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5, No. 1, pp.17-37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Feb 2016
Received 20 Aug 2015 Revised 29 Dec 2015 Accepted 20 Jan 2016
DOI: https://doi.org/10.5934/kjhe.2016.25.1.17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여가인식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성희 ; 전영자*
인제대학교 생활상담복지학부
The Effects of Family Leisure Perception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Choi, Sung Hee ; Jeon, Young Ja*
Dept. of Human Counseling and Welfare, Inje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Jeon, Young Ja Tel: +82-55-320-3245 / Fax: +82-55-321-9550 E-mail: homejeon@naver.com

ⓒ 2016,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family leisure percep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32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ve in Changwon.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percentage, mean, t - 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rameter analysis of Baron & Kenny (1986),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family leisure satisfaction was 3.76, the family leisure burden was 2.43, positive communication was 3.42, negative communication was 2.65,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was 3.73 out of 5. Family leisure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family leisure burden, and positive communication was higher than negative communication. Second, the effect of family leisure influence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was verified.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 child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leisure influence and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was verified. Both the direct effect of family leisure perception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and indirect effect of family leisure perception through parent child communication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was verified.

Keywords:

adolescents, family leisure percept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Keywords:

청소년, 가족여가인식,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가족관계만족

Ⅰ. 서 론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단계로 신체적·심리적·사회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겪게되는 ‘질풍노도’의 시기이며 여러 가지 갈등과 상황적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시기이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부모로부터 독립하기를 원하지만 여전히 부모의 영향을 많이받게 되는데, 따라서 이 시기의 부모자녀 관계는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부모와의 관계에서 갈등과 스트레스를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게 되면 가족간 갈등이 심화되고 심리적 문제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청소년들은 자아를 발견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이 자아를 발견하고 올바른 성장을 하기 위해 다양한 경험과 여가활동을 필요로 한다(Kim, 2005).

2013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초·중·고교생 95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아동 청소년 인권실태조사에 따르면 초·중·고교생 10명 중 4명은 가끔 또는 자주 자살생각을 한다고 했는데(http://www.nypi. re.kr/), 그 이유는 학교성적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가족 간의 갈등이 뒤를 이었다. 청소년시기의 가족관계는 청소년의 심리적 문제뿐만 아니라 건강행동에도 영향을 미치고(Kim, 2011) 음주·흡연 등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심리적·정서적으로 부모로부터 독립하려는 성향이 강해지고 가족보다는 친구와의 관계에 의존하려고 하기 때문에 부모님들의 입장에서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로 자녀들과 대화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친밀감 형성에 어려움을 겪게 되어 가족관계만족이 저하되기 쉽다. 이에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가족관계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그 하나의 대안을 가족여가에서 모색해 볼 수 있다. 즉,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은 현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핵가족화 경향, 이혼율 증가, 가정폭력, 청소년비행, 부모자녀 간의 대화단절 등 현대 사회가 겪고 있는 가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본다(Kunstler, 1992). 특히, 신체적·심리적으로 변화에 대한 적응과 학업스트레스와 친구관계 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 갈등상황에 처한 청소년에게 가족은 편안한 안식처가 되어야하기 때문에 가족여가의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가족여가가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들(Kim, 2004; Ragheb & Beard, 1982)에서는 여가만족도가 가족관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했으며 Ro(1996)는 청소년들이 가족들과 함께 어떤 여가활동을 경험했느냐가 성인이 되어서도 여가행태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하지만 단순히 가족이 여가시간을 같이 보낸다고 가족관계 만족감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수동적 여가활동은 오히려 가족 간의 대화를 단절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족 간의 시선교류를 제한하는 주요한 요인이 될수도 있다(Lee, 2006). 가족여가는 가족들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지만, 한편으로는 어머니는 가족여가를 또 다른 일(work)로 여겨 오히려 스트레스나 갈등이 증가하는 부정적 기능도 작용하기에(Lee, 2011) 가부장적 특성이 강한 우리나라의 경우 가족 내에서의 성과 연령에 따라 불평등하게 가족여가가 표출될 수도 있다. 특히 가족내에서 가족의 여가자원이 가족구성원의 한 사람에게 집중되거나 가족구성원들의 역할혼동과 기대불일치에서 오는 정서적·물리적 충돌로 인해 가정 내 구성원 간의 갈등과 가족 내 역할갈등이 나타날 수 있다(Won & Park, 2012). 실제로 1994년 독일의 폴크스바겐의 주 공장이 있는 볼프스부르크시에서는 실업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급여를 줄이고 노동시간을 줄이자 이혼이 60% 증가했다(Moon et al., 2005)는 보도가 있다. 이는 갑자기 늘어난 가족과의 여가시간이 가족 구성원에게 부담이 되고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처럼 가족여가가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다. 특히 부모와의 심리적 이유기에 있는 청소년들이 가족과의 여가에 부담을 느끼게 되면 심리적으로 가족을 멀리하게 되고, 그러한 역기능적인 생활들이 고착화 되어 성인시기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연속성이 되므로 청소년시기에 가족과의 여가에서 얻는 만족감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족여가 시 가족 간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또 다른 것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인데, 가족이 함께 여가를 계획하고 즐기는 가운데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도와주고 여가에 관한 가족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은 다른 주제에 관한 의사소통보다 더 개방적이고 덜 위협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의사소통 기술을 강화하는(Moon et al., 2005) 기회가 된다. Hong(2003)의 연구에서는 가족단위 여가활동은 가족응집력과 적응력에 영향을 미치고 가족 의사소통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여가활동과 가족건강성을 연구한 Lee(2006)는 가정지향활동과 교육체험지향활동이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서 취미지향활동이 유의한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가족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Ahn(2010)의 연구에서 중고등학생 자녀와 부모가 함께 스포츠에 참여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과 가족응집력이 향상됨을 강조하였다. 발달단계에 따른 아버지-아들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의 매개역할을 연구한 Yeo(2006)는 가족과의 관계가 단절되지 않도록 하고 가족이 주는 친밀감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들의 경험과 느낌을 수용하는 대화가 필요함을 밝힘으로써 가족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영향력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가족여가는 가족 간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통해, 긍정적인 가족관계를 설정하고 공동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가족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Lee, 2011).

지금까지의 가족여가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가족여가 활동에 관한 연구 (Kim, 2006), 가족여가의 의미연구(Chi. et al., 1999; Yoon & Yoon, 2003), 가족여가활동의 활성화 방안(Kim, 2009; Lee, 2011), 가족여가활동의 실태 연구(Kwon, 2011), 여가양식에 관한 연구(Kim, 1997), 가족여가와 가족건강성(Kim, 2008; Lee, 2006), 가족여가와 가족기능(Kwon, 2012; Hong, 2003), 여가만족에 따른 가족관계(Jang & Kim, 2009:Kim, 2004; Kim et al., 2012: Shin & Park, 2013: Shin, 2013), 여가빈도에 따른 가족관계(Lim, 2010), 여가제약과 여가만족(Lee, 2009), 여가제약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Jung, 2005) 등 다양한 연구들에서 가족여가와 가족관계가 상관이 있음이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들이 여가의 긍정적인 측면을 주로 다루어왔으나 현실에서 여가는 긍정적인 면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Kim et al., 2010). 그 중에서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여가연구들은 여가의 긍정적인 측면에만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왔을 뿐 여가의 부정적 측면은 간과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여가에 대한 청소년들의 부정적인 인식도 다루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경우 학업에 대한 압박이 심한 상황에서 가족여가로 인한 피로와 공부시간의 부족에 대해 가족들 특히 부모의 이해와 배려가 없다면 이는 또 다른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부모와의 갈등이 가장 심한 청소년 시기에 가족간의 친밀감을 도모하고 올바른 성인으로의 성장을 위해 가족여가활동을 권장할 수 있지만 가족여가를 일관되게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는 청소년의 특성상 가족여가의 긍정적 인식인 만족감과 부정적 인식인 부담감을 함께 고려하여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한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가족관계 뿐만 아니라 모든 대인관계에 기본이 되며 가족여가 시에 만족감 또는 부담감이 될 수 있는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인이지만 지금까지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가족여가와 가족관계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여가인식(만족감, 부담감)을 독립변인으로하고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가족여가만족감과 가족여가부담감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가족여가인식과 가족관계만족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가족여가인식이 실제로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 가족여가를 통한 가족관계만족을 높여 청소년과 가족 간 갈등을 줄이고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 상황을 해소하며 청소년과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들에서 가족여가와 가족관계가 상관이 있음이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지만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가족여가와 가족관계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가족관계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가족여가의 긍정적인 인식인 만족감과 부정적 인식인 부담감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가족여가인식,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가족관계만족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가족여가인식 변인은 무엇이며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청소년의 가족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 가족여가인식 변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넷째, 청소년의 가족여가인식과 가족관계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주요 개념

1) 가족여가인식

본 연구에서는 가족여가인식의 개념을 가족여가활동의 감정적 영향력인 즐겁거나 자신의 기대가 충족되는 결과의 만족감과 불쾌한 결과의 부담감에 의한 인식으로 정의하였다. 먼저 여가만족은 여가활동을 통하여 나타나는 욕구의 충족 또는 만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이나 감정으로써(Beard & Regheb, 1980). 특정 여가활동을 통하여 개인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했을 때 느끼는 일종의 주관적인 만족감이다 (Lee, 2009). Iso-Ahola(1980)는 여가만족은 단순히 여가서비스를 다양하게 증진시킴으로써 향상되는 것이 아니라 이용 가능한 여가활동을 함으로써 느끼게 되는 만족감이라고 표현하였다. 따라서 가족여가만족감이란 가족여가 활동을 통하여 나타나는 욕구충족인 심리적 만족감이며 가족 간의 친밀감이 증가하고 스트레스가 해소되며 보람과 활력이 생기는 등 주관적으로 느끼는 긍정적 감정의 인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여가활동의 결과가 항상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Aron & Aron(1986)은 부부가 함께 시간을 같이 보내는 것만으로 부부관계의 질과 만족도를 높일 수 없으며 오히려 배우자와의 장시간에 걸친 활동공유가 시간만을 같이 보내는 것으로 전락하게 되면 남는 것은 지겨움 뿐이라고 지적하였다. 여가로 인한 부정적 양상은 여러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다. 즉 사람들은 다양한 여가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결과를 경험하기도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부정적인 심리적결과를 경험하기도 한다(Kim, 2008). 구체적으로 Choi(2004)의 연구에서는 가족과 함께 여가활동에 참여한 후 경비부담을 느끼고 피로가 남아 가족여가활동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하였다. 여가의 부정적 측면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부부나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여가부담감의 개념보다는 여가제약 또는 여가장애 등에 대한 논의로 공간적, 요소적, 지속성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가족여가활동 후 개인이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시간과 경비부담, 피로와 더불어 가족원들의 강압적인 여가요구에 따른 부담인 가족여가부담감에 대하여 다루고자 하였다. 이제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여가연구들은 여가의 만족감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왔으나 청소년들의 경우 여가시간을 가족과 함께 보내기보다는 또래들과 어울리고자 하는 시기이므로 부모님과 여가를 보내는 것이 달갑지 않을 뿐 아니라 부담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 이를 조사해보고자 한다.

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의사소통은 인간의 감정, 느낌, 태도, 생각 등의 메시지를 언어적·비언어적 수단을 통하여 상호간에 주고받는 매개체로서 대인관계의 순환적인 과정 및 행동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인간관계 과정으로 인간사회에 필수적 요소이다. Barnes & Olson(1985)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을 순환모델(Circumplex Model)에 기초하여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이 기능적인 수준이 되도록 도와주는 긍정적 의사소통유형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문제형 의사소통으로 분류하였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은 학자에 따라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Barnes & Olson(1985)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을 순환모델에 기초하여 분류한 이론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 이론은 부모와 청소년간의 상호작용에서 억압받지 않고 자유롭게 의사 표현 할 수 있는 기능적 의사소통과 일치되지 않고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으로 분류되어 있어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3) 가족관계만족

가족관계란 가족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관계와 심리적 관계를 모두 포함하는 가족행동의 총체이자 가족 상호작용의 역동과정으로 정의되며, 가족역할의 수행에 따른 주관적인 경험은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을 예측하는 유력한 변수이고 가족관계는 사회적 관계 중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보고된다(Shin & Ok, 2000). 이렇게 중요한 기능을 하는 가족관계만족은 가족 구성원이 상호작용을 통해 느끼는 주관적인 만족 혹은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대한 주관적인 충족감의 정도라고 정의되고 있다(Cho, 2010). Yang & Kim(2007)은 가족관계는 가족의 기능 및 건강성 등을 특징짓는 중요한 측면이며 가족원 간의 정서적인 유대감과 개방적이고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바탕으로 한 상호친밀성과 수용존중성이 가족관계의 핵심적 측면을 구성하는 요인이라고 하였다.

2. 변인들 간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1) 가족여가인식과 가족관계만족 관련연구

오늘날의 사회에서는 가족이 특히 중요한 여가집단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실제로 많은 여가활동이 가족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다(Yoon & Yoon, 2008). 가족여가와 가족관계에 관한 여러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여가활동의 유형과 참여빈도와 시간보다는 현재 자신의 여가활동을 통해 얼마만큼 만족하고 있는가가 가족관계 적응에 강력한 영향요인(Kim, 2004)으로 나타났으며, Lee(2009)도 단순히 가족이 함께 하는 것만으로 가족의 기능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속한 집단에서 여가생활을 어떻게 하느냐가 가족여가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여가생활 자체보다는 여가경험에서 얻어지는 충족감인 여가만족에 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가족여가는 공동의 여가활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가족 구성원의 일체감을 조성하고 정서적 유대감을 증가시킴으로써 가족 간의 갈등을 해소하게 되어 가족기능을 강화시키며 가족관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가족관계의 질을 향상시키고 가정의 가치를 형성해 주는데 핵심이 되는 매체로 작용한다(Choi, 2002). Yeon(2014)의 연구에서는 청소년자녀가 아버지와 함께하는 여가활동을 통해 인내심과 협동심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아버지와의 친밀감이 형성됨을 밝히고 있어 가족여가가 가족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냈다. Jung et al.(2005)의 부모-청소년자녀의 의사소통과 가족의 응집성에 관한 연구에서 가족의 의사소통이 효율적인 경우 가족응집성 수준이 높게 나타난 것과 마찬가지로, 여가활동에도 가족 간의 정서적 친밀감이 높은 집단이 여가제약도 덜 느낌과 동시에 여가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가족 간의 정서적 유대, 결속과 관계의 긴밀함이 가족의 정서적 안정 확립과 바람직한 가족관계를 형성해 여가활동에 따른 저항력까지 갖출 수 있게 함을 의미한다(Lee, 2009). Lee(2013)는 가정형편으로 인해 건전하고 다양한 여가활동의 기회가 주어지지 못한다면 청소년 정서와 학교생활만족에서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하면서 가정과 학교에서 중학생들의 건전한 여가활동 지도와 지원, 배려가 더욱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Kim(2009)의 연구에서는 가족여가활동이 부담이 되는 이유는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서 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여가시간을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함께 여가계획을 세우고, 다양한 가족여가활동들을 개발하여 부모들이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가족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부모자녀 관계개선 및 증진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Lee, 2012). 이처럼 여러 선행연구들은 가족여가가 가족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다루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가족여가인식을 긍정적인 인식인 가족여가만족과 부정적인 인식인 가족여가부담감으로 나누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가족여가인식과 의사소통 관련연구

가족이 함께 여가를 계획하고 즐기는 가운데 상호작용이나 의사소통이 원활해질 수 있다. 이는 여가에 관한 가족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은 다른 주제보다 더 개방적이고 덜 위협적인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Moon et al., 2005). Kelly(1983)도 가족이 여가를 계획하고 즐기는 가운데 의사소통이 원활해지며 특히 부모와 자녀가 함께 하므로 가정교육의 장이 되기도 한다고 했다. Kim(2013)은 가족구성원이 여가생활을 함께 즐길수록 의사소통의 만족도가 높아졌음을 발견하고 여유시간에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봉사활동과 신체운동으로 가족원 간의 대화시간을 늘려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가족이 함께 여가시간을 보낼 때에는 제약도 존재한다. Lim(2010)은 여가를 잘 보내기 위해서는 가족구성원이 서로 잘 협상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때 서로 대화가 잘 되어야한다. 여가활동이 가족의 삶의 질에 긍정적 작용도 하지만 만약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오히려 부정적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Kim(2005)의 연구에서는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의사소통을 조사했는데 여가활동 참여횟수가 너무 많은 것은 오히려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2006)도 수동적인 여가활동은 가족 간의 대화나 접촉을 증진하는 시간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가족 간의 대화를 단절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했다. 이처럼 가족이 여가활동에서 의사소통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3) 의사소통과 가족관계만족 관련연구

부모자녀 간 관계가 가정에서 바람직하게 형성되고 유지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체가 바로 부모자녀 간의 비언어적 언어적 의사소통이다. 가족구성원의 의사소통에 관한 Han & Heo(2004)의 연구에서는 가족 구성원의 의사소통능력, 내외통제성, 충동성, 낙관성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자녀의 의사소통능력은 본인의 가족관계만족 뿐만 아니라 부·모의 가족관계만족과도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부·모의 의사소통능력은 본인의 가족관계만족과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의사소통은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들의 만족감까지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청소년의 재혼가족을 연구한 Kim(2009)의 연구에서는 친부모의 자아개방과 촉진적 의사소통이 재혼가족 청소년자녀로 하여금 새 부모와의 관계에서도 친밀감과 애정을 느끼도록 하여 청소년 자녀가 재혼가족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그외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Kim & Lee(2010)는 긍정적 의사소통으로 바람직한 의사소통의 본이 되는 부모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비행청소년 가족을 연구한 Oh(2007)는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기능이 긍정적일수록 비행청소년 재비행과의 상관성은 줄어들고, 가족갈등이 높을수록 비행청소년 재비행과의 상관성은 높아진다고 하여 부모의 긍정적 의사소통에 대해 강조를 하였다. 또한 부모와의 대화시간을 많이 가지는 청소년이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긍정적이며 부모와의 대화 시간을 적게 가지는 청소년들은 부모와의 의사교환에 있어 주저하고 주제선택에 조심을하며 의사소통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는 부정적인 측면을 나타내었다(Heo, 2009). 이상의 연구들은 주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가족관계만족 또는 가족기능과의 관계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가족여가인식과 가족관계만족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Ⅲ. 연구 방법

1. 조사대상

본 연구는 경남 창원에 위치한 3개 중학교의 남녀 중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 중 남학생은 55.4%(184명), 여학생은 44.6%(148명)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아래 <Table 1>과 같다.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N=332)

2. 연구모형

[Figure 1]

Research model

3. 조사도구

1) 가족여가인식

가족여가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Kim(1997)이 제작하고 Choi(2004), Kwon (2011)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요인분석<Table 2>을 실시한 후 하위변인을 만족감과 부담감으로 구분하였다. 가족여가 후 긍정적 느낌의 결과를 '가족여가만족감'이라 명명하고 가족여가 후 부정적 느낌의 결과를 '가족여가부담감'으로 명명하여 가족여가만족감 6문항과 가족여가부담감 4문항, 총 10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매우 그렇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까지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족감은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여가활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부담감은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여가활동을 부정적으로 지각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Cronbach’s α 값은 가족여가만족감은 .91 이고 가족여가부담감은 .70으로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은 Barnes & Olson(1985)이 개발한 부모-청소년자녀 간 의사소통척도(PACI :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를 Min(1991)이 번안한 청소년 자녀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을 기능적 의사소통 10문항과 역기능적 의사소통 10문항으로 이분화하여 구성하였다. 기능적 의사소통은 상호작용에서 억압을 느끼지 않고 자유로운 감정 하에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긍정적인 면에 대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부모님은 내 이야기를 잘 들어주신다’, ‘부모님은 내 입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신다’, ‘나는 부모님께 애정을 솔직히 표현한다’ 등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기능적 의사소통 척도는 세대 간 의사소통에 어느 정도 어려움과 장애가 있는가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역기능적 의사소통 문항으로는 ‘부모님은 나에게 잔소리를 많이 하신다’, ‘문제가 생겼을 때 나는 부모님께 자주 침묵을 지킨다’ 등이 있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매우 그렇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까지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기능적 또는 역기능적 의사소통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Cronbach’s α 값은 기능적 의사소통은 .94이고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88 로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Factor analysis of family leisure perception

3) 가족관계만족

가족관계만족의 측정을 위해 Yang & Kim(2007)에 의해 개발된 “가족관계척도–15”를 사용하였다. “가족관계 척도–15”는 가족의 정서적유대감과 상호존중의 질을 측정하는 총 15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로서 ‘매우 그렇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까지의 5점 Likert 척도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관계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전체 척도의 Cronbach’s α의 값은 .95로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4. 자료수집

2014년 5월 9일부터 5월 19일 까지 경남 창원의 남·녀 중학생 총 7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14년 5월 24일부터 6월 2일까지 창원에 위치한 남자중학교 1곳과 여자중학교 2곳에서 총 4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응답이 불충분하거나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32부를 본 연구의 최종자료로 사용하였다.

5. 자료분석

SPSS 2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평균, t검증, 일원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Kenny(1986)의 매개분석법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1982) Test를 실시하였다.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검증은 3단계의 회귀분석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1단계에서는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하고, 2단계에서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지 검증한 다음,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동시에 종속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한다. 이때 매개효과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1단계에서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어야 하고, 2단계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어야 한다. 3단계에서는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독립변수의 영향력 즉 β값이 2단계보다 3단계의 회귀식에서 더 적게 나타나야 한다.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여가인식,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가족관계만족의 전반적 경향

본 연구대상자의 가족여가인식을 하위변인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가족여가만족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76점으로 나타나 가족여가에 따른 만족감이 비교적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부모님과 친밀감 증가(M=3.88)항목이 가장 높고 다음은 생활의 활력소 증가(M=3.82), 스트레스 해소 증가 및 삶의 보람증가(M=3.81), 형제자매와 친밀도증가(M=3.65)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 가족여가부담감은 5점 만점에 평균 2.43점으로 가족여가에 따른 부담감은 비교적 낮게 나왔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피로증가(M=2.92)의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고 경비부담(M=2.62) 시간부담(M=2.17) 가족원 요구부담(M=2.02)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대상자들은 가족여가를 통해 부모님과 친밀해졌다고 지각함으로써 부모님과의 관계개선이나 친밀감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대상 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기능적 의사소통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은 5점 만점에 평균 3.42로 중간 이상의 점수로 나타났고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평균 2.65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의사소통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모자녀간 기능적 의사소통에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평균 3.37점인데 비해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은 평균 3.51로 유의미한(p<.001)차이가 나타났으나 역기능적 의사소통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배경변인별 의사소통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역기능적 의사소통에서 경제적 수준이 하 인 경우 중이나 상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F=4.46, p<.05)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들의 가족관계만족의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73점으로 높은 점수로 나타나 조사대상 청소년들이 대체로 가족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가족 모두에게 발언권이 있다’(M=3.94)의 점수가 가장 높은 반면 ‘가족이 각자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한다’(M=3.42)는 가장 낮은 점수로 나타남으로써 가족들과 대화를 할 수 있어도 자신의 감정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General Tendency of Variables

2.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배경변인과 가족여가인식 하위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먼저 Model 1의 첫 번째 단계에서 배경변인만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가족여가인식을 포함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족여가만족감(β =.527 p<.001), 가족여가부담감(β =-.224 p<.001)의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3.5%를 보였으며 가족여가인식을 추가함으로써 42.4%의 설명력이 증가했다. 즉 가족여가만족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가족여가부담감이 낮을수록 청소년 자녀와 부모간에 기능적 의사소통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upon parent-child communication

다음은 Model 2의 첫 번째 단계에서 배경변인만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가족여가인식을 포함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부담감( β =.355 p<.001) 가족여가만족감( β =-.262 p<.001) 경제적수준2(β =-.254 p<.05) 경제적수준1(β =-.239 p<.05)의 순서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변인들의 설명력은 29.6%이며 가족여가인식을 추가하므로 설명력은 28.6% 증가하였다. 즉 가족여가부담감이 높을수록, 가족여가만족감이 낮을수록 그리고 경제적 수준이 낮은 경우 청소년자녀와 부모간의 의사소통은 역기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독립변인들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독립변인의 공차한계(Tolerance)는 0.1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분산팽창요인(VIF)은 모두 10.0 미만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가족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독립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먼저 Model 1에서는 배경변인만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하였고 다음은 Model 2에서 가족여가인식을 포함하여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가족여가만족감(β =.567 p<.001 )과 가족여가부담감(β =-.258 p<.001)의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다음은 Model 3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포함하여 중다회귀분석 한 결과 가족관계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β =.460 p<.001)이었으며 가족여가만족감(β =.301 p<.001),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β =-.128 p<.01), 가족여가부담감(β =-.087 p<.05)인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여가만족감이 높을수록,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을 할수록, 가족관계만족이 높아지고 가족여가부담감이 높을수록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할수록 가족관계만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up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4. 가족여가인식과 가족관계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여가인식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분석법에 따른 매개효과 검증과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기능적 의사소통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여가인식(가족여가만족과 가족여가부담)과 가족관계만족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족여가만족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을 매개로

첫째, 독립변수인 가족여가만족이 매개변수인 기능적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만족은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영향(β =.640 p<.001)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들이 가족여가에 만족할수록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을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독립변수인 가족여가만족이 종속변수인 가족관계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만족은 가족관계만족에 유의미한 영향(β =.687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들이 가족여가에 만족할수록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감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독립변수인 가족여가만족과 매개변수인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이 동시에 종속변수인 가족관계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만족(β =.356, p<.001)과 기능적 의사소통(β =.531, p<.001) 둘 다 종속변수인 가족관계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 즉 β값이 2단계(β =.687, p<.001)보다 3단계(β =.356, p<.001)에서 더 낮게 나왔다. 즉 3단계에서 종속변수에 대한 매개변수의 영향력이 유의미하면서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도 유의미하게 나타남으로써 매개변수인 기능적 의사소통은 가족여가만족과 가족관계만족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즉 가족여가를 통해 만족감이 높아지면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을 하게 되고 이러한 기능적이고 긍정적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가족관계만족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effects of family leisure satisfaction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positive communication

Sobel test

매개효과는 완전매개와 부분매개로 구분되는데, 완전매개는 3단계에서 종속변수에 대한 매개변수의 영향력은 유의미하면서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경우를 말하며, 부분매개는 종속변수에 대한 매개변수의 영향력이 유의미하면서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도 유의미한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개변수인 기능적 의사소통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하면서 동시에 독립변수인 가족여가만족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미하게 나왔기 때문에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해 단순매개 유의한계치를 검증하는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만족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의 값은(Z=8.887***)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2) 가족여가만족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매개로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매개로 가족여가만족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첫째, 가족여가만족이 매개변수인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만족은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영향(β =-.441 p<.001)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들이 가족여가에 만족할수록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가족여가만족이 종속변수인 가족관계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만족은 가족관계만족에 유의미한 영향(β =.687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들이 가족여가에 만족할수록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감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독립변수인 가족여가만족과 매개변수인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동시에 종속변수인 가족관계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만족(β=.576, p<.001)과 역기능적 의사소통(β=-.274, p<.001) 둘 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 즉 β값이 2단계(β =.687 p<.001)보다 3단계(β=.576, p<.001)에서 더 낮게 나왔다. 이로써 매개변수인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가족여가만족과 가족관계만족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가족여가만족과 가족관계만족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가족여가를 통해 만족감이 높아지면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줄어들게 되고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감소함으로써 가족관계만족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해 단순매개 유의한계치를 검증하는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만족감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의 값은(Z=4.396***)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The effects of family leisure satisfaction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negative communication

3) 가족여가부담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을 매개로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을 매개로 가족여가부담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Table 10>과 같다.

Sobel test

The effects of family leisure burden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positive communication

Sobel test

The effects of family leisure burden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negative communication

Sobel test

첫째, 가족여가부담이 매개변수인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가족여가부담감은 기능적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영향(β =-.486 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가족여가에 대해 부담감을 느낄수록 기능적 의사소통을 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가족여가부담이 종속변수인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부담은 가족관계만족에 유의미한 영향(β =-.519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여가에 부담을 느낄수록 가족관계만족은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셋째, 독립변수인 가족여가부담과 매개변수인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이 동시에 종속변수인 가족관계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부담(β =-.202, p<.001)과 기능적 의사소통(β =.658, p<.001) 둘 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 즉 β값이 2단계(β =-.519, p<.001)보다 3단계(β =-.202, p<.001)에서 더 낮게 나왔다. 이로써 매개변수인 기능적 의사소통은 가족여가부담과 가족관계만족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이 가족여가부담과 가족관계만족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가족여가에 대한 부담이 높아지면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은 줄어들게 되고 기능적(긍정적)의사소통이 감소함으로써 가족관계만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해 단순매개 유의한계치를 검증하는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는 가족여가부담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의 값은(Z=-.7170 p<0.001)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4) 가족여가부담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매개로

첫째, 가족여가부담이 매개변수인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부담은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영향(β =.485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여가에 대한 부담을 느낄수록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많이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가족여가부담의 가족관계만족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가족여가부담은 가족관계만족에 유의미한 부적영향(β =-.519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여가에 대해 부담을 느낄수록 가족관계만족감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독립변수인 가족여가부담과 매개변수인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동시에 가족관계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부담(β =-.351, p<.001)과 역기능적 의사소통(β =-.357, p<.001) 둘 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 즉 β값이 2단계(β =-.519 p<.001)보다 3단계(β =-.351, p<.001)에서 더 낮게 나왔다. 이로써 매개변수인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가족여가부담과 가족관계만족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가족여가부담과 가족관계만족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가족여가에 대한 부담이 높아지면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늘어나게 되고 이러한 역기능적(부정적) 의사소통이 증가함으로써 가족관계만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살펴보기 위해 단순매개 유의한계치를 검증하는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가족여가부담감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의 값은(Z=-4.699, p<0.001)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V.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자녀가 있는 가족의 친밀성을 도모하고 청소년을 위한 바람직한 환경조성을 위한 방안으로 가족여가와 의사소통에 대해 연구하였다. 청소년은 특성상 독립을 추구하고 부모와 갈등을 많이 경험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가족과의 여가시간을 일관되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족여가인식의 하위변인을 가족여가만족감과 부담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가족여가인식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여가만족감은 가족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가족여가를 통해 부모님과의 친밀감이 증가하고 삶의 활력소 증가와 스트레스 감소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hoi(2004)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로서 Yoon & Yoon(2008)의 연구에서는 가족이 함께 여가시간을 보내고 여가를 즐길수록 가족 간의 이해를 높이고 결속력을 강화시켜 그 가정의 행복지수 또한 높여준다고 하였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들의 여가에 관심을 가지고 가족여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가족여가활동에서 만족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부모와 함께하는 여가에서의 만족감은 자녀들에게 여가역할 모델을 제공하고 자녀들의 재능과 흥미를 발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둘째, 가족여가부담감은 가족관계만족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가족여가 시 부담감을 느끼게 되면 가족관계에 스트레스 원인이 되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Jung, 2010). 때문에 학업 및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 놓인 청소년들에게 가족들의 여가요구가 부담으로 느껴지게 되면 또 다른 가족갈등 상황이 될 수 있고 다음여가의 제약으로 나타날수도 있으므로 가족들 간의 각기 다른 의견을 존중해야 하며 각자의 여유를 즐길 수 있는 자유 시간 또한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적은 비용으로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역 주민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가까운 주민센터나 지역사회에서의 다양하고 흥미로운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가족여가에서 만족감이 높을수록 가족 간 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들과 대화가 더 잘 되고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한다고 볼 수 있는데, Kelly(1983)는 가족이 여가를 계획하고 즐기는 가운데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도와준다고 밝혔고, Moon 외(2005)는 가족여가에 관한 구성원간의 대화는 다른 주제에 관한 의사소통보다 더 개방적이고 덜 위협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의사소통 기술을 강화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본 연구대상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조사결과 어머니와의 기능적 의사소통은 아버지와의 기능적 의사소통보다 높은 점수로 나타나 청소년들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을 아버지와의 의사소통보다 더 기능적(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Heo(2009)Jo(2008)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며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와 보내는 시간이 더 많고 자녀의 교육에 있어서도 어머니의 존재가 더 크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아버지와의 기능적 의사소통은 자녀의 정서지능을 높여주고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역기능적일 때 자녀들의 우울이 높은 것으로(Kim, 2013: Yang, 2013) 나타나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은 긍정적 의사소통으로 자녀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자녀교육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자녀들의 자신감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가족여가인식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가족여가에서 만족하였더라도 가족 상호간 대화를 역기능적으로 하게 된다면 가족관계만족감이 다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Lee(2006)는 수동적인 가족여가활동은 가족 간의 대화나 접촉을 증진하는 시간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가족 간의 대화를 단절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족 간의 시선교류를 제한한다고 하였다. Lim(2010)도 가족 내 여가참여에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오히려 이는 부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하였으므로 가족여가 시 부정적인 대화패턴은 가족관계만족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청소년들은 어머니의 잔소리를 가장 싫어하고 이를 가장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신들은 자주 침묵을 지키고 부모님께 애정표현이나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잔소리를 대신할 수 있는 의사소통 기술이 필요하다 하겠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긍정적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기법 중 하나인 나 전달법은 자녀의 행동에 대해 부모 자신이 어떻게 느끼는지를 전달함으로써 부모의 느낌과 입장을 알려주고 자녀로 하여금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해 주는 것으로(Heo, 2009) 자녀들의 감정표현을 유도할 때 나 전달법의 사용이 요구된다.

다섯째, 가족여가를 통해 만족하게 되면 가족관계만족감도 높아지고 반면 가족여가에서 부담감을 느끼게 되면 가족관계만족감은 오히려 저하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때 가족여가 자체는 만족스러웠으나 그 과정에서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하였다면 가족관계만족감은 저하된다. 이와는 반대로 청소년자녀가 가족여가에 부담을 느꼈더라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기능적이고 긍정적이었다면 가족여가 부담으로 인한 가족관계만족의 저하가 다소 완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종속변수인 가족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에서 기능적 의사소통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결과를 통해 보더라도 부모의 입장에서 청소년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얼마나 중요한 지 여실히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족여가를 계획하는 의사결정과정에서 청소년자녀의 의견을 존중해주고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하도록 한다면 가족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과 더불어 존중받는다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도 더욱 원활해 질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여섯째, 청소년의 발달단계에 있어 가정환경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청소년의 인격형성과 교육의 장이 된다. 만약에 부모의 감시가 소홀하고 부모와의 친밀감이 낮다면 청소년의 여가는 일탈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가족여가를 통해서 건전한 가족문화를 형성하는 대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며, 부모자녀 간 기능적 의사소통으로 자녀들과 생활전반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상호 관심을 가지고 교류해야 할 것이다. 본 조사에서 얻어진 결과 중에서 청소년들은 자신의 가족이 발언권이 높다고 인식한 반면 가족 모두가 감정표현은 힘들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 청소년 가족 대부분의 대화주제가 공부나 진로에 관한 내용인 것으로 짐작할 수 있어 감수성이 풍부한 청소년 시기 자녀들의 충분한 감정을 공감할 수 있는 양육태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경남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지역적인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청소년과 가족 관계의 연구임에도 청소년들만 조사하여 연구하였으므로 부모의 측면에서도 같이 조사하여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가족여가인식이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현대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로서 청소년 뿐만이 아니라 대학생, 성인, 주부, 노인 등 그 대상을 보다 확대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가족여가프로그램이 다양화 되어 가족여가를 의미 있는 활동이라 여기고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여가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요망된다.

REFERENCES

  • Ahn, J. H., (2010), The effect of teenagers and parents' sports participation on communication and family cohesion, Master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Aron, A., & Aron, E.N., (1986), Love and the expansion of self: Understanding attraction and satisfaction, Washington, DC,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 Barnes, H., & Olson, D. H., (198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plex model, Child Development, 56(2), p438-447. [https://doi.org/10.2307/1129732]
  • Beard, J. G, & Ragheb, M. G,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p20-23.
  • Chi, Y. S., Lee, T. J., Kim, S. M., Jun, H. J., & Choi, B. A, (1999), A study on the contextual meaning of family leisure for human life,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3(1), p83-94.
  • Cho, K. Y., (2010),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mpacts of the transitions to aregiver role on mental health: The mediating effects of satisfaction in family relationship,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 Choi, K. L., (2002), Influence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on emotional dynamics and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University.
  • Choi, S. Y., (2004), A study on family leisur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 Han, J. L., & Heo, K. H., (2004), The influence of family members' communication competence, locus of control, impulsivity, and optimism on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28, p251-282.
  • Han, G. H., & Song, J. E., (2001), Health and family-work role characteristics of middle aged men in Korea, Family and Culture, 13(1), p51-73.
  • Heo, N. Y., (2009), The relation of typ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erceived by the adolescent and their interpersonal orientation, Maste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Hong, S. H., (2003), A study of the influence of family leisure on family functioning, Journal of Leisure Studies, 1(2), p57-71.
  • Iso-Ahola, S. E., (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A, W.C. Brown.
  • Jang, H. J., & Kim, J. 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involved of participant's family tourism, family strengths and family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3(3), p7-17.
  • Jo, K, E., (2008), The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family rules and children's locus of control on their peer relational skills,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 Jung, O. H., (2010), A study on the methods for revitalizing family leisure activity of urban government -Focused on Gwachon City-,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 Jung, T., (2005), A study about the satisfaction degree to housewives'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barrier factors, Master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 Jung, Y. H., Ryoo, J. S., & Shin, H. S., (200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variables 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focusing o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Jeonna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2), p145-158.
  • Kelly, J. R., (1983), Leisure indentities and interactions, London, George Allen & Unwin.
  • Kim, G. E., (2011), The influence of family relationship factor on health behavior of adolescent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 Kim, H. S., (1997), A study on leisure style of urban middle class, Master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 Kim, H. S., Choi, E. J., & Yang, J. N., (2012), study on the influence of stress on family relationships.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6(3), p83-96.
  • Kim, J. H, (1995), The negative aspects of leisure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Journal of Tourism Studies, 7(1), p91-111.
  • Kim, J. H., (2005), A study on communication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leisure activities, Master Thesis, Dankook University.
  • Kim, J. H., (2009), A study on a scheme of activating family-based adolescent leisure, Master Thesis, Myung Ji University.
  • Kim, J. M., & Lee, Y. R., (2010),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ifica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8(3), p13-26.
  • Kim, M. J., (2006), A study on the family leisure activities of teenager-Focusing on teenager in Changwon-, Master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Kim, M. J., (2008), Influence of type and degree of family leisure by parent's 5 days working system on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strengths,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Kim, P. S., (2004), Family relationship adaptation by leisure activity and leisure satisfaction of married people, Master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 Kim, S. H., (2013), study on the influence of internet addicition on satisfaction in family communication, Master Thesis, Kookmin University.
  • Kim, Y. H., Jang, H., & Hur, T. K., (2010), The conceptualization of leisure-obsession, Journal of Leisure Studies, 8(2), p59-82.
  • Kim, Y. S., (2009), Effects of the facilitative communication with bioparent perceived by adolescent in the stepfamily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stepparent, Master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 Kunstler, R., (1992), Forging the human connection: leisure services for the homeless, Parks & Recreation (Arlington), 27(3), p42-45.
  • Kwon, J. E., (2011), The study on family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and constraints of childhood family, Master Thesis, Ulsan University.
  • Kwon, M. H.,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adolescent's family leisure activity and family function, Journal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47(1), p519-526.
  • Lee, D. H., (2013), Impact on leisur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ego resiliency, and the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 Thesis, Chosun University.
  • Lee, J. H., (2011),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upon activation of family leisure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 Lee, J. Y., (2009), A study on the family function, leisure constraint and leisure satisfaction : Focus on married employee, Journal of Leisure Studies, 6(3), p135-156.
  • Lee, J. Y., (2012), The effect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and leisure function on adolescent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3(2), p21-34.
  • Lee, M. A.,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leisure activities and family strengths during adolescence : Based on a survey on second and third grade middle-school students, Master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 Lim, J. S., (2010), Analysis on the differences of family relations by perceiving type and consensus of family leisure for married women, Journal of Leisure and Wellness, 1(2), p41-48.
  • Min, H. Y., (199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 deliquency and juvenile deliquent's perception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 Moon, S. J., Yoon, S. Y., Cha, K. W., & Cheon, H. J., (2005), Leisure culture and family, Seoul, Shinjeong book.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3), Survey of Youth Human Rights, http://www.nypi.re.kr/.
  • Oh, C. G., (2007),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 communication, family function, family conflict and recidivism of juvenile delinquency, Master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Ragheb, M. G., & Beard, J. G., (1982), Measuring leisure attitud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4(2), p155-167.
  • Ro, J. J., (199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isure attitude to life span approach,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 Shin, C. S., & Park, J. Y., (2013), The effect of an auto camping as family leisure on family leisur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Studies, 11(1), p139-157.
  • Shin, D. J., (2013), The role of leisur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 and perceived stress,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7(1), p263-277.
  • Shin, K. Y., & Ok, S. W., (2000), The relations between midlife working wome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ward/cost of family role and work ro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8), p29-51.
  • Won, H. J., & Park, J. S., (2012), The effect of leisure style and leisure identity on family function as perceived by Korean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Ewha Journal of Human Movement Science, 14, p25-35.
  • Yang, O, K, & Kim, Y. S., (2007), Construction and validity of 『Family Relations Scale-Brief Form』,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2(2), p103-129.
  • Yang, Y. M., (2013), Relation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ego-resilience to adolescents’ depression, Maste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Yeo, J. K., (2006), Father-son relationships across the developmental stages-Focusing on father's role and father-son communication perceived by son-, Master Thesis, Silla University.
  • Youn, B. H., (2014),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adolescents' self-esteem,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 Yoon, S. Y., & Yoon, J., (2008), Study of a policy plan for vitalizing a family leisure, Research Report,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 Yoon, S. Y., & Yoon, J. Y., (2003), A study on activities and the nature of family leisure, Journal of Leisure Studies, 1(2), p11-31.

[Figure 1]

[Figure 1]
Research model

<Table 1>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N=332)

Variables Items N percentage
Gender Male 184 55.4
Female 148 44.6
Total 332 100.0
Grade 1 134 40.4
2 109 32.8
3 89 26.8
Total 332 100.0
Father’s Education Less than High School 140 42.2
Higher than University 158 47.6
No answer 34 10.2
Total 332 100.0
Mother’s Education Less than High School 143 43.1
Higher than University 150 45.2
No answer 39 11.7
Total 332 100.0
Economic level High 98 29.5
Medium 208 62.7
Low 26 7.8
Total 332 100.0
Father’s Age the thirties 28 8.4
the forties 251 75.6
the fifties 53 16.0
Total 332 100.0
Mother’s Age the thirties 66 19.9
the forties 251 75.6
the fifties 15 4.5
Total 332 100.0
Family Type Both-Parent Family 295 88.9
Single-Parent Family 36 10.8
No answer 1 .3
Total 332 100.0
Father’s Occupation businessman, administration 155 46.7
self-employed (store, business) 63 19.0
profession 3 .9
blue collar job, sales, service 81 24.4
agriculture, forestry, fishing industry 6 1.8
unemployed 3 .9
No answer 21 6.3
Total 332 100.0
Mother’s Occupation businessman, administration 63 19
self-employed(store, business) 46 13.9
profession 38 11.4
blue collar job, sales, service 46 13.9
agriculture, forestry, fishing industry 5 1.5
full-time housewife 112 33.7
No answer 22 6.6
Total 332 100.0

<Table 2>

Factor analysis of family leisure perception

Items Family Leisure Satisfaction Family Leisure Burden
5. Get more rewarding after family leisure .859 -.182
6. Become better understanding of family members after family leisure .846 -.119
3. Get the vitality of life after family leisure .845 -.214
1. Become more familiar with parents after family leisure .839 -.152
4. Become helpful to relieve stress after family leisure .800 -.230
2. Become more familiar with brothers and sisters after family leisure .754 -.086
7. Feel tired after family leisure -.195 .745
9. Family leisure needs a lot of costs .083 .722
10. The requirements of the family members about family leisure is a burden to me -.228 .674
8. It’s too bad time is reduced after family leisure -.433 .647
eigen value 4.36 2.12
variance (%) 43.64 21.25
cumulative variance(%) 43.64 64.89
Cronbach’s α .91 .70

<Table 3>

General Tendency of Variables

Variable M SD
Family Leisure Satisfaction 3.76 .76
Family Leisure Burden 2.43 .71
Positive Communication 3.42 .80
Negative Communication 2.65 .62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3.73 .74

<Table 4>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upon parent-child communica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Model 1 Model 2
Positive Communication Negative Communication
b β b β b β b β
*p < .05,
***p < .001
dummy variable
a :1=female,
b :1=2nd grade,
c :1=3rd grade,
d :1=higher than University,
e :1=higher than University,
f :1=medium,
g :1=high
demog raphics Gendera -.029 -.018 -.023 -.014 -.075 -.060 -.062 -.049
School year1b .108 .062 .085 .048 .007 .006 .020 .015
School year2c .084 .046 .043 .023 .031 .022 .062 .044
Father’s Educationd -.064 -.039 -.009 -.006 .160 .129 .126 .105
Mother’s Education e .121 .075 .019 .012 -.119 -.096 -.080 -.064
Economic level1f .149 .089 .160 .095 -.312 -.244 -.305 -.239 *
Economic level2g .250 .143 .163 .093 -.386 -.289 -.338 -.254 *
Family Leisure Satisfaction .558 .527 *** -.212 -.262 ***
Family Leisure Burden -.262 -.224 *** .315 .355 ***
constant 3.187 1.787 2.974 2.967
.014 .453 .034 .319
modified R² .011 .435 .010 .296
R² increase .424 .286
F .564 25.011 *** 1.391 14.079 ***

<Table 5>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up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Model 1 Model 2 Model 3
b β b β b β
*p < .05,
**p<.01
***p < .001
dummy variable
a :1=female,
b :1=2nd grade,
c :1=3rd grade,
d :1=higher than University,
e :1=higher than University,
f :1=medium,
g :1=high
demogr aphics Gendera -.036 -.024 -.034 -.022 -.034 -.022
School year 1b .005 .003 -.014 -.009 -.053 -.032
School year 2c -.009 -.005 -.043 -.025 -.056 -.033
Father’s Educationd .009 .006 .065 .043 .085 .056
Mother’s Education e .141 .093 .041 .027 .020 .013
Economic level 1f .100 .064 .137 .088 .039 .025
Economic level 2g .261 .159 .200 .122 .090 .055
Family Leisure Satisfaction .560 .567 *** .299 .301 ***
Family Leisure Burden -.275 -.258 *** -.095 -.087 *
Positive Communication .432 .460 ***
Negative Communication -.157 -.128 **
constant 3.540 2.133 1.730
.025 .540 .686
modified R² .001 .525 .673
R² increase .524 .149
F 1.035 36.037 *** 53.501 ***

<Table 6>

The effects of family leisure satisfaction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positive communica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Positive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Step 1 Step 2 Step 3
β β β
***p < .001
dummy variable
a :1=female,
b :1=2nd grade,
c :1=3rd grade,
d :1=higher than University,
e :1=higher than University,
f :1=medium,
g :1=high
demo graphics Gendera .003 .002 -.007
School year1b .015 -.005 -.038
School year2c .027 -.014 -.037
Father’s Educationd -.010 .040 .041
Mother’s Education e .000 .020 .014
Economic level1f .104 .093 .054
Economic level2g .094 .121 .081
Family Leisure Satisfaction .640 *** .687 *** .356 ***
Positive Communication .531 ***
constant 2.794 4.660 3.448
.415 .488 .665
modified R² .398 .474 .654
R² increase .076 .180
F 24.235 *** 33.052 *** 59.96 ***

<Table 7>

Sobel test

Path β (a) SE (a) β (b) SE(b) Z
Family Leisure Satisfaction→ Positive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640 .050 .531 .043 8.887***

<Table 8>

The effects of family leisure satisfaction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negative communica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egative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Step 1 Step 2 Step 3
β β β
***p < .001
dummy variable
a :1=female,
b :1=2nd grade,
c :1=3rd grade,
d :1=higher than University,
e :1=higher than University,
f :1=medium,
g :1=high
demographics Gendera -.075 .002 -.024
School year1b .015 -.005 -.008
School year2c .037 -.014 -.016
Father’s Educationd .108 .040 .066
Mother’s Education e -.046 .020 .003
Economic level1f -.253* .093 .037
Economic level2g -.255* .121 .059
Family Leisure Satisfaction -.441*** .687*** .576***
Positive Communication -.274***
constant 19.616 4.660 7.617
.225 .488 .561
modified R² .202 .474 .546
R² increase .272 .344
F 9.843*** 33.052*** 38.445***

<Table 9>

Sobel test

Path β (a) SE (a) β (b) SE(b) Z
Family Leisure Satisfaction→ Negative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441 .044 -.274 .056 4.396***

<Table 10>

The effects of family leisure burden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positive communica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Positive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Step 1 Step 2 Step 3
β β β
***p < .001
dummy variable
a :1=female,
b :1=2nd grade,
c :1=3rd grade,
d :1=higher than University,
e :1=higher than University,
f :1=medium,
g :1=high
demographics Gendera -.046 -.064 -.028
School year1b .057 -.008 -.040
School year2c .031 -.031 -.039
Father’s Educationd -.019 .024 .038
Mother’s Education e .071 .082 .045
Economic level1f .076 .063 .029
Economic level2g .123 .148 .082
Family Leisure Burden -.486*** -.519*** -.202***
Positive Communication .658***
constant 18.792 22.821 8.453
.249 .292 .622
modified R² .227 .272 .610
R² increase .045 .383
F 11.321*** 14.300*** 49.766***

<Table 11>

Sobel test

Path β (a) SE (a) β (b) SE(b) Z
Family Leisure Burden→ Positive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486 .061 .658 .040 -.7170***

<Table 12>

The effects of family leisure burden 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negative communica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egative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Step 1 Step 2 Step 3
β β β
*p < .05
***p < .001
dummy variable
a :1=female,
b :1=2nd grade,
c :1=3rd grade,
d :1=higher than University,
e :1=higher than University,
f :1=medium,
g :1=high
demographics Gendera -.033 -.064 -.068
School year1b .010 -.008 .002
School year2c .040 -.031 -.008
Father’s Educationd .109 .024 .065
Mother’s Education e -.094 .082 .060
Economic level1f -.229* .063 -.005
Economic level2g -.269* .148 .066
Family Leisure Burden .485*** -.519*** -.351***
Negative Communication -.357***
constant 10.295 22.821 23.594
.268 .292 .392
modified R² .246 .272 .372
R² increase .026 .126
F 12.443*** 14.300*** 19.454***

<Table 13>

Sobel test

Path β (a) SE (a) β (b) SE(b) Z
Family Leisure Burden→ Negative Communication→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485 .046 -.357 .068 -4.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