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7, No. 2, pp.165-177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8
Received 01 Feb 2018 Revised 04 Mar 2018 Accepted 05 Mar 2018
DOI: https://doi.org/10.5934/kjhe.2018.27.2.165

수묵화를 모티브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齊白石과 張大千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선영*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 Study of Fashion Cultural Product Design as Applied with Ink Painting: Focusing on Ch'i Paishih's and Chang Tach'ien's Art Work
Kim, Sun Yo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Kim, Sun Young Tel: 061-750-3685 Fax: 061-750-3680 E-mail: ksy6341@sunchon.ac.kr

ⓒ 2018,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art of ink painting, which depicts the beauty of natural objects as seen in nature and profound human spirits on canvas, presents a distinctive image as noted in the completed project. Today, its uniqueness is applied not only to the fashion area but also to many other areas related to cultural designs. This study suggested some designs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based on works of Ch'i Paishih and Chang Tach'ien, two masters in the Chinese modern painting. With a view to identifying a comprehensive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view was performed on ink paintings and literature about Ch'i Paishih's and Chang Tach'ien's works. An analysis with several significantly dynamic ink painting cases was also added to this study, to appreciate and comprehend a trend in the modern fashion. In the examination process to design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Adobe Illustrator CS6 and Adobe Photoshop CS6 were used as a design tool to offer the prototype of T-shirts and an eco-bag. In the case of Ch'i Paishih, art works related to flower material subjects were adopted whereas, in the case of Chang Tach'ien, art works about landscapes were chosen for a review. For the T-shirts, the design was applied to a short sleeve T-shirt with a round neckline. The chosen motif was taken in such a way that the whole characteristic of the work were realized as if all the area of T-shirts were regarded as a brilliant canvas or the abstract graphic image was given a view for the eye through the singular distortion or transformation of images inside the work for a dream-like dynamic and attractive effect. For the eco-bag, the ink paint works were realized in the one point graphic image for the design, or their shapes were laid out on the whole surface of bag to create a splatter effect that is spectacular in view of the subject used for the presentation.

Keywords:

Ink painting, Ch'i Paishih, Chang Tach'ien, Fashion cultural products

키워드:

수묵화, 제백석, 장대천, 패션문화상품

Ⅰ. 서론

동양 미술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온 수묵화는 중국을 비롯한 한국, 일본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서양화와 다른 독특한 회화 미학을 나타낸다. 수묵화는 채색화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먹의 농담에 의해 그린 그림을 지칭하는데, 그 유형은 먹과 물에 의해서만 필을 구사하게 되는 순수묵과 투명한 정도의 담채를 같이 사용하는 수묵담체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k paintings”, 2014; Kim, 2012; Song, 1995). 먹의 농담에 의한 깊은 효과와 여백의 미를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수묵화는 농묵과 담묵을 혼용하여 겹치거나 번지게 하여 일어나는 변화로 공간의 표현과 대상의 질감까지도 나타내고자 하는 표현양식으로 알려져 있다(Cho, 2008; Kim, 2012; Ni & Suh, 2014; Song, 1995). 그러나 광범위한 범위에서 수묵은 묵과 물의 매개물로서 수천 년 동안 발전을 거듭하여 자연의 아름다움은 물론 예술적 영감을 발휘할 수 있게 한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다(“Representatives of Chinese painting”, 2014).

이러한 수묵화는 오늘날 유명 작가의 작품은 물론 표현기법의 특성을 살려 패션디자인, 포스터, 패키지디자인 등 다양한 영역에 활용되어 독특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중국 수묵화의 명맥을 잇기 위한 다양한 전시가 국내외에서 개최되고 있으며 세계미술시장에서도 중국 수묵화의 관심이 부각되고 있는데 2014년 한국에서는 중국 근대미술 거장 장대천의 작품과 그의 맥을 잇는 중국 화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었고(Oh, 2014), 2009년에는 서울대 박물관에서 중국 근․현대 수묵화를 조명한 전시가 열려 제백석(齐白石), 장대천(張大千) 등 대표작가 11명의 작품이 전시되었다(Lim, 2009). 이와 같이 중국 수묵화나 대표 작가에 대한 재조명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수묵화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미술 분야에서 이루어졌고, 패션분야(Cho, 2008; Kim, 2012; Lee et al., 2011; Ni & Suh, 2014)에서는 수묵기법을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나 탁본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연구만이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수묵화가 중 제백석과 장대천의 작품을 모티브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 두 작가는 중국 근대 회화를 대표하는 작가로 중국 회화분야에서 ‘남장북제(南張北齊)’라고 일컬어지며 현대 미술시장에서도 세계 10대 작가의 작품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다(Gwon, 2012). 또한 “중국 미술사학자 파동(巴東)과 전신(傳申)은 장대천에 대해 중국 고전 회화 전통을 집대성한 사람이라고 평가”했으며(Kim, E., 2014), 제백석은 중국 근대의 혼란한 시대상황 속에서도 전통을 계승하고 진일보하여 새로운 중국 회화를 개척한 작가로(Park, 2008) 알려져 있어 선정하였다. 이는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의 모티브로서 수묵화를 확대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탐색하고, 아티스트의 차별화된 감성을 반영한 고부가가치 문화상품 개발을 모색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연구과 디자인 개발의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수묵화와 중국 근대 수묵화를 대표하는 작가 제백석과 장대천의 작품에 대해 문헌고찰 하였고, 현대 패션 영역에 나타난 수묵화 사례를 통해 그 경향을 파악하였다. 둘째, Adobe Illustrator CS6, Adobe Photoshop CS6을 이용하여 기본 모티브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의 선호 색상 및 희망하는 패션문화상품 아이템 등에 대해 설문조사 하였고, 조사결과를 고려하여 티셔츠와 에코 백으로 제안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수묵화에 관한 고찰

수묵의 역사는 당대(唐代)에 먹의 색이 오채(五彩)를 대신할 수 있다는 사상 아래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Ink paintings”, 2014). World dictionary of art(2013)에 따르면 수묵은 “8세기 후반 유상(劉商)의 시에서 보이고, 당말오대(唐末五代) 형호(荊浩)의「필법기(筆法記)」에 나타나는 수운묵장(水暈墨章)의 약칭”이다.

Shim(1996)은 중국에서부터 시작되었으나 여러 나라에 전파되면서 지역의 특수성, 화가들의 취향, 붓의 사용 방법, 물의 양, 다른 재료의 추가, 화지의 재질 등에 따라 그 질감과 표현양식이 다름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수묵화의 변천에 대해 World dictionary of art(2013)는 성당(盛唐)시대 산수화가 자연주의적 경향으로 변화하던 시기에 성립되었고, 남송(南宋)에서는 도석인물 외에 산수, 화훼, 학, 노안 등 다양한 오브제를 주제로 삼아 수묵화의 황금시대를 맞이했다고 하였다. 또 수묵화의 전통은 한국에도 전해지게 되는데 중국에서 전래된 이곽파화풍(李郭派畵風)과 남송의 원체화풍(院體畵風)은 안견(安堅)이나 강희안(姜希顔)에게 영향을 주었고, 조선 후기에는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와 풍속화(風俗畵)로 이어졌으며 남종화(南宗畵)가 본격적으로 유행하면서 수묵화가 절정을 이루었다고 전해진다(“Ink paintings”, 2014).

이러한 수묵화의 영향은 동양 회화의 근간을 이루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 회화를 연구한 진조복(鎭兆復)은 “동양 수묵화의 조형은 필묵의 운용에 의한 것으로 필법은 대상이 되는 사물의 구조와 형태를 표현하는 것이며, 묵법은 농담의 정도와 흑백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Jin, 1985/1995).

수묵화를 위한 표현기법은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들에서 언급하고 있는 기법을 정리하면 구륵법(붓끝으로 대상의 윤곽선을 그리고 그 가운데 채색하는 기법), 몰골법(윤곽선을 그리지 않고 붓의 농담에 따라 면으로 그리는 기법), 선묘법(선으로만 대상물을 표현하는 화법), 점묘법(붓에 농담을 맞추어가며 점으로 대상물을 표현하는 방법), 갈필법(거친 붓끝으로 속도감 있게 그리는 방법), 발묵법(먹물을 떨어뜨리거나 붓을 두드려 먹물이 번져가게 그리는 방법), 적묵법(담묵을 칠한 뒤 농묵을 덧칠하여 무거운 느낌이 나도록 하는 방법), 농묵법(먹을 진하게 갈아서 그리는 기법), 백묘법(채색 없이 선으로만 그리는 기법), 파묵법(담묵을 바른 뒤 그 위에 농묵이나 선, 점으로 다시 표현하여 변화를 추구하는 기법), 초묵법(맑고 밝은 먹색과 분명한 형상을 표현하는 기법), 잠묵법(붓 끝에 담묵을 묻히고 다시 진한 먹을 묻혀 바로 그려나가는 기법) 등이 있다(Jin, 1985/1995; Kim, 2012; Ni & Suh, 2014; Shim, 1996; You, 2014).

Song(1995)은 “수묵화는 여백의 미술이자 선의 미술이며, 재료인 물과 먹은 동양적 사유방식을 표출하는데 효과적인 표현매체”라고 하였으며, 모든 자연물이나 인공물의 실체를 고정된 것보다는 끊임없이 움직이는 운동태의 경향으로 간주하여 자연과의 합일 및 대상이 지닌 본래의 형상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서양화와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또 양신(楊新)은 당대(唐代) 화가 장조(張璪)가 자연에서 배우고 마음속 영상을 그린다고 한 이야기를 언급하며 중국 회화 전통의 특성은 극도의 사실적인 묘사가 아니라 작가의 상상력이 반영된 것임을 피력하였다(Yang et al., 1997/1999). 즉 수묵화는 중국에서 시작되어 오랜 세월 동안 시대나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거듭해왔지만 대상의 물질적 형상을 추구하는 서양화와 달리 대상에 대한 작가의 해석과 구도의 정신성을 추구한 예술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수묵화는 화폭에 표현되는 여백의 미는 물론 산수, 화조, 인물 등 다양한 오브제를 바라보는 시각에서도 단순한 조형적 아름다움을 표현한다는 차원을 넘어 정신을 근원으로 대상의 형태와 심상을 나타내는 등 자연과 동화되기를 바라는 동양적 세계관과 작가의 정신적 사유를 반영하였고, 물과 먹의 농담, 기법에 따라 다채롭게 표현되는 동양 회화 특유의 양식으로서 차별화된 아름다움을 전달한다고 하겠다.

2. 현대 패션에 나타난 수묵화

오늘날 수묵화는 동양화라는 장르를 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패션 영역 역시 국․내외 디자이너를 막론하고 수묵화를 활용한 작품을 통해 다채로운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패션디자이너들의 작품에 나타난 수묵기법에 대해 Lee et al.(2011)는 산수화와 한글서체를 그대로 차용한 회화적 표현기법, 추상적 표현기법, 사물의 외면을 기록한 사실적 표현기법으로 나타난다고 하였고, Huang(2009)는 수묵 예술이 디자인에 개입되는 것은 전통과 현대의 조합이자 두 영역간의 융합을 의미한다고 하면서 문화적 함의를 강조하였다.

2012S/S 드리스 반 노튼(Dries Van Noten)은 18세기 아르카디아의 풍경, 19세기 초 피에르 조셉 르두테((Pierre-Joseph Redouté)의 작품, 빅토리아 시대의 열대정원, 현대 마르세유와 베이루트 등의 야경 사진들을 실사 프린트하여 컬렉션을 전개하였는데(“Spring/Summer 2012 ready to wear Dries Van Noten”, n.d.), [Figure 1]과 같이 절제된 색으로 표현된 작품들은 수묵화 이미지를 나타냈다. 또 동양에서 사군자로 일컬어지는 매, 난, 국, 죽 역시 패션디자인 전개에서 디자인 모티브로 활용되는데 [Figure 2]는 스커트에 사실적인 대나무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그린 톤의 블라우스와 함께 연출하여 통일된 조화미를 나타낸 것이다. 챠도 랄프 루찌(Chado Ralph Rucci)는 2008S/S에 한자, 수묵화 등 중국적 요소를 활용하여 컬렉션을 전개했는데, [Figure 3]과 같이 짙고 옅은 묵의 색채감은 드레스와 볼레로 전체에 표현되어 동양적 정서는 물론 세련된 이미지를 나타냈다. 중국이나 일본 디자이너들 역시 수묵화 작품의 직접적인 차용이나 수묵기법을 활용한 작품을 선보임으로써 패션디자인에 자국의 전통 문화예술을 반영하고 수묵화 특유의 독특한 이미지를 강조하기도 한다. 아사히 카세이(Asahi Kasei)는 블랙, 화이트의 모노톤으로 원피스 전면을 하나의 화폭 삼아 수묵화 이미지를 나타냈으며[Figure 4], 보 타오(Bo Tao)는 거대한 볼륨의 드레스에 광활한 산수풍경을 담아냈고 [Figure 5], [Figure 6]은 중국 고서화인 ‘富春山居图’를 차용한 드레스이다. 중국 유명 디자이너 궈 페이(Guo Pei)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패션 디자이너이다. 그러나 그냥 디자이너가 아니라 옷을 통해 중국의 미를 표현하는 예술가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Hong, 2012).”라고 밝히면서 중국 수묵화를 활용한 다양한 작품을 전개하였다. [Figure 7]은 부산국제영화제 폐막식에 참석한 중국 유명 여배우 리빙빙의 드레스로 수묵화를 모티브로 한 Guo Pei의 작품이다.

[Figure 1]

Dries Van Noten, 2012S/S.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2-ready-to-wear/dries-van-noten#collection

[Figure 2]

Jayson Brunsdon, 2008S/S. -http://www.elle.com/runway/spring-2008-rtw/g25577/jaysonbrunsdon-196791/?slide=8&thumbnails=

[Figure 3]

Chado Ralph Rucci, 2008S/S.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08-ready-to-wear/ralph-rucci#collection

[Figure 4]

Asahi Kasei, 2012.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xwsd_en/201202/t20120229_903282.html

[Figure 5]

Bo Tao, 2011. -http://medellin-mode.blogspot.kr/2011_09_26_archive.html

[Figure 6]

Wu Haiyan, 2014. -http://www.chinawriter.com.cn/2014/2014-01-21/189416.html

[Figure 7]

Guo Pei, 2009. -http://fashion.ifeng.com/trends/people/detail_2009_11/04/157348_0.shtml

이러한 수묵화 이미지는 국내 디자이너 작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상봉은 2007S/S에 [Figure 8] 같이 수묵기법을 활용하여 동양적인 정서는 물론 추상적인 이미지까지도 표현하였고, 협업 등을 통해 다양한 제품디자인에도 수묵화 이미지를 담아냈다. 지춘희 역시 국내 유명 스타들에게 수묵화 이미지 드레스를 착용시켜 주목을 받았는데, 2014년 영화 ‘명량’ 시사회에 참석한 배우 이정현은 수묵화 기법을 활용한 지춘희의 추상적인 프린트 드레스를 착용하였고(Lim, 2014), 2013년 시드니 국제 영화제에 참석한 구혜선은 [Figure 9]와 같이 수묵화를 프린트한 퓨전드레스로 화제가 되었다(“Ku Hye Sun Sydney film festival”, 2013). 이러한 수묵화 이미지는 캐주얼 의류 제품에도 활용되었는데 의류 브랜드 잠뱅이는 프로모션 일환으로 매화와 대나무 등 수묵화 모티브를 프린트 기법으로 표현한 한정판 티셔츠를 출시하기도 하였다(Cho, 2010).

[Figure 8]

Lie Sang Bong, 2007S/S. -http://www.fi.co.kr/collection/review.asp?idx=687

[Figure 9]

Gee Chun Hee, 2013. -http://news.tf.co.kr/read/entertain/1273337.htm

이와 같이 수묵화는 많은 의상 위에 하나의 문양으로 표현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국내외 패션디자이너의 컬렉션은 물론 유명 스타의 행사 의상, 일상 캐주얼 의류에까지 활용되어 독특한 디자인 감정을 표현하였다. 수묵화 특유의 동양적 정서와 회화적 이미지 재현을 넘어 현대 추상예술과 같은 이미지까지 표현하고 있는 수묵화는 의상을 하나의 화폭으로 삼아 그 본질적 이상과 정신을 반영하였고 더 나아가 독창적인 예술품으로까지 인식시켰다.

3. 제백석과 장대천에 관한 고찰

19세기 말 중국은 아편전쟁과 5․4운동 등 격동기를 맞이한 시기이며, 특히 회화 분야에서는 근대 중국을 형성하는 전통적 관념과 새로운 관념, 토착 양식과 외래 양식간의 갈등의 연속을 가져왔고 이로 인해 새로운 화풍의 경향이 등장하였다고 전해진다(World dictionary of art, 2013). 이러한 변혁 시기를 거치면서 새로운 중국화의 길을 탄생시킨 작가는 제백석과 장대천이 있으며, 이들은 중국 근대 회화를 대표하는 작가로 일컬어진다.

제백석(1860∼1957)은 중국 후난성 출생으로 젊은 시절에는 가난하여 학교를 가지 못하고 틈틈이 독학으로 그림을 배웠고 50대 후반에 북경에 정주하고 그림에 전념했는데, 서위(徐渭), 팔대산인(八大山人), 석도(石濤), 양주팔괴(揚州八怪)는 물론 명, 청의 개성파 화가에게서 영향을 받았다고 하며 북경 미술 전문학교 교수를 역임하였고 혁명 후에는 중국 미술가협회 주석이 되어 인민 예술가의 호칭을 받았다(“Ch'i Paishih”, 2014). 제백석의 작품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졌는데, 중국 근현대 미술학자인 낭소군(郞紹君)은 그림과 서예 등 여러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나타낸 점, 농민적 감성으로 문인화에 생명력과 새로운 특색을 더한 점, 현대적으로 표현한 산수와 인물, 지속적인 새로움 추구라는 점에서 중국 수묵화의 전통을 잇는 대가라도 평가하였다(Jeon, 2012). 한국 서예가 Kim, B.(2014) 역시 제백석의 회화는 서민 생활과 전통적 사고를 중심으로 전개되면서도 고상함을 추구하였고, 꽃과 곤충, 물고기, 새우 등 주변 일상의 자연을 소재 삼아 섬세함과 과감함이 조화된 작품을 표현했다고 평가하였다. 그의 작품 중 [Figure 11]은 물과 중묵으로 그려진 것으로 ‘雨後’라는 작품 제목이 지칭하는 것처럼 “비와 바람소리, 봄과 가을 풍경 등 변화하는 자연과 그것들이 가져오는 삶의 상념들을 표현”한 작품이라고 한다(Yang et al., 1997/1999). 또 [Figure 12, 13, 14, 15]에서 볼 수 있듯이 제백석의 작품은 당시 문인화에서 잘 선택되지 않던 다양한 소재를 모티브 삼아 현실적이고 대중적인 감정을 표현하였으며, 전통에 안주하지 않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수묵기법을 통해 보다 함축적이고 추상적인 미감을 발현시켰다고 하겠다.

[Figure 10]

Jambangee, 2010. -https://www.itnk.co.kr:444/news/articleView.html?idxno=29828

[Figure 11]

Ch'i Paishi, 1940. -Yang et al.(1997/1999), p.311.

[Figure 12]

Ch'i Paishi, 1949. -Yang et al.(1997/1999), p.310.

[Figure 13]

Ch'i Paishi, 1954. -Yang et al.(1997/1999), p.310.

[Figure 14]

Ch'i Paishi, n.d. -Yang & Pan.(2005b), p.27.

[Figure 15]

Ch'i Paishi, 1922. -http://qibaishi.artron.net/works_detail_brt000026500060

장대천(1899∼1983)은 중국 사천성(四川省) 출신으로 20세기 중국 화단에서 강렬한 색채를 표현한 산수화의 대가로 자신의 호를 딴 '대풍당(大風堂)'이라는 화파를 세워 중국 회화 예술을 세계적으로 알리는데 일조했으며,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 거주하며 그림을 그렸고 피카소와는 각별한 예술적 교류를 나누었다고 전해진다(Oh, 2014). 동 시대 작가인 서비홍(徐悲鴻)은 장대천을 일컬어 “五百年來一大千(청조 500년을 빛낸 장대천)”이라고 평하였는데, 이는 중국 옛 그림을 집필대성한 대작가이자 여러 화가의 기법을 계승하면서 새로운 회화풍격을 창립했기 때문이라고 한다(“Chang Tach'ien makes shine Qing dynasty 500 years”, 2014). 그의 작품은 [Figure 16, 17, 18, 19, 20]에서 볼 수 있듯이 화폭 전체에 걸쳐 광대한 자연의 풍경을 담아낸 산수화를 특징으로 하며 중국 과거 명작 명작의 숙련된 모사 작가이자 발묵발채(潑墨潑彩)기법을 고안해냄으로써 중국 전통 회화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고 전해진다(Yang et al., 1997/1999). 발묵발채는 넓은 화폭에 구체적인 형태 없이 추상적으로 색을 엷게 채색한 기법으로 기존의 중국 전통 회화와는 다른 독특한 효과를 창출한 것인데, [Figure 21]은 그의 작품 중 하나인 ‘여산전경(廬山全景)’으로 다양한 수묵화 기법과 발묵발채 기법 등 최고의 양식이 구현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Yang et al., 1997/1999). 특히 이 작품은 장대천이 중국을 떠나 대만에 정착하여 고향에 돌아갈 수 없는 마음을 표현한 것이라고 전해진다(Yang et al., 1997/1999). Kim, E.(2014)은 장대천 작품의 창조과정은 “옛것을 스승으로 삼은 임화과정, 자연을 스승으로 삼은 사생과정, 스스로의 마음을 스승으로 삼은 창조과정”으로 형성되었으며, 발묵발채 기법의 효과를 통해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구상과 추상이 한데 어우러진 특징을 나타낸다고 주장하였다(Kim, E., 2014).

[Figure 16]

Chang Tach'ien, n.d. -http://artist.artxun.com/12993-zhangdaqian/zuopin/133901.html

[Figure 17]

Chang Tach'ien, 1939. -http://artist.artxun.com/12993-zhangdaqian/zuopin/146542.html

[Figure 18]

Chang Tach'ien, n.d. -http://www.dechen.co.kr/sub3.html

[Figure 19]

Chang Tach'ien, 1943. -Yang & Pan.(2005a), p.50.

[Figure 20]

Chang Tach'ien, 1947. -Yang & Pan.(2005a), p.38.

[Figure 21]

Chang Tach'ien, n.d. -Yang et al.(1997/1999), p.351.

이와 같이 제백석과 장대천의 작품은 격동기인 중국 근대 시기에 서구 미술의 조류를 추종하기보다는 중국 전통과 정신에 뿌리를 두고 중국 고유의 새로운 양식을 창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 회화의 전통을 계승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소재의 다양성 및 독창적인 기법을 개발함으로써 중국 회화사에 새로운 전환점 제공하였음은 물론 자국 회화의 정통성을 새롭게 정립 발전시킨 것이라 하겠다.


Ⅲ. 수묵화를 모티브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전개

1. 기본 모티브 디자인 및 선호도 조사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에 앞서 제백석과 장대천의 작품을 활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디자인 콘셉트는 첫째, 작가의 작품 특성이 강조되도록 하였고, 둘째, 수묵화 특유의 농담 효과와 여백의 미를 부각시켰으며, 셋째, 작품의 특징적인 요소를 왜곡시키고 레이아웃에 변화를 주어 추상적 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하였다. 색상은 수묵화의 이미지를 강조할 수 있는 블랙, 화이트를 기본으로 하였고, 각 작가의 작품에 표현된 고유 색상 적용 및 변화를 주어 전개하였다.

기본 모티브로 활용된 작품은 총 11점이다. 제백석 작품은 생활 속 민간 예술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화훼잡화 작품 중 [Figure 11]의 ‘雨後’, [Figure 12]의 ‘暇’, [Figure 13]의 ‘荷蛙’, [Figure 14]의 ‘牵牛花图’, [Figure 15]의 ‘荷花图’를 활용하였다. 이를 활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작품에 나타난 화훼잡화의 특성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무채색 및 그러데이션 기법을 적용하여 번지는 효과로 수묵화 본연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도록 하였으며, 상하좌우 반전 및 회전, 중첩시켜 문양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Table 1>.

Basic motif design utilizing the Ch'i Paishih work

장대천 작품은 거대한 자연 풍경을 모티브로 한 산수화를 중심으로 [Figure 16]의 ‘山水’, [Figure 17]의 ‘蜀山行旅图立轴’, [Figure 18]의 ‘彷石濤’, [Figure 19]의 ‘黃山绝顶’, [Figure 20]의 ‘蓬荚图’, [Figure 21]의 ‘廬山全景’을 활용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광활한 자연 풍광을 담아낸 산수화의 특성을 살려 특징적인 구도와 이미지를 활용하였으며 색상과 형태를 왜곡시켜 회화적이면서도 추상적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고, 도트나 스트라이프 문양과 조합시켜 이미지 변화를 시도하였다<Table 2>.

Basic motif design utilizing the Chang Tach'ien work

그리고 개발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 및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적용을 위한 희망 아이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지방 S시 소재 20~25세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4일부터 22일에 실시하였고, 배포한 150부 중 회수된 설문지에서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116부를 활용하였다. 설문 항목은 수묵화에 대한 인식 정도, 제백석과 장대천의 작품에 대한 인식 정도, 기본 모티브 디자인에 대한 선호, 선호하는 색상 및 패션문화상품 아이템으로 구성하였다. 모티브에 대한 선호도 조사는 제백석과 장대천의 작품을 활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과 이를 활용한 문양을 시안으로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였다. 선호 아이템은 패션문화상품 관련 선행연구(Kim & Do, 2010; Lee & Han, 2012; Lee et al, 2005)를 참고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을 활용할 수 있는 의류(티셔츠) 및 잡화(넥타이, 손수건, 에코백, 파우치 등), 생활소품(식탁보, 침구용품 등)의 총 7가지 아이템 중 두 가지 아이템을 다중 선택하도록 하였다.

설문 결과 수묵화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94.8%였으나, 제백석과 장대천의 작품에 대해서는 전혀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96.5%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수묵화에 대해서는 익숙하지만 중국 전통 수묵화가나 그 작품에 대해 익숙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본 모티브 시안에 대해 선택한 결과는 제백석의 경우 <Table 3>과 같이 디자인 5가 가장 높았고, 디자인 3>디자인 1>디자인 4>디자인 2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장대천의 작품에서는 디자인 11이 가장 높았고, 디자인 6>디자인 8>디자인 10>디자인 7>디자인 9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들 모티브 디자인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는 추상적 이미지가 44.8%로 가장 높았고, 자연적 이미지 25.9%, 기하학적 이미지 19.0%, 전통적 이미지 10.3%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의 선호 색상은 무채색 계열이 50.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어두운 색상 계열 24.1%, 파스텔 톤 계열 17.2%, 밝은 원색 계열 7.8%의 순으로 나타났다. 희망 아이템으로 다중 선택된 것은 티셔츠가 가장 많았고, 에코백, 파우치, 넥타이, 손수건, 식탁보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Design preference of basic motif design n(%)

2.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이상에서 개발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 및 선호도 결과를 참고하여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패션문화상품에 적용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각 작가별로 선호도 결과가 높은 네 개의 시안을 활용하였고, 아이템 역시 선호도 결과 다중 선택된 티셔츠와 에코백에 적용하였다. 티셔츠는 동일하게 화이트 색상을 기본으로 라운드 네크라인의 반소매 티셔츠에 적용하였으며, 모티브 적용은 티셔츠 전면이 하나의 화폭으로 간주되어 작품의 전체 특성이 부각되도록 하거나, 기본 모티브를 문양으로 활용, 또는 왜곡, 변형하여 추상적인 그래픽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에코 백은 캔버스 소재를 기본으로 기본 모티브를 원 그래픽 이미지나 백 디자인 전체에 걸쳐 레이아웃 한 형태로 적용하였으며, 가로 직사각형과 세로 직사각형의 두가지 형태로 디자인하여 변화를 주었다.

제백석의 작품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은 <Table 4>와 같다. 디자인 1은 작품 ‘雨後’를 활용한 것이다. 기본 모티브는 나뭇잎 형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고 색상에 변화를 준 것으로, T 1-1은 기본 모티브를 상하좌우 반전 및 반복시켜 추상적인 문양으로 표현하였으며, T 1-2는 변형한 모티브를 확대 중첩시켜 티셔츠 중앙에 배치하였다. 에코 백 디자인 B 1-1은 기본 모티브에 크기변화를 주어 한쪽에만 배치하였고, B 1-2에는 티셔츠에 적용한 문양을 활용하여 백 전체에 배치하였다.

Fashion cultural product design utilizing the Ch'i Paishih work

디자인 2는 제백석의 작품 ‘荷蛙’를 활용한 것이다. 기본 모티브는 연잎과 연밥, 줄기를 부각시켜 흑백으로 적용한 것으로 티셔츠 T 2-1은 기본 모티브를 재구성하여 하나의 문양으로 전개시켰으며, T 2-2는 기본 모티브를 확대시켜 티셔츠 전면에 배치한 것이다. 에코 백 B 2-1, B 2-2 역시 기본 모티브를 활용하여 연꽃의 사실적인 이미지 및 추상적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배치하였다.

디자인 3는 ‘牵牛花图’를 활용한 것이다. 기본 모티브는 먹색으로 표현된 나팔꽃잎을 변형시키고 중첩된 이미지를 그러데이션 효과로 표현한 것으로, 나팔꽃을 주제로 다양한 농도의 먹색과 붉은 꽃잎의 대조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티셔츠 T 3-1은 기본 모티브를 좌우 반전시키고 티셔츠 중앙에 반복시켜 배치하였으며, T 3-2는 기본 모티브를 회전시켜 추상적 이미지의 패턴으로 표현한 것이다. 에코 백 디자인 B 3-1, B 3-2는 티셔츠와 같이 기본 모티브를 활용하였고 구도에 변화를 주어 디자인하였다.

디자인 4는 제백석의 작품 ‘荷花图’를 모티브로 활용한 것이다. 기본 모티브는 먹색의 농담으로만 표현된 연잎과 줄기를 그러데이션 효과를 통해 변화를 준 것으로, 티셔츠 T 4-1은 기본 모티브의 축소, 반복, 반전, 중첩을 통해 하나의 그래픽 이미지로 전환시켜 티셔츠 전면에 배치하였고, T 4-2는 상하반전 시킨 모티브로 추상적인 이미지를 표현한 것이다. 에코 백 디자인 B 4-1, B 4-2에는 티셔츠에 적용한 패턴을 재구성하여 디자인하였다.

장대천의 작품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은 <Table 5>와 같다. 디자인 5는 장대천의 작품 ‘山水’를 활용한 것이다. 기본 모티브는 장대한 자연의 풍광을 표현한 작품의 이미지를 차용하였으나 색상과 형태를 왜곡시켜 추상적인 이미지가 부각되도록 하였다. 티셔츠 T 5-1은 기본모티브를 티셔츠 전체에 배치하였고 투명도를 조절하여 빛바랜 빈티지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T 5-2는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여 왜곡시킨 이미지에 둥근 원형의 모티브를 삽입시켜 변화를 주었다. 에코 백 디자인 B 5-1은 기본 모티브에 색상과 형태를 왜곡시켜 배치하였고, B 5-2는 티셔츠와 같이 둥근 원형 모티브를 적용하였고 색상에 변화를 주어 디자인하였다.

Design utilizing the Chang Tach'ien work

디자인 6은 ‘彷石濤’를 활용한 것이다. 이 작품은 다양한 색채감이 강조된 장대천의 작품과 다르게 산수풍경을 먹의 농담만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기본 모티브는 무채색을 적용하고 색상을 반전시켜 표현하였다. 티셔츠 T 6-1은 투명도 조절을 활용한 스트라이프 문양을 중첩시켜 일루젼에 의한 변화를 주었고, T 6-2는 왜곡시킨 기본 모티브를 반복시켜 하나의 패턴으로 배치하였고 스트라이프 문양을 중첩시켜 표면 질감의 효과와 추상적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에코 백 디자인 B 6-1, B 6-2는 변형된 기본 모티브와 스트라이프 문양을 중첩시켜 변화된 이미지를 줄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디자인 7은 장대천의 작품 ‘蓬荚图’를 활용한 것으로 기본 모티브는 색상과 형태를 왜곡시키고 그러데이션 효과로 추상적이면서도 몽환적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디자인 한 것이다. 티셔츠 T 7-1은 기본 모티브를 배치하였으며, T 7-2는 기본모티브의 일부분을 재구성하여 추상적인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에코 백 B 7-1, B 7-2 역시 기본 모티브의 일부분을 반복, 반전시켜 추상적 이미지로 재구성한 패턴을 배치한 것이다.

디자인 8은 장대천의 발묵발채 기법 걸작이라고 일컬어지는 ‘廬山全景’을 활용한 것으로 기본 모티브는 작품의 이미지와 색상을 왜곡시켜 픽셀 효과가 부각되도록 디자인한 것이다. 티셔츠 T 8-1은 색상 변화를 준 기본 모티브를 티셔츠 전면에 적용하여 추상적이고 빈티지 이미지를 줄 수 있도록 표현한 것이고, T 8-2는 기본 모티브를 중첩, 반복 시켜 재구성한 이미지를 티셔츠 전면에 배치하여 추상적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에코백 B 8-1은 색상 변화를 준 기본 모티브 일부분을 백 중앙에 반복 배치하여 파노라마 화면과 같은 이미지를 줄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고, B 8-2는 8-1에 적용한 이미지를 스트라이프 문양으로 재 적용하였으며 중앙에는 타원 모티브를 중첩시켜 이미지 변화를 유도한 디자인이다.


Ⅳ. 결론

패션문화상품은 다양한 아이템에 패션의 감성을 부가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특히 자연의 아름다움과 심오한 인간의 정신성을 화폭에 담아낸 수묵화는 서양화와는 다른 독특한 이미지를 표현하여 오늘날 패션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근대 회화의 거장이라 일컬어지는 제백석과 장대천의 작품을 모티브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수묵화는 채색화와는 다르게 물과 먹, 작가의 정신성이 조화된 결과물로서 중국을 시작으로 한국, 일본 등 여러나라에 전파되면서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종이, 먹, 물의 조화에서 표현되는 우연성의 효과와 먹의 농담, 기법에 따라 변화되는 선과 면, 색채, 명암 등은 추상미술의 표현과도 유사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수묵화는 현대패션에서 국내외 디자이너를 막론하고 수묵화 작품의 직접적인 차용을 통해 사실적인 회화이미지를 표현하였으며, 다양한 표현기법을 통해 추상적인 그래픽이미지로까지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작품의 모티브로 활용한 제백석과 장대천은 중국 전통 회화의 계승을 넘어 새로운 화풍을 확립함으로써 현대 미술시장에서도 재조명받고 있는 작가이다. 제백석은 중국 문인화에서 주제로 사용되지 않던 화훼, 조충, 어하 등을 소재로 대담한 구도와 색감, 화법을 구사하여 문인화적인 전통에 일반 서민의 취향을 담아냈으며, 장대천은 중국 회화의 모든 시기를 모사하여 다양한 화법을 체득하였고 발묵발채기법을 탄생시킴으로써 중국 회화에 새로운 전통을 확립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백석의 화훼잡화 작품과 장대천의 산수화를 활용하여 티셔츠와 에코 백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문화상품 디자인에는 모티브로 활용한 각 작품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고자 하였고, 작품의 특징적인 요소를 변형하여 추상적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수묵화의 아름다움을 재인식할 수 있었으며 동양적인 자연미와 추상적인 이미지까지 표현할 수 있는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의 모티브로서 그 발전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특정 지역의 20대 초반 대학생 선호도 결과만을 참고로 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나, 수묵화가 지닌 농담의 아름다움과 아티스트 고유의 독창적 감성을 표현함으로써 차별화된 가치를 나타낼 수 있고 앞으로 패션디자인 및 다양한 문화상품 분야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모색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수묵화 고유의 특성은 다양한 디자인 아이템에 활용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선정한 작가의 작품 외에 다양한 작가의 작품을 각종 아이템에 적용한다면 일상생활 속에서 아티스트의 예술적 감성을 소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색 있는 문화상품 디자인으로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오늘날 패션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예술작품을 활용함으로써 예술적 감성은 물론 희소적인 가치까지도 반영시킨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앞으로 수묵화의 조형적 아름다움을 새롭게 재해석하여 독창적인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이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 Chang Tach'ien makes shine Qing dynasty 500 years, (2014, December, 1), Chang Tach'ien Memorial Association,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www.dechen.co.kr/sub2_5.html.
  • Ch'i Paishih, (2014, December, 1), Naver,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8288&cid=42636&categoryId=42636.
  • Cho, E. A., (2008), A study of fashion design using Indian ink techniqu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 Cho, S. H., (2010, July, 12), Jambangee Oriental Printed T-shirt, ITN,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s://www.itnk.co.kr:444/news/articleView.html?idxno=29828.
  • Gwon, G. Y., (2012, March, 12), Goodbye Picasso, Joongangilbo,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7587967&cloc=olink|article|default.
  • Hong, C. S., (2012, March, 24), The secret of China's top fashion designers are authentic, MoneyS,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2031509338057951.
  • Huang, Q., (2009), The research about the Chinese painting color used in the design of the cultural g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eo University, Busan.
  • Ink paintings, (2014, December, 1), Daum,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do?docid=b12s3413a.
  • Jeon, E. J., (2012, October, 23), Ch'i Paishih, Jeminilbo,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96978.
  • Jin, J. B., (1985), Understanding of oriental paintings, Sang Chul Kim Translated, (1995), Seoul, Visual and language.
  • Kim, B. S., (2014, June, 25), Ch'i Paishih story, Gyeongsangilbo,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8235.
  • Kim, E. K., (2014),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of Chang Dai-chien's landscape paintings,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28(2), p111-128.
  • Kim, E. S., & Do, W. H., (2010), A study on the strategic method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in Gwang-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6(2), p120-128.
  • Kim, T. Y., (2012), A study of fashion art adapting brushwork of oriental pai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 Ku Hye Sun Sydney film festival, (2013, November, 20), The fact,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news.tf.co.kr/read/entertain/1273337.htm.
  • Lee, H. W., Cha, H. I., Jang, Y. S., & Kim, M. J., (2011), Sumuk style in contemporary fashion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fashion cultural products applied Sumuk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7), p125-134.
  • Lee, J. H., Kim, M. J., & Lee, J. M., (2005),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high-value-added cultural fashion produc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7), p968-977.
  • Lee, M. K., & Han, S. H., (2012), Development of textile pattern designs and fashion-cultural product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rice-cake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Trend, 35(-), p363-372.
  • Lim, J. Y., (2009, November, 17), Modern Chinese painting, Hankyoreh,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www.hani.co.kr/arti/culture/music/388166.html.
  • Lim, S. Y., (2014, August, 5), Lee Jung Hyun ink painting dress, Newsen,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408051558539610.
  • Ni, M., & Suh, S. H., (2014), A study of the fashion design of Qipao on Yuefenpai utilized Chinese ink-and-wash painting,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5(3), p101-113.
  • Oh, J. H., (2014, September, 26), Chinese artists visit the exhibition next month, Asia Business Daily,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92414153311881.
  • Park, J. S., (2008), A study on the features of Qi Bai Shi's paintings: Centering on his miscellaneous paintings with grasses and with flowering pl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bang University, Seoul.
  • Representatives of Chinese painting, (2014, December, 1), Chang Tach'ien Memorial Association,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www.dechen.co.kr/sub2_4.html.
  • Shim, M. S., (1996), Ink painting class, Seoul, Mijinsa.
  • Song, S. N., (1995), Way of Korean painting, Seoul, Mijinsa.
  • Spring/Summer 2012 ready to wear Dries Van Noten, (n.d.), Vogue Korea,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runway.vogue.co.kr/2011/11/23/ready-to-wear-2012-ss-dries-van-noten/#1.
  • World dictionary of art, (2013), Seoul, Monthly art.
  • Yang, S., & Pan, S., (2005a), China modern and contemporary paintings, authenticity discrimination: Chang Tach'ien, Beijing, Daejung publisher.
  • Yang, S., & Pan, S., (2005b), China modern and contemporary paintings, authenticity discrimination: Ch'i Paishih, Beijing, Daejung publisher.
  • Yang, S., Sup, S. J., Nang, S. G., Richard, B., James, C., & Mu, H., (1997), Three thousand years of Chinese painting, Heong Min Cheong Translated, (1999), Seoul, Hakgojae.
  • You, Y., (2014), Research on ink techniques flexibly applied in poster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Figure 1]

[Figure 1]
Dries Van Noten, 2012S/S.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2-ready-to-wear/dries-van-noten#collection

[Figure 2]

[Figure 2]
Jayson Brunsdon, 2008S/S. -http://www.elle.com/runway/spring-2008-rtw/g25577/jaysonbrunsdon-196791/?slide=8&thumbnails=

[Figure 3]

[Figure 3]
Chado Ralph Rucci, 2008S/S.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08-ready-to-wear/ralph-rucci#collection

[Figure 4]

[Figure 4]
Asahi Kasei, 2012.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xwsd_en/201202/t20120229_903282.html

[Figure 5]

[Figure 5]
Bo Tao, 2011. -http://medellin-mode.blogspot.kr/2011_09_26_archive.html

[Figure 6]

[Figure 6]
Wu Haiyan, 2014. -http://www.chinawriter.com.cn/2014/2014-01-21/189416.html

[Figure 7]

[Figure 7]
Guo Pei, 2009. -http://fashion.ifeng.com/trends/people/detail_2009_11/04/157348_0.shtml

[Figure 8]

[Figure 8]
Lie Sang Bong, 2007S/S. -http://www.fi.co.kr/collection/review.asp?idx=687

[Figure 9]

[Figure 9]
Gee Chun Hee, 2013. -http://news.tf.co.kr/read/entertain/1273337.htm

[Figure 10]

[Figure 10]
Jambangee, 2010. -https://www.itnk.co.kr:444/news/articleView.html?idxno=29828

[Figure 11]

[Figure 11]
Ch'i Paishi, 1940. -Yang et al.(1997/1999), p.311.

[Figure 12]

[Figure 12]
Ch'i Paishi, 1949. -Yang et al.(1997/1999), p.310.

[Figure 13]

[Figure 13]
Ch'i Paishi, 1954. -Yang et al.(1997/1999), p.310.

[Figure 14]

[Figure 14]
Ch'i Paishi, n.d. -Yang & Pan.(2005b), p.27.

[Figure 15]

[Figure 15]
Ch'i Paishi, 1922. -http://qibaishi.artron.net/works_detail_brt000026500060

[Figure 16]

[Figure 16]
Chang Tach'ien, n.d. -http://artist.artxun.com/12993-zhangdaqian/zuopin/133901.html

[Figure 17]

[Figure 17]
Chang Tach'ien, 1939. -http://artist.artxun.com/12993-zhangdaqian/zuopin/146542.html

[Figure 18]

[Figure 18]
Chang Tach'ien, n.d. -http://www.dechen.co.kr/sub3.html

[Figure 19]

[Figure 19]
Chang Tach'ien, 1943. -Yang & Pan.(2005a), p.50.

[Figure 20]

[Figure 20]
Chang Tach'ien, 1947. -Yang & Pan.(2005a), p.38.

[Figure 21]

[Figure 21]
Chang Tach'ien, n.d. -Yang et al.(1997/1999), p.351.

<Table 1>

Basic motif design utilizing the Ch'i Paishih work

Design 1 Design 2 Design 3 Design 4 Design 5
Image source
Image application 1
Image application 2
Color
Pantone P
130-12U,
177-14U,
179-15U

Pantone P
179-1U,
179-6U,
179-15U

Pantone P
179-6U,
179-14U

Pantone P
179-2U,
179-6U,
179-14U

Pantone P
179-2U,
179-6U,
179-14U

<Table 2>

Basic motif design utilizing the Chang Tach'ien work

Design 6 Design 7 Design 8 Design 9 Design 10 Design 11
Image source
Image appli-cation 1
Image application 2
Color
Pantone P
12-9U,
177-5U,
108-16U,
179-15U

Pantone P
168-9U,
163-8U,
165-5U,
102-16U

Pantone P
179-1U,
22-1U,
171-16U

Pantone P
179-1U,
133-10U,
121-4U,
39-16U,
99-16U

Pantone P
106-10U,
108-13U,
101-16U

Pantone P
179-1U,
121-4U,
99-8U,
154-8U,
49-8U,
1-15U,
179-16U

<Table 3>

Design preference of basic motif design n(%)

Ch'i Paishih Design 1 Design 2 Design 3 Design 4 Design 5 Total
24 (20.7%) 13 (11.2%) 30 (25.9%) 15 (12.9%) 34 (29.3%) 116 (100.0%)
Chang Tach'ien Design 6 Design 7 Design 8 Design 9 Design 10 Design 11 Total
26 (22.4%) 13 (11.2%) 22 (19.0%) 8 (6.9%) 19 (16.4%) 28 (24.1%) 116 (100.0%)

<Table 4>

Fashion cultural product design utilizing the Ch'i Paishih work

Motive T-shirt Eco bag
1
T 1-1

T 1-2

B 1-1

B 1-2
2
T 2-1

T 2-2

B 2-1

B 2-2
3
T 3-1

T 3-2

B 3-1

B 3-2
4
T 4-1

T 4-2

B 4-1

B 4-2

<Table 5>

Design utilizing the Chang Tach'ien work

Motive T-shirt Eco bag
5
T 5-1

T 5-2

B 5-1

B 5-2
6
T 6-1

T 6-2

B 6-1

B 6-2
7
T 7-1

T 7-2

B 7-1

B 7-2
8
T 8-1

T 8-2

B 8-1

B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