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7, No. 6, pp.485-493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4 Dec 2018 Revised 15 Dec 2018 Accepted 24 Dec 2018
DOI: https://doi.org/10.5934/kjhe.2018.27.6.485

중국 褙子를 활용한 의상디자인 개발 사례연구

김희숙* ; 김수현
안동대학교 의류학과
김수현한복
A Case Study of Development of Costume Design Using Chinese Traditional Baeja
Kim, Hee Sook* ; Kim, Su Hy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Kim Su Hyun Hanbok, Korea

Correspondence to: Kim, Hee Sook, Tel: 054-820-5500, Fax: 054-820-7804, E-mail: sook@anu.ac.kr

ⓒ 2018,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Festival costumes have a special form of style other than daily clothes and usually remain in the forms of traditional costumes. In this sense, Chinese Baeja is an ancient Chinese traditional costume. It has a similar shape to Korean Dourumagi, so it can be regarded as a clothes familiar to Korea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estival costume that combines smart clothing technology with Chinese Baeja for both young people and aduits, which they can enjoy both at home and abroad. In this study, a unique form and color of Chinese Baeja is reproduced and investigated of the possibilities of the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of apparel products with the aim of bringing consumers satisfaction through design development. In the consumer satisfaction survey, 15 Chinese tourists and 15 Korean tour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the 5 point scale method. ①It has practical utilization for the current world because it is a design development that combines traditional culture with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②It was considered as having the relation with the forms of Hanbok as the Chinese Baeja was perceived by Korean consumers to be similar to Korean Dourumagi. ③By developing the festival costumes that modern people prefer, while maintaining the form of Hanpu, a design that can be used jointly by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was developed. ④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fashion culture exchange through desig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⑤It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cultural tourism product of both countries through studying modern utilization of traditional costume. ⑥It was considered to be satisfying both countries by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for the globalization of fashion.

Keywords:

Chinese Baeja, Korean Dourumagi, Festival Costume, the Smart Clothing Technology, the Possibility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키워드:

중국 배자, 한국 두루마기, 축제의상, 스마트 의류기술, 한중문화교류의 가능성

Ⅰ. 서론

중국은 아주 옛날부터 다민족국가이며 총 56개의 민족이 공존한다. 그 중에서 한족은 인구가 12억명 정도이며 전체인구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다른 55개 민족들을 소수민족이라고 부르고 있다. 중국 한족의 전통복식을 한푸라고도 하며 심의(深衣), 배자(褙子), 유군(襦裙)이 이에 속하는 의복 종류이다. 이 중에서 서민복에 속하는 배자(褙子)는 반비(半臂)에서 외투로 변천되었으며 당나라에서 시작되어 송나라와 원나라에서 유행했다. 뒤목의 깃은 바르게 솟아 있는 형태이며 소매의 형태는 다양하다. 길이는 무릎 정도의 원피스형이며 양쪽 옆이 트여 있어서 서민들이 일상복으로 선호하였다. 수당시대에는 귀족과 평민의 구분 없이 남녀가 공동으로 착용한 평상복이었으며 특히 여성이 즐겨 착용한 외투형이었다. 역사적인 발전과정 중에서 배자를 비롯한 한푸는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이란 도덕적인 내포와 순선순미(純善純美)한 중국 전통복식 예술의 중요한 상징을 충분히 표출해 보였다. 이러한 한푸의 역사적 배경은 韓服과도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어 앞으로 비교연구를 통하여 동양전통복식의 흐름과 글로벌화의가능성을 연구할 예정이다. 중국배자는 중국 한족(漢族)이 고대로부터 이어온 전통복식으로서 중국인들에게는 익숙한 복장이므로 중국인관광객을 위한 축제의상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한국의 두루마기와도 유사한 형태를 갖추고 있어서 한국인에게도 익숙한 복장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류제품의 현대화와 세계화를 추구하기 위한 디자인개발을 통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으로, 중국 배자의 고유한 형태와 색상을 그대로 재현하여 제작한 후 축제의상으로 개발하였으며 소비자로부터 현대화와 세계화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스마트의류기술을 접목한 축제의상을 개발함으로서 전통과 현대를 접목하고 국내외 남녀노소가 다 같이 즐길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함으로서 패션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중국 한족의 민족복(民族服)과 전통배자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국(中國)이나 중화민족(中華民族)이라는 개념은 중국대륙의 통일에 의한 진(秦)나라 (B.C. 122~206)의 성립과 더불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Lim, 1988). 역사와 문화가 있는 지역에는 모두 종교, 문화, 정치, 경제, 사회, 사상의 경계에 따라 그 지역 고유의 의상이 하나의 상징으로서 존재해 왔다.

이 고유의상은 그 사회의 근본적인 요구와 기본구조를 표현해 주며, 그 지역을 다른 지역으로부터 구별해주는 도구이고, 그 지방 특유의 언어이다. 이와 같은 민족 특유의 ‘민족의상’(民族衣裳)은 ‘민속의상(民俗衣裳)’혹은 ‘민족의장(民族衣装)’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민족의상’과 ‘민속의상’의 개념은 다른 것으로서 ‘민족의장’의 ‘민족’은 ‘인종(人种)’ 혹은 ‘종족(种族)’의 개념에 가깝다. 이와 같이 한 국가를 구성하는 ‘인종’, ‘종족’, ‘민족’이 입는 옷을 ‘민족복(民族服)’이라 하며 ‘역사와 문화의 전통을 공유하는 공동체의 대다수’에 입혀지기 때문에 옷의 형태에 상하, 계층, 도시, 농촌 사이의 구별이 있을 수 없다. 그러나 ‘민속의상’의 ‘민속’은 ‘인종’이나 ‘종족’에 국한되지 않고 어떤 지역사회의 풍속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해석할 수가 있다. 그리고 중국의 한족(汉族)들이 입던 민족복을 한푸(汉服)라고 한다. 한푸는 염제(炎帝)와 황제(皇帝)의 시기부터 명나라(明朝)까지 4천년동안 한족의 의관(衣冠)이고 전통의상이다. 한푸는 한의관(汉衣冠), 한장(汉装), 화복(华服)이라고도 부르며 4천년동안 한족의 화하예의문화(华夏礼仪文化)의 예의의관체계의 중심이 된다(HANXing, 2012).

한푸의 형태에 대하여, 왕우칭(王宇清)은 동한(东汉)예전까지 중국의 예복(礼服) 구성은 ‘상의하상(上衣下裳)’제(制)라 하였고, 전통의인 의상형태는 ‘옷깃을 우측으로 여미다(交领右衽)’이라 하였다. 션춍원(沈从文)은 상(商), 주(周)이래 한족 고유복의 조형은 ‘곡옷섶치마(曲裾襟连衣裙)’라 하였고, 하호천(何浩天)을 ‘상하가 나눠지지 않고 폭이 넓은 옷’이라 하였다(CHENYing, 2012). 그 후 명나라 말기 만주족이 통치자가 되고 청나라가 건국된 후 모든 사람들이 강제로 머리를 깎고 출가하고 의상도 변화하는 과정에서 한푸도 점점 사라지게 되었다(YINGWenJun, 2010). 그러나 최근 중국에서는 ‘한푸부흥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다른 민족처럼 한족사람들이 자신의 민족복을 알고 적용하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있다(TANYuHan, 2016). 예를 들면, 영화, 드라마에서 한푸를 착용하거나 한푸애호가들이 한푸를 부흥하기 위한 활동도 많이 개최하고 있다. 2018년부터 매년 음력 3월 초삼일을 “중국화복일”로 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푸의 일종인 배자를 활용하여 현대인이 선호하는 현대적인 축제의상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2. 중국의 56개 민족 및 대표적인 민족복 현황

중국은 아주 옛날부터 다민족국가이며 총 56개 민족이 공존한다. 그 중에서 한민족은 인구가 제일 많다. 그래서 다른 55개 민족들을 소수민족이라고 부른다. 이런 소수민족들은 각각의 거주지에 따라서 지역특색이 아주 다양하게 나타난다<Table 1>. 다양한 종교, 문화, 생활양식과 생산방식, 풍속습관에 따라서 각각의 민족복식도 특징이 있고 색채가 다채롭다(QIJiaFu, 2016). 특히 축제, 결혼식, 종교활동 등 중요한 의례활동 중에서 각 민족은 고유복식을 통하여 그 민족의 문화적 특색을 표현하고 있다 (ZHAOPingYong et al ,2010).

List of China’s 10 Ethnic Groups

이 56개의 민족복 중에서 중국 12억 인구를 차지하는 한족의 민족복인 배자와 심의와 유군은 현재 전국적인 거주지를 가지고 있어서 중국인의 인지도가 가장 높은 대표의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56개 민족복 증에서도 특히 배자를 축제의상으로 연구하는 하나의 요인이기도 하다.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의류제품의 현대화와 세계화를 추구하기 위한 디자인개발을 통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으로, 중국 배자의 고유한 형태와 색상을 그대로 재작한 후 소비자로부터 현대화와 세계화, 실용화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소비자만족도조사에는 중국인 관광객 15명, 한국인 관광객 15명이 각각 직접설문방법으로 참가하였으며. 5점척도법에 의하여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축제의상으로서의 실용화의 가능성, 국제화의 가능성, 전통문화와 과학기술의 융합, 한중문화교류의 가능성, 현대의상으로서의 소비자만족도 향상 및 발전가능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제의상으로서 소비자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스마트의류기술을 배자제작에 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축제의상 디자인개발에 사용된 스마트의류기술시스템 하드웨어는 릴리패드아두이노이다. 릴리패드아두이노는 아두이노 통합개발환경LED(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에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릴리패드아두이노와 전자부품들은 전도성섬유실로써 직물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의류제작에 적합한 스마트보드이다(Go, 2013).

2. 중국배자를 활용한 축제의상 디자인개발

1) 중국배자 활용의 의의

중국의 “한복(漢服)”이란 주로 삼황오제(三皇五帝)부터 명나라말기 17세기 중엽까지 수천 년 동안 한족(漢族)이 입던 전통복식을 말하며 이들 모두를 한복(漢服, 한푸)이라 칭한다. 한복(漢服)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옷깃을 우측으로 여미고 소매가 넓고 길며 단추 대신에 매듭끈을 묶는다는 점이다(Hao Yan Hua, 2012). 이러한 漢服의 특징은 韓服이나 일본 등 동양의 전통의복과도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다국의 현대인이 선호하는 축제의상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형태와 구조에 따라 漢服은 아래 몇 가지로 나뉜다 (Zhao Lian Shang, 2007). ① "의상제“: 위에는 옷 아래는 치마, 즉, 상하로 분리된 투피스형. 상의하상(上衣下裳), ② "심의제”: 위와 아래가 이어진 옷, 곡거(曲裾)와 직거(直裾), ③ "유군제“: 짧은 윗옷, 상유하군(上襦下裙), ④ "고첩제: 짧은 윗옷과 긴바지, 즉, 상의하고(上衣下褲), “의(衣)”란 일반적으로 소매가 큰 웃옷을 말하며,‘상裳)’이란 고대에는 치마를 가리키던 말이다. 이 중에서 의상과 심의는 예복으로 사용되었고 유군은 주로 여장이었으며 고첩은 일상복장이었다(Zhang Bei Bei, 2014). 심의는 가장 광범위하게 응용된 양식으로서 고관귀족들은 평상복으로 사용했고 일반 백성들은 예복으로 사용했다(Cui Rong Rong, 2014).

한푸의 일종인 배자(褙子)는 반비(半臂)에서에서 외투로 변천되었으며 당나라에서 시작되어 송나라와 원나라에서 유행했다. 뒤목의 깃은 바르게 솟아 있는 형태이며 소매의 형태는 다양하다. 길이는 무릎 정도의 원피스형이다. 양쪽 옆이 모두 트여 있어서 서민들이 일상복으로 선호하였다(Wu Ai Qin, 2015). 긴소매 배자는 뒤목깃에서부터 하단까지 징식문이 있고, 짧은 배자는 소매입구와 뒤목깃에서부터 가슴부분까지 장식문이 있다. 등 뒤에는 끈이 있으나 묶지 않고 장식용으로 사용하였다. 수당시대에는 귀족과 평민의 구분 없이 남녀가 공동으로 착용한 평상복이었으며 특히 여성이 즐겨 착용한 외투형이었다. 배자는 단독으로 입지 않고 안에 유군이나 적삼을 반드시 착용했다. 송나라의 배자는 담백한 은회색 계열을 사용했고 문화가 융성한 당나라에서는 화려한 색상을 사용함으로서 의복의 시대상을 반영했다(Wang Ming, 2015).

축제의상디자인에 반영될 한푸의 특성과 의미는 여러가지가 있다.

① 고대 중국인들은 하늘은 원형이고 대지는 사각형라고 믿었다. 그래서 인간들은 하늘처럼 처세가 원만하고 온순하고 대지(大地)처럼 정직하여 사심이 없이 살아야 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이런 생활태도가 의복에서 표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소매가 원형이고 옷깃은 오른쪽으로 여미게 하여 y형이 되고 직각이 되도록 한다. 심의에서도 같은 의미가 표현되었다. 한푸 심의(深衣) 뒷부분의 한가운데서 위에서부터 아래 단까지 중봉이 있다. 이 중봉은 옷을 입을 때 바닥과 수직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착용법의 의미도 사람들이 정직하게 사심이 없이 살아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Wu Jing & Mu Hui Ling, 2014).

② 한푸는 상의하상형이다. 특히 심의의 상의는 4부분으로 제작되는데 의미는 1년의 4계절을 상징한다. 하상은 12부분으로 제작되고 12개월이라고 상징된다. 그리고 ‘상의하상’으로 연결되고 완성된다(Xu Wen & Liu Qi, 2013).

③ 의복의 상징적인 의미는 형태 뿐만 아니라 옷의 패턴과 문양에서도 나타난다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문양이 사용되었다. 식물, 동물 심지어 신화인물, 신화의 이야기도 옷에서 무늬로 표현되었으며, 이런 무늬들에 의해 자신의 이미지가 형성되고 특징도 아주 현저한다.

④ 한푸에 사용되는 직물은 황제시기(B.C 2717~B.C 2599)부터 모시와 실크가 대표적이다. 그리고 시대발전에 따라 점점 면, 수단, 비단 등의 옷감이 나타났다. 남징(南京)의 운금(云锦)과 쳥뚜(成都)의 촉금(蜀锦), 쑤져우(苏州)의 송금(宋锦)은 중국의 삼대 유명비단으로 알려져 있다.

역사적인 발전과정 중에 한푸는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이란 도덕적인 내포와 순선순미(純善純美)한 중국 전통복식 예술의 중요한 상징을 충분히 표출해 보였다. 한복은 태도와 행동이 함축적이고 단정하며 내면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한푸의 역사적 배경은 한복(韓服)과도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어 앞으로 비교연구를 통하여 동양전통복식의 흐름과 글로벌화의 가능성을 연구할 예정이다.

2) 축제의상으로서의 배자제작

축제의상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여 배자의 시대별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ure 1]에 나타나 있다. [Figure 1]은 다양한 조대에서 착용된 남성 한푸의 발전현황이다(Chen Zhong Hui, 2013).

[Figure 1]

Chinese Baeja Styles

①주나라(周朝):상의하상(上衣下裳) 한푸의 기본형태이다. ②춘추전국(春秋战国):심의(深衣)상의와 하상, ③한나라(汉朝):직거(直裾), ④위진(魏晋):큰소매 장삼(大袖长衫),(장삼은 중국남성이 입는 긴 적삼형태의 옷), ⑤당나라(唐朝):둥근목둘레의 포삼(圆领袍衫), ⑥송나라(宋朝):남삼(襕衫)1, ⑦송나라(宋朝):남삼(襕衫)2, ⑧원나라(元朝):辫线袍, ⑨명나라(明朝):补服, ⑩현대적 형태의 배자

한푸는 중국의 상고시대에 나타나서 시대의 변화를 따라서 그 스타일은 전수하고 천천히 진화해 왔다. 조대의 교체중에도 원래의 복식문화를 버리지 않고 전통을 상속하고 한푸 의상구조와 일관된 양식을 오랜 시간 유지했다(Zhang Jing Qiong & Cao Kang Le, 2014). 이로써 중국은 고대로부터 복장예절을 아주 중시했던 것을 알 수 있다. 한푸스타일은 명나라 말기까지 자연적으로 발전하고 민족문화융합과정 중에 형성된 한족복식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Hao Yan Hua, 2012). 청나라의 통치자는 한족사람들을 통치하기 위해서 한푸의 의식을 강제로 정지했다.

중국배자를 활용한 축제의상 디자인 및 제작결과는 [Figure 3]에 나타났다.

①원단 겉과 겉을 맞대고 등솔을 재봉한다. ②앞·뒤 어깨선을 맞대고 소매 끝가지 재봉한다. ③6cm로 재단해 놓은 바이어스를 안쪽에 대고 시접 1cm 남기고 봉제한다. ④시접을 안쪽에서 겉쪽으로 접어 다림질하고 바이어스의 시접을 1cm 접어 넣고 눌러서 재봉한다. ⑤소매 배래를 연결하면서 옆선까지 재봉하여 내려오다가 15cm 정도에서 되박음질 하고 마감한다. ⑥옆선 트임부분에 바이어스를 안쪽에 대고 시접 1cm 두고 박는다. ⑦다림질로 시접을 정리하고 바이어스를 겉쪽으로 넘겨 다림질한다. ⑧시접 1cm 접어놓고 눌러 재봉 후 바이어스를 고정시킨다.

⑨앞판 바이어스도 뒷목 중심을 맞추고 옆트임과 같은 방법으로 재봉한다.

⑩뒷판 밑단 바이어스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봉제한다.

3) 스마트의류기술을 활용한 축제의상개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의류 형태의 전자부품을 이용하여 축제 의상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스마트의류는 웨어러블 컴퓨터, 디지털의류 e-텍스타일 등으로 불리며, 컴퓨터와 융합된 스미트의류와 의류디자인단계에서 스마트의류기술을 결합하는 두 가지 연구형태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릴리패드아두이노 USB는 USB케이블로 컴퓨터에 연결하여 완성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릴리패드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LED(Light Emitted Diode)는 전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면 불이 켜지는 부품이다. 릴리패드에서 사용할 핀번호의 모드를 입력 또는 출력으로 설정해야 한다(Go, 2013). 본 연구에서는 LED를 축제의상에 부착하여 깜박이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서 배자의 축제의상으로서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Figure 2]. 스마트의류는 컴퓨터를 의복에 부착하는 형태로 활용하는 경우와 옷을 입는 사람들이 디자인을 다양하게 전달하기 위해 전자장치를 이용하는 두 가지 방향으로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의류는 옷에 전자부품들을 부착함으로서 다자인요소를 극대화시키고 음성, 움직임, 빛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람의 운동기능을 감지하여 표현요소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제의상디자인개발에 스마트의류기술을 적용함으로서 축제무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스마트기술개발상황은 아직 초보단계에 있으며 전자부품의 안전성 및 고비용에 의한 소비자외면 등의 해결과제를 안고 있다(TIANYue, WANGHongFu, 2017).

[Figure 2]

Flow chart of Chinese Baeja

[Figure 3]

Development of Festival Costume Design using Chinese Baeja

4) 축제의상으로서의 배자디자인 분석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제품의 현대화와 세계화를 추구하기 위한 디자인개발을 통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으로, 중국 배자의 고유한 형태와 색상을 그대로 재현한 후 소비자로부터 현대화와 세계화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창작된 배자축제의상 디자인의 결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위하여 소비자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만족도조사에는 중국인 관광객 15명, 한국인 관광객 15명이 각각 직접설문방법으로 참가하였으며. 5점척도법에 의하여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①국제화의 가능성, ②전통문화와 과학기술의 융합, ③한중문화교류의 가능성 ④축제의상으로서의 활용성, ⑤현대의상으로서의 발전가능성으로 구성되었다<Table 2>. 소비자만족도 설문조사의 결과는 평균점수가 4.06으로써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서 72.67%이상의 높은 비율을 보임으로서 배자축제의상디자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향후 발전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문화교류의 가능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전통문화와 과학기술의 융합’, ‘축제의상으로서의 활용성’의 높은 만족도는 스마트의류기술의 활용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국제화의 가능성’, ‘현대의상으로서의 발전가능성’ 의 만족도가 다소 낮은 이유는 배자의 형태가 전통적이고 동양적인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Consumer Satisfaction of Baeja Festival Costumes

종합적으로, 향후 지역축제를 주도하는 재미와 의미를 축제의상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소비지만족도를 추구하고 현대문화와의 조화를 통한 상품화가능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전통적 사실에 기반한 복식이라 하더라도 현대문화와의 조화를 끊임없이 탐구하는 것이 소비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방안이며 또한 현대소비자가 주축을 이루고 있는 지역문화자원의 융합산업화를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Ⅳ. 결론 및 제언

중국배자를 부흥시키기 위하여 축제의상디자인을 개발하여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이 공동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전통문화와 현대과학기술을 융합한 축제디자인개발로서 패션제품의 다양성과 활용성이 높다. ②중국배자는한국의 소비자들로부터 한국의 두루마기와 비슷한 유형으로 인식됨으로서 한복(韓服)형태와도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③한푸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현대인이 선호하는 축제의상을 개발함으로서 한국의 소비자와 중국의 소비자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④중국고유의 의복에 대한 디자인개발과 활용을 통하여 패션문화교류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⑤전통복식에 대한 연구와 현대적 활용을 통하여 양극의 문화관광상퓸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⑥패션의 글로벌화를 위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함으로서 양국의 소비자만족도를 이끌어 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⑦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의류기술의 도입에 의해 LED를 축제의상에 부착하여 깜박이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서 배자의 축제의상으로서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패션의 글로벌화를 위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함으로서 양국의 소비자만족도를 이끌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중문화교류의 가능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전통문화와 과학기술의 융합’, ‘축제의상으로서의 활용성’의 높은 만족도는 스마트의류기술의 활용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종합적으로, 중국배자는 한국의 소비자들로부터 韓服형태와도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인식되었다. 향후 지역축제의상으로 적극 활용함으로써 소비지만족도를 추구하고 패션시장의 국제화와 현대문화와의 조화를 통한 상품화가능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통문화산업과 디자인산업과 IT산업의 융합기술에 의해 패션산업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지역축제의 다양화와 국제화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2016 Research Funds of Andong National University.

References

  • CHEN, Ying, (2012), A Discussion on the Rejuvenation of the Contemporary Han Ethnic Costume, Journal of Nanning Polytechnic, 15(4), p3-9.
  • Chen, Zhong Hui, (2013), Chinese Men's clothing, Life Reading New knowledge Sanlian Bookstore, 388.
  • 陈仲辉, (2013), 中國男裝, 生活 讀書 新知 三聰書店, 388.
  • Cui, Rong Rong, (2014), Han Nationality’s Folk Costume, Donghua University Press, p98-101.
  • 崔榮榮, (2014), 漢民族民間服飾, 東華大學出版社, p98-101.
  • Go, J., (2013), Smart Clothing: People, Clothing, Computer, The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17(3.4), p3-7.
  • HAN, Xing, (2012), The Culture Introspection of the Contemporary Han Clothing Renaissance, Journal of Art College of Inner Mongolia University, p10-15.
  • Hao, Yan Hua, (2012), Past Dynasties’s Clothing of China, Liaohai Press, p65-70.
  • Kim, B. R., (2012), A Research on the Impacts of Festival over Culture Tourism - Centering on the Edinburgh Festival and Leeds West Indian Carnival -, The Journal of Eurasian Studies, 9(2), p219-239.
  • Kim, H. S., (2017), Development of the Festival Costume Design in Andong, Clothing research journal, 19(1), p1-4.
  • Lim, M. M., (1988), A Study on Influence of the Formation and Processes of Changes Chinese Traditional Costume, Kyoungchunsa, Seoul, 4.
  • QI, JiaFu, (2016), Costumes of the Ethnic Minorities, Times Publication medium Limited by Shares Mount Huang Bookshop 1, p24-39.
  • TAN, YuHan, (2016), Reflections on the revival of Hanfu, Culture And History Vision(Theory), p49-60.
  • TIAN, Yue, & WANG, HongFu, (2017), Rview of Smart Cloth, Journal of Clothing Research, 12(2).
  • Wang, Ming, (2015), Chinese Clothing History,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Shanghai, p137-149.
  • Wu, Ai Qin, (2015),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Pre-Qin Clothing System, Science Press, 335.
  • Wu, Jing, & Mu, Hui Ling, (2014), A Brief History of Chinese Clothing that can Understand on First Reading, Donghua University Press, p48-53.
  • Xu, Wen, & Liu, Qi, (2013), The Classical Costume Pattern of The Han Nationality, China Textile Press, 19.
  • YING, WenJun, (2010), The beauty and elegance of Hanfu –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of Hanfu culture, Nanjing Institute of Visual Arts Jiangsu Nanjing, p25-32.
  • ZHAOPingYong, CAOJianZhong, CHEYanXin. (2010). Drawing and Color-Expression of Ethnic Clothes, 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Press1, 89-94.
  • Zhang, Bei Bei, (2014), Discrimination of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Women's Clothing Bei Zi-Start Talking about the Tang and Song Dynasties ‘Shang Dao’ style and Women's crown costume, Art exploration, p140-141.
  • Zhao, Lian Shang, (2007), The Illustrated History of Fashion in China, Yunnan People's Press, Yunnan, 29.
  • Zhang, Jing Qiong, & Cao, Kang Le, (2014), The Story of The Chinese Costume Civilization, Donghua University Press, p148-157.

[Figure 1]

[Figure 1]
Chinese Baeja Styles

[Figure 2]

[Figure 2]
Flow chart of Chinese Baeja

[Figure 3]

[Figure 3]
Development of Festival Costume Design using Chinese Baeja

<Table 1>

List of China’s 10 Ethnic Groups

List of China’s 56 Ethnic Groups
NO. Nationality Population The Main Distribution Areas Dress name
https://baike.sogou.com/h784225.htm?sp=Snext&sp=l7205122
1 한족(한민족)
The Hans
1,225,933,000 전국
Nationwide
Baeja, Simyi, Ruqun
2 장족
The Zhuangs
16,178,811 광시 장족 자치구, 원난성, 광동성, 구이저우성
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 Yunnan Province, Guizhou Province
Traditional Chinese Garments(Tangsuit),dark blue Dress, Embroidered shoes, Tiger head shoes(child)…
3 만주족
The Manchus
10,682,263 랴오닝성, 헤이룽장성, 지린성 ,베이징시
Liaoning Province, Heilongjiang Province, Jilin Province, Beijing
mandarin jacket (worn over a gown), Manchurian headdress…
4 회족
The Huis
9,816,802 닝샤 회족 자치구, 간쑤성, 신장성, 칭하이성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Gansu Province,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Qinghai Province
White cap, gauze kerchief, waistcoat
5 묘족
The Miaos
8,940,116 구이저우성, 원난성, 광시성
Guizhou Province, Yunnan Province, 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
Embroidered Belt, Woven wool blanket with geometric patterns, Miao-style Sliver Jewellery…
6 위구르족
The Uygurs
8,399,393 신장 위구르 자치구,닝샤성 ,간쑤성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Gansu Province
Qiapan Robe, Adelai Silk Dress, Four-Edged Hat with Floral Patterns, Leather boots…
7 토가족
The Tujias
8,028,133 후베이성, 후난성, 충칭시
Hubei Province, Hunan Province, Chongqing
Dress with embroidered, Decorated border, Tujia Apron, Tujia Tapestry, Collarless Full-front StyleCoat, Dew Clothing…
8 이족
The Yis
7,762,286 원난성, 쓰촨성, 구이저우성, 광시성
Yunnan Province, Sichuan Province, Guizhou Province, 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
Embroidered Costume,Woolen Cloak, Cockscomb Hat and Tian Pu Sa(Men’s Hairstyle of the Yis), Rain Hat With Red Tassels, Embroidered Shoes, Triangle-shaped bag…
9 몽골족
The Mongolians
5,813,947 내몽골 자치구, 랴오닝성 ,신장성, 칭하이성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Liaoning Province,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Qinghai Province
Mongolian Gown, Slive Headwear, Applique, Wrestling Costume…
10 티베트족
The Tibetans
5,416,021 티베트(시장자치구),쓰촨성, 칭하이성
Tibet, Sichuan Province, Qinghai Province
Tibetan Gown, Costume of Tibetan Buddhism, Broken braids, Tibetan Hats and Shoes…

<Table 2>

Consumer Satisfaction of Baeja Festival Costumes

Item Survey Contents Survey responses
Itemize Number and Percentage of Respondent(people, %)
Average point
⑤ Strongly agree, ④Agree, ③ Average, ② Disagree, ① Strongly disagree. Way to measure average point = {(Number of people answered①×1)+(Number of people answered②×2)+(Number of people answered③×3)+(Number of people answered④×4)+(Number of people answered⑤×5)}/Number of all the people answered
1 Possibility of internationalization 3.87
3(10) 6(20) 13(44) 8(27)
2 The fu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science technology 4.10
6(20) 15(50) 9(30)
3 Possibility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4.30
7(23) 7(23) 16(54)
4 Usability as festival costume 4.17
3(10) 5(16) 6(20) 16(54)
5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modern costume 3.83
2(6) 9(30) 11(37) 8(27)
Whole Average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