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5, No. 1, pp.113-120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Feb 2016
Received 14 Dec 2015 Revised 03 Feb 2016 Accepted 25 Feb 2016
DOI: https://doi.org/10.5934/kjhe.2016.25.1.113

일부 대전·충남 지역 고등학생의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생활 환경 특성, 식습관, 급식 만족도 조사

정연희 ; 육홍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Dietary Habits, Satisfaction over School Meals According to School Lunch Support of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 Chungnam Province
Jung, Yeon-Hee ; Yuck, Hong-Sun*
Dept. of Nutritional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ong-Sun Tel: +82-42-821-6831, Fax: +82-42-821-8887 E-mail: yhsuny@cnu.ac.kr

ⓒ 2016,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chool lunch support for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living conditions, dietary habits, and satisfaction over school food services. The study aim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welfare policies for dietary improvement, health promotion and nutrient education of poorly-fed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30 male and 168 female. Among them, 145 students received school lunch support(SLS), and 153 students received no school lunch support(NSLS). A survey was carried out from March 7, 2012 to March 9, 2012.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Regarding living conditions, the students with SLS responded that they woke up and went to bed regularly, had enough sleep. Regarding dietary habits, those with NSLS had breakfast fewer times than those with SLS. As for unbalanced diet, those with SLS had an unbalanced about vegetables while those with NSLS had an unbalanced about fish and seafood. When under pressure, those with SLS ate small quantity or did not eat at all. Regarding satisfaction over school meals, those with SLS were more satisfied by their school menus in comparison with the food prices than those with NSLS. They were also more satisfied in terms of the taste and variety of food, the hygienic condition of the school cafeteria, the school's nutrition educ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and reflection or adoption students' ideas.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high school-students' living conditions, dietary habits, and satisfaction over meal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according to School Lunch Suppor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Keywords:

living conditions, dietary habits, satisfaction

키워드:

생활 환경 특성, 식습관, 급식 만족도

Ⅰ. 서 론

오늘날 우리나라 대부분의 초·중·고등학교는 학생들에게 급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Choe와 Lee(2009)에 의하면 학교 급식의 실시에 따른 효과는 신체 건강, 편식 교정, 식사시 배우는 식행동, 식사와 관련된 위생 교육 등 식생활의 전반적인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하였다.

정부에서는 저소득층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불안정한 식생활이나 영양 섭취의 부족함을 해결하기 위해 급식 지원 산업을 실시해 오고 있다. National Indicator System(2015)에 따르면 2000년 10월부터 아동 급식을 실시하고 있으며, 2001년 11월부터 취학 아동에 대해 조식 및 석식, 미취학 아동에게 조·중·석식을 제공하였다. 2000년 기초생활보장대상 1만 5천명의 아동에게 급식을 지원하였고 2004년 방학·토·공휴일 중 취학아동 중식 지원이 교육부에서 복지부로 이관되고, 지원 대상 아동을 차상위 아동까지 확대하여 지원 아동수가 대폭 증가하여 2003년 14,533명에서 2004년 235,202명으로 22만 여명이 증가하였다고 하였다. 이것은 부모의 실직 등으로 인한 경제적 가난 또는 부모의 질병, 사망, 이혼 등 가족의 결손으로 인해 우려되는 결식 아동의 수가 증가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Korea Health Society Research(2010)에 따르면 현재 학교에서 급식비 지원을 받는 학생은 국민 기초 생활 수급자의 자녀, 사회 복지 시설 수용 학생, 소년 소녀 가장, 특수 교육 대상자,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자녀, 차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자녀이다. 이것은 연간 소득 금액 및 월 건강 보험료 등으로 소득 수준을 증명할 수 있는 저소득층 자녀 뿐만 아니라 학교 담임 교사가 개인 상담을 통해 추천한 학생 순으로 지원 여부를 결정한 것이다.

Jo(2000)의 주장에 따르면, 결식 아동 지원 사업의 기본 방향은 아동의 영양 충족 뿐만 아니라 신체적 발달을 도와 이들이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하는데 있다고 하였다. 더 나아가 이들이 결식으로 인해 영양이 부족되었을 때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잃고 성장한 후에도 빈곤 계층으로 떨어지는 빈곤의 대물림을 예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Jang과 Park(2006)에 의하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권리를 잃고 있는 결식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급식 지원 내용과 특성들을 알아보고, 결식 아동과 청소년의 급식 지원에 대한 만족도와 이와 관련된 주제들을 밝혀 냄으로써 급식 지원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급식 지원 사업의 실시 및 확대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급식 지원 사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제반 사항 및 평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Park et al.(2012)에 의하면 인천 지역 일부 남녀 중학생의 급식비 지원에 따른 전반적인 급식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급식지원군은 일반군에 비해 영양 섭취 기준이나 질이 떨어지는 영양 섭취를 하고 있으며, 이 논문 결과 아침 식사 횟수, 아침 식사 시간, 식생활 태도 등의 요인이 급식지원여부에 따른 학생들에게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식 지원과 관련한 자료는 결식 지원 사업의 현황, 전망 및 계획 등에 사용되어 아동 및 청소년들의 영양 섭취 기준 및 식생활 향상을 위한 좋은 자료로 활용되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 외 현재 급식 지원을 받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더 다양한 지역 및 연령층에 대한 조사를 통해 영양 문제를 구체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부 대전·충남 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생활 환경 특성, 식습관, 급식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 결식 고등학생에 대한 식생활 개선, 건강 증진 및 영양 교육 등 복지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2012년 3월 5일 대전 Y고등학교의 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2012년 3월 7일부터 9일까지 대전 지역 1개 고등학교, 충남 지역 2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부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1월 31일에서 12월 31일까지 1년 동안 학교 급식비를 납부하지 않고 중식 지원을 받은 학생 145명(48.9%)과 학생의 보호자가 학교 급식비를 납부하고 있는 일반 가정의 학생 153명(51.1%) 총 29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설문지의 문항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생활 환경 특성, 식습관 조사, 급식 만족도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항목에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성별, 학년, 현재 살고 있는 가족의 구성 형태로 3문항, 생활 환경 특성으로는 기상 시간 규칙성, 취침시간 규칙성, 취침 정도로 3문항, 식습관으로는 매일 아침식사의 여부, 편식 음식, 스트레스 받을 때 식사의 섭취량 변화로 3문항, 급식 만족도 조사로는 학교 급식비 대비 식단 만족도 항목 1문항, 음식의 맛과 다양성 항목 5문항, 위생에 대한 만족도 항목 2문항, 식사 환경에 대한 만족도 항목 2문항, 학교 급식에서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항목 2문항으로 전체 급식만족도 항목은 12문항이고 이렇게 전체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급식 만족도 조사시에는 척도법을 이용하였고 1점의 경우 매우 불만족, 2점의 경우 불만족, 3점의 경우 보통, 4점의 경우 만족, 5점의 경우 매우 만족으로 만족도 조사를 이용하였다. 전체 설문 조사 문항은 Park et al.(2012)의 선행 논문을 참고하여 본 대상자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3. 통계 처리

조사 자료의 통계 처리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생활 환경 특성과 식습관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한 후 급식비 지원군과 비지원군간의 차이가 있는지 x2-test으로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학교 급식 만족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급식비 지원군과 비지원군간의 차이가 있는지 t-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조사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19.0 ver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일반적 특성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학생이 43.6%, 여학생이 56.4%로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은 2학년이 22.1%, 3학년이 77.9%로 3학년이 2학년보다 약 3.5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구성 형태는 핵가족이 61.7%, 한부모 가족이 24.2%, 대가족이 12.1%, 조부모 가족이 2.0%로 핵가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 사회의 가족 구성이 대부분 핵가족화 되어 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2. 조사대상자의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생활 환경 특성

조사대상자의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생활 환경 특성에 대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기상 시간은 규칙적이 76.5%, 불규칙적이 23.5%로 규칙적이 더 높게 나타났다.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규칙적은 지원군이 비지원군보다 높게 나타나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1).

취침 시간은 불규칙적이 56.4%, 규칙적이 43.6%로 불규칙적이 더 높게 나타났다.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규칙적은 지원군이 비지원군보다 높게 나타나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01). 취침정도는 잠이 부족하다가 84.6%, 충분히 잔다가 15.4%로 잠이 부족하다가 더 높게 나타났다.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충분히 잔다는 지원군이 비지원군보다 높게 나타나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 기상 시간, 취침 시간, 취침 정도를 정리하면 지원군이 기상 시간과 취침 시간에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있음으로 취침 정도에서 충분히 자는 것을 알 수 있다. Park et al.(2012)의 연구에 의하면 인천 지역의 급식비 지원을 받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식습관, 식생활 태도를 연구하였지만 생활환경 특성면을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다른 연령별, 다른 지역과의 차이를 비교할 수가 없었다. 이것으로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생활 환경 특성은 기존 선행 논문보다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자 생활 환경 특성을 연구하게 되었다.

Living conditions according to school lunch support

3. 조사대상자의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식습관

조사대상자의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식습관을 살펴보면 <Table 3>과 같다.

아침 식사 여부는 꼭 먹는다가 43.0%, 가끔 먹는다가 34.9%, 안 먹는다가 22.1%로 꼭 먹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꼭 먹는다는 지원군이 비지원군보다 약 14%정도 높았고, 가끔 먹는다는 비지원군이 지원군보다 약 10.9%정도 높았으며, 안 먹는다는 비지원군이 지원군보다 약 3.1%정도 높게 나타났다(p<0.01). 이는 비지원군이 지원군보다 아침 식사를 잘 먹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다. Park et al.(2012)의 연구에 의하면 아침식사 섭취 빈도는 남녀 모두 일반군이 급식지원군보다 높았다고 하였다(p<0.05). 이 두 연구에서는 인천 지역 중학생의 경우 일반군이 급식 지원군보다 아침식사 섭취 빈도가 높았지만 대전, 충남 지역 고등학생의 경우는 급식 지원군이 일반군보다 아침 식사 섭취 빈도가 높게 나온 것을 알 수가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급식비지원 여부에 따른 생활 환경 특성에서 지원군이 일어나는 시간과 취침 시간에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있음으로 취침정도에서 충분히 자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지원군은 충분히 자고 일어난 후 아침 식사를 거르지 않고 꼭 먹지만, 비지원군은 불규칙한 생활로 인해 잠이 부족하여 늦게 일어나고 아침에 일어났을 때 입맛이 별로 없어 아침 식사를 안 먹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두 논문 결과로는 지역별 환경적 차이인지 연령별 차이인지 원인을 알 수가 없으므로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편식 음식은 채소가 71.6%, 생선, 해물류가 23.5%, 육류가 4.9%로 채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채소는 지원군이 비지원군보다 약 12.3%정도 높았고, 육류는 비지원군이 지원군보다 약 3%정도 높았으며, 생선, 해물류는 비지원군이 지원군보다 약 9.2%정도 높게 나타났다(p<0.05). 이는 지원군이 채소를 편식하고, 비지원군은 생선, 해물류를 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천 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 급식 만족도 및 기호도 조사에 따르면 편식하는 음식 종류는 ‘채소류’(45.1%)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해산물류’, ‘잡곡류’ 등 순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Heo, 2015). 그리고 경기 여주 지역 여자 중·고등학생의 식생활태도 및 급식 만족도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남기는 음식의 종류는 전체적으로 국 42.6%, 나물류 32.4%, 김치류 15.3%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고 하였다(Chai, 2007). 이처럼 전반적으로 채소 편식률이 높은 편인데 인천 지역 고등학생은 45%이고 경기 여주 지역은 32%인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 71%나 차지한다는 것은 상당히 편식이 심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채소 섭취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식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식생활 교육을 해야 하고, 급식 담당자는 학생들이 좋아하는 조리법을 활용하여 채소 반찬을 만들어 채소 편식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식사량 변화는 똑같다가 43.6%, 많이 먹는다가 38.3%, 전혀 먹지 않는다가 9.4%, 적게 먹는다가 8.7%로 똑같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많이 먹는다는 비지원군이 지원군보다 약 3.4%정도 높았고, 똑같다는 비지원군이 지원군보다 약 9.8%정도 높았으며, 적게 먹는다는 지원군이 비지원군보다 약 1.9%정도 높았고, 전혀 먹지 않는다는 지원군이 비지원군보다 3.3%정도 높게 나타났다(p<0.05). 이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비지원군이 지원군에 비해 더 많이 먹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강원 지역 고등학교 기숙사생의 식습관, 급식 만족도 및 급식 메뉴 기호도 조사에 따르면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에 비해 아침(p<0.01), 점심(p<0.05), 저녁 식사(p<0.01) 모두에서 급식 만족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고 하였다(Yi, 2012).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비지원군이 지원군보다 더 먹는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다른 연구와 다르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Dietary habits according to school lunch support

4. 조사대상자의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급식 만족도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급식 만족도에 대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조사대상자의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급식비 대비 식단 만족도에 대한 전체 평균은 총 5점 중에서 2.55점이고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 지원군은 3.01점, 비지원군은 2.09점으로 지원군이 0.92점이 높은 것으로 보아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이와 같이 지원군이 비지원군에 비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지원군은 무상으로 급식을 하는 것이므로 가격에 관계없이 만족을 하는 것이고, 비지원군은 내는 금액에 비해 식단이 만족스럽지 못함을 알 수 있다. Park et al.(2012)의 연구에 의하면 학교 급식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총 5점 중에서 3.1점이었고, 여학생의 경우 급식 지원군이 일반군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p<0.001), 성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p<0.001). 이것으로 보아 인천 지역 중학생의 경우가 대전, 충남 지역 고등학생의 경우보다 전체적인 급식 만족도가 0.55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두 논문 모두 급식 지원 여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것으로 보아 급식 지원군이 비지원군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동일한 결과를 알 수가 있다. 하지만 인천 지역에 비해 대전, 충남 지역이 급식 만족도가 낮은 이유는 이 연구로만 파악하기 어렵고 지역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반적인 음식의 맛의 만족도는 3.41점이고, 지원군은 3.46점, 비지원군은 3.29점으로 지원군이 비지원군보다 전반적인 음식의 맛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Kim(1999)의 주장에 따르면 학교 급식에서 가장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음식의 맛이라고 응답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음식의 전체적인 간의 만족도는 2.94점이고, 지원군은 3.08점, 비지원군은 2.85점으로 지원군이 음식의 전체적인 간에서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밥 종류의 다양성 만족도는 3.02점이고, 지원군은 3.14점, 비지원군은 2.85점으로 지원군이 밥 종류의 다양성에서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국·반찬의 다양성 만족도는 2.87점이고, 지원군은 2.96점, 비지원군은 2.77점으로 지원군이 국·반찬의 다양성에서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후식의 다양성 만족도는 2.94점이고, 지원군은 3.02점, 비지원군은 2.83점으로 지원군이 후식의 다양성에서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Park et al.(2012)의 연구에 의하면 메뉴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는 여학생의 경우 급식 지원군이 일반군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p<0.01). 두 논문 비교시 전체적인 급식 만족도 부분에 있어서 메뉴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급식 지원 여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것으로 보아 급식 지원군이 비지원군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동일한 결과를 알 수가 있다.

식판·수저의 청결도 만족도는 3.18점이고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지원군은 3.27점, 비지원군은 3.14점으로 지원군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식당 전체의 청결도 만족도는 3.37점이고,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지원군은 3.44점, 비지원군은 3.26점으로 지원군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식당 분위기 만족도는 3.07점이고,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지원군은 3.15점, 비지원군은 3.03점으로 지원군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배식에 기다리는 시간 만족도는 2.40점이고,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지원군은 2.51점, 비지원군은 2.30점으로 지원군이 배식에 기다리는 시간에서 지루해하지 않고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p<0.01), 전반적인 위생, 식사 환경에 대한 만족도 점수와 비교해 볼 때 3점 이하의 낮은 만족도를 보여 배식에 기다리는 시간이 불만족스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다리는 시간의 정확한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적합한 배식 형태를 통한 시간과 공간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영양 교육 또는 정보 제공 만족도는 2.80점이고,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지원군은 2.94점, 비지원군은 2.64점으로 지원군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영양 지식을 동반한 영양사는 식사를 하는 학생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므로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에게도 영양 교육을 위하여 가정 통신문을 활용하여 정기적인 영양 관련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학생의 의견 반영 만족도는 2.41점이고,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지원군은 2.55점, 비지원군은 2.32점으로 지원군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하지만 학교 급식에서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보통’ 이하인 2.80점과 2.41점에 그친 것으로 보아, 학생들에게 영양 교육이나 정보 제공에 부족함은 물론 학생들의 의견이 급식 운영에 반영되지 못하여 학생들이 학교 급식에서의 서비스에 대체로 불만족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학교 영양사가 학교 급식 서비스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학생 중심의 급식 서비스로 바꾸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것으로 볼 때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식습관의 문제점으로 지원군일수록 아침 결식보다는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저식사량, 채소 편식임을 알 수 있다. 급식 지원군은 저식사량이 되지 않도록 학교와 지역 사회의 지속적인 급식 지원이 필요하고, 채소 편식을 막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기호도를 식단에 반영하고, 음식의 맛을 내기 위한 다양한 조리법이 활용되어져야 하며, 또한 다양한 음식 섭취의 중요성을 알 수 있도록 지속적인 영양 교육을 통해 강조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Jo(2007)의 주장에 따르면 급식 아동의 문제를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 발달할 수 있는 권리로 정해야 하고, 급식지원대상자의 선정에서는 결식 아동의 현황과 실제 급식여부 등을 직접 조사하고 주기적인 저소득층 위기 가정의 실태를 파악하여 빠른 시일 내의 급식 지원자를 선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가장 중요한 것으로 지방자치단체로 이양된 보건복지부의 급식 사업이 국가 정책의 우선 순위에서 밀리지 않도록 예산 확보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결식 아동을 위한 정책은 아동의 권리보장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사회적 합의가 필요할 것이다.

The meal satisfaction according to school lunch support


Ⅳ. 요약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생활 환경 특성에서는 지원군일수록 일어나는 시간과 취침 시간에서 규칙적이어서 취침 정도에서 충분히 잔다고 나타났다.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식습관에서는 지원군일수록 아침 식사를 꼭 먹고, 주로 편식하는 음식은 채소이다. 자신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식사나 간식의 섭취량의 변화는 지원군일수록 적게 먹거나 전혀 먹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른 급식 만족도 조사에서 급식비 대비 식단 만족도는 지원군일수록 더 만족하고, 전반적인 급식 만족도에서 지원군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급식비 지원 여부에 따라 생활 환경 특성과 식습관 및 급식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급식비 지원을 받는 학생의 영양 섭취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건강한 식행동을 교육할 수 있도록 학교와 지역 사회의 체계적인 영양 지원 및 확대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전반적인 급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교급식이 노력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REFERENCES

  • Chai, J. H., (2007),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school meal satisfaction index of femal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Yeoju kyunggido, Unpublished master thesis, Yongin National University, Korea.
  • Choe, E. S., & Lee, Y. E., (2009), Quality evaluation of food service within child care centers in Chung buk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4(3), p267-278.
  • Heo, Y. H., (2015),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school meal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Unpublished master thesis, Inha National University, Korea.
  • Jang, S. J., & Park, E. M., (2006), A study on state and effectiv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meal service among low-income children and youth,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0(4), p771-793.
  • Jo, A. J., (2007), The poorly-fed children in Korea and the reform of the public meal delivery system, Health Welfare Forum, 128, p37-46.
  • Jo, H. S., (2000), Students school lunch support business management or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project: 2000 policy project theme, Seoul university education policy project report.
  • Kim, S. 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Korea Dietitian Association, 5(2), p215-224.
  • Korea Health Society Research, (2010), Child meal business, 76.
  • National Indicator System, (20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07.
  • Park, J. Y., Kim, E. J., Kim, M. H., & Choi, M. K., (2012), Camparison of meal satisfaction,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school lunch support among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in Incheon,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8(1), p1-15. [https://doi.org/10.14373/JKDA.2012.18.1.001]
  • Yi, M. N., (2012),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school meal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dormitory students in the Gangwon province, Unpublished master thesis, Sanggi National University, Korea.

<Tabl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ables N(%)
1) N(%)
Gender
Male 130(43.6)1)
Female 168(56.4)
Grade
2nd 66(22.1)
3rd 232(77.9)
Type of family
Extended family (grandparent+parents+children) 36(12.1)
Nuclear family (parents+children) 184(61.7)
Single parent family 72(24.2)
grandparent and grandchildren family 6(2.0)
Total 298(100.0)

<Table 2>

Living conditions according to school lunch support

Variables SLS1) NSLS2) Total x2-test
1) SLS: School Lunch Support
2) NSLS: No School Lunch Support
3) N(%)
4) * : p<0.05, ** : p<0.01, *** : p<0.001 by x2-test
How do you think about waking up regularly?
Regularly 117(80.7)3) 111(75.2) 228(76.5) 7.66**4)
Irregularly 28(19.3) 42(24.8) 70(23.5)
How do you think about sleeping time?
Regularly 69(47.6) 61(42.6) 130(43.6) 11.69***
Irregularly 76(52.4) 92(57.4) 168(56.4)
How do you think about sleeping degree?
Sufficient sleep 33(21.6) 13(9.0) 46(15.4) 6.18*
Insufficient sleep 112(78.4) 140(91.0) 252(84.6)
Total 145(100.0) 153(100.0) 298(100.0)

<Table 3>

Dietary habits according to school lunch support

Variables SLS1) NSLS2) Total x2-test
1) SLS: School Lunch Support
2) NSLS: No School Lunch Support
3) N(%)
4) *: p<0.05, ** : p<0.01 by x2-test
How do you think about eating breakfast regularly?
Very regular 78(52.0)3) 60(38.0) 138(43.0)
Slightly regular 39(29.2) 55(40.1) 94(34.9) 11.22**4)
Very irregular 28(18.8) 38(21.9) 66(22.1)
What do you think your unbalanced-diet food?
Vegetables 80(79.7) 66(67.4) 146(71.6)
Meats 4(2.9) 6(5.9) 10(4.9) 7.04*
Fish, marine products 20(17.4) 26(26.6) 46(23.5)
How much do you change meal quantity in strees?
In large quantity 58(36.6) 56(40.0) 114(38.3) 5.37*
Same 56(38.6) 74(48.4) 130(43.6)
In small quantity 14(9.7) 12(7.8) 26(8.7)
Never 17(11.1) 11(7.8) 28(9.4)
Total 145(100.0) 153(100.0) 298(100.0)

<Table 4>

The meal satisfaction according to school lunch support

Variables SLS1) NSLS2) Total x2-test
1) SLS: School Lunch Support
2) NSLS: No School Lunch Support
3) N(%)
4) *: p<0.05, **: p<0.01, ***: p<0.001 by t-test
How much are you satisfied the meal satisfaction over the price of meal? 3.01±0.06 2.09±0.04 2.55±0.05 6.93***4)
How much are you satisfied?
Overall tasty 3.46±0.09 3.29±0.05 3.41±0.07 2.04*
Overall salty 3.08±0.08 2.85±0.49 2.94±0.06 3.29***
Variety of the rice 3.14±0.09 2.85±0.55 3.02±0.06 3.63***
Variety of the soup, dish 2.96±0.04 2.77±0.54 2.87±0.06 2.49**
Variety of the dessert 3.02±0.09 2.83±0.64 2.94±0.08 2.03*
How much are you satisfied the hygienic condition?
the spoon and chopsticks 3.27±0.95 3.14±0.04 3.18±0.05 1.85*
the all dining hall 3.44±0.93 3.26±0.04 3.37±0.05 2.56**
How much are you satisfied the meal environment?
An atmosphere dining hall 3.15±0.89 3.03±0.05 3.07±0.06 1.59*
Waiting time in line 2.51±0.10 2.30±0.05 2.40±0.06 2.49**
How much are you satisfied the service?
Nutrition learning or information service 2.94±0.08 2.64±0.05 2.80±0.06 3.90***
Idea reflection of the student 2.55±0.10 2.32±0.05 2.41±0.07 2.69**
Total 145(100.0) 153(100.0) 298(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