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9, No. 5, pp.681-694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0
Received 26 Jul 2020 Revised 24 Sep 2020 Accepted 07 Oct 2020
DOI: https://doi.org/10.5934/kjhe.2020.29.5.681

TV드라마 <우아한 家> 드라마 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Morris의 기호이론을 중심으로

안미화 ; 장애란*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시간강사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교수
The Semiotic Analysis of Drama Costume of the TV drama <Elegant Family>: A Focus on Morris’s Semiotics
An, Mi Hwa ; Jang, Ae Ran*
Department of Fashion & Textiles, Jeju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ashion & Textiles, Je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Jang, Aeran Tel: +82-64-754-3533 Fax: +82-64-725-2591 E-mail: jemmaran@jejunu.ac.kr

ⓒ 2020,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Drama costumes are the linguistic image code that visualizes the internal meaning and elements of epic code conveyed in the plot and expresses the independent value that highlights the creation of characters, mood, style, and theme and triggers the dramatic effect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whether linguistic signific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linguistic image code of drama costumes. Apparently, Morris' semiotics theory (syntactics, semantics, and pragmatics) was applied among the many theories of semiotics as it is suitable for interpreting the code of drama costumes. Herein, <The Elegant Family>, which is a TV drama that reflects various extreme interests of characters along the storyline was chosen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semiotic interpretation of the drama costumes seen in <The Elegant Family> based on Morris' semiotics theory were derived through syntactics side (expression of visual languages), semantics side (the internal meaning of characters), and pragmatics side (structuralization of languages). In this study, semiotic interpretation of costumes as seen in the TV drama was applied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linguistic communication through the visual linguistic images of drama costumes. Consequently, the investigation suggested a new frame of analysis of drama costumes from the semiotic aspects.

Keywords:

Character’s inner meaning, Drama costume, Expression form of image language, Morris’s semiotics, Structure of language

키워드:

드라마의상, 언어의 구조화, 영상언어의 표현양식, 캐릭터의 내적의미, Morris의 기호이론

Ⅰ. 서론

복식은 착용자에 대한 의미를 전달하는 기호이므로, 영화의상(드라마의상) 역시 착용자(등장인물)와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준다(류수현, 2006). TV 드라마는 허구의 세계를 구축하는 서사적 코드와 영상 언어적 코드가 결합한 기호학적 서사구조의 ‘이야기(스토리)’로 이루어졌기에(백선기, 2001), 의미 표출 양식은 영화의 양식과 거의 유사하지만 영화보다 복잡한 서사와 다양한 대립과 갈등 표출을 언어 표현의 양식과 영상 화면의 표현 양식이 함께 작동되고 있다. 물론 드라마는 다양한 장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드라마의 골격인 중심스토리 구조와 다수의 주변적인 스토리 구조들의 서사적 코드가 연계되어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이해관계로 스토리가 전개되며 드라마의상을 통해 등장인물간의 쟁점이 되는 사안들을 극적으로 강화시키거나 새로운 의미로 생성시키기도 한다(백선기, 2015). 다시 말해서 스토리에 함축된 서사적 코드의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을 형상화시킨 영상 언어적 코드는 등장인물 창조 및 극의 분위기, 스타일, 주제를 강화시키고 극적 효과를 유발시킨 것이 바로 드라마의상이다. 드라마 의상이란 스토리에 따라 중심인물의 캐릭터의 성격이나 역할, 그리고 인물 간의 관계를 시청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하는 시각요소로서 배우에게 입혀진 모든 것을 말하며, 속옷, 머리장식, 액세서리까지도 포함된다(김유선, 2009). 드라마의상은 드라마의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형상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장면마다 다른 요소들과의 조화를 통해 이미지, 스타일, 주제를 강화시키고 극적 효과를 유발시키는 시각적인 완성미의 역할을 한다(장혜숙, 2018). 본 연구와 관련된 최근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영화의상(무대의상)에 관한 표현방식, 디자인 분석,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김장현, 김영삼, 2014; 노은영, 2018; 전여선 외, 2013), 드라마의상을 포함한 영화의상 기호학적 해석은 주로 소쉬르와 바르트의 기호이론을 차용하였고, 모리스의 기호이론을 차용하여 해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류수현, 김민자, 2007; 전우성, 김인형, 2013).

이에 본 연구는 <우아한 가> 스토리에 함축된 중심인물의 독특한 캐릭터와 내면적 의미의 서사코드를 영상언어코드로 형상화한 드라마의상의 표현양식을 중심으로 언어적 의미전달이 가능한지를 모리스의 기호학적 과정을 토대로 규명한 후 서사구조를 시각적인 형상(영상언어)의 언어구조로 구축하고자 한다. 모리스(Charles William Morris, 1901~1979)의 기호이론을 활용한 것은 모리스의 기호 이론의 핵심이 의식을 배제한 채 외부 자극과 이에 반응하는 일련의 시스템인 행동주의심리학적 관점에서 기호이론이 정립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선행연구(류수현, 김민자, 2007)에서 영화의상이 다른 의상들과 형식적인 차이가 있고 그로 인해 의미를 발생시키므로 통사론적 차원, 의미론적 차원, 그리고 실용론적 차원 등 세 분야를 통합적으로 이용하여 분석이 가능함을 규명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우아한 가>를 선택한 이유는 <우아한 가>가 재벌가의 숨은 비밀과 이를 둘러싼 오너리스크 팀의 이야기를 다룬 미스터리 멜로드라마로, 서사구조 속의 중심인물들 간의 갈등구조를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고 이 갈등구조 속에서 함축적인 의미를 담고 있으며 스토리에 전개된 갈등관계의 모석희, 한제국, 하영서의 상반된 이미지가 드라마의상에 반영된 점이다. 특히 중심인물들 개개의 독특한 캐릭터 이미지가 드라마의상을 통해 주제를 더욱 강화시키고 극적 효과를 위해 유머러스하면서 반전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연출된 점이다. 연구방법은 선행 논문 및 학술지, 국내의 단행본, 인터넷 검색 등의 문헌연구와 2019년에 제작된 TV 드라마 <우아한 가>의 VOD 캡처 이미지 자료를 바탕으로 기호학적 해석의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드라마<우아한 가>의 서사구조에 따른 갈등관계에 있는 3인의 중심인물이 착용한 극적 장면이 강조된 의상으로 제한하여 발췌~분석하였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중심인물의 캐릭터이미지가 반영된 드라마의상을 분석하여 패션이미지와 패션스타일로 도출하였고, 후속으로 의상을 포함한 헤어스타일, 액세서리 등을 연구할 예정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Morris의 기호이론

기호학은 인문학분야 뿐만 아니라 최근 문화, 연극, 광고, 건축, 패션, 예술,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되어, 상징체가 어떤 구조로 만들어졌으며 어떤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지, 그리고 상징체의 의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김경용, 2014). 본 연구는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을 위해 모리스의 기호이론을 차용한다. 모리스는 기호학을 예술영역에 까지 확장시킨 삼항 관계인 기호매체(sign vehicle), 기호해석체(interpretant, denotatum), 지시대상(designatum, significatum)을 중심으로 기호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기호학적 과정을 탐구하였다. 모리스의 기호학을 살펴보면,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의 삼분법 기호이론을 기반으로 ‘표상체’, ‘해석체’, ‘대상체’로 구성된 기호 구조와 유사하게 각각 ‘기호매체’, ‘기호해석체’, ‘지시대상’의 삼항 관계로 재구성하였다. 예를 들면, 갑자기 들려오는 기적소리는 예기치 않았던 열차가 다가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기적소리’는 기호매체가 되고, 누군가가 그 소리를 듣고 ‘열차가 다가온다’라고 생각하는 행위는 ‘해석체’가 되며 그렇게 생각되어지는 내용, 즉 ‘열차가 다가온다’라는 사실은 지시대상이 되는 것이다(김치수 외, 2016).

더 나아가 모리스는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기호매체가 다른 기호매체와 맺는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를 통사론(syntatics), 기호매체가 지시대상과 맺는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를 의미론(semantics), 기호매체가 기호해석체와 맺는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를 실용론(pragmatics)이라 하였다(김치수 외, 2016; 박일우, 1993). 본 연구에서는 기호학적 해석을 위해 모리스의 기호이론인 기호매체, 기호해석체, 지시대상의 삼항관계를 재구성하여 통사론적 측면, 의미론적 측면, 실용론적 측면에서의 해석을 통해 드라마의상의 영상언어의 언어구조화의 가능성을 규명한다. 즉, 통사론적 측면은 심미적 외향성을 결정하는 시각적인 요소와 조형원리 분석을, 의미론적 측면은 인간의 정신세계와 관련된 작가의 정신이나 세계관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섬세한 의미 분석을, 그리고 실용론적 측면은 조형의 미적 가치나 상징적인 내용 가치의 내재적 기능과 효과적인 의미 전달의 기능 분석을 활용한다(조창연, 이주영, 2016).

[그림 1]

모리스의 기호학. <출처>>소두영, 1991. p.61(김은경, 2001 ‘재인용’)

2. 드라마 <우아한 家>의 서사구조

TV드라마 <우아한 가>는 2019년 8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방영된 MBN 드라마로, 재벌가에 숨겨진 은밀한 비밀과 거대한 기업의 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킹메이커 오너리스크 팀의 이야기를 다룬 미스터리 멜로드라마이다(Daum, 2020). <우아한 가>의 서사구조의 스토리를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로 분류하여 드라마의 중심스토리와 다수의 주변스토리들을 연계하여 대립관계, 협력관계의 중심인물(모석희, 한제국, 하영서)들을 중심으로 분석해본다.

서사구조의 발단 단계의 스토리를 요약해보면, MC그룹 회장(모왕표, 할아버지)이 위독하다는 소식으로 귀국한 모석희의 등장은 어머니 사망원인 규명, MC그룹 경영승계 등의 요인으로 인해 MC일가, TOP과의 갈등관계를 암시한다. 서사구조의 전개 단계의 스토리를 요약해보면, 모석희는 어머니의 사망원인을 밝히려는 목적 하에 MC그룹 경영권을 확보하고자 모왕표 회장의 지분과 재산증여로 지지 기반을 구축하려 했으나 대립관계인 나머지 MC일가와의 이해관계 상의 갈등을 암시한다. 서사구조의 위기 단계의 스토리를 요약해보면, 한제국의 계략으로 인한 경영승계 구도의 변화, 모왕표 회장의 사망 그리고 한제국이 MC그룹의 경영승계의 후계자로 선택한 모완준이 트렌스젠더임이 밝혀지면서, TOP팀의 경영승계를 위한 음모, 실패, 좌절, 반전 등 갈등의 시작을 암시한다. 서사구조의 절정 단계의 스토리를 요약해보면, 모석희의 출생의 비밀(할아버지의 딸)이 밝혀지면서 아버지 모철희가 쓰러져 의식불명 상태가 된다. 이때 한제국(TOP팀 헤더)은 MC그룹을 위해 트렌스젠더임에도 불구하고 MC최고 경영자로 모완준을 선택한 후 모석희를 견제하고 MC그룹의 지배 권력을 장악하려는 음모의 전개를 암시한다. 서사구조의 결말 단계의 스토리를 요약해보면, 모석희 어머니의 살인사건 진범이 밝혀지면서 한제국을 비롯한 MC일가는 실형에 처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MC그룹은 전문 경영체제로 운영되고, 모석희는 허윤도와 행복한 일상으로 돌아가 해피엔딩으로 마무리된다(MBN, 2020). 이를 요약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드라마 <우아한 가>의 스토리 서사에서 도출한 갈등

이상에서 살펴본 서사구조의 스토리에 등장한 많은 인물들 중에서 중심인물인 모석희, 한제국, 하영서를 중심으로 캐릭터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모석희는 MC그룹의 후계자이며 어머니 죽음에 대한 진실을 밝히기 위해 MC그룹의 오너가 되려는 의도가 있지만 외양적으로는 천방지축 모습과 내면에는 복수, 복권(復權), 반전, 카리스마 등의 다중적 성격의 캐릭터 이미지로 도출하였다. 한제국은 MC패밀리가 아니라 MC그룹의 영속성을 위해 TOP팀을 운영하는 자로 어떤 일이 발생하더라도 MC그룹을 위한 선택이라 믿으며 그 위에 군림하려는 의도를 권력, 지배, 카리스마, 냉철한 판단력, 충성 등의 캐릭터 이미지로 도출하였다. 하영서는 간호사 출신으로 모철희의 아들을 낳은 것을 계기로 모석희의 어머니를 쫓아내고 MC그룹 안주인자리를 차지하며, 자신의 아들 모완준을 MC그룹 대표로 세워 MC그룹을 차지하고자하는 욕망, 야망, 욕심, 사리사욕 등의 캐릭터 이미지로 도출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 <표 2>와 같다.

드라마 <우아한 가>의 중심인물 캐릭터 분석

이상의 세 명의 중심인물의 캐릭터 관계구조를 유추해보면, 모석희와 한제국의 관계는 출생의 비밀을 간직한 MC 그룹의 실질적인 후계자인 모석희를 인정하지 않고 이에 반하는 모완준을 MC대표로 추대하고 모석희 어머니의 사망의 진실을 은폐하는 등으로 적대적 대립의 서사적 구도로 갈등, 투쟁, 배신, 복수 등의 갈등구조로 유추하였다. 모석희와 하영서의 관계는 MC그룹의 안주인 자리를 두고 모석희 어머니와 반목하는 하영서는 모석희 어머니의 죽음과 관련되고 MC그룹을 차지하려는 적대적 대립의 서사적 구도로 갈등, 복수 등의 갈등구조로 유추하였다. 한제국과 하영서의 관계는 과거 모석희 어머니의 죽음과 관련된 진실을 은폐하고 모완준을 MC그룹 대표로 추대하려는 공통의 목표가 있는 조건적 협력의 서사적 구도로 대립 후 협력, 협조 등의 갈등구조로 유추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중심인물간의 관계구조


Ⅲ. TV드라마 <우아한 家> 중심인물 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1. Morris의 기호이론을 활용한 드라마의상 분석방법

시각적 예술요소인 드라마의상은 영상언어로써 드라마를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적인 표현수단(김유선, 2009)이며 작품, 캐릭터 등의 다양한 해석과 유추가 가능한 수단이다. 이에 모리스의 기호이론인 통사론적 측면, 의미론적 측면, 실용론적 측면에서의 드라마의상의 의미표출 양식 3단계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 번째, 기호매체가 다른 기호매체와 맺는 관계인 통사론적 측면은 심미적 외향성을 결정하는 시각적 요소와 조형원리로 분석하는 것으로, 영상언어적 기능이 내재된 드라마의상의 시각적인 형태, 색상, 스타일 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영상언어의 표현양식의 해석이 가능하다. 두 번째, 기호매체가 지시대상과 맺는 관계인 의미론적 측면은 인간의 정신세계와 관련된 작가의 정신, 세계관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미적차원의 의미로 분석하는 것으로, 드라마의 서사구조에 따라 나타나는 캐릭터 특성 및 작가의도 등이 내재된 의미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캐릭터의 내적의미로의 해석이 가능하다. 세 번째, 기호매체가 기호해석체와 맺는 관계인 실용론적 측면은 조형의 미적가치, 상징적인 내용 가치의 내재적 기능과 효과적인 의미전달의 기능성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캐릭터 내면의 내적의미를 바탕으로 전달되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 의미전달 기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언어의 구조화의 해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리스의 기호이론을 차용하여 <우아한 가>의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도출한 드라마의상의 의미표출 양식 3단계를 요약하면 <표 3>과 같다.

모리스의 기호이론을 활용한 드라마의상의 의미표출 양식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드라마의 서사구조에 따른 극적 장면의 드라마의상을 발췌하여 드라마 의상의 표현양식을 분석한 후 캐릭터 내면의 내적의미를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우아한 가> 드라마의상의 언어적 의미전달 기능의 가능성을 규명함으로써 드라마의상의 의미전달 기능을 언어의 구조화로 정립할 수 있었다.

2. 드라마 <우아한 家> 등장인물 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본 연구에서는 TV드라마 <우아한 가>의 모석희, 한제국, 하영서를 중심으로 스토리에 함축된 서사적 코드의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이 형상화된 영상 언어적 코드로 해석이 가능한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발췌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다시 말해서 모석희 총 100벌, 한제국 총 65벌, 하영서 총 43벌의 드라마의상을 분석한 후 드라마의 스토리 구조 상 중심인물 간의 갈등 구조에 따라 변화된 장면에서 캐릭터가 강조된 드라마의상으로 모석희 5벌, 한제국 5벌, 하영서 5벌을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앞서 본 연구의 목적인 드라마의상의 의미전달 기능을 언어의 구조화로 정립하는 것이므로, 의미표출 양식을 의미론적 측면, 통사론적 측면, 실용론적 측면으로 해석하였음을 밝힌다.

서사구조의 발달 단계의 중심인물들의 의상을 비교 분석하면, [그림 3]에서 볼 수 있듯이, 모석희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내면의 다중성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모석희의 다중적 이미지를 미래, 차가운, 지적인(김영인 외, 2009; 문은배, 2011)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메탈릭한 실버색상을 사용하여 고지어스하면서 로맨틱 스타일과 아방가르드 스타일이 혼재된 피티드한 원피스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모석희의 복수, 복권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위장이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그림 4]는 한제국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TOP팀 최고 권력자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한제국의 권력적 이미지를 권력자, 정치적인, 강함(문은배, 2011)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화이트, 블랙색상을 사용하여 남성적이고 매니쉬 스타일의 파워 슈트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한제국의 최고 권력자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카리스마와 권력이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그림 5]에서는 하영서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신분 과시를 위한 도발이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하영서의 과장된 허영이미지를 권력, 허영, 도발(문은배, 2011)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퍼플계열의 색상을 바탕색으로 하고, 그 위에 금사의 화려한 자수 장식으로 엘레강스 스타일의 X라인 실루엣 드레스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과도한 신분과시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경박함과 야망, 도발이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따라서 서사구조 발단 단계에서의 중심인물의 의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표 4>와 같다.

서사구조 발단 단계의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서사구조의 전개 단계에서의 중심인물들의 의상을 비교 분석하면, [그림 6]에서 볼 수 있듯이, 모석희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경영권 탈환을 위한 정치적인 행보 예고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의 분석한 결과, 모석희의 정치적 이미지를 시작, 부활, 정치적인(문은배, 2011)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화이트색상을 사용하여 강인하지만 부드러운 이미지를 매니쉬 스타일과 엘레강스 스타일이 혼재된 중성적인 파워 숄더 재킷과 여성스러운 스타일의 A라인 스커트 등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모석희의 경영권 탈환의 의지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부드러운 카리스마와 권위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그림 7]에서는 한제국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MC그룹 실세의 전략가로서 권력이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한제국의 전략적 이미지를 명확함, 차가움, 차분, 잔혹함(문은배, 2011; 조현주 외, 2013)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화이트와 그레이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냉정한 이미지의 매니쉬 스타일의 남성적인 베스트와 팬츠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한제국의 전략, 대립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냉철하면서 강인한 카리스마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그림 8]은 하영서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과장된 신분과시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하영서의 권위욕적 이미지를 이기심, 불법, 불안(문은배, 2011)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블랙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과도하게 과장된 엘레강스 스타일의 X라인 실루엣 투피스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하영서의 신분과장, 신분과시욕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허세, 비뚤어진 권위욕이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따라서 서사구조 전개 단계에서의 중심인물의 의상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표 5>과 같다.

서사구조 전개 단계의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서사구조의 위기 단계에서의 중심인물들의 의상을 비교 분석하면, [그림 9]에서 볼 수 있듯이, 모석희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증오와 반전이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모석희의 복수심의 이미지를 강렬, 혁명, 증오, 경고(강성률, 2017; 문은배, 2011)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레드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화려하고 강렬하면서 여성스럽고 섹시한 이미지의 로맨틱 스타일과 아방가르드 스타일이 혼재된 A라인 드레스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모석희의 증오, 반전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파격과 반전이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그림 10]은 한제국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서한 결과, 사망조작을 통한 계략 및 전략이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한제국의 계략적 이미지를 죽음, 차가움(강성률, 2017; 조현주 외, 2013)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화이트와 베이지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중성적이고 매니쉬 스타일의 파워 슈트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한제국의 권력욕, 냉정함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지배, 권력, 냉철한 판단능력이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그림 11]에서는 하영서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집착적인 모성애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하영서의 집착적 이미지를 근심, 절제, 두려움, 절망(김영인 외, 2009; 문은배, 2011, 조현주 외, 2013)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블루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그 전에 착용하였던 화려함보다는 오히려 장식이 배제된 절제된 이미지의 엘레강스 스타일의 X라인 실루엣 원피스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인정하고 싶지 않은 현실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절망과 좌절이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따라서 서사구조 위기 단계에서의 중심인물의 의상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표 6>과 같다.

서사구조 위기 단계의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서사구조의 절정 단계에서의 중심인물들의 의상을 비교 분석하면, [그림 12]에서 볼 수 있듯이, 모석희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허윤도의 무죄를 밝힌 지혜로운 당돌함이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모석희의 당당한 이미지를 희망, 부드러움(조현주 외, 2013)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핑크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부드럽지만 강인하고 당당한 외유내강의 역설적 캐릭터 이미지로 어깨를 과장되게 부풀린 매니쉬 스타일과 아방가르드 스타일이 혼재된 파워 숄더 재킷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외유내강적 카리스마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부드러운 카리스마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그림 13]은 한제국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집요한 권력집착, 남성들보다 우위에 있는 권력자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한제국의 권력욕의 이미지를 악함, 죽음, 부패, 불법, 권력자(문은배, 2011; 조현주 외, 2013)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블랙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강인한 남성적인 이미지의 매니쉬 스타일의 더블 여밈의 파워 슈트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한제국의 권력집착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권력욕과 지배욕이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그림 14]에서는 하영서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갤러리 직원을 이용하여 알리바이를 조작하는 등 진실 은폐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냉정, 차가운, 두려움, 절제, 권위, 희생(김영인 외, 2009; 문은배, 2011; 조현주 외, 2013)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화이트와 블루 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부드럽게 절제된 이미지의 엘레강스 스타일의 X라인 실루엣 투피스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하영서의 은폐, 조작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반전과 변화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따라서 서사구조 절정 단계에서의 중심인물의 의상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표 7>과 같다.

서사구조 절정 단계의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서사구조의 결말 단계에서의 중심인물들의 의상을 비교 분석하면, [그림 15]에서 볼 수 있듯이, 모석희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경영권 탈환이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모석희의 복권 이미지를 희망, 부드러움(조현주 외, 2013)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핑크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중성적이지만 부드러운 이미지의 로맨틱 스타일과 매니쉬 스타일이 혼재된 파워 슈트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모석희의 복귀, 탈환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부드러운 카리스마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그림 16]에서는 한제국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당당한 퇴장이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종말, 강함, 허무, 엄숙, 침묵, 절망(문은배, 2011; 조현주 외, 2013)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블랙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차가운 이미지의 매니쉬 스타일의 파워 슈트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한제국의 MC그룹에 대한 진심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충성과 카리스마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그림 17]은 하영서의 캐릭터 이미지의 드라마의상을 의미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MC일가의 파멸이라는 내적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통사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하영서의 반발적 이미지를 위험, 금지, 부도덕, 범죄, 수난, 반발(문은배, 2011; 조현주 외, 2013) 등의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레드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여 강렬한 이미지의 엘레강스 스타일의 머메이드 라인 재킷스타일 원피스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하영서의 파멸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미전달의 기능을 화려한 몰락이라는 언어구조로 정립하였다. 따라서 서사구조 결말 단계에서의 중심인물의 의상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표 8>과 같다.

서사구조 결말 단계의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이상과 같이 <우아한 가>의 드라마의상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의미론적 측면에서 드라마의 서사구조에 따른 내적의미로 해석하였고, 통사론적 측면에서 영상언어의 형태, 색상, 스타일 등의 표현양식으로 해석하였으며, 실용론적 측면에서는 상징적 의미와 의미전달의 기능성을 언어 구조로 구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표 9>와 같다.

모리스 기호이론을 활용한 <우아한 가>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Ⅳ.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TV드라마 <우아한 가>의 중심인물의 독특한 캐릭터화와 내면적 의미와 요소란 서사코드를 영상언어의 표현양식으로 형상화한 드라마의상이 언어적 의미전달이 가능한지를 모리스의 기호이론을 차용하여 규명한 후 서사구조의 시각적인 형상(영상언어)의 언어구조로 구축하는 것이었다. 이로써 드라마의상의 의미표출 양식을 정립함으로써 드라마 이해도를 높여주고 작품, 캐릭터 등의 다양한 해석과 유추가 가능한 영상언어로써 시청자와의 의미전달을 위한 도구임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모석희가 착용한 드라마의상을 모리스의 기호이론으로 분석한 결과, 의미론적 측면에서 드라마의 서사구조에 따라 내면적인 다중적 성격, 경영권 탈환을 위한 정치적 행보 예고, 반전 이미지, 지혜로운 당돌함, MC그룹 경영권 탈환 등의 내적의미로 해석하였고, 통사론적 측면에서 다중적 이미지, 부드러우면서 강인한 이미지, 강렬하고 강인한 이미지, 당당한 이미지, 중성적이면서 부드러운 이미지의 트렌디한 스타일을 영상언어의 표현 양식으로 구성되었음을 도출하였다. 실용론적 측면에서는 위장, 부드러운 카리스마와 권위, 파격과 반전, 부드러운 카리스마라는 상징적 의미와 의미전달의 기능성을 언어 구조로 구축하였다.

두 번째, 한제국이 착용한 드라마의상을 모리스의 기호이론으로 분석한 결과, 의미론적 측면에서 드라마의 서사구조에 따라 TOP팀 최고 권력자, MC그룹 실세 전략가, 전략적 음모와 계략, 집요한 권력 집착, 당당한 퇴장 등의 내적의미로 해석하였고, 통사론적 측면에서 남성적 이미지, 냉철한 이미지, 중성적인 이미지, 강렬하고 남성적인 이미지, 차가운 이미지의 매니쉬한 스타일을 영상언어의 표현 양식으로 구성되었음을 도출하였다. 실용론적 측면에서는 카리스마와 권력, 냉철하면서 강인한 카리스마, 지배와 권력 그리고 냉철한 판단능력, 권력욕과 지배욕, 충성과 카리스마라는 상징적 의미와 의미전달의 기능성을 언어 구조로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하영서가 착용한 드라마의상을 모리스의 기호이론으로 분석한 결과, 의미론적 측면에서 드라마의 서사구조에 따라 신분과시를 위한 도발과 과장, 집착적 모성애, 진실 은폐, 파멸 등의 내적의미로 해석하였고, 통사론적 측면에서 과장된 이미지, 부드럽게 절제된 이미지, 강렬한 이미지의 엘레강스한 스타일을 영상언어의 표현 양식으로 구성되었음을 도출하였다. 실용론적 측면에서는 경박함과 야망과 도발, 허세와 비뚤어진 권위욕, 절망과 좌절, 반전과 변화, 화려한 몰락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의미전달의 기능성을 언어 구조로 구축하였다.

결론적으로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에 의한 의미표출 양식을 분석한 결과, 캐릭터 내면의 내적 의미를 기반으로 드라마의상의 영상언어 표현양식을 도출하였고 이 표현양식의 분석을 통해 언어 구조로 구축함으로써 드라마의상의 영상언어의 언어구조화 과정 정립은 물론 언어적 의미전달 기능의 가능성을 규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드라마의상을 위한 분석 및 해석의 다양한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후속 연구를 통한 다양한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라 사려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0학년도 제주대학교 교육연구 및 학생지도비 지원에 의해서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강성률(2017). 영화 색채 미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경용(2014).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주)민음사.
  • 김영인, 김은경, 김지영, 김혜수, ... 추선형(2009). 패션의 색채언어. 파주: (주)교문사.
  • 김유선(2009). 영화의상디자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은경(2001). 기호학적 접근에 의한 20세기 패션의 특성 고찰과 복식디자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장현, 김영삼(2014).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의 영화의상에 나타난 환상성의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 문화적 환상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6(1), 26-43.
  • 김치수, 김성도, 박인철, 박일우(2016). 현대기호학의 발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노은영(2018). 뮤지컬의상과 영화의상의 표현방식 연구 - ‘스위니 토드’를 사례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2), 215-229.
  • 류수현(2006). 판타지 영화 의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슈퍼영웅의 파워 이미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류수현, 김민자(2007). 판타지 영화의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슈퍼영웅의 파워 이미지를 중심으로. 복식, 57(10), 112-128.
  • 문은배(2011). 색채 디자인 교과서. 파주: (주)안그라픽스.
  • 박일우(1993). 모리스의 미학기호학. 한국프랑스학논집, 19(0), 65-77.
  • 백선기(2001). 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백선기(2015). 미디어 기호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소두영(1991). 상징의 과학 기호학. 서울: 인간사랑.
  • 신혜원, 김희라(2014). 영화의상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복식, 64(7), 1-10.
  • 우아한가(2020). https://www.mbn.co.kr/vod/programContents/802/5150/82079, 에서 인출.
  • 장혜숙(2018). 무대의상디자인. 서울: 연극과인간.
  • 전여선, 김장현, 김영삼(2013). 무대의상에 나타난 다원적 절충주의의 경향에 관한 연구. 복식, 63(6), 1-13.
  • 전우성, 김인형(2013). 기호학적 방법을 통한 (코리아)에 내재된 스포츠 이데올로기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7(2), 19-35.
  • 조창연, 이주영(2016). 기호학과 미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조현주, 이광훈, 정혜민(2013). 쉽게 이해하는 색채학. 서울: (주)시그마프레스.
  • DAUM(2020). 우아한가, https://search.daum.net/search?w=tv&q=%EC%9A%B0%EC%95%84%ED%95%9C%20%EA%B0%80&irk=85572&irt=tv-program&DA=TVP, 에서인출.

[그림 1]

[그림 1]
모리스의 기호학. <출처>>소두영, 1991. p.61(김은경, 2001 ‘재인용’)

[그림 2]

[그림 2]
중심인물간의 관계구조

<표 1>

드라마 <우아한 가>의 스토리 서사에서 도출한 갈등

구분 회 차 서사구조의 스토리 스토리에서 도출한 갈등
발단 1~3회 모석희가 등장하게 된 배경, 갈등관계 형성. 앞으로 전개될 대립과 갈등전개 암시, 모석희의 다중적 성격 노출
전개 4,5회 어머니의 사망원인을 밝히기 위한 모석희의 MC그룹 경영권 확보를 위한 행보 및 이를 뒷받침하는 할아버지 모왕표회장의 회복 및 지분·재산 증여. 경영권 승계를 위한 전략
(지배, 권력, 장악 시도)
위기 6~12회 한제국에 의한 경영승계를 위한 시도와 이에 따라 파생된 음모, 계략.
경영승계를 앞둔 모완준이 트렌스젠더임이 드러남.
모석희의 전략 실패,
음모, 좌절, 분노, 절망, 반전I
절정 13~15회 모석희의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며 아버지 모철희가 쓰러져 의식불명 상태가 됨. 이때 한제국은 MC그룹을 위해 모완준을 대표로 만들고자함. 출생의 비밀, 지배 권력 장악을 위한
전략, 반전II
결말 16회 모석희 어머니 살인사건의 진범이 모완수로 밝혀지고 한제국을 비롯한 하영서, 모완준 등이 실형에 처함. MC그룹은 전문경영체제로 운영되고 모석희는 허윤도와 행복한 일상으로 돌아감. 진실 규명, 해피앤딩

<표 2>

드라마 <우아한 가>의 중심인물 캐릭터 분석

중심인물 캐릭터 캐릭터화 이미지
모석희 MC그룹의 실질적 후계자.
어머니의 죽음을 밝히기 위해 MC그룹의 오너가 되고자 함.
복수, 복권(復權), 반전,
카리스마
한제국 MC그룹의 영속성을 위해 일하는 자.
MC패밀리가 아닌 MC그룹을 지키려함.
권력, 지배, 카리스마,
냉철한 판단력, 충성
하영서 MC그룹의 권력을 탐하는 자.
간호사 출신으로 아들들을 빌미로 MC그룹을 차지하려 함.
사리사욕, 욕망, 야망, 욕심

<표 3>

모리스의 기호이론을 활용한 드라마의상의 의미표출 양식

모리스의 기호이론 드라마의상의 의미표출 양식
통사론적 측면 심미적 외향성을 결정하는 시각적인 요소와 조형원리로 분석하는 것 영상언어적 기능이 내재된 드라마의상의 시각적인 형태, 색상, 스타일 등을 분석하는 과정 영상언어의 표현양식
의미론적 측면 인간의 정신세계와 관련된 작가의 정신, 세계관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미적차원의 의미로 분석하는 것 드라마의 서사구조에 따른 캐릭터 특성 및 작가의도 등이 내재된 의미를 분석하 는 것 캐릭터의 내적의미
실용론적 측면 조형의 미적 가치, 상징적인 내용 가치의 내재적 기능과 효과적인 의미 전달의 기능성으로 분석하는 것 캐릭터 내면의 내적의미를 바탕으로 전달되는 상징적 의미와 언어적 표현의 의미 전달 기능성을 분석하는 것 언어의 구조화

<표 4>

서사구조 발단 단계의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발단 : 대립과 갈등전개 암시, 모석희의 다중적 생활
중심인물 캐릭터 이미지의 의상 비교
모석희 한제국 하영서
통사론적
측면
영상
언어

표현
양식
형태
<출처>드라마 <우아한 가> 화면캡쳐
그림 3 그림 4 그림 5
피티드 실루엣 원피스 파워슈트 X라인 실루엣 드레스
색상 실버계열 화이트&
블랙계열
퍼플계열
이미지&
스타일
다중적 이미지 남성적 이미지 과장된 이미지
로맨틱 + 아방가르드
스타일
매니쉬 스타일 엘레강스 스타일
의미론적
측면
캐릭터의
내적의미
내면적인 다중적 성격 표현 TOP팀의
최고 권력자 표현
신분과시를 위한
도발 표현
실용론적
측면
언어의
구조화
위장 카리스마, 권력 경박함, 야망, 도발

<표 5>

서사구조 전개 단계의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전개 : 경영권 승계를 위한 전략(지배, 권력, 장악 시도)
중심인물 캐릭터 이미지의 의상 비교
모석희 한제국 하영서
통사론적
측면
영상
언어

표현
양식
형태
<출처>드라마 <우아한 가> 화면캡쳐
그림 6 그림7 그림 8
파워숄더
재킷&
A라인 스커트
베스트 & 팬츠 X라인 실루엣 투피스
색상 화이트 화이트 & 그레이계열 블랙 계열
이미지
&
스타일
부드러우면서
강인한 이미지
냉철한 이미지 과장된 이미지
매니쉬 + 엘레강스 스타일 매니쉬 스타일 엘레강스 스타일
의미론적
측면
캐릭터의
내적의미
경영권 탈환을 위한 정치적
행보 표현
MC그룹 실세 전략가 표현 신분과시를 위한
과장된 표현
실용론적
측면
언어의
구조화
부드러운 카리스마, 권위 냉철하면서 강인한
카리스마
허세, 비뚤어진 권위욕

<표 6>

서사구조 위기 단계의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위기 : 모석희의 전략 실패 음모, 좌절, 분노, 절망, 반전I
중심인물 캐릭터 이미지의 의상 비교
모석희 한제국 하영서
통사론적
측면
영상
언어

표현
양식
형태
<출처>드라마 <우아한 가> 화면캡쳐
그림 9 그림 10 그림 11
A라인 원피스 파워슈트 X라인 실루엣 원피스
색상 레드 계열 화이트 & 베이지 계열 블루계열
이미지
&
스타일
강렬한 이미지,
여성스러운 이미지
중성적인 이미지 절제된 이미지
로맨틱 + 아방가르드
스타일
매니쉬 스타일 엘레강스 스타일
의미론적
측면
캐릭터의
내적의미
증오, 반전 이미지 표현 전략적 음모, 계략 표현 집착적 모성애 표현
실용론적
측면
언어의
구조화
파격, 반전 지배, 권력,
냉철한 판단능력
절망, 좌절

<표 7>

서사구조 절정 단계의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절정 : 출생의 비밀, 지배 권력 장악을 위한 전략 반전II
중심인물 캐릭터 이미지의 의상 비교
모석희 한제국 하영서
통사론적
측면
영상
언어

표현
양식
형태
<출처>드라마 <우아한 가> 화면캡쳐
그림 12 그림 13 그림 14
파워 숄더 재킷 더블 여밈의
파워 슈트
X라인 실루엣 투피스
색상 핑크계열 블랙계열 화이트& 블루계열
이미지&
스타일
당당한 이미지 강인한 이미지, 남성적인
이미지
부드럽게 절제된 이미지
매니쉬 + 아방가르드
스타일
매니쉬 스타일 엘레강스 스타일
의미론적
측면
캐릭터의
내적의미
무죄를 밝힌 지혜로운
당돌함의 표현
집요한 권력집착 표현 진실 은폐의 표현
실용론적
측면
언어의
구조화
부드러운 카리스마 권력욕, 지배욕 반전, 변화

<표 8>

서사구조 결말 단계의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결말 : 진실 규명, 해피앤딩
중심인물 캐릭터 이미지의 의상 비교
모석희 한제국 하영서
통사론적
측면
영상
언어

표현
양식
형태
<출처>드라마 <우아한 가> 화면캡쳐
그림 15 그림 16 그림 17
파워슈트 파워슈트 머메이드라인 재킷 원피스
색상 핑크 계열 블랙계열 레드계열
이미지&
스타일
중성적이지만 부드러운
이미지
차가운 이미지 강렬한 이미지
로맨틱 + 매니쉬 스타일 엘레강스 스타일 엘레강스 스타일
의미론적
측면
캐릭터의
내적의미
MC그룹 경영권 탈환 표현 당당한 퇴장 표현 파멸 표현
실용론적
측면
언어의
구조화
부드러운 카리스마 충성, 카리스마 화려한 몰락

<표 9>

모리스 기호이론을 활용한 <우아한 가> 드라마의상의 기호학적 분석

모리스의
기호이론
통사론적 측면 의미론적 측면 실용론적 측면
드라마의상의
의미표출양식
영상언어의 표현양식 캐릭터의 내적의미 언어의구조화















다중적 이미지의
로맨틱 + 아방가르드 스타일
내면적인 다중적
성격 표현
위장

부드러우면서 강인한 이미지의
매니쉬 + 엘레강스 스타일
경영권 탈환을 위한 정치적 행보
표현
부드러운 카리스마, 권위

강렬한 이미지와 여성스러운
이미지의
로맨틱 + 아방가르드 스타일
증오, 반전 이미지표현 파격, 반전

당당한 이미지의
매니쉬 + 아방가르드
스타일
무죄를 밝힌 지혜로운 당돌함의
표현
부드러운 카리스마

중성적이고 부드러운 이미지의
로맨틱 + 매니쉬 스타일
MC그룹 경영권 탈환 부드러운 카리스마



남성적인 이미지의 매니쉬
스타일
TOP팀의
최고 권력자 표현
카리스마, 권력

냉철한 이미지의
매니쉬 스타일
MC그룹 실세 전략가 표현 냉철하면서 강인한 카리스마

중성적인 이미지의 매니쉬
스타일
전략적 음모, 계략 표현 지배, 권력,
냉철한 판단능력

강인한 이미지와 남성적인
이미지의 매니쉬 스타일
집요한 권력집착 표현 권력욕, 지배욕

차가운 이미지의
매니쉬 스타일
당당한 퇴장 표현 충성, 카리스마



과장된 이미지의 엘레강스
스타일
신분과시를 위한
도발표현
경박함, 야망, 도발

과장된 이미지의 엘레강스
스타일
신분과시를 위한
과장된 표현
허세, 비뚤어진 권위욕

절제된 이미지의 엘레강스
스타일
집착적 모성애 표현 절망, 좌절

부드럽게 절제된 이미지의
엘레강스 스타일
진실 은폐의 표현 반전, 변화

강렬한 이미지의 엘레강스
스타일
파멸 표현 화려한 몰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