경향을 고찰하였고, 본고에서는 사진자료 분석과 함께 보다 심화시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점프 슈트에 관한 문헌고찰과 함께 점프 슈트 디자인의 경향과 특성 고찰을 위해 2006S/S부터 2013F/W까지 파리, 밀라노, 뉴욕, 런던 컬렉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 디자인 중 이너웨어 형태의 바디슈트나 상의에 재킷이나 코트 착용으로 정확한 형태를 알 수 없는 디자인 등 모호한 형태를 제외한 총 382점을 분석하였다. 사진자료는 인터넷 컬렉션 사이트인 스타일닷컴(www.style. com)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정확한 분석을 위해 동일디자인의 경우 GAP press, Mode&Mode, Fashion news 등의 컬렉션 지를 참고로 하였다.


Ⅱ. 점프 슈트에 관한 일반적 고찰

Fashion Dictionary Editorial Committee(1999)에 의하면 점프 슈트란 ‘셔츠와 바지가 원피스 형태로 붙어 있으며 앞 중앙선이 단추나 지퍼로 여미게 되어 있다’고 하였고, Wikipedia(2013)에 따르면 ‘블라우스 또는 베스트, 튜브탑 등의 상의와 하의인 바지가 동일한 색상이나 패턴으로 연결된 원피스 형 슈트’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점프 슈트에 관한 기원은 정확하지 않으나 제 2차 세계대전 중 낙하산 부대나 비행사들이 옷을 빨리 갈아입기 위해 사용했으며, 당시의 사이렌 슈트와 같이 공중 습격 시에는 시민들도 착용하였다고 한다. 군인이 작업 시에 입을 때는 바지 밑에 입었으며, 퍼티그즈(fatigues: 군인작업복)라고 불렀다. 일반적으로 형태는 상체는 맞으며 허리에서부터 약간씩 바지폭이 넓어지고 대개 허리는 벨트로 악센트를 주게 되는데, 청소부나 기계공들의 작업복, 자동차 경주자, 스키선수, 우주 항공사, 소방대원들이 착용하는 옷으로 이용되었다(Fashion Dictionary Editorial Committee, 1999; Kim, 2012). 또 1910년대 미래주의자들이 제시한 예술 의상 디자인에서 튜타(tuta)라는 이름으로 디자인된 작품들 역시 점프 슈트와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다. 발라(G. Balla), 타이야트(E. Thayaht) 등 미래주의자들이 제시한 튜타는 오버올즈(overalls) 형태의 디자인으로 한 폭의 천으로 구성되었고 허리에는 간단한 벨트를 매는 형식이다. 편안함과 단순성, 그리고 위생적인 기준에 의해 제시된 이러한 새로운 의상은 하나의 미래주의 복식운동의 일환으로 제시되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Park, 2011).

그러나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까지 점프 슈트를 애용하며 입던 스타 중 엘비스 프레슬리를 시작으로 점차 대중들에게 알려지게 되었고, 1960년과 1970년대에 남녀의 스포츠 레저, 특히 수영복, 스키복, 라운지 웨어 등으로 유행하기 시작하여, 1975년∼1980년대에 가장 유행하였다(Fashion Dictionary Editorial Committee, 1999). 1970년대 이후로 점프슈트는 작업복과 같은 기능적 용도의 아이템으로 그치지 않고 바지통이 넓어지는 등 다양한 디자인들이 선보이면서 대중들에게 인기를 끌었으며(Kim, 2012), 1980년대에는 인체 곡선을 따라 몸에 꼭 맞는 글래머러스한 디자인이 선보여졌고 작업복의 이미지가 강했던 V라인의 칼라부분을 동그란 U형 네크라인으로 변화시키면서 전개되었다(Wikipedia, 2013).

점프 슈트와 유사한 용어로는 커버올즈(coveralls)와 오버올즈가 있다. 커버올즈는 상의와 하의가 하나로 연결된 기계공이나 노동자들의 작업복으로 의복을 보호하기 위하여 옷 위에 덧입게 만든 의복을 말한다. 데님. 진, 코듀로이 등과 그 외에도 튼튼한 옷감을 주로 사용하며, 포켓의 위치, 크기, 스티치 등에 따라 스타일이 다양하며 어린이복에 많이 이용된다. 처음에는 1920년대에 주유소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착용하였으며, 1960년대 후반기부터 스포츠 웨어로 유행하였다(Fashion Dictionary Editorial Committee, 1999). 오버올즈는 가슴 받이와 어깨끈이 달린 바지를 말한다. 대개 어깨끈은 뒤쪽에서 엇갈리게 되어 있으며, 처음에는 청색데님으로 만들어 농부들의 작업복으로 의복의 더러워짐을 막기 위해 옷 위에 덧입은 데서 유래하였다. 페인트를 칠하는 사람과 목공소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백색계열로, 철도원들은 줄무늬지로 만들어서 입었다. 1960년대 후반기에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여러 가지 스타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이 입었으며, 1980년대 초에는 주름으로 된 플리티드 오버올즈가 소개되기도 하였는데, 비브 톱 팬츠, 서스펜더 팬츠라고도 한다(Fashion Dictionary Editorial Committee, 1999). 이러한 점프 슈트는 2000년대 들어와 남성복뿐만 아니라 여성패션에 있어 작업복의 이미지를 연출한다기보다는 여성적인 이미지의 이브닝 웨어나 활동적인 이미지를 강조한 캐주얼웨어 등 다목적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Kim, 2012).


Ⅲ. 현대패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 디자인 경향

남녀노소 모두에게 실용적인 아이템인 동시에 패션성을 연출할 수 있는 점프 슈트는 현대 패션에 있어 다양한 디자인과 이미지로 착용자의 미적 감각과 독특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아이템이라 할 수 있다(Kim, 2012). 현대패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 디자인의 형태와 특성을 위해 2006S/S부터 2013F/W까지 세계 4대 컬렉션인 파리, 밀라노, 뉴욕, 런던 컬렉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 디자인 총 382점을 분석하였다. 작품선정에 있어 여성복에 한정하였으며, 상·하의가 연결된 의복이라는 점프슈트의 개념에 준하여 오버올즈를 포함한 상하 연결된 원피스 형태의 슈트 모두를 포함하였고, 이너웨어인 올인원이나 바디 슈트 형태의 디자인은 제외하였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 디자인을 형태, 색상, 소재, 장식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Jump suit design trend shown in the modern fashion

1. 형태

상의와 하의가 연결된 점프 슈트는 대부분 [Figure 1]과 같이 롱 앤 린 라인을 형성하여 시각적으로 길어 보이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특히 하의에 착용된 팬츠 형태는 점프 슈트의 실루엣을 결정짓는 중요 요소라 하겠다. 그러나 [Figure 2] 같이 허리위치에 절개선이 없이 상하 한 장의 패턴으로 연결되거나, 상의가 몸에 피트 되지 않은 튜브 탑이나 점퍼, 헐렁한 셔츠 스타일로 연출된 경우 박스라인을 나타내었고, 상의부터 하의에 걸쳐 몸에 피트 되지 않고 주름이나 드레이프 등을 활용하거나, [Figure 3]과 같이 하의에 하렘팬츠와 같은 아이템을 조합하여 코쿤 라인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실루엣으로 나타났다.

점프 슈트 디자인은 상의와 하의의 아이템 조합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을 연출하게 된다. 상의의 경우 튜브 탑이나 캐미솔의 형태, 셔츠나 블루종, 재킷, 베스트 등의 아이템이 적용되었으며, 하의 팬츠는 숏 팬츠에서부터, 버뮤다 팬츠, 벨 보텀 팬츠, 할렘 팬츠, 니커보커즈, 조드퍼드, 스트레이트, 와이드 팬츠 등 다양한 팬츠디자인의 조합을 통해 변화된 이미지를 나타냈다.

상의에 조합된 아이템은 [Figure 4]와 같이 몸에 꼭 맞는 탑이나 튜브 탑, 캐미솔 형태의 디자인이 38.5%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Figure 5]의 점퍼나, 셔츠 같은 아이템이 적용된 경우가 35.9%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몸에 꼭 맞는 니트웨어나 [Figure 6]과 같이 오버올즈 형태의 앞 바대를 이용한 경우, [Figure 7] 같이 재킷과 함께 조합된 경우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의에 적용된 팬츠는 [Figure 4]와 같이 일자형의 스트레이트 팬츠가 22.8%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Figure 8]의 폭이 넓은 와이드 팬츠, 그리고 [Figure 9]의 숏 팬츠와 [Figure 10]과 같이 몸에 꼭 맞는 시가렛 팬츠는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길이와 형태의 디자인으로 조합되었다. 이러한 조합은 점프 슈트의 이미지에 크게 작용하는 요소로 재킷과 조합된 경우 정장 느낌의 슈트를 착용한 것과 같은 이미지를 나타내며, 몸에 꼭 맞는 탑과 와이트 팬츠의 조합은 이브닝 웨어로서 여성적인 이미지를 연출하였고, 셔츠나 점퍼와 조합된 경우 캐주얼하고 스포티한 이미지를, 조드퍼드나 하렘팬츠와 같이 조합된 경우 에스닉 이미지를 연출하는 등 조합되는 아이템에 의해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한다고 할 수 있다.

또 허리선 위치 역시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제 허리선에서 절개되어 이어진 형태가 46.1%%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Figure 11]과 같은 로우 웨이스트의 형태가 27.2%, [Figure 2]와 같이 허리선 절개 없이 한 장의 패턴으로 상하가 이어진 경우가 22.2%, 하이웨이스트의 형태가 3.1%로 나타났다.

[Figure 1]

Tommy Hilfiger, 2008 S/S

[Figure 2]

Max Mara, 2006 S/S

[Figure 3]

Proenza Schouler, 2009 S/S

[Figure 4]

Costume National, 2011 S/S

[Figure 5]

Thimister, 2010 S/S(http://www.style.com)

[Figure 6]

Jean Paul Gaultier, 2010 S/S

[Figure 7]

Stella McCartney, 2009 S/S

[Figure 8]

Elie Saab, 2011 S/S

[Figure 9]

Temperley London, 2008 S/S

[Figure 10]

Altuzarra, 2010 F/W(http://www.style.com)

2. 색상

색은 사람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아름다움을 제공하며 보다 쉽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감정의 공감대를 형성시키는데, 이는 색의 연상과 상징으로부터 생기는 감정적 효과 즉 이미지가 대상의 속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의복에서 색채는 복식의 조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형태, 소재, 패턴 등 다른 디자인 요소에 비해 시각적인 전달메시지가 강해서 의복이미지를 결정하거나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중요 수단으로 작용하게 된다(Kim & Lee, 2001).

현대패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 디자인에 적용된 색상은 상하 동일색상으로 구성된 경우가 82.7%로 가장 많이 나타나 디자인이나 장식의 유무와는 별개로 단순함과 절제미, 모던함과 같은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또 [Figure 12]와 같이 프린트 소재를 이용하여 리조트웨어와 같은 이미지를 연출하는 등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된 니트나 프린트 소재를 이용한 경우가 13.1%로 나타났고, [Figure 13] 같이 단색과 다양한 색상이 프린트 된 소재를 서로 배색하여 유머러스한 이미지를 나타내거나, 상의와 하의 색상을 달리하여 점프 슈트가 아닌 상하 투피스의 형태와 같이 눈속임 연출로 변화를 나타내고, 또 점프 슈트 디자인을 구성하는 각 부분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배색을 달리하는 등 다양한 변화를 나타낸 것이 4.2%로 나타났다.

3. 소재

시각적인 측면에서 패션디자인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색채와 함께 소재 역시 상품 성격이나 유행 경향, 이미지 등을 표현하는 효과가 크다. 점프 슈트 디자인에 있어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의 사용과 같이 여러 질감으로 표현되어 변화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점프 슈트에 이용된 소재는 무광택소재가 69.6%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광택소재 12.6%, 니트나 저지, 스트레치 소재가 9.2%, 비치는 소재가 5.2%의 순으로 나타났고, 가죽이나 모피 등을 이용한 경우도 나타났으며, 원단 이외에 이질적인 소재를 이용한 경우는 나타나지 않았다.

점프 슈트에 사용된 모직이나 데님, 면과 같은 무광택 소재는 블랙이나 화이트, 또는 네이비, 그레이 등 짙은 단일색상으로 표현된 경우 모던한 도시적 이미지를 나타내며, 파스텔 색조로 표현된 경우 우아한 여성적인 이미지를, 데님소재나 밝은 원색의 컬러로 표현된 경우 스포티하고 캐주얼한 이미지를 나타내게 된다. 또 점프 슈트에 사용된 광택소재로는 벨벳, 새틴, 실크 등이 있는데 주로 화려한 이미지를 연출한다. [Figure 10]에서와 같이 몸에 피트 되는 라인의 점프 슈트는 모던하면서도 붉은 벨벳 소재로 인해 화려한 이미지를 연출하며, [Figure 14]와 같이 비대칭라인의 블라우스와 숏 팬츠로 조합된 점프 슈트는 짧은 팬츠 길이에도 불구하고 광택 소재 특유의 부드러움과 드레이프에 의한 곡선의 조형미로 우아함을 느끼게 한다. 특히 니트나 저지, 스트레치 소재를 이용할 경우 몸에 피트 되는 실루엣으로 롱 앤 린 라인을 연출하며 여성인체의 곡선미를 강조시키기도 한다. [Figure 15]는 네크라인에 비구조적인 형태로 해체적 이미지를 연출함과 동시에 스트레치 소재를 통해 여성인체의 곡선을 강조시키고 있으며, [Figure 16]과 같이 니트 소재의 바디슈트 형태의 점프슈트는 함께 연출된 고글과 레그 워머, 노르딕 스타일의 패턴으로 인해 스포티한 캐주얼 이미지를 나타냈다.

비치는 소재로는 시폰이나 오간자, 레이스 등을 이용한 의상이 주를 이루는데, 이러한 소재의 사용은 신체를 엿보는 것과 같은 이미지로 완전 노출보다도 더욱 자극적인 이미지를 갖게 한다. [Figure 17]은 일반적으로 점프 슈트 디자인에 사용되지 않는 레이스를 이용한 것으로 란제리 룩과 같은 스타일로 관능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킨 것이고, [Figure 18]은 망사와 같이 비치는 소재를 이용해 안에 착용한 속옷을 그대로 노출시키며 관능적이면서도 유희적인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또 [Figure 19]는 광택소재와 가죽 소재를 혼합하여 점프슈트 안에 또 다른 상의를 착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냈고, [Figure 20]은 오버롤즈 형태의 작업복 스타일 점프슈트로 일반 소재가 아닌 가죽소재가 갖는 독특한 질감의 효과로 인해 작업복의 이미지를 약화시키며 고급스럽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나타냈다.

[Figure 11]

PHI, 2009 S/S

[Figure 12]

D&G, 2011 S/S

[Figure 13]

Louis Vuitton, 2011 S/S

[Figure 14]

Ferragamo, 2009 S/S

[Figure 15]

Martin Margiela, 2008 F/W

[Figure 16]

D&G, 2010 F/W(http://www.style.com)

[Figure 17]

Marc Jacobs, 2011 S/S

[Figure 18]

Benjamin Cho, 2009 S/S

[Figure 19]

3.1 Phillip Lim, 2011 F/W

[Figure 20]

Jean Paul Gaultier, 2009 F/W

[Figure 21]

Sonia Rykiel, 2008 S/S

[Figure 22]

Moschino, 2013 S/S(http://www.style.com)

4. 장식

상하 서로 다른 아이템의 조합으로 구성된 점프 슈트의 경우 상하 아이템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출되게 된다. 따라서 장식적인 기법이 생략되어 각 아이템의 조합만으로 단순하고 모던한 스타일을 나타낸 경우가 71.5%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드레이프나 개더, 러플장식 등을 통해 부드럽고 유연한 여성적인 이미지를 강조시킨 것이 15.7%, 다양한 디자인의 패치포켓의 부착을 통해 작업복이나 캐주얼 이미지를 강조한 것이 6.0%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자수나 비즈, 지퍼 등을 이용해 장식적인 효과를 연출한 것도 나타났다. 또 눈속임 효과를 통해 유머러스한 이미지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Figure 21]과 같이 니트 소재 점프 슈트에 마치 오버롤즈를 하나 더 착용한 것과 같이 포켓, 허리선, 어깨 끈 등을 다른 색상으로 직조하거나, [Figure 22]와 같이 선 장식을 통해 상하의가 분리되어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상하 연결된 점프 슈트의 경우 허리선의 처리 역시 하나의 장식적인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허리부분에 장식 없이 연출된 경우가 45.3%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스트링 장식을 통해 허리부분에 자연스러운 주름이나 끈 장식을 표현한 경우가 24.9%, 폭이 좁은 내로우 벨트, 스트레이트 벨트, 더블 벨트 등 다양한 벨트를 활용하여 허리선을 강조함과 동시에 장식적인 요소로 활용한 경우가 22.0%로 나타났다.


Ⅳ.현대패션에나타난 점프슈트의 특성

1. 단순미를 통한 아이템 특성 부각

Kim과 Kim(1995)에 따르면 미니멀리즘은 전통적인 조각이나 회화의 개념과는 달리 최소한의 제작 과정을 거쳐 사물의 본질을 직접 드러내 보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표현의 주관성을 억제하고 오브제를 그 성분 요소까지 환원하여 보려는 특성을 지닌 예술양식이라 하였다. 또한 환영적인 것들을 극소화하고 대상 그 자체를 드러내 보이기 위한 미니멀리즘 작가들의 시도는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해 철저하게 단순화되고 더 이상 환원 할 수 없는 최소한의 것을 제시하고자 작품의 색채, 형태 구성을 극단적으로 단순화하여 기본적 요소로까지 환원하는 현대미술의 환원주의적 경향이 절정에 이른 것이라 하였다.

또 Ann‘s study(as cited in Ham, 2006)에 따르면 과거 남성들이 프랑스 혁명을 계기로 외형적인인 화려함을 요구하는 복장 대신 단순한 형태의 슈트를 선택함으로써 스스로 패션과 거리를 유지하고 합리적인 사람으로 보이게 했다고 하였으며, Ham(2006)은 여성들의 사회진출로 인해 여성복에 있어 장식적인 요소를 제거한 단순한 디자인으로의 변화를 이끌게 되었다고 하였다. 특히 현대 조형예술에 있어 모던함은 장식 제거를 통해 단순함을 지향하면서 복잡한 현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강하게 다가왔고, 현대패션 역시 인체의 왜곡이나 과잉 장식성을 특징으로 하는 과거의 복식에서 벗어나 기능성과 실용성에 역점을 두어 모더니티를 이루게 되었다(Kim & Kim, 1995).

패션디자인에 있어 단순성의 이미지 강조는 절제된 표현기법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 [Figure 1]은 모던함과 단순성을 상징하는 화이트 색상의 점프 슈트로 가장 기본적인 요소만 남겨두고 다른 모든 것이 배제된 것을 볼 수 있다. 인체에 어떤 왜곡도 가하지 않고 거의 수직선으로 내려오는 실루엣에 의복구성을 위해 필요한 중심선을 제외한 내부에 일체의 구조선을 가지고 있지 않다. 즉 점프 슈트를 구성하는 최소한의 선을 제외하고는 일체의 디테일이 생략되어 단순함의 극치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Figure 2] 역시 절제되고 단순한 형태로 모던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의 경우 화려한 프린트 활용보다는 상하 동일한 단색을 사용한 것과 무지 원단을 통해 표현된 것, 기타 장식 없이 표현된 것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단순한 이미지의 강조를 부각시키는 반면 지루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으나 다양한 색상 및 아이템의 조합을 통해 모던하고 세련된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Figure 4]와 같이 단순한 형태의 점프 슈트에 같은 톤의 벨트로 통일성과 단순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Figure 7] 역시 베이지 톤의 클래식한 테일러드슈트와 조합된 점프 슈트로 절제된 단순함을 나타낸다.

여러 개의 아이템 조합이 아닌 하나의 아이템만으로 연출되는 점프슈트는 편리함과 동시에 단순함이라는 가치를 지닌다. 또한 현대패션에 나타난 점프슈트는 단순한 형태의 아이템에 최소표현기법을 통해 모던함을 강조시키고 무채색 또는 중성 톤의 단색을 이용하여 절제 있는 단순성의 특성을 나타냈다(Kim, 2012). 이러한 단순성의 이미지는 상하의가 연결되어 수직적 효과를 강조하는 점프슈트의 아이템 특성을 극대화시켰다.

2. 여성미 강조 수단으로의 전환

Baudrillard's study(as cited in Kim & Lee, 2004)에 따르면 현대 소비사회에 있어 여성에게 아름다움은 절대적인 대상이며 날씬함과 아름다움은 아무런 자연적 친화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사회의 기호체계는 이를 불가분의 것으로 표준화하고 신비화하게 한다고 하였다. 또한 Ko와 Kim(2004)은 여성의 아름다움을 부각시키게 하는 여성성이란 남성에게 매력적으로 간주되는 성적인 여성적 특질을 가리킨다기보다는 여성의 섬세한 감수성, 감응력, 감각의 우수함, 부드러움, 온화함 같은 여성적인 미적 특성 같은 것을 뜻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여성적 이미지의 표출은 여성들이 성적 매력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면서 자신감과 함께 당당함을 표출하여 현대사회에서 여성의 지위나 역할을 과시하고 그 위치가 남성에 비해 열등하지 않음을 강조하기 위하여 남성적인 이미지를 거부하고 여성적 특질을 강조하여 육체적인 성적 매력을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Kim, 2006).

점프 슈트 디자인에 있어 여성을 강조하는 요소는 신체의 직, 간접적인 노출과 여성인체의 부드러운 곡선을 강조하는 실루엣, 주름이나 드레이프 등의 장식기법을 활용하여 유기적인 곡선을 강조한 디자인으로 나타난다. 특히 점프 슈트는 다양한 길이와 디자인으로 나타나는 팬츠와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지나, [Figure 8]과 같이 광택소재의 와이드 팬츠와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가늘고 긴 실루엣과 함께 여성 특유의 인체 곡선을 강조하게 된다. 또 상의에 셔츠나 점퍼가 아닌 탑이나 캐미솔 등 여성적인 이미지의 아이템을 활용하거나, [Figure 14]와 같이 다양한 주름장식이나 드레이프를 활용한 디자인 역시 점프 슈트가 갖는 작업복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섬세하고 부드러운 여성성의 이미지를 강조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또 [Figure 17], [Figure 18]과 같이 실크나 시폰, 망사, 레이스 등 비치는 소재를 이용한 점프 슈트의 경우 여성 인체의 간접 노출을 통해 남성적 특질을 나타내는 점프 슈트의 이미지를 약화시키고 관능적인 여성미를 강조하게 되며, [Figure 23] 같이 깊게 파인 네크라인과 몇 개의 끈만으로 등 전체와 뒤 허리라인까지 노출시킨 디자인 역시 의외의 효과로 관능적인 여성미를 느끼게 한다.

이와 같이 작업복이나 조종사의 유니폼, 스포츠웨어 등 여성적 특질과 반대되는 영역에서 주로 활용되던 점프 슈트 디자인은 여성인체의 노출이나 여성복의 아이템, 장식적인 디테일 등을 이용하여 여성성의 이미지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어 나타났다. 즉 현대패션에 있어 점프 슈트를 이용한 여성성의 이미지 표출은 과거 점프슈트가 지녔던 남성 중심적 시각이나 기능적 측면만을 강조하던 측면에서 벗어나 여성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재인식하는 주체적인 표현 도구로 변화되어 나타난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여성미 강조 수단으로의 점프슈트의 전환은 여성의 인체를 보이기 위한 도구가 아닌 자신감과 독립심 등 역동적이고 강인한 현대 여성의 이미지를 반영한 것이며(Kim, 2012) 점프슈트가 지녔던 과거의 상징적 의미와 차이를 나타낸다고 하겠다.

[Figure 23]

Jean Paul Gaultier, 2010 Pre fall

[Figure 24]

Armani Privee, 2009 F/W

[Figure 25]

Vena Casa, 2010 F/W

[Figure 26]

Marios Schwab, 2009 S/S

[Figure 27]

Ferragamo, 2009 S/S(http://www.style.com)

3. 다목적 아이템으로의 역할 변화

오늘날 현대사회 전반에 흐르는 탈 중심화 현상의 영향은 문화장르간의 융합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으며, 패션 역시 삶의 질을 중시하는 가치기준의 변화에 의해 다양한 목적에 맞게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다양성이 강조된 스타일이 선호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중 큰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레저문화의 확대는 패션에 있어서도 스포티하고 캐주얼한 이미지가 반영되어 다양한 아이템을 통해 나타나게 되며, 패션 컬렉션 또한 리조트 컬렉션의 작품을 따로 발표하는 등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최근 리조트 컬렉션을 통해 나타나는 주요 아이템 중 하나는 점프 슈트로 이는 활동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미지 변화를 가능하도록 연출할 수 있다는데 큰 장점이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 디자인은 디자인, 소재 등에 따라 이브닝 웨어 뿐만 아니라 작업복, 스포티한 캐주얼웨어 등 다양한 목적으로 착용이 가능한 절충적이고 다목적적인 특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Figure 5]는 데님이나 면과 같은 소재, 기능적인 디테일 및 형태로 활동상의 편안함과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캐주얼한 작업복으로의 이미지를 나타냈으며, [Figure 6]의 경우 브래지어의 캡 형태와 혼합된 오버롤즈의 형태로 표현되어 점프 슈트 안에 내재된 노동의 상징 대신 위트 있는 패션 감각을 느끼게 한다. 반면 실크나 새틴 등 반짝이는 광택소재와 드레이프, 주름 등의 장식기법, 와이드 팬츠를 적용하는 등 우아하고 여성스러운 이미지의 이브닝웨어로 연출가능 할 뿐만 아니라, 스커트보다 기능적이고 활동적인 측면이 중시되는 팬츠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점프 슈트는 상의에 재킷이나 베스트의 조합 등 남성복에서 차용한 아이템들의 조합을 통해 여성의 공식적인 사회활동에 적합한 오피스 룩으로의 연출가능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스키복이나 자동차 경주에 사용되는 레이싱 유니폼, 조종사의 비행복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점프 슈트는 오늘날 현대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이고 역동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알파 걸의 이미지와도 부합될 수 있는 아이템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남성과 여성, 정장과 캐주얼, 격식과 비 격식의 개념 등 다양한 개념의 절충을 통해 표현되는 점프 슈트는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상황과 여건에 따라 다목적용으로 착용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현대사회의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사고방식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Kim, 2012).

4. 해체를 통한 개성연출

현대사회 전반에 내재된 포스트모던 문화는 다원적이며 해체와 혼성모방, 절충주의적인 경향을 나타내며, 현대패션의 경향 역시 다양한 개성의 추구와 고정 관념에 얽매이지 않은 개방적이고 독창적인 자유 감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 디자인 역시 다양한 형태변화와 실험적 시도로 점프 슈트에 관한 고정적인 관념을 탈피한 해체의 특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특성은 아이템의 결합 및 조형구조의 파괴, 착장방식의 해체를 통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앞장의 고찰을 통해서도 밝힌바 있듯이 점프 슈트는 남성과 여성, 정장과 캐주얼, 격식과 비 격식의 개념 등 다양한 개념의 절충을 통해 표현되는 아이템이며, 상의와 하의의 조합에 따라 무한한 변화를 연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아이템 고유의 특성을 나타낸다. 하의로 구성되는 다양한 팬츠 디자인 외에도 상의에 구성되는 캐미솔, 탑, 셔츠, 점퍼, 재킷 등 다양한 아이템에 있어 디자인적 변형과 결합을 통한 해체적 특성을 나타낸다. [Figure 15]와 같은 비구조적인 형태, [Figure 24] 같이 케이프 형태로 변형된 재킷과 조합된 점프슈트, [Figure 25] 같이 셔츠의 칼라부분만을 차용하여 상의의 탑과 연결된 점프 슈트 등 다양한 아이템과의 조합 및 변형을 통해 해체적 이미지를 나타낸다. 또 [Figure 26]와 같이 팬츠의 중심선을 절개하여 다리라인을 노출시킴으로써 감각적인 자극과 함께 파괴적인 해체의 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특히 대칭구조를 깨트리는 비대칭 구성을 통해 개성적인 디자인 연출뿐만 아니라 고정관념을 탈피한 탈구조의 해체적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Figure 27]은 셔츠블라우스와 조합된 점프 슈트로 한쪽은 일반적인 셔츠블라우스의 형태를 다른 한쪽은 소매가 제거된 형태로 나타났으며, 서로 다른 앞 중심 길이로 인해 셔츠칼라의 형태는 마치 러플칼라와 같은 이미지로 연출되었다. 뿐만 아니라 [Figure 28]은 화이트 셔츠디자인의 변형으로 표현된 점프슈트로 아이템의 모호성까지도 연출하였으며, [Figure 29] 역시 비대칭실루엣으로 점프슈트와 케이프가 혼합되어 디자인 변형과 결합의 양상을 나타낸다. [Figure 30] 역시 상의 한쪽만 점퍼의 형태를 다른 한쪽은 뒤쪽으로 연결되어 아예 제거되어 있는 것과 같은 이미지로 해체적 특성을 나타낸다.

또 해체패션에서 의미의 불확정성은 착용하는 사람에 따라 착장 방법을 달리하여 표현되는 불확정적이고 모호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형태는 옷을 착용하는 특별한 형식을 미리 규정하지 않고 착용하는 사람에 의해 자연스럽고 우연하게 완성되는 형태로 나타내게 되는데, [Figure 31] 같이 비대칭으로 가로질러 양분된 점프 슈트는 한쪽은 레오타드와 같은 바디슈트 디자인으로 한쪽은 파괴된 소매구조의 재킷의 형태로 다리 끝까지 연결된 형태로 나타나 조형구조의 해체뿐만 아니라 마치 옷을 착용하지 않고 어깨에 걸치고 있는 것과 같은 모호한 착장방식을 나타낸다. [Figure 32] 역시 몸에 달라붙는 바디슈트 위에 다시 비대칭라인의 점프 슈트를 착장한 것으로 기존의 점프 슈트에 대한 조형미를 파괴하고 미완성된 것을 착장한 것과 같은 해체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다양한 아이템과의 결합 및 디자인에 있어서의 결합과 절충, 기존 구성방식의 파괴와 연출형태의 역설적 구성을 취하는 등 점프 슈트 디자인에 대한 형태의 왜곡과 변형은 오늘날 현대패션의 경향을 여실히 반영한다. 그러나 상하의가 조합되어 점프슈트라는 하나의 아이템 안에서 전개된 이러한 해체적 특성은 조합된 각각의 아이템이 지닌 고유의 특성을 넘어 보다 새로운 이미지 연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시선을 집중시키는 하나의 유인자극이자 점프 슈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게 하며(Kim, 2012) 개성적인 스타일 연출을 위한 활력소라 하겠다.

[Figure 28]

Giambattista Valli, 2013 S/S

[Figure 29]

Mugler, 2012 S/S

[Figure 30]

Hermes, 2009 F/W

[Figure 31]

Martin Margiela, 2009 S/S

[Figure 32]

Martin Margiela, 2008 F/W(http://www.style.com)


Ⅴ. 결론

본 연구는 연구자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현대패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 디자인의 형태적 변화와 경향 및 점프 슈트 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하여 앞으로 다양한 점프 슈트 디자인의 발상전개와 함께 독창적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제품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과 함께 점프 슈트 디자인의 경향과 특성 고찰을 위해 2006S/S부터 2013F/W까지 파리, 밀라노, 뉴욕, 런던 컬렉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 디자인의 조형성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남녀노소 모두에게 실용적인 아이템인 동시에 패션성을 연출할 수 있는 점프 슈트는 현대 여성패션에 있어 다양한 디자인과 이미지로 착용자의 미적 감각과 독특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아이템이라 할 수 있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점프 슈트 디자인의 조형성은 다음과 같다. 형태에 있어 대부분 가늘고 긴 실루엣을 나타냈으며, 아이템 조합에 있어서는 상의의 경우 몸에 꼭 맞는 탑이나 튜브 탑, 캐미솔 형태의 디자인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점퍼나, 셔츠 같은 아이템이 적용된 경우로 나타났고, 니트웨어나 오버올즈 형태의 앞 바대를 이용한 경우, 재킷이나 조끼와 함께 조합된 경우도 나타났다. 하의에 적용된 팬츠는 점프슈트의 실루엣 형성에 중요 요소로 작용했는데 일자형의 스트레이트 팬츠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와이드 팬츠, 숏 팬츠, 시가렛 팬츠 등 다양한 길이와 형태의 디자인으로 조합되었다. 색상은 상하 동일색상으로 구성된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된 니트나 프린트 소재를 이용한 경우, 점프 슈트 디자인을 구성하는 각 부분에 서로 다른 색으로 배색을 달리한 경우도 나타났다. 소재는 모직이나 데님, 면과 같은 무광택소재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벨벳, 새틴, 실크 등의 광택소재, 니트나 저지, 스트레치 소재, 비치는 소재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장식적인 기법이 생략되어 각 아이템의 조합만으로 단순하고 모던한 스타일을 나타낸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드레이프나 개더, 러플, 패치포켓, 자수나 비즈, 지퍼 등을 이용해 장식적인 효과를 연출한 것도 나타났다. 허리장식은 장식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스트링이나 다양한 종류의 벨트와 함께 연출된 경우도 나타났다.

이러한 디자인 경향을 통해 도출된 표현 특성은 첫째, 단순한 형태의 아이템에 최소표현기법을 통해 모던함을 강조시키고 무채색 또는 중성 톤의 단색을 이용하여 절제 있는 단순성의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점프 슈트 고유의 아이템 특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남성성과 기능적 측면이 강조된 점프슈트는 여성인체의 노출이나 장식적인 디테일 등을 이용하여 여성성의 이미지를 강조하는 아이템으로 전환되었다. 셋째, 남성과 여성, 정장과 캐주얼, 격식과 비 격식의 개념 등 다양한 개념의 절충을 통해 표현되는 디자인과 소재에 의해 절충적이면서도 다목적적인 아이템으로서의 특성을 나타냈다. 넷째, 다양한 아이템과의 결합 및 디자인에 있어서의 결합과 절충, 기존 구성방식의 파괴와 연출형태의 역설적 구성을 취하는 등 해체적 특성을 통해 개성적인 이미지 연출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측면에서 주로 착용되었던 점프 슈트는 오늘날 현대 여성패션에 있어 다양한 아이템과의 조합, 디자인 변형을 통해 독창적인 조형미와 개성표현의 한 수단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점프 슈트만이 아닌 다양한 의복의 아이템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현대 여성패션의 일반화된 현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탈 경계 및 영역의 확대, 그리고 무한한 창조적 착용을 통해 새로움을 추구하는 현대 패션의 현재인 것이다. 그러나 여러 아이템이 아닌 하나의 아이템만으로도 실용적이면서도 개성 있는 패션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다목적적인 용도로서의 점프 슈트는 현 시대의 라이프스타일과 부합되어 일상복과 리조트룩은 물론 포멀 웨어로서도 보다 다양한 전개가 이루어 질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사고에서 탈피한 자유로운 발상과 열린 사고는 향후 점프 슈트 디자인 전개에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본 연구가 앞으로 다양하고 독창적인 고부가가치 제품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References

  • H Anne, Sex and suits, New York: Kodansha Globe Book, (1995).
  • J Baudrillard, La societe de consommation, Paris: Idees, Gallimard, (1970).
  • Fashion Dictionary Editorial Committee, Fashion dictionary, Seoul: Kyomunsa, (1999).
  • Y. J Ham,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women`s classic tailored suits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006), 53(6), p101-115.
  • S. W Kim, Evening jump suit, Imagazine Korea. Retrieved January 10, 2014, from http://www.imagazinekorea.com/IKY_InMagazine/Pop Moa Mag azineArticleView2010.asp?Dir=87&catimage=14&IDN=87, (2009, February, 28).
  • S. Y Kim, Characteristics on the military look in modern fashion: Focused on the post-2000 era,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06), 44(9), p41-50.
  • S. Y Kim, Aesthetic characteristics on jump suit shown in the modern fashion,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2012 Korean Society of Costume Association, Seoul, Korea, (2012, May).
  • S. Y Kim, B. H Lee,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for body expressed by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004), 54(3), p129-143.
  • Y. K Kim, K. H Lee, Red image in the modern fash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001), 3(3), p204-210.
  • E. D Kim, M. J Kim, A study on minimal expression techniques depicted in modern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995), 24(-), p157-176.
  • H. J Ko, M. J Kim, Elegance expressed on dress as an aesthetic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004), 54(5), p95-107.
  • K. H Lee, Y. H Kim, E. Y Shin, J. S Lee, M. H Jung, Costume & item, Seoul: Kyeongchunsa, (2006).
  • Y. J Park, A study on the costume designs of arts in the Italian & Russian avant-garde: Focused on futurism and constructivism,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11), 19(1), p128-149.
  • M. Y Ryu, Just jump suit, Style.com. Retrieved January 10, 2014, from http://www.style.co.kr/magazine/view.asp?menu_id=01020301&c_idx =010105 030000731, (2009, April, 1).
  • Wikipedia, Jump suit. Wikipedia. Retrieved January 10, 2014, from http://ko.wikipedia.org/wiki/%EC%A0%90%ED%94%84%EC%88%98%ED%8A%B8, (2013, March, 19).

Appendix

[Figure's source]

1.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08RTW-THILFIGE

2.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06RTW-MAXMARA

3.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09RTW-PSCHOULER

4.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11RTW-CNATIONA

5.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10RTW-THIMISTER

6.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10RTW-JPGAULTI

7.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09RTW-SMCCARTN

8.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11CTR-ESAAB

9.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08RTW-TEMP

10.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F2010RTW-ALTZRRA

11.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09RTW-PHI

12.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11RTW-DG

13.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11RTW-LVUITTON

14.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09RTW-FERRAGAMO

15.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F2008RTW-MMARGIEL

16.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F2010RTW-DG

17.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11RTW-MJACOBS

18.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09RTW-BCHO

19. http://www.style.com/fashionshows/review/F2011RTW-PLIM/

20.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F2009CTR-JPGAULTI

21.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08RTW-SRYKIEL

22.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13RTW-MOSCHINO

23.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2010PFJPGAULTI

24.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F2009CTR-APRIVE

25.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F2010RTW-VCAVA

26.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09RTW-MSCHWAB

27.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09RTW-FERRAGAMO

28.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13RTW-VALLI

29.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12RTW-TMUGLER

30.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F2009RTW-HERMES

31.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S2009RTW-MMARGIEL

32. http://www.style.com/fashionshows/complete/F2008RTW-MMARGIEL

[Figure 1]

[Figure 1]
Tommy Hilfiger, 2008 S/S

[Figure 2]

[Figure 2]
Max Mara, 2006 S/S

[Figure 3]

[Figure 3]
Proenza Schouler, 2009 S/S

[Figure 4]

[Figure 4]
Costume National, 2011 S/S

[Figure 5]

[Figure 5]
Thimister, 2010 S/S(http://www.style.com)

[Figure 6]

[Figure 6]
Jean Paul Gaultier, 2010 S/S

[Figure 7]

[Figure 7]
Stella McCartney, 2009 S/S

[Figure 8]

[Figure 8]
Elie Saab, 2011 S/S

[Figure 9]

[Figure 9]
Temperley London, 2008 S/S

[Figure 10]

[Figure 10]
Altuzarra, 2010 F/W(http://www.style.com)

[Figure 11]

[Figure 11]
PHI, 2009 S/S

[Figure 12]

[Figure 12]
D&G, 2011 S/S

[Figure 13]

[Figure 13]
Louis Vuitton, 2011 S/S

[Figure 14]

[Figure 14]
Ferragamo, 2009 S/S

[Figure 15]

[Figure 15]
Martin Margiela, 2008 F/W

[Figure 16]

[Figure 16]
D&G, 2010 F/W(http://www.style.com)

[Figure 17]

[Figure 17]
Marc Jacobs, 2011 S/S

[Figure 18]

[Figure 18]
Benjamin Cho, 2009 S/S

[Figure 19]

[Figure 19]
3.1 Phillip Lim, 2011 F/W

[Figure 20]

[Figure 20]
Jean Paul Gaultier, 2009 F/W

[Figure 21]

[Figure 21]
Sonia Rykiel, 2008 S/S

[Figure 22]

[Figure 22]
Moschino, 2013 S/S(http://www.style.com)

[Figure 23]

[Figure 23]
Jean Paul Gaultier, 2010 Pre fall

[Figure 24]

[Figure 24]
Armani Privee, 2009 F/W

[Figure 25]

[Figure 25]
Vena Casa, 2010 F/W

[Figure 26]

[Figure 26]
Marios Schwab, 2009 S/S

[Figure 27]

[Figure 27]
Ferragamo, 2009 S/S(http://www.style.com)

[Figure 28]

[Figure 28]
Giambattista Valli, 2013 S/S

[Figure 29]

[Figure 29]
Mugler, 2012 S/S

[Figure 30]

[Figure 30]
Hermes, 2009 F/W

[Figure 31]

[Figure 31]
Martin Margiela, 2009 S/S

[Figure 32]

[Figure 32]
Martin Margiela, 2008 F/W(http://www.style.com)

<Table 1>

Jump suit design trend shown in the modern fashion

Division n(%)
Form Top Jacket 18(4.7) 382(100)
Shirt, jumper 137(35.9)
Tube top, camisole 147(38.5)
Vest 7(1.8)
Breastplate 25(6.5)
Knit & etc 48(12.6)
Bottoms Short pants 47(12.3) 382(100)
Bermuda pants 21(5.5)
Bell bottom pants 3(0.8)
Harem pants 15(3.9)
Knickerbockers 20(5.2)
Pleats pants 33(8.6)
Jodhpurs 22(5.8)
Cigarette pants 47(12.3)
Straight pants 87(22.8)
Wide pants 65(17.0)
Etc 22(5.8)
Waist line position Above bust line 5(1.3) 382(100)
High waist 12(3.1)
Waist line 176(46.1)
Low waist 104(27.2)
None 85(22.2)
Color Top and bottom same colors 316(82.7) 382(100)
Top and bottom color scheme 16(4.2)
Various colors 50(13.1)
Material Transparent 20(5.2) 351(100)
Matt 266(69.6)
Knit, jersey, stretch 35(9.2)
Glossy 48(12.6)
Leather 12(3.1)
Fur 1(0.3)
Detail Patch pocket 23(6.0) 382(100)
Embroidery, beading 3(0.8)
Drape, ruffle, gather 60(15.7)
Patch work, collage 5(1.3)
Zipper 12(3.1)
Etc 6(1.6)
None 273(71.5)
Waist detail Belt 84(22.0) 382(100)
String 95(24.9)
Waist band 30(7.8)
None 173(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