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31, No. 5, pp.661-673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2
Received 19 Aug 2022 Revised 12 Oct 2022 Accepted 13 Oct 2022
DOI: https://doi.org/10.5934/kjhe.2022.31.5.661

대전지역 커뮤니티 키친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이다혜 ; 전민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석사과정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A Study of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Establishment and Vitalization of Community Kitchens in Daejeon
Lee, Dahye ; Jeon, Mins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Jeon, Minsun Tel: +82-42-821-6836, Fax: +82-42-821-8887 E-mail: dearms@cnu.ac.kr

ⓒ 2022,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Community kitchens are normally used as platforms for improving cooking skills, reducing social isolation, and promoting other health-related activit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requirements of community kitchens for the residents of Daejeon. Participants included 376 residents of Daejeon.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did not know anything about community kitchens. However, most participants expressed optimism about setting up and participating in the community kitchens. Many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were looking forward to reducing food expenditures, having good relationships, and sharing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s with neighbors. In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suggest operational directions for the community kitchen that meets the needs of Daejeon citizens, which ultimatel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vitalization of the customized community kitchen in Daejeon.

Keywords:

Community kitchen, Perceptions, Needs, Establishment, Vitalization

키워드:

커뮤니티 키친, 인식, 요구도, 정착, 활성화

Ⅰ. 서론

고령화 등으로 인해 돌봄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정부는 2018년 11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지역사회 통합돌봄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지역사회 통합돌봄은 주민들이 살던 곳에서 필요를 충족하는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역주도형 사회서비스 정책을 의미한다(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1). 정부는 2026년 지역사회 통합돌봄(Community Care)의 보편적 제공을 앞두고 2019년부터 16개 시·군·구에서 선도사업을 추진 중이며, 이는 각 지역에 맞는 서비스를 발굴하고 검증과 보완을 거쳐 다양한 통합돌봄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보건복지부, 2019). 이에 정부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대상자에게 식사지원 및 영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한 노후 자립생활을 지원하기 위하여 2020년 4개 기초자치단체를 선정하여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한 식사·영양관리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해당 사업은 사전검사, 식사지원과 영양관리, 모니터링의 단계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식사지원의 내용에는 커뮤니티 키친(Community Kitchen) 운영, 반찬·도시락 배달, 완전조리식품 배달 등 다양한 유형의 식사지원 서비스가 포함된다(보건복지부, 2020). 식사·영양관리 시범사업 수행 지자체로 선정된 부산 진구에서는 2020년 8월에 개인 맞춤형 식단처방과 영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키친 ‘건강한 밥상, 온마을 사랑채’를 개소하였으며(정순형, 2020), 대전시의 경우 정부의 지역사회 통합돌봄 기본계획에 맞추어 2020년 유성구와 대덕구의 2개 자치구를 선정하여 통합돌봄 시범사업을 수행하고 있다(대전광역시, 2020).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국가 차원이 아닌 지역 단위에서의 푸드플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함을 인지하고 2017년 지역단위 푸드플랜 추진계획을 발표하였으며, 2018년 9개 지역을 선정하여 지역 푸드플랜을 시범적으로 실시하였다(농림축산식품부, 2017). 푸드플랜 정책은 지역사회 통합돌봄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정책으로써, 영양 불균형 등의 먹거리 불안 해소를 위한 먹거리 기본권을 강조하고 있다(전북연구원, 2021). 이에 농식품부는 먹거리를 통해 전국의 지역공동체가 고르게 발전할 수 있도록 2022년에는 100개 지자체로 확대하고, 2025년에는 전국 지자체에 구축할 계획임을 밝혔다(농림축산식품부, 2017; 전은자, 2020). 푸드플랜 사례분석 연구(정은미 외, 2019)에서는 지역 푸드플랜 추진 과정에서 중앙정부의 인프라 구축과 광역지자체의 지원을 기반으로 한 기초지자체의 현장형 실행계획이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지역 내에서 운영되는 대부분의 커뮤니티 키친이 기초지자체의 공유 촉진을 위한 지원금으로 운영되고 있었다(장상은, 2017). 대전시 유성구에서는 유성형 마을부엌 조성을 위해 2020년 ‘푸드플랜 기반 마을부엌 지원사업’을 공모한 바 있다(유성구, 2020).

이처럼 지역사회 통합돌봄과 푸드플랜 정책을 수행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커뮤니티 키친(Community Kitchen)은 사람들이 함께 식사를 하거나 음식을 만들고, 음식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하는 공유공간을 의미하며(양민아, 2018), ‘마을부엌’, ‘공동부엌’, ‘소셜다이닝’ 등의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다(장상은, 정경운, 2018). 커뮤니티 키친이라는 용어는 음식을 함께 준비한다는 것 그 이상을 의미한다. 커뮤니티 키친은 지역사회 리더, 요리사, 영양사 등 훈련된 전문가에 의한 배움의 요소를 포함하며 교육, 기술 습득, 사회적 고립감의 해소, 기타 건강 증진 활동을 위한 플랫폼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Fridman et al., 2013). 과거 국내의 커뮤니티 키친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식사 또는 반찬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그 대상이 지역사회 주민 전체로 확대되어 다양한 유형의 커뮤니티 키친이 운영되고 있다(양민아, 2018). 대전시의 경우 시민공유공간 조성 지원사업을 통해 2019년 기준 커뮤니티 키친을 포함한 11곳의 시민공유공간이 다양한 형태로 조성되어 지역주민들의 소통공간으로 마련되어, 일부 지역에서 커뮤니티 키친 또는 공유주방이라는 이름의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대전광역시, 2020). 그러나 지역사회 내 음식, 식사, 영양정보 등의 공유 활동에 특화된 공식적인 커뮤니티 키친은 매우 한정되며, 커뮤니티 키친을 운영할 수 있는 다수의 사회적 협동조합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운영과 기술개발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이성숙, 2022).

커뮤니티 키친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식재료, 음식, 주방, 경험 등의 공유자원, 공간유형, 운영주체, 참여주체의 4가지 커뮤니티 키친 구성요소를 기준으로(장상은, 정경운, 2018) 다분야의 협업과 지역민의 관심이 요구되므로, 이를 중심으로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지역민의 의견을 파악하여 운영 전략을 제안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 커뮤니티 키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1인 가구, 주부, 노인 등 특정 인구 그룹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한정된 경우가 많다(양민아, 2018; 오은진, 박혜선, 2014; 오현정 외, 20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인지도, 인식 및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현장형 실행계획을 수행하는 기초지자체별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궁극적으로 시민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커뮤니티 키친의 운영 방향을 제시하여 대전시 맞춤형 커뮤니티 키친의 정착과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자가 거주하는 대전광역시 5개 구의 특성은 <표 1>과 같다(대전광역시, 2020; 대전광역시, 2021; 통계청, 2021). 설문조사는 ㈜마크로밀엠브레인 설문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2020년 10월 첫 2주 동안 진행하였다. 설문기관에서는 거주지역 및 연령에 부합하는 패널에게 설문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는 설명문 제시와 함께, 참여의사가 있는 연구 대상자에게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한다는 온라인 동의를 받고 설문에 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 내용은 온라인 설문으로 변환되어 이메일 또는 모바일을 통해 URL을 배포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가 온라인으로 배포되었으며, 불성실하게 답하거나 불완전하게 작성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76명의 응답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에 충남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 IRB)의 승인을 받았다(202012-SB-171-01).

대전광역시 5개 구의 지역적 특성N (%) / %

2. 설문지 구성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관련 선행연구(김소연, 김순영, 2019; 김호순, 2013; 배지영, 2013; 양민아, 2018; 오은진, 박혜선, 2014; 조승만, 2002)를 기초로 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한 뒤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구성하였다. 총 34개의 설문 문항은 인구통계학적 특성(11문항),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인지 정도(2문항),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인식(4문항), 커뮤니티 키친 요구도(14문항), 커뮤니티 키친 참여 의사(3문항)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문항은 응답자의 의견에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직업, 거주지역 및 거주기간, 거주형태, 월평균 가구소득, 월평균 식비, 주평균 외식횟수, 가구구성 등의 1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인식은 참여 시 고려사항(중요 요소, 우려점)과 이용 시 기대 효과(식생활 면, 공동체 생활 면)의 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기대 효과 관련 설문은 복수응답이 가능하도록 측정하였다. 커뮤니티 키친 요구도는 운영 요구도 11문항(활성화를 위한 중요 요소, 전문 영양사 및 조리사 고용의 필요성, 참여 빈도, 시간, 인원, 비용, 식사시간대, 정보전달방식, 공간형태)과 프로그램 요구도(활동, 프로그램, 음식형태) 3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운영 요구도 설문의 식사시간대와 프로그램 요구도 설문은 다중응답 처리하였다. 대상자들의 커뮤니티 키친 참여에 대한 의견은 모두 5점 리커트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5점: 매우 그렇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문을 시작하기 전에 커뮤니티 키친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설명을 제공하였다. “커뮤니티 키친이란 이웃과 함께 조리 활동을 하거나 먹거리를 매개로 한 다양한 활동을 하는 공유공간입니다. 지역사회 안에서 공통된 관심사를 갖고 있는 사람들끼리 함께 이용합니다. 또한 커뮤니티키친은 현재 공유주방, 공유부엌, 공동부엌, 나눔부엌, 마을부엌, 공동밥상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로 불리기도 합니다.”

3. 자료분석

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 인식, 요구도,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한 빈도분석 결과를 대전시 기초지자체별로 제시하였다. 참여 관련 의견의 경우 자치구별 거주자의 응답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ANOVA를 수행하였고, Duncan‘s 사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에는 SPSS Statistics Ver. 26.0(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으며, p<0.05 수준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인구사회학적 특성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대상자 376명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2>와 같다. 전체의 43.9%(165명)는 남성, 56.1% (211명)는 여성으로, 응답자 중 여성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30대의 비중이 32.7%(123명)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0대 31.1%(117명), 40대 24.5% (92명)로 조사되었다. 응답자 중 63.3%(238명)가 대학교 졸업 학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의 경우 회사원이 44.1%(166명)로 가장 많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N (%)

거주지역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서구 거주자가 36.4% (137명)로 가장 많았고, 유성구 25.8%(97명), 다음으로 동구(14.1%, 53명), 대덕구(12%, 45명), 중구(11.7%, 44명) 순이었다. 해당 지역에 20년 이상 거주했다는 응답이 35.6%(134명)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0년~20년 미만(22.6%, 85명), 5년~10년 미만(18.1%, 68명) 순서로 나타나 대체로 한 지역에 오래 거주하는 것으로 보였다. 거주 형태의 경우 아파트(63.6%, 239명)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월평균 가구소득은 200만 원~400만 원 미만이 35.1%(132명), 400만 원~600만 원 미만 28.5%(107명), 200만 원 미만 14.6%(55명) 순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 식생활비는 20만 원~50만 원미만 47.6%(179명), 50만 원~100만 원 미만 34%(128명)인 경우가 많았다. 일주일 평균 외식 횟수는 주 2~3회 49.5%(186명), 주 1회 이하 34.6%(130명)로 주 3회 이하 외식한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가구 유형은 부부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이 53.5%(201명)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1인 가구 형태가 19.4%(7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커뮤니티 키친의 인지도 및 경험

응답자의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인지도 및 참여 경험은 <표 3>에 나타내었다. 커뮤니티 키친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54.5%(205명)로 높게 관찰되었으며, 87.8%(330명)가 이용해본 적이 없다고 답하였다.

커뮤니티 키친의 인지도 및 경험N (%)

3.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인식

1) 커뮤니티 키친 참여 시 주요 고려사항

본 연구 대상자들의 커뮤니티 키친 참여 시 고려사항을 조사한 결과(<표 4>), 응답자의 61.4%(231명)가 커뮤니티 키친 참여에 있어 함께하는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하였고, 비용(15.7%, 59명), 이용시간대(8%, 30명), 위치(8%, 30명)가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우려되는 점으로는 이웃 간 교류에 대한 부담이 27.7%(104명), 비용에 대한 부담 26.9%(101명), 번거로움 26.3%(99명)로 그 비율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커뮤니티 키친 참여 시 주요 고려사항N(%)

2) 커뮤니티 키친 이용 시 기대 효과

대상자들은 커뮤니티 키친 참여에 따르는 장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예상하였다(<표 5>). 식생활 면에서 기대되는 장점으로 식재료비 절약 19%(228명), 식사 준비에 대한 부담 감소 12.6%(151명), 다양한 조리기구의 사용 12.1%(145명)의 순으로 많이 선택하였다. 공동체 생활 면에서는 이웃과의 교류(28.9%, 269명)와 이웃과의 나눔(28.8%, 268명)이 커뮤니티 키친 이용의 긍정적인 효과라고 기대하였다.

커뮤니티 키친 참여 시 기대되는 장점N (%)

4. 커뮤니티 키친 운영 요구도

본 연구 대상자들의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운영 요구도는 <표 6>와 같다. 커뮤니티 키친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로는 충분한 예산 30.6% (115명),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 22.1%(83명), 책임감 있는 운영자 19.9%(75명)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30.1% (113명)는 지역 내 자원봉사자(주민)가 커뮤니티 키친의 운영 주체로서 가장 적합하다고 답하였으며, 지방자치단체(24.2%, 91명), 지역사회 내 협동조합(23.1%, 87명) 차례로 높게 응답하였다. 커뮤니티 키친 내 전문 영양사 또는 전문 조리사 고용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경우 고용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57.7% (217명)로 가장 많았으나, 응답자의 31.9%(120명)는 참여주민의 자원봉사로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커뮤니티 키친 운영 요구도N (%)

커뮤니티 키친 참여 빈도에 대해 주 1회 이상이 알맞다는 응답이 41.5%(156명)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2주에 1회(21.5%, 81명), 집에서 요리하기 어려운 경우(21.3%, 80명)를 선택한 응답자의 비율이 유사하였다. 응답자들은 1회 참여 시 1시간~2시간 미만(62.5%, 235명) 동안, 3~4명(65.4%, 246명)의 참여인원으로 운영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답하였다. 회당 참가비에 대해서는 40.4%(152명)의 응답자가 5,000원~10,000원 미만이 적당하다고 응답하였고, 5,000원 미만(22.6%, 85명), 10,000원~15,000원 미만(16.8%, 63명)이라는 응답도 많았다. 커뮤니티 키친 활동에 적절한 시간대로는 주중 저녁(31.4%, 158명), 주말 점심(27.4%, 138명), 주말 저녁(24.9%, 125명) 식사시간대라고 답하였다.

커뮤니티 키친에서 식단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는 휴대폰 문자(43.9%, 165명)와 온라인 매체(37.2%, 140명)를 선호하였다. 커뮤니티 키친 운영을 위한 이상적인 공간의 형태로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연계가 가능한 넓은 대여공간(60.4%, 227명)을 협소하더라도 독립적인 운영이 가능한 공간(39.6%, 149명)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커뮤니티 키친 프로그램 요구도

응답자들의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프로그램 요구도는 <표 7>에 나타내었다. 공동 조리활동을 기본으로 하는 커뮤니티 키친 활동 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활동은 음식 포장(22%, 227명)이었으며, 그다음으로 함께 식사(19.8%, 204명), 그룹활동(14.9%, 154명)의 순으로 선호하였다. 커뮤니티 키친에서 제공받고 싶은 프로그램으로는 요리수업(29.4%, 279명)과 요리 자격증 취득 교육(19.5%, 185명)을 가장 많이 꼽았다. 또한 커뮤니티 키친을 통해 만들어보고 싶은 음식으로는 밑반찬을 21.2%(266명)로 가장 선호하였고, 주요리 19.5%(208명), 이색음식 16.8% (179명)의 순서로 많이 선택하였다.

커뮤니티 키친 프로그램 요구도N (%)

6. 커뮤니티 키친 참여 관련 의견

대상자들의 커뮤니티 키친 참여에 대한 의견은 <표 8>에 제시하였다. 지역 내 커뮤니티 키친 설치에 대해 서구(3.66±0.06점)와 유성구(3.59±0.08점), 대덕구(3.56±0.12점) 순으로 기대된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그 필요성에 대해서는 서구(3.44±0.06점), 대덕구(3.40±0.13점), 유성구(3.39±0.08점) 순으로 대전 평균보다 크게 인지하여 거주지역별로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의견에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동구(3.36±0.88점), 중구(3.43±1.04점)와 비교하여 서구(3.74±0.65점) 거주자의 커뮤니티 키친 참여 의사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덕구(3.64±0.74점) 역시 대전 평균에 비해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커뮤니티 키친 참여 관련 의견Mean±SD

대전지역의 구별 인구특성과 함께 살펴보면, 유성구 다음으로 고령자 수가 적고, 노령화지수가 낮은 서구와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낮고, 저소득가구 비율이 매우 높았던 대덕구의 경우 커뮤니티 키친 참여 관련 모든 문항에서 평균 이상의 값을 보였다. 상대적으로 고령인구 지표 및 저소득가구 비율이 가장 낮았던 유성구에서는 참여 의사는 높지 않았으나, 기대와 필요성에 대해서는 크게 인지하고 있었다. 다른 지역에 비해 고령자 수가 많고 노령화지수가 높았던 동구와 중구에서는 세 가지 문항 전부 평균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조사대상자 중 60대 이상인 비율이 소수에 불과하고, 기타 인구특성 또한 대전지역 전체를 반영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해석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Ⅳ.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대전시 맞춤형 커뮤니티 키친의 정착과 활성화를 목적으로 대전시민의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인지도, 인식 및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비교·분석하여 기초지자체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커뮤니티 키친 참여 의사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대전시의 5개 구에서 대체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므로, 대전광역시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커뮤니티 키친 운영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민의 관심을 높일 수 있는 커뮤니티 키친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응답자의 54.5%가 커뮤니티 키친에 대해 들어보지 못했으며, 참여 경험자는 12.2%에 불과하여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홍보가 매우 부족한 상황임을 보여준다. 지역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커뮤니티 키친이 운영된다고 하더라도 이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면 적극적인 참여로 이어지기 어렵다. Loopstra와 Tarasuk(2013)의 연구에 따르면 조사대상자가 커뮤니티 키친에 참여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가 참여 방법에 대한 정보 부족이라고 답했으며, Hamelin et al.(2011)의 연구에서도 식품과 관련된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낮은 참여도는 정보접근성 장벽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80% 이상이 온라인 매체 또는 휴대폰 문자를 통한 식단 알림 방식을 선호하였는데, 이는 여타 정보제공 방식에 대한 선호로 확대하여 볼 수 있으며, 특히 SNS를 통한 정보제공은 잠재 대상자들을 유인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으므로(김상혁, 양재훈, 2012), 온라인 매체와 휴대폰 문자를 활용한 홍보활동은 커뮤니티 키친 접근성 제고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사회적 교류 촉진을 통해 커뮤니티 키친의 참여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다수의 응답자가 커뮤니티 키친 이용 시 함께하는 사람(61.4%)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해 선행연구(양민아 외, 2020) 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공동체 생활 면에서 기대되는 장점으로 이웃과의 교류(28.9%)와 이웃과의 나눔(28.8%)이라고 답하여 커뮤니티 키친이 사회적 관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동시에 이웃 간 교류에 대한 부담(27.7%)도 크게 느끼고 있었다. 선행 연구(정유진, 2014; 조상현 외, 2003)에서는 지역민들이 교류 공간을 반복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상호 간의 관계가 형성되며, 교류 공간의 만족도가 클수록 이용 빈도가 잦아지므로 이웃 관계 또한 활성화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주 1~2회, 3~4명 정도의 소규모 인원이 참여하는 커뮤니티 키친을 운영하여, 점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웃과의 교류 기회를 제공한다면 참여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커뮤니티 키친의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 주민자치의 형태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응답자들은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22.1%)가 커뮤니티 키친의 활성화를 위한 주요 요소라고 답했다. 호주의 커뮤니티 키친 사례를 조사한 Lee et al.(2010)은 참여자의 적극성과 자발성은 커뮤니티 키친의 정착 및 지속성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다. 커뮤니티 키친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인 호주의 전형적인 커뮤니티 키친은, 자원봉사자나 유급근로자가 모임을 이끌며 구성원 모두가 식재료 구입부터 조리까지의 전 과정에 참여한다는 특징을 가진다(김소연, 김순영, 2019; 배지영, 2013). 본 연구에서도 응답자들은 커뮤니티 키친의 운영 주체로 지역 내 자원봉사자(주민)가 가장 적합하다고 답했다(30.1%). 따라서 커뮤니티 키친의 운영에 있어 지역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은 커뮤니티 키친의 활성과 유지를 위한 핵심 요인일 것으로 보인다.

넷째, 참여의 유료화는 커뮤니티 키친의 지속적인 운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커뮤니티 키친의 적절한 참여 비용에 대해서 무료라고 답한 응답자는 12%에 불과했으며, 5천 원~1만 원 미만(40.4%)이 적당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김소연. 김순영(2019)의 사례 연구에서 대부분의 커뮤니티 키친은 고정비의 경우 외부 지원을 통해, 식재료 및 프로그램 운영비는 참여자들의 회비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사회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커뮤니티 키친의 경우에도 참여자의 자존감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소액의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고 있었다. 또한 대전시 커뮤니티 키친 운영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고 분석한 결과에서는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을 참여자가 일부 부담하도록 하는 것이 커뮤니티 키친의 확산 및 정착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였다(김민영 외, 2022). 그러나 본 연구의 응답자들은 커뮤니티 키친 참여 시 우려되는 점으로 비용에 대한 부담(26.9%)을 언급하였으므로 참여비의 적정 수준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있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커뮤니티 키친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일상식을 주제로 한 요리교실을 운영하면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커뮤니티 키친에서 제공받고 싶은 프로그램으로 요리수업(29.4%)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커뮤니티 키친을 통해 제공받거나 만들어보고 싶은 음식으로 밑반찬(21.2%)과 주요리(19.5%)를 선호하였다. 1인 가구 청년의 커뮤니티 키친 요구도를 파악한 연구(양민아 외, 2020)에서도 커뮤니티 키친 활동으로써 일상에서 먹는 음식을 만드는 요리수업(64.0%)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또한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참여자들의 조리기술 향상과 함께 식사 준비에 대한 자신감 상승은 커뮤니티 키친의 긍정적인 효과라고 하였다(김소연, 김순영, 2019). 따라서, 대전의 커뮤니티 키친에서 조리기술을 획득하면서 일상식을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지역민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요리에 대한 자신감 형성에도 유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커뮤니티 키친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이용 경험이 없는 응답자가 많아 구체적인 운영 전략을 파악하는 데에는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당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세부 요구도를 탐색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지역민의 의견을 파악하고, 대전지역 내 성공적인 커뮤니티 키친 운영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커뮤니티 키친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다양한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생명윤리규정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번호: 202012-SB-171-01.

References

  • 김민영, 한선희, 양봉석, 전민선(2022). 대전시 커뮤니티 키친 운영모델 구축을 위한 질적연구: 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31(2), 263-274.
  • 김상혁, 양재훈(2012). 모바일 환경에서 기업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몰입 및 충성도에 따른 집단간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14(3), 539-558.
  • 김소연, 김순영 (2019). 공동체먹거리보장의 관점에서 본 마을부엌의 의미와 먹거리보장 정책의 전환적 과제. 서울도시연구, 20(3), 129-149.
  • 김호순(2013). 청소년 방과후 활동 운영시설 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 57(9), 65-68.
  • 농림축산식품부(2017). 「지역단위 푸드플랜」구축 기본계획(안).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정책과.
  • 대전광역시(2020). 2020 대전의 사회지표. 대전: 대전광역시 법무통계담당관.
  • 대전광역시(2020). 대전시,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 시동, https://www.daejeon.go.kr/drh/depart/board/boardNormalView.do?boardId=normal_0189&menuSeq=1632&pageIndex=1&ntatcSeq=1347388476, 에서 인출.
  • 대전광역시(2021). 2020 주민등록 인구통계. 대전: 대전광역시 법무통계담당관.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2021).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 케어),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6645, 에서 인출.
  • 배지영(2013). 한국 일부 도시 주부의 식생활과 그에 따른 커뮤니티키친 도입에 관한 수요 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보건복지부(2019). 지역사회 통합 돌봄 모델, 지역이 만들어간다.「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추진계획」발표,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7345&page=1, 에서 인출.
  • 보건복지부(2020).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한 식사·영양관리 시범사업」지역 선정계획 공고, http://www.mohw.go.kr/react/al/sal01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101&page=1&CONT_SEQ=353386, 에서 인출.
  • 양민아(2018). 서울시 거주 1인 가구 청년의 조리태도에 따른 식생활 특성 및 공유부엌 니즈.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양민아, 아사노가나, 김나래, 윤지현(2020). 서울시 거주 1인 가구 청년의 조리태도에 따른 식생활 특성 및 공유부엌 니즈.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5(3), 204-213.
  • 오은진, 박혜선(2014). 커뮤니티 거주 고령자를 위한 식사서비스 환경에 관한 연구 - 국외의 고령자 식사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의료·복지 건축, 20(1), 57-66.
  • 오현정, 김형수, 고영, 신은영, 손미선(2020). 광역 지자체별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 비교. 융합정보논문지, 10(8), 194-202.
  • 유성구(2020). 유성구, ‘푸드플랜 기반 마을부엌 지원사업’ 공모, https://www.yuseong.go.kr/bbs/BBSMSTR_000000000103/view.do?nttId=ODYS_415_500907&mno=sub04_03, 에서 인출.
  • 이성숙(2022). 사회적경제가 창출하는 공유 공간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내동네 부엌 사례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상은(2017). 공유지로서의 공유주방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상은, 정경운(2018). 국내 공유주방 유형 및 특성 연구. 지역과문화, 5(3), 25-48.
  • 전북연구원(2021). 지역사회 먹거리돌봄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
  • 전은자(2020). 주민 기반의 도시형 푸드플랜 발전방향 : 서대문구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순형(2020). 부산진구, 노인 맞춤형 식생활 돌봄 위한 커뮤니티키친. 부산일보,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72816391893441, 에서 인출.
  • 정유진(2014). 이웃관계의 중요도와 공간적 특성에 관한 실증분석 -생애주기단계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은미, 황윤재, 최재현(2019). 푸드플랜, 먹거리 정책의 전환과 과제. 농업전망 2019(p. 135-165). 나주, 한국.
  • 조상현, 정금호, 신남수(2003). 아파트단지 외부 공공공간에 대한 접근성과 근린의식 형성수준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p.83-86), 서울, 한국.
  • 조승만(2002). 농촌지역 주민자치센터운영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충남 흥성군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통계청(2021). 2020 1인가구비율,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21161&conn_path=I2, 에서 인출.
  • Fridman, J. E., & Lenters, L. S. (2013). Kitchen as food hub: adaptive food systems governance in the city of Toronto. Local Environment, 18(5), 543-556. [https://doi.org/10.1080/13549839.2013.788487]
  • Hamelin, A. M., Mercier, C. L., & Bedard, A. N. (2010). Needs for food security from the standpoint of Canadian households participating and not participating in community food programm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5(1), 58-68. [https://doi.org/10.1111/j.1470-6431.2010.00927.x]
  • Lee, J. H., Palermo, C., Bryce, A. & McCarten, J. (2010). Process evaluation of community kitchens: Results from two Victorian local government areas. Health promotion journal of Australia : official journal of Australian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Professionals, 21(3), 183-188. [https://doi.org/10.1071/HE10183]
  • Loopstra, R. & Tarasuk, V. (2013). Perspectives on community gardens, community kitchens and the Good food box program in a community-based sample of low-income families. Can J Public Health, 104(1), 55-59. [https://doi.org/10.1007/BF03405655]

<표 1>

대전광역시 5개 구의 지역적 특성N (%) / %

구분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1)고령인구(≥65세) ÷ 유소년인구(0~14세).
인구 남성 114,492 (50.3) 116,747 (49.3) 236,420 (49.1) 180,141 (50.5) 90,778 (50.9)
여성 112,934 (49.7) 120,253 (50.7) 244,687 (50.9) 176,597 (49.5) 87,728 (49.1)
전체 227,426 (100.0) 237,000 (100.0) 481,107 (100.0) 356,738 (100.0) 178,506 (100.0)
65세 이상 고령자 42,591 (18.7) 45,759 (19.3) 61,085 (12.7) 33,725 (9.4) 27,896 (15.6)
노령화 지수1) 173.9 179.7 98.7 61.9 147.4
1인 가구 비율 41,663 (40.6) 32,143(32.9) 71,702(35.3) 59,212 (38.4) 24,122 (32.8)
저소득 가구(200만 원 미만) 37.0 30.6 39.0 24.2 44.1
주택형태 주택 42.1 35.3 34.8 28.8 33.9
아파트 47.5 52.5 59.9 67.3 52.1

<표 2>

인구사회학적 특성N (%)

구분 거주지역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전체
성별 남성 23 (43.4) 21 (47.7) 49 (35.8) 48 (49.5) 24 (53.3) 165 (43.9)
여성 30 (56.6) 23 (52.3) 88 (64.2) 49 (50.5) 21 (46.7) 211 (56.1)
연령 20~29세 13 (24.5) 13 (29.5) 51 (37.2) 22 (22.7) 18 (40.0) 117 (31.1)
30~39세 22 (41.5) 17 (38.6) 40 (29.2) 38 (39.2) 6 (13.3) 123 (32.7)
40~49세 13 (24.5) 9 (20.5) 33 (24.1) 22 (22.7) 15 (33.3) 92 (24.5)
50~59세 3 (5.7) 3 (6.8) 10 (7.3) 12 (12.4) 5 (11.1) 33 (8.8)
60~69세 2 (3.8) 2 (4.5) 3 (2.2) 3 (3.1) 1 (2.2) 11 (2.9)
교육수준 중졸 이하 - - - 1 (1.0) - 1 (0.3)
고졸 14 (26.4) 9 (20.5) 37 (27.0) 16 (16.5) 15 (33.3) 91 (24.2)
전문대학 및 대졸 35 (66.0) 29 (65.9) 85 (62.0) 60 (61.9) 29 (64.4) 238 (63.3)
대학원 졸업 이상 4 (7.5) 6 (13.6) 15 (10.9) 20 (20.6) 1 (2.2) 46 (12.2)
직업 학생 6 (11.3) 4 (9.1) 18 (13.1) 13 (13.4) 8 (17.8) 49 (13.0)
회사원 25 (47.2) 20 (45.5) 52 (38.0) 51 (52.6) 18 (40.0) 166 (44.1)
자영업(상업) 3 (5.7) 3 (6.8) 6 (4.4) 4 (4.1) 2 (4.4) 18 (4.8)
전문직 6 (11.3) 6 (13.6) 10 (7.3) 8 (8.2) 2 (4.4) 32 (8.5)
공무원 - 2 (4.5) 9 (6.6) 5 (5.2) 1 (2.2) 17 (4.5)
서비스직 4 (7.5) 3 (6.8) 6 (4.4) 5 (5.2) 3 (6.7) 21 (5.6)
주부 7 (13.2) 2 (4.5) 18 (13.1) 4 (4.1) 4 (8.9) 35 (9.3)
퇴직 - 1 (2.3) - 1 (1.0) - 2 (0.5)
구직 중 1 (1.9) 2 (4.5) 14 (10.2) 6 (6.2) 5 (11.1) 28 (7.4)
기타 1 (1.9) 1 (2.3) 4 (2.9) - 2 (4.4) 8 (2.1)
거주기간 (년) <2 8 (15.1) 4 (9.1) 17 (12.4) 13 (13.4) 1 (2.2) 43 (11.4)
2 ~ <5 4 (7.5) 6 (13.6) 19 (13.9) 14 (14.4) 3 (6.7) 46 (12.2)
5 ~ <10 12 (22.6) 5 (11.4) 24 (17.5) 21 (21.6) 6 (13.3) 68 (18.1)
10 ~ <20 9 (17.0) 8 (18.2) 27 (19.7) 25 (25.8) 16 (35.6) 85 (22.6)
≥20 20 (37.7) 21 (47.7) 50 (36.5) 24 (24.7) 19 (42.2) 134 (35.6)
거주형태 단독주택 11 (20.8) 3 (6.8) 8 (5.8) 5 (5.2) 8 (17.8) 35 (9.3)
다가구 2 (3.8) 4 (9.1) 9 (6.6) 7 (7.2) - 22 (5.9)
빌라 7 (13.2) 7 (15.9) 21 (15.3) 12 (12.4) 8 (17.8) 55 (14.6)
아파트 29 (54.7) 30 (68.2) 93 (67.9) 63 (64.9) 24 (53.3) 239 (63.6)
자취 또는 기숙사, 하숙 4 (7.5) - 5 (3.6) 10 (10.3) 4 (8.9) 23 (6.1)
기타 - - 1 (0.7) - 1 (2.2) 2 (0.5)
월평균 가구소득 (만 원) <200 8 (15.1) 6 (13.6) 23 (16.8) 11 (11.3) 7 (15.6) 55 (14.6)
200 ~ <400 21 (39.6) 20 (45.5) 46 (33.6) 30 (30.9) 15 (33.3) 132 (35.1)
400 ~ <600 17 (32.1) 8 (18.2) 40 (29.2) 30 (30.9) 12 (26.7) 107 (28.5)
600 ~ <800 5 (9.4) 6 (13.6) 14 (10.2) 14 (14.4) 7 (15.6) 46 (12.2)
800 ~ <1,000 1 (1.9) 4 (9.1) 11 (8.0) 10 (10.3) 3 (6.7) 29 (7.7)
≥1,000 1 (1.9) - 3 (2.2) 2 (2.1) 1 (2.2) 7 (1.9)
월평균 가구 식생활비 (만 원) <20 6 (11.3) 4 (9.1) 12 (8.8) 11 (11.3) 3 (6.7) 36 (9.6)
20 ~ <50 23 (43.4) 25 (56.8) 64 (46.7) 48 (49.5) 19 (42.2) 179 (47.6)
50 ~ <100 22 (41.5) 13 (29.5) 49 (35.8) 27 (27.8) 17 (37.8) 128 (34.0)
≥100 2 (3.8) 2 (4.5) 12 (8.8) 11 (11.3) 6 (13.3) 33 (8.8)
외식 횟수 (주) ≤1 25 (47.2) 18 (40.9) 43 (31.4) 26 (26.8) 18 (40.0) 130 (34.6)
2~3 20 (37.7) 20 (45.5) 70 (51.1) 55 (56.7) 21 (46.7) 186 (49.5)
4~5 5 (9.4) 6 (13.6) 11 (8.0) 9 (9.3) 5 (11.1) 36 (9.6)
6~7 1 (1.9) - 8 (5.8) 4 (4.1) - 13 (3.5)
8~10 2 (3.8) - 4 (2.9) 2 (2.1) - 8 (2.1)
≥10 - - 1 (0.7) 1 (1.0) 1 (2.2) 3 (0.8)
가구 유형 1인 6 (11.3) 10 (22.7) 29 (21.2) 24 (24.7) 4 (8.9) 73 (19.4)
부부 4 (7.5) 7 (15.9) 11 (8.0) 10 (10.3) 2 (4.4) 34 (9.0)
부부+자녀 36 (67.9) 18 (40.9) 73 (53.3) 48 (49.5) - 201 (53.5)
조부모+부부 3 (5.7) 4 (9.1) 4 (2.9) 5 (5.2) 3 (6.7) 19 (5.1)
조부모, 부부 & 자녀 1 (1.9) 3 (6.8) 7 (5.1) 3 (3.1) 6 (13.3) 20 (5.3)
형제자매, 친인척 등과의 공동거주 1 (1.9) - 7 (5.1) 1 (1.0) 1 (2.2) 10 (2.7)
지인(친구, 연인 등)과의 공동거주 - - 1 (0.7) 4 (4.1) - 5 (1.3)
기타 2 (3.8) 2 (4.5) 5 (3.6) 2 (2.1) 3 (6.7) 14 (3.7)
전체 53 (14.1) 44 (11.7) 137 (36.4) 97 (25.8) 45 (12.0) 376 (100.0)

<표 3>

커뮤니티 키친의 인지도 및 경험N (%)

구분 거주지역 전체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인지 유무 23 (43.4) 15 (34.1) 64 (46.7) 44 (45.4) 25 (55.6) 171 (45.5)
아니오 30 (56.6) 29 (65.9) 73 (53.3) 53 (54.6) 20 (44.4) 205 (54.5)
경험 여부 8 (15.1) 5 (11.4) 14 (10.2) 12 (12.4) 7 (15.6) 46 (12.2)
아니오 45 (84.9) 39 (88.6) 123 (89.8) 85 (87.6) 38 (84.4) 330 (87.8)
전체 53 (14.1) 44 (11.7) 137 (36.4) 97 (25.8) 45 (12.0) 376 (100.0)

<표 4>

커뮤니티 키친 참여 시 주요 고려사항N(%)

구분 거주지역 전체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참여 시 중요 고려사항 함께 이용하는 사람 33 (62.3) 24 (54.5) 89 (65.0) 58 (59.8) 27 (60.0) 231 (61.4)
비용 13 (24.5) 12 (27.3) 14 (10.2) 15 (15.5) 5 (11.1) 59 (15.7)
이용시간대 1 (1.9) 4 (9.1) 15 (10.9) 5 (5.2) 5 (11.1) 30 (8.0)
위치 3 (5.7) 2 (4.5) 9 (6.6) 12 (12.4) 4 (8.9) 30 (8.0)
활동 및 프로그램 3 (5.7) 2 (4.5) 9 (6.6) 7 (7.2) 3 (6.7) 24 (6.4)
기타 - - 1 (0.7) - 1 (2.2) 2 (0.5)
참여 시 우려사항 이웃 간 교류에 대한 부담 15 (28.3) 10 (22.7) 40 (29.2) 27 (27.8) 12 (26.7) 104 (27.7)
비용에 대한 부담 16 (30.2) 13 (29.5) 39 (28.5) 20 (20.6) 13 (28.9) 101 (26.9)
번거로움 13 (24.5) 12 (27.3) 32 (23.4) 29 (29.9) 13 (28.9) 99 (26.3)
원하는 식사 불가능 8 (15.1) 9 (20.5) 24 (17.5) 19 (19.6) 6 (13.3) 66 (17.6)
기타 1 (1.9) - 2 (1.5) 2 (2.1) 1 (2.2) 6 (1.6)
전체 53 (14.1) 44 (11.7) 137 (36.4) 97 (25.8) 45 (12.0) 376 (100.0)

<표 5>

커뮤니티 키친 참여 시 기대되는 장점N (%)

구분 거주지역 전체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1)다중 응답.
식생활 면에서의 장점1) 식재료비 절약 33 (19.8) 26 (19.7) 91 (19.6) 52 (17.0) 26 (19.5) 228 (19.0)
식사 준비 부담 감소 22 (13.2) 19 (14.4) 54 (11.6) 36 (11.8) 20 (15.0) 151 (12.6)
다양한 조리기구 사용 18 (10.8) 11 (8.3) 54 (11.6) 46 (15.0) 16 (12.0) 145 (12.1)
식생활 정보 습득 20 (12.0) 18 (13.6) 48 (10.3) 36 (11.8) 17 (12.8) 139 (11.6)
조리기술 습득 16 (9.6) 13 (9.8) 53 (11.4) 40 (13.1) 16 (12.0) 138 (11.5)
외식비 절약 16 (9.6) 13 (9.8) 54 (11.6) 34 (11.1) 9 (6.8) 126 (10.5)
매일 다른 식단 20 (12.0) 11 (8.3) 39 (8.4) 27 (8.8) 11 (8.3) 108 (9.0)
집밥 횟수 증가 12 (7.2) 13 (9.8) 39 (8.4) 18 (5.9) 9 (6.8) 91 (7.6)
결식, 혼밥 감소 10 (6.0) 8 (6.1) 31 (6.7) 17 (5.6) 9 (6.8) 75 (6.2)
기타 - - 1 (0.2) - - 1 (0.1)
전체 167 (100) 132 (100) 464 (100) 306 (100) 133 (100) 1,202 (100)
공동체 생활 면에서의 장점1) 이웃 간 교류 36 (27.9) 34 (30.9) 96 (28.3) 73 (30.4) 30 (26.5) 269 (28.9)
이웃 간 나눔 37 (28.7) 33 (30.0) 97 (28.6) 70 (29.2) 31 (27.4) 268 (28.8)
건강한 취미생활 제공 18 (14.0) 12 (10.9) 47 (13.9) 33 (13.8) 10 (8.8) 120 (12.9)
이웃 간 소통을 통한 문제해결 15 (11.6) 12 (10.9) 41 (12.1) 23 (9.6) 23 (20.4) 114 (12.2)
지역 내 휴식공간 마련 13 (10.1) 13 (11.8) 30 (8.8) 23 (9.6) 11 (9.7) 90 (9.7)
봉사 기회 제공 10 (7.8) 6 (5.5) 28 (8.3) 18 (7.5) 8 (7.1) 70 (7.5)
전체 129 (100) 110 (100) 339 (100) 240 (100) 113 (100) 931 (100)

<표 6>

커뮤니티 키친 운영 요구도N (%)

구분 거주지역 전체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1)다중 응답.
활성화를 위한 중요요인 충분한 예산 16 (30.2) 15 (34.1) 44 (32.1) 24 (24.7) 16 (35.6) 115 (30.6)
주민의 적극적 참여 13 (24.5) 4 (9.1) 28 (20.4) 29 (29.9) 9 (20.0) 83 (22.1)
책임감 있는 운영자 10 (18.9) 8 (18.2) 29 (21.2) 18 (18.6) 10 (22.2) 75 (19.9)
가까운 거리 4 (7.5) 7 (15.9) 9 (6.6) 12 (12.4) 3 (6.7) 35 (9.3)
운영의 자율성 2 (3.8) 4 (9.1) 14 (10.2) 10 (10.3) 3 (6.7) 33 (8.8)
행정기관의 적극적 협조 2 (3.8) 2 (4.5) 5 (3.6) 2 (2.1) 4 (8.9) 15 (4.0)
운영의 전문성 2 (3.8) 2 (4.5) 6 (4.4) - - 10 (2.7)
운영 시간 3 (5.7) 2 (4.5) 1 (0.7) 1 (1.0) - 7 (1.9)
전담인원의 확보 1 (1.9) - 1 (0.7) 1 (1.0) - 3 (0.8)
기타 - - - - - -
운영 주체 자원봉사자(주민) 15 (28.3) 9 (20.5) 46 (33.6) 29 (29.9) 14 (31.1) 113 (30.1)
지방자치단체 15 (28.3) 12 (27.3) 30 (21.9) 27 (27.8) 7 (15.6) 91 (24.2)
지역사회 내 협동조합 6 (11.3) 13 (29.5) 34 (24.8) 20 (20.6) 14 (31.1) 87 (23.1)
지역사회 내 민간단체(식당, 카페, 기업 등) 10 (18.9) 7 (15.9) 18 (13.1) 10 (10.3) 6 (13.3) 51 (13.6)
사회복지기관 7 (13.2) 3 (6.8) 9 (6.6) 9 (9.3) 4 (8.9) 32 (8.5)
기타 - - - 2 (2.1) - 2 (0.5)
전문 영양사 고용여부 고용하는 것이 좋음 6 (11.3) 6 (13.6) 13 (9.5) 7 (7.2) 7 (15.6) 39 (10.4)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면 고용의사 있음 30 (56.6) 28 (63.6) 79 (57.7) 56 (57.7) 24 (53.3) 217 (57.7)
자원봉사로 충분함 17 (32.1) 10 (22.7) 45 (32.8) 34 (35.1) 14 (31.1) 120 (31.9)
전문 조리사 고용여부 고용하는 것이 좋음 3 (5.7) 4 (9.1) 14 (10.2) 6 (6.2) 6 (13.3) 33 (8.8)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면 고용의사 있음 33 (62.3) 24 (54.5) 78 (56.9) 49 (50.5) 18 (40.0) 202 (53.7)
자원봉사로 충분함 17 (32.1) 16 (36.4) 45 (32.8) 42 (43.3) 21 (46.7) 141 (37.5)
이용 빈도 ≥주 1회 19 (35.8) 20 (45.5) 57 (41.6) 42 (43.3) 18 (40.0) 156 (41.5)
2주에 1회 7 (13.2) 5 (11.4) 36 (26.3) 22 (22.7) 11 (24.4) 81 (21.5)
월 1회 10 (18.9) 5 (11.4) 16 (11.7) 14 (14.4) 8 (17.8) 53 (14.1)
2~3개월에 1회 1 (1.9) 1 (2.3) 2 (1.5) - 2 (4.4) 6 (1.6)
집에서 요리하기 어려울 때만 16 (30.2) 13 (29.5) 26 (19.0) 19 (19.6) 6 (13.3) 80 (21.3)
회당 이용 시간 <1시간 6 (11.3) 5 (11.4) 15 (10.9) 19 (19.6) 5 (11.1) 50 (13.3)
1 ~ <2시간 32 (60.4) 27 (61.4) 93 (67.9) 58 (59.8) 25 (55.6) 235 (62.5)
2 ~ <3시간 13 (24.5) 11 (25.0) 27 (19.7) 19 (19.6) 15 (33.3) 85 (22.6)
3 ~ <4시간 1 (1.9) 1 (2.3) 2 (1.5) 1 (1.0) - 5 (1.3)
≥4시간 1 (1.9) - - - - 1 (0.3)
회당 인원 1~2명 4 (7.5) 6 (13.6) 16 (11.7) 10 (10.3) 2 (4.4) 38 (10.1)
3~4명 38 (71.7) 25 (56.8) 99 (72.3) 57 (58.8) 27 (60.0) 246 (65.4)
5~6명 8 (15.1) 12 (27.3) 18 (13.1) 27 (27.8) 11 (24.4) 76 (20.2)
7~8명 2 (3.8) 1 (2.3) 3 (2.2) 3 (3.1) 3 (6.7) 12 (3.2)
>9명 1 (1.9) - 1 (0.7) - 2 (4.4) 4 (1.1)
회당 참가비 무료 10 (18.9) 4 (9.1) 13 (9.5) 9 (9.3) 9 (20.0) 42 (12.0)
<5,000원 10 (18.9) 10 (22.7) 31 (22.6) 27 (27.8) 7 (15.6) 85 (22.6)
5,000 ~ <10,000원 19 (35.8) 25 (56.8) 55 (40.1) 36 (37.1) 17 (37.8) 152 (40.4)
10,000 ~ <15,000원 10 (18.9) 5 (11.4) 25 (18.2) 14 (14.4) 9 (20.0) 63 (16.8)
15,000 ~ <20,000원 4 (7.5) - 11 (8.0) 10 (10.3) - 25 (6.6)
≥20,000원 - - 2 (1.5) 1 (1.0) 3 (6.7) 6 (1.6)
전체 53 (100) 44 (100) 137 (100) 97 (100) 45 (100) 376 (100)
이용 시간대1) 주중 아침식사시간대 5 (6.8) 1 (1.7) 5 (2.7) 4 (3.1) 2 (3.3) 17 (3.4)
주중 점심식사시간대 9 (12.3) 3 (5.2) 13 (7.1) 10 (7.8) 8 (13.1) 43 (8.5)
주중 저녁식사시간대 20 (27.4) 25 (43.1) 56 (30.6) 35 (27.3) 22 (36.1) 158 (31.4)
주말 아침식사시간대 4 (5.5) 3 (5.2) 9 (4.9) 4 (3.1) 2 (3.3) 22 (4.4)
주말 점심식사시간대 18 (24.7) 11 (19.0) 57 (31.1) 38 (29.7) 14 (23.0) 138 (27.4)
주말 저녁식사시간대 17 (23.3) 15 (25.9) 43 (23.5) 37 (28.9) 13 (21.3) 125 (24.9)
전체 73 (100) 58 (100) 183 (100) 128 (100) 61 (100) 503 (100)
식단 알림 매체 문자 21 (39.6) 25 (56.8) 62 (45.3) 32 (33.0) 25 (55.6) 165 (43.9)
온라인 매체(SNS, 홈페이지 등) 21 (39.6) 12 (27.3) 47 (34.3) 46 (47.4) 14 (31.1) 140 (37.2)
게시판 8 (15.1) 5 (11.4) 26 (19.0) 18 (18.6) 4 (8.9) 61 (16.2)
이메일 3 (5.7) 1 (2.3) 2 (1.5) 1 (1.0) 1 (2.2) 8 (2.1)
기타 - 1 (2.3) - - 1 (2.2) 2 (0.5)
운영공간 중대형 시설 내 대여공간(다양한 프로그램 연계 가능) 30 (56.6) 27 (61.4) 87 (63.5) 58 (59.8) 25 (55.6) 227 (60.4)
독자적 운영 공간(다소 협소할 수 있음) 23 (43.4) 17 (38.6) 50 (36.5) 39 (40.2) 20 (44.4) 149 (39.6)
전체 53 (100) 44 (100) 137 (100) 97 (100) 45 (100) 376 (100)

<표 7>

커뮤니티 키친 프로그램 요구도N (%)

구분 거주지역 전체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1)다중 응답.
참여 희망 활동1) 음식 포장해가기 29 (20.3) 28 (23.9) 88 (22.9) 54 (19.6) 28 (25.2) 227 (22.0)
커뮤니티 키친 내 식사 24 (16.8) 24 (20.5) 70 (18.2) 58 (21.0) 28 (25.2) 204 (19.8)
그룹 활동 25 (17.5) 19 (16.2) 55 (14.3) 43 (15.6) 12 (10.8) 154 (14.9)
반찬 봉사 16 (11.2) 12 (10.3) 41 (10.6) 32 (11.6) 13 (11.7) 114 (11.0)
재능기부(무급) 식사 준비 12 (8.4) 11 (9.4) 26 (6.8) 22 (8.0) 9 (8.1) 80 (7.8)
재능기부(무급) 교육활동 제공 14 (9.8) 5 (4.3) 26 (6.8) 21 (7.6) 7 (6.3) 73 (7.1)
유급 식사 준비 7 (4.9) 8 (6.8) 26 (6.8) 20 (7.2) 6 (5.4) 67 (6.5)
유급 교육활동 제공 7 (4.9) 6 (5.1) 33 (8.6) 10 (3.6) 4 (3.6) 60 (5.8)
돌봄 봉사 9 (6.3) 4 (3.4) 20 (5.2) 16 (5.8) 4 (3.6) 53 (5.1)
전체 143 (100) 117 (100) 385 (100) 276 (100) 111 (100) 1,032 (100)
참여 희망 프로그램1) 요리 수업 40 (28.6) 31 (31.3) 105 (28.9) 73 (28.5) 30 (33.0) 279 (29.4)
요리 자격증 취득 교육 27 (19.3) 19 (19.2) 76 (20.9) 43 (16.8) 20 (22.0) 185 (19.5)
취미활동 모임 15 (10.7) 9 (9.1) 39 (10.7) 27 (10.5) 11 (12.1) 101 (10.6)
식생활 교육 8 (5.7) 9 (9.1) 32 (8.8) 23 (9.0) 7 (7.7) 79 (8.3)
공간 대여 10 (7.1) 7 (7.1) 26 (7.2) 22 (8.6) 6 (6.6) 71 (7.5)
영양 상담 9 (6.4) 7 (7.1) 28 (7.7) 19 (7.4) 5 (5.5) 68 (7.2)
아동 돌봄 13 (9.3) 6 (6.1) 18 (5.0) 22 (8.6) 2 (2.2) 61 (6.4)
교양 교육 8 (5.7) 5 (5.1) 12 (3.3) 13 (5.1) 4 (4.4) 42 (4.4)
창업 교육 5 (3.6) 4 (4.0) 15 (4.1) 7 (2.7) 3 (3.3) 34 (3.6)
어르신 돌봄 5 (3.6) 2 (2.0) 12 (3.3) 7 (2.7) 3 (3.3) 29 (3.1)
전체 140 (100) 99 (100) 363 (100) 256 (100) 91 (100) 949 (100)
만들어 보거나 제공받고 싶은 음식1) 밑반찬 27 (17.9) 25 (22.5) 86 (20.6) 60 (22.1) 28 (24.8) 266 (21.2)
주요리 32 (21.2) 20 (18.0) 85 (20.4) 51 (18.8) 20 (17.7) 208 (19.5)
이색 음식 29 (19.2) 20 (18.0) 68 (16.3) 45 (16.5) 17 (15.0) 179 (16.8)
한상차림 23 (15.2) 19 (17.1) 53 (12.7) 31 (11.4) 13 (11.5) 139 (13.1)
국·찌개 11 (7.3) 12 (10.8) 46 (11.0) 40 (14.7) 16 (14.2) 125 (11.7)
간식 21 (13.9) 9 (8.1) 44 (10.6) 26 (9.6) 8 (7.1) 108 (10.2)
김치·장류 8 (5.3) 6 (5.4) 35 (8.4) 19 (7.0) 11 (9.7) 79 (7.4)
전체 151 (100) 111 (100) 417 (100) 272 (100) 113 (100) 1,064 (100)

<표 8>

커뮤니티 키친 참여 관련 의견Mean±SD

구분1) 거주지역 전체 F-value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1)5-point Likert scale(1: Not at all, 5: Very much).
2)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p<0.05).
커뮤니티 키친 설치에 대한 기대 3.40±0.12 3.36±0.14 3.66±0.06 3.59±0.08 3.56±0.12 3.56±0.04 1.779
커뮤니티 키친의 필요성 3.34±0.11 3.23±0.14 3.44±0.06 3.39±0.08 3.40±0.13 3.38±0.04 0.653
커뮤니티 키친 참여 의사 3.36±0.88a2) 3.43±1.04a 3.74±0.65b 3.55±0.82ab 3.64±0.74ab 3.59±0.80 2.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