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30, No. 5, pp.803-817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1
Received 01 Dec 2020 Revised 29 Jul 2021 Accepted 04 Aug 2021
DOI: https://doi.org/10.5934/kjhe.2021.30.5.803

브랜드 래코드 분석을 통한 업사이클 패션디자인 개발

서여평 ; 최윤미*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석사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Development of upcycle fashion design: analysis of the RE;CODE brand
SHU LIPING ; Choi, Yoonmi*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Choi, Yoonmi Tel: +82-42-821-6821 Fax: +82-42-821-8887 E-mail: ymchoi@cnu.ac.kr

ⓒ 2021,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rapid growth of the global economy has been coupled with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from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posal processes. Interestingly, this has consequently s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upcycle fashion driven by increasing concern for the environment among other factor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upcycle design, analyzed a typical upcycle fashion brand RE; CODE, and developed upcycle designs as real fashion items.

Firs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upcycle fashion. Second, it analyzed the elements,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works by selecting representative upcycle brands. Third, upcycle designs were divided into three themes (heterogeneous mix-and-match, minimal functionality, and romantic retro) and designed 6 fashion items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As for design process, researchers collected second-hand clothing, and selected methods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them, and highlighted characteristics that fit the three them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an insight into the importance of upcycle fashion design. Based in addition, based on our findings we highlighted that upcycle fashion will be developed through higher popularization of brands to consumers, and research with upcycle brand analysis and design presentation.

Keywords:

Design methods, RE; CODE, Sustainable fashion, Upcycle fashion

키워드:

디자인 방법, 래코드, 업사이클 패션, 지속가능한 패션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글로벌 경제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물질적인 풍요와 더불어 개개인의 요구사항은 다양해지고 있다. 양적 성장에 따른 의류산업의 생산, 소비, 폐기 과정의 부정적인 이면의 부각과 사회 문제가 야기됨에 따라 업사이클 패션디자인(Upcycle Fashion Design)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의류업체는 친환경적인 행보로써 폐의류 회수와 재활용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며 지속 가능성을 강조하는 기업 정신을 실천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 가능성을 실현하는 좋은 의도의 업사이클 디자인도 소비자의 관심과 주목을 받지 못하면 환경, 사회문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업사이클 디자인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은 주제에 따른 일회적인 디자인 제시가 주를 이루며 현재 트렌드를 반영한 업사이클 패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업사이클 대표 브랜드인 래코드(RE; CODE)의 디자인 요소 및 기법 분석을 바탕으로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을 제작하고자 한다. 폐의류나 폐소재를 활용하는 업사이클 디자인은 기존 디자인과 다른 방식으로 제작되므로 선도 브랜드를 분석하고 디자인 과정을 보다 명확히 하여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전개와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은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업사이클 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며 업사이클 디자인의 가치를 고찰한다. 둘째, 업사이클 디자인의 선도 브랜드인 래코드의 디자인 요소, 방법, 특성을 분석한다. 래코드는 2012년부터 지속 가능 컨셉으로 버려진 폐자재들을 다양한 기법으로 재활용하여 국내외에 지속적으로 업사이클 패션 컬렉션을 선보인 국내 브랜드이다. 셋째, 앞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디자인 방법을 구체적으로 적용하여 업사이클 디자인 6점을 직접 개발하고 완성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 사례 연구, 디자인 개발로 구성된다. 문헌 연구로 업사이클 패션 디자인에 관한 서적, 학회지, 인터넷 자료 등을 활용하여 업사이클 디자인의 개념, 특성을 밝힌다. 사례 연구는 브랜드 래코드의 런칭 시점인 2012 FW부터 연구 당시 최신 자료인 2019 SS까지 모든 컬렉션 사진을 수집하여 업사이클 패션 디자인의 요소, 방법, 특성을 분석한다. 대표 브랜드 선정 사유는 업사이클 패션 디자인 방식으로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컬렉션을 진행한 고감도의 선도적 브랜드이며 홈페이지에 룩북이 제시되어 전체 작품의 이미지 수집이 가능하고 디자인 분석에 사용될 작품의 수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디자인 개발은 브랜드 래코드의 디자인 분석 결과로 도출한 이질적 형태의 믹스매치, 미니멀한 기능성, 낭만적인 복고풍으로 주제를 나누고 각 주제별 2개씩 총 6개의 디자인을 SS시즌 여성복으로 제안한다. 중고 의류 94점을 수집하여 각 중고 의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주 소재로 사용될 재킷 6점, 부 소재로 사용될 셔츠 2점, 블라우스 2점, 원피스 1점, 스커트 1점을 활용하여 개발한다. 본 연구의 업사이클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는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업사이클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Ⅱ. 이론적 배경

1. 업사이클 디자인의 개념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산업 디자인 분야에서 21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가치관으로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을 강조하고 있다(김수현, 이재성, 2006). 지속 가능성이란 특정한 과정 혹은 상태를 다양하고 생산성 있게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생물학적 또는 생활체계를 말한다(국혜승, 2014). 구체적인 실천 방법 중 하나로 환경 보호와 자원 재활용을 위한 업사이클 문화가 주목받고 있다. 업사이클은 Upgrade와 Recycle의 합성어이며, 한국 업사이클 디자인 협회(KUD)는 업사이클이란 ‘재활용에서 더 나아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발상하여 제품의 용도를 전환하여 지속가능한 가치를 부여함’으로 정의하고 있다. 재활용, 환경 보존, 새로운 가치 부여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지속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 중 하나이다.

업사이클이라는 용어는 1994년 독일의 디자이너인 리너 필츠(Rener Pliz)가 처음 사용하였다. 그는 업사이클링이란 ‘쓸모없는 것들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진정한 의미라고 하였다(정유란, 2012). 위키피디아(Wikipedia, 2020)에 따르면 이 용어는 2002년 윌리엄 맥도너(William Mcdonough)와 미하엘 브라운가르트(Michael Braungart)의 ‘요람에서 요람으로: 우리가 사물을 다시 만드는 방법(Cradle to Cradle : Remaking the Way We Make Things)’에서 중심 주제로 다룬 것이 계기가 되었으며, 업사이클에 대한 정의는 앵거스 미들(Angus Midle)에 의해 확대되었다. 그는 업사이클이란 불필요하고 낡은 물건의 일부분을 다시 사용해서 재창조한 디자인이며, 새로운 제품을 만들거나 다른 자원을 사용하여 폐기물을 줄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김자연, 2015).

2. 업사이클 디자인의 특성

업사이클 디자인은 단순히 폐품 재사용을 통한 자원 보호의 의미를 넘어, 디자인과 예술적 감성의 결합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한다(이재희, 2015). 버려지는 자재를 활용하여 외형을 변형시켜 소비자에게 시각적인 임팩트(impact)를 선사하는 외형적 특성으로부터 업사이클 디자인의 기본이 시작된다. 공장에서 똑같은 틀로 생산되는 양산형 제품이 아닌, 제품 소재로 생각되지 않는 폐품을 재사용하며 독특한 디자인 특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대형 트럭의 더럽고 낡은 방수 천막을 세탁하여 디자이너가 재단하고 재봉한 프라이탁(Freitag) 가방은 거친 방수천의 외형적 특성으로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트럭 방수천 한 개에서 재활용 가능한 부분은 비록 50% 미만이지만, 새로운 외형으로 탈바꿈한 프라이탁 가방은 매년 30만개 이상의 판매를 기록하고 있다(정유란, 2012).

외형적 특성뿐만 아니라 업사이클 디자인의 내적 특성도 중요하다. 업사이클 디자인은 물질적 가치와 더불어 제품에 담긴 오랜 시간과 의미를 중요시하는 정신적 가치를 추구한다(이루미, 2015). 제품에 내재된 윤리적, 사회 공헌적 가치를 표방하는 슬로우 패션(slow fashion)으로써 친환경 제품의 판매 수익금은 사회적 약자를 돕는 프로그램 운영 등에 사용되는 공적 가치를 추구하는 내적 의미가 담겨있다. 이처럼 업사이클 디자인은 재료의 수명 연장뿐만 아니라 제품에 담겨진 내적 가치도 중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Ⅲ. 업사이클 브랜드 래코드 분석

래코드는 환경 보호의 목적으로 코오롱인더스트리가 2012년 시작한 국내 대기업 최초의 업사이클 브랜드로서 소각되는 재고 의류의 폐해를 줄이고자 폐 의류 및 군용 소재를 재활용하고 플라스틱에서 추출한 재생 소재를 사용한다. 국내외 유명 디자이너들 및 타브랜드와 협업을 통해 업사이클링 문화를 확대하고, 수익금 일부를 소외계층, 저소득층 아동들에게 지원하거나 업사이클링의 인식 확산을 위한 '송년 리테이블'과 같은 업사이클링 체험 행사를 진행하며 사회 공헌적 가치도 실현하고 있다.

버려지는 폐의류나 소재를 재활용하여 가치를 부가하는 업사이클 디자인은 일반적인 디자인 방법과 다른 고유한 방식으로 전개되며 이를 이해하고 응용하고자 대표 브랜드인 래코드를 선정하여 2012 FW부터 2019 SS까지 작품 이미지 553점을 자사 홈페이지에서 수집하여 각 작품에 사용된 디자인 요소, 방법, 특성을 분석하였다. 디자인 요소는 형태, 색채, 소재로 나누고, 디자인 방법은 발상과 장식 방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사용된 디자인 요소와 방법을 분석한 후 착장의 전체적인 특성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1. 브랜드 래코드의 디자인 요소별 특성

1) 형태

래코드 디자인의 형태는 [그림 2]와 같이 주로 과하지 않고 넉넉하며 상하가 수직인 스트레이트 실루엣이 많다. [그림 3]과 같이 원단을 이어붙이는 기법을 사용하며 의복 안에 원형, 사각형, 불규칙적인 작은 도형 등을 배치한다. [그림 4]와 같이 재킷 길이는 짧거나 엉덩이 위치까지 내려온다. 재킷 아래 다른 원단을 붙이거나 다른 아이템을 활용하여 코디하기도 한다. 원단을 덧붙이는 방법으로 의복의 옆선에 천을 이어서 통을 넓히거나 두 겹의 여밈선, 칼라 위에 칼라를 붙이는 두 겹 칼라, 안과 겉을 바꾸거나 점퍼를 케이프로 변형하기도 한다.

[그림 2]

17FW 스트레이트 실루엣<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3]

19SS 내부의 구조<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4]

13FW 의복의 길이<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2) 색채

색상은 주로 검정, 흰색, 남색 계열인 단색의 무채색을 사용하며 유채색은 의복의 포인트로 사용한다. 색의 조화방법은 유사조화방법, 동일조화방법이 주로 사용되며 한 가지 색상을 선택하여 [그림 5]와 같이 하늘색과 짙은 파란색으로 명도 변화를 통해 조화를 이룬다.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세련되며 차분한 느낌을 표현한다.

[그림 5]

16SS 하의 동일 배색<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대비 배색으로 악센트 컬러 배색도 사용되며 [그림 6]과 같이 악센트 컬러인 노란색은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파괴하지 않고 시선을 집중시키는 강조 효과를 낸다. [그림 7]과 같이 흑백의 고명도 대비와 회색이 시크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톤은 P(pale)톤, Lg(light grayish)톤, G(grayish)톤, Dg(dark grayish)톤 등 채도가 낮은 색조가 응용된다.

[그림 6]

19SS 악센트 컬러 배색<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7]

17FW 명도 대비 배색<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3) 소재

소재는 크게 의류 폐기물, 산업 폐기물, 군용 폐기물을 활용하며, 의류 폐기물은 재고로 처리되어 소각되던 슈트, 셔츠, 팬츠, 스포츠의류, 신발 등을 다양하게 사용한다. [그림8]은 기존 의류에 사용된 니트와 체크 원단을 활용한 재킷 아이템으로 의류 폐기물은 지적 장애단체 '굿윌스토어'를 통해 해체되어 새로운 디자인으로 탄생된다. 산업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산업폐기물도 중요 소재가 된다. [그림9]는 에어백 또는 자동차 시트 등 산업 폐기물을 의류로 탈바꿈하여 모던함과 기능성 등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다. 군용 폐기물은 정해진 사용 기간이 지난 군용품, 일부 불량품, 소량만 남아 소비되지 못한 채 소각되는 군용품 등이 래코드의 소재가 된다. [그림10]과 같이 군 의류, 군 텐트, 낙하산 등의 소재는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특유의 컬러, 그래픽 패턴, 빈티지한 느낌 표현에 활용된다. 래코드는 한 작품에 3~5개의 소재를 사용하여 니트와 우븐, 패딩과 가죽을 결합하고, 소재의 무늬와 재질을 다양하게 배치한다.

[그림 8]

12FW 의류 폐기물<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9]

15SS 산업 폐기물<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10]

15FW 군용 폐기물<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2. 브랜드 래코드의 디자인 방법

1) 발상 방법

래코드에 사용된 디자인 발상 방법은 삭제, 해체, 비대칭, 첨가이다. 삭제는 기존 의복의 일부를 제거하고 그 외 부분은 남기는 기법으로 삭제 후 나타나는 의외성 및 우연성을 강조하며 자유로움을 표현할 수 있다. 해체주의는 구조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1960년대 후반에 등장한 사상 중 하나로 구조주의의 틀에서 벗어나 이전과는 다른 가치를 발견하는 새롭고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본래 형태의 요소를 분해 후 재배치하는 방법이다(장정임, 이연희, 2006). 비대칭은 대칭과 대조되며 앞뒤, 좌우 등이 동일하지 않고 형태, 색상, 소재, 무늬, 착용 방법 등의 요소가 다르거나 비대칭으로 요소간 조화를 이루는 기법을 말한다. 첨가는 다른 원단을 덧붙이거나, 폐의류에서 사용된 지퍼, 단추, 자수 등을 응용해서 부가하는 기법으로 분위기 전환을 통해 활발하고 재미있는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2) 장식 방법

래코드에 사용된 장식 방법은 패치워크, 플리츠, 로엣지, 스티치이다. 패치워크는 쓰다 남은 여러 가지 색상, 재질, 모티브, 크기, 형태의 자투리 원단을 이어 붙이는 것을 말한다(이지은, 2017). 이어진 원단은 재질에 따라서 독특한 문양이나 형태, 색상과 면적을 표현할 수 있다. 플리츠는 접은 주름으로 장식효과와 입체감을 겸하며 잔주름, 큰 주름, 외주름, 맞주름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타오샤, 권혜숙, 2012). 플리츠 기법을 이용해서 움직임에 따른 역동적인 선을 표현할 수 있다. 로엣지는 천을 자른 후 마무리하지 않는 가장자리 처리 방식으로 가장자리에 풀린 실이 자유롭고 역동적이며 활발한 느낌을 나타낸다(Zhang, 2017). 스티치는 바늘이 옷감을 통과하여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실을 꿰어 상호 연결하고 교차하여 만든 하나의 단위를 말한다(Wang, 2018). 봉제 도구를 사용하여 만든 선으로 원단에 남은 흔적이며, 의복 구성에서 연결하고 고정하는 기능적인 측면과 디자인 미적 측면의 장식적인 효과도 있다. 브랜드 래코드 디자인의 발상 및 장식 방법을 <표 1>에 구체적인 사례와 특성으로 제시하였다.

래코드 디자인의 발상 및 장식 방법

3. 브랜드 래코드의 디자인 특성

앞서 디자인의 요소와 방법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래코드의 종합적인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012 FW부터 2019 SS까지 래코드의 홈페이지 룩북에 소개된 전체 작품 이미지 553점을 표현 특성별로 분류하였다. 공통된 특성으로 분류한 결과 이질적 형태의 믹스매치, 미니멀한 기능성, 낭만적인 복고풍으로 나뉜다. 이질적인 형태의 믹스매치는 삭제, 해체, 비대칭, 첨가 방식으로 다른 소재 또는 형태를 접목시켜 믹스매치를 포인트로 한 디자인이다. 미니멀한 기능성은 삭제, 첨가 방식으로 단순하나 디테일을 첨가하여 기능성을 부가한 디자인이다. 낭만적인 복고풍은 첨가, 비대칭과 플리츠, 스티치 기법으로 퍼프소매, 과장된 실루엣 등으로 장식적이며 낭만적인 강조가 있는 디자인이다. <표 2>에 래코드의 디자인 특성 세 가지와 대표 사진을 제시하였다.

래코드의 디자인 특성


Ⅳ. 래코드 디자인 특성에 따른 업사이클 디자인 개발

브랜드 래코드 디자인 특성을 이질적 형태의 믹스 매치, 미니멀한 기능성, 낭만적인 복고풍 세 가지 주제로 나누고 주제별 2개의 디자인으로 총 6점의 업사이클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디자인은 20대에서 30대 여성을 위한 상의 아이템으로 봄, 여름 시즌에 맞게 디자인하였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이질적 형태의 믹스 매치

1) 작품Ⅰ

작품Ⅰ은 재킷에 셔츠를 목도리로 변형하여 첨가한 디자인이다. 재킷 [그림 44]와 셔츠 [그림 45]를 선택하여 블랙 재킷의 낡은 칼라 부분(A)은 재봉 선을 풀어 잘라내고, [그림 47]과 같이 상태가 양호한 몸판 부분(B)은 사용하였다. 초록색 체크무늬 셔츠는 오래되어 구김이 많으나 원단이 얇고 부드러워 [그림 48]과 같이 셔츠의 칼라, 소매, 어깨 부분(A)을 제거하고 몸판의 앞과 뒤 부분(C)을 연결하여 목도리로 제작하였다. [그림 49]와 같이 첨가 기법으로 셔츠를 목도리로 변형하여 블랙 재킷의 네크라인 부분에 봉재하였다.

디테일로 목도리를 고정하는데 셔츠에서 재활용한 끈과 단추를 활용하며 본래 셔츠 소매에 달린 끈(D)과 셔츠의 마지막 단추(E)이다. [그림 46]과 같이 목도리의 우측 무늬 아래에 끈을 달아 끈 길이를 조절하면 목도리의 주름을 크게 또는 작게 할 수 있다. 셔츠의 가슴 주머니는 그대로 사용하여 목도리 기능성을 살리고, 셔츠에 프린팅된 ‘36’ 무늬도 활용하여 스포티한 느낌을 주었다. 블랙 재킷의 여밈 부분은 스티치 기법으로 겉감과 안감을 고정해주는 동시에 깔끔함을 표현하였다. 기본적이고 단순한 블랙 재킷에 초록색 체크무늬 셔츠를 결합하여 색감의 변화와 스포티한 느낌을 첨가하고, 체크무늬 셔츠가 목도리 형태로 변형되는 이질적 형태의 믹스매치를 표현하였다.

2) 작품Ⅱ

작품Ⅱ은 테일러드 재킷 [그림 53]에 체크무늬 셔츠 [그림 54]를 비대칭으로 두른 디자인으로 블랙 테일러드 재킷의 상태가 양호하여 주소재로 하였다. 다만 허리라인이 컸기 때문에 부소재인 체크무늬 셔츠를 활용하여 허리띠 기능과 동시에 믹스매치의 느낌을 표현하였다. 테일러드 재킷의 기존 단추는 제거하고(A), 재킷과 같은 색 단추로 교체하고, 소매 단추는 제거하여 간결하게 하였다. [그림 56]과 같이 몸통 부분(B)은 그대로 사용하였다. 삭제 기법으로 체크무늬 셔츠의 낡고 보풀이 심한 부분(A)을 제거하였다. [그림 57]과 같이 비교적 상태가 양호한 좌측 몸판과 칼라 부분(C)을 해체하고 분해하여 테일러드 재킷의 우측부에 비대칭으로 결합하여 믹스매치하고, 체크무늬 셔츠 하단의 일부분(F)을 활용하여 두 옷을 결합할 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뒤 중심선 상단에 부착하였다.

[그림52]

작품Ⅰ사진

[그림 61]

작품Ⅱ사진

디테일은 [그림 55]와 같이 테일러드 재킷의 뒤 중심선을 13cm 정도 풀고 셔츠의 하단 부분 원단(F)을 활용하여 테일러드 재킷에 셔츠를 연결한다. 셔츠는 테일러드 재킷의 우측 어깨를 감싸고 두 의복의 칼라는 동일한 사선 방향으로 배열하여 이중 칼라의 이질적인 느낌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림 58]과 같이 셔츠 앞여밈의 플라켓 부분(E)을 허리띠로 활용하여 셔츠의 단추 구멍에 테일러드 재킷의 단추를 끼워 허리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작품Ⅱ의 뒷부분은 셔츠 단추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남겨놓아 [그림 60]과 같이 단추를 이용해 셔츠를 재킷 뒤 부분에 탈부착 할 수 있어 두 가지 옷이 앞뒤로 믹스매치된 이질적인 느낌이 난다. 기본적이고 깔끔한 블랙 테일러드 재킷에 체크무늬 셔츠가 걸쳐져 있는 듯한 외관으로 이질적 형태의 믹스매치를 표현하였다. 작품Ⅰ,Ⅱ의 제작 과정은 <표 3>과 같다.

이질적 형태의 믹스 매치를 표현한 작품

2. 미니멀한 기능성

1) 작품Ⅲ

코트 [그림 62]와 같은 색상의 스커트 [그림 63]을 선택하여 코트는 칼라와 소매 부분의 오염을 제외하고 상태가 양호하여 주소재로 사용하였다. 코트의 오염된 칼라와 소매 부분, 폭이 넓은 허리 옆 부분을 제거하였다(A). [그림 65]와 같이 기존 허리끈은 그대로 사용하였다(B). 스커트는 코트의 허리 옆 부분에 덧대었다. [그림 66]과 같이 스커트의 단추를 제거한 뒤(A), 스커트의 앞판 왼쪽 부분의 주름을 풀어 전체를 반으로 해체한 뒤(D), 코트의 옆선(C)에 결합하였다.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옆주름을 넣고 스커트 밑단은 로엣지로 처리하여 주름이 자연스럽게 내려오도록 하였다.

디테일은 [그림 64]와 같이 코트의 칼라를 제거한 뒤(A) 리본 칼라로 바꾸었다. 칼라는 리본으로 묶어 사용하거나 길게 늘어뜨려 목도리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리본 칼라의 좌우를 비대칭으로 하여 전형적인 형태를 탈피하고 자유로운 개성을 표현하였다. [그림 67]과 같이 리본 칼라 끝단에 주머니가 있어 카드 등이 보관 가능하며 카드 이용시 지갑이나 핸드폰을 꺼낼 필요가 없도록 하였다. 리본 칼라는 다양한 형태로 표현 가능하며 간단한 수납기능이 있어 미니멀한 기능성에 부합하도록 하였다.

2) 작품Ⅳ

작품Ⅳ은 ‘가방으로 변하는 디자인’으로 점퍼 [그림 71]과 셔츠 [그림 72]를 결합하여 점퍼는 주머니가 찢어진 허리아래 부분을 제거하고 주 소재로, 유행이 지난 오버 핏의 체크무늬 셔츠는 부소재로 손잡이 부분으로 활용하였다. [그림 74]와 같이 회색 점퍼의 찢어진 주머니, 후드, 허리 하단 부분은 제거하고(A) 몸통 부분은 그대로 사용하였다(B). 오버 핏의 체크무늬 셔츠는 적은 양의 원단만 재활용하였다. 체크무늬 셔츠의 왼쪽 부분과 뒤판은 제거하고(A), 양쪽 소매는 연결한 후 두 겹으로 추후 ‘가방의 손잡이(E)’ 로 [그림 75]의 셔츠의 오른쪽 부분은 잘라(F) 점퍼의 네크라인 부분에 봉재하였다.

[그림 78]과 같이 체크무늬 셔츠를 해체하여 점퍼의 우측 어깨에는 큰 포켓(E)으로, 좌측 하단에는 작은 포켓(F)으로 기능성을 추가하였다. 큰 포켓은 점퍼에서 해체한 지퍼를 활용하여 수납 기능을 보완하고(C) 작은 포켓은 스티치 기법으로 포인트를 주고, [그림 76]의 체크무늬 셔츠를 점퍼의 네크라인에 통일성 있게 덧 붙였다. [그림 79]와 같이 가방 변형을 위해 옷 밑단을 끈(D)으로 조이고 소매는 안으로 밀어 넣고 큰 포켓 부분을 점퍼 목 뒤쪽의 작은 구멍으로 빼면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림 78]과 같이 크고 작은 주머니와 가방으로 변화 가능한 디자인에 중점을 두어 미니멀한 기능성을 표현하였다. 작품Ⅲ, Ⅳ의 과정은 <표 4>와 같다.

미니멀한 기능성을 표현한 작품

[그림 70]

작품Ⅲ 사진

[그림 80]

작품Ⅳ 사진

3. 낭만적인 복고풍

1) 작품Ⅴ

작품Ⅴ은 코트[그림 81]과 블라우스[그림 82]를 선택하여 어둡고 칙칙한 느낌의 브라운 색 긴 코트를 해체하고 블라우스 소재의 주름 장식을 첨가하여 비대칭의 낭만적이고 여성적인 복고풍을 표현하였다. 코트는 하단 부분과 소매를 전부 제거하고, 허리폭을 줄여 허리선을 부각시켰다(A). 제거된 코트의 하단 부분은 해체하여(C, D, E) 라펠과 여밈 부분의 주름 장식(C)과 소매로 재구성(D, E)하고 [그림 84]와 같이 블라우스의 낡은 어깨 부분은 제거하고(A), [그림 85]와 같이 블라우스의 몸통 부분을 재활용하여 코트의 허리부분에 페플럼 장식으로 첨가하였다(F).

디테일은 기존 코트의 하단 부분 및 소매에서 제거한 원단을 패치워크로 중첩 하여 코트의 소매를 랜턴 슬리브[그림 86]로 디자인하였다. 라펠, 여밈, 허리 부분에 플리츠 기법을 활용하여 통일감을 주고, 허리 라인은 스티치로 허리 다트를 강조하고 허리폭이 좁아 보이는 효과를 주어 여성스러움을 더했다. 작품Ⅴ은 어두운 색상의 코트를 여성스럽게 바꾼 디자인으로 [그림 88]과 같이 기존의 라펠에 주름 장식을 더했으며 소매, 하단, 옷의 전면에 플리츠 기법을 사용하여 ‘낭만적인 복고풍’의 특성을 추가하였다. 블라우스 소재의 첨가와 주름 장식, 스티치 기법으로 낭만적인 복고풍을 표현하였다.

2) 작품Ⅵ

작품Ⅵ은 데님 재킷 [그림 90], 흰색 블라우스 [그림 91], 흰색 원피스 [그림 92]의 세 가지 아이템을 활용하여 산뜻한 느낌의 재킷 디자인에 중점을 두었으며 다양한 장식으로 여성스러움을 첨가하였다. 데님 재킷의 옆선 부분을 제거하고(A) 허리둘레를 타이트하게 줄이고 몸통 부분과 둥근 네크라인은 그대로 사용하였다(B). [그림 93]과 같이 허리 쪽 단추(C)를 소매 단추로 재활용 하였다. 흰색 블라우스는 오염된 부분은 잘라내고 사용하였다(A). [그림 94]와 같이 부드러운 특성을 살린 프릴 블라우스의 느낌을 표현하고자 두 겹인 안쪽 소재(D)와 겉쪽 소재(D`)를 활용하며, [그림 97]과 같이 비치는 소매(D)와 가슴 쪽에 장식 프릴(D`)로 사용하였다. [그림 96]과 같이 흰색 원피스는 상단 부분을 제거하였으며(A), [그림 98]과 같이 꽃무늬 레이스가 있는 하단 부분만 활용하였다(E).

디테일은 [그림 99]와 같이 데님 재킷의 길이가 너무 짧아 흰색 레이스 원피스 하단 부분을 결합하여 편안한 착용감과 낭만적인 복고풍 느낌으로, 흰색 블라우스를 데님 재킷의 소매에 결합하고, 가슴에는 플리츠 장식을 더했다. 첨가 기법으로 데님 재킷에 꽃문양과 비즈를 덧붙여 화려하고 여성적인 느낌을 강조하였다. 데님과 부드러운 블라우스 소재의 결합과 프릴 장식의 여성스러운 소매로 낭만적인 복고풍 느낌을 표현하였다. 작품Ⅴ, Ⅵ의 제작 과정은 <표 5>와 같다.

낭만적인 복고풍을 표현한 작품

[그림 89]

작품Ⅴ 사진

[그림 100]

작품Ⅵ 사진


Ⅴ. 결론 및 제언

패션 산업은 가용 가능한 자원을 활용하여 환경,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으로 우리 모두의 삶에 광범위한 영향력을 끼친다. 개개인 소비자의 관심이 모여 패션 산업의 흐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관점에서 지속 가능한 가치 실현을 위해 업사이클 패션을 주제로 디자인 전개를 하였다. 패션 산업계가 추구하는 미래의 이슈 중 하나인 업사이클 패션에 대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선도 브랜드인 래코드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디자인 요소와 방법을 활용하여 업사이클 디자인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긍정적 영향력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업사이클 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은 기존 의류를 재활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고유의 디자인 방식이 적용되며 선도 브랜드인 래코드의 디자인 요소, 방법, 특성을 분석하고, 이질적 형태의 믹스매치, 미니멀한 기능성, 낭만적인 복고풍의 세 가지 특성으로 나누고 그 특성에 맞게 여성용 상의 업사이클 패션디자인 6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업사이클 패션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며 업사이클 디자인의 외적, 내적 가치의 중요성을 밝히고 그 영향력을 강조하였다. 둘째, 업사이클 패션을 실현하는 대표 브랜드 래코드의 디자인 분석을 통해 업사이클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 요소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발상 방법은 삭제, 해체, 비대칭, 첨가이며, 장식 방법은 패치워크, 플리츠, 로엣지, 스티치로 폐의류 재활용에 적용 가능하다. 셋째, 업사이클 대표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 분석을 토대로 세 가지 주제의 업사이클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선도 브랜드 디자인에 대한 분석적인 고찰을 통해 업사이클 디자인의 독특하며 창의적인 요소와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폐의류의 사용 기한을 연장하고 업사이클 디자인으로 폐의류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요소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업사이클 패션의 외적, 내적 가치를 이해하고 패션 산업의 미래 행보에 관심을 가지며, 지속 가능한 미래로 변화하는데 브랜드와 개인 모두의 관심을 환기하며 그 구체적인 과정을 제시하였다. 업사이클 패션이 국내에서 보다 더 대중화하기 위한 필요 요소, 국내의 업사이클 패션의 실제 브랜딩에 관한 지속적 관찰, 제시한 업사이클 패션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며, 본 연구가 디자이너들의 발상과 업사이클 패션 디자인의 확산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충남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지원받았음.

References

  • 국혜승(2014). 지속 가능한 제로웨이스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수현, 이재성(2006).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의 개념과 원리. 기초조형학연구, 7(3), 223-237.
  • 김자연(2015). 지속가능한 디자인(Sustainable Design)에 기초한 업사이클(Upcycle)미술 수업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래코드 홈페이지(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에서 인출.
  • 이루미(2015). 업사이클 제품 및 패션 디자인 제작방법별 특성과 가치.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재희(2015). 업사이클 패션 브랜드의 조형적 특성.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지은(2017). 현대 패션에 표현된 패치워크 퀼트기법 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위키피디아(2020). Upcycling, https://en.wikipedia.org/wiki/Upcycling, 에서 인출.
  • 장정임, 이연희(2006). Martin Margiela의 작품에 나타난 해체주의 패션. 패션과 니트, 4(1), 64-77.
  • 정유란(2012). 폐기물을 활용한 패션잡화 산업의 업사이클 리디자인 연구: 산업 폐기물 재사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타오샤, 권혜숙(2012). 여성복 패션컬렉션에 표현된 플리츠 디자인 특성. 패션비즈니스, 16(5), 57-73.
  • Wang, Z. B. (2018).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and stitch in garment Design.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Be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Beijing.
  • Zhang, N. X. (2017). Damaged denim garment Design and Art aesthetic.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Wuhan Textile University, Wuhan.

[그림 1]

[그림 1]
업사이클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그림 2]

[그림 2]
17FW 스트레이트 실루엣<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3]

[그림 3]
19SS 내부의 구조<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4]

[그림 4]
13FW 의복의 길이<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5]

[그림 5]
16SS 하의 동일 배색<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6]

[그림 6]
19SS 악센트 컬러 배색<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7]

[그림 7]
17FW 명도 대비 배색<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8]

[그림 8]
12FW 의류 폐기물<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9]

[그림 9]
15SS 산업 폐기물<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 10]

[그림 10]
15FW 군용 폐기물<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그림52]

[그림52]
작품Ⅰ사진

[그림 61]

[그림 61]
작품Ⅱ사진

[그림 70]

[그림 70]
작품Ⅲ 사진

[그림 80]

[그림 80]
작품Ⅳ 사진

[그림 89]

[그림 89]
작품Ⅴ 사진

[그림 100]

[그림 100]
작품Ⅵ 사진

<표 1>

래코드 디자인의 발상 및 장식 방법

분류기준 기법분류 기법 특성 사례
발상 방법 삭제 기존 의복 일부는 삭제하고 그 외 부분은 그대로 남김
[그림 11]
18SS

[그림 12]
15FW

[그림 13]
14SS
해체 기존 디자인을 재해석하여 다양한 부분으로 분해
[그림 14]
13SS

[그림 15]
13FW

[그림 16]
17FW
비대칭 앞뒤, 좌우 대칭이 아니며, 길이 및 넓이가 다름
[그림 17]
12FW

[그림 18]
16SS

[그림 19]
18SS
첨가 원래 있는 원단이나 소재 위에 덧붙이거나 추가
[그림 20]
12FW

[그림 21]
19SS

[그림 22]
19SS
장식 방법 패치 워크 쓰다 남은 천을 기하학 무늬나 다른 무늬로 배색효과를 내면서 이어 붙이는 기법
[그림 23]
19SS

[그림 24]
13FW

[그림 25]
19SS
플리츠 천을 접어 잔주름, 큰 주름, 외주름, 옆주름, 맞주름 등 옷에 접힘을 만드는 기법
[그림 26]
19SS

[그림 27]
15SS

[그림 28]
15FW
로엣지 커팅 후 가장자리를 마무리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출하는 기법
[그림 29]
17FW

[그림 30]
18SS

[그림 31]
19SS
스티치 봉제 도구를 사용하여 원단에 실을 꿴 바늘로 만든 선의 효과
[그림 32]
19SS

[그림 33]
19SS

[그림 34]
19SS
그림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표 2>

래코드의 디자인 특성

분류 표현 방법 대표 사진
이질적 형태의 믹스 매치 다른 소재 또는 형태를 첨가한 믹스매치가 포인트인 디자인
[그림 35]
12FW

[그림 36]
18SS

[그림 37]
19SS
미니멀한 기능성 재킷에 수납이 가능한 큰 포켓, 여러 개의 작은 포켓을 구성하거나 원단을 이어 붙여 기능성을 부여한 디자인
[그림 38]
15SS

[그림 39]
16SS

[그림 40]
19SS
낭만적인 복고풍 프릴 소매, 큰 주름, 과장된 숄더 라인 등 장식으로 낭만적인 복고풍을 표현한 디자인
[그림 41]
12FW

[그림 42]
12SS

[그림 43]
17FW
그림출처 RE;CODE, 2019. https://www.kolonmall.com/RECODE

<표 3>

이질적 형태의 믹스 매치를 표현한 작품

작품
적용 방법 발상 방법: 해체, 첨가
장식 방법: 플리츠, 스티치
발상 방법: 삭제, 해체, 비대칭
장식 방법: 플리츠
과정 사진
[그림 44]
재킷

[그림 45]
셔츠

[그림 46]
고정 끈

[그림 53]
재킷

[그림 54]
셔츠

[그림 55]
뒷부분
결합 소재 도식화
[그림 47]
블랙 재킷

[그림 56]
재킷

[그림 48]
체크무늬 셔츠

[그림 57]
셔츠
봉제 과정 도식화
[그림 49]
셔츠

[그림 58]
셔츠

[그림 50]
재킷

[그림 59]
재킷
봉제 최종 도식화
[그림 51]
작품Ⅰ 도식화

[그림 60]
작품Ⅱ 도식화
알파벳 설명 A:제거 B, C:사용 D, E:다른 위치에 재사용 A:제거 B, C, D:사용 E, F:다른 위치에 재사용

<표 4>

미니멀한 기능성을 표현한 작품

작품
적용 방법 발상 방법: 삭제, 비대칭
장식 방법: 로엣지, 플리츠
발상 방법: 삭제, 해체
장식 방법: 스티치
과정 사진
[그림 62]
코트

[그림 63]
스커트

[그림 64]
칼라

[그림 71]
점퍼

[그림 72]
셔츠

[그림 73]
포켓
결합 소재 도식화
[그림 65]
코트

[그림 74]
점퍼

[그림 66]
스커트

[그림 75]
셔츠
봉제 과정 도식화
[그림 67]
스커트, 스카프

[그림 76]
셔츠

[그림 68]
코트

[그림 77]
점퍼
봉제 최종 도식화
[그림 69]
작품Ⅲ 도식화

[그림 78]
작품Ⅳ 도식화

[그림 79]
가방 변형
알파벳 설명 A:제거 B, D:사용 C:다른 위치에 재사용 A:제거 B, E:사용 C, D, F:다른 위치에 재사용

<표 5>

낭만적인 복고풍을 표현한 작품

작품
적용 방법 발상 방법: 첨가, 비대칭
장식 방법: 패치워크, 플리츠, 스티치
발상 방법: 해체, 첨가
장식 방법: 플리츠
과정 사진
[그림 81]
코트

[그림 82]
블라우스

[그림 83]
다트

[그림 90]
데님 외투

[그림 91]
블라우스

[그림 92]
원피스
결합 소재 도식화
[그림 84]
코트

[그림 93]
외투

[그림 85]
블라우스

[그림 94]
블라우스

[그림 95]
원피스
봉제 과정 도식화
[그림 86]
코트

[그림 96]
외투

[그림 87]
블라우스

[그림 97]
소매

[그림 98]
하단
봉제 최종 도식화
[그림 88]
작품Ⅴ 도식화

[그림 99]
작품Ⅵ 도식화
알파벳 설명 A:제거 B, F:사용 C, D, E:다른 위치에 재사용 A:제거 B, D, D`, E:사용 C:다른 위치에 재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