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9, No. 1, pp.17-30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Feb 2020
Received 30 Oct 2019 Revised 24 Nov 2019 Accepted 08 Dec 2019
DOI: https://doi.org/10.5934/kjhe.2020.29.1.17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남아름 ; 김상림*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숲·자연교육학과 박사과정
인천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
The Research Trend of Picture Book Paratext: An Analysis of Korean Journal Articles
Nam, Areum ; Kim, Sanglim*
Department of Early Nature-Friendly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Kim, Sanglim Tel: +82-32-835-8662, Fax: +82-32-835-8881 E-mail: slkim@inu.ac.kr

Copyright Ⓒ 2020,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paratext of picture books is an essential element that makes picture books exist, and it can not be discussed except for the paratext in picture book com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of domestic studies related to paratext of picture books, and specifically,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year,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contents of the papers in domestic journals.

To examine the study questions, 100 papers were analyzed in major journals September 1998-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re are one or two papers in the 1990s and 2000s, and more than 10 papers in 2016. Second, the literatur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and the method of collecting data was the literature collection.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the literature review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papers, and all the research methods of the papers related to the paratext of picture books were related to the literature (picture books). Third,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classified into paratext, peritext, and epitext,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etailed areas showed that the research using peritext accounted for 90% of the total papers. However, as the significance of the epitext, the standard for selecting picture books for infants, is emphasize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icture book paratext that includes peritext as well as epitex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as a cornerstone for empirical research on the paratext of picture books in the future.

Keywords:

Picture books, Paratext, Reserch trends

키워드:

그림책, 파라텍스트, 연구동향

Ⅰ. 서론

그림책을 구성하는 요소는 글과 그림 그리고 파라텍스트 (paratext)이다(조명숙, 2017). 파라텍스트는 프랑스의 언어학자이자 문학이론가인 Genette의『문턱(Seuils)』이라는 책에서 처음 사용된 이후, 모든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에 기준이 되고 있는 문학용어이다(정금순, 강태임, 2019). 파라텍스트는 ‘곁의’를 뜻하는 접두어 ‘para-’와 ‘text’의 조합으로 본문의 내용은 아니지만 문학작품을 이루는모든텍스트를말한다(신세니,2011; Genette, 1997). 파라텍스트의 ‘para’는 내부성과 외부성, 경계선, 문턱을 의미하며, 그림책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고 안으로 들어가거나 되돌아 갈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한다(Genette, 1997). Genette(1997)는 파라텍스트의 방식과 수단은 시대, 문화, 장르, 작가, 작품, 편집 등 다양한 외현적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고 하였다. 또한, ‘파라텍스트가 없는 텍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림책 파라텍스트에는 책을 펴내는 목적과 읽는 목적이 선명하게 드러난다(이강선, 2016). 집요한 방식으로 서사에 적절히 개입함으로써 책의 의미를 풍요롭고 분명하게 만드는 데에 훌륭한 역할을 한다(박사문, 2014). 파라텍스트는 독자가 그림책을 처음 인식하게 되는 그림책의 크기와 표지 등의 외현적 특성에서부터 나타난다. 이러한 특성으로 파라텍스트는 글 작가와 그림 작가들에 의해 본 텍스트와 파라텍스트 간 연합이 더욱 두드러지도록 의도되고 계획된 정보들이라 할 수있다(신세니, 안지성, 2012). 최근에 아동문학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파라텍스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들은 그림책 파라텍스트 역시 중요한 서사요소라는 것을 인정한다(박미령, 2016).

국내에서 이루어진 파라텍스트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최근 다수 연구자들이 파라텍스트에 주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특성과 기능탐색(김정선, 2013a; 김정선, 2013b; 김정선, 2015; 박미령, 2016; 신세니, 조희숙, 2012; 이미소, 2015; 조경희, 2015; 조명숙, 2017)과 파라텍스트를 활용한 교수방법(노상경, 2016; 신영숙, 2018; 안소영, 2014; 안영길, 조명숙, 2016; 이명화, 2017), 번역판의 파라텍스트 분석(권지은, 2014; 송희진, 문철; 2014; 신세니, 안지성, 2012), 그림책 파라텍스트 분석(권윤지 외, 2016; 이석금, 2018), 파라텍스트 개념 확장을 통한 북 다자인 연구(엄인영, 김병진, 2016), 유아의 의미구성 과정으로 본 그림책 파라텍스트 연구(신세니, 조희숙, 2012)가 있다. 이처럼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가 최근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이유는 연구자들이 파라텍스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연구에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파라텍스트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최근 다수 연구자에 의해 중요성이 강조되는 파라텍스트에 대한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최근의 그림책은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독자가 파악해야 할 것들이 과거에 비해 더욱 많아졌다(조명숙, 2017). 그림책 창작자들은 그림책 물질의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권윤지 외, 2016), 그림책의 주제와 구성, 표현양식에 있어 이전의 그림책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복합적이고 다의적인 측면들이 나타나고 있다(조명숙, 2017). 한 그림책이 드러내고자 하는 세계를 위해 구성요소는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글과 그림, 편집 구성뿐 아니라 판형, 표지, 타이포그래피, 면지 등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 요소는 하나도 없다. 글과 그림이 만들어 내는 내용뿐 아니라 모든 시각적 정보들이 인간의 시·지각과 관계하며 소통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한성옥, 2006).

그림책의 파라텍스트는 페리텍스트(peritext)와 에피텍스트(epitext)로 나뉘며 공식으로 표현하면, ‘paratext = peritext + epitext’이다(Genette, 1997). 페리텍스트는 그림책과 관련된 주변의 모든 요소로, 제목, 작가명, 헌사지, 표지, 면지, 속표지, 덧싸개, 띠지, 재질, 판형 및 제본, 타이포그래피 및 레이아웃, 수상표시 등이 이에 해당된다. 남아름, 김상림(2019)은 페리텍스트의 구성요소를 내용과 형식에 따라 4가지 구성범주인 ‘정보적 요소, 물리적 요소, 시·감각적 요소, 평가적 요소’로 분류하였다. ‘정보적 요소’는 독자에게 그림책의 내용이나 작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요소로 ‘제목, 작가명, 헌사지’를 포함한다. ‘물리적 요소’는 그림책의 형태를 구성하고 그림책 구조와 관련된 요소로 ‘표지, 면지, 속표지, 덧싸개, 띠지’를 포함한다. ‘시·감각적 요소’는 그림책의 탐색을 시각과 감각을 통해 돕는 요소로 ‘재질, 판형 및 제본, 타이포그래피 및 레이아웃’의 요소가 있으며, ‘수상표시’는 그림책의 가치를 인정받아 수상한 내용을 그림책 표지에 나타낸 표식이다.

에피텍스트는 그림책과 관련된 간접적인 요소로, 책 내부에서 발견 될 수 있는 형태는 아니지만 책의 의미 구성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권윤지 외, 2016). 에피텍스트의 경우, 책에 대한 저자의 개인적인 논의나 일기 등 다른 장르나 매체로 구현된 사적 에피텍스트와 서평, 인터뷰, 광고, 소개 등 출판사 및 준공적 대리인에 의한 공적 에피텍스트로 구분될 수 있다(Genntte, 1997). 특히, 서평은 독자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독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도서에 대한 비평과 평가로써의 독자서평은 도서의 내용에 대한 가치를 부여하고, 독자와 또 다른 독자사이에 정보를 공유한다는데 의의가 있다(김태경 외, 2015).

파라텍스트를 구성하는 페리텍스트와 에피텍스트는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파라텍스트를 완성한다. 페리텍스트는 물질성을 가진 그림책 안에서 찾을 수 있는 모든 요소로서 서사와 관련하여 다양한 정보를 얻고, 책에 더욱 깊게 빠질 수 있는 작가의 의도를 담은 요소이다. 반면, 에피텍스트는 그림책 밖에서 그림책에 대한 여러 독자들의 생각을 반영하여 그림책을 선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독자가 파악하지 못한 다양한 의미를 해석하여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즉, 페리텍스트는 그림책의 안에서, 에피텍스트는 그림책의 밖에서 독자로 하여금 그림책 읽기를 즐기고, 그림책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의 목적을 위해 존재한다.

파라텍스트를 분석한 다수의 연구에서 개인의 주관적 해석이 담긴 에피텍스트는 배제하고, 페리텍스트에 대해서만 고찰하는 경향을 보인다(권윤지 외, 2016; 김정준, 신원애, 2016). 그러나 에피텍스트도 페리텍스트 못지않게 그림책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육적 가치를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최근 많은 다양한 장르와 내용의 작품들이 창작되면서 자연스럽게 그림책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이 그림책에 대한 분석과 비평으로 이어지면서 작품에서 드러나는 의미는 무엇이며, 작가의 세계관은 무엇인지, 그 가치는 무엇인지를 해석하는 것이 중요한 영역이 되고 있다(김태경, 조희숙, 2015). 따라서 파라텍스트 연구 분석에 있어 페리텍스트와 에피텍스트를 함께 분석하는 것이 요구 된다.

본 연구에서는 파라텍스트와 관련된 주요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을 대상으로 1998년부터 2019년 9월까지 발표된 논문 중에서 그림책 파라텍스트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논문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동향분석을 통하여 그 동안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이 어떠한 연구를 수행하였는지를 살펴보아, 궁극적으로 미비한 부분을 파악하고 질적으로 우수하고 균형 있는 그림책 파라텍스트 교육의 정립과 질적 내실화를 다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연구문제 1.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의 연도에 따른 동향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의 연구방법(대상, 유형, 자료수집, 자료 분석방법)에 따른 동향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3.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의 연구내용에 따른 동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본 연구는 그림책 파라텍스트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9년 9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한국학술정보(KISS), 누리미디어(DBpia)를 기반으로 ‘그림책 파라텍스트’와 ‘그림책 주변텍스트’, ‘그림책 peritext’, ‘그림책 표지’, ‘그림책 면지’, ‘그림책 제목’, ‘그림책 속표지’, ‘그림책 작가’, ‘그림책 수상작’, ‘그림책 타이포그래피’, ‘그림책 타이포그래피 및 레이아웃’, ‘그림책 서평’, ‘그림책 비평’, ‘그림책 소개’를 주제어로 검색하여 총 709편의 논문을 검색 하였다. 검색된 논문 중 KCI등재지 이거나 등재 후보지에 한하여 선별하였고, 일부 학위 논문의 일부임을 밝힌 6편의 논문도 포함하였다. 검색된 논문 중 그림책 파라텍스트와 관련하여 연구 대상의 연령이 영유아(만 5세 이하)인 논문과, 분석대상이 그림책인 논문만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분석 대상이 된 국내 학술지 논문은 총 100편이다.

2. 분석기준

분석방법은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연도에 따른 동향, 연구방법에 따른 동향, 연구 내용에 따른 동향이다. 각 분석기준별 정보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연도의 분석기준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국내 연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2019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국내연구의 시작시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대상의 분석기준

연구대상의 유형은 영유아, 영유아교사, 부모, 그림책(문헌), 그림책 작가, 기타의 6가지 대상으로 분류하였다. 연구대상의 분석에서 하나의 논문에 두 개 이상의 연구대상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유아-교사인 경우에는 기타에 포함시켰고, 문헌연구인 경우에도 연구대상을 그림책(문헌)에 포함하여 분석대상 전체논문의 수와 같도록 분석하였다.

3) 연구유형의 분석기준

연구유형은 선행연구(권종애, 2018; 송미선, 서정숙, 2012)의 분석기준을 사용하였다. 연구유형을 크게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양적연구는 자료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연구결과를 최종적으로 수량화하여 진술한 연구이고, 질적연구는 심층면담이나 관찰내용을 유목화 하여 분석하면서 사례를 추출하고 의미를 찾아 진술한 연구이다. 문헌연구는 연구의 주제와 관련 있는 다수의 문헌을 비교분석한 연구이며, 혼합연구는 두 개 이상의 연구 유형을 포함한 연구이다.

4) 자료 수집방법의 분석기준

자료 수집방법은 선행연구(김상림 외, 2011; 송미선, 서정숙, 2012)의 연구에서 사용한 기준을 근거로 양적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 검사, 관찰, 면접을 통한 자료수집과 질적연구에서 사용된 면접, 관찰, 질적자료수집 그리고 문헌조사의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두 가지 이상의 자료 수집방법을 사용하였을 때는 다중측정으로 분류하였다.

5) 자료 분석방법의 분석기준

자료 분석방법은 송미선, 서정숙(2012)의 연구와 윤진주(2009)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으로 양적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차이검증, 관계검증으로 분류하고, 질적자료 분석은 문헌고찰, 양적자료 분석과 질적자료 분석이 두 개 이상의 자료 분석방법을 사용했을 때는 다중분석으로 분류하였다. 기술통계는 거의 모든 연구에서 기본적으로 산출하였기 때문에 분석대상 논문에서 분석방법으로 사용된 경우만 포함하였다. 차이검증은 t-검정, 공변량분석, 다변량분석, 일원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이 해당된다. 관계검증은 상관분석, 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이며, 두 가지 이상의 분석방법이 사용되었을 때는 다중분석으로 분류하였다.

6) 연구내용의 분석기준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의 연구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권윤지 외, 2016; 남아름, 김상림, 2019)를 참조하여 연구내용에 따라 파라텍스트, 페리텍스트, 에피텍스트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또한, 그림책 관련 논문의 연구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송미선, 서정숙(2012)이 제시한 연구내용 분석기준을 참고하고,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내용을 포함하여 분석기준을 선정하였다.

이상의 파라텍스트 관련 내용 분석기준은 <표 1>과 같다.

파라텍스트 관련내용 분석기준

3.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Star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연구문제 1에서 그림책 파라텍스 관련 논문을 연도에 따른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했다. 연구문제 2의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을 연구방법에 따른 동향과 연구문제 3의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을 연구내용에 따른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Ⅲ. 결과 및 해석

1.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도에 따른 동향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도에 따른 동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연도에 따른 동향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도에 따른 동향을 살펴보면, 1998년에 1편이 수록되기 시작한 이후 2009년까지 간헐적으로 수록되다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 하였다. 특히, 2016년도 이후 10편이상의 논문이 수록되면서 그림책 파라텍스트에 대한 연구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2.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방법에 따른 동향

1) 연구대상에 따른 동향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의 연구대상에 따른 동향 알아보기 위해 연구 대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연구대상에 따른 동향

연구대상에 따른 동향을 살펴보면, 그림책(문헌)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72편(72.0%)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타 11편(11.0%),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 7편 (7.0%), 그림책 작가를 대상으로 한 논문 7편(7.0%),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논문 2편(2.0%), 부모를 대상으로 한 논문 1편(1.0%)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에서는 그림책(문헌)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72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거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은 전체 논문 중에 한 두 편이었다.

2) 연구유형의 동향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의 연구유형에 따른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도별로 연구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연구유형에 따른 동향

연구유형에 따른 동향을 살펴보면, 문헌연구가 54편(54.0%)으로 가장 많았으며, 혼합연구 22편(22.0%), 양적연구 13편(13.0%), 질적연구 11편(11.0%)순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유형은 문헌연구가 전체 연구의 1/2이상 수록되었으며, 두 가지 이상의 연구유형이 포함된 혼합연구가 뒤를 이었고,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는 두 편 차이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비중은 비슷하였다.

3) 자료수집 방법의 동향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에 따른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자료수집 방법에 따른 동향

자료수집 방법에 따른 동향을 살펴보면, 문헌조사 77편(77.0%)가 가장 많았으며, 다중측정 13편(13.0%), 질문지 5편(5.0%), 검사 3편(3.0%), 질적 자료 수집 2편(2.0%)순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 자료수집 방법은 문헌수집이 전체 논문의 2/3이상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한편,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모두에서 면접과 관찰은 모두 0편(0.0%)으로 수록되지 않았다.

4) 자료 분석방법의 동향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의 자료 분석방법에 따른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는 <표 6>과 같다.

자료 분석방법에 따른 동향

자료 분석방법에 따른 동향을 살펴보면, 문헌고찰 46편(46.0%)이 가장 많았으며, 다중분석 22편(22.0%), 질적분석 21편(21.0%), 기술통계 5편(5.0%), 차이검증 3편(3.0%), 관계검증 3편(3.0%)순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의 자료분석 방법에는 문헌고찰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질적분석과 두 가지 이상의 분석방법이 사용된 다중분석이 같은 비중을 차지했다.

3.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내용에 따른 동향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내용에 따른 동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는 <표 7>과 같다.

연구내용에 따른 동향

연구내용에 따른 동향을 살펴보면, 페리텍스트 90편(90.0%)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에피텍스트 9편(9.0%), 파라텍스트 1편(1.0%)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내용을 세부영역별로 분석하면 <표 8>과 같다.

연구내용 세부영역별 분석

연구내용 세부영역별 분석을 살펴보면,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파라텍스트 분석 1편(1.0%)으로 한 편이었으며, 페리텍스트 관련 논문의 세부내용별로 그림책 작가 18편(18.0%)가 가장 많았고, 기타 12편(12.0%), 디자인/구성요소 10편(10.0%), 관계/기능/특성 9편(9.0%), 유아반응 9편(9.0%), 번역 7편(7.0%), 개별 작품분석 6편(6.0%), 수상도서 5편(5.0%), 관점 4편(4.0%), 역사 4편(4.0%), 장르/종류 2편(2.0%), 문학적 요소 2편(2.0%), 부모반응 1편(1.0%)순으로 나타났다. 에피텍스트 관련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세부내용은 서평/비평/평론으로 9편(9.0%)으로 나타났다.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에서 대다수의 논문은 페리텍스트를 다룬 연구이며, 페리텍스트와 에피텍스트를 모두 포함한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은 한 편이었다. 또한, 연구내용별 분석유목은 <표 9>와 같다.

연구내용별 분석 유목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국내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고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학술지에 수록된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 동향을 연도에 따라 살펴보았다.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가 국내 학술지에 처음 수록되기 시작한 1998년부터 2000년대(2000년∼2009년)까지 한 두 편의 연구가 간헐적으로 수록되다가 2010년도 이후 점차 그 수가 증가하여 2016년부터는 10편 이상의 논문이 수록 되었다. 그림책 파라텍스트 용어는 처음 그림책 번역 시 제목의 변형에 대한 이유를 고찰한 신혜은(2009)의 연구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신혜은(2009)의 연구 이후, 신세니와 조희숙(2011)은 그림책 파라텍스트를 독자의 읽기경험을 위한 연계자이며, 다차원적인 서사구조를 부각시키는 매개체라고 주장한다. 또한, 조명숙(2017)은 그림책 파라텍스트는 책의 구성 방식과 책의 목적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 독자는 이를 통해 책의 내용을 예측하기 때문에 그림책 읽기 시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탐색을 강조한다. 이처럼 그림책 파라텍스트 개념이 처음 소개된 신혜은(2009)의 연구를 기초로 연구자들에게 그림책 파라텍스트에 대한 중요성을 상기시켜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가치와 의미를 반영한 다각적인 연구가 증가한 것으로 추론 할 수 있다.

둘째, 국내 학술지에 수록된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 동향을 연구방법에 따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방법의 네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대상에서 ‘그림책(문헌)’을 고찰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그림책 관련 논문을 경향 분석한 선행연구(김지은, 권희경, 2009; 송미선, 서정숙, 2012; 윤진주, 2009)를 살펴보면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그림책(문헌)을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이 그 뒤를 이은 것과 본 연구는 다소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을 검색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연구대상으로 연구의 본질인 그림책(문헌)이 가장 많은 연구대상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 연구유형의 대부분은 ‘문헌연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많은 연구들이 그림책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의미(김정렬, 최인영, 2018; 김정준, 신원애, 2016; 이명화, 김정준, 2017; 이석금, 2018)를 구성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그림책 파라텍스트를 통해 개념과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문헌을 조사하고, 고찰하는 연구유형인 문헌연구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자료수집 방법으로 ‘문헌조사’를 실시한 논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수집 방법을 살펴보면 문헌조사가 77%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다중측정, 질문지, 검사, 질적 자료수집 순으로 나타났다. 1990년대와 2000년대 문헌조사 관련 연구는 한두 편에 그치다가 2010년부터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자료수집 방법의 경향을 살펴보면,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의 특성상 그림책의 구성요소와 관련한 연구(김정준, 신원애, 2016; 김지현, 강아영, 2007; 문철, 김영기, 2013; 박미령, 2016; 송희진, 2014)와 그림책 파라텍스트와 관련 그림책 내용분석(강치현 외, 2016; 권윤지 외, 2016; 이강선, 2017; 이석금, 2018; 이성엽, 2018)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그림책을 수집하여 분석한 연구가 많이 수행된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자료분석 방법은 ‘문헌고찰’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2000년 이후 수행된 그림책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동향을 다룬 선행연구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논문과 그림책 내용을 분석하는 논문이 가장 많았다(김지은, 권희경, 2009)는 선행연구와 본 연구 결과는 맥을 같이한다. 더불어, 2000년 이후 학술지에 수록된 그림책 관련 논문에서 그림책 자체의 내용분석에 대한 연구들도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김지은, 권희경, 2009). 정리하면,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방법(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방법)에서 모두 문헌(그림책)을 활용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처럼 그림책 관련 내용분석을 통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은 연구자들이 그림책을 고찰하고 그림책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를 위한 노력이 반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에서 문헌(그림책)의 의미와 구성에서 더 나아가 다차원적인 접근을 통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셋째, 국내 학술지에 수록된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 동향을 연구내용에 따라 살펴보았다. 2010년 이후 논문에서 그림책 ‘파라텍스트’, ‘페리텍스트’, ‘에피텍스트’의 개념이 등장한다. 본 연구에서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를 검색한 결과, 논문 제목에 ‘파라텍스트’ 단어를 그대로 사용한 연구는 총 14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논문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페리텍스트와 에피텍스트를 모두 포함한 파라텍스트 연구는 한 편이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페리텍스트만을 활용한 연구로 편향되어 있다. 그 이유로 에피텍스트는 개인의 주관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광대한 자료의 한계 때문에 연구자들은 에피텍스트의 분석은 배제하고 주로 페리텍스트를 분석한다(김정준, 신원애, 2016).

정리하면, 그림책 파라텍스트 다수의 연구에서 페리텍스트와 에피텍스트를 서로 구별하지 않고 페리텍스트만 활용하고 있음에도 ‘파라텍스트’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Genette(1997)는 ‘파라텍스트’를 ‘곁 텍스트’라고 표현하였다. 그림책에서 ‘곁’이라는 용어는 그림책 주변에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연구자들은 물리적·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곁 텍스트, 엄밀히 말하면 페리텍스트를 파라텍스트의 ‘곁 텍스트’라는 의미 때문에 페리텍스트와 파라텍스트를 동등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이 추론된다. 그러나 파라텍스트는 페리텍스트와 에피텍스트를 모두 포괄한 용어이기 때문에 구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도 페리텍스트와 관련한 논문이 분석논문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장르/종류, 작가, 문학적 요소, 관점, 역사, 번역, 개별 작품분석, 수상도서, 디자인/구성요소, 관계/기능/특성, 기타, 유아반응, 부모반응으로 그림책 페리텍스트 관련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 중에서도 특히 페리텍스트와 관련하여 그림책 작가(강은진, 2014; 김상한, 2014; 김정선, 2009; 김태경, 조희숙, 2015; 남지현, 2016; 박미령, 2018; 서정남, 2016; 숭열열, 정재완 2019; 전혜진 외, 2013; 정대련, 이춘희, 2002; 정진헌, 2013; 최경국, 2000; 최종란, 1998; 현은자, 김주아, 2019; 현은자 외, 2008; 황순선, 2012; 황순선, 2013; 황순선, 2017)와 디자인/구성요소(김영수, 2013; 김정렬, 최인영, 2018; 김정선, 2015; 김정희, 2014; 김지현, 강아영, 2007; 문철, 김영기, 2013; 송희진, 2015; 유동관, 2011; 이미나, 문철, 2013; 황순선, 2010)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림책 의미구성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그림책을 통해 독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그림책 작가에게 많은 관심이 집중된다. 그림책 작가는 글과 그림으로 전달할 수 없는 의미를 파라텍스트에 담는다. 또한, 작가는 파라텍스트를 통해 자신의 다양한 관점과 재미를 독자에게 선사하고, 그림책을 읽는 독자는 그림책 파라텍스트를 통해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며 즐거움을 느낀다. 다시 말해 그림책 파라텍스트에는 그림책 작가의 의미를 담고 있어 그림책 읽기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그림책 작가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책 작가 관련 연구 다음으로 디자인/구성요소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그림책 페리텍스트의 디자인과 같은 시각 언어, 상징에 대한 이해는 그림책을 읽는데 필수적이며(주희, 장미경, 2008), 유아들로 하여금 그림책을 이해하고, 의미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디자인 요소로서 파라텍스트는 텍스트 간 연결성을 알려주고, 작가의 의도와 본문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김정준, 신원애, 2016). 또한, 그림책 읽기 시 유아들이 북 디자인과 그림책 페리텍스트에 대해 상호작용함을 밝힌 연구(숭열열, 정재완, 2019)도 있다. 이처럼 유아들의 그림책 읽기에 있어 그림책 페리텍스트의 디자인과 구성요소는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디자인/구성요소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에피텍스트 관련 연구는 페리텍스트 논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에피텍스트는 그림책 외부에 있어 사실상 유아가 직접 접하기 어렵고, 그림책을 선택하고 제공하는 교사와 부모 등의 성인이 접하는 영역이다. 에피텍스트가 담고 있는 서평이나 비평 등의 활동이 유아들에게는 적절하지 않거나 어렵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문학작품에 대한 감상을 통해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비평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김혜옥, 2009), 그림책에 대한 관심의 표현은 비평과 분석을 통해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김태경, 조희숙, 2015). 정리하면, 유아의 그림책 읽기 시 파라텍스트 모두를 탐색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또한, 그림책 읽기과정에서 파라텍스트의 구성요소인 페리텍스트와 에피텍스트를 다각적으로 반영한 연구가 이루어져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을 국내 학술지로 제한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했다. 추후연구에서는 국내 학위논문과 국제 연구를 포함하면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연구의 포괄적인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술지를 분석함에 있어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논문의 주제를 연구방법(대상, 유형,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내용과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고찰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향후 그림책 파라텍스트 활용의 긍정적인 연구 결과들을 밝혀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는 연구동향 분석을 위해 그림책 파라텍스트가 현재 국내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국내 학술지만 해도 100여 편에 달하는 연구들은 그림책 파라텍스트가 그림책 읽기 시 중요한 요소임을 상기시킨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의 만 3∼5세를 담당하는 유아교사 뿐만 아니라 부모, 그림책을 읽어주는 성인은 그림책의 글과 그림, 파라텍스트의 의미와 가치를 알고, 유아에게 그림책 읽기 시 파라텍스트를 함께 탐색한다면 유아기의 언어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페리텍스트와 에피텍스트를 포괄하는 그림책 파라텍스트를 활용한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길 기대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그림책 파라텍스트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그림책 파라텍스트를 구성하는 페리텍스트와 에피텍스트 개념 구분의 필요성과 그림책 읽기 시 파라텍스트의 활용을 강조하여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실증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References

  • 강은진(2014). 모 윌렘스의 그림책에 나타난 유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374-384.
  • 강치현, 편정원, 김태경, 조희숙(2016). 이수지 그림책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성.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345-365.
  • 권윤지, 이연선, 이조은(2016). 그림책 『파도야 놀자』의 파라텍스트 의미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1-28.
  • 권종애(2018). 전래동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인문사회21, 9(4), 597-608.
  • 권지은(2014). 한국 유아용 그림책 표지의 일본어 번역판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변형의 문제점 분석: 파라텍스트와 일러스트레이션의 변형된 차이점을 중심으로. 한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상림, 안효진, 이시자(2011). 유아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1(2), 147-171.
  • 김상한(2014). 바바라 리만의 그림책에 나타난 환상 구현 방식 연구. 청람어문교육, 52(52), 235-263.
  • 김영수(2013). 그림책의 조형적 구성요소로서 타이포그래피 연구: 마이라 칼만(Maira Kalman)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16(1), 33-40.
  • 김정렬, 최인영(2018). 그림책 표지의 시각적 구성요소에 대한 사례 분석: 2017~2018년 베스트셀러를 중심으로. 일러스트레이션포럼, 55, 27-36.
  • 김정선(2009). 그림책에서의 구조적 구성요소의 중요성: 브루노 무나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12(4), 1-9.
  • 김정선(2013a). 그림책의 의미작용: 이중세술체계와 매체적 특성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정선(2013b). 그림책 파라텍스트: 표지, 속표지, 면지(1). 조형미디어학, 16(4), 29-36.
  • 김정선(2015). 그림책 파라텍스트: 판형, 종이, 페이지, 제본(2). 조형미디어학, 18(2), 65-70.
  • 김정준, 신원애(2016). 그림책에 나타난 파라텍스트의 의미 분석: 볼로냐 라가치상 국내 수상작을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1(3), 179-202.
  • 김정희(2014). 국내 번역 유아그림책의 편집디자인 현황 분석: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2), 577-587.
  • 김지은, 권희경(2009). 그림책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 동향분석: 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17, 451-479.
  • 김지현, 강아영. (2007).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표지디자인의 타이포그래피와 색채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디자인학연구, 3(1), 74-83.
  • 김태경, 조희숙(2015). 여성중심 비평으로 그림책『엄마가 수놓은 길』읽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1), 69-86.
  • 김태경, 전연우, 조희숙. (2015). 그림책『구름빵』에 대한 성인독자 서평 분석: 인터넷 서평을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14(1), 1-38.
  • 김혜옥(2009). 그림책관련활동 중 언어발달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및 효과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6(56), 279-297.
  • 남아름, 김상림(2019).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기활동 현황 및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 한국보육학회지, 19(3), 157-170.
  • 남지현(2016). 권윤덕 그림책의 서사 양상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3), 1-20.
  • 노상경(2016). 한국 창작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만 3세 유아의 반응.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문철, 김영기(2013). 표지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전경과 배경의 시각적 비중에 관한 연구: 국내 창작 그림책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4(1), 191-203.
  • 박미령(2016). 글과 그림의 상호매체적 관계. 노어노문학회지, 28(3), 121-151.
  • 박사문(2014). 그림책 번역비평의 한 사례 연구: 『고래가 보고 싶거든』을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28(0), 85-120.
  • 서정남(2016). 토미 웅거러(Tomi Ungerer)의 그림책 『섬(Fog Island)』의 서사분석과 비평적 고찰. 한국문학이론과비평, 20(2), 103-134.
  • 송미선, 서정숙(2012).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1), 1-17.
  • 송희진(2015). 문화적 특성에 따른 그림책 표지의 조형적 재맥락화. 조형미디어학, 18(4), 187-197.
  • 송희진, 문철(2014). 우리나라 그림책의 프랑스 번역판의 파라텍스트 변형 연구-판형과 제본, 표지, 면지, 종이 재질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5(6), 267-281.
  • 숭열열, 정재완(2019). 이수지 경계 그림책 삼부작의 북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 포럼, 24(3), 215-226.
  • 신세니(2011).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특성 및 기능 연구: 유아의 그림책 읽기 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신세니, 안지성(2012).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번역에서 나타난 파라텍스트의 변형 연구. 유아교육연구, 32(3), 73-100.
  • 신세니, 조희숙(2011).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특성 연구. 유아교육연구, 31(4), 31-58.
  • 신세니, 조희숙(2012). 유아의 의미구성 과정으로 본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기능 연구. 인문학논총, 30, 379-413.
  • 신영숙(2018).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파라텍스트에 대한 유아 반응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신혜은(2009). 그림책 번역시 나타나는 제목의 변형과 그 이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0(2), 223-249.
  • 안소영(2014). 포스트모던 그림책 수업 활용을 통한 유아 교사의 경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안영길, 조명숙(2016). 그림책 읽기의 이해방식과 지도방안 탐색: 기호학과 해석학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4), 375-401.
  • 엄인영, 김병진(2016). 파라텍스트 개념 확장을 통한 북디자인의 발전 가능성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55, 68-78.
  • 유동관(2011). 어린이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형식에 대한 어린이의 선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0), 165-175.
  • 윤진주(2009).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 분석: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학회지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47-66.
  • 이강선(2016). 그림책의 파라텍스트에 나타난 번역전략. 번역학연구, 17(5), 175-200.
  • 이명화(2017). 그림책 파라텍스트 탐색활동이 유아의 읽기흥미도와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명화, 김정준(2017). 그림책 페리텍스트 탐색과 읽어주기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읽기 흥미와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변화 추이.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4(1), 45-66.
  • 이미소(2015).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 연구.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미나, 문철(2013).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장식표현연구: 월터 크레인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4(4), 411-419.
  • 이석금(2018). 그림책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글, 그림, 파라텍스트 읽기. 영상문화, 33, 63-82.
  • 전혜진, 고희청, 이경현(2013). 앤서니 브라운 그림책의 내용에 따른 선호도 분석: 국내외 6개국 대형서점의 베스트셀러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44, 38-51.
  • 정금순, 강태임(2019). 종이책의 장점을 활용한 파라텍스트 사례 분석: 종이책 제작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5(2), 531-542.
  • 정대련, 이춘희(2002).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에 나타난 자아 정체성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3(2), 75-100.
  • 정진헌(2013). 일제 강점기 한국 그림동요 연구: 전봉제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연구, 25, 151-180.
  • 조경희(2015). 그림책텍스트의 융합기호 표현연구.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명숙(2017). 그림책 텍스트의 글, 그림, 파라텍스트 기능 및 관계 탐색. 어린이미디어연구, 16(2), 47-71.
  • 주희, 장미경(2008). 디자인 수사학적 관점에서 본 유아·어린이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앤서니 브라운(Anthony Browne)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9(5), 560-569.
  • 최경국(2000). 오쿠무라 마사노부(奧村政信)의 그림에서 보여지는「미타테(見立て」의 방법. 일본연구, 14, 95-121.
  • 최종란(1998). 유리슈레비츠의 『DAWN』구성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교 논문집 제 11집, 609-625.
  • 한성옥(2006). [세미나② 토론] 매체로서의 그림책에 날개를 달자. 창비어린이, 4(2), 69-76.
  • 현은자, 김주아(2019). Vanhoozer의 신학적 문화해석에 기초한 자바카 스텝토의 〈빛나는 아이〉(2016)해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2), 41-73.
  • 현은자, 나선희, 김현경(2008).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놀이 양상 분석 및 작가의 창작 배경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9(2), 97-118.
  • 황순선(2010). 미술관을 콘텐츠로 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23(23), 55-64.
  • 황순선(2012). 레오 리오니 우화 그림책에 나타난 예술적 창의성 연구.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30(30), 27-36.
  • 황순선(2013). 놀이 활동이 표현된 에즈라 잭 키츠(Ezra Jack Keats)의 그림책 연구.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35(35), 69-78.
  • 황순선(2017). 사노 요코 그림책과 에세이에 공통된 창의적 발상과 은유적 시각표현.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18(52), 21-31.
  • Genette, G. (1997). Paratext: Thresholds of interpretatio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표 1>

파라텍스트 관련내용 분석기준

분석기준 범주
연구대상 영유아
영유아교사
부모
그림책(문헌)
그림책 작가
기타



연구유형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
자료수집 방법 양적연구 질문지
검사
면접
관찰
질적연구 면접
관찰
질적자료수집
자료분석 방법 문헌연구 문헌조사
기타(중복) 다중측정
양적자료분석 기술통계
차이검증
관계검증
질적자료분석 질적분석
문헌고찰
기타(다중) 다중분석
연구내용 파라텍스트
페리텍스트
에피텍스트

<표 2>

연도에 따른 동향

연도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편수 1 - 1 - 1 3 - 2 1 2 2 2 5 6 6 9 9 8 16 10 10 6 100
누계 1 - 1 - 1 3 - 2 1 2 2 2 5 6 6 9 9 8 16 10 10 6 100

<표 3>

연구대상에 따른 동향

연도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영유아 - - - - - 1 - - - - - - 1 1 1 - - - 1 1 1 - 7
영유아교사 - - - - - - - - - - - - - - 1 - - - - - - 1 2
부모 - - - - - - - - - - - - - - - - - - 1 - - - 1
그림책
(문헌)
1 - - - 1 2 - 2 1 1 - 1 3 4 3 7 8 7 11 8 9 3 72
그림책작가 - - 1 - - - - - - 1 - - - - - 1 1 1 2 - - - 7
기타 - - - - - - - - - - 2 1 1 1 1 1 - - 1 1 - 2 11
1 - 1 - 1 3 - 2 1 2 2 2 5 6 6 9 9 8 16 10 10 6 100

<표 4>

연구유형에 따른 동향

연도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양적
연구
- - - - - - - - - 1 - - 1 1 1 - 1 - 2 1 3 2 13
질적
연구
- - - - - 1 - - - - - - 1 1 1 2 1 1 2 1 - - 11
문헌
연구
1 - - - 1 2 - - 1 1 - 1 2 4 2 5 6 5 10 6 5 2 54
혼합
연구
- - 1 - - - - 2 - - 2 1 1 - 2 2 1 2 2 2 2 2 22
1 - 1 - 1 3 - 2 1 2 2 2 5 6 6 9 9 8 16 10 10 6 100

<표 5>

자료수집 방법에 따른 동향

연도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양적
연구
질문지 - - - - - - - - - 1 - - - 1 1 - - - 1 - - 1 5
검사 - - - - - - - - - - - - 1 - - - - - - 1 1 - 3
면접 - - - - - - - - - - - - - - - - - - - - - - -
관찰 - - - - - - - - - - - - - - - - - - - - - - -
질적
연구
면접 - - - - - - - - - - - - - - - - - - - - - - -
관찰 - - - - - - - - - - - - - - - - - - - - - - -
질적
자료
수집
- - - - - - - - - - - - - 1 - - - - 1 - - - 2
문헌
연구
문헌
조사
1 - 1 - 1 2 - 2 1 1 1 2 3 4 4 8 8 6 13 7 8 4 77

다중
측정
- - - - 1 - - - - 1 - 1 - 1 1 1 2 1 2 1 1 13
1 - 1 - 1 3 - 2 1 2 2 2 5 6 6 9 9 8 16 10 10 6 100

<표 6>

자료 분석방법에 따른 동향

연도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양적
자료
분석
기술
통계
- - - - - - - - - - - - - - 1 - - - 1 - 2 1 5
차이
검증
- - - - - - - - - 1 - - - 1 - - - - - 1 - - 3
관계
검증
- - - - - - - - - - - - 1 - - - - - 1 - 1 - 3
질적
자료
분석
질적
분석
1 - - - 1 1 - 1 - - - - 1 1 1 2 2 4 3 1 - 2 21
문헌
고찰
- - - - - 2 - 1 1 1 - 1 2 4 2 5 5 3 8 5 5 1 46
다중분석 - - 1 - - - - - - - 2 1 1 - 2 2 2 1 3 3 2 2 22
1 - 1 - 1 3 - 2 1 2 2 2 5 6 6 9 9 8 16 10 10 6 100

<표 7>

연구내용에 따른 동향

연도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파라
텍스트
- - - - - - - - - - - - - - - - - - 1 - - - 1
페리
텍스트
1 - 1 - 1 3 - - 1 2 2 2 4 6 6 9 7 7 15 8 9 6 90
에피
텍스트
- - - - - - - 2 - - - - 1 - - - 2 1 - 2 1 - 9
1 - 1 - 1 3 - 2 1 2 2 2 5 6 6 9 9 8 16 10 10 6 100

<표 8>

연구내용 세부영역별 분석

연구내용 하 위 주 제 소계
파라텍스트 파라텍스트 분석 1 1
페리텍스트 장르/종류 2 90
그림책 작가 18
문학적 요소 2
관점 4
역사 4
번역 7
개별 작품분석 6
수상도서 5
디자인/구성요소 10
관계/기능/특성 9
기타(기호학, 해석학 그림책 특성분석, 그림책 서평변천과정, 시각적 문식성, 소개,
실태현황, 교수방법, 프로그램 자료분석 등)
12
유아반응 9
부모반응 1
에피텍스트 서평/비평/평론 9 9

<표 9>

연구내용별 분석 유목

연구내용 하위주제
파라텍스트 파라텍스트 분석 그림책 『파도야 놀자』파라텍스트의 의미 연구
페리텍스트 장르/종류 종이책의 장점을 활용한 파라텍스트 사례 분석
작가 이수지 경계 그림책 삼부작의 북 디자인 연구
문학적 요소 그림책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글, 그림, 파라텍스트 읽기
관점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관점
역사 영국의 그림책 발전
번역 우리나라 번역 그림책 표지의 시각적 변형 연구
개별 작품분석 그림책 『백두산 이야기』의 출간 의의 고찰
수상도서 2003년도 칼데콧상(Caldecott Awards) 수상도서 분석 및 시사점
디자인/구성요소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표지디자인의 타이포그래피와 색채에 관한 연구
관계/기능/특성 그림책 텍스트의 글, 그림, 파라텍스트 기능 및 관계 탐색
기타 퍼스(Peirce)의 기호학적 관점에 의한 그림책 분석
유아반응 유아의 의미구성 과정으로 본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기능
부모반응 유아 그림책 선정 요인과 어머니의 자녀기대감 관계
에피텍스트 서평/비평/평론 우리나라 그림책 서평의 변천과정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