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JHE - Vol. 23, No. 4, pp.681-695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ug 2014
Received 09 Jun 2014 Revised 07 Jul 2014 Accepted 08 Jul 2014
DOI: https://doi.org/10.5934/kjhe.2014.23.4.681

A Survey Research on the Kindergarten Uniform Design

KimSun Yo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유치원복 디자인에 관한 실태 조사

Correspondence to: * Kim, Sun Young Tel: 061-750-3685 Fax: 061-750-3680 E-mail: ksy6341@sunchon.ac.kr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find basic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kindergarten's uniform and suggest the improvement of its desig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rom Suncheon area in Jeollanam-do of Korea. Such study methods were conducted as literature review, survey with direct visit, interview, and photographing of dresses regarding the kindergarten uniform. The following are research result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presented a positive opinion about the necessity for children to wear the uniform. In selection of design, they regarded the activity as most important factor. Kindergartens applying active wear compatible as townwear also accounted for 57.1%, which is more than half. Second, the formal wear, in the winter season was found to consist with jacket or knit cardigan, knit vest, shirts, skirts or pants, and necktie. For color, most of them are in dark tone, which need to be brighter. For pattern, they are in plain color, which needs to have various patterns. As to the cloth material, such problems should be improved as warmth retentivity in consideration of seasonal nature, moisture retentivity, breathability, color retentivity when washing, and harmless to human body. Third, active wear is mostly the casual sportswear type. But it has no characteristic unique to kindergarten in design and needs to be altered for differentiated design. Especially, it is simply divided into winter wear and summer wear in kin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have differentiation for seasonal characteristic and diversity in number of item and improvement in terms of cloth material.

Keywords:

kindergarten, kindergarten uniform, formal wear, active wear, 유치원, 유치원복, 통학복, 활동복

Ⅰ. 서 론

여성의 사회 진출 증대와 고령 사회로의 진입과 더불어 국내 출산율 저하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야기되고 있으나 아동보육 및 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며 유치원을 비롯한 어린이집 등 유아 교육 기관은 날로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Statistics Korea(2013)에서 발표한 교육통계연보에 따르면 2003년 29.1%이던 취원율은 2013년 46.7%에 이르고 있으며,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유아의 개별화 지도 및 안전교육 강화 등 유치원 교육의 질적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학급당 원아 수 감축 및 유치원 교원 수 증가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유아교육기관의 활성화와 더불어 교육의 질적 수준까지 언급되고 있는 가운데 유치원은 학령 전 아동의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주요 교육 기관이라 할 수 있다(Han, 2006). Ham과 Moon(2012)에 따르면 유치원복은 아동들이 가정을 벗어나 착용하는 단체복으로서 또래 집단에의 소속감과 일체감을 갖게 되며 단체 내에서 지켜야할 규범을 배우게 하는 교육 도구로서 중요한 복식이라고 하였고, Yoon(2009)은 유치원복의 착용 목적에 대해 공동의식, 집단성 경험, 다른 집단과의 차별성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유치원복에 관한 선행연구는 디자인 개발 연구(Kim, 2009; Kim, 1993; Yoon, 2009), 유치원 체육복에 한정된 이미지 연구(Han, 2006), 유치원복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Kim, 2005; Kim & Kim, 2006), 유치원복에 대한 교사나 학부모의 선호 경향(Ham & Moon, 2012; Moon & Ham, 2011; You, 2008) 등이며, 지역을 한정하여 진행한 연구는 서울과 경기, 부산, 창원 지역에 국한되어 있고 착용되고 있는 유치원복 디자인 분석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아동의 첫 사회생활이라 할 수 있는 유치원에서의 경험과 환경은 학령 전 아동에게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유아교육과 연관되어 유치원복이라는 의복 환경은 중요 요소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순천지역 유치원을 중심으로 유치원복 디자인 현황을 조사하여 디자인 특성을 파악하고 유치원복 디자인 개발을 위한 후속연구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과 방법은 이론적 배경으로 유치원에 대한 개념과 유치원복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순천 지역에 개원 중인 유치원을 대상으로 유치원복 디자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직접 방문을 통해 현재 착용하고 있는 유치원복을 촬영하였고 아이템, 소재, 색상, 문양 등 디자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방문한 유치원 교사들과의 인터뷰,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착용 실태 및 선호 경향, 개선점 등을 파악하였다.


Ⅱ. 유치원복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2013)에 의하면 유치원이란 만 3세부터 취학 전까지의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교육을 위하여 법에 따라 설립, 운영되는 학교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국립, 공립, 사립 유치원으로 구분하고 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유아교육 규모를 살펴보면 1980년 901개이던 유치원 수는 1982년 유아교육 진흥종합계획이 수립되어 1985년 6,242개로 큰 증가를 보였고, 2013년에는 전국적으로 8,678개가 개원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통계청은 최근 유치원 수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급 수나 교원 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유치원 교육의 질적 수준이 향상되고 있다고 하였으며, 매년 취원율 역시 증가하여 유치원 교육의 보편화를 전망하였다. 특히 3∼5세 누리과정 도입으로 전 계층에게 지원되는 유치원비의 요인은 향후 취원율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Statistics Korea, 2013).

이러한 조기교육에 대한 열의로 유치원마다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통해 유아의 교육 및 정서발달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타 기관과의 차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원아들이 착용하는 유치원복이다(Kim, 2005). Kim(1993)에 따르면 유치원복은 유아교육기관인 유치원에서 착용하는 유니폼의 일종으로 원아의 소속감 및 상징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중요 요인이며, 유치원복의 상징성은 유아들의 역할 행동에 대한 의식구조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 Kim(2009)의 연구에 의하면 1970년대 유치원복은 거의 고가의 정장 스타일로 당시에는 유아원복 전문 생산업체는 없어 일반 의류업체에서 납품을 받았고, 198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유아들의 활동에 편한 체육복을 선호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Kim(1986)은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의복 디자인은 아동의 성격형성 및 신체발달에 도움을 주며 놀이와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는 활동적이고 기능적인 측면에서 디자인된 의복이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Yoon(2009)는 유니폼의 다자인 요소는 착용 목적에 따라 기능성, 상징성, 심미성으로 분류하지만 유치원 유니폼에서는 아동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안정성과 경제성의 요소가 필수적이라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Han, 2006; Kim, 2009; Kim, 2005; Kim, 1993; Kim & Kim, 2006; Yoon, 2009)에 따르면 유치원복의 유형은 외출복(통학복)과 미술활동 등 특별 작업 시 착용되는 작업복, 그리고 야외활동이나 동작이 많은 활동적인 시간에 입혀지는 체육복(활동복) 등 크게 3가지로 분류되고 있다고 하였다.

유치원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시대 변화에 따라 다양한 선행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앞서 언급하였듯이 일반적으로 디자인 개발, 특히 한복을 응용한 유치원복 디자인 연구 및 선호경향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개발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 중 Kim과 Kim(2006)은 창원 지역 유치원복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통학복을 중심으로 치수체계를 분석하였고, Han(2006)은 서울과 경기지역 유치원을 대상으로 체육복 추구이미지를 연구하였는데 유치원복보다는 활동과 기능성을 추구하는 체육복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며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의 체육복을 추구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 Yoon(2009), Kim(2009)은 한복을 응용한 유치원복 디자인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어린이 생활한복 개선을 통해 유치원복 디자인의 활성화를 제안하였으며, Jang과 Ko(2013)은 효제문자도를 응용한 텍스타일 및 어린이 원복 디자인을 제안하여 한복 스타일과 전통 문화를 유치원복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Ham과 Moon(2012)의 연구는 부산지역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사와 학부모간의 선호경향을 비교하였으며 선호 결과를 바탕으로 유치원복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안하였고, Moon과 Ham(2011)은 부산지역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착용 중인 유치원복의 만족도와 디자인 선호 경향을 파악하였는데 활동에 편한 디자인, 세미정장 스타일, 소재의 기능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Ham과 Moon(2012), Moon과 Ham(2011)의 연구는 유치원복 중 겨울용 통학복을 중심으로 선호 경향 연구가 전개된 제한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연구자가 제시한 의복 아이템을 중심으로 선호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이 선행된 연구는 체육복 중심이거나 특정 지역 중심의 특정 계절, 통학복에 한정된 선호경향을 바탕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어 지역에서 착용되고 있는 유치원복의 디자인 분석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유치원복은 유니폼의 일종이지만 착용대상이 아동이라는 특이성을 지니고 있으며 소속감과 단체생활 등 아동의 첫 사회생활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도구로서 작용한다(Moon & Ham, 2011). 또한 신체발달과 정서 함양이 요구되는 중요한 시기에 착용되는 의복이라는 점, 여성의 사회진출확대로 인해 아동들이 유치원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어 착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는 점 역시 유치원복 디자인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따라서 심미적 요소는 물론 아동의 정서와 활동성, 기능성의 고려, 타 교육기관과 차별화되는 상징적 이미지까지 다양한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겠다.


Ⅲ. 연구방법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순천 교육지원청에 등록된 57개 유치원 중 유치원복을 착용하고 있는 유치원으로 선정하였다. 유치원복 디자인의 현황파악을 위한 1차 조사는 2013년 11월 25일부터 29일까지 전화 인터뷰를 통해 유니폼 유무 및 유형에 관한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고, 본 조사는 2013년 12월 2일부터 31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치원 유니폼 유형의 명칭은 조사 유치원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통학복, 활동복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유치원복을 착용하고 있는 48개 유치원 중 직접 방문 조사를 의뢰하여 조사 및 사진 촬영을 허락한 사립유치원 11개, 병설 유치원 3개, 총 14개 유치원의 통학복 및 활동복 디자인을 조사하였으며, 미술이나 특별 활동을 위한 작업복은 제외하였다. 또한 유치원 원장 및 교사와의 개별 면접 조사를 통해 대상 연령 및 유치원복의 유형, 착용 회수, 가격, 치수 체계, 디자인 선정방법 등 착용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통학복과 활동복의 형태, 색상, 소재 등 디자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유치원복 구매를 결정하는 주체가 유치원임을 주목하여 직접방문 조사를 허락한 유치원에서 교사 90명을 대상으로 유치원복의 선호 디자인 요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호 디자인 요소에 관한 설문 내용은 선행연구(Ham & Moon, 2012; Han, 2006, Kim & Kim, 2006, Moon & Ham, 2011)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고, 선호 디자인 특성 항목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개별면담을 통해 개선점에 대한 기타 의견을 조사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유치원복의 착용 실태

총 14개의 유치원에서 재직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는 모두 여성으로 연령분포는 20대(36.7%)가 가장 많았고, 30대(31.1%), 40대(23.3%), 50대(8.9%)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원복의 필요 여부에 대해서는 매우 필요하다 24(26.7%), 필요하다 52(57.8%), 보통이다 12(13.3%), 필요 없다 2(2.2%)로 나타나 과반수이상의 교사들이 유치원복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을 의견을 나타냈다. 유치원복의 필요 이유에 대해서는 원아의 소속감 고취 47(52.2%), 원아의 활동성 29(32.2%), 타 유치원과의 차별성 13(14.4%), 경제성 1(1.1%)의 순으로 나타나 원아의 소속감 고취 및 활동의 편리함을 위해 유치원복이 필요하다고 여기고 있다고 사료된다.

사립유치원과 비교하여 병설 유치원은 통학복 없이 활동복만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복 역시 의무사항이 아닌 자유착용으로 많은 원아들이 자유복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특히 동절기의 경우 추운 날씨로 인해 활동복 대신 자유복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립 유치원 역시 유치원비 상승에 대한 부담으로 통학복과 활동복을 구분하지 않고 활동복만으로 변경하여 착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14개 유치원 중 통학복과 활동복을 구분하여 착용하고 있는 곳은 6곳이며, 활동복을 통학복 겸용으로 착용하고 있는 곳은 8곳으로 나타났다. 통학복을 착용하는 6곳은 춘추복과 동복, 하복으로 계절에 따라 유치원복을 다르게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복에서 동복은 14개 유치원 모두 착용하고 있지만, 하복의 경우 5곳은 자유복을 착용하고 있으며, 1곳은 상의만 유치원복을 착용하고 하의는 자유복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설 유치원은 모든 유치원이 활동복만을 착용하고 있으며, 사립 유치원은 과거에는 통학복과 활동복을 구분하여 착용하였으나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 및 유치원 공시자료 제시에 따른 유치원비 상승 부담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현재는 통학복을 없애고 활동복만을 착용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인터뷰 조사에서 대부분의 유치원 교사들이 통학복과 활동복의 구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활동복 하나만을 착용할 경우 빨리 낡고 세탁의 불편함이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복 치수는 아동복 기준 5호∼15호를 제공하고 있는 곳이 8곳(57.1%)으로 가장 많았으며, 7∼15호 4곳(28.6%), 9∼15호가 2곳(14.3%)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Kim과 Kim(2006)의 연구에 따르면 창원지역 유치원은 7∼15호를 제공하는 곳이 가장 많다고 하여 차이를 보였다. 인터뷰 조사에 의하면 유치원에 취학하는 유아의 연령이 만 3세에서 5세이나 유아의 신체발달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입학 후 약 3년을 착용하게 되는 점을 고려하여 약간 큰 치수를 선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하의 바지나 스커트 길이 조절이 가능한 디자인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또한 입학 후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원아의 나이, 체격 등을 고려하여 유치원복을 유치원에서 일괄 구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착용 후 학부모의 요구에 의해 사이즈 변경을 하는 사례도 있으며, 몇몇 유치원에서는 유치원복 물려 입기 등을 통해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는 경우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정 유치원의 경우 유치원복 업체 사이트에서 디자인을 지정해 두고 학부모가 직접 사이즈를 선택하여 구매하도록 하고 있으며, 공동구매 등을 통해 더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곳도 나타났다.

유니폼 디자인의 선정방법은 <Table 1>과 같이 유치원 유니폼 업체 카탈로그나 인터넷 사이트에 제시된 디자인 중에서 선택하는 곳이 9곳(64.3%)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니폼 업체가 제안한 디자인 중 세부적인 디테일이나 유치원 로고 등을 반영하여 결정하는 곳이 3곳(14.3%), 유니폼 업체의 디자인 중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 의견 수렴을 통해 결정하는 곳은 2곳(21.4%)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부모 의견이 반영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적극적인 반영보다는 참고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복 업체 디자인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디자인 선정에 있어 학부모 의견보다는 유치원 측의 독자적인 결정이 우선시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뷰 조사에 의하면 업체가 제안한 디자인 외에 유치원 고유의 독자적인 디자인을 의뢰할 경우 가격 상승에 대한 부담이 발생하여 업체에서 제시하는 디자인에 한하여 결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인터넷 유니폼 업체가 미비하던 과거에는 지역 내 맞춤업체에 의뢰하여 원아의 신체 사이즈에 꼭 맞는 유니폼을 제공하였고 수선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맞춤제작에 대한 비용 부담이 문제시 되어 최근에는 대부분 전문 유니폼 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election method of kindergarten uniform design N(%)

유치원복 디자인 선정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원아의 활동성 33(36.7%), 심미성 20(22.2%), 착용의 편리성 18(20.0%), 유치원의 상징성 7(7.7%), 경제성 6(6.7%), 사이즈 조절의 실용성 4(4.4%), 세탁 및 관리의 내구성 2(2.2%)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 교사들이 유치원복이 원아의 소속감 고취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디자인 선정 시에는 원아의 활동적인 측면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이라고 사료된다.

유치원복 가격대는 5만원 미만이 7곳(50.0%)으로 가장 많았으며, 10∼15만원이 4곳(28.6%), 5∼10만원이 3곳(21.4%)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유치원 중 활동복만을 착용하고 있는 곳이 8곳인 이유와 관계된 것으로 파악되나 통학복과 활동복 모두를 착용하는 사립 유치원의 경우 10만 원 이상의 가격대를 나타냈다. 유치원복 가격대는 많은 유치원들이 민감하게 고려하는 부분으로 파악되었는데, 2011년 전국 사립유치원복 가격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고 330,000원부터 최저 25,000원에 이르기까지 큰 차이를 나타냈고 이는 유치원복 선택과 구입이 유치원 자율에 따른 것으로 파악되었다고 한다(Jegal, 2011). 즉 유치원 단독으로 결정하기보다는 학부모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꼭 필요한 아이템만으로 유치원복을 구성하고 적정 가격대를 형성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통학복과 활동복을 구분하여 착용하는 6곳의 유치원 중 통학복의 착용회수는 주 2회 의무착용이 4곳, 주 3회 의무착용이 2곳으로 나타났다. 활동복은 주 2회 의무착용이 8곳, 주 3회 의무착용이 2곳, 주 4회 의무착용이 2곳이며, 따로 정해진 요일 없이 자유로운 착용을 권장하고 있는 곳도 2곳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체험학습이나 견학 등 야외 활동인 경우 학습 내용이나 장소에 따라 통학복이나 외출복 중 하나를 정해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14개 중 6곳의 유치원은 1주일에 한번 자유복 착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유치원에서는 자유복 착용 요일에 의복 색상이나 단추 개수, 아이템, 문양, 디테일 등 흥미로운 드레스 코드를 알림장에 제시하여 학습도구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Kim과 Kim(2006)의 연구에 따르면 창원지역 유치원은 견학이나 소풍 등 행사시에만 착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고 하여 차이를 나타냈다.

<Table 2>는 통학복 동복을 기준으로 유치원 교사들이 선호하는 유치원복 아이템과 색상, 문양의 조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상의는 니트 가디건을 가장 선호하였고, 재킷, 점퍼, 생활한복 저고리 형태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의 이너웨어로는 티셔츠를 가장 선호하였고, 와이셔츠, 터틀넥 스웨터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하의는 남녀 모두 트레이닝 바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산지역 학부모의 디자인 선호 경향을 연구한 Moon과 Ham(2011)의 연구에 따르면 니트 조끼와 단정한 형태의 셔츠, 바지를 선호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고, Ham과 Moon(2012)는 부산지역 교사들의 경우 트레이닝 점퍼와 트레이닝 바지를 가장 선호한다고 하여 차이를 보였다. 색상은 밝은 원색을 기본으로 상하의 2색으로 배합된 디자인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양은 문양 없이 무지인 것을 가장 선호하였고, 유치원 로고나 심벌, 스트라이프, 체크 문양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Moon과 Ham(2011)의 연구에 따르면 부산지역 학부모들은 2∼3가지 색상배합에 체크문양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am과 Moon(2012)는 부산지역 교사들의 경우 2가지 색상 배합에 문양은 유치원 로고를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즉 순천지역 유치원 교사들은 정장 스타일 보다는 원아의 활동에 편리한 트레이닝복 스타일, 유치원복에 적합한 밝은 색상 및 문양 없는 단순한 디자인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호 문양에서 무지 다음으로 유치원 로고나 심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타 유치원과 차별화 되는 유치원복 디자인을 위해 이를 활용한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또한 생활한복 스타일의 유치원복에 대한 선호 빈도는 높지 않았으나 이는 현재 시판 중인 디자인에 대한 불만족에 기인한 것으로 차별화된 유치원복 디자인을 위해 유아의 특성과 캐주얼한 일상복 스타일이 반영된 생활한복 스타일에 대한 요구도 제안되었다.

Design characteristics favorable to kindergarten teachers N(%)

2. 유치원복의 유형별 디자인 특성

1) 통학복

14곳의 유치원에서 현재 착용되고 있는 통학복 동복의 아이템 구성은 <Table 3>과 같이 트레이닝 티셔츠와 바지로 구성된 활동복을 통학복 겸용으로 착용하고 있는 경우가 8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재킷과 조끼, 셔츠, 스커트(바지), 넥타이로 구성된 정장 스타일이 5곳, 재킷 대신 니트 가디건을 착용하고 있는 곳이 1곳으로 나타났고 패딩 점퍼나 코트 등은 자유복으로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복 외에 모자와 같은 소품은 모든 유치원이 착용하지 않고 있으며, 유치원 가방만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들이 선호하는 동복 상의는 니트 가디건으로 나타난 것과는 달리 재킷이 착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으며, 트레이닝셔츠와 바지 구성의 활동복을 통학복 겸용으로 착용하고 있는 곳이 대부분으로 유치원 교사들의 선호 스타일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Seasonal items for formal wear N(%)

춘추복 역시 활동복을 그대로 착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별도의 통학복을 착용하는 경우 동복에서 재킷이나 니트 가디건을 제외한 아이템 구성으로 나타났다. 하복은 자유복 착용이 8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반팔 셔츠와 스커트(바지) 구성이 5곳, 반팔 티셔츠와 반바지 구성이 1곳으로 나타났다.

<Table 4>는 통학복을 따로 구분하여 착용하고 있는 6곳의 유치원복 각 아이템별 세부 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통학복과 활동복을 구분하여 착용하고 있는 6개 유치원 동복의 기본 상의는 싱글 단추 여밈의 테일러드 칼라 재킷이 가장 많았고 모두 패치포켓이나 입술 포켓 등 주머니가 달린 스타일이었다. 4개 유치원은 남녀 동일한 재킷을 착용하고 있었으나, 나머지 2곳은 칼라 형태를 다르게 하거나 포켓의 유무로 남녀를 구별하여 착용하고 있었다. 조끼는 6곳 모두 니트 소재로 깊게 파인 브이 네크라인에 단추나 트임 없이 착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 많았고, 셔츠는 앞 중심 전체에 단추 여밈인 일반 드레스 셔츠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남녀 동일한 디자인이 착용되고 있었다. 또한 6개 유치원 모두 넥타이를 착용하고 있으나 남녀 동일한 보우 넥타이와 일반적인 넥타이를 착용하고 있는 곳은 2곳이며, 4곳은 남녀 다른 넥타이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곳에서 남자는 일반 넥타이를 착용하고 있으나 여자는 리본 타이를 착용하고 있었다. 하의 구성에서는 6개 유치원 모두 남자는 바지, 여자는 스커트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커트 형태는 요크 주름 스커트가 가장 많았고, 지퍼와 고무줄, 또는 고무줄 여밈으로 착용에 편리하도록 디자인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바지 역시 6곳 모두 앞 지퍼와 고무줄 처리로 착용에 편리하도록 디자인 되었고, 뒤판에 힙 포켓을 장식 디테일로 처리한 경우가 절반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아동의 신체 특성에 맞게 허리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무 밴드 위에 단추와 단추 구멍이 달려 있는 곳은 2곳만으로 나타났다.

Details by the item of formal wear N(%)

춘추복은 동복에서 재킷이나 니트 가디건을 제외한 아이템을 그대로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복은 별도 디자인으로 상의는 반팔 셔츠나 티셔츠를 하의는 스커트나 반바지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의는 남녀 구분 없이 동일한 디자인을 착용하고 있었으며, 셔츠 칼라가 달린 셔츠가 가장 많았고, 칼라 없이 라운드 네크라인의 티셔츠, 세일러 칼라의 반팔 셔츠 순으로 나타났다. 하의는 남녀 구분 없이 고무줄 허리의 반바지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3곳은 여아인 경우 고무줄 허리의 짧은 스커트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는 통학복을 따로 구분하여 착용하고 있는 6곳의 통학복 색상 및 문양을 정리한 결과이다. 재킷 및 가디건은 짙은 남색이나 갈색 같이 어두운 톤이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조끼는 재킷이나 가디건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톤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셔츠는 동복의 경우 흰색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하복의 경우 흰색을 기본으로 연한 블루, 아이보리, 분홍, 남색 등이 나타났다. 하의인 스커트나 바지는 동복의 경우 재킷이나 가디건 색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톤을 삭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갈색, 남색이 주로 나타났다. 하복의 경우 바지는 갈색이 가장 많았고, 스커트는 갈색, 베이지, 아이보리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갈색이나 남색 등 어두운 색상이 착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아의 특성을 잘 부각시킬 수 있는 밝은 원색이나 파스텔톤으로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Color, pattern & textile of formal wear N(%)

각 아이템별 색상 배합은 재킷, 가디건, 조끼의 경우 다른 색상 배합 없이 모두 단색인 경우로 나타났으며, 셔츠는 동복의 경우 단색 구성이, 하복의 경우 3색 이상으로 조합되어 나타났다. 스커트와 바지 역시 다양한 색상의 배합보다는 단색 구성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나 보다 다양한 색상의 조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상의 재킷과 하의 스커트(바지)의 색상배합은 유치원 교사들이 선호하는 색상배합과 같이 4곳이 2색 배합으로 구성되었고, 2곳은 동일색상이나 톤에 차이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양 역시 모든 아이템에서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스트라이프나 체크 문양으로 한정되어 나타나 다양한 문양을 적용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유니폼이라는 특성 상 다양한 장식적인 디테일 없이 단순한 디자인이 대부분이나 재킷 가장자리 선장식이나 파이핑, 셔츠 칼라 부분의 핸드 스티치, 여아 디자인의 경우 레이스 장식 등으로 차별화된 디자인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는 유아복의 특성상 모두 면, 울 혼방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의 스커트나 바지의 경우 춘추복과 동복의 구별 없이 착용되어 동절기에는 모든 원아들이 별도의 내의 착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탁 시 물 빠짐이 심하다는 단점이 가장 많아 소재의 질적 개선이 요구되었다. 뿐만 아니라 아토피 같은 피부 질환을 고려하여 유기농 소재나 항균 소재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어 소재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대부분의 통학복에 유치원 로고나 심벌이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유니폼 업체 브랜드 로고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복 재킷과 조끼에 와펜 형태로 표시한 곳은 단 1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복의 경우 단 2곳만이 셔츠에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 조사에 의하면 유치원 로고나 심벌이 표시된 경우 일상복으로 착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유니폼업체의 브랜드 로고를 그냥 사용하거나 아예 없는 디자인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활동복

활동복은 14개 유치원 모두 <Table 6>과 같이 남녀구분 없이 동일한 아이템으로 동복과 하복으로 구분되었으며, 동복은 트레이닝 긴팔 티셔츠와 트레이닝 바지 구성이 12곳으로 가장 많았고, 하의는 모두 동일한 형태이나 상의에서 트레이닝 점퍼인 경우가 1곳, 트레이닝 점퍼인 경우가 1곳으로 나타났다. 하복은 반팔 티셔츠와 반바지인 곳이 8곳으로 가장 많았고, 별도의 활동복 없이 자유복을 착용하는 곳이 5곳, 상의만 반팔 티셔츠이고 하의는 자유복을 착용하는 곳이 1곳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유치원들이 어린이날 선물로 티셔츠를 제공하여 별도의 활동복이 없더라도 활동복 대신 착용하거나 견학 및 체험학습 시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활동복은 계절에 따른 구분 없이 동복과 하복만으로 구분되어 나타났는데, 소재 및 디자인에 있어 계절별 구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easonal items for active wear N(%)

<Table 7>은 활동복의 각 아이템별 세부 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동복은 14개 유치원 모두 착용하고 있었으나, 하복의 경우 5곳이 자유복을 착용하였고 또 1곳은 상의만 활동복을 착용하고 하의는 자유복을 착용하고 있었다. 동복 상의인 트레이닝셔츠는 라운드 네크라인에 칼라 없는 디자인이 가장 많았다. 여밈 방식은 트임이나 지퍼, 단추 없이 착용하는 디자인이 가장 많았고, 앞트임 지퍼나 앞트임 단추로 착용에 편리하도록 디자인 되어 있었다. 소매는 활동에 편리하도록 드롭 소매나 라글란 소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소매부리에는 모두 리브 처리가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의 트레이닝 바지는 모두 앞판 사이드포켓이 달려 있고 고무줄 허리에 발목 리브 처리가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복 역시 상의는 라운드 네크라인에 칼라 없는 디자인이 가장 많았고, 하의는 모두 앞판 사이드포켓이 달려 있고 허리부분에 고무밴드로 처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etails by the item of active wear N(%)

<Table 8>은 활동복의 색상 및 문양을 정리한 결과이다. 통학복에 비해 노랑, 빨강, 분홍 등 다양한 원색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복 활동복의 경우 상의는 흰색이, 하의는 남색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색상배합은 동복 상의의 경우 3색 이상인 경우가, 하의는 단색 또는 2색 배합인 경우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하복의 경우 상의는 단색, 2색, 3색 이상의 배합이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하의는 단색이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상, 하의 동일색상으로 구성된 곳은 1곳이며, 대부분 상, 하의 다른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lor, pattern & textile of active wear N(%)

문양 역시 통학복과 마찬가지로 무지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났으며, 문양이 있는 경우 동물 문양이나 기타 그래픽 문양이 적용된 곳도 나타났으나 스트라이프나 체크 문양이 일반적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로고나 심벌을 적용한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

소재는 동복의 경우 면 소재 환편 니트가 사용되었으며, 하복은 상의는 환편 니트, 하의는 일반 면 소재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통학복과 마찬가지로 세탁 시 물 빠짐이 심하다는 단점이 가장 많았으며, 디자인 변형의 문제, 팔꿈치나 무릎부분의 낡음 등이 제기되어 질적 개선이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활동복은 계절에 따른 세부구분이 없고 동복의 경우 봄, 가을, 겨울 모두 착용되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다고 하겠다. 현재 착용되고 있는 활동복의 동복은 춘추용에 적합한 것으로 동절기에는 보온성을 고려한 소재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상, 하의 아이템의 의복 구성 라인에 선이나 파이핑 처리를 하거나 브랜드 로고, 동물 캐릭터, 문자 등의 프린트, 와펜 등 장식적인 요소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활동복에 유치원 로고나 심벌을 표시하고 있는 곳은 4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로고나 심벌을 표시하지 않는 이유는 통학복에서와 같은 이유로 파악되었다. 일반적인 스트라이프나 체크 문양의 활용, 또는 브랜드 로고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유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문양의 활용 및 유치원 로고나 심벌을 장식적인 문양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Ⅴ.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전남 순천 지역 유치원에서 착용하고 있는 유치원복 디자인 현황을 조사하여 유치원복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원아들의 유치원복 착용이 필요하다는데 긍정적인 의견을 나타냈으며, 원아의 소속감 고취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복 착용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은 Ham과 Moon(2012), Moon과 Ham(2011)의 연구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활동에 편리하다는 이유가 중요하게 나타나 원아의 소속감 고취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본 연구 결과와는 차이를 나타냈다. 디자인 선정방법은 가격에 대한 부담과 편리하다는 장점으로 유치원 유니폼 업체의 카탈로그나 인터넷 사이트에 제시된 디자인 중에서 선택하는 곳이 가장 많았으나 유치원 고유의 특성을 반영한 독창적인 디자인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선행연구에서 디자인 선정방법에 관한 분석이 되지 않았으나 디자인 측면에서의 개선이 요구된다고 언급하고 있어 상징적인 의미를 반영한 차별화된 디자인에 관한 요구는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통학복과 활동복을 구분하여 착용하기를 선호하는 교사들의 의견과 달리 활동복을 통학복 겸용으로 착용하는 곳이 57.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비 상승으로 인한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고려한 것으로 파악되나 장시간에 걸쳐 착용되는 유치원복의 특성 및 계절, 학습 내용, 세탁 등의 요인에 따라 보다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신체 발육상황이 빠르게 변화하는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품이나 길이 등 사이즈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으로의 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순천지역은 정장스타일의 통학복과 트레이닝복 스타일의 활동복으로 구분된 반면,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한 Kim과 Kim(2006)의 연구에서는 통학복, 활동복, 생활한복 스타일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 Ham과 Moon(2012)의 연구에서는 정장, 또는 세미 스타일의 통학복, 활동복, 생활한복 스타일로 나타나 지역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가격대는 활동복만을 착용하는 경우 5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나, 통학복과 활동복 모두를 착용하는 사립 유치원의 경우 10만 원 이상의 가격대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Kim과 Kim(2006)의 연구에서는 창원지역 유치원복 중 통학복을 기준으로 공립유치원은 2∼3만 원, 사립 유치원은 5만 원 이상이라고 분석되어 공립과 사립 유치원간의 가격 차이 결과는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사립유치원복 가격대에서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분석 연도의 차이에 의한 것이라고 사료되나 물가상승에 따른 유치원비 및 기타 요인도 작용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모든 유치원이 통학복 및 활동복의 아이템 구성, 가격과 질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으나 현재 순천 지역 유치원복 결정은 전적으로 유치원의 결정에 의한 것으로 학부모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유치원복 착용은 대부분의 유치원이 요일을 정해 활동복과 통학복을 구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학복의 경우 주 2∼3회, 활동복은 주 2회 의무착용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Kim과 Kim(2006)의 연구에서는 행사시에만 의무 착용하도록 한 경우가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유니폼으로서 원복 착용의 필요성이 제기되지만 주 1회 자유복 착용을 통해 원아의 개성과 취향을 고려해주고 또 이를 학습도구로 활용하는 방안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넷째, 통학복 동복의 아이템 구성은 재킷이나 니트 가디건, 니트 조끼, 셔츠, 스커트(바지), 넥타이로 구성된 정장 스타일로 나타났다. 하복은 자유복 착용이 8곳으로 가장 많았다. 부산지역 유치원의 겨울 통학복을 중심으로 한 Ham과 Moon(2012)의 연구에 따르면 생활한복 스타일이 착용되고 있으나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여 분석대상만을 중심으로 볼 때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정장스타일로 나타났고,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한 Kim과 Kim(2006)의 연구에서는 춘추복과 동복으로는 활동복 스타일이, 하복으로는 활동복 스타일을 중심으로 정장 스타일과 생활한복 스타일도 착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순천지역뿐만 아니라 타 지역 역시 정장스타일의 통학복은 중, 고등학교 교복과 유사한 스타일로 착용되고 있어 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으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색상은 짙고 어두운 색상이 대부분으로 밝고 선명한 색상으로의 개선이 요구되며, 문양 역시 무지가 대부분이나 다양한 문양의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각 유치원마다 고유의 심벌이나 로고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한 문양이나 캐릭터 적용은 미흡한 실정으로 디자인 개발 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재의 경우 계절의 특성을 고려한 보온성, 흡습성, 통기성 등을 고려하고 세탁 및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일상 외출복으로도 착용하기를 원하는 학부모의 의견만을 중시하여 유치원 로고나 심벌을 사용하지 않는 것 보다는 유니폼으로서의 표식 기능을 위해 유치원 로고나 심벌의 직접 표현 대신 장식적인 디테일로 활용하거나 명찰 등을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활동복은 원아의 활동성을 고려한 트레이닝셔츠와 바지의 캐주얼한 스타일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일상복과 같이 업체 로고를 그대로 사용하는 등 유치원 고유의 디자인을 표시하지 못하고 있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의 개선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특히 동복과 하복만으로 분류되어 계절에 따른 세분화 및 아이템의 다양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세탁 시 물 빠짐이나 디자인 변형 등 소재 측면에서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유치원복은 유아가 착용한다는 특성이 가장 중요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회생활을 처음 경험하는 유치원 유니폼이라는 특성 또한 반영되어 소속감을 나타내는 상징적 이미지 역시 반영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유치원 고유의 독창성을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과 아이템 구성, 로고 및 심벌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한 원아의 활동성, 경제적 부담 등을 이유로 활동복과 통학복 구분이 점차 감소되고 활동복만을 착용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원아의 정서발달과 소속감 고취 등 유니폼으로서의 기능 수행을 위해 구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정장 스타일의 통학복에서 벗어나 유아의 활동적인 측면을 반영한 캐주얼 스타일의 통학복, 계절 특성을 반영한 활동복 구분, 그리고 유아의 신체 발달 등을 고려하여 사이즈, 길이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디자인, 유치원 로고나 심벌, 순천지역 문화적 유산 등을 활용한 문양, 캐릭터 적용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의 전개를 제안할 수 있겠다. 본 연구가 순천지역에 국한된 연구로 제한점을 지니나 타 지역과 다른지역 내 유치원복 디자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고 각 유치원의 상징성을 반영한 유치원복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탐색으로서 의의를 지닌다고 사료된다.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치원의 상징성은 물론 지역의 문화적 유산을 반영한 유치원복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유아보육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는 오늘날 교육이나 복지 측면에서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원아들이 착용하는 유치원복에서도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디자인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

References

  •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Lawnb. Retrieved June 1, 2014, from http://www.lawnb.com/lawinfo/contents_view.asp?cid=D853E15871714CA390A8112A43717588|0|K, (2013, May, 22).
  • Y. J Ham, M. O Moon, Improvement of the kindergarten uniform design based on the preference of teachers and parent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012), 35(-), p51-63.
  • G. H Han, A study on the image to be promoted for preschoolers' sportswear,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06), 10(2), p194-206.
  • H. J Jang, S. H Ko, Textile and kindergarten uniform design applying the techniques of the character ‘Hyo' in the Hyojemunjado,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013), 41(-), p311-320.
  • S. M Jegal, 250,000won, private kindergarten uniform in Kyungpook, Newsis. Retrieve January 15, 2014, from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10920_0009267565&cID=10810&pID=10800, (2011, September, 20).
  • E. O Kim, Study on expansion of Korean style(modernized Korean traditional clothing) on kindergart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09).
  • S. H Kim, A study on kindergarten uniforms in Changwon, south Gyeongsang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2005).
  • S. H Kim, A study on preschool students' uniform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993).
  • S. H Kim, Y. S Kim, A study on kindergarten uniforms in Changwo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06), 17(3), p15-28.
  • Y. I Kim, A study on clothing desig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1986), 25(4), p13-26.
  • M. O Moon, Y. J Ham, A study on the preferences of the kindergarten uniform design for the parent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011), 13(5), p686-694. [https://doi.org/10.5805/KSCI.2011.13.5.686]
  • Statistics Korea, Sca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atistics Korea. Retrieve January 15, 2014, from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535, (2013, December, 17).
  • M. H Yoon, A study on preschool students' uniform design applied with the Korean costume for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2009).
  • K. S You, Survey on attitude and preference of the uniform in preschool students par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08), 17(2), p345-353. [https://doi.org/10.5934/KJHE.2008.17.2.345]

<Table 1>

Selection method of kindergarten uniform design N(%)

Selection
of design
Kindergarten's choice out of designs suggested by manufacturer 9(64.3)
Decided after hearing teachers' and kid parents' opinion 2(14.3)
Eclectic between manufacturer's proposal and kindergarten's opinion 3(21.4)
Total 14(100.0)

<Table 2>

Design characteristics favorable to kindergarten teachers N(%)

<Table 3>

Seasonal items for formal wear N(%)

Division Item Total
Winter Jacket, knit vest, Y-shirt, skirt(pants), necktie(bow, ribbon tie) 5(35.7) 14
(100.0)
Knit cardigan, knit vest, Y-shirt, skirt(pants), necktie(bow, ribbon tie) 1(7.1)
Winter active uniform 8(57.1)
Summer Short sleeves tee shirt, short pants 1(7.1) 14
(100.0)
Short sleeves Y-shirt, short pants 5(35.7)
No uniform 8(57.1)
Spring, fall Knit vest, Y-shirt, skirt(pants) 6(42.8) 14
(100.0)
Winter active uniform 8(57.1)
Image
Photographed by the author

<Table 4>

Details by the item of formal wear N(%)

Division Total
Winter
school
uniform
detail
Jacket Closure type Single button closure 5(83.3) 6(100.0)
Double button closure 1(16.6)
Collar type M Tailored collar 5(83.3) 6(100.0)
Flat collar 1(16.6)
W Tailored collar 5(83.3) 6(100.0)
none 1(16.6)
Pocket M Patch pocket 2(33.3) 6(100.0)
Flap band pocket 3(50.0)
Flap patch pocket 1(16.6)
W Patch pocket 3(50.0) 6(100.0)
Flap band pocket 3(50.0)
Vest Neckline type Round neckline 1(16.6) 6(100.0)
V neckline 5(83.3)
Front vent Yes 2(33.3) 6(100.0)
None 4(66.7)
Y-shirt Collar type Shirt collar 6(100.0) 6(100.0)
Skirt Form York pleated skirt 4(66.7) 6(100.0)
Pleated skirt 1(16.6)
Wrap pants skirt 1(16.6)
Waist belt, closure type Zipper 1(16.6) 6(100.0)
Zipper & elastic band 3(50.0)
Elastic band 2(33.3)
Pants Form Formal pants 6(100.0) 6(100.0)
Waist belt, closure type Zipper & elastic band 6(100.0) 6(100.0)
Pocket Front side pocket & no back pocket 3(50.0) 6(100.0)
Front side pocket & back hip pocket 3(50.0)
Etc Necktie M Necktie 5(83.3) 6(100.0)
Bow tie 1(16.6)
W Necktie 1(16.6) 6(100.0)
Bow tie 1(16.6)
Ribbon tie 4(66.7)
Summer
school
uniform
detail
Y-shirt, tee
shirt
Collar type Shirt collar 3(50.0) 6(100.0)
Sailor collar 1(16.6)
None 2(33.3)
Closure type Full button front center 3(50.0) 6(100.0)
Front vent & button 1(16.6)
None 2(33.3)
Skirt Form A line skit 1(33.3) 3(100.0)
York pleated skirt 2(66.7)
Waist belt, closure type Elastic band 3(100.0) 3(100.0)
Pants Form Short pants 6(100.0) 6(100.0)
Waist belt, closure type Elastic band 6(100.0) 6(100.0)
Pocket Front side pocket & no back pocket 5(83.3) 6(100.0)
Front side pocket & back hip pocket 1(16.7)

<Table 5>

Color, pattern & textile of formal wear N(%)

Division Jacket,
cardigan
Vest Y-shirt Skirt Pants
Winter Summer Winter Summer Winter Summer
Color Grey 1
(16.6)
2
(33.3)
- - 1
(16.6)
- 1
(16.6)
-
Brown 2
(33.3)
2
(33.3)
- - 3
(50.0)
1
(33.3)
2
(33.3)
3
(50.0)
Navy 2
(33.3)
1
(16.6)
- 1
(16.6)
1
(16.6)
- 2
(33.3)
1
(16.6)
White - - 5
(83.3)
2
(33.3)
- - - -
Beige - - - - 1
(16.6)
1
(33.3)
1
(16.6)
1
(16.6)
Pale
blue
- - 1
(16.6)
1
(16.6)
- - - -
Ivory - - 1
(16.6)
- 1
(33.3)
- 1
(16.6)
-
Pink - 1
(16.6)
- 1
(16.6)
- - - -
Yellow 1
(16.6)
- - - - - - -
Total 6
(100.0)
6
(100.0)
6
(100.0)
6
(100.0)
6
(100.0)
3
(100.0)
6
(100.0)
6
(100.0)
Color
scheme
1color 6
(100.0)
6
(100.0)
3
(50.0)
2
(33.3)
4
(66.7)
2
(66.6)
5
(83.3)
3
(50.0)
2color - - 1
(16.6)
1
(16.6)
- - - -
3colors
or more
- - 2
(33.3)
3
(50.0)
2
(33.3)
1
(33.3)
1
(16.6)
3
(50.0)
Total 6
(100.0)
6
(100.0)
6
(100.0)
6
(100.0)
6
(100.0)
3
(100.0)
6
(100.0)
6
(100.0)
Pattern None 6
(100.0)
6
(100.0)
3
(50.0)
5
(83.3)
4
(66.7)
2
(66.6)
5
(83.3)
3
(50.0)
Stripe - - 3
(50.0)
- - - - -
Check - - - 1
(16.6)
2
(33.3)
1
(33.3)
1
(16.6)
3
(50.0)
Total 6
(100.0)
6
(100.0)
6
(100.0)
6
(100.0)
6
(100.0)
3
(100.0)
6
(100.0)
6
(100.0)
Textile Wool 4
(66.7)
- - - 4
(66.7)
- 4
(66.7)
-
Knit 1
(16.6)
6
(100.0)
- - - - - -
Cotton - - 6
(100.0)
6
(100.0)
2
(33.3)
3
(100.0)
2
(33.3)
6
(100.0)
Corduroy 1
(16.6)
- - - - - - -
Total 6
(100.0)
6
(100.0)
6
(100.0)
6
(100.0)
6
(100.0)
3
(100.0)
6
(100.0)
6
(100.0)
Kinderga
rten logo,
symbol
Yes 1
(16.6)
1
(16.6)
- 2
(33.3)
- - - -
No 5
(83.3)
5
(83.3)
6
(100.0)
4
(66.7)
6
(100.0)
3
(100.0)
6
(100.0)
6
(100.0)
Total 6
(100.0)
6
(100.0)
6
(100.0)
6
(100.0)
6
(100.0)
3
(100.0)
6
(100.0)
6
(100.0)

<Table 6>

Seasonal items for active wear N(%)

Division Item Total
Winter Training long sleeves tee shirt, training pants 12(85.7) 14
(100.0)
Training jumper, training pants 1(7.1)
Training hood jumper, training pants 1(7.1)
Summer Short sleeves tee shirt, bottoms(free wear) 1(7.1) 14
(100.0)
Short sleeves tee shirt, Short pants 8(57.1)
No uniform 5(35.7)
Image
Photographed by the author

<Table 7>

Details by the item of active wear N(%)

Division Total
Winter
active
uniform
detail
Top Neckline Round neckline 13(92.9) 14(100.0)
V neckline 1(7.1)
Collar Stand collar 5(35.7) 14(100.0)
Shirt collar 1(7.1)
Hood collar 1(7.1)
None 7(50.0)
Closure
type
Full Zipper front center 3(21.4) 14(100.0)
Front vent & button 2(14.3)
Front vent & zipper 4(28.6)
None 5(35.7)
Sleeves Raglan sleeves 6(42.8) 14(100.0)
Drop sleeve 8(57.1)
Wrist ribs Yes 14(100.0) 14(100.0)
Bottoms Pocket Front side pocket & no back pocket 13(92.9) 14(100.0)
Front side pocket & hip back pocket 1(7.1)
Waist belt, closure type Elastic band 14(100.0) 14(100.0)
Ankle ribs Yes 14(100.0) 14(100.0)
Summer
active
uniform
detail
Top Neckline Round neckline 8(88.9) 9(100.0)
V neckline 1(11.1)
Collar Stand collar 1(11.1) 9(100.0)
Shirt collar 1(11.1)
None 7(77.8)
Front vent Yes 4(44.4) 9(100.0)
None 5(55.6)
Bottoms Pocket Front side pocket & no back pocket 8(100.0) 8(100.0)
Waist belt, closure type Elastic band 8(100.0) 8(100.0)

<Table 8>

Color, pattern & textile of active wear N(%)

Division Top Bottoms
Winter Summer Winter Summer
Color Yellow 5(35.7) 2(22.2) 3(21.4) -
Grey 2(14.3) - 2(14.3) -
Pink 2(14.3) 2(22.2) 1(7.1) -
Red 3(21.4) - 2(14.3) 1(12.5)
Brown - - 2(14.3) 2(25.0)
Navy - - 3(21.4) 4(50.0)
Beige - - - 1(12.5)
Orange 1(7.1) - 1(7.1) -
White 1(7.1) 5(55.5) - -
Total 14(100.0) 9(100.0) 14(100.0) 8(100.0)
Color scheme 1color 1(7.1) 3(33.3) 6(42.8) 5(62.5)
2color 5(35.7) 3(33.3) 6(42.8) 1(12.5)
3colors or more 8(57.1) 3(33.3) 2(14.3) 2(25.0)
Total 14(100.0) 9(100.0) 14(100.0) 8(100.0)
Pattern None 10(71.4) 4(44.4) 14(100.0) 6(75.0)
Stripe 3(21.4) 3(33.3) - -
Check - - - 2(25.0)
Animal 1(7.1) 1(11.1) - -
Graphic, etc - 1(11.1) - -
Total 14(100.0) 9(100.0) 14(100.0) 8(100.0)
Textile Cotton 14(100.0) 9(100.0) 14(100.0) 8(100.0)
Kindergarten
logo, symbol
Yes 4(28.6) 4(44.4) - -
None 10(71.4) 5(55.5) 14(100.0) 8(100.0)
Total 14(100.0) 9(100.0) 14(100.0) 8(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