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32, No. 4, pp.365-374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23
Received 22 Jun 2023 Accepted 25 Jul 2023
DOI: https://doi.org/10.5934/kjhe.2023.32.4.365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 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김영민1) ; 민하영2), *
1)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석사과정
2)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A Study of Creative Teaching Behaviors : Focusing on Empathy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Kim, Youngmin1) ; Min, Hayoung2), *
1)Department of Child Studies, Daegu Catholic University
2)Department of Child Studies, Daegu Catholic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Min, Hayoung Tel: +82-53-850-3541, Fax: +82-53-850-3520 E-mail: hymin@cu.ac.kr

ⓒ 2023,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Study subjects were 231 teachers employed in childcare centers in Daegu-Gyeongbuk Provinces, Korea. Questionnaires, which required self-reporting by teachers, were used to investigate empathy,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Hayes’ PROCESS Macro Model 4.1 using SPSS Win 21.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empath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Second, childcare teachers' empath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sychological empowerment. Third, childcare teachers' empathy indirectly influenced their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rough psychological empowerment.

To develop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for promoting children's creativity, strengthening psychological empowerment based on childcare teachers' empathy is needed.

Keyword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Empathy, Psychological empowerment, Childcare center teachers

키워드:

창의적 교수행동, 공감, 심리적 임파워먼트, 보육교사

Ⅰ. 서론

초연결, 초융합, 초지능으로 요약되는 4차 산업혁명의 지식정보사회는 불확실성 속에서 기존의 것을 넘어 새롭고 유용한 지식이나 서비스를 창출할 것을 기대한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요구도를 반영하는 듯 2022년 교육부는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으로의 성장’을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으로 확정 발표하였다. 교육부의 발표에 따라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는 미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자기주도성과 창의 인성이 강조되고 있다. 초중등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이러한 변화를 고려할 때, 2019 놀이 중심의 누리과정을 통해 유아의 창의성을 강조해온 보육현장에서도 창의 인성에 대한 관심과 비중은 점점 더 확대될 것이라 전망된다.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교육 발전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 지적(Davis et al., 2013)될 만큼,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유아의 창의 인성과 관련해 중요한 교육 환경 요소라 할 수 있다. 유아의 창의적 생각과 행동, 또는 놀이 활동에 대해 교사가 나타내는 반응과 지원에 따라 유아의 창의성 발현이나 발달에 영향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유아의 창의 인성 계발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교사의 역량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이란 유아의 창의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교사가 사용하는 다양한 교수행동을 의미한다(Kaufman & Sternberg, 2010). 유아기는 창의성 개발의 가장 효과적인 시기이기 때문에(정미라 외, 2010),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유아기에 고조되는 풍부한 상상력과 강한 호기심을 기반으로 창의적 행동과 생각으로 확장시키고 발전시키는 토대가 될 수 있다.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이 갖는 긍정적 영향력을 고려해 볼 때,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규명은 놀이 중심의 누리과정에서 교사에게 기대되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증진에 도움이 될 정보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의 교육 자원 정보센터인 ERIC에서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새롭고 독창적이거나 획기적인 교육 방법의 개발 및 사용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를 기반으로 할 때,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참신한 아이디어를 구상하거나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외부 자원을 사용해 계획에 따라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Kanter, 1996).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중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정의한 Cropley(1997)는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교사가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행동 강점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아의 확산적 사고력 및 지식과 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해 인지적 지원 뿐 아니라 유아 스스로 배우는 것에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동기화시키고 과제에 몰입하여 마무리할 수 있도록 심리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라 설명하였다.

인지적 특성상 자기중심적 사고가 강하게 나타나는 전조작기의 유아들은 새로운 것에 대한 강한 호기심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상상 세계를 만들어 낼 뿐 아니라 놀이 속에서 주변의 것들을 흥미있게 탐색하면서 새로운 생각과 산출물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창의성 개발의 적기로 알려져 있다(Society, 1995; Cliatt et al., 1980). 이러한 유아의 인지적 특성과 행동 특성을 기반으로 유아의 창의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교사가 사용하는 다양한 교수행동을 창의적 교수행동(Cropley, 1997)이라 할 때, 교사의 공감은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으로 고려할 수 있다. 유아의 인지적 특성과 행동 특성 뿐 아니라 생각과 관심, 흥미를 토대로 유아에게 적합한 창의적 교수행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감을 기반으로 유아의 생각과 감정을 우선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다.

타인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며 타인의 정서를 공유하거나 타인이 느끼는 정서를 경험하는 것을 의미하는 공감(empathy)은 전통적으로 교사의 교수행동에 있어 주요 변인으로 간주되었다(구성희, 우현경, 2022; Feshbach & Feshbach, 2011; McAllister & Irvine, 2002; Meyers et al., 2019; Watt et al., 2021). 유아의 요구를 민감하게 파악하고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적 방법을 통해 유아의 발달을 지원하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서 교사의 공감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구성희, 우현경, 2022; Pianta, 1999; Vorkapić & Ružić, 2013)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가 수업에서 유아의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수용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유아가 이후 새로운 생각과 창의적 의견이 떠올랐을 때 어떻게 행동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Cremin et al., 2006)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유아의 입장에서 유아의 생각과 의견을 취하거나 유아의 감정과 정서를 이해할 수 있는 교사의 공감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 뿐 아니라 유아의 창의성 지원을 위한 창의적 교수행동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변인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공감 뿐 아니라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의해서도 설명될 수 있다.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혁신적 행동(innovation)과 창의성을 동기화시키는 내재적 동기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Amabile et al., 1994; Haris et al., 2014; Pieterse et al., 2010; Seibert et al., 2011; Spreitzer, 1995; Zhang & Bartol, 2010).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Conger와 Kanungo(1988)가 정의한 임파워먼트를 기초로 한 개념이다.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제안된 임파워먼트는 Thomas와 Velthouse(1990)에 의해 심리적 임파워먼트로 확장되었다. Thomas와 Velthouse(1990)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개념 정의 과정에서 의미성, 역량감, 자기결정성, 영향력을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4가지 요소로 제안하였고 Spreitzer(1995)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이들의 4가지 요소를 입증하였다. 자신의 직무에 대해 가치를 부여하는 의미성(meaning), 직무 수행의 능력을 지녔다고 스스로 믿는 역량감(competence), 주어진 업무를 스스로의 결정에 의해 선택한다고 생각하는 자기결정성(self-determination), 그리고 자신의 능력과 업무에 관한 지식 등을 바탕으로 조직의 성과나 타인의 업무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영향력(impact)은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형성해 조직이 지향하는 목표 지향적 행동을 동기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Spreitzer, 1995).

이러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산업 현장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혁신을 설명하는 개인 내적 특성(Spreitzer, 1995)으로,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의 혁신적 행동이나 창의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Davis & Wilson, 2000; Singh & Sarkar, 2019). 독창적인 아이디어 또는 가치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혁신과 창의는 유사하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혁신적 행동 또는 창의적 행동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의해 설명된다는 점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서도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유의한 설명력을 가진 변인으로 기능할 것이라 보여진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교사의 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영향력에서 고려할 점은 교사의 공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성향으로 기능한다는 점이다. 잠재적 차원에서 공감은 동기를 증진시키는 선행 변인으로 보고(Batson, 2010; Batson et al., 2007)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보육교사의 공감이 내재적 동기인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자신의 직무에 대해 가치를 부여하거나 자신의 직무 수행이 조직이나 타인의 성과와 업무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것은 조직이나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거나 느낄 수 있는 공감 능력이 갖추어졌을 때 내실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보고(신민정 외, 2016; 이지연, 2023)되고 있고, 군 초급간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공감 지향적 행동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정교태, 장수덕, 2012)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공감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김영구 외, 2022)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보육교사의 공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선행 변인으로 역할하면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 미침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이 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받는지, 그리고 보육교사의 공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선행 변인으로 역할하면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창의적 교수행동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설명력은 유의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한 공감의 설명력은 유의한가?
[연구문제 3]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보육교사의 공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간접 영향은 유의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대구경북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20대는 37명(16.0%), 30대는 59명(25.5%), 40대는 85명(36.8%), 50대는 47명(20.3%), 60대는 3명(1.3%)이었다. 보육경력 1년 미만인 자는 2명(0.9%), 1년 이상∼3년 미만인 자는 18명(7.8%), 3년 이상∼5년 미만인 자는 38명(16.5%), 5년 이상∼7년 미만인 자는 30명(13.0%), 7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자는 143명(61.9%)이었다. 대학원 졸업자는 12명(5.2%), 4년제 졸업자는 99명(49.8%), 전문대 졸업자는 115명(49.8)이며 고등학교 졸업자와 무응답을 합쳐 5명(2.2%)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N = 231)

2. 연구도구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한 보육교사의 공감, 심리적 임파워먼트,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공감

보육교사의 공감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김용석, 송진희(2018)의 대인관계 공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나는 타인의 감정을 잘 이해한다.’ , ‘나는 의논할 때 타인의 관점이나 견해를 고려한다.’ 등으로 이루어진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항상 그렇다(6점)’의 6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19문항으로 구성된 총점 범위는 19∼114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공감 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문항 간 내적 합치도에 의한 신뢰도 Cronbach’s ⍺는 .94로 나타났다.

2) 심리적 임파워먼트

보육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Spreitzer(1995)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를 수정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나의 직무는 우리 팀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나의 직무 활동은 나에게 개인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등의 의미성(3문항), 역량감(3문항), 자기결정성(3문항), 영향력(3문항) 등으로 구성된 각 문항은 ‘매우 아니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7점)’의 7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12문항으로 구성된 총점 범위는 12∼84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음을 의미한다. 문항 간 내적 합치도에 의한 전체 신뢰도 Cronbach’s ⍺는 .94로 나타났다.

3) 창의적 교수행동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Cropley(2001)가 제안한 교사 창의성 검사도구를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제작한 백영숙, 김희태(2008)의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질문을 허용하며 가치있는 것으로 여긴다.’ , ‘유아의 개성과 독특함을 허용한다.’ 등의 확산적 사고와 행위(8문항), 일반적 지식과 사고기반(7문항), 특정 영역의 지식 기반과 기술(4문항), 집중하여 과제 수행하기(3문항), 동기와 동기유발(5문항), 개방성과 모호함의 허용(8문항) 등으로 구성된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의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35문항으로 구성된 총점 범위는 35∼17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창의적 교수행동이 높음을 의미한다. 문항 간 내적 합치도에 의한 전체 신뢰도 Cronbach’s ⍺는 .96으로 나타났다.

3. 연구절차

질문지 조사를 시작하기 전 대구경북 지역 내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10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조사를 통해 질문지 소요시간 및 문항 응답에서의 어려움이나 문제점 등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질문지 소요시간은 약 15∼20분 정도 소요되었다. 문항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보고된 내용에 대해서는 아동학 교수 3명과 보육교사 경력 10년 이상의 박사과정 수료생 1명의 지도에 따라 수정하였으며 수정된 문항을 포함한 전 문항에 대해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대구경북 지역 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보수교육이나 승급교육을 위해 대학 내 교육원을 찾은 보육교사 및 어린이집을 토대로 질문지 조사를 부탁했으며, 응답해 준 보육교사의 도움이나 소개를 받아 질문지 부수를 확장하였다. 질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대학 내 교육원이나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254부를 배부했으며 일주일 기간 안에 재방문하여 질문지를 회수하였다. 질문지 조사는 대학 내 교육원 지도 교수 및 어린이집 원장에게 허락을 받았으며, 응답하는 보육교사에게도 허락을 받았다. 질문지 응답 시간은 25분 내외였으며 응답된 질문지 회수 시 소정의 쿠폰을 전달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가운데 척도 문항 내 결측값이 있는 23부는 제외하였다.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 내 Hayes(2013/2015)의 PROCESS Macro 4.1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PROCESS Macro는 기존의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간편하게 검증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현응, 2014)으로, bootstraps resampling을 통해 95% 신뢰구간(CI: Confidence Interval)으로 검증(허원무, 2013)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상관관계 및 기술통계치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전, 보육교사의 공감, 심리적 임파워먼트,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상관관계,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의 기술통계치를 살펴보았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육교사의 공감은 심리적 임파워먼트(r = .45, p<.01), 그리고 창의적 교수행동(r = .35, p<.01)과 각각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도 창의적 교수행동과 정적 상관관계(r = .43, p<.01)를 나타냈다. 보육교사의 공감, 심리적 임파워먼트, 창의적 교수행동의 평균(표준편차)은 각각 84.48(12.17), 59.72(11.36), 138.65(16.63)로 나타났다. 한편 왜도는 -.31 ∼ -.93으로 기준값인 ±3을 초과하지 않고, 첨도는 -.04 ∼ 6.21로 기준값이 ±10을 초과(Kline, 2005)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집된 자료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West et al., 1995).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및 기술통계치(N = 231)

2. 연구문제 검증

연구문제 1과 관련하여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설명력은 유의한가?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4.1의 모델 4를 활용하여 이를 분석하였고, 그에 대한 결과를 <표 3>을 통해 살펴보았다.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공감의 설명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B = .27, p < .01), 95% 신뢰구간에서 하한값(.09)과 상한값(.45)이 0을 포함하지 않아 보육교사의 공감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설명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B = .50, p < .001), 95% 신뢰구간에서 하한값(.31)과 상한값(.69) 사이에 0을 포함하지 않아 보육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창의적 교수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보육교사의 공감, 심리적 임파워먼트, 창의적 교수행동 간 관계(N = 231)

보육교사의 공감과 창의적 교수행동 간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간접 효과 검증(N = 231)

한편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보육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한 공감의 설명력은 유의한가?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문제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그에 대한 결과는 <표 3>에 제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한 공감의 설명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B = .42, p < .001), 95% 신뢰구간에서 하한값(.31)과 상한값(.53) 사이에 0을 포함하지 않아 보육교사의 공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의 결과표에 나타난 것처럼, 연구문제 1인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설명력은 유의한가?와 연구문제 2인 보육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한 공감의 설명력은 유의한가?는 모두 채택되었다.

연구문제 3.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보육교사의 공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간접 영향은 유의한가?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식으로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간접 효과는 95% 신뢰구간에서 하한값(.12)과 상한값(.30) 사이에 0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로 인해 보육교사의 공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매개하여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간접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Ⅳ. 논의 및 결론

대구경북 지역 보육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 4.1의 모델 4를 이용하여, 공감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창의적 교수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이 연구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논의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창의적 교수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공감이 높을수록 높은 창의적 교수행동이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는 공감이 교사의 교수행동에 중요 요인이라고 설명한 연구(구성희, 우현경, 2022; Feshbach & Feshbach, 2011; McAllister & Irvine, 2002; Meyers et al., 2019; Vorkapić & Ružić, 2013)와 유사한 것이다. 또한 교사의 공감이 효과적인 교수활동에 중요한 요소라고 보고한 연구결과(Aldrup et al., 2022)를 지지하는 것이다. 수업 중 학생들의 감정이나 정서적 신호를 신속하고 민감하게 읽어 내는 교사의 공감 반응은 성공적이고 긍정적인 교사-학생 간 관계에서 중요한 요소(Pianta, 1999)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만드는 교사의 공감은 학생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수업 환경을 지원하는 요인(Batson, 2009)으로 알려져 있다. 교사의 공감을 기반으로 한 교사-학생 간 관계(Pianta, 1999) 또는 수업 환경 지원(Batson, 2009) 등을 고려해 볼 때, 보육교사의 공감은 유아와의 긍정적 관계를 구축하고 지지적 관계를 형성(Eisenberg & Miller, 1987; Sened et al., 2017)하는 기반이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교사는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기반으로 자기 주도적인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수업 환경을 지원하는 등의 창의적 교수행동(Cropley, 2001)을 실시한다고 볼 수 있다.

보육교사의 공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을 위한 의미있는 인적 자원이라는 점에서 교사의 공감 역량 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최근 공감 역량 증진에 있어 심상 활용이 제안되고 있다(김성지, 유금란, 2021; 전미이, 임성문, 2019; Monzel et al., 2023). 발달 및 인지 심리학자인 Feuerstein이 설립한 ICELP(The International Center for the Enhancement of Learning Potentia)의 보고서(Feuerstein et al., 2003)에 따르면 타인의 정서 인식 과정에서 얼굴 표정을 통해 감정 상태를 추론하는 노력은 타인과 유사한 정서적 경험의 인식을 활성화시켜 공감 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심상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공감 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보육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한편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은 보육교사일수록 높은 창의적 교수행동이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는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혁신과 창의성을 동기화시키는 내재적 요인이라고 보고한 연구결과(Amabile et al., 1994; Haris et al., 2014; Pieterse et al., 2010; Seibert et al., 2011; Spreitzer, 1995; Zhang & Bartol, 2010)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은 교사에게서 높은 혁신적 행동이나 창의적 행동이 나타난다고 보고한 연구결과(Davis & Wilson, 2000; Singh & Sarkar, 2019)와 유사한 것이다.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은 사람은 조직 안에서 자기 주도의 의사결정 능력과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틀이나 규정에서 벗어난 행동을 수행하는데 주도적이다(Spreitzer, 1995). 심리적 특성이 갖는 이러한 특성 때문에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은 보육교사는 지식정보의 4차 산업사회안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해 수용적이며 반응적일 수 있다. 따라서 전통적 차원의 규범적 교수행동과 구분된 창의적 교수행동에서 보다 긍정적 수행을 나타냈다고 보여진다. 이와 같은 사실은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지원 시, 교사의 의미성(meaning), 역량감(competence), 자기결정성(self-determination), 영향력(impact)에 기반하여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높일 수 있는 직무 환경을 구성하는데 관심 가질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보육교사의 공감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이 높은 보육교사일수록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공감 지향적 행동이 임파워먼트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정교태와 장수덕(2012)의 연구 및 공감이 높은 청소년들이 높은 임파워먼트를 나타냈다고 보고한 김영구 외(2022)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잠재적 차원에서 공감이 동기를 증진시키는 선행 변인(Batson, 2010; Batson et al., 2007)임을 확인하는 것이다.

Spreitzer(1995)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개념적 정의를 보육교사에게 적용하면, 보육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어린이집에서 지향하는 목표나 목적을 이해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신의 역할과 가치를 스스로 판단하는 과정에서 형성되고 향상될 수 있다. 이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향상은 조직의 입장에서 조직이 지향하는 목표나 목적을 이해하는 것, 즉 공감에서 시작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를 고려해 볼 때, 변화하는 보육환경에서 보육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는 자신의 입장에서 벗어나 상대 또는 대상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감정을 이해하고 고려할 수 있는 공감 역량 개발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보육교사의 공감은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창의적 교수행동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간접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실은 보육교사의 공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매개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 기능에 관한 이 연구의 결과는 셀프 리더십(전종석, 2014) 또는 공감 리더십(김영신 외, 2021)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혁신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연구와 유사한 것이다. 타인 또는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감정 경험할 수 있는 인지·정서적 측면의 공감 역량은 유아의 관심과 흥미, 이해와 선호를 고려한 창의적 교수행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중요 요인임은 명확하다. 그러나 공감에 의해 향상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창의적 교수행동을 매개하고 있다는 것은 창의적 교수행동을 위해 공감 역량 증진 이상으로 공감에 기반한 보육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강화가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시대변화에 따른 미래 사회적 요구의 차원에서 창의성 함양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유아의 창의성 함양을 견인하는 질 높은 교육 환경이 될 수 있다. 또한 누리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보육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사 연수가 다양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유아의 창의성 함양에 필요한 창의적인 교수방법, 혹은 활동지침 등을 보육교사 연수에 활용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교사 스스로 창의적 교수에 대한 내적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은 보다 비중있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박은지, 2021).

보육교사의 공감 증진과 이를 기반으로 한 심리적 임파워먼트 향상이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한 이 연구는 새롭고 독창적이거나 획기적인 교육 방법의 개발 및 사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진작시킬 수 있는 방안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그렇지만 이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 내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23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제한점을 고려해 추후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과 유아의 창의성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기를 기대해 본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2023년도 한국생활과학회 하계 학술대회 학생경진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확장한 것임.

References

  • 구성희, 우현경(2022).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9(2), 23-45
  • 김성지, 유금란(2021). 심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공감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3(2), 631-651.
  • 김영구, 유제민, 김청송(2022). 청소년의 공감 및 조망수용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변환적 리더십의 반복측정 매개 및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9(3), 187-217.
  • 김영신, 신동진, 구동우(2021). 호텔기업에서 조리장의 공감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46(3), 97-118.
  • 김용석, 송진희(2018). 대인관계·사회적 공감 척도의 개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3), 127-159.
  • 박은지(2021). 유아교사의 창의적 자기신념 잠재집단에 따른 창의적 교수행동과 유아 창의성의 차이. 창의력교육연구, 21(3), 75-97.
  • 백영숙, 김희태(2008). 유아교사의 창의성 검사 도구 타당화. 유아교육학논집, 12(3), 111-128.
  • 신민정, 문형구, 고욱(2016). 조망수용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혁신행동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9(4), 651-666.
  • 이지연(2023). 기본심리욕구만족과 공감이 자율적 도움동기를 매개로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21(1), 133-156.
  • 이현응(2014). 국내외 HRD 연구의 매개효과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 HDR연구, 16(3), 225-249.
  • 전미이, 임성문(2019). 심상 촉진이 공감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4), 1249-1265.
  • 전종석(2014). 셀프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수준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5(2), 131-151.
  • 정교태, 장수덕(2012). 군 초급간부의 공감 지향적 행동, 임파워먼트 그리고 직무만족과의 관계. 한국조직학회보, 9(1), 111-143.
  • 정미라, 이명희, 이영미(2010). 확산적 사고를 촉진하는 교사의 발문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5(2), 137-156.
  • 허원무(2013). 매개효과 분석방법의 최근 트렌드 :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단순, 다중, 이중매개효과 분석 방법. 기업과 혁신연구, 6(3), 43-59.
  • Aldrup, K., Carstensen, B., & Klusmann, U. (2022). Is empathy the key to effective teaching? A systematic review of its association with teacher-student interactions and student outcomes. Education Psychology Review, 34(3), 1177-1216. [https://doi.org/10.1007/s10648-021-09649-y]
  • Amabile, T. M., Hill, K. G., Hennessey, B. A., & Tighe, E. M. (1994).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5), 950-967. [https://doi.org/10.1037/0022-3514.66.5.950]
  • Batson, C. D. (2009). These things called empathy: Eight related but distinct phenomena. In J. Decety & W. J. Ickes (Eds.), Social neuroscience series: The social neuroscience of empathy (pp. 3-16). Cambridge: MIT Press. [https://doi.org/10.7551/mitpress/9780262012973.003.0002]
  • Batson, C. D. (2010). Empathy-induced altruistic motivation. In M. Mikulincer & P. R. Shaver (Eds.), Prosocial motives, emotions, and behavior: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pp. 15–34).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s://doi.org/10.1037/12061-001]
  • Batson, C. D., Eklund, J. H., Chermok, V. L., Hoyt, J. L., & Ortiz, B. G. (2007). An additional antecedent of empathic concern: Valuing the welfare of the person in ne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3(1), 65-74. [https://doi.org/10.1037/0022-3514.93.1.65]
  • Cliatt, M. J. P., Shaw, J. M., & Sherwood, J. M. (1980). Effects of training on the divergent-thinking abilities of kindergarten children. Child Development, 51, 1061-1064. [https://doi.org/10.2307/1129544]
  • Conger, J. A., & Kanungo, R. N. (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3), 471-482. [https://doi.org/10.5465/amr.1988.4306983]
  • Cremin, T., Burnard, P., & Craft, A. (2006). Pedagogy and possibility thinking in the early years. International Journal of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1(2), 108-119. [https://doi.org/10.1016/j.tsc.2006.07.001]
  • Cropley, A. J. (1997). Foste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General principles. The creativity research handbook, 1(84.114), 1-46.
  • Cropley, A. J.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s. New York: Routledge.
  • Davis, D., Jindal-Snape, D., J., Collier, C., Digby, R., ... & Howe, A. (2013).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s in education—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8, 80-91 [https://doi.org/10.1016/j.tsc.2012.07.004]
  • Davis, J., & Wilson, S. M. (2000). Principals’ efforts to empower teachers: Effects on teacher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stress. The Clearing House, 73(6), 349-353. [https://doi.org/10.1080/00098650009599442]
  • Eisenberg, N., & Miller, P. A. (1987). The relation of empathy to prosocial and related behaviors. Psychological Bulletin, 101(1), 91-119. [https://doi.org/10.1037/0033-2909.101.1.91]
  • Feshbach, N. D., & Feshbach, S. (2011). Empathy and education. In Decety, J., & Ickes, W. (Eds.), The Social Neuroscience of Empathy (pp. 85-98). Cambridge: MIT Press. [https://doi.org/10.7551/mitpress/9780262012973.003.0008]
  • Haris, T. B., Li, N., Boswell, W. R., Zhang, X. A., & Zhitao, X. (2014). Getting what's new from newcomers: Empowering leadership, creativity, and adjustment in the socialization context. Personnel Psychology, 67(3), 567-604. [https://doi.org/10.1111/peps.12053]
  • Hayes, F. A.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이형권 역 (2015). 파주: 신영사.
  • Feuerstein, R., Rand, Y., Hoffman, M. B., Egozi, M., & Sachar Sagev, N. B. (2003). Feuerstein’s theory and applied systems: A reader. Jerusalem: International Center for the Enhancement of Learning Potential.
  • Kanter, R. M. (1996). When a thousand flowers bloom: Structural, collective, and social conditions for innovation in organizations. In Myers P. S. (Eds.),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design (pp. 93-135). London: Routledge. [https://doi.org/10.1016/B978-0-7506-9749-1.50010-7]
  • Kaufman, J. C., & Sternberg, R. J. (Eds.). (2010).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CBO9780511763205]
  • Kline, T. J. (2005).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https://doi.org/10.4135/9781483385693]
  • McAllister, G., & Irvine, J. J. (2002). The role of empathy in teaching culturally diverse students: A qualitative study of teachers’ belief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3(5), 433-443 [https://doi.org/10.1177/002248702237397]
  • Meyers, S., Rowell, K., Wells, M., & Smith, B. C. (2019). Teacher empathy: A model of empathy for teaching for student success. College Teaching, 67(3), 160-168 [https://doi.org/10.1080/87567555.2019.1579699]
  • Monzel, M., Keidel, K., & Reuter, M. (2023). Is it really empathy? The potentially confounding role of mental imagery in self-reports of empath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03, 104354. [https://doi.org/10.1016/j.jrp.2023.104354]
  • Pianta, R. C. (1999). Enhancing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s://doi.org/10.1037/10314-000]
  • Pieterse, A. N., Van Knippenberg, D., Schippers, M., & Stam, D. (2010).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 moderating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1(4), 609-623. [https://doi.org/10.1002/job.650]
  • Seibert, S. E., Wang, G., & Courtright, S. H. (2011).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sychological and team empowerment in organizations: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6(5), 981-1003. [https://doi.org/10.1037/a0022676]
  • Sened, H., Lavidor, M., Lazarus, G., Bar-Kalifa, E., ... & Ickes, W. (2017). Empathic accurac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31(6), 742-752. [https://doi.org/10.1037/fam0000320]
  • Singh, M., & Sarkar, A. (2019).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empowerment and innovative behavior. Management Research Review, 42(4), 521-538. [https://doi.org/10.1108/MRR-04-2018-0158]
  • Spreitzer, G. M. (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5), 1442-1465. [https://doi.org/10.5465/256865]
  • Thomas, K. W., & Velthouse, B. A. (1990).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 interpretive model of intrinsic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5(4), 666-681. [https://doi.org/10.5465/amr.1990.4310926]
  • Society, K. K. (1995). Different models in describing, exploring, explaining and nurturing creativity in society. European Journal for High Ability, 6(2), 143-159 [https://doi.org/10.1080/0937445940060243]
  • Vorkapić, S. T., & Ružić, N. (2013). Measuring empathy in future preschool teachers: Implications for study program mod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and Behavioral Sciences, 3(6), 188-195.
  • Watt, H. M. G., Butler, R., & Richardson, P. W. (2021).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eachers’ goal profiles in Australia and Israel. Learning and Instruction, 76, 101491.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21.101491]
  •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 Publishing.
  • Zhang, X., & Bartol, K. M. (2010). Linking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3(1), 107-128. [https://doi.org/10.5465/amj.2010.48037118]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N = 231)

변인 변인구분 빈도 (%)
연령대 20대 37 16.0
30대 59 25.5
40대 85 36.8
50대 47 20.3
60대 3 1.3
근무경력 1년 미만 2 .9
1년 이상∼3년 미만 18 7.8
3년 이상∼5년 미만 38 16.5
5년 이상∼7년 미만 30 13.0
7년 이상 143 61.9
최종학력 대학원졸 12 5.2
4년제 대졸 99 42.9
전문대졸 115 49.8
고졸 2 .9
무응답 3 1.3

<표 2>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및 기술통계치(N = 231)

변인 공감 능력 심리적 임파워먼트 창의적 교수행동
**p < .01, ***p < .001
공감 1
심리적 임파워먼트 .45** 1
창의적 교수행동 .35** .43** 1
M 84.48 59.72 138.65
(SD) 12.17 11.36 16.63
왜도(Skewness) -.41 -.31 -.93
첨도(Kurtosis) .30 -.04 6.21

<표 3>

보육교사의 공감, 심리적 임파워먼트, 창의적 교수행동 간 관계(N = 231)

경로 B SE t 95% 신뢰구간
LLCI UCLI
**p < .01 , ***p < .001
LLCI = boot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 내에서의 하한값
ULCI = boot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 내에서의 상한값
공감 ----> 창의적 교수행동 .27 .09 3.03** .09 .45
심리적 임파워먼트 ----> 창의적 교수행동 .50 .10 5.19*** .31 .69
공감 ----> 심리적 임파워먼트 .42 .06 7.55*** .31 .53

<표 4>

보육교사의 공감과 창의적 교수행동 간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간접 효과 검증(N = 231)

효과 effect Boot SE 95% 신뢰구간
BootLLCI BootUCLI
**p < .01 , ***p < .001
LLCI(Lower Limit Confidence Interval) = boot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 내에서의 하한값
ULCI(Upper Limit Confidence Interval) = boot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 내에서의 상한값
간접 .21 .05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