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JHE - Vol. 23, No. 3, pp.501-514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Jun 2014
Received 12 Mar 2014 Revised 12 May 2014 Accepted 05 Jun 2014
DOI: https://doi.org/10.5934/kjhe.2014.23.3.501

The Visual Evaluation for the Skirt of Women in 20s and 30s

ChoiKyung Ok ; LeeYoung Ju*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
20·30대 성인여성의 스커트에 대한 시각적 평가

Correspondence to: * Lee, Young Ju Tel: 051-663-4667 Email: young99@ks.ac.kr

In this study, visual images were analyzed with the representative seven kinds of selected skirts, by the differences of shape and length which are affecting to the images of skirt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skirt design and patterns those are appropriate to the preferred images of 20-30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zed by the visual evaluation about the composing factors are as follows. Factor 1 is a Cute image factor, factor 2 is a charming image factor, factor 3 is a transversal factor, Factor 4 is active image factor, Factor 5 was classified as a longitudinal factors.

Second, analyzed by the visua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hape and length of the skirt, 20-30s women's most preferred form of the skirt is pleated skirt which was highly evaluated looks good, beautiful, favorite, attractive factors. Non-prefered skirts are gored skirt which was highly evaluated not corny, not pretty, heavy, unattractive factors and gored skirt which was negatively evaluated with classic and dislike factors. In the length of skirt, the knee length short skirt is attractive, active and positively evaluated by the 20-30s women than long skir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almost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groups of 20-30s women. They are more affected from the length of the skirt rather than the shape.

Keywords:

Skirt, Visual evaluation, Skirt shape, Skirt length, 스커트, 시각적 평가, 스커트 형태, 스커트 길이

Ⅰ. 서 론

스커트는 서양식 여자 하의의 한 종류로 중세 초기 남녀복식이 구별되면서 여성 전용 하의로 발전되었으며, 여성복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아이템으로 모양은 단순하지만 시대에 따라 길이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스커트의 형태는 크게 길이와 외곽선의 실루엣에 따라 분류되는데 스커트의 실루엣을 형성하는 요소는 스커트의 길이, 넓이, 절개선이며 허리의 위치, 플리츠나 개더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나타내며 같은 패턴이라도 옷감의 경연감에 따라 실루엣이 변한다(Lee & Choi, 2010).

스커트는 상의에 비해 형태가 간단하다고 볼 수 있으나 허리, 배, 엉덩이 등의 디자인 변화를 통해 기능성뿐 만 아니라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의복의 실루엣이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온 것 같이 스커트도 시대와 유행에 따라 형태와 길이가 변화되면서 그 시대의 트랜드를 반영하여 왔다. 특히 스커트의 길이는 유행에 따라 변화가 가장 큰 요인으로 무릎을 기준으로 하여 롱에서 부터 쇼트까지 다양한 길이의 스커트가 시대에 따라 유행하였다.

의복은 인체에 착용됨으로서 완성되어지는 복식조형으로 착용자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외적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오늘날 사람들은 의복과 인체의 조화에 의해 만들 수 있는 매력을 끊임없이 찾으면서 자신의 외모가 타인에게 어떻게 보여 질 것인가에 큰 관심을 가진다. 즉 의복이 갖는 시각적 효과는 인간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의복을 통한 시각적 평가는 자신의 이미지 결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Horn & Gurel, 1981). 그러므로 의복의 아이템별 형태에 따른 시각적 평가에 대한 연구는 생산자들이 자신들이 타깃으로 하는 소비자에게 적합한 의복 디자인 전개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소비자들에게는 착용자의 개성이나 이미지 표현을 위한 또 소비자가 선호하며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적합한 의복 선택과 착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모든 연령의 여성들이 즐겨 착용하는 의복으로 실내복에서 부터 이브닝드레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나 형태로 착용되고 있어 자신에게 어울리는 이미지 창출이나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를 원하는 여성들을 위한 스커트 디자인과 코디네이션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에는 각각의 개성을 가진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돋보이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스커트가 함께 공존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스커트 형태나 길이에 대한 시각적 평가에 대한 연구는 각 연령에 따라 자신의 이미지에 적합한 또는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적합한 스커트 착용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스커트의 형태와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에 대한 연구는 상의에 대한 이미지나 시각적 평가 연구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스커트 형태와 길이에 따라 시각적 평가에는 차이가 있는지와 연령에 따라 시각적 평가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 선행 연구

1. 스커트에 관한 연구

패션을 분석하는 많은 사람들은 패션의 변화를 실루엣이나 스커트의 길이에 대한 변화라고 생각하며 길이와 경제상황을 연관시켜 해석하기도 한다. 스커트에 관한 선행연구를 보면 스커트의 길이나 실루엣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으로 스커트의 형태와 길이, 연령을 함께 비교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Jung(1989)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20대 여성은 낮은 허리선, 허리선 분할 면적이 넓은 디자인, 넓은 세로 주름, 굵은 가로선 디자인과 수평선 방향의 디자인을 선호하고 40·50대 여성은 중간허리선, 허리선 분할 면적이 좁은 디자인, 중간 넓이의 세로선 주름과 수직선 디자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여성의 가치관과 의복디자인 기호와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Lee(1987)는 성인 여성이 여대생보다 곡선적이고 드레시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반면 여대생은 직선적인 스포티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H-Line을 가장 선호하고 다음으로 성인 여성은 A-Line(Bell)을, 여대생은 Y-Line을 선호하며, 여성적인 부풀린 실루엣(Bouffant)은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고 하였다. Lee 와 Choi(2010)에 따르면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남녀 모두 플레어 스커트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선호도가 낮은 스커트는 남자 대학생은 A-Line스커트를, 여자 대학생은 플리츠 스커트와 랩 어라운드 스커트였다고 하였다. 의복의 미의식에 대해 고찰한 Yoon(1980)의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대는 외형선을 살린 형태(Hourglass Line)를 선호하고 30·40·50대에서는 아랫부분이 퍼지는 듯한 A-Line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의복의 시각효과는 인체의 형태와 의복의 형태, 착용방식 등이 어우러져 체형의 지각에 착시현상을 일으킴으로써 착용자를 돋보이게 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시각적 평가는 신체적 특징과 이미지적 특징의 조화로 나타나는 결과라 할 수 있다(Lee & Kim, 2006).

스커트 선행 연구 중에서도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Gu(2007)는 고어수와 플레어의 시작위치, 플레어 분량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를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는데, 고어 수의 변화에 따라 지각하는 이미지에 차이가 있었고, 6고어는 시각적 이미지 평가에서 가장 부정적인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플레어의 시작위치는 전면, 측면, 후면 모두 시작위치가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플레어 분량은 5cm인 고어 스커트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Park et al.(2000)은 의복의 형태, 관찰자의 특성에 따른 이미지의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의복의 형태에 따라서는 성숙성, 경연성, 매력성, 현시성, 활동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관찰자의 특성에 따라 의복의 형태별 이미지 차이를 보았을 때는 남자보다 여자가 H, A, V-line을 성숙성, 매력성 요인을 높이 평가하였고, 신장이 큰 집단이 O, X-line에서 매력, 성숙성, 현시성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로러지수가 큰 집단은 H, A, O-line에서 성숙성, 매력성을 높이 평가하고, 허리둘레/엉덩이 둘레가 낮은 집단이 H, A-line에서 활동성 요인을 높이 평가하였다. 플리츠 스커트의 플리츠 수와 스커트 길이 변화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알아본 Kim과 Lee(2009)의 연구 결과에서는 스커트 길이가 짧을수록 키가 커 보이고 다리가 길어 보이며 허리가 가늘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플리츠 수 보다는 스커트 길이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재킷과 스커트의 비율 변화에 따라 느껴지는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연구에서 Oh(1998)는 재킷에 대한 스커트 길이 비는 매력성 요인에서 1:1.14가 가장 높은 유의도를 보였는데 이는 연구 당시의 유행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재킷과 스커트의 1:1 비례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는 전체길이가 길면 비례에 상관없이 성숙한 이미지를 주었고, 시각적으로 익숙한 길이에 대해 매력적으로 평가하였다. Hong(1996)은 스커트의 외관에 대한 이미지 평가를 위하여 스커트의 앞면을 A-line으로, 뒷면을 개더 스커트로 제작하고, 이미지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Image processing을 통해 스커트의 외관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직물의 역학적 성질과의 관계를 밝히고 의복의 외관평가를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Ⅲ.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커트 형태와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구성 요인을 분석한다.

둘째. 스커트 형태와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구성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다.

셋째. 스커트 형태와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연령 별 차이를 분석한다.

2. 조사대상 및 기간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부산시에 거주하거나 생활 중심지가 부산인 성인 여성(20세~39세)으로 연령 분포를 고려하여 편의 표본 추출 방법에 의해 표집하였다. 조사기간은 2012년 8월부터 9월 사이에 의상전공자와 일반 성인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 조사의 분석 결과를 수정·보완하여 2012년 10월부터 12월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3. 조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의 스커트 형태와 길이에 따른 스커트 선호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스커트 형태는 의복 구성학 책(Jung & Im 2003; Kim 1998; Kim & Lee, 2006; Lee, 1999; Lee, 1998; Lee & Nam, 2001; Ou, M. K., & Kim 1999) 8권에 공통으로 제시되어 있는 타이트, A-Line, 플레어, 개더, 플리츠, 랩어라운드, 고어드 스커트 7종류를 선택하였다. 스커트 제작을 위해 사용된 패턴은 본 연구를 위해 선택된 7종류의 스커트 패턴이 모두 제시되어 있는 Ou & Kim(1999)의 패턴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총 200부를 배부하여, 기재미비 등 연구 자료로 적당하지 못한 15부를 제외한 185부(20대 93부, 30대 92부)를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4. 자극물

1) 스커트 제작

가장 기본이 되는 스커트 종류 7가지(타이트, A-Line, 플레어, 개더, 플리츠, 랩어라운드, 고어드 스커트)를 제작하였다. 제작에 사용한 시료의 물성은 광목으로 구조는 평직, 중량은 146.0g/㎡, 두께는 0.380mm, 밀도는 60×58/inch이다.

2) 스커트 길이

스커트 길이는 내추럴라인(샤넬라인)인 무릎길이를 기준으로 제작하여 20대 평균키인 여성에게 착장시켜 예비 실험을 걸쳐 무릎라인에 근접하다고 평가한 55cm 길이를 제작 한 후 무릎길이를 중심으로 무릎위로 각각 5cm, 10cm를 올리고, 아래로 각각 5cm, 10cm 내려서 실험한 결과 5cm는 차이가 미비하여 제외시켰다. 스커트 길이는 무릎위길이(45cm), 무릎길이(55cm), 무릎아래길이(65cm)로 3단계로 구분하여 7종류의 스커트 21벌을 제작하였다.

3) 자극물 제시 방법

의복 자극물은 2010년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사업(Size-Korea 사업)에서 19-24세에 해당하는 여성의 평균치 분포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키 161cm, 허리둘레 66cm, 엉덩이 둘레 91cm를 기준으로 하여 광목으로 제작하여 평균치에 적합한 20대 여성에게 착장시킨 후 사진촬영 후 편견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체를 뺀 사진으로 제시하였다[Figure.1].

5. 측정도구

1) 평가척도 구성

스커트 형태(종류, 모양, 디자인) 및 길이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의 선정은 예비실험을 통하여 추출된 용어와 선행연구(Kim, 2004; Lee, 2005; Park et al, 2003)를 바탕으로 시각적 효과를 위한 항목과 시각적 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한 25쌍의 형용사쌍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평가항목과 형용사쌍을 예비조사에서 적합성 여부를 실험하여 부적절한 것으로 평가된 형용사 3개의 항목을 제외한 21쌍의 형용사쌍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평가자에게 제시할때는 무작위로 배치하여 5단계 평정법으로, 왼쪽에 배치된 용어에 1점, 오른쪽에 배치된 용어에 5점을 부여하였다.


Ⅳ. 연구 결과

<Visual evaluation word>

1. 스커트 형태와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구성요인 분석

1) 스커트의 시각적 평가에 따른 요인 분석

20·3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21종류의 스커트에 대한 시각적 평가를 요인 분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요인 1은 ‘발랄한-점잖은’, ‘어려보이는-성숙한’, ‘개방적인-보수적인’, ‘특이한-무난한’, ‘캐주얼한-정장스러운’, ‘화려한-수수한’, ‘귀여운-노숙한’, ‘경쾌한-무거운’ 의 시각적 평가용어로 이루어져 귀여운 이미지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 ‘세련된-촌스러운’, ‘보기좋은-보기싫은’, ‘좋아하는-싫어하는’, ‘예쁜-예쁘지않은’, ‘품위있는-품위없는’, ‘매력있는-매력없는’, ‘현대적인-고전적인’, ‘섹시한-섹시하지않은’, ‘여성적인-여성적이지 않은’ 의 시각적 평가용어로 이루어져 매력적 이미지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3은 ‘종아리가 가늘어보이는-종아리가 굵어보이는’, ‘발목이 가늘어보이는-발목이 굵어보이는’, ‘배가 나와보이지 않는-배가 나와보이는’, ‘날씬해보이는-뚱뚱해보이는’, ‘엉덩이가 작아보이는-엉덩이가 커보이는’의 시각적 평가용어로 이루어져 횡적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4는 ‘편안한-불편한’, ‘활동적인-활동적이지않은’, ‘부드러운-딱딱한’, ‘실용적인-실용적이지 않은’ 의 시각적 평가용어로 이루어져 활동적 이미지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5는 ‘키가 작아보이는-키가 커보이는’, ‘다리가 짧아보이는-다리가 길어보이는’의 시각적 평가용어로 이루어져 종적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스커트 형태에 따른 요인분석 결과 1요인, 2요인, 4요인은 시각적 이미지와 관련된 요인으로 3요인, 5요인은 시각적 효과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Factor analysis due to the Visual evaluation of skirt

[Figure 1]

Skirt shape

2) 스커트 형태에 따른 시각적 평가 분석

<Table 2>의 스커트형태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스커트 형태가 시각적 평가에 큰 차이를 나타내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활동적인-활동적이지 않은’, ‘편안한-불편한’ 항목이 가장 유의차가 높게 나타났으며, ‘발랄한-점잖은’, ‘부드러운-딱딱한’, ‘캐주얼한-정장스러운’ 순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스커트 길이보다는 형태에 따라 활동성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커트 형태에 따른 평가항목에 대한 시각적 평가의 차이를 보면 타이트 스커트는 캐주얼한, 경쾌한, 여성적인, 활동적인 스커트로 평가되었다. 랩어라운드 스커트는 세련된, 현대적인, 품위있는, 섹시한, 날씬해보이는, 키가 커보이는, 다리가 길어보이는 등의 항목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다른 스커트 형태에 비해 노숙한, 활동적이지 않은, 딱딱한, 불편한 항목에서 높게 나타나 활동적인 이미지 요인에서 긍정적이지 않은 평가를 많이 받은 스커트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A-line 스커트는 촌스러운, 보기 싫은, 싫어하는, 고전적인, 실용적이지 않은, 다리가 짧아보이는 등의 항목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고어드 스커트도 보수적인, 무거운, 수수한, 점잖은, 무난한, 성숙한, 예쁘지 않은, 매력없는, 섹시하지 않은, 키가 작아보이는, 종아리가 굵어보이는, 발목이 굵어보이는 등의 항목에서 높게 평가되어 전체적으로 나이들어 보이면서 보수적인 스커트 형태로 평가를 받아 20·30대 여성들이 매력없는 스커트 이미지로 평가하였다. 플레어 스커트는 다른 스커트 형태보다 현대적인, 엉덩이가 작아보이는, 배가 나와보이지 않는, 날씬해보이는 항목에서 높게 나타나 날씬해보이는 스커트 형태로 평가되었다. 개더 스커트는 발랄한, 어려보이는, 개방적인, 캐주얼한, 귀여운 등의 항목에서 높게 나타나 귀여운 이미지의 스커트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횡적 요인에서 배가 나와보이는, 뚱뚱해보이는, 엉덩이가 커보이는 등의 항목에서 높게 나타나 플레어 스커트와는 반대의 이미지 스커트 형태로 나타났다. 플리츠 스커트는 발랄한, 화려한, 경쾌한, 보기좋은, 좋아하는, 매력있는, 여성적인, 활동적인, 편안한, 부드러운, 실용적인, 예쁜, 발목이 가늘어보이는 등의 많은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고, 활동적 이미지 요인인 4요인에서 모두 높게 나타나 실험에 사용된 일곱가지 스커트 형태 중에서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많이 받은 스커트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20·30대 여성들은 보기좋은, 예쁜, 좋아하는, 매력있는 항목 모두에서 높게 평가된 플리츠 스커트를 다른 스커트 형태에 비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시각적 평가를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고어드 스커트에 대해서는 노숙한, 촌스러운, 예쁘지 않은, 무거운, 매력없는, 섹시하지 않은, 종아리가 굵어보이는, 발목이 굵어보이는 스커트로 평가하였고 A-line 스커트도 보기싫은, 고전적인, 싫어하는 스커트로 평가 하였다.

Visual evaluation of the skirt shape

3) 스커트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 분석

<Table 3>의 스커트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스커트 길이도 스커트 형태처럼 스커트의 시각적 평가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평가항목 중 ‘귀여운-노숙한’ 항목이 스커트 길이에 따라 유의차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려보이는-성숙한’, ‘개방적인-보수적인’, ‘경쾌한-무거운’ 순으로 유의차가 높게 나타나 귀여운 이미지 요인과 관련된 평가항목에서 스커트 길이에 따라 유의차가 높게 나타나 스커트 길이가 스커트의 귀여운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즉 귀여운 이미지의 스커트 디자인 시 가장 고려되어야 할 요인이 스커트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무릎위길이(45cm)의 스커트에서는 귀여운, 활동적인, 세련된, 보기좋은, 현대적인, 화려한, 발랄한, 어려보이는, 예쁜, 개방적인, 좋아하는, 경쾌한, 매력있는, 캐주얼한, 날씬해보이는, 종아리가 가늘어보이는, 발목이 가늘어보이는, 다리가 길어보이는 등의 거의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나 무릎위까지 오는 짧은 길이의 스커트가 20·30대 여성들에게 길이가 긴 스커트보다 매력적이면서 활동적이고 좋아하는 스커트 길이로 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무릎길이(55cm)의 스커트는 불편한, 품위없는 항목에서 높게 나타나 무릎까지 오는 길이의 스커트가 짧은 길이의 스커트에 비해 부정적으로 평가됨을 알 수 있었고 무릎아래길이(65cm)의 스커트는 보수적인, 성숙한, 노숙한, 섹시하지않은, 촌스러운, 다리가 짧아보이는, 키가 작아보이는 등의 종적 요인 항목에서 높게 나타나 긴 길이의 스커트가 짧은 길이의 스커트보다 키가 작아 보이면서 다리도 짧아 보인다고 평가하였다. 이것은 치마길이가 종아리까지 내려와 다리 노출 부위가 적어지면서 다리가 짧아보이고 촌스럽고 노숙하고 보수적이라고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스커트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플리츠 스커트의 플리츠 수와 스커트 길이 변화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연구한 (Kim & Lee, 2009)의 결과에서와 같이 스커트 길이가 짧을수록 키가 커 보이고 다리가 길어 보이며 가늘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스커트형태 보다는 스커트 길이에 의하여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스커트는 외곽선인 실루엣이나 스커트의 형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길이에 의해 이미지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Visual evaluation of the skirt length

2. 스커트 형태와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구성요인별 차이 분석

1) 스커트형태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요인별 차이분석

<Table 4> 20·30대 여성들의 스커트 형태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요인별 차이를 평가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스커트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 중 활동적 이미지 요인이 가장 높은 유의차를 나타내었고 귀여운 이미지 요인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귀여운 이미지 요인에서는 플리츠 스커트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고 다음으로 개더 스커트, 타이트 스커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고어드 스커트는 귀여운 이미지 요인에서 가장 낮은 스커트 형태로 평가되었다. 매력적 이미지 요인에서는 랩어라운드 스커트와 플리츠 스커트가 다른 스커트 형태에 비해 매력적으로 평가하였고 다음으로 타이트 스커트, 플레어 스커트 순으로 나타났으며, 고어드 스커트와 A-Line 스커트가 매력적인 이미지가 낮은 스커트로 평가되었다. 횡적 효과 요인에서는 플레어 스커트가 가장 날씬한 보이는 스커트 형태로 개더 스커트가 가장 뚱뚱해 보이는 스커트 형태로 평가되었다. 이것은 20대 남녀 대학생들의 플레어 스커트를 날씬해 보이는 스커트로 개더 스커트를 뚱뚱해 보이는 스커트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난 Lee와 Choi(2010)의 연구에서와 같은 결과이다. 개더 스커트의 형태를 볼 때 허리부분에 주름이 잡혀있어 배부분이 주름에 의해 부풀어 보이므로 개더 스커트를 볼 때 뚱뚱해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활동적 이미지 요인에서는 플리츠 스커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개더 스커트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더 스커트와 플리츠 스커트의 경우 주름에 의해 밑으로 내려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이므로 다리의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활동적 이미지로 평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종적효과 요인은 랩어라운드 스커트, 플레어 스커트, 타이트 스커트 순으로 키가 커 보인다고 평가하였고 반대로 A-Line 스커트와 고어드 스커트가 키가 작아보이는, 다리가 짧아보이는 스커트 형태로 평가되었다.

Factor differences of the Visual evaluation for the skirt shape

2) 스커트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요인별 차이 분석

<Table 5>의 스커트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그 중 귀여운 이미지 요인이 스커트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에서 유의차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귀여운 이미지 요인에서는 무릎 위길이(45cm)가 가장 높게 평가되어 가장 귀여운 이미지의 스커트로 평가되었다. 무릎 아래길이(65cm)가 귀여운 이미지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매력적 이미지 요인과 활동적 이미지 요인, 횡적 효과 요인, 종적 효과 요인 모두에서도 무릎위 길이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무릎아래길이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Factor differences of the Visual evaluation for the skirt length

3. 스커트 형태와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 요인의 연령별 차이 분석

1) 스커트 형태에 따른 시각적 평가 요인의 연령별 차이 분석

<Table 6> 스커트형태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면 플레어 스커트를 제외한 다른 형태의 스커트에서는 시각적 요인이 연령에 따라 유의차가 나타났고, 그 중 랩어라운드 스커트가 시각적 요인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차가 많이 나타났다.

귀여운 이미지 요인에서는 랩어라운드 스커트, A-Line 스커트, 고어드 스커트, 개더 스커트, 플리츠 스커트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랩어라운드 스커트, A-Line 스커트, 고어드 스커트는 30대가 20대에 비해 귀여운 이미지의 스커트 형태라고 평가한 반면 개더 스커트와 플리츠 스커트는 20대가 30대에 비해 귀여운 이미지라고 평가하였다. 그러므로 30대는 귀여운 이미지의 스커트를 A-Line 이나 H라인의 실루엣을 20대는 풍성한 느낌의 주름이나 개더가 들어간 형태의 스커트를 귀여운 이미지로 생각하므로 20대와 30대의 귀여운 이미지 스커트 디자인 시 스커트 형태에 차이를 두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매력적 이미지요인에서는 랩어라운드 스커트와 A-Line 스커트, 고어드 스커트가 유의차가 나타났는데 20대는 랩어라운드 스커트와 고어드 스커트, 30대는 A-Line 스커트를 더 매력적 이미지 스커트 형태로 평가하였다. 활동적 이미지 요인에서는 20대는 30대에 비해 타이트 스커트, 개더 스커트, 플리츠 스커트가 활동적인 이미지의 스커트로 평가하였다. 반면에 랩어라운드 스커트, A-Line 스커트는 30대가 20대에 비해 활동적인 스커트형태라고 평가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20대에 비해 직장생활을 많이 하는 30대 여성들은 정장 스커트를 착용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20대에 비해 실제 착용했을 때 활동을 크게 제약하지 않는 형태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종적 효과 요인에서는 랩어라운드 스커트가 유의차가 높게 나타났는데 30대가 더 높게 평가하였다.

스커트 형태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연령별 차이를 본 결과 연령에 따라 귀여운 이미지요인과 활동적 이미지요인에서 차이를 많이 나타냈으며 시각적 효과에 비해 시각적 이미지에서 연령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Age differences of the Visual evaluation for the skirt shape

2) 스커트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 요인의 연령별 차이 분석

<Table 7>의 스커트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연령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매력적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스커트 길이에 따라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귀여운 이미지 요인에서는 55cm 길이의 스커트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차가 나타났는데 55cm 스커트 길이에서 20대에 비해 30대 여성들이 더 귀여운 이미지의 스커트 길이로 평가하였다. 횡적 효과 요인에서는 스커트 길이가 65cm일 때 연령에 따라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20대에서 30대에 비해 65cm 스커트 길이가 더 길어 보이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활동적 이미지 요인에서는 스커트 길이가 65cm일 때 연령에 따라 유의차가 20대가 30대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종적 효과 요인에서는 55cm와 65cm일 때 유의차가 나타났는데 20대에서는 55cm일 때, 30대에서는 65cm에서 유의차가 높게 나타나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연령별 시각적 평가는 스커트 길이 보다는 스커트 형태에 따라 차이가 큼을 알 수 있다.

Age differences of the Visual evaluation for the skirt length


Ⅴ. 결론

20·3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복의 대표적인 아이템인 스커트를 형태와 길이로 분류하여 시각적 평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커트 형태와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구성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요인 1은 귀여운 이미지 요인, 요인 2는 매력적 이미지 요인, 요인 3은 횡적 요인, 요인 4는 활동적 이미지 요인, 요인 5는 종적 요인으로 분류되어 크게 이미지와 관련된 요인과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스커트 형태와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를 분석한 결과 플리츠 스커트는 보기좋은, 예쁜, 좋아하는, 매력있는 항목 모두에서 높게 평가되어 20·30대 여성들이 긍정적인 시각적 이미지의 스커트로 평가하였다. 반면에 예쁘지 않은, 무거운, 매력없는, 종아리가 굵어보이는, 발목이 굵어보이는 등의 요인에서 높게 평가된 고어드 스커트와 촌스러운, 보기싫은, 싫어하는 등의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A-line 스커트는 20·30대 여성들에게 부정적인 시각적 이미지의 스커트로 평가되었다. 스커트 길이에 따른 평가에서는 무릎 위길이(45cm)의 스커트에서 귀여운, 활동적인, 세련된, 보기좋은, 현대적인, 화려한, 발랄한, 어려보이는, 예쁜, 개방적인, 좋아하는, 경쾌한, 매력있는, 캐주얼한, 날씬해 보이는, 다리가 길어 보이는 등의 거의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나 무릎위까지 오는 짧은 스커트 길이가 20·30대 여성들에게 있어서 길이가 긴 스커트보다 매력적이면서 활동적이고 좋아하는 스커트 길이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스커트 형태와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구성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커트 형태에서는 활동적 이미지 요인이 스커트 길이에 따라 가장 높은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그 중 귀여운 이미지 요인에서는 플리츠 스커트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고 고어드 스커트는 귀여운 이미지 요인과는 거리가 먼 스커트로 평가하였다. 매력적 이미지 요인에서는 랩어라운드 스커트, 플리츠 스커트 순으로 나타났으며, 고어드 스커트와 A-Line 스커트가 매력적인 이미지가 낮은 스커트로 평가되었다. 횡적 효과 요인에서는 플레어 스커트를 날씬한 보이는 스커트 형태로 개더 스커트가 가장 뚱뚱해 보이는 스커트 형태로 평가되었다. 활동적 이미지 요인에서는 플리츠 스커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적 효과 요인은 랩어라운드 스커트, 플레어 스커트 순으로 나타나 키가 커 보인다고 평가하였고 반대로 A-Line 스커트와 고어드 스커트가 키가 작아보이는, 다리가 짧아보이는 스커트 형태로 평가되었다.

스커트 길이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귀여운 이미지 요인이 스커트 길이에 따라 유의차가 크게 나타났다. 귀여운 이미지 요인에서는 무릎 위 길이(45cm)가 높게 평가되었고, 무릎 아래길이(65cm)가 낮게 평가되었다. 매력적 이미지 요인과 활동적 이미지 요인, 횡적 효과 요인, 종적 효과 요인 모두에서도 무릎 위길이가 높게 평가되었고, 무릎 아래길이가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스커트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스커트 길이가 무릎 위길이로 짧을수록 높게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3. 스커트 형태와 길이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연령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커트 형태에서는 플레어 스커트를 제외한 다른 형태의 스커트에서 요인별로 연령에 따라 유의차가 나타났고, 그 중 A-Line 스커트가 요인별 유의차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귀여운 이미지 요인에서는 20대가 30대보다 개더 스커트와 플리츠 스커트를 귀여운 이미지에 가깝다고 평가하였다. 매력적 이미지 요인에서는 20대는 랩어라운드 스커트, 30대는 A-Line 스커트를 매력적 이미지에 가까운 스커트 형태로 평가하였다. 활동적 이미지 요인에 가장 가까운 스커트로 플리츠 스커트를 20대가 더 높게 평가하였고, 30대는 A-Line 스커트를 높게 평가하였다. 종적 효과 요인에서는 랩어라운드 스커트가 유의차가 높게 나타났는데 30대가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인 이미지에 대한 평가는 같으나 연령에 따라 선호하는 이미지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는데 30대는 A-Line 스커트, 20대는 플리츠 스커트를 같은 요인에서 볼 때 좀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별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커트길이에서는 귀여운 이미지 요인에서는 55cm 길이의 스커트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는데 30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횡적 효과 요인에서는 스커트 길이가 65cm일 때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20대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활동적 이미지 요인에서도 스커트 길이가 65cm일 때 유의차가 20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종적 효과 요인에서는 20대에서는 55cm일 때, 30대에서는 65cm에서 유의차가 높게 나타나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대 여성들은 플리츠 스커트나 개더 스커트처럼 주름있는 스커트형태의 짧은 스커트를 활동적이고 매력있는 스커트로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20대 여성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볼 때 20대 초반에는 대학생활을, 중·후반에는 주로 사회생활을 하게 되면서 20대 이미지에 맞는 귀엽고 발랄한 이미지의 활동하기 편안한 스커트 형태와 길이를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스커트 디자인 기획시 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스커트 길이와 디자인 및 패턴제작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여러 형태의 스커트를 제작하다보니 스커트 길이를 세 종류의 길이로 한정시켜 확대해석에는 다소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스커트 종류뿐만 아니라 소재에 있어서도 시중에 유통되어지고 있는 스커트 소재를 사용하고 좀 더 세분화된 길이의 스커트를 제작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ferences

  • Y. Y Gu, A Study on the Visual Image of Gored Skirt -focused on the Obese Women in Middle 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7), p62-67.
  • J. G Hong, A Study on the Skirts by Useing the Image Proces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996), p76-77.
  • M. J Horn, L. M Gurel, The Second Skin, Boston: Houghton Mifflin Co, (1981).
  • H. M Jung, B. R Im, Skirt pattern method, Seoul: JeonWonmoonhwas, (2003).
  • S. H Jung, Clothing design preference of women by physical type and age. Unpublished docto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989).
  • H. S Kim, S. Y Lee, Skirt pattern book, Seoul: GyoHaksa, (2006).
  • K. H Kim, J. S Lee, A study on the visual effects according to changes in number of pleats and skirt length of pleats skir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09), 13(5), p81-92.
  • K. S Kim, pattern Making, Seoul: GyoHaksa, (1998).
  • N. K Kim, A study of visual image on the woman's su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 Nam Universty, (2004).
  • H. S Lee, Y. J Nam, Apparel Making, Seoul: GyoHaksa, (2001).
  • H. S Lee, Western clothing construction, Seoul: GyoHaksa, (1998).
  • J. S Lee, J. M Kim, A Study of the Visual Evaluation by Variation in the Line and Length of the Bolero,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06), 10(5), p122-134.
  • J. S Lee, A Study of the Visual Evaluations by Variations in the Location of the Waistline of the Basic Skir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05), 9(1), p67-78.
  • S. J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Values and Preference in Clothing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987), 11(1), p29-42.
  • S. R Lee, Lee Seungryul's Pattern story, Seoul: Kisool&Gamsung, (1999).
  • Y. J Lee, K. O Choi, The Image Evaluations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the Shapes of Ski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2010), 12(5), p626-632. [https://doi.org/10.5805/KSCI.2010.12.5.626]
  • E. J Oh, A Study on the Visual Image as Variation of Proportion about Jacket and Ski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1998), p55-57.
  • M. K Ou, I. J Kim, Apparel Making, Seoul: GyoHaksa, (1999).
  • J. H Park, , The Visual Image of Clothing Sha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00), 24(8), p1177-1186.
  • S. H Park, , Evaluative Words, Colors and Classification of Fashion Imag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03), 12(4), p539-552.
  • H. S Yoon,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the garment, Sungsin Women's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1980).

[Figure 1]

[Figure 1]
Skirt shape

<Visual evaluation word>

Lively-Gentle, Younger-Adult, Open-Conservative, Unusual-Normal, Casual-Forma, Colorful- Unostentatious, Cute-Old, Light-Heavy, Chic-Tacky, Looks good-Ugly, Like-Dislike, Pretty-Chapter, Classy-Undignified, Attractive-Charmless, Modern-Classic, Sexy-Not sexy, Feminine-Not Feminine, Calf seems thin-Calf seems thick, Ankle seems slim-Ankle seems thick, Abdomen seems not grow-Abdomen seems grow, Body seems slim-Body seems large, Hip seems small-Hip seems large, Comfortable-Uncomfortable, Active-Inactive, Soft-Hard, Practical-Unpratical, Height seems short-Height seems long, Legs seem short-Legs seem long.

<Table 1>

Factor analysis due to the Visual evaluation of skirt

Visual factor Factors of loading Eigen value Total variance
Cute Image Factors Lively-Gentle .805 5.712 20.400
Younger-Adult .762
Open-Conservative .741
Unusual-Normal .697
Casual-Formal .692
Colorful-Unostentatious .688
Cute-Old .675
Light-Heavy .674
AttractiveIma ge Factors Chic-Tacky .736 5.086 18.164
Looks good-Ugly .735
Like-Dislike .717
Pretty-Chapter .708
Classy-Undignified .695
Attractive-Charmless .693
Modern-Classic .675
Sexy-Not sexy .589
Feminine-Not Feminine .574
Horizontal factors Calf seems thin-Calf seems thick .768 3.079 10.995
Ankle seems slim-Ankle seems thick .751
Abdomen seems not grow- Abdomen seems grow .746
Body seems slim- Body seems large .730
Hip seems small- Hip seems large .628
active image factors Comfortable-Uncomfortable .823 2.757 9.848
Active-Inactive .759
Soft-Hard .494
Practical-Unpratical .476
vertical factors Height seems short-Height seems long -.838 1.970 7.036
Legs seem short- Legs seem long -.830
Cumulative description capacity: 66.443   Reliability:∝=0.918

<Table 2>

Visual evaluation of the skirt shape

Visual factor skirt shape Tight Wrap A-Line Gored Flared Gathered Pleated F-value
 Average  Average  Average  Average  Average  Average  Average
1
Factor
Lively-Gentle 2.76e 3.73b 3.10d 3.97a 3.59c 2.53f 2.45f 161.592***
Younger-Adult 3.07c 3.83a 3.60b 3.89a 3.63b 2.69d 2.81d 94.408***
Open-Conservative 3.22c 3.37b 3.45b 3.95a 3.41b 2.89d 2.95d 52.414***
Unusual-Normal 3.53c 3.85b 3.16e 4.32a 3.65c 3.33d 3.11e 93.664***
Casual-Formal 2.98d 3.76a 3.32c 3.66a 3.46b 2.42e 2.51e 129.358***
Colorful-Unostentatious 3.35c 3.54b 3.28c 4.17a 3.66b 3.24c 2.95d 75.019***
Cute-Old 2.93c 3.79a 3.48b 3.48b 3.57b 2.62d 2.66d 92.216***
Light-Heavy 2.69d 3.49ab 3.17c 3.60a 3.37b 2.67d 2.57d 82.386***
2
Factor
Chic-Tacky 3.16c 2.95d 3.63a 3.55a 3.22c 3.40b 3.13c 26.049***
Looks good-Ugly 2.87d 3.06c 3.50a 3.34b 3.15c 3.13c 2.85d 23.126***
Like-Dislike 3.20b 3.02c 3.68a 3.56a 3.23b 3.18b 3.01c 25.399***
Pretty-Chapter 3.00c 2.97c 3.40a 3.54a 3.22b 3.06c 2.75d 31.266***
Classy-Undignified 2.93c 2.75d 3.09b 2.99bc 2.92c 3.55a 3.06b 35.315***
Attractive-Charmless 3.01de 2.93e 3.39b 3.56a 3.17c 3.10cd 2.87e 25.422***
Modern-Classic 3.16b 2.60d 3.47a 3.37a 2.92c 3.15b 3.05bc 34.715***
Sexy-Not sexy 3.95ab 2.90d 3.88b 4.03a 3.51c 3.91ab 3.83b 73.378***
Feminine-Not Feminine 2.14d 2.27c 2.35bc 2.46ab 2.51a 2.52a 2.14d 15.060***
3
Factor
Calf seems thin -Calf seems thick 2.83c 2.89bc 3.00ab 3.05a 2.87bc 2.93abc 2.84c 3.325***
Ankle seems slim-Ankle seems thick 2.72b 2.75b 2.88a 2.89a 2.78ab 2.80ab 2.67b 3.379***
Abdomen seems notgrow-Abdomen seems grow 2.92cd 2.92cd 3.14ab 3.04bc 2.84d 2.84d 2.90d 9.745***
Body seems slim- Body seems large 2.99c 2.67d 3.16ab 3.08bc 3.08bc 3.27a 3.04bc 23.401***
Hip seems small - Hip seems large 3.29bc 3.15c 3.38b 3.23c 2.96d 3.59a 3.23c 16.777***
4
Factor
Comfortable- Uncomfortable 2.43c 4.02a 3.34b 3.29b 3.40b 2.39c 2.19d 228.053***
Active-Inactive 2.53d 4.00a 3.32c 3.53b 3.46b 2.33e 2.17f 229.596***
Soft-Hard 2.68d 3.62a 2.81c 3.37b 3.35b 2.55e 2.28f 132.601***
Practical-Unpratical 2.77d 3.37ab 3.46a 3.27bc 3.19c 2.80d 2.76d 46.381***
5
Factor
Height seems short-Height seems long 1.99de 1.81e 2.25ab 2.30a 1.92e 2.08cd 2.17bc 14.498***
Legs seem short-Legs seem long 1.91c 1.80d 2.35a 2.29a 1.85d 2.04bc 2.10ab 17.297***

<Table 3>

Visual evaluation of the skirt length

Visual Factor skirt length 45cm 55cm 65cm F-value
Average Average Average
1
Factor
Lively-Gentle c2.61 b3.16 a3.72 286.033***
Younger-Adult c2.62 b3.39 a4.08 539.987***
Open-Conservative c2.63 b3.37 a3.96 510.479***
Unusual-Normal c3.29 b3.61 a3.79 70.840***
Casual-Formal c2.68 b3.20 a3.60 204.621***
Colorful-Unostentatious c3.05 b3.48 a3.84 179.105***
Cute-Old c2.48 b3.22 a4.07 618.134***
Light-Heavy c2.52 b3.04 a3.68 372.241***
2
Factor
Chic-Tacky c2.83 b3.23 a3.82 276.595***
Looks good-Ugly c2.70 b3.00 a3.68 272.823***
Like-Dislike c2.82 b3.25 a3.74 205.014***
Pretty-Chapter c2.69 b3.08 a3.64 243.848***
Classy-Undignified a3.14 b2.90 a3.09 19.425***
Attractive-Charmless c2.67 b3.10 a3.66 259.716***
Modern-Classic c2.59 b3.02 a3.71 347.434***
Sexy-Not sexy c3.21 b3.79 a4.14 246.290***
Feminine-Not Feminine b2.30 c2.20 a2.52 33.990***
3
Factor
Calf seems thin-Calf seems thick c2.71 b2.84 a3.20 76.357***
Ankle seems slim-Ankle seems thick c2.61 b2.74 a3.00 48.746***
Abdomen seems not grow- Abdomen seems grow c2.88 b2.97 a3.12 18.737***
Body seems slim- Body seems large c2.78 b2.97 a3.24 64.257***
Hip seems small- Hip seems large b3.17 a3.28 a3.34 7.683***
4
Factor
Comfortable-Uncomfortable b2.99 c2.86 a3.17 20.473***
Active-Inactive c2.84 b2.95 a3.35 59.497***
Soft-Hard c2.83 b2.85 a3.17 39.014***
Practical-Unpratical c2.86 b3.00 a3.41 91.519***
5
Factor
Height seems long-Height seems short c1.67 b2.12 a2.43 163.183***
Legs seem long-Legs seem short c1.52 b2.04 a2.59 281.809***

<Table 4>

Factor differences of the Visual evaluation for the skirt shape

Factor Tight Wrap A-Line Gored Flared Gathered Pleated F-value
Cute Image Factors e3.07 b3.67 d3.32 a3.91 c3.54 f2.80 f2.75 142.523***
AttractiveImage Factors cd3.04 e2.83 a3.38 a3.38 c3.09 b3.22 d2.97 32.976***
Horizontal factors c2.94 c2.87 ab3.11 b3.06 c2.84 a3.15 c2.94 12.562***
active image factors d2.60 a3.76 c3.23 b3.36 b3.35 d2.52 d2.35 240.716***
vertical factors bc3.05 a3.19 e2.70 e2.70 ab3.12 cd2.94 d2.86 19.150***

<Table 5>

Factor differences of the Visual evaluation for the skirt length

Factor 45cm 55cm 65cm F-value
Cute Image Factors c2.73 b3.31 a3.84 547.973***
AttractiveImage Factors c2.77 b3.06 a3.56 314.175***
Horizontal factors c2.83 b2.96 a3.18 64.688***
active image factors b2.88 b2.92 a3.27 71.171***
vertical factors c1.60 b2.08 a2.51 271.941***

<Table 6>

Age differences of the Visual evaluation for the skirt shape

skirt shape Age 1
Factor
T-value 2
Factor
T-value 3
Factor
T-value 4
Factor
T-value 5
Factor
T-value
Tight 20's 3.04 -.87 3.07 .97 2.91 -1.23 2.51 -2.84** 3.01 -.87
30's 3.10 3.01 2.98 2.70 3.08
Wrap 20's 3.77 3.03** 2.72 -2.86** 2.89 .38 3.85 2.91** 3.29 2.13*
30's 3.57 2.94 2.86 3.66 3.10
A-Line 20's 3.42 2.55* 3.53 4.35*** 3.13 .65 3.35 3.59*** 2.61 -1.84
30's 3.22 3.22 3.09 3.11 2.78
Gored 20's 3.98 2.18* 3.30 -2.14* 2.99 -2.00* 3.32 -1.19 2.75 1.04
30's 3.84 3.45 3.12 3.41 2.65
Flared 20's 3.61 1.89 3.06 -.89 2.84 -.23 3.36 .46 3.17 1.19
30's 3.48 3.13 2.85 3.33 3.07
Gathered 20's 2.67 -3.01** 3.22 .04 3.16 .08 2.43 -2.33* 2.94 -.01
30's 2.93 3.22 3.15 2.60 2.94
Pleated 20's 2.64 -2.79** 2.98 .43 2.83 -2.97** 2.23 -3.41** 2.85 -.26
30's 2.86 2.95 3.04 2.46 2.88

<Table 7>

Age differences of the Visual evaluation for the skirt length

skirt length Age 1Factor T-value 2Factor T-value 3Factor T-value 4Factor T-value 5Factor T-value
Average Average Average Average Average
45cm 20대 2.73 -.21 2.75 -.83 2.83 .05 2.93 2.00* 3.44 1.24
30대 2.74 2.79 2.83 2.83 3.37
55cm 20대 3.36 2.13* 3.10 1.80 2.96 .18 2.91 -.14 2.83 -3.39**
30대 3.26 3.02 2.95 2.92 3.00
65cm 20대 3.82 -.96 3.53 -1.21 3.10 -3.33** 3.18 -3.21** 2.57 2.60**
30대 3.86 3.58 3.26 3.37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