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7, No. 6, pp.421-433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06 Dec 2018 Revised 24 Dec 2018 Accepted 26 Dec 2018
DOI: https://doi.org/10.5934/kjhe.2018.27.6.421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관련 가정문해환경과 문해 상호작용

손승희 ; 나종혜*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Father Related Home Literacy Environments and Fathers’ Literacy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Son, Seung Hee ; Rha, Jong Hay*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Guidance, Hannam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Rha, Jong Hay, Tel: +82-42-629-7893, Fax: +82-42-629-7436, E-mail: jhrha@hnu.ac.kr

ⓒ 2018,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ther related home literacy environments and father’s literacy interaction.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19 children aged 3, 4 and 5 years and their fathers. Father related home literacy environments and father’s literacy interaction were measured using Parent's Literacy Interac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Son & Kim(201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families had more than 151 children’s books and most fathers read with their children 1 or 2 books a week but never went to the libraries with children. The frequency of the child seeing their father reading, going to the bookstores, and using educational computer programs was higher in fathers of five-year-olds than those of three and four-year-olds. (2) Fathers of four and five-year-olds did more open interaction and less directive interaction than fathers of three-year-olds. (3) The relations between fathers related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the father’s literacy interaction were as follows: - The more fathers went to the libraries or bookstores with children and the more children saw fathers reading, the more fathers interacted openly. The more fathers went to the bookstores with children, the less the fathers interacted directively.

Keywords:

father's socio-demographic variables, father's literacy beliefs, father's literacy interaction

키워드:

아버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아버지 문해신념, 아버지 문해 상호작용

Ⅰ. 서론

문자 언어의 사용으로 인간은 보다 고차원적인 사고를 하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기록하고, 시대를 초월하여 타인에게 전달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McGee, & Richgels 2004). 특히, 문명화된 현대사회에서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은 인간이 유능하게 생활하기 위한 필수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 문해능력(literacy)은 아동의 이후 문해 능력 및 학업 성취의 뿌리가 되기 때문에(Son, 2018; Rha & Son, 2018) 유아기 문해능력발달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게 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 영유아의 읽기, 쓰기 교육은 학부모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영유아의 발달적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영유아의 문해능력 발달과정에 대한 기초연구를 중심으로 영유아의 문해 발달을 지원하는 적절한 방법을 찾는 시도는 꼭 필요하다. 유아기 문해능력발달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아동을 둘러싼 문해환경과 성인의 역할에 대해 다루고 있다.

1970년대 Piaget와 Vygotsky의 구성주의 관점을 기반으로 영유아의 읽기, 쓰기 발달이 형식적 교육을 받기 전부터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는 문해출현(emergent literacy)적 접근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문해출현(emergent literacy)’적 관점에서는 영유아의 읽고 쓰는 능력은 특정한 시기의 학습을 통해서가 아니라 출생 이후부터 생활하는 사회, 문화적 환경 속에서 성인 및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발달한다고 설명하였다(Goodman, 1986; Teale & Sulzby, 1986). 특히, 영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시키는 문해 환경 중 가장 의미 있는 환경은 생애 초기부터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가정이라고 보고 가정의 문해환경이 풍부할수록 유아의 문해 발달이 더 촉진된다고 하였다(Kim & Kim, 2010).

유아의 문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크게 부모의 특성, 유아의 특성, 부모-자녀 문해 상호작용와 가정문해환경 4가지로 볼 수 있다(Wasik & Hendrickson, 2004). 첫째, 부모의 특성은 문화와 인종, 부모신념, 사회경제적 지위 등을 포함한다. 둘째, 유아의 특성은 언어유창성, 인지능력, 발달적 성취, 동기, 주의력과 건강조건 등 일반적인 요인과 문해활동에서 유아가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 등을 포함한다. 셋째, 부모-자녀 상호작용은 유아의 문해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따뜻하고 지지적인 부모의 상호작용은 자녀의 문해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가정은 유아가 언어를 처음 접하는 환경으로 “가정문해환경은 물리적 특징과 대인관계적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복잡하고, 다면적이며 다차원적이다”라고 하였다(Kim & Park, 2013).

가정문해환경은 부모와 유아간 책 공유하기, 부모과 유아와 함께 소리 내어 읽기, 유아에게 인쇄물 자료 제공하기와 문해 활동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태도가 포함된다. 가정의 문해환경은 가정의 사회적 배경, 부모와 함께 한 책읽기 경험 등의 일부분의 요소만을 사용하여 정의한 것 (Burgess, Hecht, & Lonigan, 2002)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책을 읽는 지속 시간 및 횟수, 유아가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책의 권수, 책 읽기 활동에 대한 유아의 요구 빈도, 성인의 문해활동 모델링, 유아의 인쇄물 노출 경험, 유아에게 책을 읽어주기 시작한 연령 등 보다 직접적인 범위까지 포함한다(Kim, 1996; Kim & Kim, 2010). 또한, 최근에는 언어 관련 시청각 자료, 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교육용 미디어에 대한 노출도 가정 문해환경으로 보고 있다(Park & Kim, 200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 관련 문해환경을 가정에 보유한 아동용 책과 같은 물리적 환경뿐 아니라 자녀와 함께 책읽는 횟수, 아버지의 책읽기 모델링, 자녀와 서점이나 도서관에 가는 빈도, 자녀에게 한글 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횟수 등을 포함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아버지와 관련된 문해 환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성인과 아동의 문해 상호작용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첫째, 행동주의에 기초한 발음중심 언어지도 방법(Code Emphasis Approach)은 유아의 문해발달을 위해 철자를 암기하고,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활동을 강조한다. 둘째, 총체적 지도 방법(Whole Language Approach)은 유아에게 의미 있는 상황에서 통합적인 문해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아의 흥미를 기초로 읽기, 쓰기와 관련된 활동을 강조한다. 셋째, 복합적 언어 지도방법 (Balanced Approach)은 유아의 유창한 읽기를 위해서 전체적인 맥락에서 의미를 파악하는 방법과 문자해독에 필요한 기초적인 기능들을 병행하여 가르쳐야 한다고 설명한다(Son, 2012).

가정 문해 환경 또는 문해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어머니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가정에 유아용 도서를 다양하게 구비하고, 어머니가 문해 출현적 관점을 갖고 자녀와 문해 활동을 하거나, 자녀에게 적절한 읽기, 쓰기 모델이 되거나, 자녀와 책읽기 활동을 많이 할수록 유아들의 읽기 개념 인식이나 철자 지식, 환경인쇄물에 대한 반응이 더 높다고 공통적으로 보고하고 있다(Kim & Park, 2013; Lee, 2009; Morrow, Sharkey & Firestone, 1993; Prior & Gerard, 2004). 최근에는 어머니가 자녀의 문해 발달을 지원하는 문해 활동의 유무나 양보다도 어머니–자녀 간 문해 상호작용의 질에 따라 자녀 문해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Rha & Son, 2018).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부모–자녀 간 문해활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때 문해활동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질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한편 최근 가정에서 양육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예전에 전통적인 도구적 역할의 아버지 역할에서 벗어나 현대 아버지들은 자녀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개입하면서 아버지들이 자녀와 보내는 시간도 많아지고 자녀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행동에 대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유아의 문해능력 발달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어머니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현대사회에서 어머니의 사회활동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가정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불가피한 상황이 되었다.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양육에 참여하는 시간이 적지만 그 영향력은 강하며, 어머니와는 다른 측면에서 자녀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Song & Rha, 2018). 아버지가 자녀의 문해 발달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문해활동을 할수록 자녀의 어휘력 발달이 증진된다고 보고한 연구(Noh, 2013; Jung, 2018)들에서 알 수 있듯이 아버지와 자녀의 문해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아버지에게 기대되는 자녀 양육 행동은 자녀의 연령에 따라 다르다(Joo, 2013).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이상적인 문해 환경도 자녀의 연령에 따라 다를 것이며, 바람직한 아버지-자녀 간 문해 상호작용도 연령에 따라 다를 것이다. 하지만, 자녀의 연령에 따라 아버지가 제공하는 문해 환경은 어떻게 다른지, 아버지–자녀간 문해 상호작용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는 우리나라의 경우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자녀의 언어발달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아버지의 문해 상호작용자로서의 역할을 제시하기 위해 아버지 관련 문해 환경 및 문해 상호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문해환경의 일환이면서 자녀의 문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와 자녀의 문해상호작용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특히 국내 자료가 거의 없는 아버지와 관련된 문해환경과 아버지의 문해상호작용을 알아보아 궁극적으로 자녀의 발달에 적합한 아버지의 문해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1. 유아의 연령에 따라 아버지관련 가정문해환경은 차이가 있는가?
  • 2. 유아의 연령에 따라 아버지 문해상호작용은 차이가 있는가?
  • 3. 아버지 관련 가정문해환경과 문해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대전시에 있는 9곳의 어린이집을 다니는 만 3-5세 자녀를 둔 아버지 1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서울, 대전, 경기 지역에 있는 어린이집을 임의표집 한 후 담임교사를 통해 설문지와 협조문을 보내고 연구에 협조하는 아버지를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아동과 아버지의 일반적 배경은 <Table 1>과 같다.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fathers(N=119)

<Table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구대상 아버지의 연령을 살펴보면 30대가 84명(70.6%)으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34명(28.6%), 50대가 1명(0.85%)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은 서울이 40명(33.6%), 경기가 40(33.6%), 대전이 39명(32.8%)이었다. 아버지의 최종학력은 대졸이 46명(38.7%)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원 졸 이상이 37명(31.1)%, 전문대졸이 17명(14.3%), 고졸이 19명(15.9%)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직업을 살펴보면 사무직이 73명(61.3), 기술직 및 준전문직이 18명(15.1%), 전문직 9명(7.5%), 영업 및 서비스직 10명(8.5%), 기능직이 2명(1.7%), 기타 7명(5.9%)로 나타났다. 가정의 월평균 소득은 400만원대가 46명(38.7%)으로 가장 많았으며, 600만원 이상 19명(15.9%), 500만원대가 20명(16.92%), 300만원대 18명(15.1%), 300만원 이하가 16명(13.4%)으로 나타났다.

2. 연구도구

1) 가정문해환경

가정문해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Son과 Kim(2012)이 개발한 가정문해환경 척도를 사용하였다. 가정문해환경척도는 가정에서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읽기, 쓰기 활동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질문으로 모든 문항은 아버지가 평정한다. 1)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아동용 도서의 수, 2) 아버지가 자녀와 일주일 동안 읽는 책의 수, 3)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도서관 가는 빈도, 4)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서점에 가는 빈도, 5) 자녀가 아버지의 책읽기 모습을 보는 빈도, 6) 자녀가 아버지가 광고전단지를 읽는 모습을 보는 빈도, 7) 아버지가 자녀와 한글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빈도를 물어보는 총 7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아버지 문해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Son과 Kim(2012)이 개발한 부모 문해 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부모용으로 개발되었으며 어머니용과 아버지용 문항은 동일하다. 아버지는 문항을 읽고 문항별로 자신의 행동에 해당하는 곳에 체크한다. 아버지가 자녀와 문해 관련 상호작용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개방적 상호작용’, ‘지시적 상호작용’,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의 3개 요인 19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개방적 상호작용’은 7문항으로 아버지가 자녀와 읽기, 쓰기 활동을 할 때 자녀가 흥미 중심으로 활동을 하고, 자녀가 자연스럽게 글자를 읽고 쓸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을 하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있다(예: 자녀가 쓰고 싶어 하는 글자를 써준다. 자녀에게 길의 표지판이나 가게 간판에 쓰여진 글자 등을 손으로 가리키며 읽어준다). 둘째, ‘지시적 상호작용’은 7문항으로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읽기, 쓰기 활동을 할 때 자녀의 흥미나 관심보다 아버지 중심으로 활동을 진행하며, 철자를 맞춤법에 맞게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예: 자녀가 쓴 글자의 모양이나 획순이 잘못되었을 경우 바르게 쓰도록 고쳐주고 다시 쓰게 한다. 자녀에게 글자를 읽힐 때 아버지가 임의로 생각한 자·모음이나 단어를 써주고 읽어 보게 한다). 셋째,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은 5문항으로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그림책을 읽을 때 자녀가 맞춤법을 익히는 수단으로 생각하고 맞춤법에 집중해서 읽어 주는 것이 아니라 자녀가 그림책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개방적으로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 자녀와 그림책을 읽으며 이야기 내용에 대해 다양하게 질문한다.“7번째 아기 염소는 늑대를 보고 기분이 어땠을까?”와 같은 질문)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 ~ 매우 그렇다(5점)’로 평정하는 5점 척도로, 각 요인별 점수가 높을수록 아버지가 자녀와 해당 문해 상호작용을 많이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위 항목별 내적합치도 계수 Cronbach α를 산출한 결과 ‘개방적 상호작용’은 .92, ‘지시적 상호작용’은 .88,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은 .83으로 나타났다.

3. 연구절차

아버지 관련 가정문해환경과 아버지 문해상호작용 질문지 문항의 적절성과 각 질문지 당 소요시간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대상과 겹치지 않는 만 3~5세 자녀를 둔 아버지 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용어에 혼란을 주는 유아, 아동의 단어를 자녀로 통일하여 사용하였다. 본 조사는 연구 협조를 허락한 서울, 경기, 대전에 있는 어린이집 13곳에 아버지 문해신념 질문지와 아버지 문해 상호작용 질문지 201부를 우편으로 보내 담임교사를 통해 아버지들에게 배부하고 일주일 후 회수된 119부를 우편으로 전달받았다. 아버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는 문해신념 질문지 앞부분에 별도로 첨부하여 아버지가 작성하도록 하였다.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아버지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 측정변인별로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아버지관련 가정문해환경 및 문해 상호작용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 측정 변인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둘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아버지관련 가정문해환경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 검증을 하였고, 유아의 연령에 따른 아버지 문해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셋째, 아버지관련 가정문해환경과 아버지 문해상호작용 간 관계를 분석하고자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유아의 연령에 따른 아버지관련 가정문해환경

유아의 연령에 따른 아버지관련 가정문해환경을 알아본 결과를 <Table 2>에서 <Table 8>에 제시하였다.

세부적인 항목별로 보면 먼저 <Table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유아의 연령에 따라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아동용 도서의 수를 0-40권, 41-80권, 81-120권, 121-150권, 151권 이상 5개 범주로 나누어 χ2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지만 가정에서 보유한 아동용 도서의 전반적 경향을 보면 3, 4, 5세 유아 모두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아동용 도서가 151권 이상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40권 이하로 보유한 가정은 2가정 밖에 없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아동용 도서를 많이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children’s books at home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유아의 연령에 따라 아버지가 자녀와 일주일 동안 읽는 책의 수에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able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아버지가 자녀와 일주일 동안 읽는 책의 수를 ‘전혀 읽어주지 않는다’, ‘1-2권’, ‘3-4권’, ‘5-6권’, ‘7권 이상’ 5개 범주로 나누어 χ2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없었지만 아버지가 가정에서 일주일 동안 자녀와 읽는 책의 수의 전반적 경향을 보면 3, 4, 5세 유아 모두 1-2권이 가장 많았다. 즉, 대부분의 아버지들이 유아기 자녀와 가정에서 일주일에 1-2권 정도의 책을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books read with child by fathers at home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유아의 연령에 따라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도서관 가는 빈도를 <Table 4>에 제시한 바와 같이 ‘전혀 가 본 적이 없다’, ‘3개월 이상에 1-2번’, ‘한 달에 1-2번’, ‘일주일에 1-2번’ 4개 범주로 나누어 χ2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없었지만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도서관 가는 빈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보면 3, 4, 5세 유아 모두 ‘전혀 가 본적이 없다’가 가장 많았고 ‘일주일에 1-2번’이 가장 적었다. 즉, 유아의 연령과 관계없이 대부분의 아버지들은 유아기 자녀와 도서관에 전혀 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주일에 1-2 차례 자녀와 도서관에 가는 아버지는 매우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library visits with child by fathers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유아의 연령에 따라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서점에 가는 빈도를 <Table 5>에 제시한 바와 같이 ‘전혀 가 본 적이 없다’, ‘3개월 이상에 1-2번’, ‘한 달에 1-2번’, ‘일주일에 1-2번’ 4개 범주로 나누어 χ2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χ2 =13.57 p<.05).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녀와 서점에 ‘전혀 가 본적이 없다’고 응답한 빈도가 줄었고 5세 유아의 아버지가 3, 4세 유아의 아버지보다 ‘3개월 이상에 1-2번’이라도 자녀와 함께 서점에 가는 빈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달에 1-2번’ 자녀와 서점에 가는 빈도도 3세에 비해 4, 5세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의 연령이 많아질수록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서점에 가는 빈도가 늘어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bookstore visits with child by fathers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유아의 연령에 따라 자녀가 아버지의 책 읽는 모습을 보는 빈도를 <Table 6>에 제시한 바와 같이 ‘전혀 보지 못한다’, ‘3개월 이상에 1-2번’, ‘한 달에 1-2번’, ‘일주일에 1-2번’, ‘거의 매일’ 5개 범주로 나누어 χ2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χ2=15.07 p<.05). 5세 유아가 아버지의 책 읽는 모습을 보는 빈도가 가 ‘한 달에 1-2번’, ‘일주일에 1-2번’ 범주에서 3,4세 유아보다 확연히 많았다.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times the child see father readig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유아의 연령에 따라 자녀가 아버지의 광고전단지 읽는 모습을 보는 빈도를 <Table 7>에 제시한 바와 같이 ‘전혀 보지 못한다’, ‘3개월 이상에 1-2번’, ‘한 달에 1-2번’, ‘일주일에 1-2번’, ‘거의 매일’ 5개 범주로 χ2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없었지만 자녀가 아버지의 광고전단지 읽는 모습을 보는 빈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보면 3, 4, 5세 유아 모두 ‘전혀 보지 못한다’가 가장 많았고 ‘거의 매일’이 가장 적었다. 즉, 유아의 연령과 관계없이 유아기 자녀들은 대부분 아버지가 광고전단지 읽는 모습을 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times the child see father reading advertisements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유아의 연령에 따라 아버지와 자녀가 한글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빈도를 <Table 8>에 제시한 바와 같이 ‘전혀 하지 않는다’, ‘한 달에 1-2번’, ‘일주일에 1-2번’, ‘일주일에 3-4번’, ‘거의 매일’ 5개 범주로 나누어 χ2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χ2 =18.07 p<.05). 3, 4, 5세 유아 모두 아버지와 한글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5세 유아가 ‘일주일에 1-2번’ 한글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빈도가 3,4세 유아보다 확연히 많았다.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times using educational computer programs with the child to learn Korean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2. 유아의 연령에 따른 아버지 문해상호작용

유아의 연령에 따른 아버지 문해상호작용을 알아본 결과 <Table 9>에 제시하였다.

Fathers’ literacy interaction according to child’s age(N=119)

<Table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버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자용에서는 유아의 연령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개방적 상호작용(F=11.10, p<.001)과 지시적 상호작용(F=13.46, p<.001)에서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Schѐffer 검증 결과 개방적 상호작용은 4세, 5세 유아의 아버지들(M=22.28, 23.81)이 3세 유아의 아버지(M=19.02)보다 많이 하였고 지시적 상호작용은 4, 5세 유아의 아버지들(M=26.05, 23.93)이 3세 유아의 아버지(M=29.04)보다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3세 유아의 아버지들은 철자를 맞춤법에 맞게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상호작용을 하였고, 4, 5세 유아의 아버지들은 자녀의 관심 위주로 자녀가 읽고 쓰기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문해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아버지 관련 가정문해환경과 문해상호작용의 관계

아버지 관련 가정문해환경과 문해상호작용의 관계는 <Table 10>과 같다.

Relations between fathers related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father-child literacy interaction(N=119)

<Table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버지의 개방적 상호작용은 자녀와 함께 도서관(r=.26, p<.01)이나 서점(r=.41, p<.01)에 간 경험 횟수와 자녀에게 아버지가 책읽는 모습을 보인 횟수(r=.31, p<.01)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도서관이나 서점에 간 경험횟수가 많을수록, 아버지가 책 읽는 모델링을 많이 할수록 자녀와 개방적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버지의 지시적 상호작용은 자녀와 함께 서점에 간 경험 횟수(r=-.30, p<.01)와 부적 상관을 보였는데 즉,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서점에 가는 경험을 많이 할수록 지시적 상호작용을 적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은 자녀와 일주일동안 읽은 책의 수(r=.18, p<.05), 자녀와 함께 도서관(r=.34, p<.01) 및 서점(r=.22, p<.05)에 간 경험횟수와 아버지가 보여준 책읽기 모델링 횟수(r=.21, p<.05)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와 일주일동안 읽은 책의 수가 많을수록, 자녀와 함께 도서관 및 서점 간 경험이 많을수록, 아버지가 자녀에게 책 읽는 모습을 많이 보일수록 아버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IV.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자료가 부족한 아버지 관련 가정문해환경을 탐색해보고 아버지와 자녀의 문해상호작용을 알아보아 자녀의 발달에 적합한 아버지의 문해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서울, 경기, 대전시에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다니는 만 3-5세 자녀를 둔 아버지 119명을 대상으로 아버지관련 가정문해환경과 아버지의 문해상호작용을 측정하여 유아의 연령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자면 첫째 유아의 연령에 따라 아버지 관련 가정문해환경을 분석해 본 결과, 유아의 연령과 상관없이 각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아동용 도서는 151권 이상 정도였고, 대부분의 아버지들이 유아기 자녀와 가정에서 일주일에 1-2권 정도의 책을 읽고 자녀와 도서관에 함께 가는 경험을 전혀 하지 않았으며 자녀에게 광고전단지를 읽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대부분의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는 아동용 도서를 비교적 많이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황을 엿볼 수 있으며 광고전단지를 자녀의 언어교육 측면에서 활용하지 않는 경향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자녀의 연령이 많아질수록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서점에 가는 빈도가 늘어가는 경향을 볼 수 있었고 5세 유아가 아버지의 책 읽는 모습을 보는 빈도가 3, 4세 유아보다 확연히 많았으며 대부분의 아버지가 유아와 한글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는 하였으나 5세 유아의 경우 ‘일주일에 1-2번’ 한글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빈도가 3, 4세 유아보다 확연히 많았다. 즉, 자녀가 5세가 되면 아버지들이 3, 4세 유아 때보다 자녀를 데리고 서점을 가거나 책 읽는 모습을 보여주고 자녀와 한글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같이 하는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해야 하는 연령이 가까워 올수록 자녀의 한글교육에 신경을 쓰는 아버지들이 늘어나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아버지들이 자녀에게 언어적 자극을 주는 경험으로 자녀와 도서관에 가기보다 서점에 가는 경험이 더 용이한 국내 현실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둘째, 4, 5세 유아의 아버지들이 3세 유아의 아버지보다 자녀와 개방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고 지시적 상호작용은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4, 5세 유아의 아버지들은 자녀의 관심 위주로 자녀가 읽고 쓰기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문해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고, 3세 유아의 아버지들은 자녀가 철자를 맞춤법에 맞게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아버지들이 자녀의 연령에 따라 다른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Son(2014)에 따르면 아버지들은 자신의 신념대로 소신껏 자녀와 문해 상호작용을 한다고 했는데 따라서 아버지들은 4, 5세 유아에게는 개방적 상호작용이 3세 유아에게는 지시적 상호작용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린 연령의 아버지들에게 자녀에게 효과적인 문해 상호작용이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자녀가 더 어린 연령일 때부터 아버지와 문해 활동을 더 자주하고, 더 개방적인 문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의 시기를 앞당겨야 시사한다.

반면,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주목할 점은 자녀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하는 문해활동도 늘어나고, 자녀의 흥미에 맞게 문해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이다. 아버지들이 자녀에게 제공하는 문해 환경과 문해 상호작용은 변할 수 있으니 어린 시기부터 꾸준히 아버지를 지원하는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아버지 관련 가정문해환경과 아버지의 문해상호작용의 관계를 본 결과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도서관이나 서점에 간 경험 횟수가 많을수록, 아버지가 책 읽는 모델링을 많이 할수록 자녀와 개방적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서점에 가는 경험을 많이 할수록 지시적 상호작용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와 일주일동안 읽은 책의 수가 많을수록, 자녀와 함께 도서관 및 서점 간 경험이 많을수록, 아버지가 자녀에게 책 읽는 모습을 많이 보일수록 아버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아버지의 문해상호작용과 모두 관계가 있었던 문해환경 변인은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서점에 간 경험으로 아버지가 자녀와 서점에 간 경험이 많으면 아버지의 개방적 상호작용과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이 많았고 지시적 상호작용은 적었다. 또한 자녀와 함께 도서관에 가는 횟수와 아버지가 책읽는 모습을 보여주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개방적 상호작용과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와 문해 활동을 더 많이 하는 아버지가 자녀와 개방적인 문해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아버지와 자녀의 개방적 문해 상호작용을 늘리기 위해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도서관이나 서점을 많이 방문할 수 있도록 아버지가 육아에 더 많은 시간을 참여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연구의 결론은 아버지들은 자녀의 연령에 따라 자녀의 언어발달을 위해 다른 행동을 시도한다는 것이다. 3세 유아에 비하여 5세 유아의 아버지들이 자녀와 함께 서점에 가거나 한글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함께 이용하고 책 읽는 모습을 보여주는 빈도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었고 문해상호작용 면에서도 3세 자녀와는 지시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지만 4, 5세 자녀와는 개방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결과를 보인 것은 자녀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아버지들이 자녀의 흥미와 발달수준에 적합한 문해 상호작용을 하고자 시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아버지들도 어머니들과 마찬가지로 자녀의 언어발달에 관심이 있고 자녀의 발달을 지원하는 바람직한 문해 상호작용을 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아버지들이 자녀의 언어발달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자녀의 발달수준에 맞는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현재 어머니들에게 치우쳐 있는 부모교육의 대상을 확대시켜 아버지들에게도 적절한 부모 교육을 제공해야 하는데 아버지들은 어머니들보다 근무 시간이나 장소 등에 제약이 있는 점을 감안하여 직장에 찾아가는 부모교육이나 온라인 교육 혹은 책자를 통한 개별적 접근이 가능한 아버지 대상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특히 아버지들이 자녀와 함께 서점을 이용하는 횟수가 문해상호작용과 관계가 있었던 결과를 감안하여 서점을 활용한 부모교육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아버지들이 자녀와 함께 도서관에 거의 가지 않았다는 결과와 아버지들이 집에서 거의 책 읽는 모습이나 광고전단지를 읽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는 결과는 단순히 아버지들이 이러한 활동을 의도적으로 하지 않았다기 보다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이 집에서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자체가 많지 않다는 우리의 현실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광고전단지’는 유아의 언어발달에 유용한 도움을 주는 환경인쇄물의 대표적인 예로 환경인쇄물 읽기능력은 유아의 이후 문해능력에 종단적인 영향을 미친다(Son, 2018).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광고전단지는 아버지가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문해 자료이므로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광고전단지와 같은 환경인쇄물을 활용하는 것이 자녀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이라는 사실에 대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종합해볼 때 아버지와 자녀의 질적인 문해 상호작용의 기회를 늘리기 위해서는 자녀발달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고려하고 더 나아가서 자녀교육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아버지들의 의지를 반영하여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 여유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사회적인 풍토가 마련되어 할 것이다.

본 논의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중류층 이상의 아버지로 다양한 계층의 아버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아버지가 제공하는 문해 환경이나 문해 상호작용이 자녀의 언어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추후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아버지가 제공하는 문해 환경과 문해 상호작용에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들에 대한 탐색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에 자료가 거의 없는 유아기 아버지 관련 가정문해환경과 아버지 문해상호작용을 측정하여 날로 관심과 중요성이 커져가는 자녀양육에 있어서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꾀하고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차별화된 부모교육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년도 한남대학교 학술연구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Note
1) 개방적 상호작용 – 아버지가 자녀의 흥미에 맞춰 아동중심적으로 하는 문해 상호작용
2) 지시적 상호작용 – 아버지가 자녀와의 문해 상호작용 시 자녀의 흥미보다는 정확한 맞춤법으로 글자 읽기,쓰기를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문해 상호작용
3)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 아버지가 자녀와 그림책을 읽을 때 맞춤법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자녀가 그림책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개방적으로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한 내용

References

  • Burgess, S. R., Hecht, S. A., & Lonigan, C. J., (2002), Relation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HLE) to the Development of Reading-Related Abilities: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Reading Research Quarterly, 37(4), p408-426. [https://doi.org/10.1598/rrq.37.4.4]
  • Goodman, Y., (1986), Chilren coming to know literacy, In Teale, W., & Sulzby, Emergency literacy: writing & reading, Ablex Publishing Company, Norwood New Jersey.
  • Joo, Y. J., (2013), Exploration of Variable Related to the Parenting Guilt of Mothers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2013(10), p204-206.
  • Jung, H. J., (2018), The effect of father's and mother's literacy beliefs and the literacy interaction on the children’s vocabulary,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Korea.
  • Kim, M. S., (1996), Mother's belief of literacy development, preschooler - mother interaction and strategies during literacy ev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4(3), p305-325.
  • Kim, K, & Kim, M. S., (2010), The Influences of the Home and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on Preschool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2), p119-133.
  • Kim, K, & Park, C,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Emergent Literacy Development and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4(1), p1-20. [https://doi.org/10.5723/kjcs.2013.34.1.1]
  • Lee, N. R., (2009), Relationships of children's vocabularies with fathers'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nd home literacy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Korea.
  • McGee, L. M., & Richgels, D. J., (2004), Literacy's Beginnings: Supporting Young Readers and Writers, 4th Edition, Pearson, U.S.A.
  • Morrow, L. M., Sharkey, E., & Firestone, W. A., (1993), Promoting independent reading and writing through self-directed literacy activities in a collaborative setting, Reading research report No.w, National Reading Research Center.
  • Noh, S. M., (2013), The relationship of father's belief of literacy development and father's picture-book reading behavior and vocabulary ability of toddler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Korea.
  • Park, C. H., & Kim, G. S., (2008),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Rating Sca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9), p87-97.
  • Prior, J., & Gerard, M., (2004), Environmental print classroom. Meaningful Connections for Learning to read,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DE.
  • Rha, J. H., & Son, S. H., (2018), Mother’s Literacy Interaction and Children’s Environmental print Reading ability Predicts Children’s Literacy Ability : A Longitudinal Stud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7(1), p1-11. [https://doi.org/10.5934/kjhe.2018.27.1.1]
  • Son, S. H., (2012), Children's reading ability of environmental print: Development of the scale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parent's literacy interaction typ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Korea.
  • Son, S. H., & Kim, M. S., (2012),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parent's literacy interaction rating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7), p109-116. [https://doi.org/10.6115/khea.2012.50.7.109]
  • Son, S. H., (2014), The Effects of Father's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Literacy Beliefs on Literacy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Korena Journal of Human Ecology, 23(6), p1127-1140. [https://doi.org/10.5934/kjhe.2014.23.6.1127]
  • Son, S. H., (2018), Children’s environmental print reading ability predict phonological awareness: A Longitudinal study, Asia Life Sciences Supplements, 15(4), p2719-2129.
  • Song, N. R., & Rha, J. H., (2018), Exploring Variables Effecting Parental Stress of Fathers with Infants,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4(1), p187-202.
  • Teale, W. H., & Sulzby, E., (1986), Emergent literacy as a perspective for examinighow young children become writers and readers, In W. H. Teale, & Sulzby, Emergent literacy: Writing and reading, Norwood, NJ, Ablex.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fathers(N=119)

Variables Frequency(%)
Age 31~40yrs. 84(70.6)
41~50yrs. 34(28.6)
51~60yrs. 1(0.8)
Living area Seoul 40(33.6)
Kyung-gi 40(33.6)
Daejeon 39(32.8)
Education Below high school graduate 19(15.9)
Vocational college graduate 17(14.3)
University graduate 46(38.7)
Graduate school or above 37(31.1)
Job Manual laborer 2(1.7)
Sales &service 10(8.5)
Office job 73(61.3)
Technical &semiprofessional job 18(15.1)
Professional job 9( 7.5)
Other 7( 5.9)
Monthly – income(won) Below 3,000,000 16(13.4)
3,000,000~Below 4,000,000 18(15.1)
4,000,000~Below 5,000,000 46(38.7)
5,000,000~Below 6,000,000 20(16.9)
Over 6,000,000 19(15.9)

<Table 2>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children’s books at home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number of children’s books at home 3-year-olds(n=30) 4-year-olds(n=40) 5-year-olds(n=49)
frequency(%) frequency(%) frequency(%)
① 0~40 0(0) 1(0.5) 1(0.5)
② 41~80 4(13.3) 4(10.0) 3(1.5)
③ 81~120 7(23.3) 6(15.0) 8(3.9)
④ 121~150 3(10.0) 2(5.0) 7(3.4)
⑤ more than 151 16(53.4) 27(67.5) 30(14.7)

<Table 3>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books read with child by fathers at home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number of books read with child 3-year-olds (n=30) 4-year-olds (n=40) 5-year-olds (n=49)
frequency(%) frequency(%) frequency(%)
① none 2(6.67) 3(7.5) 6(!2.2)
② 1~2 12(40.0) 12(30.0) 20(40.8)
③ 3~4 8(26.7) 12(30.0) 8(16.3)
④ 5~6 2(6.6) 5(12.5) 6(12.3)
⑤ more than 7 6(20.0) 7(17.5) 9(!8.4)

<Table 4>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library visits with child by fathers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Number of library visits with child 3-year-olds (n=30) 4-year-olds (n=40) 5-year-olds (n=49)
frequency(%) frequency(%) frequency(%)
① none 23(76.7) 25(62,5) 25(51.0)
② 1~2 times in 3 months 4(13.3) 10(25.0) 16(32.7)
③ 1~2 times in a month 2(6.7) 3(7.5) 5(10.2)
④ 1~2 times in a week 1(3.3) 2(5.0) 3(6.1)

<Table 5>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bookstore visits with child by fathers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Number of bookstore visits with child 3-year-olds (n=30) 4-year-olds (n=40) 5-year-olds (n=49)
frequency(%) frequency(%) frequency(%)
χ2=13.57 df=6 p<.05
① none 15(50.0) 12(30.0) 10(20.4)
② 1~2 times in 3 months 11(36.7) 12(30.0) 24(49.0)
③ 1~2 times in a month 3(10.0) 13(32.5) 15(30.6)
④ 1~2 times in a week 1(3.3) 2(5.0) 0(0.0)

<Table 6>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times the child see father readig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Number of times the child see father reading 3-year-olds (n=30) 4-year-olds (n=40) 5-year-olds (n=49)
frequency(%) frequency(%) frequency(%)
χ2=15.07 df=8 p<.05
① none 8(26.7) 10(25.0) 8(16.3)
② 1~2 times in 3 months 8(26.7) 4(10.0) 5(!0.2)
③ 1~2 times in a month 3(10.0) 9(22.5) 20(40.8)
④ 1~2 times in a week 7(3.3) 9(22.5) 13(26.5)
⑤ almost everyday 4(13.3) 7(17.5) 3(6.2)

<Table 7>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times the child see father reading advertisements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Number of times the child see father reading advertisements 3-year-olds (n=30) 4-year-olds (n=40) 5-year-olds (n=49)
frequency(%) frequency(%) frequency(%)
① none 18(60.0) 18(45.0) 20(40.8)
② 1~2 times in a month 10(33.3) 13(32.5) 17(34.7)
③ 1~2번 times in a week 2(6.6) 6(!5.0) 10(20.5)
④ 3~4번 times in a week 0(0.0) 2(5.0) 1(2.0)
⑤ almost everyday 0(0.0) 1(2.5) 1(2.0)

<Table 8>

Frequency and ratio of number of times using educational computer programs with the child to learn Korean according to children’s age(N=119)

Number of times using educational computer programs with the child to learn Korean 3-year-olds (n=30) 4-year-olds (n=40) 5-year-olds (n=49)
frequency(%) frequency(%) frequency(%)
χ2=18.07 df=10 p<.05
① none 21(70.0) 25(62.5) 22(44.9)
② 1~2 times in a month 1(3.3) 9(22.5) 7(14.3)
③ 1~2번 times in a week 4(13.3) 4(!0.0) 16(32.6)
④ 3~4번 times in a week 2(6.7) 2(5.0) 2(4.1)
⑤ almost everyday 2(6.7) 0(0.0) 2(4.1)

<Table 9>

Fathers’ literacy interaction according to child’s age(N=119)

3-year-olds (n=30)
M(SD)
4-year-olds(n=40)
M(SD)
5-year-olds (n=49)
M(SD)
F-value
***p< .001
a<b, d<c (Two group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hѐffe tests p<.05)
open interaction1) 19.02(6.15)a 22.28(6.01)b 23.81(5.42)b 11.10***
directive interaction2) 29.04(4.60)c 26.05(6.04)d 23.93(5.58)d 13.46***
Picture-book reading interaction3) 18.80(2.74) 19.50(2.99) 19.23(2.66) 1.00

<Table 10>

Relations between fathers related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father-child literacy interaction(N=119)

open interaction directive interaction picture-book reading interaction
*p< .05 **p< .01
note) Home literacy environment valuables are recoded dummy variables.
number of children’s books at home .14 .03 .12
number of books read with child .15 .01 .18*
Number of library visits with child .26** -.17 .34**
Number of bookstore visits with child .41** -.30** .22*
Number of times the child see father reading .31** -.13 .21*
Number of times the child see father reading advertisements .10 -.12 .05
Number of times using educational computer programs with the child to learn Korean .06 -.1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