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30, No. 1, pp.143-155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1
Received 27 Oct 2020 Revised 15 Jan 2021 Accepted 27 Jan 2021
DOI: https://doi.org/10.5934/kjhe.2021.30.1.143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수행사업에 대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의 인식

조윤경 ; 이묘묘 ; 이영은*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석사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박사 과정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Perception of Program Performance of Headquater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Jo, Yun Keung ; LI, MIAOMIAO ; Lee, Young E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Lee, Young Eun Tel: +82-43-261-2742, Fax:: +82-43-261-2742 E-mail: ylee@chungbuk.ac.kr

ⓒ 2021,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eadquarter Center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HCCFSM) to provide measures for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of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CCFSM).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43 employees working in CCFSM from October 26th to December 31st, 2018.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 version 23.0. The necessity of revising and disseminating the checklist commentary of HCCFSM was evaluated to be high, with an average of 4.14 points. The role of presenting overall work guide by providing a guideline was evaluated to have 3.76 points. The usefulness of the guideline was evaluated to have 3.67 points.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diet preparation program was evaluated to have 4.07 points. The necessity of the diet preparation program was evaluated to have 3.71 points. The convenience of automating nutrient analysis when using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3.61 points. The necessity of rental educational materials was evaluated to be the highest at 4.58 points. The reduction of teaching tools production time due to rental of educational materials was evaluated to have 4.29 points. The overall satisfaction had 4.42 points. As a result, HCCFSM is required to improve system functions and the need sharing system for reducing work hours of CCFSM business as the control tower. To have systematic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HCCFSM, not only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but also sufficient human resources are needed.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system with business sharing of other institution and supporting.

Keywords:

Headquarter center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Perception

키워드: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어린이급식관리, 인식

Ⅰ. 서론

급격한 산업화로 가족 구조의 축소, 여성의 경제활동이 증가함으로 인해 자녀양육 및 교육, 저출산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었다.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 1991년에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되었고 3,690개소였던 어린이집은 2019년 12월 기준으로 37,371개소로 약 10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보육 아동 수는 1,365,085명으로 조사되었다(통계청, 2018). 유치원은 2011년 8,424개소에서 2018년 9,021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보육 아동 수는 675,998명으로 조사되었다(통계청, 2018).

정부는 어린이시설의 양적 확충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영양, 급ㆍ간식 관리, 건강, 위생, 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실제적인 영양관리의 기준과 근본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어린이시설에서의 안전, 건강과 영양관련 사고는 증가하고 있으며 보육시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적인 측면의 향상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김수연 외, 2011).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기는 신체 발달뿐만 아니라 의사소통과 사회성, 정서, 인지 등의 발달에 기초가 되는 시기이며, 총체적인 영역에서 발달이 이루어짐에 따라 필수적인 기본적 생활 습관들의 기초가 다져지는 시기이다(김정현, 황혜신, 2010). 보육시설에서의 활동 시간은 최대 하루 12시간 이상을 보내면서 점심 1회와 간식 2회를 섭취하며, 야간제, 24시간제 등 보육 시간에 따라 석식까지 섭취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활동 시간의 대부분을 보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영유아를 위해 양질의 급식은 제공하는 것이 이들의 성장과 활발한 신체 기능 조절 및 사회 인지적 능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박선미, 2003; Turner & Hagin, 2007).

식품위생법에 따라 100인 미만의 어린이급식소는 영양사 고용의무가 없으며, 2019년 「어린이집 보육교직원현황」에 의하면 전체 어린이집에 교육원 영양사는 923명(2.3%)이다(통계청, 2018). 영양사 고용이 의무화되지 않은 100명 미만인 대부분 어린이집은 전담 영양사의 부재로 급식의 계획과 배식을 급식관리 전문가가 아닌 비전문 인력인 원장 및 교사가 영양 및 위생 관련 업무를 맡고 있었으며, 어린이집 및 유치원의 급식을 담당할 수 있는 영양적 지식이 있는 교사 또는 영양사 채용이 요구되는 실정이었다(구재옥, 최경숙, 2001; 이영미, 오유진, 2005).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식 전문 인력의 부재, 급식소요 재원과 급식시설 설비를 갖추기 위한 재원 조달 문제, 운영자의 위생 인지도 결여 등 개선이 필요하였다(박영주 외, 2003; 이선주 외, 1999; 장혜자 외, 2008: 조미숙, 2000)

이러한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어린이 먹거리 안전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영유아에게 제공되는 급식의 전문적인 관리를 위하여 2008년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이 제정하였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의 설치·운영에 대한 근거가 명시되었고, 영유아보육법, 유아교육법, 학교급식법등의 대상이 되는 어린이 대상 급식소를 사업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2011년 12개소 설치 시작으로 2020년 9월 기준 229개소가 설치·운영되고 있으며, 전문가를 통해 어린이 대상 급식소의 위생·안전 및 영양을 체계적으로 관리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식품의약품안전처, 2020).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사업은 어린이 대상 급식소를 방문하여 위생·안전 및 영양 순회방문지도, 대상별(어린이, 원장, 조리원, 보육교사, 부모 등) 교육, 대상별 맞춤 식단 및 레시피 제공, 가정통신문 제공, 지역연계행사, 급식운영전반에 대한 지원 및 정보제공 등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급한다(식품의약품안전처, 2020).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운영과 지원에 따른 선행연구에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급식 및 어린의 식태도 변화와 위생안전관리 순회방문 지도에 따른 급식소 조리원의 위생교육 및 영양관리,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지식변화 등에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김혜영 외, 2013; 박길남, 2012; 박미경, 2017; 박헌내, 김순미, 2016; 서유진, 전민선, 2015; 여윤재 외, 2015).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지원 여부에 따른 어린이 급식소의 영양·위생·급식관리 비교분석 (박미경, 2017)에서 지원을 받는 어린이집과 지원받지 않은 어린이집의 위생관리를 비교한 결과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사업의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급격한 양적 증가에 따른 효율적인 센터 운영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 연구를 실시하였고,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센터 내의 중복 업무 단순화 및 간소화, 센터 관련 기관 네트워크 업무 일원화 및 표준화, 센터 내·외부로부터 요구되는 기준의 일관성, 개별 센터 업무의 중앙 관리에 의한 공유 및 공유화, 센터 인적 자원의 역량 강화와 등록시설 인식 개선을 통한 업무력 향상 등이 요구되며 이 방안들은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설립 및 인트라넷 구축을 통해 가능하다고 하였다(박경, 2015).

따라서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확대·추진함에 따라 통합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설치에 대한 법적 근거가 2014년 1월에 마련되었으며, 2016년 2월에 중앙센터를 설치하였다(법제처, 2018).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는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수행하는 공통 업무를 표준화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운영 및 관리 등으로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통합관리 및 지원을 하는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고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가이드라인(2018)에 따르면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역할 및 주요 업무는 어린이 연령별 맞춤형 식단 및 레시피 개발 및 보급, 대상별 교육자료 및 부모 대상 가정통신문 개발 및 보급, 표준화된 지침서(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 해설서) 개정 및 보급, 직원역량강화교육, 내방상담 운영, 센터정보관리시스템 및 어린이 식단 작성 프로그램 운영 및 관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인지도 확산을 위한 다채널 홍보, 기타 업무 보고 등이다(식품의약품안전처, 2020).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지원사업에 대해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들이 현장에서 업무 수행 시 인식하는 효과와 실효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수행지원사업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고, 이를 센터 예산규모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수행사업의 효과를 높이고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를 위해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전체 센터에 공지후 설문지 작성에 동의한 698명의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근무하고 있는 직원(팀장, 팀원) 대상으로 2018년 10월 26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목적과 조사내용을 포함한 동의서와 함께 설문지를 우편 및 이메일을 통해 698부를 배포하였고 444부를 회수하여 부실 작성된 1부를 제외한 443부가 분석에 이용하였다(분석율 63.4%).

2. 조사방법 및 도구

지역센터 대상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중앙센터 팀원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조사대상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의 일반 사항은 8항목, ‘가이드라인 개정 및 보급과 위생·안전·영양 체크리스트 해설서 개정 및 보급 업무 평가’는 18항목, ‘교육 자료집 제공 업무’는 14항목,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의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업무’는 9 항목, ‘식단 관련 업무’는 35항목,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와 내방상담 업무는’ 12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평가는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완성된 설문지는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IRB-201808-SB-684-01)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3. 통계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Version 23, IBM, Armonk, NY, USA)를 이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수행한 사업에 대해 평가에 대한 분석은 사업예산규모에 따라 항목별 점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증은 Duncan’s multiple 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0.05를 이용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 사항

조사대상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의 일반적 특성은 <표 1>에 제시하였다. 성별은 여자 480명(97.1%)이었고, 20대가 242명(54.6%)으로 과반수이었다. 직급은 팀장이 101명(22.8%), 팀원이 342명(77.2%)이었다. 최종학력은 4년제 대학 졸업한 직원이 287명(64.8%), 현 직장에서의 근속년수는 2년∼5년 미만이 190명(42.9%)이었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 N=443(100.0%)

근무지역이 시·도 지역은 227명(51.2%), 광역시 144명(32.5%), 서울 및 경기도 72명(16.3%)이었고, 수탁 기관이 대학교 산학협력단인 센터에 397명(89.6%), 영양사협회인 센터에 33명(7.4%), 법인인 센터에 13명(2.9%)이었다. 사업예산규모는 6억 이상 센터에 246명(55.5%), 3∼5억 센터에 174명(39.3%), 1∼2억 센터에 23명(5.2%)이었다.

2. 가이드라인 개정 및 보급과 위생·안전·영양 체크리스트 개정 및 보급 업무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가이드라인 개정 및 보급 업무에 대한 평가를 <표 2>에 제시하였다. 가이드라인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지역급식지원관리센터 대상으로 매년 개정 및 보급을 하고 지역센터는 가이드라인을 활용하며 질의 사항이 있는 경우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 문의하여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가이드라인 개정 및 보급과 위생·안전·영양 체크리스트 개정 및 보급 업무 Mean±SD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가이드라인 개정 및 보급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평가는 평균 3.9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가이드라인 제공에 인한 전체적인 업무 가이드 제시 역할’은 3.76점, ‘가이드라인의 유용성’은 3.67점이었다. 다만, ‘가이드라인의 제공시기의 적절성’은 2.61점으로 평가 항목 중 가장 낮았으며, 필요성은 3.93점, 전반적인 만족도는 3.49점으로 보통수준이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센터 운영을 위한 차년도 가이드라인은 12월에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차년도 센터 운영계획과 이에 대한 의견 개정 및 자문을 위한 운영위원회는 보통 12월에 실시되므로 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가이드라인 제공시기를 앞당길 필요가 있겠다. 센터의 예산 사업예산규모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는 위생·안전·영양 체크리스트 개정 및 보급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는 위생·안전·영양 체크리스트를 활용하며 순회방문지도를 실시하고 질의 사항이 있는 경우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 문의하여 사업을 운영한다. 위생·안전체크리스트를 집단급식소용은 6개 영역 45문항, 소규모급식소용 6개 영역 29문항, 영양체크리스트는 집단, 소규모 구분 없이 5개 영역 1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체크리스트 해설서 개정 및 보급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평가는 평균 4.14점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체크리스트 해설서로 인한 업무 가이드 제시 역할 수행정도’는 3.93점, ‘체크리스트 해설서의 유용성’은 3.90점이었다.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들이 체크리스트 해설서를 통해 순회 방문 시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체크리스트 해설서에 전반적인 만족도’ 점수는 3.84점으로 나타났다. 체크리스트 해설서에 대한 4점대의 필요성 인식 수준에 비해 만족도는 3점대의 보통 수준으로 나타나, 제공시기의 조정을 통해 만족도가 향상되도록 할 필요가 있겠다.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체크리스트 해설서 제공에 따른 업무시간 절감’ 항목에서 1∼2억 센터에서는 4.13점, 3∼5억 센터에서는 3.87점, 6억 이상 센터에서는 3.71점으로 나타나 사업예산규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6억 이상 센터보다 1∼2억 센터에서보다 업무 시간 절감에 도움이 되고 있었다(p<0.01). 체크리스트 해설서 관련하여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질의응답에 대한 만족도 6억 이상 센터(3.45점)에 비해 1∼2억 센터(3.87점)에서 만족도가 더 높았다(p<0.05). 이는 1∼2억 사업예산규모의 직원 운영 기준이 팀장 없이 팀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중앙센터에 많은 질의에 대한 정확한 응답을 통해 업무에 도움을 받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3. 교육자료집 제공 업무

어린이 대상 교육자료집과 원장, 조리원, 보육교사, 부모 대상 교육자료집 제공 업무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다. ‘타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 및 타 기관의 어린이 대상 교육자료집 공유의 필요성’에 대해 평균 4.13점으로 가장 높았고, ‘어린이 대상 교육자료집의 유용성’은 3.44점이었고, ‘자료집 제공으로 인한 업무시간 절감’에 대해서는 3.04점으로 평가하였다. ‘어린이 대상 교육 자료집에 대한 필요성’은 3.86점, 전반적인 만족도는 3.47점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필요성에 비해 낮은 만족도 향상을 위해 활용 가능성이 높은 자료를 개발하여 이용률 향상을 통해 직원의 업무시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교육 자료집 제공 업무 Mean±SD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어린이 대상 교육자료집 제공에 따른 업무시간 절감에 대해 1∼2억 센터는 3.83점, 3∼5억 센터는 3.06점, 6억 이상 센터는 2.94점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예산규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어린이대상교육자료집의유용성’(p<0.001), ‘어린이 대상 교육자료집의 전반적인 만족도’(p<0.001), ‘어린이 대상 교육자료집에 대한 필요성’(p<0.01), ‘어린이 대상 교육자료집의 전문성’(p<0.05)에 대해서도 3억 이상 센터보다 1∼2억 센터의 점수가 더 높았다. 이는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교육자료 지원으로 1∼2억 센터는 직원의 업무량 및 사업비를 절감할 수 있어 만족도도 높으나 3억 이상의 사업예산규모 센터는 예산 사용에 있어 다양한 교구를 구입할 수 있고, 운영 경력이 있는 3억 이상의 센터의 경우 기존에 개발한 자료가 상당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양교육 교재에 관한 연구(김창임 외, 2006)에서도 영양교육을 실시하는데 자신이 있다고 답한 영양사는 23.8%뿐이었고, 자신이 없는 이유는 ‘교육 자료의 부족’, ‘시간의 부족’이었다. 따라서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 1∼2억 사업예산규모 센터의 경우 직원 수가 적기 때문에 교육 자료집 공유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개선을 위한 연구(박경, 2015)에서도 교육프로그램, 자료 및 교구의 공용화 및 공유의 필요성에 대한 제시하였다.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는 전국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의 어린이 교육자료집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의 체계화를 통해 지역센터 직원은 어린이 교육자료집 개발 및 교구 제작 시 교구 및 교육자료에 대한 자료조사 및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업무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원장, 조리원, 보육교사, 부모 등 교육자료집에 대한 필요성’은 평균 3.97점, ‘타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 및 타 기관의 원장, 조리원, 보육교사, 부모 등 교육 자료집 공유의 필요성’이 3.95점이었고, 전반적인 만족도는 3.67점이었다. 시의적절하고 지역센터의 특수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자료의 개발을 통해 만족도를 높이도록 하여야 하겠다.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교육자료집 제공시기의 적절성’(p<0.01), ‘전반적인 만족도’(p<0.01), ‘자료집 제공에 따른 업무시간 절감’(p<0.01), ‘교육 자료집의 전문성’(p<0.05) 항목에 대해 3억 이상 센터보다 1∼2억 센터의 점수가 더 높았다. 이는 1∼2억 센터 직원의 수가 더 적으며, 어린이 급식소 요구에 따라 다양한 교육 자료를 제작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여, 중앙센터 교육 자료를 통해 교육 자료 개발하는 시간의 절감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관리에 따른 급식 운영에 관한 연구(성기옥, 2014)에서도 어린이집 교직원 및 학부모에게 위생복의 착용과 관리, 식자재 및 식재료의 관리의 필요성, 적당한 영양소의 공급, 인스턴트식품의 유해성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박미희, 2016)에서는 학부모에게 더욱 다양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영국에서는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영양, 식품 관련 사업을 위해 보건부가 교육부서와 협약을 맺어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하며 교육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김혜련, 2009). 향후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도 타 정부 기관과 협력하여 대상별 교육자료를 다양한 주제로 개발하여 보급기관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겠다.

4.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의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업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의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업무 평가 결과를 <표 4>에 제시하였다. ‘직원의역량강화교육프로그램 필요성’은 평균 3.80점 ‘전반적인 만족도’는 3.58점, ‘직원의역량강화교육프로그램 유용성’은 3.57점, ‘직원의역량강화교육프로그램 시기의 적절성’은 3.3.4점, ‘직원의역량강화교육프로그램 횟수의 적절성’은 3.36점이었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시기, 횟수 등에 있어서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직원의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시기의 적절성’(p<0.05), ‘전반적인 만족도’(p<0.05)는 3억 이상 센터보다 1∼2억 센터에서의 점수가 더 높았고 동의하는 부분이많았으며, ‘직원의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의 유용성’(p<0.05)은 6억 이상 센터보다 1∼2억 센터가 더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운영 가이드라인에 따라 직원교육 시 전체 사업규모의 1% 예산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업규모가 작을수록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이 적고, 1∼2억 센터는 대부분 군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강사 초빙에도 어려움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직원의 역량의강화교육프로그램의 개신을 위해 경력과 직무에 따른 단계적이고 쳬계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며, 참여를 향상을 위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제공 또한 필요하겠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업무 Mean±SD

5. 식단관련 업무

식단관련 업무평가 결과를 <표 5>에 제시하였다. 식단관련 업무는 각 지역센터에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작성한 식단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본 항목은 중앙센터의 식단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지역센터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중앙센터의 식단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식단작성 프로그램 기능 개선의 필요성’은 4.07점, ‘식단 작성프로그램의 필요성’이 3.71점, ‘프로그램 사용 시 영양소분석 자동화의 편리성’이 3.61점이었다. 이는 대부분 지역센터는 식단 작성시 기존에 사용했던 프로그램이 어린이 식단작성프로그램 기능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었다. ‘프로그램을 통한 식단작성 과정의 간소화’, ‘프로그램 사용 시 업무시간 절감’은 3.14점이었으며, 전반적인 만족도는 3.40점 이었다. 식단작성 프로그램의 효율적 개선을 통해 작성과정이 실제 업무 절감에 효과적이도록 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하겠다.

식단관련 업무 Mean±SD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프로그램 사용 시 식단수정의용이성’(p<0.01), ‘프로그램의 편리성’(p<0.05), 프로그램 사용 시 ‘레시피작성의 편리성’(p<0.05), ‘전반적인 만족도’(p<0.05), ‘프로그램의 유용성’(p<0.05), ‘프로그램을 통한 식단작성 과정의 간소화’(p<0.05), ‘프로그램 사용 시 업무시간 절감’(p<0.05) 항목도 3억 이상보다 1∼2억 센터에서의 평가점수가 더 높았다. ‘프로그램의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p<0.01), ‘프로그램 전문성’(p<0.05) 항목은 6억 이상 및 1∼2억 센터에서의 평가점수가 더 높았다. 이는 1∼2억 사업규모의 센터는 식단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일부 수정하므로 어린이 식단 작성프로그램 사용 시 레시피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변경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며 반대로 3억 이상의 센터에서는 이미 사용했던 프로그램에 저장되어 있는 레시피의 양과 어린이 식단작성프로그램에 있는 레시피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재작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다른 프로그램 사용 기간과 숙련도가 길수록 새로운 프로그램에 적응하기 더 어렵고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식단의 제공 시기 적절성’이 3.72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식단 개발·보급의 필요성’이 3.50점,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식단 유형의 다양화 필요성‘ 3.46점 순이었다. 전반적인 만족도는 3.06점이었다.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는 식단 제공 날짜보다 2달 전에 홈페이지에 게시하며, 일반식단은 7종, 특수식단은 4종을 제공한다. 식단 개발·보급의 필요성이 보통 수준인 것은 각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가 지역의 특색, 특산물, 급식소 유형별 급식의 요구사항 등을 더 잘 반영하여 작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만족도 향상을 위해 지역별 어린이집의 특수성 및 환경, 식재료 수급상황 등을 고려한 식단의 제공이 필요하겠다.

선행 연구(이영은, 2015)에서는 직원들의 식단작성에 대한 직무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고, 중앙센터에서 제공하는 식단을 유포하기 전에 전문가와 유아 기관에 오랜 경험이 있는 영양사를 활용한 감수위원회를 조직하여 감수 후에 배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어린이 식단작성프로그램에서 식단 자동 저장, 단가, 제출 식재료 사용 기능의 추가가 필요하며, 타 식단작성프로그램의 영양소 분석결과가 일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이 필요하겠다.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식단으로 인해 업무시간 절감’(p<0.001), ‘식단 작성 가이드 제시역할’(p<0.01), ‘전반적인 만족도’(p<0.01), ‘참고할 수 있는 자료’(p<0.05), ‘식단의 유용성’(p<0.05) 항목은 3억 이상보다 1∼2억 센터에서 평균점수가 높았다. 1∼2억 센터는 업무시간 절감, 식단 작성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 식단 작성 가이드 역할 항목에 대해서는 평균 4점 이상이었고, 사업예산규모 직원 수가 적어 식단을 작성하는 것보다는 식단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일부만 변경하여 사용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레시피 개발·보급의 필요성’은 평균 3.58점,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제공한 레시피의 유용성’은 3.27점, ‘전반적인 만족도’는 3.26점이었다.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제공되는 레시피가 지역센테에서 레시피 작성시에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함으로써 업무 절감에 효과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선행연구(양일선, 2015)에서는 실질적인 영양관리를 위해 1인 1회 분량 기준 및 표준레시피를 제공함으로써 어린이의 영양관리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업무시간 절감’(p<0.001), ‘전반적인 만족도’(p<0.01), ‘식단작성의 가이드 역할’(p<0.01), ‘레시피의 전문성’(p<0.01), ‘레시피의 유용성’(p<0.01), ‘레시피 개발·보급의 필요성’(p<0.05) 항목 모두 3억 이상보다 1∼2억 센터에서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신규 레시피 개발·보급의 필요성을 비롯하여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사업 중 신규 레시피에 관한 모든 항목이 1점대로 나타났고, 필요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 또한 1.80점과 1.70점으로 매우 낮았다. 이는 신규 레시피에 대한 사업에 대한 평가를 매우 낮게 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지역센터에서 신규 레시피를 자체 개발하고 있고, 신규 레시피 개발 건수가 많기 때문에 사용과 필요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는 어린이급식소 유형별, 조리원의 경력, 지역의 식재료 수급 상황을 고려하여 레시피를 개발하고 있고, 개소한지 오래된 센터의 경우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신규 레시피가 새롭게 느껴지지 않았으며 어린이급식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조리법이 제시되는 경우가 많아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좀더 실용적이며, 어린이집 급식운영환경에 적합한, 창의적인 신규메뉴의 제시가 필요하겠다.

6.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 홍보 및 내방상담 업무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 업무와 내방상담 평가 결과를 <표 6>에 제시하였다. 중앙센터의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와 내방상담 업무를 이용하는 경우는 매우 적었으며, 해당 업무를 사용하는 지역센터에 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의 필요성’은 4.58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구 및 교육 자료 대여로 인한 교구 제작 시간의 절감’이 4.29점, ‘전반적인 만족도’는 4.42점이었다.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업무 중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 업무의 평가점수가 가장 높았다. 선행연구 (박은혜, 이영은, 2015)에서도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교육자료 등 다양한 매체들을 공유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인력과 예산을 절약하도록 하고,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어린이 급식소에 적합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각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로 배포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와 내방상담 업무 Mean±SD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의 필요성’(p<0.001)은 6억 이상보다 1∼5억 센터에서 더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는 교구 및 교육 자료 대여 시 사업규모가 작거나 신규센터가 우선 대여되기 때문이다.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현재 다채널 홍보를 운영하고 있으며,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카카오옐로우아이디는 1,394명, NAVER TV는 416명이 현재 구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채널홍보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다채널홍보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해서’가 205명(61.4%), ‘센터자체 SNS홍보가 있어서’가 81명(24.3%), ‘업무량이 많아서’가 42명(12.6%), ‘지방자치단체에서 홍보해서’가 6명(1.8%)이었다(표 미제시). 육아종합지원센터 관련 선행 연구(조현정, 2018)에서는 홍보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공익 광고 등 방송 매체를 활용한 홍보를 담당하도록 역할과 예산을 부여하며, 육아종합지원센터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공동 슬로건의 홍보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향후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도 다채널 홍보에 활용의 효율성 증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내방상담의 필요성’은 4.18점으로 ‘내방상담 시 센터현장방문의 필요성’은 4.14점, ‘내방상담의 유용성’은 4.00점이었다.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신청을 받고 있으며, 신규센터는 우선적으로 신청하여 맞춤형 상담을 지원한다.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들의 서류작성 방법, 어린이급식소 지원 부분은 중앙센터에서보다는 현장에서 더 필요하기 때문에 향후 내방상담 진행 시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팀별 체계적 교육을 실시하고, 서류 업무, 어린이 급식소 순회방문 및 어린이 교육의 노하우, 문서 작성 방법 등 실질적인 업무 방향에 관한 상담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바탕한 상담매뉴얼과 내방상담을 운영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필요하겠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과 사업에 관한 연구(장진경 외, 2006)에서도 상담사업 영역의 효율화를 위해 센터 자체의 상담 매뉴얼 개발과 전문적인 상담을 위한 전문성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Ⅴ.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 26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수행사업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수행사업의 효과를 높이고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총 64개의 센터, 443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직급은 팀장 101명, 팀원 342명, 근무지역이 시·도 지역은 227명(51.2%), 광역시 144명(32.5%), 서울 및 경기도 72명(16.3%)이었고, 수탁기관이 대학교 산학협력단인 센터에 397명(89.6%), 영양사협회인 센터에 33명(7.4%), 법인인 센터에 13명(2.9%)이었다. 사업예산규모로는 6억 이상 센터에 246명(55.5%), 3∼5억 센터에 174명(39.3%), 1∼2억 센터에 23명(5.2%)이었다.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체크리스트해설서 개정 및 보급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평가는 평균 4.14점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체크리스트 해설서 제공에 따른 업무시간 절감’ 항목에서 1∼2억 센터에서는 4.13점, 3∼5억 센터에서는 3.87점, 6억 이상 센터에서는 3.71점으로 나타나 사업예산규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6억 이상 센터보다 1∼2억 센터에서보다 업무 시간 절감에 도움이 되고 있었다(p<0.01). 타 지역급식관리지원센터 및 타 기관의 어린이 대상 교육 자료집 공유의 필요성에 대해 평균 4.13점으로 가장 높았다.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어린이 대상 교육 자료집 제공에 따른 업무시간 절감에 대해 1∼2억 센터는 3.83점, 3∼5억 센터는 3.06점, 6억 이상 센터는 2.94점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예산규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원장, 조리원, 보육교사, 부모 등 교육자료집에 대한 필요성은 평균 3.97점이였다.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교육자료집 제공 시기의 적절성’(p<0.01), ‘전반적인 만족도’(p<0.01), ‘교육자료집의 전문성’(p<0.05) 항목에 대해 3억 이상 센터보다 1∼2억 센터의 점수가 더 높았다. 직원의 역량강화교육프로그램 필요성은 평균 3.80점, 전반적인 만족도는 3.58점, 유용성은 3.57점이었다.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직원의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시기의 적절성’(p<0.05), ‘전반적인 만족도’(p<0.05)는 3억 이상 센터보다 1∼2억 센터에서의 점수가 더 높았고 동의하는 부분이 많았다. 식단작성 프로그램 기능개선의 필요성은 4.07점, 식단 작성프로그램의 필요성이 3.71점, 프로그램 사용 시 영양소분석 자동화의 편리성이 3.61점이었다.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식단작성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p<0.01), ‘레시피의 유용성’(p<0.01), ‘레시피 개발·보급의 필요성’(p<0.05) 항목 모두 3억 이상보다 1∼2억 센터에서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의 필요성’은 4.58점으로 가장 높았고, 사업예산규모별로 비교한 결과,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의 필요성’(p<0.001)은 6억 이상보다 1∼5억 센터에서 더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표준화된 지침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정 및 보급 시기를 맞추기 않을 경우 센터 업무에 영향력이 줄 수 있기 때문에 개정되는 사항에 세부지침을 공지하며 일관된 기준에 따라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하다. 대상별 어린이, 원장, 조리원, 교사, 부모 등의 교육자료집 제공 외에도 기존에 개발한 타 센터의 교육 안, 교육자료, 프로그램, 교구 등의 공용화 필요하다. 이를 통해 시설의 유형, 사업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교육 및 교구 자료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업무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에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지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자료 공유 방안 마련과 관리가 필요하겠다.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지원 사업 중 만족도 및 유용성이 낮은 업무영역에 대한 효율성 및 효과성 증대를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지역센터, 각 지방자치단체, 수탁기관과의 긴밀한 유대관계를 형성함으로써 환경변화와 이에 따라 정책과 관련하여, 적합한 사업을 해나가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효율적인 인력배치와 예산 운영이 중요하겠다. 사업공유 및 지원 등의 협조체제를 구축하여야 하며,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의 주도적 역할이 요구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IRB-201808-SB-684-01)의 승인을 받아 제1저자의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이고, 2019년 한국생활과학학회 동계연합학술대회에서 포스터 발표되었음.

References

  • 김수연, 양일선, 이보숙, 백승희, ... 김영신(2011). 서울·경기지역보육시설 및 유치원 대상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지원 요구도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6(6), 730-739.
  • 김혜련(2009). 영국 어린이 식생활 안전 및 영양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파악 및 자료 수집 출장보고서(p.1-10), 런던, 영국.
  • 구재옥, 최경숙(2001). 보건소 영유아 영양사업 실태와 보건소 종사자와 영유아모의 영양사업 요구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6(3), 354-360.
  • 김정현, 황혜신(2010). 유아의 식생활행동과 행동문제와의 관련성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43(6), 578-587.
  • 김혜영, 양일선, 채인숙, 이보숙, ... 이해영(2013).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지원에 대한 효과 평가: 메뉴관리 및 식사다양성.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8(3), 243-256.
  • 김창임, 박영숙, 이정원, 현화진(2006). 학교영양사가 요구하는 영양교육 교재의 특성. 대한영양사협회, 12(3), 243-253.
  • 박경(2015).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 개선을 위한 연구.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의약품안전처 정책 연구 결과 보고서(p. 65-127). 경상북도, 한국
  • 박길남(2012).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가 어린이집 및 유치원의 급식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회논문.
  • 박미경(2017). 경상남도 지역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지원여부에 따른 어린이 급식소의 영양·위생·급식관리 비교분석. 경남대학교 석사학회논문.
  • 박미희(2016). 인천지역 영유아 부모의 보육시설 급식에 대한 만족도 및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인식. 충북대학교 석사학회논문.
  • 박선미(2003). 경북 북부지역 보육시설의 급식운영 및 영양소 섭취실태 조사-50인 이상 100인 미만을 대상으로. 상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영주, 곽동경, 강영재, 정흥관(2003). 영유아 보육시설의 조리실 시설 현황 조사 및 조리실 시설 설계 기준안 개발.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9(3), 219-232.
  • 박은혜, 이영은(2015).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의 업무만족,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4(12), 1881-1894.
  • 박헌내, 김순미(2016).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 시설 국물음식의 염도 모니터링.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6(6), 507-516.
  • 법제처(2018).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 한국 세종: 법제처.
  • 서유진, 전민선(2015).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교육 프로그램이 영유아 보육교사의 배식위생 수행도 및 영유아 급식소 배식환경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6), 447-459.
  • 성기옥(2014).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관리 전·후에 따른 급식 운영 비교 : 인천광역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식품의약품안전처(2020).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가이드라인. 한국 청주:식품의약품안전처.
  • 양일선(2015).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설치 운영에 따른 효과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의약품안전처 정책연구 연구결과 보고서(p.68-72), 서울, 한국.
  • 여윤재, 권수연, 고세린, 김지윤(2015). 서울 소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수행 사업에 대한 어린이 급식소의 만족도 분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5(4), 703-709.
  • 이영은(2015).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지원 어린이의 식생활형태조사 연구. 원광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의약품안전처 정책연구 연구결과보고서(p.166-167, 192-194), 전라북도, 한국.
  • 이선주, 박어진, 박금순(1999). 어린이집 급식에 대한 식품 기호도 및 만족도 조사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9(1), 35-45.
  • 이영미, 오유진(2005). 유아교육기관의 급식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 및 인식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0(2), 141-150.
  • 장진경, 오제은, 류진아, 원소연, 한은주(2006).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과 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6), 1-16.
  • 장혜자, 박영주 고은선(2008). 영유아 보육시설의 급식 관리 실태 및 개선 방안.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4(3), 229-242.
  • 조미숙(2000). 영유아 보육시설 어린이들의 영양, 건강상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5(4), 313-323.
  • 조현정(2018). 육아종합지원센터 지원기능의 활성화 탐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통계청(2018). 어린이집 및 유치원 보육 아동 수. 한국 대전: 통계청.
  • Turner, L, Hagin, S. (2007). Overweight among Chicago preschool children. Public Health, 121, 51-53. [https://doi.org/10.1016/j.puhe.2006.08.001]

<표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 N=443(100.0%)

항목 n(%)





성별 여자 430(97.1)
남자 13(2.9)
나이 20대 242(54.6)
30대 155(35.0)
40대 이상 46(10.4)
직급 팀장 101(22.8)
팀원 342(77.2)
최종학력 2년제 대학 27(6.1)
3년제 대학 30(6.8)
4년제 대학 287(64.8)
대학원 재학 이상 99(22.3)
현 직장에서의 근속년수 2년 미만 182(41.1)
2년 ∼ 5년 미만 190(42.9)
5년 이상 71(16.0)
근무지역 시·도 227(51.2)
광역시 144(32.5)
서울 및 경기도 72(16.3)
수탁기관 대학교 산학협력단 397(89.6)
영양사협회 33(7.4)
법인 13(2.9)
사업규모 1∼2억 23(5.2)
3∼5억 174(39.3)
6억 이상 246(55.5)

<표 2>

가이드라인 개정 및 보급과 위생·안전·영양 체크리스트 개정 및 보급 업무 Mean±SD

문항 사업예산규모 F-value Total
(n=443)
1∼2억
(n=23)
3∼5억
(n=174)
6억 이상
(n=246)
*p<.05, **p<.01
Likert 5점 척도 : 1점-전혀 그렇지 않다, 2점-그렇지 않다, 3점-보통이다, 4점-그렇다, 5점-매우 그렇다.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 b) with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p<0.05)
가이드라인의 제공시기의 적절성 2.61±1.31 2.70±1.04 2.56±1.00 0.917 2.61±1.03
가이드라인 제공에 따른 업무시간 절감 3.61±0.99 3.45±0.89 3.32±0.84 1.972 3.39±0.87
가이드라인 제공에 인한 전체적인 업무 가이드 제시 역할 수행도 3.65±0.88 3.83±0.73 3.72±0.76 1.216 3.76±0.76
가이드라인의 전문성 3.65±0.88 3.70±0.80 3.56±0.71 1.728 3.62±0.76
가이드라인의 유용성 3.74±0.92 3.71±0.81 3.63±0.75 0.540 3.67±0.78
가이드라인에 해당하는 법령에 대한 정확성 3.57±0.79 3.61±0.81 3.50±0.79 0.994 3.55±0.80
가이드라인 관련하여 중앙센터의 질의응답에 대한 만족도 3.70±0.93 3.40±0.95 3.28±0.81 2.914 3.35±0.88
중앙센터에서 가이드라인 개정·보급에 대한 필요성 4.13±0.81 3.94±0.70 3.89±0.74 1.174 3.93±0.73
가이드라인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3.57±0.95 3.56±0.83 3.43±0.79 1.345 3.49±0.81
체크리스트 해설서 제공시기의 적절성 3.57±0.99a 3.14±0.80b 3.09±0.83b 3.492* 3.13±0.83
체크리스트 해설서 제공에 따른 업무시간 절감 4.13±0.63a 3.87±0.69ab 3.71±0.75b 5.184** 3.80±0.73
체크리스트 해설서로 인한 업무 가이드 제시 역할 4.22±0.60 3.96±0.67 3.89±0.68 2.668 3.93±0.68
체크리스트 해설서의 전문성 4.26±0.62a 3.93±0.71b 3.77±0.73b 6.165** 3.86±0.72
체크리스트 해설서의 유용성 4.22±0.60a 3.94±0.69b 3.83±0.72b 3.796* 3.90±0.70
체크리스트 해설서 관련 법령에 대한 정확성 4.00±0.60 3.87±0.72 3.73±0.79 2.772 3.80±0.76
체크리스트 해설서 관련하여 중앙센터의 질의응답에 대한 만족도 3.87±0.69a 3.63±0.84ab 3.45±0.84b 4.248* 3.54±0.84
중앙센터에서 체크리스트해설서 개정·보급에 대한 필요성 4.39±0.66 4.20±0.67 4.09±0.71 2.814 4.14±0.70
체크리스트 해설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4.35±0.65a 3.89±0.69b 3.76±0.76b 7.390** 3.84±0.74

<표 3>

교육 자료집 제공 업무 Mean±SD

문항 사업예산규모 F-value Total
(n=427)
1∼2억
(n=23)
3∼5억
(n=172)
6억 이상
(n=232)
*p<.05, **p<.01, ***p<.001
Likert 5점 척도 : 1점-전혀 그렇지 않다, 2점-그렇지 않다, 3점-보통이다, 4점-그렇다, 5점-매우 그렇다.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 b) with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p<0.05)
어린이 대상 교육 자료집 제공시기의 적절성 3.43±1.08 3.13±0.80 3.15±0.77 1.472 3.16±0.80
어린이 대상 교육 자료집 제공에 따른 업무시간 절감 3.83±0.89a 3.06±0.91b 2.94±0.82b 11.384*** 3.04±0.88
어린이 대상 교육 자료집의 전문성 3.87±0.81a 3.48±0.69b 3.50±0.65b 3.451* 3.51±0.68
어린이 대상 교육 자료집의 유용성 4.13±0.81a 3.44±0.81b 3.37±0.73b 10.411*** 3.44±0.78
타 지역센터 및 타 기관의 어린이 대상 교육 자료집 공유의 필요성 4.35±0.71a 4.21±0.74ab 4.05±0.72b 3.520* 4.13±0.73
어린이 대상 교육 자료집에 대한 필요성 4.35±0.71a 3.90±0.78b 3.78±0.71b 6.539** 3.86±0.75
어린이 대상 교육 자료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4.13±0.81a 3.47±0.78b 3.41±0.66b 10.643*** 3.47±0.74
원장,조리원,보육교사,부모 등 대상 교육 자료집 제공시기의 적절성 3.87±0.76a 3.21±0.79b 3.29±0.75b 7.551** 3.29±0.78
원장,조리원,보육교사,부모 등 대상 교육 자료집 제공에 따른 업무시간 절감 3.96±0.71a 3.30±0.88b 3.36±0.88b 5.801** 3.37±0.88
원장, 조리원, 보육교사, 부모 등 대상 교육 자료집의 전문성 4.00±0.74a 3.68±0.66b 3.63±0.71b 3.114* 3.67±0.69
원장, 조리원, 보육교사, 부모 등 대상 교육 자료집의 유용성 3.91±0.73 3.68±0.70 3.63±0.75 1.582 3.67±0.73
타 지역센터 및 타 기관의 원장, 조리원, 보육교사, 부모 등 대상 교육 자료집 공유의 필요성 4.09±0.67 3.96±0.79 3.94±0.75 0.424 3.95±0.76
원장,조리원, 보육교사, 부모 등 대상 교육 자료집에 대한
필요성
4.17±0.72 4.00±0.73 3.92±0.72 1.539 3.97±0.73
원장, 조리원, 보육교사, 부모 등 대상 교육 자료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4.13±0.69a 3.61±0.76b 3.66±0.74b 5.010** 3.67±0.75

<표 4>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업무 Mean±SD

문항 사업예산규모 F-value Total
(n=443)
1∼2억
(n=23)
3∼5억
(n=174)
6억 이상
(n=246)
*p<.05
Likert 5점 척도 : 1점-전혀 그렇지 않다, 2점-그렇지 않다, 3점-보통이다, 4점-그렇다, 5점-매우 그렇다.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 b) with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p<0.05)
직원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시기의 적절성 3.70±0.63a 3.34±0.68b 3.31±0.74b 3.085* 3.34±0.72
직원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횟수의 적절성 3.61±0.72 3.41±0.71 3.30±0.73 2.820 3.36±0.72
직원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구성의 적절성 3.52±0.67 3.52±0.69 3.43±0.68 0.884 3.47±0.68
직원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방법의 적절성 3.70±0.56 3.52±0.67 3.48±0.67 1.115 3.51±0.67
직원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수준의 적절성 3.78±0.60 3.53±0.71 3.51±0.70 1.610 3.53±0.70
직원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 3.83±0.72 3.56±0.72 3.50±0.70 2.436 3.54±0.71
직원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의 유용성 3.87±0.63a 3.61±0.69ab 3.50±0.76b 3.310* 3.57±0.73
직원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3.96±0.71 3.86±0.76 3.75±0.77 1.439 3.80±0.76
직원역량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3.91±0.73a 3.61±0.71b 3.53±0.73b 3.228* 3.58±0.72

<표 5>

식단관련 업무 Mean±SD

문항 사업예산규모 F-value Total
(n=244)
1∼2억
(n=12)
3∼5억
(n=97)
6억 이상
(n=135)
*p<.05, **p<.01, ***p<.001
Likert 5점 척도 : 1점-전혀 그렇지 않다, 2점-그렇지 않다, 3점-보통이다, 4점-그렇다, 5점-매우 그렇다.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 b) with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p<0.05)
프로그램 사용 시 영양소분석 자동화 편리성 4.08±0.51 3.61±0.85 3.56±0.82 2.230 3.61±0.82
프로그램 사용 시 레시피 작성의 편리성 4.00±0.60a 3.31±0.88b 3.25±0.94b 3.751* 3.31±0.92
프로그램 사용 시 식단 수정 용이성 4.00±0.60a 3.28±0.93b 3.08±1.02b 5.430** 3.20±0.98
프로그램을 통한 작성과정의 간소화 3.83±0.83a 3.13±1.02b 3.08±0.98b 3.196* 3.14±1.00
프로그램 사용 시 업무시간 절감 3.83±0.94a 3.05±1.17b 3.15±1.01b 2.838* 3.14±1.08
프로그램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적음 3.83±0.94 3.32±0.91 3.23±0.95 2.353 3.30±0.94
프로그램의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 3.75±0.75a 3.36±0.84ab 3.09±0.92b 4.878** 3.23±0.90
프로그램의 편리성 3.92±0.67a 3.14±0.94b 3.19±0.88b 4.045* 3.20±0.91
프로그램의 전문성 3.83±0.58a 3.48±0.71ab 3.32±0.82a 3.259* 3.41±0.77
프로그램의 유용성 4.00±0.60a 3.38±0.94b 3.30±0.90b 3.277* 3.37±0.91
프로그램의 기능 및 개선 필요성 3.58±0.90 4.07±0.74 4.10±0.78 2.539 4.07±0.77
어린이 식단작성프로그램의 필요성 3.92±0.67 3.65±0.82 3.74±0.87 0.700 3.71±0.84
식단 작성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4.00±0.74a 3.39±0.78b 3.35±0.82b 3.627* 3.40±0.81
중앙센터에서 제공하는 식단 유형의 다양화 필요성 3.08±0.79 3.59±0.91 3.41±0.95 2.106 3.46±0.94
중앙센터에서 제공하는 식단의 제공 시기 적절성 4.00±0.60 3.71±0.71 3.70±0.82 0.864 3.72±0.77
중앙센터에서 제공하는 식단으로 인해 업무시간 절감 4.08±0.67a 2.76±1.02b 2.89±1.11b 8.326*** 2.90±1.09
중앙센터에서 제공하는 식단이 참고할 수 있는 자료 4.00±0.60a 3.23±1.04b 3.41±1.02b 3.375* 3.36±1.02
중앙센터에서 제공하는 식단이 식단 작성 가이드 제시역할 4.00±0.74a 2.88±1.05b 2.99±1.01b 6.514** 3.00±0.04
중앙센터에서 제공한 식단의 전문성 3.67±0.89 3.06±0.90 3.07±0.88 2.614 3.09±0.90
중앙센터에서 제공한 식단의 유용성 3.83±0.58a 3.05±0.93b 3.13±0.90b 4.013* 3.14±0.91
식단 개발·보급의 필요성 3.92±0.67 3.42±0.89 3.53±0.87 1.818 3.50±0.87
중앙센터에서 제공한 식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3.83±0.83a 3.06±0.84b 2.99±0.92b 4.985** 3.06±0.90
중앙센터에서 제공한 레시피로 인한 업무 시간 절감 4.33±0.49a 3.08±1.04b 3.06±1.04b 8.753*** 3.13±1.05
중앙센터에서 제공하는 레시피가 레시피 작성의 가이드 제시 역할 4.17±0.72a 3.21±0.96b 3.08±0.99b 6.971** 3.18±0.99
중앙센터에서 제공한 레시피의 전문성 3.92±0.90a 3.30±0.81b 3.12±0.87b 5.420** 3.23±0.86
중앙센터에서 제공한 레시피의 유용성 4.08±0.67a 3.29±0.89b 3.19±0.95b 5.356** 3.27±0.93
레시피 개발·보급의 필요성 4.25±0.62a 3.48±0.94b 3.59±0.87b 3.968* 3.58±0.90
중앙센터에서 제공한 레시피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4.17±0.72a 3.26±0.8b 3.19±0.86b 7.329** 3.26±0.87
신규 레시피 제공 개수의 적절성 1.75±2.18 1.36±1.80 2.04±1.97 3.603 1.76±1.93
신규 레시피 분류의 다양성 1.67±2.06 1.33±1.73 1.84±1.81 2.336 1.63±1.80
중앙센터에서 제공한 신규 레시피 제공으로 인한 업무시간 절감 1.58±1.98 1.44±1.88 1.93±1.91 1.856 1.72±1.90
중앙센터에서 제공한 신규 레시피는 참고할 수 있는 자료 1.67±2.06 1.44±1.88 1.96±1.93 2.022 1.74±1.93
중앙센터에서 제공한 신규 레시피의 전문성 1.50±1.93 1.34±1.76 1.82±1.82 2.050 1.61±1.81
중앙센터에서 제공한 신규 레시피의 유용성 1.67±2.06 1.37±1.80 1.90±0.87 2.272 1.68±1.86
신규 레시피 개발·보급의 필요성 1.67±2.06 1.52±1.96 2.02±1.98 1.881 1.80±1.99
중앙센터에서 제공한 신규레시피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67±2.06 1.39±1.82 1.92±1.87 2.259 1.70±1.87

<표 6>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와 내방상담 업무 Mean±SD

문항 사업예산규모 F-value Total
(n=31)
1∼2억
(n=9)
3∼5억
(n=8)
6억 이상
(n=14)
*p<.05, **p<.01, ***p<.001
Likert 5점 척도 : 1점-전혀 그렇지 않다, 2점-그렇지 않다, 3점-보통이다, 4점-그렇다, 5점-매우 그렇다.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 b) with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p<0.05)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 이용시 신청시기의 적절성 3.67±0.87a 3.00±0.00b 3.71±0.47a 4.560* 3.52±0.63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의 전문성 3.89±1.05 4.00±0.00 3.86±0.53 0.118 3.90±0.65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의 유용성 4.33±0.71 4.00±0.00 3.93±0.47 1.904 4.06±0.51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로 인한 교구 제작 시간의 절감 4.22±0.83b 5.00±0.00a 3.93±0.27b 12.745*** 4.29±0.64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의 필요성 4.89±0.33a 5.00±0.00a 4.14±0.36b 26.596*** 4.58±0.50
교구 및 교육자료 대여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4.33±1.00b 5.00±0.00a 4.14±0.36b 5.526** 4.42±0.67
1∼2억
(n=8)
3∼5억
(n=18)
6억 이상
(n=2)
F-value Total
(n=28)
내방상담 신청 시기의 적절성 4.13±0.64a 3.78±0.43a 2.00±0.00b 15.168*** 3.75±0.70
내방상담의 전문성 4.13±1.13 3.83±0.38 4.00±0.00 0.530 3.93±0.66
내방상담의 유용성 4.38±0.74 3.83±0.51 4.00±0.00 2.425 4.00±0.61
내방상담 시 센터 현장 방문의 필요성 3.75±1.28 4.22±0.43 5.00±0.00 2.410 4.14±0.80
내방상담의 필요성 4.25±0.71 4.06±0.42 5.00±0.00 3.225 4.18±0.55
내방상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4.38±0.74 3.83±0.38 4.00±0.00 3.186 4.00±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