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JHE - Vol. 23, No. 4, pp.613-631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ug 2014
Received 18 Jul 2014 Revised 30 Jul 2014 Accepted 02 Aug 2014
DOI: https://doi.org/10.5934/kjhe.2014.23.4.613

The Effects of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Roots of Empathy Program on Young Children's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Kim,Nawon ; Ryu,Kyunghee ; Shim,Seongkyung*
Wonkwang University Kindergarten · Dep.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onkwang University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Correspondence to: * Author: Shim Seongkyung Tel:063-850-6428 Email: ssky@wonkwang.ac.kr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roots of empathy program were designed and practic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young children’s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60 five years old of 2 classes in ‘W’ kindergarten in ‘I’ city, Jeonra Buk province. We randomly assigned 30 children of one class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children of the other class to the controlled group. The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roots of empathy program was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roots of empathy program improved children’s empathic ability. And that effects are shown in all sub-areas of empathic ability(sorrow/burden/joy/fear). Second, the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roots of empathy program improve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at effects are shown in all sub-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promotion of thinking by emotion/application of emotional knowledge/emotional reflective control).

Keywords:

the roots of empathy program, empathic 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 공감능력, 정서지능

Ⅰ. 서 론

현대 사회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풍요롭고 안락한 삶을 가능케 하였으나 한편으로는 물질만능주의와 이기주의적 성향을 가져오게 되었다. 학교 안에서도 집단 따돌림, 또래 괴롭힘, 학교폭력, 우울증, 자살, 학대 등의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 되면서 그 극복방안으로 도덕성 증진 및 회복 차원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3-5세 누리과정(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에서도 질서, 배려, 협력 등 기본생활습관과 바른 인성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구성함으로써 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인성이란 사전적 의미로 ‘사람의 품성’을 말하며 품성이란 타고난 성품으로 성격과 품격을 의미한다(Kim et al., 2009). 인성은 인간 존재의 방식에 따라 특정한 수준과 요인에 의해 표현되는 인격, 성격, 도덕, 사회화의 복합적 의미를 지니는 인간의 마음구조로서(Kim et al., 2009) 인성교육은 인성회복의 차원 뿐 아니라 개인의 행복,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유아기는 생애 최초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도덕적 개념이 발달된다는 점에서 인성형성의 결정적 시기이므로 유아에게 사회 관계 속에서 타인을 배려, 존중하며 협력적으로 살아가는 능력을 배양하는 유아기 인성교육은 매우 중요하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또한 인성은 개인의 성품, 마음을 바탕으로 길러지는 사람의 신념이며, 개인의 성품 위에 길러지는 도덕적 가치로서(Bark, 2010) 유아기에 어떠한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개인의 삶의 방향과 도덕적 행동 수준을 결정하기 때문에 유아기의 적절한 인성교육이 필수적이다(Bark & Kim, 2011; Jeong, Bang & Yu, 2012). 인간의 삶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므로 타인의 정서를 알고, 느끼고, 배려하는 행동은 인성교육의 기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성교육은 유아가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고 행동할 수 있는 소통의 능력이 중요한데 이는 마음과 마음이 연결되어야 가능하며 이때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을 대리적으로 느껴보고 타인의 입장이 되어보는 능력(Jang & Mun, 2004)인 공감능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공감은 타인의 경험과 느낌을 체험하고 수용하는 인지적 과정과 그 때의 정서를 마치 자신의 것인냥 느끼는 정서적 과정을 거친 후 다시 타인에게 표현하는 복합적인 과정이며(Sin, 1994) 슬픔, 심적부담, 기쁨, 불안 등 타인의 감정과 관점에 적절히 반응하는 능력이 바로 공감능력이다. 타인과 자신의 마음을 이해하는 일은 유아기에 성취해야 할 주요과업(Wellman, 1990)으로서 타인의 불안·약점·욕구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사회적 갈등·긴장·폭력·전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인류의 생존은 공감능력의 증진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Clark, 1980). 실제로 Gordon에 의해 개발·적용된 ‘공감의 뿌리(Roots of Empathy:ROE)’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사회능력과 감성능력,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고 공격 행동을 줄이는데 효과가 입증된 바 있다(Gordon, 2010). ‘공감의 뿌리(Roots of Empathy:ROE)’는 Mary Gordon이 1996년 개발하여 캐나다 교육현장에 적용한 프로그램으로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아기와 아기의 부모를 교실로 초대하여 1년 동안 아이들로 하여금 아기의 발달 과정에 참여하고 아기와 부모가 소통하는 모습을 보며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Gordon, 2010). 따라서 공감의 뿌리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맞는 인성교육활동은 유아의 공감능력을 높이는 교육적 접근의 구체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인 정서지능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Yun & Kim, 1996; Jang, 1997). 정서지능은 자신의 내부에 감정이 발생했을 때 그 감정이 왜 일어났는지 인식하는 능력, 일을 할 때 자신을 적절히 분발시키고 역경을 헤쳐 나가며 상대방의 기분이나 분위기를 읽어 내는 능력, 대인관계를 맺는 능력 등을 말한다(Salovey & Mayer, 1990). 유아기는 부모를 비롯하여 또래, 이웃과의 확장된 인간관계를 맺어가는 시기로 이 시기의 정서지능은 이후의 성공적인 대인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의미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Lee, 2005). 정서지능이 높은 사람은 주위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고 스스로의 삶에 대해 만족을 느끼며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유아의 정서발달에 토대가 되는 것은 영유아기의 정서적 경험이다(Goleman, 1995). 풍부한 정서적 경험은 전인적 발달을 도와 성인이 되어 사회적 성공을 가능하게 하며, 정서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정서조절과 표현의 체험이 요구된다(Kim et al., 2003). Salovey와 Mayer(1996)에 의하면, 정서지능의 발달은 유아기에 시작되어 정서적 의미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면서 발달해간다. 이처럼 정서지능은 사회생활의 적응과 개인의 정서적 만족 및 성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Kim & Kim, 2009)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은 돕는 교육적 시도가 필수적이다. 이에 공감의 뿌리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을 통해 정서지능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접근방안의 모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먼저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Bark, 2013; Kim & Kim, 2009; Lee, 2005)가 이루어졌으며,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bark, 2010; Kim, 2013), 인성교육 동향 분석(Jeong, et al., 2012), 인성교육활동 효과(Choe, 2013; Heo, 1998; Kim, 2013; Kim, 2010; Kim, 2013; Kim, 2013, Kim et al., 2013; Lee, 2013; Lee, 2013; Seong, 2005)연구 등이 이루어졌다. 한편 국내의 공감교육 프로그램 관련연구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Hong, 2008; Kim, 2011; Kang, 2004; Kho, 2007; Kim, 2009; Lee, 2010; Lee, 2012)가 다수 이루어졌으나 유아대상 연구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최근에 와서야 유아대상의 공감 프로그램 효과연구(Heo, 2011; Kim, 2013)가 이루어졌으며, Kim(2011)에 의해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의 유치원 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가 이루어졌고, Hyun(2013)에 의해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을 적용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검증된 바 있으나 공감의 뿌리를 기초로 한인성교육활동의 고안 및 효과검증 연구는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ordon(2010)의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을 고안, 실시하여 유아의 공감능력,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1) 유아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I시에 위치한 W유치원의 2개 만 5세 학급의 유아 60명이다. W유치원은 3-5세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있으며 두 학급의 유아 30명씩을 각각 실험,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두 학급 모두 주담임과 부담임 2명의 교사가 배정되어 있으며 주담임은 석사, 부담임은 4년제 학력 소지자였으며 주담임은 10년이상, 부담임은 2년차로 경력면에서 동질적이었다. 연구대상의 성별 구성은 <Table 1> 과 같다.

Formation of the subject of study

2) 참여아기와 어머니

본 연구에서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의 실시를 위해 유치원에 초대되어 연구에 참여 하게 된 아기는 2012년 11월 24일생 여아로 연구 참여시 5개월에 접어들었으며, 발달 상황은 뒤집기와 손으로 물건집기가 가능한 수준이었다. 아기의 어머니는 유치원교사로서 근무하다가 출산으로 휴직중이었으며 이들의 사전동의서를 받아 함께 참여함으로써 안전의 문제는 최대한 보장되었다.

연구 참여 아기와 어머니의 배경은 <Table 2>, <Table 3>과 같다.

Baby background research participation

Mother's background research participation

2. 연구도구

1) 공감능력 검사

유아의 공감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Kang(2010)의 유아 공감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Bryant(1982)의 검사를 근거로 Yeon(1987)이 제작한 검사를 Choe(2002)이 유치원에서 교사가 질문하고 유아가 답하는 질문형으로 수정한 것이다. 이를 Kang(2010)가 그림카드를 제작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같은 그림카드를 사용하였으며, 예비검사를 통해 유아가 쉽게 응답할 수 있도록 그림카드(○△×)로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도구는 <Table 4>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4가지 요인으로 슬픔요인, 심적부담 요인, 기쁨요인, 불안요인으로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정 방식은 Likert식 3점 척도로서 1점 ‘그렇지 않다’, 2점 ‘그저 그렇다’, 3점 ‘매우 그렇다’로 평정하며, 합산한 총점은 최저 18점에서 최고 54점까지이다. 본 도구의 내적 일치도 Kang(2010)의 연구에서는 Cronbach α=.93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 α=.79이다.

Empathy ability by sub-factors number and question number and number of question

2) 정서 지능 평정 척도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Mayer와 Salovey(1997)의 정서지능 검사를 기초로 Lee et al(1999)가 개발한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하루 일과 상황속에서 활동을 관찰하여 관찰점수나 추정점수로 교사들이 평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도구는 <Table 5>와 같이 정서의 인식과 표현 영역, 정서에 의한 사고촉진 영역, 정서지식의 활용영역, 정서의 반영적 조절 영역의 4영역에 걸쳐 총 10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Sub-factors question number and number of ques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본 평가 도구의 내적 일치도는 Cronbach α는 .88이며, 영역별 신뢰도는 정서의 인식과 표현 영역 .77,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 영역 .79, 정서적 지식의 활용영역 .79, 정서의 반영적 조절영역 .82이다(Lee et al., 1999).

본 도구의 평정은 Likert 4점 척도로 1점인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부터 4점인 '매우 그렇다'까지 평정하며 부정문의 경우 역채점 하도록 되어있다. 평가도구의 합산한 총점은 최저 108에서 최고 432점까지이다. 정서지능 평정점수가 높을수록 높은 정서지능을 가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연구절차

본 연구는 [Figure 1]과 같이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 인성교육활동 시안 구성, 예비연구, 검사자 훈련 및 예비검사, 참여어머니교육 및 교사교육,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1) 예비연구

본 연구에서는 2013년 1월 7일부터 18일까지 2주간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 시안의 적용 가능성과 문제점을 확인하고 필요한 부분의 수정을 하기 위해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는 전주시 W 유치원 만 5세를 대상으로 활동을 2주간 적용하였다. 이때 참여아기는 5개월된 여아이며, 참여 어머니는 만 36세이며 첫째아이다. 사전에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활동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활동 자료를 제공하였다. 예비연구의 결과, 활동의 실시에 특별한 무리가 없었으나 1회의 만남 준비하기 활동만으로 부족하여 아기와의 첫 만남을 갖기 전 4회에 걸쳐 만남 준비하기 활동을 첨가하여 확장 적용하기로 수정하였다.

2) 검사자 훈련 및 예비검사

(1) 공감능력 검사 검사자 훈련 및 예비검사

본 연구에서 공감지능 검사는 연구자와 1인의 연구보조자가 실시하였다. 1인의 연구보조자는 4년제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한 자로 현장경력 5년차의 W유치원 방과후 과정 교사였다. 공감능력 검사를 위해 검사의 문항 및 방법을 설명하고 실험대상이 아닌 W유치원 만5세아 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공감능력 검사는 유아 1인에 4-7분이 소요되었으며, 유아들이 문항을 이해하는데 별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유아가 평정하기 쉽도록 그림카드(○,△,×)를 제시하고 선택하도록 하였다. 즉, ○는 ‘매우 그렇다’, △는 ‘그저 그렇다’, ×는 ‘그렇지 않다’로 구분하였다.

(2) 정서지능 평정을 위한 교사 훈련

2013년 3월 28일과 29일 이틀에 걸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주담임교사 1명씩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평가문항을 설명하고 2012년 담임을 맡았던 유아 2인씩을 대상으로 모의 평정해 보게 한 후 의문점에 대해 토론하였다.

3) 교사교육

실험에 참여할 교사를 대상으로 2013년 4월 1일부터 3일까지 3일에 걸쳐 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교사에게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아기와의 만나기 전 준비 활동에 대해 안내하였다. 다음으로 웹사이트에 공개한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 비디오 자료(Roots of Empathy: Introduction)를 시청하고 아기와의 만나기, 만남 후 활동의 지도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궁금한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즉 아기와의 만나기 시간 진행에 순서, 교사의 역할, 준비할 점, 유의해야 할 점 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만남 후 활동시간에는 아기와의 만남을 바탕으로 확장 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교사교육의 일정 및 내용은 <Table 6>과 같다.

Schedule and content of teacher education

4) 참여어머니교육

실험에 참여할 어머니를 대상으로 2013년 3월 25일에 가정을 방문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때, 비디오 자료를 활용하여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대해 안내하였다. 또한 아기와의 만남의 시간에서의 어머니의 역할에 대해서 설명하고 의문점에 대해 토론하였다.

5) 사전검사

2013년 4월 3일부터 4월 9일까지 1주간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담임교사가 정서지능에 대해 1일 6명씩 평정하며, 공감능력검사는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이용하여 별도의 조용한 공간에서 실시하였다. 이때 2인의 검사자에게 유아를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6) 실험처치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은 Gordon(2010)의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과 유치원 기본과정 운영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가 고안한 것이다. 즉,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의 핵심 활동인 아기와의 만남을 중심으로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의 6개 인성교육덕목을 내용으로 고안하였다.

연구자가 시안 작성 후 전문가 3인에게 내용 검토를 받았다. 전문가 1인은 유아교육과 교수이며, 나머지 2인은 유치원 경력 14년, 16년의 유아교육 전공 석사학위를 소유한 유치원 교사들이었다.

본 연구에서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 활동은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의 핵심활동인 아기와의 만남을 중심으로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의 6개 인성교육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된 인성교육활동이다.

(1) 인성교육활동의 목적과 목표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은 자신과 타인의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능력, 친사회적 행동, 정서지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유아의 공감능력을 증진시킨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을 증진시킨다.

(2) 교육활동

본 연구의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은 [Figure 2]와 같이 2주를 기본 단위로 하여 총 7회로 구성되었다. 또한 첫 회 만남 이전에 1주간 만남 준비하기 활동을 실시하여 총 15주간 제공하였다. 2주 단위의 1회 활동은 크게 아기와 만나기, 만남 후 활동, 다음만남 준비하기로 구분되며, 모든 활동은 자유선택시간에 실시하였다.

[Figure 2]

The basis structure of the character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Roots of Empathy program

① 아기와 만남 사전 준비하기(대집단)

아기와 첫 만남을 갖기 전 대집단으로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준비하는 시간을 1주 동안 총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즉 아기 소개하기, 아기를 만났을 때 지켜야할 규칙정하기, 아기를 위해 불러 줄 노래 정하기, 아기에 대해 궁금한 점 알아보기 시간을 갖았다. 이때 불러줄 노래는 본 연구에 만나게 되는 아기의 현재 흥미를반영하였으며, 유아들이 정한 규칙은 벽면에 게시하였다.

② 아기와 만나기(소집단)

아기와의 만남 시간은 오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2개 소집단으로 나누어 2회 이루어졌다. 아기와의 만남은 2주마다 수요일에 만나며 총 7회에 걸쳐 이루어지며, 시간은 1회당 25분 정도 실시하였다.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Gordon, 2010)의 아기와 만남 절차 및 방법에 근거하여 아기가 오기 전 준비로 유아들은 손을 씻도록 하며, 아기의 관찰 무대가 될 수 있도록 바닥에 카페트를 깔아주었다. 이때 유아들은 카페트 주위에 둘러 앉아 기다리도록 하며, 아기와 어머니 도착 시 건강과 안전을 위해 카페트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어머니와 아기가 들어오면 환영의 노래를 불러주며 어머니와 아기가 함께 카페트 주위를 돌면서 유아들과 인사를 나누었다. 인사가 끝난 후 아기를 카페트 위에 내려놓았다. 따라서 아기의 놀이하는 모습이나 이유식 먹기, 기저귀 갈기, 장난감 가지고 놀기 등의 활동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유아들은 아기의 행동을 보면서 아기의 발달과정, 아기의 표정, 소리 등을 세밀히 살피면서 이야기를 나눈다. 끝나는 시간은 작별 노래를 부르는 동안 어머니는 아기를 안고 카페트 주위를 돌면서 아이들과 작별인사를 건넨다.

③ 만남 후 활동 (소집단/자유선택활동)

만남 후 활동은 소집단 및 자유선택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소집단 활동으로 아기와 있었던 일들을 회상하며 만남 후 활동Ⅰ-1, 2와 만남 후 활동Ⅱ를 진행하였다. 만남 후 활동Ⅰ-1, 2는 아기와의 만남이 이루어진 첫 주에 실시하며 이야기 나누기와 미술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다음 주 만남 후 활동Ⅱ는 역할놀이, 문학활동, 게임 등 3 가지 중 한 가지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덧붙여 아기의 사진 및 아기와의 활동사진을 게시하여 아기영역을 구성하여 자유선택활동으로 개별 또는 소집단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아기에게 줄 선물 만들기, 편지쓰기, 참여어머니에게 질문하기 등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교사는 유아의 이름 스티커를 이용해 모든 유아가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으며, 이 영역에서의 게시물과 활동결과물에 대한 자료를 모아서 책을 만들어 연구가 종료될 때까지 유아들이 언제든지 볼 수 있도록 제시해 주었다.

④ 다음 만남 준비하기(소집단)

다음 만남 준비하기는 2주차의 목요일에 이루어졌으며, 다음 만남에서 아기에 대해 중점적으로 볼 내용과 함께 궁금한 점 알아보기, 아기와 어머니에게 줄 선물 만들기 등을 준비하며 아기와의 다음 만남을 준비하였다.

본 연구의 유아인성교육활동의 활동계획은 <Table 7>과 같다.

The activity plan of the character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Roots of Empathy program

(3) 교사의 역할

본 인성교육활동에서는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교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적이고 허용적인 분위기 제공자이다. 교사는 민주적이고 허용적인 분기위로 솔직한 생각과 의견을 나눌 수 있어야 하며 수용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 서로의 감정을 소중히 다루고 온전히 수용해 줄 수 있어야 한다. 교사 자신부터 열린 마음으로 유아를 대하고 교사 자신이 느끼는 감정에 대해 솔직하게 전달 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안전한 환경 제공자이다. 교사는 아기와 유아 모두에게 물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환경제공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셋째, 정보의 제공자이다. 연구에 참여하는 아기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함께 아기의 발달, 감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넷째, 모델링 제공자이다. 유아를 가르치려고 하기보다는 교사가 먼저 행동으로 모델을 보임으로써 유아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질문의 제공자이다. 아기와의 만남 시간을 통해 아기를 잘 관찰하고 감정에 대한 적절한 질문을 해야 한다. 감정에 대한 질문을 통해 감정에 관련된 언어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 , 어머니와의 협조자이다. 아기 어머니와의 긴밀한 협조로 2주에 한번씩 만나기 전과 후 아기에 대한 발달과 건강, 안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도록 한다.

7) 사후검사

실험처치가 끝난 후 2013년 7월 17일부터 7월 19일까지 3일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평정은 사전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4. 자료분석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문제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점수증가분에 대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감능력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The pre-test mean score of Empathic ability t-test

<Table 8>과 같이, 공감능력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68). 따라서 사전 검사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공감능력은 동질적이라 할 수 있다.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감능력 검사에 있어 사전-사후 검사 간 증가분에 대한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Table 9>와 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의 점수 증가분에서 실험집단(M=.24, SD=.24)과 통제집단(M=.01, SD=.20)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3.98, p<.001)가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검사의 평균이 2.29였으며,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은 2.53으로 .24점이 증가하였으나,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검사의 평균이 2.34에서 사후검사의 평균이 2.35로 .01의 증가에 그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감능력의 하위영역별 사전-사후 검사에 대한 실험 · 통제 집단 간 증가분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슬픔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점수증가분의 평균이 .21(SD=.53)인데 비해 통제집단의 평균은 .06(SD=.63)이었으며, 심적부담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점수증가분의 평균이 .23(SD=.47)인데 비해 통제집단의 평균은 .01(SD=.40)이었으며, 기쁨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점수 증가분의 평균이 .25 (SD=.53)인데 비해 통제집단의 평균은 .03(SD=.45)으로 실험집단의 점수 증가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불안영역에서도 실험집단의 점수 증가분의 평균이 .27(SD=.46)인데 비해 통제집단의 평균은 .01(SD=.45)로 실험집단의 점수 증가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t=2.21, p<.05).

Empathic ability scores of pre-and post increment difference for T-test

이에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전 하위영역에 걸쳐 유아의 공감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2.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서 지능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Table 10>과 같이, 정서지능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5). 따라서 사전 검사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정서지능은 동질적이라 할 수 있다.

The pre-test mean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t-test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서지능 검사에 있어 사전-사후 검사 간 증가분에 대한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Table 11>과 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의 점수 증가분에서 실험집단(M=.76, SD=.13)과 통제집단(M=.57, SD=.18)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4.64, p<.001). 즉,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 검사의 평균이 3.14였으며,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은 3.90으로 .76점이 증가하였으나,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 검사의 평균이 3.14에서 사후 검사의 평균이 3.71로 .57의 증가에 그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of pre-and post increment difference for T-test

또한 정서지능의 하위영역별 사전-사후 검사에 대한 실험 · 통제 집단 간 증가분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정서지식의 활용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점수증가분의 평균이 1.02(SD=.21)인데 비해 통제집단의 평균은 .72(SD=.24)이었으며(t=5.19, p<.001), 정서의 인식과 표현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점수증가분의 평균이 .53(SD=.15)인데 비해 통제집단의 평균은 .39(SD=.18)이었으며(t=3.33, p<.01), 정서의 사고촉진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점수증가분의 평균이 .72(SD=.14)인데 비해 통제집단의 평균은 .58(SD=.17)이었으며(t=3.45, p<.01), 정서의 반영적 조절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점수증가분의 평균이 .76(SD=.24)인데 비해 통제집단의 평균은 .59(SD=.18)로 실험집단의 점수증가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t=2.54, p<.05).

이에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전 하위영역에 걸쳐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을 고안, 실시하여 유아의 공감능력,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들을 요약,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슬픔, 심적부담, 기쁨, 불안 등 유아의 공감능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Hyun(2013)의 연구에서 Gordon의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공감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결과와 일치하며 Kim(2011)의 연구 결과와도 맥락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연구나 선행연구 등에서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유아들이 아기의 감정을 관찰하면서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타인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공감 능력을 가지게 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감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공감능력(Kim, 2009; Kim, 2011; Kim, 2012)이 향상되었다는 연구결과와도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공감능력의 하위영역별로 결과를 요약,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슬픔에 대한 공감능력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Hyun(2013)의 연구에서 슬픔에 대한 공감능력 증진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던 결과와는 차이가 있다. 즉, 전체 공감능력에는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슬픔요인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는 Hyun(2013)의 연구에서는 총 12회 중 아기와의 만남이 4회로 제한되었으며, 관련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은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2주에 한번 씩 총 7회의 아기와의 만남 활동을 포함하여 총 35회의 관련 활동을 실시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즉 본 연구의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에서는 아기의 울음 등 슬픔의 표현을 경험하고 어머니와 대화를 통해 아기의 슬픔의 감정을 공감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여러 번 제공되었다. 가령, 연관 활동으로 감정 카드의 슬픈 표정을 보면서 그 이유를 자신의 경험과 연결 지어 이야기 나누기와 슬픈 표정 지어보고 전달하기 게임 등을 통해 슬픔에 대한 공감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아기와의 헤어짐의 시간을 통해 아쉬움, 슬픔을 공유하고 추후활동으로 이야기 나누기를 통해 다시 한번 헤어짐으로 슬픈 마음에 대해 알아봄으로서 유아의 슬픔에 대한 공감 능력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심적부담에 대한 공감능력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배려교육활동이 심적부담에 대한 공감능력을 증진시켰다는 Lee(2013)의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 한편, Hyun(2013)의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바 이 역시 아기와의 만남이 4회에 제한 되고, 관련 활동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즉, Hyun(2013)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아기와의 만남을 통해 관찰된 아기의 감정을 자신의 경험과 연결해 보고, 행복한 기분 뿐 아니라 슬프고, 위로 받고 싶은 타인의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경험이 제공되었다. 즉, 타인을 향한 위로해주고 싶은 마음과 나눠주고 싶은 마음 등을 가져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어머니와 아기가 되어보는 역할놀이에서 아기를 달래주기, 우유주기, 산책하기, 업어주기 등의 활동이 이루어졌으므로 유아의 심적부담에 대한 공감 능력의 증진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기쁨에 대한 공감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공감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의 기쁨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Hyun(2013)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Lee(2013)의 연구에서 배려교육 활동을 통해 유아가 친구의 행동에 대해 같이 즐거워하고 긍정의 표현이 더욱 적극적으로 변화하였으며, 공감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와도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기의 성장과 자연스럽게 발달 과정을 관찰하면서 아기가 뒤집기를 성공했을 때 함께 박수치며 기뻐하는 등 유아가 아기와 기쁨을 공유할 수 있었다. 또한 아기와의 만남을 즐겁게 기다리며, 아기를 위해 노래 준비하기, 선물 만들기, 편지쓰기 활동을 통해 함께 즐거워하고 행복해 하는 경험이 이루어짐으로서 기쁨에 대한 공감 능력 증진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불안에 대한 공감 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Hyun(2013)의 연구에서 공감교육프로그램이 타인의 걱정, 속상함, 불안, 무서움 등의 감정을 함께 느끼고 걱정하며 공감하는 불안에 대한 공감 능력이 증가하였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아기와의 첫 만남에서 아기의 불안해하는 모습과 어머니와 떨어졌을 때 우는 모습을 보면서 불안에 대한 감정을 알게 되었으며, 이와 연결하여 유아가 처음 유치원에 왔을 때 느꼈던 감정, 즉 유치원에 대한 기대감 뿐 아니라 어머니와 헤어져 불안하고 걱정되었던 감정에 대해 서로 공유함으로서 불안에 대한 공감 능력 증진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2.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정서의 인식과 표현, 정서에 의한 사고촉진, 정서적 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적 조절등 유아의 정서지능의 전 하위 영역에 걸쳐 전반적으로 긍정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성관련 유아그림책을 활용한 상호작용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Kim(2013)의 연구결과와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Kim(2010)의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이다. 또한 인성교육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Lee(2013)의 연구와도 맥을 같이 한다. 정서지능의 하위영역별로 결과를 요약,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정서의 인식과 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상황에 맞는 느낌과 감정을 구분하면서 자신의 정서 상태를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는 자기 정서 인식 및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Kim(2010)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다양한 감정들을 인식함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Song(2012)의 연구 결과와 인성동화를 활용한 상호작용을 통해 공감할 줄 아는 감정이입을 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봄으로써 자기인식능력의 향상을 가져온 Kim(2013) 연구결과와도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Kim(2011)의 연구에서 아기가 부모와 함께 교실에 들어오면 감정이 생생하게 펼쳐지는 모습을 접하고 그 감정을 찾으려고 노력하면서 자신의 감정과 연관시켜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되는 질적 변화가 나타났다는 결과와도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정서의 인식과 표현은 자신의 정서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타인의 정서이해하기, 정서 표현 및 관련 욕구 표현하기, 정서 구별하기 등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아기를 교실에 초대하여 아기의 소리와 표정, 행동을 통해 아기의 감정 상태를 알아보고 유아 자신의 감정과 연결시켜 알아보고 표현해 보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감정의 인식과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인성관련 유아 그림책을 통한 활동과정 속에서 정서를 적절히 처리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정서 조절능력이 향상 되었다는 Kim(2013)의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그림책을 통한 기본생활습관 활동이 만 4세의 정서의 사고촉진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Kim(2007)의 연구와도 같은 맥락이다.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은 중요한 정서에 주의집중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정서 불러일으키기, 정서를 활용해 효율적 사고하기, 문제 해결에 적절한 정서를 활용하기등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Lee et al., 1999). 이는 본 연구의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에서는 아기의 성장과 발달을 관찰하면서 아기가 보내는 감정의 신호를 알아보고 유추해 보는 활동과 함께 참여아기의 감정표현에 대한 아기 어머니의 반응을 관찰해 봄으로써 자기 어머니에 대한 고마움, 미안함 등의 정서를 더 구체적으로 느껴볼 수 있었으며, 그림과 사진, 동화를 통해 동화속 주인공의 정서를 생생하게 공감해 봄으로써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아기가 부정적 정서를 표현할 때 유아는 아기에게 장난감을 주거나 웃긴 얼굴 표정 지어보기, 아기가 좋아하는 노래 부르기 등을 통해 부정적 정서를 그대로 수용하면서 아기의 정서가 긍정적 정서로 바뀔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서지능의 정서에 의한 사고촉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지식의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 과정 중에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또래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고 타인의 말에 귀를 기울여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Song(2012)의 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정서지식의 활용은 정서간의 관계 이해하기, 정서가 전달하는 의미 이해하기, 복합적 정서 이해 및 활용하기, 정서의 전환 이해하기등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Lee et al., 1999). 본 연구의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에서는 참여 아기의 몸짓과 표정, 소리를 보고 들으면서 아기가 전달하고자 하는 복합적인 정서를 생각해 보고 이해하는 시간과 아기의 울음이 전달하는 다양한 의미 즉, 두려움, 배고픔, 아픔, 무서움, 집에 가고 싶어요 등 아기의 울음속에서 다양한 의미가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카드전달하기 활동에서 정서가 전달하는 다양한 의미를 알아보고 전달해 보는 경험을 함으로써 정서 지능의 정서적 지식의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정서의 반영적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와 함께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고, 협동하는 경험을 통하여 자기 정서 조절 능력 뿐 아니라 타인의 감정을 수용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유아들 간의 관계기술능력 향상되었다는 Kim(2013)의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한다. 정서의 반영적 조절의 영역은 정서를 개방적으로 수용하기, 정서의 유익성과 실용성을 반영하여 정서를 지속하거나 중단하기, 자신의 정서를 반영적으로 점검하기,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관리·조절하기 등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Lee et al., 1999). 본 연구의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에서 유아는 아기와의 만남에서 아기가 표현하는 긍정적인 감정 뿐 아니라 부정적 감정도 그대로 수용하고 달래주는 경험을 가졌다. 또한 자유선택활동 시 아기 영역에서의 역할놀이에서 유아수준에서 여러 방법으로 아기 돌보기, 아기의 기분 조망해 보기의 활동에 참여했고, 아기와 어머니 되어보기나 늑대가 들려주는 아기 돼지 삼형제등에서 상대적 관점에서 각각 정서를 표현해봄으로써 정서의 정보를 왜곡시키지 않고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이 증가됨으로써 정서의 반영적 조절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은 유아의 공감능력을 전반적으로 증진시킨다. 즉, 유아의 슬픔, 심적부담, 기쁨, 불안 등 모든 요소에 걸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을 전반적으로 증진시킨다. 즉, 유아의 정서의 인식과 표현,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 정서 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적 조절 등 모든 요소에 걸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의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증진을 위한 대안으로 일반화되기를 기대한다. 덧붙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만 5세를 대상으로 활동을 실시하였으나, 보다 다양한 연령에 의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단기간에 이루어진 양적연구로 단기간의 효과만을 분석하였으나, 보다 장기적 연구를 통해 아기의 성장과 발달을 관찰하고 유아들의 마음 속에 일어나는 변화와 반응에 대한 내용분석과 참여한 교사의 변화에 대한 질적연구가 시도될 필요성이 있다.

Notes

본 논문은 2014학년도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의 일부임.

References

  • H. J Bark, Developing Model of Coexistence Orient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3).
  • K. K Bark, A Study on Would-be Young Child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 Character Educa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Central University, Korea, (2010).
  • S. H Bark, S. M Bark, J. H Woo,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cere and education, (2009), 57, p1-21.
  • S. H Bark, T. I Kim, The Meanings of Experience through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Early Childhood Education Nonjip, (2011), 15(2), p341-368.
  • B. K Bryant,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1982), 53, p413-425. [https://doi.org/10.2307/1128984]
  • S. R Choe,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 linguistic type of father and young children's empathic level, Unpublished master thesis, Kangnam University, Korea, (2002).
  • Y. W Choe,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 on the peer interaction and the recognition of emotions in others, Unpublished master thesis, Dongguk University, Korea, (2013).
  • K. B Clark, Empathy: A neglected topic in psychological research, American Psychologist, (1980), 35(2), p187. [https://doi.org/10.1037//0003-066X.35.2.187]
  • D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Hwang, Tae Ho translated (1997). Emotional Intelligence EQ. Seoul: Vision Korea, (1995).
  • M Gorden, Roots of Empathy program. Munhuigyeong station, Seoul: Santi, (2010).
  • H. J Heo, The Effect of Empathic Action Focused Cognitive Program on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Ulsan University, Korea, (2011).
  • H. O Heo, The Effects on the children's development of personality for children by topic-centered project approach, Unpublished master thesis, Dong-A University, Korea, (1998).
  • S. A Hong, The Effects of an Empathy Training Program on Redu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ger and Aggression, Unpublished master thesis,Konkuk University, Korea, (2008).
  • J. Y Hyun, The Effects of Empathy Education Program on children Empathic Ability and Aggressivity, Unpublished master thesis, Catholic University, Korea, (2013).
  • H. K Jang, Overview of Emotional Intelligence, Korea Institute of Psychological Research Seminar 1997 Winter Kit, (1997), p1-20.
  • H. Y Jeong, S. M Bang, H. J Yu, An Analysis of trends in studies relating to early ehildhood character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2012), 32(5), p277-296.
  • M. S Jang, H. J Mun, Factors related to Young Children`s Empath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4), 42(9), p53-66.
  • K. A Kang, (The) Effects of empathy training program o elementary school children's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04).
  • M. J Kang,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telligence of mother and children`s empathic ability, Self-regula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Inje University, Korea, (2010).
  • S. M Kho, The Effects of game-based empathy training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pathy ability, peer relationship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Unpublished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Korea, (2007).
  • C. S Kim,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Infants’ Empathy Ability on the Peer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3).
  • H. J Kim, S. J Kim, N. R Yun,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al Activity Using Fairy Tale o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 Early Childhood Education Nonjip, (2013), 17(3), p31-53.
  • H. Y Kim, The Effects of empathy education program on children's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09).
  • J. H Kim, A Stud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And Their Recognition About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 thesis, Wonkwang University, Korea, (2013).
  • K. M Kim, Empathy skills training programs and the sympathy of the elementary effects of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1).
  • K. S Kim, H. Y Kim, The Effects of Empathy Education Program on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009), 22(4), p275-300.
  • M. H Kim, Using a picture book character education pro-social behavior activities 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and story,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2013), 14(3), p49-69.
  • M. J Kim, Using a picture book character education activities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0).
  • M. J Kim, Basic living habits through books 4-year-old toddler activities impact on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 thesis, Central University, Korea, (2007).
  • S. H Kim, Using picture books to discuss character education activities related to the infant's self-concept, pro-social behaviors, Unpublished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3).
  • Y. J Kim, J. S Lee, M. S Oh,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Outdoor Play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03), 12(5), p635-645.
  • Y. M Kim, Empathy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 level of emotional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empathy skills and impact on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Kyungin University, Korea, (2012).
  • Y. N Kim, Influence of Interactions Using Personality Related Picture books for children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Korea, (2013).
  • Y. O Kim, M. R Jang, H. J Yu,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Op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2009), 14(5), p297-354.
  • H. J Lee, The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and empathic ability of young Children through Caring education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 thesis, Sungshin Woman's University, Korea, (2013).
  • H. J Le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s humanity, Unpublished master thesis, Gyeongnam University, Korea, (2005).
  • H. K Lee, The Effect of dramatic play using picture book of character education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013).
  • K. A Lee, The Effect of Empathy training program on Empathy, peer relation and Social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Kongju University, Korea, (2010).
  • J. H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path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econd-gradestudents. master the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012).
  • J. L Lee, Child-Mother Attach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Early Childhood,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05), 14(3), p379-386.
  • S. E Le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 educationnal activities using picturebooks on self-regulation skills of children 3 years old and pro-social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an's University, Korea, (2013).
  • Y. J Lee, J. S Lee, E. S Sin, S. H Yang, K. S An, Y. Y Yu, S. Y Yeon, Programs for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Seoul: Changjisa, (2002).
  • Y. J Lee, J. S Lee, E. S Sin, Teacher appraisal infant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the research,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999), 6(2), p121-146.
  •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haracter education preschool program for basic process substantiality.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njoy the process of 3-5 years age group commentary.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3).
  • Roots of Empathy, Retrieved from http://wn.com/Roots_of_ Empathy, (2010, Jun, 16).
  • P Salovey, J. D Mayer,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ion, (1996), p3-31, NY : Basic Book. Press.
  • P Salovey,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1990), 9(3), p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 C. A Seong, The Effects of Personality education project on young childrens' conception of peer relationship and prosocial behavior, Unpublished master thesis, Inje University, Korea, (2005).
  • K. I S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mpathy training program for counselor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1994).
  • S. N Song,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Unpublished master thesis,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2).
  • J. Y Yeon, A study on the empathic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987).
  • H. S Yun, Y. J Kim, Emotional Intelligence: Meaning and Measur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96), 10(3), p183-204.
  • H. M Wellman, The Child’s Theory of Mind. Cambridge, MA.: MIT Press, (1990).

[Figure 2]

[Figure 2]
The basis structure of the character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Roots of Empathy program

<Table 1>

Formation of the subject of study

Group Sex Total
Man Woman
Experimental group(n=30) 20 10 30
Control group(n=30) 20 10 30

<Table 2>

Baby background research participation

<Table 3>

Mother's background research participation

<Table 4>

Empathy ability by sub-factors number and question number and number of question

Sub-factors Question Number Number of Question Cronbach α
Sorrow 2, 6, 10 3 .79
Psychological burden 4*, 8*, 12*, 15*, 18* 5
Delight 1, 5, 9, 13, 16 5
Anxiety 3, 7, 11, 14*, 17* 5
Total 18

<Table 5>

Sub-factors question number and number of ques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Sub-factors Question number Number of
Question
Cronbach α
Ⅰ.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1, 4, 8, 9, 11, 12, 22, 41, 42, 44, 45, 49, 52, 61, 62, 66, 67, 68, 70, 72, 73, 75*, 79, 80, 84, 85*, 86, 93, 99, 101, 102, 104, 106 33 .77
Ⅱ. Accidents by promoting emotional 2, 5, 6, 7, 10, 13, 18, 20, 24, 26, 27, 28, 34, 39, 40, 50, 54, 59, 81, 83, 87, 94, 100, 103, 105 25 .79
Ⅲ. The use of emotional knowledge 14, 15, 16, 21, 29, 33, 35, 43, 46, 47, 51, 53, 57, 58, 60, 63, 69, 77, 82, 88, 89, 90, 91, 92, 96, 97, 98 27 .79
Ⅳ. Reflectively regulate emotions 3*, 17, 19, 23*, 25, 30, 31, 32, 36, 37*, 38, 48, 55, 56, 64, 65*, 71*, 74, 76*, 78*, 95, 107, 108 23 .82
108 .88

<Table 6>

Schedule and content of teacher education

Classification Educational content Material
1 time
(April 1)
· the objectives and contents Roots of Empathy program
· preparation activities before meeting with the baby
·Plans of activities
3 times
(April 2)
· the program of meeting time with the baby
 - Prepare to meet with the baby
 - Requirements for children in meeting a baby
· the role of the teacher
· Video

3 times
(April 3)
· after meeting activities
· orgarizing the baby area
· Plans of activities

<Table 7>

The activity plan of the character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Roots of Empathy program

Number of Week Activities Core Education Contents Relevant factors
Preparing to Meet Emotional Intelligence
Preparations Before the start of Meeting the baby Consideration/
Esteem
joy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1
time
1
week
After-meeting activity A-1
Conversation: about the first meeting
Consideration joy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After-meeting activities A-2
Art: painting the face baby's 2 young children in a team
Consideration/
Esteem
joy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After-meeting activities B
Literature: Composing a three-line poem using baby's name
Cooperation joy promotion of thinking by emotion
2
week
Preparing for the next meeting
Conversation: "Mothers know"
Esteem joy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Meeting the baby: "Recognizing the baby's signs" Filial piety burden promotion of thinking by emotion
2
time
3
week
After-meeting activity A - 1
Conversation: "If the baby can talk"
Consideration joy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After-meeting activity A - 2
Art: cut-and-paste a variety of facial expressions from the magazines
Consideration/
Esteem
joy/fear promotion of thinking by emotion
After meeting activity B
Game: communicating emotions by actions
Consideration burden application of emotional knowledge
4week Preparing for the next meeting
Conversation: "Recognizing baby's feelings"
Cooperation burden emotional reflective control
Meeting the baby: recognizing baby's emotions Consideration Sorrow/joy/fear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3
time
5
week
After-meeting activity A - 1
Conversation: on a variety of feelings
Consideration/
Order
Psychological
burden
promotion of thinking by emotion
After-meeting activity A - 2
Art: drawing experiences of helping others
Esteem burden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After-meeting activity B
Game: communicating facial expressions in picture cards
Sharing Sorrow/joy emotional reflective control
6
week
Preparing for the next meeting
Conversation: the things that the baby needs
Cooperation Sorrow/joy/fear application of emotional knowledge
Meeting the baby: the things that the baby needs Sharing joy emotional reflective control
4
time
7
week
After-meeting activity A - 1
Conversation: "When I was a baby"
Consideration/
Order
joy/ Sorrow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After-meeting activity A - 2
Art: drawing of mother and me when I was a baby.
Esteem joy promotion of thinking by emotion
After-meeting activity B
Literature: writing to mother
Filial piety joy promotion of thinking by emotion
8
week
Preparing for the next meeting
Art: drawing of the baby that I imagine at the next meeting
Filial piety joy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Meeting the baby: baby foods Esteem burden promotion of thinking by emotion
5
time
9
week
After-meeting activity A - 1
conversation: on a variety of feelings after listening to a fairy tale
Consideration/
Order
joy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After-meeting activity A - 2
Art: decorating the tree of emotions
Consideration/
Sharing
burden application of emotional knowledge
After-meeting activity B
Role play: "The Three Little Pigs that Wolf tells"
Esteem/
Cooperation
joy/
Sorrow/
fear
promotion of thinking by emotion
10
week
Preparing for the next meeting
conversation: "How to take care of the baby safely"
Consideration/
Sharing
Sorrow/
fear
application of emotional knowledge
Meeting the baby: "How to safely take care of a baby" Sharing burden /fear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6
time
11
week
After-meeting activity A - 1
conversation: "Living Safely"
Sharing/
Filial piety
fear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After-meeting activity A - 2
Art: Making coupons for friends
Order fear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After-meeting activity B
Role play: mother and baby
Sharing joy emotional reflective control
12
week
Preparing for the next meeting
Art: Making gifts for the baby
Esteem/
Filial piety
burden application of emotional knowledge
Meeting the baby: saying goodbye to the baby and mother Cooperation joy/
Sorrow/
burden
emotional reflective control
7
time
13
week
After-meeting activity A - 1
Conversation: the feelings of parting with the baby
Sharing
/Order
Sorrow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After-meeting activity A - 2
Art: recalling and drawing a meeting with the baby
Consideration/
Esteem
Sorrow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After-meeting activity B
Art: making a mini book with baby photos
Esteem joy/
Sorrow
promotion of thinking by emotion
14
week
Wrapping up the meetings
Conversation: about the feelings when meeting the baby
Esteem joy/
Sorrow
emotional reflective control
Finishing meetings
conversation: "Feelings about meeting the baby"
Esteem joy/ Sorrow application of emotional knowledge

<Table 8>

The pre-test mean score of Empathic ability t-test

Classification Experimental group(n=30) Control group(n=30) t
M(SD) M(SD)
Empathic Ability 2.29(.29) 2.34(.22) .68

<Table 9>

Empathic ability scores of pre-and post increment difference for T-test

Classification group Pre-test Post-test incremental
verification
t
M(SD) M(SD) M(SD)
Sorrow Experimental(n=30) 1.34(.54) 1.55(.54) .21(.53) 2.16*
Control
(n=30)
1.36(.48) 1.30(.39) .06(.63)
Psychological
burden
Experimental(n=30) 2.65(.38) 2.88(.25) .23(.47) 2.01*
Control
(n=30)
2.73(.32) 2.74(.29) .01(.40)
Delight Experimental(n=30) 2.63(.48) 2.88(.24) .25(.53) 2.05*
Control
(n=30)
2.67(.39) 2.70(.31) .03(.45)
Anxiety Experimental(n=30) 2.54(.44) 2.81(.35) .27(.46) 2.21*
Control
(n=30)
2.62(.38) 2.63(.34) .01(.45)
Total Experimental(n=30) 2.29(.29) 2.53(.20) .24(.24) 3.98***
Control
(n=30)
2.34(.22) 2.35(.19) .01(.20)

<Table 10>

The pre-test mean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t-test

Classification Experimental group(n=30) Control group(n=30) t
M(SD) M(SD)
Emotional
Intelligence
3.14(.13) 3.14(.25) .15

<Table 11>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of pre-and post increment difference for T-test

Classification Group Pre-test Post-test Incremental
verification
t
M(SD) M(SD) M(SD)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Experimental(n=30) 3.46(.15) 3.99(.02) .53(.15) 3.33**
Control
(n=30)
3.45(.22) 3.84(.08) .39(18)
Accidents by promoting emotional Experimental(n=30) 3.13(.13) 3.85(.09) .72(.14) 3.45**
Control
(n=30)
3.01(.24) 3.59(.17) .58(.17)
The use of emotional knowledge Experimental(n=30) 2.83(.23) 3.85(.15) 1.02(.21) 5.19***
Control
(n=30)
2.93(.24) 3.65(.22) .72(.24)
Reflectively regulate emotions Experimental(n=30) 3.15(.29) 3.91(.11) .76(.24) 2.54*
Control
(n=30)
3.14(.40) 3.73(.19) .59(.18)
Total Experimental(n=30) 3.14(.25) 3.90(.06) .76(.13) 4.64***
Control
(n=30)
3.14(.25) 3.71(.14) .5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