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JHE - Vol. 23, No. 2, pp.293-302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pr 2013
Received 13 Mar 2014 Received 10 Apr 2014 Accepted 16 Apr 2014
DOI: https://doi.org/10.5934/kjhe.2014.23.2.293

The Effect of Traditional Fairy Tales Verbal Expression Education on 3-year-old Children's Social Skills

KimMee Sun ; ChungHa Na*
City E-pop Day Care Center Dept. of Child Studie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Correspondence to: * Chung, Ha Na Tel: 070-4214-5205 Email: junghana@cu.ac.k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raditional fairy tales verbal expression education on 3-year-old children's social skil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3-year-old children at four different private daycare centers in the Kyungnam province. 25 preschooler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by t- test, MANOVA and ANOV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social skills were significan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problem solving and self-confid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sense of order. Second, the Cohen's effect size shows that traditional fairy tales verbal expression education effects children's problem solving and self-confidence.

Keywords:

social skills, traditional fairy tales, verbal expression education, 사회성 기술, 전래동화, 언어표현 교육활동

Ⅰ. 서 론

전통적으로 유아교육은 가정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현대에 이르러 맞벌이 부부의 증가, 핵가족화, 영유아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조기교육을 통한 인지능력 향상 기대 등의 이유로 유아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이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 선교원 등 기관으로 이전되고 있다. 가정을 벗어나 기관에서 유아교육을 받기 시작하는 시기는 개인, 가족,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체적으로 만 3세 전후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이용률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uh, 2005). 소수의 가족 일원으로 구성된 핵가족에서 자란 유아들이 만 3세 경 다수의 또래집단, 공식적인 유아교육기관에 진입하는 것이다. 유아가 교육기관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려면 자기의 행동 및 정서적 욕구를 조절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하며 규칙에 따라 행동하는 등의 사회성 기술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유아기 사회성 기술은 성인기의 사회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Oh & Kim, 2008) 더욱이 유아기 사회성 기술은 중요하다고 보여진다. 정서발달 과정상 만 3세 유아기는 정서조절을 위한 인지적 책략을 사용하는 능력, 타인의 행동으로부터 정서의 원인을 추론하는 능력이 등장하는 초기 시기(Shaffer, 2005/2008)이므로 이 때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해 조기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향후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2014년부터 만 3세 이상 유아를 대상으로 전면 시행된 누리과정의 기본 방향도 질서, 배려, 협력 등 기본 생활습관과 바른 인성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3). 누리과정 5개 영역 가운데 사회관계 영역은 자신을 알고 더불어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도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사회성 교육에 중점을 두는데, 지금까지의 사회성 기술 향상 연구들은 대부분 만 4-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서(Lee, 1999; Park & Rhee, 2002; Youn, Kwon, & Son, 2004) 실질적으로 사회성 교육이 필요한 만 3세를 위한 교육활동을 구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만 3세 유아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교육활동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기존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접근 방법은 놀이, 게임, 미술, 음악, 신체 활동 등 활동중심 교육, 토론, 문제해결 훈련, 상황 이야기 나누기 등의 인지적 교육, 칭찬이나 강화물 제공, 코칭 등의 행동주의적 교육(Oh & Kim, 2008)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 중 활동중심 교육이 유아의 사회성 기술 향상 방법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사회성 기술의 정의가 유아가 놀이 상황에서 자신의 목표나 또래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자기 정서, 사고 및 행동을 조절하는 것(Shaffer, 2005/2008)이라는 점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유아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해서는 유아가 흥미를 가지고 수행할 수 있는 활동 과제를 제공받고 정해진 목표를 향해 유아가 자기 조절 연습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3세 유아가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적절한 매체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유아의 교육활동 매체로는 그림, 신문, 사진, 그림책, 영화, 동화 등 시각 및 청각적 매체들이 다양한데(Lee, 1978), 기존 연구 가운데 만 3세 유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해 그림책을 매체로 교육활동을 실시한 경우가 있었다. Kim(2010)은 만 3세 유아의 사회적 범위를 고려하여 부모 및 또래 관련 그림책을 선정하여 연관된 통합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만 3세 유아의 정서인식과 표현, 정서조절에 효과가 있었으며 긍정적 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고 부정적 사회적 행동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Kim, 2010). 즉 만 3세 유아에게도 적절한 매체를 선택하여 사회성 기술 교육을 실시한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림책 중에서도 이야기 구조의 구성이 반복적이며 단순하며 줄거리가 간결하다는 장점을 가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사회성 기술 교육을 실시한다면 만 3세 유아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을 지 의문이다.

전래동화는 아동이 속한 민족의 문화적 가치와 풍속과 규범을 알게 해주며(Kong, Yoo, Han, Kim, & Kwon, 2001), 자기 욕심을 버리는 것, 타인에 대한 배려, 타인의 관점에서 상황을 바라보는 것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어 타인과 조화롭게 살아야 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누리과정의 기본 방향인 질서, 배려, 협력 등의 요소를 집약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그림책이라고 볼 수 있다. 만 3세 유아의 사회적 범위를 고려하여 가족관계를 포함한 전래동화를 선정하여 관련된 통합교육활동을 실시한다면 누리과정의 교육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유아의 사회성 기술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현재 만 3세 누리과정 의사소통영역에서 전래동화가 아예 제외되어 있고(Ministry of Education, 2013), 유아의 연간 교육계획이 상세히 소개된 만 3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도 전통생활, 전통놀이, 전통예술, 전통의례, 전통역사 5개 하위영역으로 이루어진 전통문화 관련 교육이 약 88건으로 만 4-5세 비해 부족한 편이다(Park, Kim, & Lee, 2013). 특히 전통예술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된 전통문학, 즉 전래동화는 만 3세 누리과정에서 단 3건만 다뤄지고(Park et al., 2013) 대체로 의식주 위주의 전통생활과 전통놀이가 전통문화 교육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통생활과 전통놀이에 비해 전래동화에는 부모 공경, 형제 간 우애, 장애 수용, 이웃 배려 및 협력 등 우리 고유 문화에서 요구되는 대인 간 적절한 상호작용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만 3세 유아에게 우리 사회의 예의범절, 규범 및 질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전래동화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교육활동을 실시하여 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만 3세 유아는 가족에서 기관으로 사회적 관계가 확장되는 전이기라는 측면에서 가족과 관련된 전래동화는 만 3세 유아에게 사회적 관계를 이해시키거나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교육하는데 적절하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해 가족 관련 전래동화를 읽고, 서로의 생각과 느낌을 대화로 나누는 언어 활동과 전래동화의 내용을 활용한 미술, 게임, 요리, 연극 등 표현활동 중심의 교육 방법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즉, 이 연구에서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사회성 기술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은 만 3세 유아의 사회성 기술(문제해결,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사회성 기술 발달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경남 Y시 어린이집의 만 3세 유아 50명이다. 표본의 동질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설립유형이 국공립이며, 표준보육과정을 실시하고 있으며 교사의 학력과 경력이 유사한 곳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25명으로 13명은 Y어린이집, 12명은 S어린이집에 재원중이며, 통제집단은 총 25명으로 12명은 B어린이집, 13명은 T어린이집에 재원중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구학적 배경은 유사한 곳을 선정하였고, 집단의 성별, 연령별 분포는 <Table 1>에 제시한 바와 같다. 연구대상 유아의 평균 연령은 실험집단 45.92개월, 통제집단 45.20개월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는 연령에 있어서 동질 집단으로 볼 수 있다.

Subject of Study (n=50)

Cronbach's α of Children's Social Skills Rating System

2. 연구도구

1) 사회성 기술 척도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사회성 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Yoon(2008)의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검사(Korean Social Skills Rating System: K-SSRS)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만 3세-7세 아동의 사회성 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검사 도구로 문제해결,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의 네 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Table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문제해결 13문항, 정서표현 15문항, 질서의식 6문항, 자신감 6문항으로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은 Likert식 5점 척도로 ‘항상 그렇다’ 5점, ‘대체로 그렇다’ 4점, ‘보통이다’ 3점, ‘약간 그렇다’ 2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평정하였다. 유아의 사회성 기술 하위변인 별 평균 점수는 1점에서 5점이다. 평균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성 기술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척도의 내적 합치도 계수 Cronbach α는 .95로 매우 신뢰도가 높았다. 하위척도별 Cronbach α는 문제해결은 .92, 정서표현은 .92, 질서의식은 .82, 자신감은 .87이었다.

3. 연구절차

1) 실험설계

본 연구에서는 총 50명의 유아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인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처치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집단에서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누리과정으로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검사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Table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2(집단 : 실험, 통제) × 2(검사시기 : 사전, 사후) 혼합설계(one between-one within Subjects Mixed Designs)이다. 집단은 집단 간 변인(between subject variable)이고, 검사 시기는 집단 내 변인(within subject variable)이다.

Experiment Design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result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2) 예비연구

본 연구를 실시하기 전에 측정도구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포함되지 않은 만 3세 유아 13명을 표집하여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는 2013년 4월 23일부터 4월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검사와 실험내용을 예비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예비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유아가 흥미로워하며 적극적으로 반응하여 검사 및 실험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대집단 활동시간은 약 25분 정도 소요되었다.

3) 검사자 및 활동 처치자 훈련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교사를 대상으로 검사자 훈련을 실시하였다. 검사자 훈련은 2013년 5월 14일과 16일 총 2회 실시하였다. 검사자 훈련은 사회성 기술 척도 측정 지침, 검사지의 내용 및 작성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실험집단의 담임교사 2인을 대상으로 활동 처치자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내용은 교육활동 준비, 전개 시 교사 발문의 중요성, 교육활동 피드백 교환, 구체적인 교수전략 등이었다. 통제집단의 담임교사들에게는 기존의 수업 방식대로 누리과정을 기초한 주제별 교육활동을 실시하게 하였다.

4) 사전검사

사전 검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20일부터 5월 24일까지 실시하였다. 사회성 기술 척도 내용 및 측정 방법을 숙지한 교사가 유아를 관찰하여 작성하였다. 전래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을 실시하기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회성 기술 점수 하위영역 별 평균, 표준편차 및 두 집단 간 차이검증 결과는 <Table 4>에 제시한 바와 같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사회적 기술 내 하위영역인 문제해결(t=-1.07, p>.05), 정서표현(t=-.56, p>.05), 질서의식(t=-.89, p>.05), 자신감(t=.35, p>.05) 및 총점(t=-.83, p>.05)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실험과 통제집단이 동질적 집단임을 확인하는 것이다.

5)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의 적용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전래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을 2013년 5월 27일부터 7월 19일까지 주 2회씩, 총 8주에 걸쳐 16회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어린이집의 평상시 일과대로 누리 과정에 따른 교수활동을 실시하였다.

전래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유아의 사회성 기술의 하위 영역인 문제해결,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 향상을 위해 각 하위영역별로 4회기씩 활동을 실시하였다.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해 선정한 전래동화는 ‘선녀와 나무꾼’, ‘반쪽이’, ‘천냥짜리 아버지’, ‘청개구리’, ‘재주 많은 여섯 쌍둥이’, ‘우렁이 각시’, ‘며느릿감 시험’, ‘밥 안 먹는 색시’ 총 8권이었다. 전래동화 선정 기준은 난이도, 친숙성, 발달 적합성이었으며 가족이나 유아의 생활 관련 소재를 포함 여부이었다.

구체적인 전래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은 <Table 5>에 제시한 바와 같이 1-2회기는 ‘선녀와 나무꾼’을 읽고 자신의 물건을 잃어버렸을 때 어떤 기분이 들지에 대해 이야기나누기를 하고 그림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3-4회기는 ‘반쪽이’를 읽고 몸이 불편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를 하고 사람마다 신체적 조건이 다르다는 것을 블록으로 표현함으로써 개별 유아가 신체적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5-6회기는 ‘천냥짜리 아버지’를 읽고 가족이 없을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를 하고 역할극을 실시하였다. 7-8회기는 ‘청개구리’를 읽고 등장인물의 정서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를 하고 부모에게 감사 표현하는 요리활동을 실시하였다. 9-10회기는 ‘재주 많은 여섯 쌍둥이’를 읽고 유아가 등장인물이라면 어떻게 했을지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를 하고 가족을 위한 집을 만들어주는 활동을 하였다. 11-12회기는 ‘우렁이 각시’를 읽고 다른 사람을 돕는 행위에 관해 이야기 나누기를 하고 신발 정리하기 게임을 실시하였다. 13-14회기는 ‘며느릿감 시험’을 읽고 미래에 결혼하고 싶은 사람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기를 하고 꽃가마 만들기를 하였다. 15-16회기는 ‘밥 안 먹는 색시’를 읽고 가족을 위해 밥상을 차리는 게임을 실시하였다.

Activities about traditional fairy tale verbal expression education

본 연구자가 구성한 교육활동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교육 전공 교수 및 어린이집 원장 총 5인을 대상으로 교육영역,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수매체 등의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을 의뢰하였다. 전문가 적절성 검토 결과 회기별 내용이 유아의 사회성 기술을 증진시키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최종시안으로 결정하였다.

6) 사후검사

본 연구의 사후검사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끝난 후 2013년 7월 22일부터 2013년 7월 26일까지 사전검사를 실시한 동일한 유아를 대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사전검사 도구와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4. 자료 분석

전래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증, 다변인 변량분석(MANOVA), 단변인 변량분석(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전래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기술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전에 유아의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인 문제해결,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의 사전-사후의 평균(표준편차)을 <Table 6>에서 살펴보았다.

Pre-Post Mea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한편 전래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기술 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다변인 변량분석(MANOVA)을 통해 살펴보기로 했다. 이는 <Table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내 유아의 사회성 기술의 사전 검사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사전 사회적 기술을 공변인으로 한 다변인 공변량분석(MANCOVA) 대신, 실험과 통제집단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사후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문제해결,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다변인 변량분석(M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Table 7>에 제시한 바와 같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은 Wilk‘s Lamda(F= .76, p<.05)를 포함한 모든 다변인 변량분석 통계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Results of MANOVA in Children's Social Skills by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별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단변인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Table 8>에 제시한 바와 같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사회적 기술 중 문제해결(F=6.09, p<.05)과 자신감(F=6.79, p<.0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sults of ANOVA in Children's Social Skills by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사회적 기술의 사후 조정된 평균값을 <Table 9>에서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의 사회적 기술 중 문제해결(M(SD)=3.40(.13)), 자신감(M(SD)=3.33(.15))의 평균은 통제집단 유아의 문제해결(M(SD)=2.96(.13))이나 자신감(M(SD)=2.79(.15))의 평균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의 문제해결과 자신감 향상에 효과적이나 정서표현과 질서의식의 경우에는 효과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Children's Social Skills Adjusted Means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2.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크기

전래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기술 발달에 미치는 효과 크기는 Cohen(1988)의 효과 크기(effect size)를 통해 살펴보았다. 효과 크기는 유아의 사회성 기술 중 다변인 변량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문제해결과 자신감만을 갖고 살펴보았다. 집단간 차이의 표준화 측정치로 알려진 Cohen(1988)의 효과 크기(effect size)는 직접적인 프로그램 효과의 정도(strength)를 파악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Cohen(1988)의 효과 크기는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의 평균을 뺀 것을 전체 표준편차로 나눈 값으로 일반적으로 EF(d) 값이 .20이면 효과 크기가 작고, .50이면 중간수준이며, .80이면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해석된다. Cohen(1988)의 효과 크기를 계산한 결과, 문제해결과 자신감의 EF(d) 값은 각각 .68과 .73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기술 중 문제해결과 자신감 향상에 어느 정도 큰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Ⅳ.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이 사회성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경남지역의 어린이집 만 3세 유아 50명을 실험집단 25명과 통제집단 25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 16회기 동안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누리과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회성 기술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검사 점수를 분석한 결과를 논의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은 만 3세 유아의 사회성 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이는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 실시 결과 또래와의 긍정적인 행동이 증가하고 부정적 행동과 비사회적 행동이 감소하였다는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Lee, 1999; Park & Rhee, 2002)고 볼 수 있다. 사회성 기술 증진 훈련을 받은 유아들의 혼자놀이 빈도가 감소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 빈도가 증가하였고(Youn et al., 2004), 사회성 기술 향상(Jung & Doh, 2005)되었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맥락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가족 관련 전래동화의 내용이 가족 사랑, 형제 우애, 효, 이웃 사랑, 상호 배려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실험집단에 참여한 유아들은 가족 관련 전래동화를 읽고 줄거리, 주제, 교훈 등에 대해 심층적으로 대화를 나누고 유아 자신의 경험과 연관지어 발표하는 활동을 하였다. 그 다음 유아가 전래동화 이야기 속의 주인공과 같은 입장이 되었을 때 어떻게 느끼고 생각할 지, 어떠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 타인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지 등에 관한 미술, 요리, 게임, 역할놀이 활동을 하였다. 전래동화 이야기 구성이 단순명료하기 때문에 유아에게 주제 전달이 명확하게 되고, 이야기 속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 시간이 유아에게 나와 타인에 대해 생각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아에게 전래동화와 관련지어 흥미로운 활동을 한 것이 동화 속 갈등상황을 사회적으로 적합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기술 훈련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전래동화 선정의 적합성, 16회기의 반복적인 패턴의 언어표현 교육활동 구성이 유아의 전반적인 사회성 기술 증진에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은 사회성 기술 하위영역별로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의 문제해결 능력과 자신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지만 정서표현 및 질서의식 향상에 효과가 없었다. 이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누리과정만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자신의 잘못을 수용하고 친사회적으로 원만하게 해결하는 행동을 더 잘하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또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또래집단 안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능동적으로 행동하는 기술이 더 발달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정서조절, 정서표현에 효과가 있었다(Kim et al., 2004; Oh & Oh, 2007)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본 연구의 만 3세 유아는 아직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시작하는 초기 시기이다. 정서표현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인식하고, 인지적 책략을 사용할 줄 알며 언어로 표현해야 하는데, 8주간의 교육활동을 통해 정서표현능력의 향상 효과를 가져오기에는 3세 유아의 발달의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질서의식 향상에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는 교육기관에서 생활하는 것 자체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질서의식 향상에 동일하게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언어표현 교육활동을 실시한 만 3세 유아들은 누리과정을 실시한 유아에 비해 문제해결과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는 만 3세 누리과정에도 전래동화의 활용도를 높인다면 유아의 사회성 기술 향상 뿐 아니라 의사소통의 향상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 만 3세 누리과정에서 전래동화의 사용이 3건(Park et al., 2013)으로 매우 미흡한 실태인데 앞으로 이 부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실험집단이 25명으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부족함이 있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표집으로 연구를 실시하고 다양한 연령에 적용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8주 동안 실험이 이루어진 것으로 유아의 사회성 기술 증진의 효과를 단기간에 살펴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성 기술 하위 영역 중에 문제해결과 자신감 증진에 주 효과가 나타나고 나머지 정서표현과 질서의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16회기의 활동을 구성하였지만 유아의 정서 및 행동의 변화를 위해서는 장기간 교육활동이 이루어져야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유아의 문제해결과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 방법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누리과정 3세 유아교육 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전래동화의 교육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Notes

이 논문은 김미선의 2014년도 석사학위논문의 일부분임

References

  •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 K. H Jung, H. S Doh, The development of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rejected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5), 26(4), p263-278.
  • J. H Kim,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3 year old’s 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n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0), 15(5), p59-87.
  • K. S Kim, J. S Hong, Y. K Ahn, The effects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with traditional fairy tales on the young children's another emotional awareness and oneself emotional regula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4), 9(4), p357-374.
  • I. S Kong, A. J Yoo, M. H Han, Y. J Kim, H. K Kwon, The effect of traditional fairy tales-Based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preschoolers' distributive justice reasoning,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01), 19(2), p23-30.
  • S. H Lee, The child centered small group play therapy and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 of the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99), 11(2), p299-314.
  • Y. J Le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educational media,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978), 2, p13-24.
  • Ministry of Education, 3-5 year old children Nuri curriculum manual, Ministry of Education &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Korea, (2013).
  • J. Y Oh, J. H Kim, A review of experimental studies on social skill training,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08), 24(4), p227-255.
  • Y. H Oh, M. J Oh, Effects of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traditional folk tales on children's emotional skills,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7), p686-687.
  • C. P Park, J. H Kim, K. J Le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3), 17(5), p441-464.
  • J. J Park, U. H Rhee, Effects of a social skill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peer acceptanc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2), 22(2), p83-110.
  • M. H Suh, Current stutus and issues of early childhood care·education use and need, Institute of Korea Welfare & Society, Health and Welfare Forum, (2005), p5-18.
  • D. R Shaffer,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K. Y. Song & J. Y. Lee Translated (2008), Seoul, Korea: Sigmapress, (2005).
  • C. Y Yoon, A normative study of Korean social skill inventory for preschooler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08), 24(2), p157-173.
  • J. H Youn, M. O Kwon, M. H Son, The effect of peer intera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non-social play with children, The Journal of Play Therapy, (2004), 8(1), p75-94.

<Table 1>

Subject of Study (n=50)

Group Sex n M t
boy girl
Experimental group 14 11 25 45.92 -.67
Control group 14 11 25 45.20
Total 28 22 50 45.56

<Table 2>

Cronbach's α of Children's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ubscale Number of questions Cronbach's α
Problem solving 13 .92
Emotional expression 15 .92
Sense of order 6 .82
Self-confidence 6 .87
Total 40 .95

<Table 3>

Experiment Design

Pretest Experiment Posttest
Experimental group A₁ X₁ A₂
Control group A₁ X₂ A₂

<Table 4>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result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Group Social SkillsM(SD)
Problem solving Emotional expression Sense of order Self-confident Total
Experimental Group
(n=25)
2.69(.70) 2.74(.52) 3.03(.8) 2.57(.62) 2.76(.46)
Control Group
(n=25)
2.89(.60) 2.85(.86) 3.35(1.60) 2.50(.86) 2.90(.69)
t -1.07 -.56 -.89 .35 -.83

<Table 5>

Activities about traditional fairy tale verbal expression education

Phase Title Activity Type Relevant Social Skills
1 Fairy and the Woodcutter -Read and understand the tale
-Puppet play about families
-Talk about the feeling when people lose something special
Conversation Emotional Expression
2 Fairy and the Woodcutter -Understand and talk about fairy's emotion when she had lost her clothes
-Draw pictures about one's feelings with various material
Art
3 The crippled -Read and understand the tale
-Sing 'head and shoulders'
-Talk about handicapped person and generate ideas about how to help them
Conversation Self confidence
4 The crippled -Talk about body parts
-Making children's body with blocks
-Talk about how our body shape could be different
Art
5 Father worth of 1000 won -Read and understand the tale
-Talk about individual children's family with their photos
-Make coupons for parents
Conversation Problem Solving
6 Father worth of 1000 won -Role play about mother and father
-Talk about each others role and how it feels
Role play
7 Green Frog -Read and understand the tale
-Talk about how green frog's mother would have felt
-Express children's feeling toward parents
Conversation Emotional expression
8 Green Frog -Make an icecream for children's family members Cooking
9 The six talented brothers -Read and understand the tale
-Talk about twins good deed
-Talk about good things that children have done before
Conversation Problem Solving
10 The six lented brothers -Make a nice house for children's family based on Van Gogh's picture Art
11 The pond snail girl -Read and understand the tale
-Talk about helping others
Conversation Sense of order
12 The pond snail girl -Play a game about cleaning up shoes
-Try to follow the game rules
Game
13 Test for daughter-in-law -Read and understand the tale
-Talk about children's spouse in the future
Conversation Self confidence
14 Test for daughter-in-law -Make a traditional wagon for new bride
-Talk about marriage
Art
15 Women eating less -Read and understand the tale
-Role play about cooking for friends
Conversation Sense of order
16 Women eating less -Talk about helping parents
-Play a game about preparing meal
Game

<Table 6>

Pre-Post Mea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ub scale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Pre M(SD) Post M(SD) Pre M(SD) Post M(SD)
Social Skills Problem solving 2.69(.70) 3.40(.53) 2.89(.60) 2.96(.74)
Emotional expression 2.74(.52) 3.45(.51) 2.85(.86) 3.17(.81)
Sense of order 3.03(.81) 3.65(.78) 3.35(1.60) 3.41(.64)
Self-confidence 2.57(.62) 3.33(.76) 2.50(.86) 2.79(.71)

<Table 7>

Results of MANOVA in Children's Social Skills by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MANOVA Value F Hypoth. DF Error DF
Social Skills Pillai’s Trace .24 3.51* 4 45
Wilks' Lamda .76 3.51* 4 45
Hotelling’s Trace .31 3.51* 4 45
Roy’s Largest Root .31 3.51* 4 45

<Table 8>

Results of ANOVA in Children's Social Skills by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ub scale SS df MS F
Social Skills Problem solving 2.49 1 2.49 6.09*
Emotional expression 1.02 1 1.02 2.22
Sense of order .76 1 .76 1.47
Self-confidence 3.64 1 3.64 6.79*
Error Problem solving 19.61 48 .41
Emotional expression 21.91 48 .46
Sense of order 24.78 48 .52
Self-confidence 25.79 48 .54
Sum Problem solving 22.10 49
Emotional expression 22.93 49
Sense of order 25.54 49
Self-confidence 29.42 49

<Table 9>

Children's Social Skills Adjusted Means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Group Social Skills
Problem solving Emotional expression Sense of order Self-confidence
Experimental Group
(n=25)
3.40(.13) 3.45(.14) 3.65(.14) 3.33(.15)
Control Group
(n=25)
2.96(.13) 3.17(.14) 3.41(.14) 2.7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