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8, No. 2, pp.135-146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9
Received 07 Feb 2019 Revised 25 Feb 2019 Accepted 04 Mar 2019
DOI: https://doi.org/10.5934/kjhe.2019.28.2.135

전통 빗장과 자물쇠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

위보람 ; 김선영*
순천대학교 의류학과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Development of the Scarf Design Utilizing Traditional Korean Locks and Latch
Wi, Boram ; Kim, Sunyoung*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Kim, Sunyoung Tel: 061-750-3685 Fax: 061-750-3680  E-mail: ksy6341@sunchon.ac.kr

ⓒ 2019,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read information and knowledge regarding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foster the cultural fashion product with a perception of high added consumer value, by developing a scarf design with the ability to showcase and highlight a conventional lock and latch motif. Methodology for the study was employed wit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ve designs featuring locks and latches, a preference survey regarding the basic motif designs, and an empirical study for the design. Chiefly, Adobe Illustrator CS 6 was adopted as a tool for use with the design development. The following information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ve types of applications were applied for the basic motif design based on outcome from a preference survey: simply modelled latch in turtle shape, turtle-shaped latch in realistic mode, ㄷ-shaped lock, fish-like lock, and combined mode with hambak lock and swallow latch designs. These images were designed in order that the themes of tradition and modernity could be harmonized into the designs. As to the utilization of color and tone, such were used as an achromatic color theme with a highest preference level, tranquil greyish tone, and a bright vivid tone in the red and blue series. For the scarf pattern design, a total of 30 pattern designs was developed through various constructions such as utilizing the themes of repeat, rotation and reflection with a basic motif. These designs were proposed to the application to a twilly, long scarf and used on a square scarf. This examination found that traditional latch and lock are recognized as part of the cultural heritage, as a theme reflecting the conventional life craft product native to Korea. These themes were recognized as a reflection of goodness in the Korean culture, and the acceptance of the themes shows that there is an unlimited possibility for the developed and continued use of these specific themes as represented in cultural fashion goods, which can also be seen to have a place in Korean culture to show a modern sense of purpose and style for the enjoyment of the Korean people.

Keywords:

Traditional latch, Traditional lock, Scarf design

키워드:

전통 빗장, 전통 자물쇠, 스카프디자인

Ⅰ. 서론

한국 대중음악과 드라마를 기반으로 확산된 한류 문화는 음식, 뷰티, 패션, 게임 등 여러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과 호응을 이끌어 내고 있고, 다양한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콘텐츠로 작용하고 있다. 문화상품은 국가의 문화, 역사, 예술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경제적 파급력 또한 막대하다. 이에 따라 한국 문화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 상품은 물론 패션의 감성을 반영한 패션문화상품 역시 한국 고유의 정서를 반영하고 현대적인 감성으로 재해석되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또한 학계에서도 관련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디자인 개발 연구로 진행되었고, 활용된 주제는 전통 민화와 전통 문양, 출토 유물 등 한국 전통 문화적인 요소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김선영, 2018). 그러나 전통 빗장이나 자물쇠에 대한 선행연구(김경애, 2011; 김민희, 2006; 문미숙, 2011; 임동열, 2013)는 역사적인 변천이나 미학적 측면, 조형성에 대한 연구만으로 이를 모티브로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시판 중인 문화상품 역시 전통 자물쇠 형태를 활용한 키홀더, 귀걸이나 반지 같은 액세서리 등을 찾아볼 수 있으나 문양으로 적용한 패션문화상품은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즉 한류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패션문화상품 관련 연구나 개발이 여러 주제로 접근되고 있으나 특정분야에만 집중되고 있어 보다 다양한 주제를 활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전통 문화의 소산물 중 하나인 빗장과 자물쇠를 모티브로 스카프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전통 문화의 확산 및 고부가가치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전통 빗장과 자물쇠에 대한 문헌 고찰과 스카프 디자인 개발의 실증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은 첫째,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전통 빗장과 자물쇠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스카프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전통 문화상품 및 전통 빗장과 자물쇠에 대한 인식 정도, 선호하는 전통 빗장과 자물쇠 유형, 선호하는 색과 색상 톤, 적용되기를 희망하는 스카프 디자인 유형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전통 빗장과 자물쇠의 형태적 유형에 따라 디자인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을 제시하여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셋째,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기본 모티브 디자인과 패턴디자인을 개발하였고, 이를 선호하는 스카프 디자인 유형에 적용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과 패턴디자인, 스카프 디자인 전개는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CS6을 활용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빗장

빗장은 전통 가옥의 여닫이 대문 안쪽을 가로질러 문을 잠그던 목재 막대를 지칭하는 것으로, 나무 구멍을 파서 빗장이 걸리도록 한 빗장걸이와 함께 문단속의 역할을 한다(서울역사박물관, 2018). 또 빗장걸이는 둔테라고도 불리며 주로 길상적인 동물 형상으로 제작하거나 문양을 조각하였고, 안쪽 면에는 오목하게 홈을 파내어 빗장을 걸을 수 있게 하였다(최효진, 이진우, 2008).

양쪽을 개폐하는 방문이나 창문을 고정시킬 때는 소 빗장이라고도 지칭되며, 빗장 형태는 둔테 모양에 따라 구분되는데 [그림 1] 같이 거북이 머리와 몸통을 직사각 형태로 단순하게 표현한 것부터 거북이 형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그림 2], [그림 3]의 제비, [그림 4]의 물고기, 오리, 학 형태의 물형(物形)이 있으며 주로 거북이 형태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서울역사박물관, 2018.; 최효진, 이진우, 2008). 이는 장수 동물의 상징인 거북이를 사용함으로써 무병장수를 기원하고 딱딱한 등딱지의 외형적인 특성으로 집안의 수호방패가 되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반영한 것으로, 대부분 양반가에서는 거북이를 암수 한 쌍으로 크기를 다르게 하였으며, 거북이 머리 부분인 동곳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이중 잠금장치를 하였다(김경애, 2011; 최효진, 이진우, 2008). 물고기 형태 빗장은 물에서 생존하는 물고기가 집안의 화재를 예방하고 눈을 항상 뜨고 있기 때문에 집안을 지킨다는 수호의 의미는 물론 다산과 풍요도 반영한 것이며, 한편으로는 어변성룡(魚變成龍)이라는 출세의 의미를 상징하였다고 한다(쇳대박물관, 2018a). 또한 빗장의 소재는 대부분 목재를 사용하였지만 가끔 쇠장대를 사용하기도 하였고, 개폐방식은 벽에 구멍을 파서 둔테를 만들고 막대를 건너지르는 방식과 문에 둔테를 부착하여 빗장을 지르는 두 가지 방식을 활용하였다(신영훈, 1995).

[그림 1]

거북형 빗장<출처> 최효진, 이진우, 2008, p.10

[그림 2]

거북형 빗장<출처> http://lockmuseum.co.kr/project-category/%EB%B9%97%EC%9E%A5/

[그림 3]

제비형 빗장<출처> 최효진, 이진우, 2008, p.76

[그림 4]

물고기형 빗장<출처> 최효진, 이진우, 2008, p.74

이와 같이 전통 빗장은 다양한 동물 형상을 활용하여 장식성을 살리고 문을 걸어 잠그는 기능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길상의 의미를 반영한 상징물로서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자물쇠

자물쇠는 귀중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가구나 문 등을 장식하기 위한 공예품으로 지역에 따라 소통, 쇠통, 자물통이라고 지칭되었으며, 자물쇠 유형은 가구에 붙어있어 고정되어 있는 붙박이형과 따로 떨어져 있는 독립형태로 구분된다(쇳대박물관, 2018b; 홍정실, 1990). 본 연구에서는 독립적으로 자물쇠 역할을 하는 독립 형태 자물쇠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독립 형태 자물쇠는 크게 기본형과 물형(物形)으로 구분되며, 기본형은 아주 작은 크기부터 20cm 이상의 큰 크기까지로 외형이나 옆면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는데 ㄷ자형 자물쇠[그림 5], 대나무 형태와 같이 동근 몸통의 원통형 자물쇠[그림 6], 몸통 앞면이 반구형으로 튀어나온 함박형 자물쇠[그림 7] 등이다(홍정실, 1990). 물형 자물쇠는 주로 동물이나 물고기 형태를 주로 사용하였고, 활용한 동물 형상에 따라 거북[그림 8], 붕어[그림 9], 쌍룡 [그림 10], 박쥐 자물쇠 등으로 지칭된다(홍정실, 1990). 물고기는 빗장에서와 같이 항상 눈을 뜨고 있어 수호의 의미를 반영하였고, 자물쇠 양 끝을 용머리로 장식한 쌍룡자물쇠는 왕권을 상징하여 민가에서는 사용되지 못하였고, 거북과 박쥐 역시 장수와 복을 염원하는 상징적 의미를 반영하였다(김경애, 201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그림 5]

ㄷ자형 자물쇠<출처> 홍정실, 1990, p.48

[그림 6]

원통형 자물쇠<출처>https://bit.ly/2Ru5Yg1

[그림 7]

함박형 자물쇠<출처> 홍정실, 1990, p.51

[그림 8]

거북이형 자물쇠<출처> https://bit.ly/2FDTrQm

[그림 9]

물고기형 자물쇠<출처> https://bit.ly/2ANWr9v

[그림 10]

쌍룡형 자물쇠<출처> https://bit.ly/2Ru5Yg1

자물쇠의 소재는 주로 금동을 사용하였으나, 조선시대에는 철, 백동, 황동 등 다양한 소재들로 만들어졌으며(김민희, 2006), 몸통에 문양이나 글귀를 새겨 장식적 측면은 물론 복을 기원하고 교육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쇳대박물관, 2018b). 자물쇠 문양은 자연문양, 기하학문양, 문자문양 등이 활용되었는데, 자연문양은 동, 식물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용, 거북, 물고기, 박쥐, 학, 호랑이, 봉황, 기린, 모란, 연꽃, 당초, 포도, 표주박, 사군자, 석류, 소나무 등을 새겨 넣었고, 기하학 문양은 태극이나 만자, 팔괘를, 문자문양은 충효와 길상을 기원하는 문자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김경애, 2011). 자물쇠를 잠그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경자 부분에 열쇠를 꽂아 넣으면 경자 머리 쇠에 붙어 있는 줏대와 속청이 빠져나와 열리게 되는 방식이나, 조선후기에 사용한 비밀 자물쇠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열리는 것으로 양반들이 특별 주문하여 사용했다고 한다(최영실, 2000; 홍정실, 1990).

이와 같이 전통 자물쇠는 빗장과 같이 기능적인 역할과 길상의 의미를 반영하였고 다양한 형태와 문양을 더해 장식적인 측면을 강조한 공예품으로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고찰한 전통 빗장과 자물쇠의 형태, 소재, 적용 문양, 상징적 의미 등을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전통 빗장과 자물쇠의 특성과 의미


Ⅲ. 연구 결과

1. 선호도 조사 결과

전통 빗장과 자물쇠를 모티브로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에 앞서 전통 문화상품과 전통 빗장 및 자물쇠에 대한 인식 정도, 전통 빗장과 자물쇠 유형에 대한 선호도, 적용되기를 희망하는 색과 선호하는 스카프 유형 등을 조사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 조사는 2018년 9월 1일부터 20일까지 전남 S시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15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143부를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연령과 성별의 인구 통계학적 항목과 전통 문화상품에 대한 인식정도, 전통 빗장과 자물쇠에 대한 인식 정도, 적용되기를 희망하는 색과 톤, 스카프 유형 등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전통 빗장과 자물쇠의 대표적인 유형을 사진과 함께 제시하여 형태에 대한 선호 순서를 파악하였고, 전통 빗장과 자물쇠의 형태를 강조하되 단순하게 도식화 처리한 기본 모티브 디자인을 제시하여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전통 빗장은 기본형, 제비, 거북이 형태의 세 가지 유형을 기반으로 디자인하였고, 전통 자물쇠는 ㄷ자형, 원통형, 함박형, 물고기, 거북이 형태의 다섯 가지 유형을 기반으로 디자인하여 선호 순서를 기입하도록 하였다.

조사 결과 응답자 연령은 모두 20대로 남성이 30.1%(43), 여성이 69.9%(100)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응답자 중 81.8%(117)가 전통 문화를 모티브로 한 패션문화상품에 대해 긍정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실제 구매 경험으로 이어진 경우는 28.7%(41)에 그쳐 소극적인 구매 양성을 나타냈다. 또한 전통 빗장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하는 경우가 63.6%(91)인 반면, 전통 자물쇠는 60.1%(86)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여 상반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전통 빗장과 자물쇠를 모티브로 한 패션문화상품이 개발될 경우 67.8%(97)가 구입할 의사가 있다고 답하여 활용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전통 빗장과 자물쇠 형태별로 대표적인 사진을 제시하여 선호도를 파악한 결과 전통 빗장은 단순한 직사각형태의 거북 빗장이 54.5%(78)로 가장 높은 선호를 나타냈고, 제비형 23.8%(34), 사실적 형태의 거북 빗장 21.7%(31)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 자물쇠는 ㄷ자형이 37.0%(53)로 가장 많았고, 거북형 23.8%(34), 물고기형 19.6%(28), 함박형 10.5%(15), 원통형 9.1%(13)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 빗장과 자물쇠의 형태를 기반으로 디자인한 기본 모티브디자인의 선호도를 조사결과 전통 빗장은 단순하게 양식화한 거북 빗장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여 이미지 원형에서 선호했던 순서와 동일하지만 사실적 형태의 거북 빗장, 제비 빗장 순으로 나타난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전통 자물쇠 역시 ㄷ자형이 가장 높게 나와 이미지 원형에서 선호했던 결과와 동일했으나, 거북형, 함박형, 물고기형, 원통형 순으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표 2>. 그리고 이들 기본 모티브디자인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는 전통 빗장과 자물쇠 모두 전통적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하학적 이미지, 자연적 이미지, 추상적 이미지의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전통 빗장과 자물쇠의 선호 형태와 선호 기본 모티브디자인N(%)

그리고 전통 빗장과 자물쇠를 모티브로 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시 표현되기를 희망하는 이미지는 모던한 이미지가 49.6%(71)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우아한 이미지 35.0%(50), 귀여운 이미지 8.4%(12), 화려한 이미지 7.0%(10) 순으로 파악되었다. 적용되기를 희망하는 색상은 무채색이 58.0%(83)로 가장 많았고, 레드 계열 18.9% (27), 블루 계열 10.5%(15), 그린 계열 7.7%(11), 옐로 계열 4.9%(7) 순으로 나타났으며, 색상 톤은 그레이쉬 톤이 53.1%(7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비비드, 파스텔, 브라이트 톤의 선호는 유사하게 나타나 모던하고 우아한 이미지 및 그레이쉬 톤의 무채색이 적용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선호하는 스카프 유형은 트윌리 스카프가 51.0%(73)로 가장 많았고, 롱 스카프 30.8%(44), 정사각형태의 스카프 18.2%(26)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하여 디자인 개발의 콘셉트는 전통 빗장과 자물쇠가 지닌 고유의 형태를 강조하여 전통의 우아함과 모던함이 조화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기본 모티브디자인은 선호도 조사결과를 고려하여 단순하게 양식화한 거북 빗장과 사실적 형태의 거북 빗장, ㄷ자형 자물쇠와 물고기형 자물쇠, 그리고 빗장과 자물쇠를 조합한 형태의 다섯 가지 유형을 적용하되, 각 유형별로 색상을 다르게 적용하여 변화를 모색하였다. 색과 색상 톤은 조사결과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무채색과 차분한 그레이쉬 톤 및 레드와 블루 계열의 밝고 선명한 비비드 톤을 활용하였고, 패턴디자인은 기본 모티브를 중심으로 반복, 회전, 반전 등 다양한 구성방법을 적용하여 각 모티브별로 세 가지 패턴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스카프 디자인은 직사각형태의 롱 스카프, 정사각형의 장방형 스카프, 트윌리 스카프의 세 가지 유형에 적용하였다.

2. 기본 모티브디자인과 패턴디자인

1) 단순한 형태의 거북이 빗장 활용 디자인

디자인 1은 거북이 머리와 몸통을 서로 다른 크기의 직사각 형태로 단순하게 표현한 거북 빗장을 활용한 것으로 직사각형을 강조하되 면 분할을 통해 빗장의 입체적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적용 색은 그레이와 블랙 등 무채색 계열을 활용하되 분할된 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적용하여 1a와 1b의 두 가지로 전개하였다. 1a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은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평이음 한 1a-1,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하프 드롭 패턴으로 전개한 1a-2, 상하좌우 반전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스퀘어 패턴으로 전개하여 직물의 짜임 이미지를 표현한 1a-3으로 전개하였다. 1b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은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사선 배치한 1b-1, 45도 회전시킨 두 개의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반복 단위로 하여 평이음 한 1b-2, 45도 회전시킨 네 개의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반복 단위로 하여 다이아몬드 패턴이미지를 표현한 1b-3으로 전개하여 변화를 모색하였다<표 3>.

단순한 형태의 거북이 빗장 활용 디자인

2) 사실적 형태의 거북이 빗장 활용 디자인

디자인 2는 사실적 형태의 거북 빗장을 활용한 것으로 거북이의 머리와 둥근 등껍질의 형상을 강조하고 등껍질의 귀갑문을 통해 기하학적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적용 색은 레드계열의 톤 온 톤 배색을 적용한 2a와 퍼플계열의 톤 온 톤 배색을 적용한 2b의 두 가지로 전개하였다. 2a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은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평이음 한 2a-1,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브릭 패턴 양식으로 전개한 2a-2, 상하좌우 회전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반복 단위삼아 레이아웃 한 2a-3으로 전개하였다. 2b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은 상하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반복단위로 하여 스퀘어 패턴으로 전개한 2b-1, 회전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사선 배치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나타난 2b-2, 좌우 반전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반복단위로 하여 평이음 한 2b-3으로 전개하여 변화를 모색하였다<표 4>.

사실적 형태의 거북이 빗장 활용 디자인

3) ㄷ자형 자물쇠 활용 디자인

디자인 3은 ㄷ자형 자물쇠를 활용한 것으로 좌우 귀퉁이 부분은 직사각 형태를 살려 면 분할하였고, 몸통부분은 만자문을 형상화하여 요철이미지가 표현되도록 디자인하였다. 또한 몸통과 귀퉁이의 중앙부분은 컷 아웃 시켜 바탕색에 따라 변화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적용 색은 블루 퍼플계열의 톤 온 톤 배색을 적용한 3a와 블루민트계열의 톤 온 톤 배색을 적용한 3b의 두 가지로 전개하였다. 3a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은 상하좌우 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반복단위로 배치하여 바둑판 패턴이미지로 전개한 3a-1,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하프 드롭 시켜 전개한 3a-2, 45도 회전 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사선 배치한 3a-3으로 전개하였다. 3b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은 상하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과 좌우 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활용하여 바둑판 패턴으로 전개한 3b-1, 상하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평이음 시켜 가로 스트라이프 이미지를 표현한 3b-2, 회전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 네 개를 반복단위로 평이음 하여 다이아몬드 패턴으로 전개한 3b-3으로 변화를 모색하였다<표 5>.

ㄷ자형 자물쇠 활용 디자인

4) 물고기형 자물쇠 활용 디자인

디자인 4는 물고기형 자물쇠를 활용한 것으로 자물쇠 고리부분을 살리고 물고기 형상을 단순화시켜 반원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적용 색은 밝고 선명한 블루와 레드를 활용하여 전통 오방색 이미지를 반영하였고, 물고기 머리와 꼬리 및 자물쇠 고리부분은 블랙, 화이트를 적용하여 단순하고 모던한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4a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은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스케일 패턴으로 전개한 4a-1, 상하좌우 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평이음 한 4a-2, 기본 모티브디자인 4a와 4b를 혼합하여 도트와 스트라이프 패턴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한 4a-3으로 전개하였다. 4b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은 상하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반복 단위로 전개하여 물결형상을 표현한 4b-1, 둥근 고리 형상으로 기본 모티브디자인 네 개를 조합하여 평이음 한 4b-2, 기본 모티브디자인 4a와 4b를 혼합하여 니팅 형상을 만들고 이를 가로 세로 조합하여 스퀘어 패턴 이미지로 전개한 4b-3으로 변화를 모색하였다<표 6>.

물고기형 자물쇠 활용 디자인

5) 함박형 자물쇠와 제비 빗장 활용 디자인

디자인 5는 함박형태 자물쇠를 기본으로 열쇠 구멍 부분을 강조하였고 자물쇠의 좌우 귀퉁이 부분에 제비 빗장 형태를 조합하여 디자인한 것이다. 적용 색은 그린과 옐로 계열을 중심으로 톤 인 톤 및 톤 온 톤 배색을 활용한 5a, 오렌지 계열의 톤 온 톤 배색과 옐로, 블루를 조합하여 포인트를 준 5b의 두 가지로 전개하였다. 5a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은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평이음 한 5a-1, 상하 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평이음 한 5a-2, 기본 모티브디자인 5a와 5b를 각각 상하좌우 반전하여 하나의 반복 단위로 삼고 브릭 패턴 방식으로 전개한 5a-3으로 전개하였다. 5b를 활용한 패턴디자인은 상하반전 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반복 단위로 하고 하프 드롭 패턴 방식으로 전개한 5b-1, 45도 회전 시킨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상하 반전 시켜 반복단위로 삼고 평이음 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표현한 5b-2, 기본 모티브디자인 5a와 5b를 각각 90도 회전 반복하여 반복단위로 삼고 다이아몬드 패턴이미지가 표현되도록 5b-3으로 디자인하였다<표 7>.

함박형 자물쇠와 제비 빗장 활용 디자인

3. 스카프 디자인

스카프는 직사각형의 롱 스카프, 정사각형의 장방형 스카프, 그리고 트윌리 스카프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여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스카프 디자인은 각 기본 모티브디자인별로 개발된 패턴디자인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을 적용하여 변화를 준 기본 모티브디자인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배경에 스트라이프나 바둑판 문양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레이아웃을 통해 디자인하였다<표 8>. 또한 정사각형 스카프의 경우 축소시켜 적용할 경우 쁘띠 스카프나 손수건으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고려하여 디자인하였다.

스카프 디자인

단순하게 양식화한 거북이 빗장을 모티브로 사용한 스카프 디자인 1s-1은 패턴디자인 1a-3을 활용하고 바탕에 바둑판 문양을 배치하여 레이아웃 하였고, 1s-2는 패턴디자인 1b-1을 전면에 배치하고 스카프 테두리를 블랙으로 처리하여 모던한 이미지를 강조하였으며, 1s-3은 패턴디자인 1b-3을 중앙에 레이아웃하고 상하좌우 배경에 1a-1을 배치하여 변화를 주었다.

사실적인 형태의 거북이 빗장을 모티브로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2s-1은 패턴디자인 2a-3과 2b-3을 각각 바둑판 문양으로 배치하여 서로 조합한 디자인이고, 2s-2는 패턴디자인 2a-1과 2b-1을 활용하여 스트라이프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디자인하였으며, 2s-3은 패턴디자인 2b-1과 가는 가로, 세로 스트라이프를 서로 교차하여 체크 문양 같은 이미지를 표현한 배경을 조합하여 디자인하였다.

ㄷ자 형태의 자물쇠를 모티브로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3s-1은 패턴디자인 3a-2를 상하에 반전시켜 배치하고 중앙에는 3a-1을 배치하되 배경 색상을 다르게 적용하여 화려하면서도 모던한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고, 3s-2는 패턴디자인 3b-2와 3b-3을 조합하고 선명한 레드 계열을 배경 색으로 적용하여 변화를 주었으며, 3s-3은 스카프 테두리부분에는 패턴디자인 3a-1을 적용하고 중앙에는 3b-1과 3a-1을 서로 조합하여 배치함으로써 모던한 이미지를 강조한 디자인이다.

단순하게 양식화한 물고기 형태의 자물쇠를 모티브로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4s-1은 패턴디자인 4b-2와 가는 선을 조합하여 가로 스트라이프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4s-2는 패턴디자인 4a-1을 전면에 배치하여 유동적인 곡선의 이미지를 강조하였으며, 4s-3은 기본 모티브디자인 4a와 4b를 서로 조합하여 스퀘어 패턴 이미지로 전개한 4b-3을 활용하여 디자인하였다.

함박형태 자물쇠와 제비형태 빗장을 조합한 모티브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5s-1은 패턴디자인 5a-2를 상하에 배치하고 중앙에는 5b-3을 적용하여 모던하면서도 화려한 이미지를 강조하였고, 5s-2는 패턴디자인 5a-1을 전면에 배치하되 보색대비를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을 배경에 배치하여 모티브디자인이 강조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으며, 5s-3은 5b-3을 전면에 배치하고 다이아몬드 패턴을 배경에 조합하여 변화를 주었다.

이상에서 개발한 스카프 디자인은 선호도 조사결과 가장 높게 나타난 트윌리 스카프, 그리고 다음 선호도로 파악된 롱 스카프의 두 가지 유형에 적용하여 총 7점을 실제 제작하였다. 모두 디지털 프린팅을 활용하였고, 트윌리 스카프는 실크 새틴 소재에 6×120cm 사이즈로 5점, 롱 스카프는 실크 시폰 소재에 60×160cm 사이즈로 2점 제작하였다[그림 10].

[그림 10]

트윌리 스카프와 롱 스카프


Ⅴ. 결론

조상의 얼과 미적 감성이 반영된 고유의 문화 자원은 다양한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의 보고이자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전통 빗장과 자물쇠를 모티브로 스카프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전통 공예문화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고부가가치 패션문화상품 확산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 빗장과 자물쇠는 한국 공예문화를 대표하는 장석의 일종으로 잠근다는 기능적인 측면은 물론 다양한 형태와 장식을 통해 심미적인 측면과 상징적인 길상의 의미까지도 반영한 문화유산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스카프 디자인 개발에 앞서 전통 문화상품과 전통 빗장 및 자물쇠에 대한 인식 정도, 전통 빗장과 자물쇠 유형에 대한 선호도, 적용되기를 희망하는 색과 선호하는 스카프 유형 등을 조사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한 패션문화상품에 대해 긍정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 구매 경험으로 이어진 경우는 저조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자물쇠에 반해 빗장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 빗장과 자물쇠의 이미지 원형이나 이를 기반으로 한 기본 모티브디자인에 대한 선호도는 모두 단순한 형태의 거북 빗장과 기본형인 ㄷ자형 자물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제시한 기본 모티브디자인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는 전통 빗장과 자물쇠 모두 전통적 이미지와 기하학적 이미지가 높게 나타나 디자인 의도와 부합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기본 모티브디자인은 전통 빗장과 자물쇠의 이미지 원형 및 기본 모티브디자인에 대한 선호도 결과를 참고하여 단순하게 양식화 한 거북 빗장, 사실적인 형태의 거북 빗장, ㄷ자형 자물쇠, 물고기형 자물쇠, 함박형태 자물쇠와 제비 빗장을 조합한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였으며, 빗장과 자물쇠의 형태적 특성을 부각시켜 전통적 이미지를 강조하고 기하학적인 조형미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색상은 우아하면서도 모던한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고, 톤 인 톤, 톤 온 톤, 액센트 배색기법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서로 다른 색상을 적용하여 변화를 준 두 가지 유형으로 확장시켜 총 10개로 전개하였고, 패턴디자인은 기본 모티브디자인의 반복, 회전, 상하좌우 반전 등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전개함으로써 총 30개의 패턴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넷째, 스카프는 롱 스카프, 정사각형 스카프, 트윌리 스카프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하였고, 실제 제작은 스카프 유형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트윌리와 롱 스카프로 제작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통 빗장과 자물쇠가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무한한 가치를 잠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통 빗장이나 자물쇠를 활용한 시판 문화상품이 키홀더 같은 생활 잡화나 일부 액세서리로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문양으로 활용한다면 보다 다양한 디자인 제품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특정 도시의 20대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선호도 조사를 기반으로 한 한계점이 있으나, 그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전통 문화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디자인 개발가능성을 탐색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본 모티브나 패턴디자인을 스카프 디자인으로만 제시하였으나, 의류나 넥타이, 손수건, 파우치, 백 등 텍스타일 기반의 여러 패션문화상품은 물론 다양한 소재를 적용한 펜던트나 브로치, 참 장식 등에 적용한다면 활용가능성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첨단 과학기술의 시대가 진화를 거듭하고 있지만 동시에 자국의 고유한 문화자원에 대한 새로운 가치 발굴 역시 강조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보다 창의적인 관점에서 전통 문화의 활용이 확산되기를 바란다.

References

[그림 1]

[그림 1]
거북형 빗장<출처> 최효진, 이진우, 2008, p.10

[그림 2]

[그림 2]
거북형 빗장<출처> http://lockmuseum.co.kr/project-category/%EB%B9%97%EC%9E%A5/

[그림 3]

[그림 3]
제비형 빗장<출처> 최효진, 이진우, 2008, p.76

[그림 4]

[그림 4]
물고기형 빗장<출처> 최효진, 이진우, 2008, p.74

[그림 5]

[그림 5]
ㄷ자형 자물쇠<출처> 홍정실, 1990, p.48

[그림 6]

[그림 6]
원통형 자물쇠<출처>https://bit.ly/2Ru5Yg1

[그림 7]

[그림 7]
함박형 자물쇠<출처> 홍정실, 1990, p.51

[그림 8]

[그림 8]
거북이형 자물쇠<출처> https://bit.ly/2FDTrQm

[그림 9]

[그림 9]
물고기형 자물쇠<출처> https://bit.ly/2ANWr9v

[그림 10]

[그림 10]
쌍룡형 자물쇠<출처> https://bit.ly/2Ru5Yg1

[그림 10]

[그림 10]
트윌리 스카프와 롱 스카프

<표 1>

전통 빗장과 자물쇠의 특성과 의미

전통 빗장 전통 자물쇠
형태 -거북이, 물고기, 제비, 오리, 학 등 -기본형: ㄷ자형, 원통형, 함박형태
-물형: 거북이, 물고기, 쌍룡, 박쥐 형태
소재 -나무, 쇠 -금동, 백동, 황동 등의 철제
개폐 방식 -벽에 구멍을 내어 둔테를 부착하는 방식
-문에 둔테를 부착하는 방식
-열쇠를 꽂아 넣으면 열리는 방식
-몇 단계를 거쳐야 열리는 방식
문양 -나뭇결을 살리거나, 태극, 귀갑문 등 길상 문양을 새김 -자연문양: 식물(연화문, 모란,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소나무, 당초문, 보상화문 등), 동물(봉황, 학, 용, 나비, 거북, 박쥐, 물고기 등)
-기하학문양: 태극, 팔괘, 만자문 등
-문자문양: 길상어문, 효제어문 등
상징성 -거북이: 무병장수, 수호, 우주, 다산, 번창
-물고기: 화재예방, 보안, 수호, 다산, 풍요
-제비, 오리: 복, 행복
-학: 장수, 평화
-거북이: 무병장수, 수호방패
-물고기: 수호방패, 다산, 풍요
-용: 신화, 왕권
-박쥐: 다산, 득남, 장수, 부, 덕, 오복
-자연, 기하학, 문자문양을 통해 길상 의미 반영

<표 2>

전통 빗장과 자물쇠의 선호 형태와 선호 기본 모티브디자인N(%)

선호하는 형태 선호하는 기본 모티브디자인
전통 빗장 전통 자물쇠 전통 빗장 전통 자물쇠
단순한 거북이형 78(54.5) ㄷ자형 53(37.0) 단순한 거북이형 82(57.3) ㄷ자형 62(43.3)
제비형 34(23.8) 물고기형 34(23.8) 제비형 29(20.3) 물고기형 21(14.7)
거북이형 28(19.6) 거북이형 28(19.6)
사실적 거북이형 31(21.7) 함박형 15(10.5) 사실적 거북이형 32(22.4) 함박형 24(16.8)
원통형 13(9.1) 원통형 8(5.6)
143(100) 143(100) 143(100) 143(100)

<표 3>

단순한 형태의 거북이 빗장 활용 디자인

기본 모티브디자인 적용 색상 패턴디자인
K 30, 60, 90
1a 1a-1 1a-2 1a-3
K 30, 60, 90
1b 1b-1 1b-2 1b-3

<표 4>

사실적 형태의 거북이 빗장 활용 디자인

기본 모티브디자인 적용 색상 패턴디자인
Pantone P65-1U, P65-4U, P55-13U, P62-13U, P63-7U
2a 2a-1 2a-2 2a-3
Pantone P93-2U, P93-4U. P99-5U, P88-6U, P91-8U
2b 2b-1 2b-2 2b-3

<표 5>

ㄷ자형 자물쇠 활용 디자인

기본 모티브디자인 적용 색상 패턴디자인
Pantone P104-10U, 7452CP
3a 3a-1 3a-2 3a-3
Pantone 629CP, P125-11U, P119-6U
3b 3b-1 3b-2 3b-3

<표 6>

물고기형 자물쇠 활용 디자인

기본 모티브디자인 적용 색상 패턴디자인
Pantone P179-1U, P52-8U, P179-16U
4a 4a-1 4a-2 4a-3
Pantone P179-1U, P99-16U, P179-16U
4b 4b-1 4b-2 4b-3

<표 7>

함박형 자물쇠와 제비 빗장 활용 디자인

기본 모티브디자인 적용 색상 패턴디자인
Pantone P163-1U, 619CP, P162-16U, P17-7U, P19-8U
5a 5a-1 5a-2 5a-3
Pantone P1-7U, P34-7U. P41-16U, P30-3U, 2735CP
5b 5b-1 5b-2 5b-3

<표 8>

스카프 디자인

1 1s-1 1s-3
1s-2
2 2s-1 2s-3
2s-2
3 3s-1 3s-3
3s-2
4 4s-1 4s-3
4s-2
5 5s-1 5s-3
5s-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