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33, No. 3, pp.353-363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4
Received 24 May 2024 Revised 20 Jun 2024 Accepted 27 Jun 2024
DOI: https://doi.org/10.5934/kjhe.2023.33.3.353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성희1) ; 조우미2), *
1)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박사과정
2)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부교수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Care Institution’s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n Childcare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lay Support Competency
Hwang, Sunghee1) ; Cho, Woomi2), *
1)Department of Child Studies, Daegu Catholic University
2)Department of Child Studies, Daegu Catholic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Cho, Woomi Tel: +82-53-850-3543, Fax: +82-53-850-3520 E-mail: cwm2061@cu.ac.kr

ⓒ 2024,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play support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care institutions and the creative teaching behavior of childcare teachers. A total of 254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mpleting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8.0 program to obtain descriptive statistics and calculate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support competency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v4.2).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play support competen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care institutions and the creative teaching behavior of childcare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that enhancing play support competency and providing a favorabl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for childcare teachers are necessary for improving creative teaching behavior.

Keywords:

Childcar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reative teaching behavior

키워드:

보육교사, 놀이지원역량, 전문성 지원환경, 창의적 교수행동

Ⅰ. 서론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넘어 지식과 기술을 잘 활용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창의적 역량이 필수적이다(Schwab, 2016). 창의적 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관심과 노력은 국가 수준의 공통 교육과정에서 찾아볼 수 있다. 2022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갖춰야 하는 핵심역량으로 창의성을 언급하며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을 추구하는 인재상으로 제시하였다(교육부, 2022). 이와 함께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서는 추구하는 다섯가지 인간상 중 하나로 ‘창의적인 사람’을 제시하면서 영유아가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하고 탐구하는 가운데 새롭고 독창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20). 이처럼 영유아기는 미래 사회의 핵심역량인 창의성 발달의 결정적 시기임을 알 수 있다(오은순, 김윤희, 2019; 이인화, 한기순, 2016; Dacey, 2013).

영유아의 창의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 교사 요인은 영유아에게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1차적 환경요인이다(윤지영, 배영지, 2022; 이양숙 외, 2021). 특히 여성의 사회진출 및 맞벌이 가구의 증대와 같은 현대 사회의 특성상 기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영유아에게 보육교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영유아의 창의성과 교사 요인의 관련성을 증명한 선행연구들(김호, 노영희, 2007; 박찬옥, 백영숙, 2006; 이은빈, 유연옥, 2017; Cremin, 2009; Cropley, 2001; Halliwell, 1993; Torrance, 1983)은 교사가 영유아기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 중에서도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교사와 영유아가 함께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2019 개정누리과정 및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교사와의 실제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배움을 이루어가는 영유아기 특성에 기초하여 영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 환경으로서 고려될 필요가 있다(김경은, 2020; 김영옥, 2001; 김호, 노영희, 2007; Tafuri, 1994). 영유아의 자유로운 사고와 행동이 허용되는 분위기를 형성하고 영유아가 주도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따라 영유아의 창의성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김호, 노영희, 2007), 창의적인 교사의 모델링, 강화 그리고 창의성을 지원하는 교실 환경을 통해 영유아의 창의성은 증진될 수 있다(김경은, 2020). 따라서 영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으로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창의적 교수행동이란 영유아의 창의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창의적 상호작용 기술과 확산적 발문을 통해 영유아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교수전략이다(김정희, 2018; 최지은, 2010; Cropley, 2001). 즉, Cropley(2001)의 정의에 근거하여 창의적 교수행동이란 교사가 전문적인 교수 기법을 활용하여 영유아가 놀이와 활동에 몰입할 수 있는 동기와 환경을 제공하고, 영유아의 흥미가 창의적인 배움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수행위를 의미한다. 유아의 창의적인 행동을 향상시키는 전략으로 창의적 교수행동은 효과가 있으며(김호, 노영희, 2007), 창의적인 교사일수록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상호작용이나 교수-학습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행동을 격려할 수 있다(김경은, 2020). 이상의 선행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창의성 발달의 적기인 영유아기 창의성 발현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창의성 발현을 지원하는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으로 나누어 탐색하고자 한다.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으로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을 살펴볼 수 있다. 전문성 지원환경이란 기관이 교사의 전문성 함양에 도움이 되는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교사의 자유로운 의사결정이 가능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교사가 자율성과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환경이다(Williams, 2000).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은 유아·놀이중심 교육의 실현을 위해 교사의 자율성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즉,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이 필요하고 교사의 전문성은 보육의 질을 결정짓는 인적 환경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김순영, 2022; 박형신, 김정주, 2010; 이경례, 문혁준, 2013). 전문성을 지원하는 환경에서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교사로서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김순영, 2022; 김진미, 2017; 이배, 2018) 자신의 교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기반으로 창의적 교수행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배향숙, 서현아, 2023; 정단비, 안동근, 2021; 최미정, 2007). 또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지지적이며 교사의 성장을 중시하는 어린이집의 직무환경은 교사가 보육과정수행에 자율성을 갖고 주도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여 창의적 교수행동을 수행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강민성 외, 2021; 공하, 2022; 김정란, 2020; 윤정아, 정정희, 2021; 최혜진, 박리나, 2023; Amabile, 1983; Ryhammar & Smith, 1999). 이상의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는 놀이지원역량을 살펴볼 수 있다. 놀이지원역량이란 영유아의 자발적인 놀이가 주는 가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영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고 상호작용하며 영유아가 경험하는 놀이가 배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조운주, 2020). Vygotsky가 제시한 사회맥락이론의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에서 보육교사는 놀이지원역량을 발휘하여 영유아의 잠재적인 발달 수준을 파악하고 영유아의 창의적 역량을 지원할 수 있으며(Hughes, 2012)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따라 영유아가 경험할 수 있는 놀이의 질은 달라질 수 있다(윤민아, 2019; Sandberg et al., 2012).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은 유아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여 유아가 창의적으로 놀이를 구체화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 동기를 유발할 수 있으며(이상례, 유영의, 2014), 긍정적인 놀이신념을 가진 교사는 자신의 놀이지원이 영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믿으며 적극적으로 창의적 교수행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조은솔, 황성온, 2022). 영유아의 놀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지닌 교사는 창의적 교수행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 유아들의 자율적인 놀이참여를 유도하며 놀이가 배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리신위에 외, 2024). 또한 개인적인 성향으로서 놀이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은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유연하게 지원하며 효과적으로 창의적 교수행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권혜진, 2012; 이양숙 외, 20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놀이지원역량이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이처럼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환경적 변인인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개인적 변인인 놀이지원역량을 살펴보았는데,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인과관계도 추측해 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교사가 인식한 전문성 지원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 전문성이 향상되고 이는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순영, 2022; 이자정, 김경숙, 2023). 또한 전문성을 지원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디지털놀이지원역량이 높으며(이은영, 최양미, 2023), 전문성 지원환경의 하위요인인 전문성 향상 및 발달을 위한 기회가 놀이지원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김현정, 2023; 서혜전, 공현희, 2021). 이상의 선행연구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는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및 창의적 교수행동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놀이지원역량은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어린이집의 환경이 전문성을 지원한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이러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보육운영에 활용하여 놀이지원역량을 강화할 수 있으며, 보육교사가 창의적으로 교수행동을 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 및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영향이 독립적으로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관계를 매개로 한 간접 영향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전문성 지원환경이 교사 역량을 매개로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윤정아, 정정희, 2021). 또한 보육교사가 동료 교사와 교수 실제를 공유하고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때 놀이지원역량을 기를 수 있으며, 놀이지원역량이 길러진 교사는 영유아가 놀이에 몰입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하고 영유아의 놀이가 창의적인 배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교실 상황과 맥락에 맞게 창의적 교수행동을 수행할 수 있음을 밝혔다(신은수 외, 2011; Lieberman et al., 2011).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간의 정적 관계를 기반으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의 영향이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매개로 한 직, 간접 영향인지를 살펴보는 것은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인변인과 함께 환경변인을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논의를 종합할 때,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은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놀이지원역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므로,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역량을 매개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연구문제 1.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은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이 연구는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및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구경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25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N = 254)

2. 연구도구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한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은 Williams(2000)가 개발한 전문성 지원환경 검사도구(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PLEI)를 이금란(2004)이 번역・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동학 전문가 1인의 검토를 받아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적합하도록 문항의 적절성을 검토하여 ‘유치원’을 ‘어린이집’으로 ‘학습’을 ‘배움’으로 ‘수업’을 ‘일과운영(활동, 놀이 등)’으로 수정하였다. ‘교사들은 교직원 회의 시 교수-학습에 관한 문제를 중요하게 의논한다.’, ‘교사들은 매일의 일과 계획을 자율적으로 수립한다.’ 등의 36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5점)’의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지원하는 환경이 높은 수준임을 의미한다. 이 척도는 전문성 학습 및 발달을 위한 기회(11문항), 교사와 원장과의 관계(11문항), 교사와 유아에 대한 기대(7문항), 교사 자율성 및 의사결정(7문항)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문항에 대한 Cronbach’s α는 .96으로 나타났다.

2)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은 조운주(2020)가 개발한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놀이 가치를 안다.’, ‘놀이 관찰을 통해서 유아의 특성 및 발달을 분석한다.’ 등의 3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5점)’의 5점 Likert 척도로 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 척도는 놀이이해(6문항), 놀이관찰・분석(11문항), 놀이운영(7문항), 놀이반응・소통(6문항)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문항에 대한 Cronbach’s α는 .96으로 나타났다.

3)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Urban(1996)의 창의성 요소모델에 기초하여 Cropley(2004)가 개발한 교사의 창의적 교수-학습 검사를 백영숙, 김희태(2008)가 국내에 맞게 번안・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동학 전문가 2인의 검토를 받아 문항의 적절성을 검토하였으며, ‘학습’을 ‘활동’ 또는 ‘놀이’로 수정하는 등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적합하도록 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질문을 가치 있는 것으로 여기며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의 흥미를 개발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등의 3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5점)’의 5점 Likert 척도로 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보육교사가 창의적 교수행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척도는 확산적 사고(8문항), 일반적 사고(7문항), 특수 지식(4문항), 집중하여 과제수행(3문항), 동기와 동기유발(5문항), 개방성과 모호함의 허용(8문항)의 6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문항에 대한 Cronbach’s α는 .96으로 나타났다.

3. 연구절차

질문지 조사를 시작하기에 앞서 보육교사 경력이 있는 아동학 박사과정 및 석사과정 10인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의 구성과 소요 시간, 피로도 등을 파악하였고 이를 참고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22년 4월 22일부터 2022년 6월 20일까지 대구경북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교내 보육교사 교육원에 방문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총 304부 배부하여 272부를 회수하였으나 척도 문항 내 결측값이 있는 질문지 18부를 제외하여 총 25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4. 자료분석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측정변인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8.0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였다. 측정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간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4번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결과 및 해석

1. 기술통계량 및 상관분석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및 각 변인의 기술통계치를 살펴본 결과를 <표 2>에 제시하였다.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은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r = .35, p < .01)과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r = .40, p < .01)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도 창의적 교수행동(r = .79, p < .01)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은 5점 Likert 척도에서 평균 3.63(SD = .59),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은 5점 Likert 척도에서 평균 4.01(SD = .51),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은 5점 Likert 척도에서 평균 3.96(SD = .47)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평균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19년 영유아중심・놀이중심의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이 시행되면서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이 보육현장에 제공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김지현, 신혜영, 2024).

기술통계량 및 측정변인 간 상관분석(N = 254)

2.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4번 모형(단순매개모형)을 이용하여 각 변인들 간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β = .35, t = 6.03, p < .001),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대한 회귀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F = 36.37, p < .001). 또한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은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12.6%를 설명하였다.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은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 = .14, t = 3.58, p < .001),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또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74, t = 18.64, p < .001).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매개변인인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함께 투입되었을 때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회귀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 = 233.33, p < .001),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의 65%를 설명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4번 모형을 사용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으며, 신뢰구간을 95%로 설정하고 5000개의 표본 수를 재추출하여 검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매개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이르는 매개경로의 간접효과 계수는 .21이였으며, 95% 신뢰구간에서 하한값(LLCI)과 상한값(ULCI) 사이에 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긍정적일수록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은 높으며, 높은 놀이지원역량을 가진 보육교사일수록 적극적으로 창의적 교수행동을 수행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과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 254명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고,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에서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의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은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치원 조직의 혁신적인 분위기가 유아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공하, 2022), 동료교사와 원장의 지지를 바탕으로 전문적인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어린이집의 직무환경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강민성 외, 2021), 전문성 지원환경의 하위요인인 교사 자율성 및 의사결정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김정란, 2020; 최혜진, 박리나, 2023)와 같은 맥락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어린이집의 환경이 전문성을 지원할수록 보육교사가 창의적 교수행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보육과정 수행에 있어 전문성 신장에 대한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어린이집 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의사결정 과정에서 자율성을 가진 교사는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더 많은 책임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Ashton, 1984; Newmann & Wehlage, 1995) 어린이집의 원장은 보육교사의 자율성과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풍토를 조성하여 보육교사가 적극적으로 창의적 교수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기 장학과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보육교사의 전문성 증진에 효과적이므로(이금란, 2004), 보육교사가 영유아의 창의적 교수-학습 방법, 창의적 교수행동 자료 개발 등 다양한 자기 장학과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에서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뒷받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둘째,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은 창의적 교수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사의 긍정적인 놀이신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조은솔, 황성온, 2022)와 교사의 놀이 전문성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리신위에 외, 2024)를 지지한다. 또한 개인적인 성향으로 놀이성이 높은 교사가 창의적 교수행동을 수행한다는 연구결과(권혜진, 2012; 이양숙 외, 2021)와도 맥을 같이 한다. 이는 놀이를 이해하고 관찰하며 놀이가 배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 지식, 기술, 태도인 놀이지원역량이 높은 보육교사일수록 창의적 교수행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장려하기 위해서 놀이지원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영유아의 놀이를 존중하고 놀이가 배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영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고 지원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도입은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증진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셋째,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은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전문성 지원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 전문성이 향상되고, 향상된 교사 전문성은 놀이지원역량 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김순영, 2022)와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밝힌 연구결과(이자정, 김경숙, 2023)를 지지한다. 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지원역량이 높다고 한 연구결과(이은영, 최양미, 2023)와 전문성 지원환경의 하위요인인 전문성 향상 및 발달을 위한 기회가 놀이지원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 연구결과(김현정, 2023; 서혜전, 공현희, 2021)와도 맥을 같이 한다. 이는 어린이집이 전문성을 지원하는 환경일수록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린이집이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원장과 동료교사가 전문성 신장에 대한 지지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사의 전문성 향상 및 발달을 위한 기회의 구체적 방안으로 학습공동체가 놀이지원역량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선행연구(김현정, 2023; 서혜전, 공현희, 2021)를 통해 놀이지원 사례와 전략을 공유할 수 있는 학습공동체는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서동미, 고선아, 2021). 이에 어린이집 차원에서 학습공동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육교사가 학습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은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놀이지원역량을 매개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역량을 매개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문성 지원환경이 교사 역량을 매개로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윤정아, 정정희, 2021)를 지지한다. 이는 전문성을 지원하는 환경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놀이지원역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놀이지원역량이 높은 보육교사는 창의적 교수행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연수, 장학, 학습공동체와 같은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는 환경에서 보육교사들은 2019 개정누리과정과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이 강조하는 영유아의 자발적인 놀이를 이해하고 지원하는 실천적 사례를 공유하며 놀이지원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놀이지원역량이 높은 보육교사는 영유아가 놀이과정에서 주도적인 배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하고 창의적인 사고와 문제해결력으로 놀이에 몰입하도록 지원하는 창의적 교수행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도성, 포용성, 창의성을 핵심역량으로 제시하였고, 이는 2024년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영유아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미래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유아기 교육과정은 교사와의 실제적 상호작용에 의해 실행되므로(김영옥, 2001), 영유아의 창의성은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 보육교사가 높은 놀이지원역량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 차원에서는 보육교사의 자율성과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풍토를 조성하고, 자기 장학, 실제적 사례 중심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 학습공동체와 같은 전문성 발달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뒷받침하여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높이고 적극적으로 창의적 교수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국가 차원에서는 보육교사들이 놀이지원역량을 기를 수 있는 실제적 사례 중심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이 강조하는 영유아・놀이 중심의 핵심인 놀이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를 보육교사들이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향후 이루어질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영아반과 유아반의 발달적 차이 및 보육과정 운영의 차이를 반영하지 않고 보육교사 전체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후속 연구에서는 영유아 간 발달과 보육과정 운영의 차이를 반영하여 연구대상을 영아교사와 유아교사로 구분하여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변인을 측정하여 보육교사의 인식 수준에 따라 연구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와의 면담, 보육교사의 놀이지원 관찰, 반성적 저널 등 다면적인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측정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및 놀이지원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여 보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FERENCES

  • 강민성, 황선숙, 이루리, 박경애(2021).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및 성격 5요인과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28(2), 51-71.
  • 공하(2022). 유치원조직의 혁신 분위기, 유아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교수효능감 및 창의성간의 구조관계분석. 우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교육부(2022). 2022 개정 초・중등학교 및 특수교육 교육과정 확정・발표. 보도자료(2022년 12월 22일).
  • 교육부, 보건복지부(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 권혜진(2012).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 아동학회지, 33(6), 133-147.
  • 김경은(2020). 유아교사의 창의성이 창의적 교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2), 47-65.
  • 김순영(2022). 유아교사가 인식한 전문성 지원환경, 교사전문성, 놀이지원역량,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영옥(2001). 유치원 교육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한국교원교육연구, 18(1), 15-43.
  • 김정란(2020).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이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 및 교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17(2), 5-24.
  • 김정희(2018). 교수행동과 교사헌신 및 교실환경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진미(2017). 전문적 학습환경, 반성적 사고, 교사효능감, 유치원 교사 전문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현정(2023).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역량 변화. 안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지현, 신혜영(2024).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경험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44(2), 251-276.
  • 김호, 노영희(2007). 유아의 창의성과 관련된 교사와 유아 변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5-278.
  • 리신위에, 정정희, 이근영(2024). 유아교사의 놀이 전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44(2), 101-118.
  • 박찬옥, 백영숙(2006). 교수-학습과정의 역동적 평가를 통한 유아교사의 창의성 변화 탐구. 유아교육연구, 25(6), 5-31.
  • 박형신, 김정주(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지원환경 인식과 조직헌신도,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 아동교육, 19(2), 87-102.
  • 배향숙, 서현아(2023).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창의성, 전문성 지원환경, 유아교사 조직몰입과 전문적 정체성 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32(4), 45-68.
  • 백영숙, 김희태(2008). 유아교사의 창의성 검사 도구 타당화. 유아교육학논집, 12(3), 111-128.
  • 보건복지부(2020). 제4차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세종:보건복지부
  • 서동미, 고선아(2021). 영아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교사 지원 방안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5(6), 81-103.
  • 서혜전, 공현희(2021).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의 의미 분석: 4차 표준보육과정 적용에 따른 교사 인식과 실천 변화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지원연구, 6(1), 67-97.
  • 신은수, 박은혜, 조운주, 이경민, ... 이병호(2011).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 방향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5), 203-226.
  • 오은순, 김윤희(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 핵심역량과 유아교육 방향.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0(5), 1011-1021.
  • 윤민아(2019).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유아교육연구, 39(3), 5-30.
  • 윤정아, 정정희(2021). 전문적 학습환경이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교사역량과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6(3), 175-198.
  • 윤지영, 배영지(2022). 보육교사의 놀이 지원 효능감과 교수 창의성이 놀이 중심 보육 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19(4), 31-54.
  • 이경례, 문혁준(2013).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 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3), 163-182.
  • 이금란(2004). 유치원의 교사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배(2018). 교사효능감이 유치원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상례, 유영의(2014). 교사의 놀이 전문성 증진을 위한 컨설팅이 유아의 구성놀이 질과 사회적 놀이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6), 115-137.
  • 이양숙, 한정운, 전홍주(2021).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놀이성이 유아 창의성 교육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5(1), 61-86.
  • 이은빈, 유연옥(2017). 교사 변인과 유아 창의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교수행동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6(4), 331-349.
  • 이은영, 최양미(2023). 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3), 1-25.
  • 이인화, 한기순(2016). 한국판 ‘ECCPQ’ 타당화 및 유아교사가 인식한유아 창의성 교육의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 분석. 유아교육연구, 36(5), 213-233.
  • 이자정, 김경숙(2023).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4), 123-143.
  • 정단비, 안동근(2021). 교수메타인지와 전문성발달을 통한 유아교사 성실성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대한 영향. 사고개발, 17(1), 81-108.
  • 조운주(2020).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내용개발. 육아지원연구, 15(4), 83-102.
  • 조은솔, 황성온(2022). 유아교사의 긍정적 놀이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교양학연구, 9(2), 81-98.
  • 최미정(2007). 교사 창의성의 의미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1), 431-447.
  • 최지은(2010). 초등학교 교사용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 개발. 초등교육연구, 23(2), 241-260.
  • 최혜진, 박리나(2023).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22(1), 55-81.
  •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2), 357-376. [https://doi.org/10.1037//0022-3514.45.2.357]
  • Ashton, P.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https://doi.org/10.1177/002248718403500507]
  • Cremin, T. (2009). Creative teachers and creative teaching. Creativity in Primary Education, 11(1), 36-46.
  • Cropley, A. J.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s. Kogan page.
  • Cropley, A. J. (2004). 창의성 계발과 교육.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공역). 학지사. (원서 2001년 출간).
  • Dacey, J. (2013). Creativity and the standards. NY: Shell Education.
  • Halliwell, S. (1993). Teacher creativity and teacher education. In D. Bridges & T. Kerry (Eds.)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ly: Reflections for initial and in-service trainers (pp. 67-78). Routledge.
  • Hughes, Fergus P. (2012). 놀이와 아동발달. (유미숙, 박영애, 유가효, 방은령, 장현숙, 천혜숙 공역). 시그마프레스. (원서 1991년 출간).
  • Lieberman, A., Miller, L., Wiedrick, J., & von Frank, V. (2011). Learning communities: The starting point for professional learning is in schools and classrooms. The Learning Professional, 32(4), 16.
  • Newmann, F. M., & Wehlage, G. G. (1995). Successful school restructuring.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Ryhammar, L., & Smith, G. J. (1999). Creative and other personality functions as defined by percept-genetic techniques and their relation to organizational condition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2(4), 277-286.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204_5]
  • Sandberg, A., Lillvist, A., Sheridan, S., & Williams, P. (2012). Play competence as a window to preschool teachers'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1(2), 184-196. [https://doi.org/10.1080/21594937.2012.693385]
  • Schwab, K. (2016). 제4차 산업혁명. (송병진 역). 새로운 현재. (원서 2016년 출간).
  • Tafuri, D. M. (1994). The effects of creativity on teacher student interactions.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 Torrance, E. P. (1983). Role of mentors in creative achievement. Creative Child & Adult Quarterly, 8(3), 8-15.
  • Urban, K. K. (1996). Encouraging and nurturing creativity in school and workplace. Optimizing Excellence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78-97.
  • Williams, E. C. (2000).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Linkages and measurement issues. University of Georgia.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N = 254)

변인 변인구분 빈도 (%)
연령대 20대 48 18.9
30대 68 26.8
40대 87 34.3
50대 이상 51 20.1
현기관 근무경력 3년 미만 24 9.4
3년 이상∼5년 미만 44 17.3
5년 이상∼10년 미만 92 36.2
10년 이상∼15년 미만 64 25.2
15년 이상∼20년 미만 21 8.3
20년 이상 9 3.5
최종학력 대학원졸 12 4.7
4년제 대졸 109 42.9
전문대졸 127 50.5
고졸 3 1.2
기타 3 1.2

<표 2>

기술통계량 및 측정변인 간 상관분석(N = 254)

구분 전문성 지원환경 놀이지원역량 창의적 교수행동
***p < .001
전문성 지원환경 1
놀이지원역량 .35*** 1
창의적 교수행동 .40*** .79*** 1
M 3.63 4.01 3.96
SD .59 .51 .47

<표 3>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종속변인 독립변인 β S.E t 95% 신뢰구간
LLCI ULCI
***p < .001
놀이지원역량 (상수) .18 15.52*** 2.53 3.26
전문성 지원환경 .35 .05 6.03*** 0.2 0.4
R² = .12, F = 36.37***, df=1, 252

<표 4>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종속변인 독립변인 β S.E t 95% 신뢰구간
LLCI ULCI
***p < .001
창의적
교수행동
(상수) .15 4.96*** .46 1.06
전문성 지원환경 .14 .03 3.58*** .05 .17
놀이지원역량 .74 .03 18.64*** .61 .76
R² = .65, F = 233.33***, df = 2, 251

<표 5>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과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구분 Effect S.E 95% 신뢰구간
LLCI ULCI
BootLLCI : Bootstrapping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 내에서 하한값
BootULCI: Bootstrapping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 내에서 상한값
Bootstrapping 표본은 5000번 추출함.
총효과 .32 .04 .23 .41
직접효과 .11 .03 .05 .17
  Effect Boot S.E BootLLCI BootULCI
간접효과 .21 .03 .1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