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JHE - Vol. 23, No. 5, pp.807-823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Oct 2014
Received 12 Sep 2014 Revised 09 Oct 2014 Accepted 20 Oct 2014
DOI: https://doi.org/10.5934/kjhe.2014.23.5.807

The Effects of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on Young Children`s Appreciation Ability of Pictures and Creativity

KimEunah ; ByonKil Hee ; ShimSeong Kyung*
Dep.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onkwang University Dep.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eonbuk Science College Dep.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onkwang University
명화 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그림감상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Correspondence to: * Shim, Seong Kyung Tel: 063–850-6427 E-mail : ssky@wonkwang.ac.kr

Copyright © 2014,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on young children’s appreciation ability of pictures and creativit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50 5-year-old young children in two classes of B Day Care Center in the city of J, Jeollabukdo. The childr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25) and a control group(25). The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12 weeks from April 29, 2013 to July 19, 2013. The activities were composed of 3 steps of ‘appreciation-expression-exhibition & assessment’ on the basis of 2-week basic units. The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composed basing upon the types of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nd storytelling, and expression and exhibition & assessment activities were composed of 4 areas of arts(music/movement/language/ ar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generally improved young children’s painting appreciation abilities in all sub-areas(observation and description/artist’s intention of subject expression/mood of a work/material and technique/artistic factors/attitude to the work). Second, the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generally improved young children’s creativities in all sub-areas(originality/fluency/flexibility/imagination).

Keywords: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ppreciation ability of pictures, creativity,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 그림감상능력, 창의성

Ⅰ. 서 론

21세기는 ‘정보의 시대’를 넘어 새롭고 의미 있는 지식의 창조를 중시하는 ‘감성의 시대’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은 감성적이고 직관적인 영상세대라고 일컬어진다. 영상세대란, 컴퓨터나 정보통신기기들의 영향으로 시각, 청각, 촉각 등 모든 감각을 인식(認識)에 활용하는 세대이다. 종전의 문자 세대에서 이성 중심의 좌뇌적 문화가 주류를 이루었다면, 오늘날의 영상 세대에서는 감성 중심의 우뇌적 문화가 주류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감성의 시대’에 신체의 모든 감각을 활용하여 직관적으로 사물을 인지하는 영상세대를 위한 적절하고 매력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최근 교육과정 분야의 핵심적인 이슈로 급속히 부상하고 있는 용어가 ‘스토리텔링’이다. 과거에는 사람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구전의 형식을 빌려 단순한 정보나 지식을 전달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정보나 지식을 구전, 서책, 전자 미디어 등의 다양한 전달 매체를 통해 전달하고 있다(Jo, 2006; Kim, 2004). 이러한 측면에서 스토리텔링은 학습자들에게 교육내용인 ‘스토리’와 지식의 전달방법인 다양한 ‘텔링’을 의미함으로써, 지식의 효과적인 전달과 습득을 위한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은 몇 가지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먼저, 스토리텔링은 이야기나 동화 등의 방식으로 재현되어 흥미유발과 수업목표 달성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다(Park, 2012). 즉, 학습자의 일상적인 경험의 연장선상에서 탈맥락적인 지식이나 정보를 구체적이고 친숙하게 연결하여 흥미를 포함한 다양한 교육의 질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텔링은 의미생성활동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다. 스토리텔링에서 텔링(telling)은 화자와 청자가 상호작용하면서 하나의 스토리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표현 방식으로 의미를 구성 또는 창조(making)하는 스토리 구성까지를 포함하는 관점으로 확장·이해할 수 있다(Chae, 2013). 바꾸어 말하면, 영유아가 선호하는 학습방법이 있음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학습할 기회를 제공한다(Wardle, 2003)는 점에서 스토리텔링은 영유아의 독특한 학습 양상에 따라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은 또한 인지와 감성의 균형을 갖춘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다. 스토리텔링은 개인의 경험을 개념화하고, 그것의 저장, 기억, 적용을 포함하는 인지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관심, 느낌, 공감 등을 포함하는 감성을 일깨우기 때문이다(Herman, 2003). 즉, 스토리텔링은 인지와 감성을 이분화하는 교육 담론을 지양하고 통합된 맥락에서의 교수·학습방법이라 할 수 있다.

유아 예술교육의 필요성은 18세기 교육학자들인 페스탈로찌, 헤르바르트, 프뢰벨 등에 의해 제안되었는데 가령, 프뢰벨은 창작활동을 교육의 유일한 형식으로, 아동의 창조적 표현은 아동의 속성을 계발하는 것이라고 하였다(Go, 2013). 즉, 유아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언어적인 수단 외에 비언어적인 수단으로 더욱 잘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음악, 미술, 신체의 예술영역은 유아들의 창의적 사고 및 표현을 자극하며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교과 영역이다. 이에 감성적이고 직관적인 영상세대를 위한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으로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예술교육 접근의 모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인간은 기본적으로 ‘시각’을 통하여 사물을 지각하고 정보를 수집하여, 새로운 지식으로 축척하는 과정을 되풀이하여 살고 있다(No, 1997). 이러한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 미적 안목인데, 미적 안목이란 사물이나 세상, 환경을 미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눈으로 우리 자신과 주변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을 풍부하게 한다(Lee, 1997)는 점에서 미술감상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유아기는 감상능력이 발달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기로, Gardner(1983)는 만 5세의 시기를 ‘상징 인식의 단계’ 또는 ‘사실적 단계’로 분류하고 이 시기의 감상교육은 유아들에게 아름다운 대상과 접하는 기회를 많이 가지게 함으로써 ‘보는 눈과 마음’을 기르는 교육이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이 시기는 그림을 보는 것보다는 풍부한 상상력에 의한 자기표현에 흥미를 가지므로 이때의 감상교육은 ‘감상활동’에 ‘표현’을 통합시켜 지도하면 효과적이다(Tae, 2000). 현장에서 가장 일반적인 감상 활동은 명화를 활용한 것으로, 명화감상을 기초로 하되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미술에만 국한하지 않는 보다 통합적인 예술교육 활동의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가치 있는 시도라고 할 수 있겠다.

한편 창의성은 자신과 타인의 행복을 위하여, 사회와 문화에서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물건이나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것뿐만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의견을 생각해내는 능력 또는 그것을 기초화하는 인격적 특성으로(Jeon, 2000), 창의성 발달은 유아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특히 예술교육에 있어서 창의성 발달을 돕는 교육적 접근의 대안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예술교육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스토리텔링 활용 명화감상 활동 관련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수 이루어져왔다. 즉, Song(2005)의 연구를 시작으로 Kim(2007), Kim(2010), Park(2012) 등에 의해 스토리텔링에 기초한 명화감상지도방안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Kang(2009)은 스토리텔링과 감상의 유형에 따라 보다 체계적인 명화감상지도방안을 고안하여 미술 감상 지도의 교육적 효과를 밝힌 바 있다.

유아를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 관련 최초의 연구로 Jeong(2006)이 ‘스토리 들려주기’ 방식으로 화가의 삶과 작품에 담긴 스토리 들려주기가 유아의 미술 감상 태도 및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힌 바 있다. 또한 명화 감상을 통한 스토리 만들기 혹은 꾸미기 활동의 효과를 본 연구로 상상적 내러티브(Kim, 2007; Min, 2009), 언어 능력(Shin, 2009; Yoon, 2010; Jo, 2006; Choi, 2012; Park, 2012), 창의성(Shin, 2009), 공간지각력(Ji et al, 2010), 그리기 표상능력(Choi 2012)에 미치는 효과를 밝힌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즉, 유아를 대상으로 해서는 스토리텔링과 감상의 유형을 고려한 보다 체계적인 명화감상 활동을 시도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으며 더욱이 미술 이외의 예술 영역을 통합한 교육활동의 모색은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명화감상을 기초로 하여 감상자인 유아가 스토리가 있는 명화를 감상함으로써 화가의 삶과 명화 속에 깃들어 있는 스토리 속으로 흡수되어 화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나름대로 해석하고 비교해 보는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중심의 예술교육 활동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스토리텔링의 ‘텔링’을 ‘말하는 것’에 한정시키지 말고, 명화감상에서 만들어진 ‘말로 된 스토리’외에, 언어, 음악, 미술, 신체 등 예술영역에서 다양한 매체와 표현 방식으로 의미를 구성(making)하는 스토리 구성(story making) 중심의 예술적 표현활동을 포함하는 교육활동이 모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명화감상을 기초로 예술표현활동과 전시 및 평가활동에 이르기까지 스토리텔링의 경험을 연계, 확장함으로써 유아의 미술감상능력은 물론 창의성 발달을 위한 효율적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을 고안·실시하여 유아의 미술 감상능력과 창의성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그림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B유치원 2개 학급에 재원 중인 5세 유아 50명으로 두 반을 각각 실험, 통제 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두 학급은 누리과정에 의해 동일한 생활주제의 교육과정이 운영되었으며 흥미영역 구성 및 일과운영이 유사하였다. 연구대상의 집단별 구성 및 평균월령은 <Table 1>과 같다.

The subjects of the study

2. 연구도구

1) 그림감상능력 검사

유아의 그림 감상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Kim(2003)의 그림 표현 척도와 Jeong(1999)의 감상능력 평가 척도를 토대로 Jang(2008)이 수정, 고안한 ‘그림 감상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검사는 총 6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목별 준거와 질문의 예는 <Table 2>와 같다.

Criteria and questions to assess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검사자가 쇠라의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 밀레의 ‘만종’, 샤갈의 ‘산책’ 등 총 4작품을 유아에게 보여주고 관찰하게 한 후, 각 명화 당 유아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항목별 문항에 따라 유아의 반응을 5단계로 평가하여 각 그림별로 최저 6점∼최고 30점으로 배점한다.

사용하는 명화는 Jang(2008)에 따른 것으로 미술의 요소를 탐색할 수 있으며 표현기법과 그림이 주는 느낌이 각기 다른 명화로, 작품의 특성에 따라 유아의 반응이 다르게 나올 수 있는 그림인지, 그리고 미술의 일반적인 이론으로 제시되는 사실주의, 표현주의, 형식주의, 입체주의의 특성을 보여주는 그림인지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 것이다.

2) 창의성 검사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Jeon(2010)이 개발한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를 사용하였다. 본 검사는 4세에서 6세까지 유아를 대상으로 4개의 소검사로 구성되며, 3개의 영역(언어, 도형, 신체)과 4개의 척도(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서 창의성을 측정한다. 본 검사의 구인타당도는 영역별로는 언어 창의성이 .58, 도형 창의성이 .63, 신체 창의성이 .89였고, 측정요인별로는 유창성이 .96, 융통성이 .92, 독창성이 .79, 상상력이 .68이었다. 본 검사의 구성은 <Table 3>와 같다.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매 활동마다 사전활동을 실시하고 유아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시키며 빨간색 연상하기와 도형 완성하기는 집단으로, 동물 상상하기와 색다른 나무치기는 개별로 실시한다. 검사자가 유아의 반응을 4개의 척도(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 따라 채점하여 검사 기록표에 기록한 후 학지사 심리검사 연구소로 우송하여 영역별, 측정 요인별 원점수를 받는다.

3. 연구절차

본 연구는 예비연구, 검사자 훈련 및 예비검사, 교사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총 18주에 걸쳐 이루어졌다.

1) 예비연구

2013년 1월 9일부터 1월 20일까지 2주간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의 적용 가능성과 문제점을 확인하고 실시방법을 확정하기 위해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아닌 J시에 소재한 B유치원의 5세 학급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을 적용하였다. 사전에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이틀에 걸쳐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활동자료를 제공하였다. 예비연구 결과, 감상활동 전개과정에서 선정된 명화와 명화이야기가 유아의 발달과 흥미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이야기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유아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대학교수인 전문가 1인과 협의 하에 작품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야기의 길이를 수정하였다. 또한 예술표현활동과 전시 및 평가활동 전개과정에서 명화와 예술표현활동의 결과물을 모아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미술 감상 코너’를 별도로 구성해 주기로 하였다.

2) 검사자 훈련 및 예비검사

2013년 4월 8일부터 4월 12일까지 본 연구자는 2인의 검사자를 대상으로 그림감상능력 검사와 창의성 검사를 위한 훈련을 각각 실시하였다. 그림감상능력 검사자는 4년제 대학 졸업자로 3년 이상의 현장경력을, 창의성 검사자는 유아교육학 박사학위소지자로 15년 이상의 현장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본 연구자가 각 검사자에게 그림감상능력 검사와 유아 창의성 검사의 목적, 검사도구의 내용과 실시방법, 기록방법과 채점방법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하위항목별 준거 및 질문방법 등에 대해 토의한 후, 본 연구자를 대상으로 모의시연하게 한 후 의문사항이나 문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훈련을 마친 후, 예비검사를 위해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는 J시에 소재한 A유치원의 5세 남아와 여아 각 3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때, 검사자 1인이 각각 6명의 유아에게 실시하고 다른 1인이 동석하여 별도로 채점한 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예비검사 결과, 먼저, 그림감상능력 검사에서 대상 유아 모두가 질문 내용에 적절하게 반응하였으며, 한 유아 당 10분 정도 소요되어 도구의 사용에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림감상능력 검사의 검사자간 신뢰도 계수는 .86이었다. 다음으로, 창의성 검사는 한 유아 당 20분 정도 소요되었으나, 간혹 글씨를 쓰는데 어려움이 있는 유아의 경우 시간이 지연되어 검사자가 유아의 반응을 받아 적어 주는 방법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그 외에 검사 도구의 사용에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자간 신뢰도 계수는 .98이었다.

3) 교사훈련

2013년 4월 17일부터 4월 19일까지 3회에 걸쳐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 적용을 위해 교사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사훈련의 일정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Table 4>와 같다.

Schedule and contents of teacher education

4) 사전검사

2013년 4월 22일부터 4월 26까지 1주간에 걸쳐서 유아의 그림감상능력과 창의성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검사자에게 유아를 무작위로 배정하고, 오전과 오후의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유아 당 하루에 한 가지 검사를 받도록 하였다. 그림감상능력 검사의 경우, 교실외의 독립된 조용한 공간에서 유아에게 개별 면접의 형태로 실시하였다. ‘작품에 대한 태도’의 항목은 유아가 반응하는 언어적 표현과 행동의 변화를 비디오로 녹화하여 채점하였다. 또한 녹화된 내용을 근거로 그림감상능력 평가지의 기록과정에서 빠진 내용을 전사하고 채점하였다.

창의성 검사의 경우, 집단검사는 교실에서 5명씩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개별검사는 교실외의 독립된 조용한 공간에서 개별적으로 진행하였다.

5) 실험처치

2013년 4월 29일부터 7월 19일까지 총 12주간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을 실험집단에게만 실시하였다. 먼저,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에 사용한 명화선정의 절차 및 기준은 [Figure 1]와 같다.

[Figure 1]

Procedure for and basis of selecting famous paintings

즉, 본 연구자가 유아가 이해하기 쉽고 미술의 요소, 주제 표현이 잘 나타나 있으며, 다양한 표현기법이 사용된 명화를 1차적으로 선정한 후, 2차에서는 교육과정의 생활주제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후 4년제 유아교육과를 졸업하고 3년 이상 경력을 가진 교사 2인과 미술 교사 1인과 함께 최종적으로 협의·선정하였다. 이 때, Kang(2009)를 기초로 연구자가 유아에게 맞게 용어를 중심으로 수정한 명화감상의 6개 유형과 스토리텔링의 5개 유형을 고려하여 유형별 활동이 가능한 22점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명화와 명화별 감상유형 및 스토리텔링 유형은 <Table 5>와 같다.

Schedule of selecting the famous paintings, the types of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nd Storytelling types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은 시안 작성 후 유아교육과 교수 2인과 교육경력 8년 이상인 현장교사 2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2주간의 예비연구를 통해 적용 가능성을 확정한 것으로 그 기본구조는 [Figure 2]와 같다.

[Figure 2]

The basic structure of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Figure 2]와 같이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은 2주일을 기본 단위로 ‘감상-표현-전시 및 평가활동’의 3단계로 구성된다. 즉, 명화감상 유형과 스토리텔링 유형을 기준으로 한 명화감상활동을 기초로 언어, 음악, 미술, 신체 등 4가지의 예술표현활동과 전시 및 평가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주 화요일의 감상활동(대집단)으로 시작해 둘째 주 목요일의 전시 및 평가활동(대집단)으로 마무리하며 그 사이 4개 영역의 예술표현활동과 자유선택활동이 이루어졌다. 자유선택활동을 위해 언어, 음률, 미술 3개 흥미 영역에 명화감상활동코너를 마련하여 운영하였다.

① 1단계 : 명화감상활동

명화감상활동은 격주 화요일에 대집단 활동으로 실시하며, ‘명화감상 유형’의 6가지와 ‘스토리텔링 유형’의 5가지를 기준으로 한 총 6개의 명화감상활동을 적용하였다. 즉, 총 6회의 명화감상활동에 명화감상의 6가지 유형 중 적절한 1가지 유형을 각각 선택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각 명화감상활동마다 스토리텔링의 2가지 유형씩 적용하였다. 즉 ‘화가와 작품과의 연관성 이야기 듣기’는 필수로 하고, 나머지 하나는 4가지 유형 중에서 하나씩 선택, 적용하였다. 명화감상활동별 감상유형과 스토리텔링 유형을 기준으로 한 6개의 명화감상활동은 <Table 5>와 같다.

② 2단계 : 예술표현활동

예술표현활동은 <Table 6>과 같이 언어, 음악, 미술, 신체 등 4개 표현활동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별로 1개의 대집단활동과 1개의 자유선택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언어표현활동은 대집단활동인 ‘동시 짓기’와 ‘자유선택활동’인 ‘화가나 등장인물에게 편지쓰기’로 구성되며, 음악표현활동은 대집단활동인 ‘노랫말 바꾸어 부르기’와 자유선택활동인 ‘그림 속 이야기 악기로 연주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미술표현활동은 대집단활동인 ‘그림의 일부분을 수정·보충하기’와 자유선택활동인 ‘다른 미술재료로 표현하기’로 구성되며, 신체표현활동은 대집단활동인 ‘그림 속 이야기 표현하기’와 자유선택활동인 ‘등장인물의 표정이나 동작 표현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The six famous paintings appreciation activities by the types of appreciation and Storytelling types

The basic structure of arts expression activity

③ 3단계 : 전시 및 평가활동

전시 및 평가활동은 2주째 목요일에 대집단활동으로 실시하였다. 유아들의 표현활동 결과물을 미술감상코너에 전시하여 자신의 작품을 소개, 감상하고 작가의 작품이나 다른 유아의 작품과 비교하여 그 느낌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나눈다.

6) 사후검사

2013년 7월 22일-26일 1주간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2013년 7월 22일-26일 1주간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

4. 자료분석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의 증가분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1.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그림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그림 감상능력 점수는 <Table 7>과 같이 그림 감상능력 총합과 하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은 동질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t=.28).

T-test for the pre-test mean scores of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이에 스토리텔링 중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그림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그림감상능력 검사점수의 총합과 하위 영역별 점수의 사전-사후 검사점수 증가분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T-test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그림 감상능력 전체점수 증가분에 있어 실험집단(M=32.20, SD=5.67)과 통제집단(M=7.24, SD=2.92)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19.57, p<.001). 또한 모든 하위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관찰 및 묘사에서 실험집단(M=5.20, SD=1.04)과 통제집단(M=1.36, SD=1.35) 간의 점수 증가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t=11.26, p<.001), 작가의 주제표현 의도에서도 실험집단(M=6.68, SD=1.99)과 통제집단(M=2.00, SD=.91) 간의 점수 증가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10.67, p<.001). 작품의 분위기에서 실험집단(M=5.12, SD=1.20)과 통제집단(M=1.60, SD=.76) 간의 점수증가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t=12.36, p<.001), 재료와 기법에서도 실험집단(M=5.20, SD=1.85)과 통제집단(M=1.00, SD=.91) 간의 점수증가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10.19, p<.001). 또한 미술의 요소에서 실험집단(M=4.16, SD=.69)과 통제집단(M=.28, SD=.61) 간의 점수증가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t=21.04, p<.001), 작품에 대한 태도에서도 실험집단(M=5.84, SD=1.84)과 통제집단(M=1.00, SD=.71) 간의 점수증가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12.27, p<.001). 따라서 스토리텔링 중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그림 감상능력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창의성 점수는 <Table 9>와 같이 창의성 검사 점수 총합과 하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각 집단이 동질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t=.15).

T-test for the pre-test mean score of creativity

이에 스토리텔링 중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창의성 검사 점수 총합과 하위 영역별 점수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 증가분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T-test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Creativity

창의성 전체점수 증가분에 있어 실험집단(M=31.48, SD=7.53)과 통제집단(M=15.48, SD=4.24)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9.25, p<.001). 또한 모든 하위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유창성에서 실험집단(M=15.64, SD=3.29)과 통제집단(M=7.56, SD=2.16) 간의 점수 증가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t=10.26, p<.001), 융통성에서도 실험집단(M=4.40, SD=2.42)과 통제집단(M=2.68, SD=1.46) 간의 점수 증가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3.05, p<.01). 또한 독창성에서 실험집단(M=8.44, SD=3.69)과 통제집단(M=4.40, SD=2.24) 간의 점수증가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t=4.69, p<.001), 상상력에서도 실험집단(M=3.00, SD=1.26)과 통제집단(M=.84, SD=.80) 간의 점수증가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7.24, p<.001). 따라서 스토리텔링 중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그림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은 유아의 관찰 및 묘사, 작가의 주제표현 의도, 작품의 분위기, 재료와 기법, 미술의 요소 등 모든 영역에 걸쳐 유아의 그림 감상능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이 초등학생 아동의 그림 감상능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Jang(2010), Kang(2009), Kim(2010), Park(2012)의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이다. 즉, Kim(2010)은 초둥학생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한 점에 본 연구와 차이가 있으나, 미술 감상 지도방법으로 수용미학 관점에 기초하여 스토리텔링이라는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미술작품과 아동을 좀 더 의미 있게 연결시키고, 아동이 미술작품에 친근함을 가지고 자기 주도적으로 작품을 감상하고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과 유사성을 가짐으로써 같은 맥락의 결과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Jang(2010)의 연구에서도 명화감상활동 전에 제시되는 이야기 들려주기 방법의 스토리텔링이 명화를 재미있으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명화감상을 받아들이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흥미 있는 내용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동의 미술 감상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 바, 이 역시 본 연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과의 유사점이다. 한편 Kang(2009)과 Park(2012)에서도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초등학생 아동 수준에 맞는 아동 주체의 적극적인 미술 감상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미술작품에 대한 친숙함과 인지력을 높이며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작품 해석을 존중하는 태도를 갖도록 하는 데 교육적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논의된 바 있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에서는 명화가 가지고 있는 갖가지의 이야기(Story) 내용을 토대로 한 명화감상활동으로 유아들은 명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아져 풍부한 감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고, 감상을 기초로 예술표현활동과 전시 및 감상활동에 이르기까지 스토리텔링의 경험을 연계, 확장함으로써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데 하나의 관점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별로 서로 다른 관점이 존재함을 인식하여, 미적 안목을 형성하고 서로 다른 미적반응을 인지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그림감상 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의 그림감상능력 증진효과는 Jang(2010)의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는 차이가 있다. 즉, 본 연구는 그림감상능력의 하위영역 중 ‘미술의 요소’, ‘작품의 분위기’, ‘작품에 대한 태도’, ‘관찰 및 묘사’, ‘작가의 주제표현 의도’, ‘재료와 기법’ 순으로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났으나, Jang(2010)의 연구에서는 그림감상능력의 하위영역 중 ‘작품에 대한 관찰’을 제외하고 ‘작품의 느낌에 대한 언어적 표현’, ‘미적요소의 발견’, ‘작품의 존중감’, ‘감상태도’의 순으로 실험집단의 아동은 비교집단의 아동보다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냈다는 것이다. 두 연구에서 사용된 그림감상능력의 하위영역구성의 차이로 직접적 비교는 불가하나 ‘미술의 요소(미적 요소)’, ‘작품의 분위기(작품의 느낌에 대한 언어적 표현)’, ‘작품에 대한 태도(작품의 존중감)’ 등 3개 하위영역에서는 공통적 효과가 있었고 ‘작품에 대한 관찰’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서만 효과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작가의 주제표현 의도’나 ‘재료와 기법’영역에서도 감상능력의 증진효과가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Jang(2010)에 비해 더 다각적인 그림감상능력이 증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Jang(2010)의 경우,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을 8주에 걸쳐 주1회, 약 35분 정도 제한적으로 제공한 데 비해, 본 연구의 스토리텔링 중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예술교육활동은 12주에 걸쳐 2주를 기본단위로 하여 제공하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그림 감상능력 증진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체계적인 종합적 예술활동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받을 수 있다.

2.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등 유아의 창의성의 전 하위영역에 걸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킴을 밝힌 연구들(Moon, 2005; Shin, 2009; Jang, 2005; Ji, 2003; Jin, 2011; Choi, 2013)의 결과와 같은 맥락의 것이다.

즉, 본 연구의 창의성 증진 효과는 일반적인 명화감상을 한 유아보다 명화감상 활동 후 이루어지는 확장활동이 유창성과 독창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Ji(2003)의 연구나 명화감상활동을 통해 화가에 대한 탐색과 화가의 의도를 알고 난 후 자신의 경험과 관련하여 이야기할 때 표현이 유창해졌다는 Shin(2009)의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또한 Moon(2005)은 감상활동을 기초로 재구성한 미술적 표현활동과 전시 및 감상을 포함하는 통합적 미술 감상활동이 유아의 융통성을 증진시켰음을 보고한 바, 이 역시 같은 맥락의 결과이며, 유아 스스로 명화 작품을 선정하여 탐색하고, 상징적인 표상과 반성적 사고로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독창성이 향상됨을 밝힌 Nam(2008)의 연구결과와도 같은 맥락의 결과로 볼 수 있다. 한편 Lee(2012)는 음악적 요소가 포함된 다양한 미술 감상 작품들을 통해 자연스럽게 포괄적 음악활동으로 연계함으로써 상상력 증진효과를 보고하였는데 이 역시 본 연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과 유사한 교육활동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같은 맥락의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두 연구 모두에서 ‘그림 속 이야기를 악기로 표현하기’ 활동이 제공되었으며 이를 통해 미술 작품 속에서 들리는 듯한 소리나 그림 속 이야기를 악기로 표현해봄으로써 유아들로 하여금 상상력을 자극하고, 자유롭게 표현해보도록 함으로써 상상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은 말하기(telling)의 영역에 한정하지 않고, 언어와 음악이 결합된 노래하기(singing)나 악기 연주하기(playing), 문자로 이루어진 쓰기(writing), 언어와 동작이 결합된 보여주기(showing), 언어와 미술이 결합된 그리기(drawing)나 색칠하기(painting) 등의 다양한 예술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화자와 청자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면서 하나의 스토리(Story)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표현방식으로 의미를 구성 또는 창조하는 스토리 구성(Story making) 관점의 활동이다. 즉,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은 유아로 하여금 친숙하지 않은 명화나 화가의 이야기를 접하고 그 이야기를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 느낌에 연결시키면서 이해하고 해석(mapping)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심상뿐만 아니라 지적 생산물을 창조해봄으로써 창의성 능력을 증진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명화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유아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그림 감상표현 능력 및 창의성 발달에 효과적인 교육활동으로서 일반화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소도시의 만 5세 학급의 유아 50명만을 대상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에 실시되었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지역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스토리텔링 중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예술교육활동을 확대・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요구되며, 연구대상의 인원을 확대뿐만 아니라 다른 연령의 유아들에게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분석하는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중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그림감상능력,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양적으로 검증하였으며, 개별 유아의 그림감상능력, 창의성에 관한 질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스토리텔링 중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예술교육활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 및 태도의 질적 변화를 살펴보는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Notes

이 논문은 2014년도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의 일부임

References

  • Chae, E. S., The Generation of Meaning in Mathematics Teaching with Storytel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13).
  • Choi, H. S., The effect of the story-making activity basedon art appreciation on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iteracy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entral University, Korea. Seoul Education, (2012).
  • Choi, H. W., (The) effects of the extension activity with famous painting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doctorate thesis, Kyeongseong University, Korea, (2013).
  • Gardner, H., Frame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NY : Basec Books, (1983).
  • Go, G. H., History and theory of art education, Seoul : Hakjisa, (2013).
  • Herman, D., Narrative theory and cognitive science, Stanford, CA: CSLI Publications, (2003).
  • Jang, H. J., (The) effects of extension activities related to the famous paintings appreciation on the young children's art ability and crea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Baejae University, Korea, (2005).
  • Jang, S. M., The Effect of visiting an art gallery on children's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bility of pictures, Unpublished doctorate thesis, Central University, Korea, (2008).
  • Jang, Y. S., The effect of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storytel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eonhyang University, Korea, (2010).
  • Jeon, K. W., A Review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reative Program for the Preschoolers,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2000), 3(1), p103-135.
  • Jeon, K. W.,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Children, Seoul: Hakjisa, (2010).
  • Jeong, M. K., A study of the effects on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of in art teaching strategy based on aesthetic elements, Art Education Review, (1999), 15(15), p331-352.
  • Jeong, M. K., The Effect of Stories Relating Artists' Lives to their Art Works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Art Appreciation Abilities and their Attitudes towards Art,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6), 26(2), p5-26.
  • Ji, O. N., (The) Effects of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Artistic Expression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Korea, (2003).
  • Ji, S. A., Kim, M. J., Song, Y. K., Jo, H. J., The Effects of the Story-Making Activity based on Art Appreciation on Young Children`s Language Competence and Space Perceptual Ability, Korea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0), 14(4), p339-358.
  • Jin, H. W., The effects of extension activities related to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on language ability and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ongnam University, Korea, (2011).
  • Jo, E. J.,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e artist painting appreciation and orally narrative fairy tales activity on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language ability and art disposi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nam University, Korea, (2006).
  • Kang, M. R., A Study on a Plan for Guiding Elementary Art Appreciation Using Children's Storytel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9).
  • Kim, M. K., A Study on the Art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using Story Telling : Focusing on art criticism, art history, and esthe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10).
  • Kim, M. Y., Influence of story making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on young children's imaginative narrati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7).
  • Kim, S. W., (The)effects of activities which explore art elements through nature walks on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entral university, Korea, (2003).
  • Kim, Y. J., Story Telling: with reference to Story Case about Organizational Learning, Organiz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2004), 28(2), p1-21.
  • Lee, K. S.,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oul : Hakmoonsa, (1997).
  • Lee, S. M., Effect of comprehensive children music education program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through art appreciation, Unpublished doctorate thesis, Central University, Korea, (2012).
  • Min, B. J.,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masterpiece appreciation on children's fictional narrati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09).
  • Moon, S. R.,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artistry expressivity and crea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5).
  • Nam, H. I., The effects of constructivism based art appreciation to the creativity and art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kuk University, Seoul, (2008).
  • No, B. J., Art appreciate and education,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1997), 13, p71-77.
  • Park, H. H., The Study on the art appreciation instruction through aesthetics of reception in elementary art education -using the storytel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12).
  • Park, S. M., Development of Learning Strategy e-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Storytelling,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012), 24(2), p272-285.
  • Shin, Y. J., The Effects of Story Creating Activities through Masterpiece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nam University, Seoul, (2009).
  • Song, E. J.,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for the appreciation of art works with emphasis on their sto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5).
  • Tae, H. M., (A) Study on art appreciation teaching through ex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000).
  • Wardle, F.,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child-centered care and learning, Boston, MA: Allyn & Bacon, (2003).
  • Yoon, E. M., The Effect of Story Making and doll play activity through Appreciation of the Famous Picture on Young Children’s Story Construction Ability and Languag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0), 14(2), p205-228.

[Figure 1]

[Figure 1]
Procedure for and basis of selecting famous paintings

[Figure 2]

[Figure 2]
The basic structure of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Table 1>

The subjects of the study

Groups Sample size (n) Sex Average age (in months) t
Male Female M SD
Experimental 25 13 12 70.31 3.61 .78
Control 25 13 12 69.46 3.68
Total 50 25 25 69.88 3.65

<Table 2>

Criteria and questions to assess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Item Criteria & Questions
Observation & Description To explain what are in the work of art.
- "What are the things you can see in this picture?"
- "Let’s say all you see in this picture."
Material & Technique To know and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and technique.
- "What do you think it is drawn with?
- "How do you think it is drawn?
Artist`s intention of subject expression To explain about artist`s intention of subject expression after seeing the work of art.
- "Why do you think the artist drew this picture?"
- "What do you think the artist wants to say in this picture?"
-"If you were the artist, what picture would you want to draw?"
Mood of a work To explain one`s feeling about the work of art.
- “How do you feel after seeing the pictures?
Artistic factors To find and explain the artistic factors in the work of art.
- “How do the artistic factors(colors, lines, shape or form, light and shade, texture, space) look?
- “How would you have felt if you had touched the work of art?”
- “What do you think about the distance or position?”
Attitude on the work of art Is the attitude to respect and appreciate the work of art serious?
(Linguistic expression and behavior change of the child are recorded on video tape and examined.)

<Table 3>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Fields Test types Test contents Measurement factors Time required (min)
Language Test 1.
Associating
with red color
To write the things or ideas and feelings that are associated with red color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3
Figure Test 2.
Completing
figures
To draw some pictures using the lines one by one after presented with 9 center lines(S-shaped) in Taegeukgi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3
Movement Test 3.
Imagining
animals
To do body expressions after thinking about five animals in Korean fairy tales imagination 3
Test 4.
Knocking down
a wooden block
differently
To knock down an upright wooden block with another as in the Korean traditional stone knocking-down game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7

<Table 4>

Schedule and contents of teacher education

Classifi
cation
Educational content Material Method
Theory Practice
First · Overview of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 ·related materials ·Explanation
·Question and answer
Second · Detailed activity content, teaching method & precautions for appreciation activity & expression activity(large group) of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To practice detailed activity content, teaching method & precautions ·Lesson plans
·Activity materials
·Explanation
·Demonstration
·Question and answer
Third · Detailed activity content, teaching method & precautions for expression activity(free-choice activity), exhibition & assessment activity of storytelling-centered art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To practice detailed activity content, teaching method & precautions ·Lesson plans
·Activity materials
·Explanation
·Demonstration
·Question and answer

<Table 5>

Schedule of selecting the famous paintings, the types of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nd Storytelling types

weeks real life the famous paintings the types of appreciation storytelling types
1st Animals,
plants and
nature /
I and
family
· Odilon Redon
  (Flowers in green vase)
· Vincent van Gogh
  (Sunflowers)
Appreciating the works with a common theme To listen to
the story of
correlation
between the
artist and his
or her work
To compare or explain the work
2nd
3rd · 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Self-Portrait Ⅰ,Ⅱ)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work To reinterpret and tell the meaning of the work
4th
5th Our village · Fernando Botero Angulo
  (Dancers, Street , Picnic)
Appreciating the work after repainting its part by going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 To imagine and tell as befits the work atmosphere
6th
7th · Jean Francois Millet
  (L’Angélus)
· Claude Monet
  (Flanders poppy, Woman with a Parasol, St Beach)
· Georges Pierre Seurat
  (Le Chahut)
Appreciating the works of various artists at the same time To imagine and tell as befits the work atmosphere
8th
9th Health and
safety
· Kim Hong-do
  (Seodang, Ssireum, Mudong, Tazak)
· Pieter Bruegel the Elder
  (Peasant wedding, Children's games, Dance of the Villagers, Working Farmers)
Appreciating and comparing the works of the two artists with a similar theme To compare or explain the work
10th
11th · Auguste Renoi
  (A girl brushibg her hair, A girl washing her feet)
Focusing on the works of one artist To tell from one`s own experience
12th

<Table 6>

The six famous paintings appreciation activities by the types of appreciation and Storytelling types

Classification The types of appreciation Storytelling types
Activity 1 ①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work To listen to
the story of
correlation
between the
artist and his
or her work
To compare or explain the work
Activity 2 ② Appreciating the works with a common theme To reinterpret and tell the meaning of the work
Activity 3 ③ Focusing on the works of one artist To imagine and tell as befits the work atmosphere
Activity 4 ④ Appreciating the works of various artists at the same time To imagine and tell as befits the work atmosphere
Activity 5 ⑤ Appreciating the work after repainting its part by going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 To compare or explain the work
Activity 6 ⑥ Appreciating and comparing the works of the two artists with a similar theme To tell from one`s own experience

<Table 7>

The basic structure of arts expression activity

Large group activity Free-choice activity
Linguistic Expressions Activity Composing the poetry Writing to the artist or characters
Music Expressions Activity Changing the lyrics Expressing the story in the picture using musical instruments
Art Expressions Activity Modifying and supplying a part of the picture Expressing arts using other art materials
Physical Expressions Activity Expressing the story in the picture Expressing the look or actions of characters

<Table 7>

T-test for the pre-test mean scores of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Classification Experimental Group
(n=25)
Control Group
(n=25)
t
M SD M SD
observation and description 8.60 1.56 8.44 2.00 .32
artist’s intention of subject expression 6.44 1.81 6.08 1.80 .71
mood of a work 5.52 1.09 5.12 1.45 1.10
material and technique 5.76 1.51 6.36 1.50 1.42
artistic factors 7.60 1.26 7.50 1.33 .22
attitude to the work 8.04 1.37 7.96 .74 .26
Total 41.96 6.11 41.48 6.15 .28

<Table 8>

T-test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picture appreciation ability

Classification Group Pre-test Post-test Difference t
M SD M SD M SD
observation and description Experimental
(n=25)
8.60 1.56 13.80 1.53 5.20 1.04 11.26***
Control
(n=25)
8.44 2.00 9.80 1.41 1.36 1.35
artist’s intention of subject expression Experimental
(n=25)
6.44 1.81 13.12 1.92 6.68 1.99 10.67***
Control
(n=25)
6.08 1.80 8.08 1.68 2.00 .91
mood of a work Experimental
(n=25)
5.52 1.09 10.64 1.35 5.12 1.20 12.36***
Control
(n=25)
5.12 1.45 6.72 1.34 1.60 .76
material and technique Experimental
(n=25)
5.76 1.51 10.96 1.57 5.20 1.85 10.19***
Control
(n=25)
6.36 1.50 7.36 1.29 1.00 .91
artistic factors Experimental
(n=25)
7.60 1.26 11.76 1.13 4.16 .69 21.04***
Control
(n=25)
7.50 1.33 7.80 1.56 .28 .61
attitude to the work Experimental
(n=25)
8.04 1.37 13.88 1.99 5.84 1.84 12.27***
Control
(n=25)
7.96 .74 8.96 1.10 1.00 .71
Total Experimental
(n=25)
41.96 6.11 74.16 8.14 32.20 5.67 19.57***
Control
(n=25)
41.48 6.15 48.72 5.79 7.24 2.92

<Table 9>

T-test for the pre-test mean score of creativity

Classification Experimental Group
(n=25)
Control Group
(n=25)
t
M SD M SD
fluency 16.40 3.28 16.20 3.65 .20
flexibility 9.24 1.67 9.40 1.53 .35
originality 6.56 2.65 6.60 2.80 .52
imagination 8.68 2.41 8.32 3.29 .44
Total 40.88 7.10 40.52 9.31 .15

<Table 10>

T-test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Creativity

Classification Group Pre-test Post-test Difference t
M SD M SD M SD
fluency Experimental
(n=25)
16.40 3.28 32.04 4.90 15.64 3.29 10.26***
Control
(n=25)
16.20 3.65 23.76 3.50 7.56 2.16
flexibility Experimenta
l(n=25)
9.24 1.67 13.64 1.87 4.40 2.42 3.05**
Control
(n=25)
9.40 1.53 12.08 1.47 2.68 1.46
originality Experimental
(n=25)
6.56 2.65 15.00 3.49 8.44 3.69 4.69***
Control
(n=25)
6.60 2.80 11.00 3.32 4.40 2.24
imagination Experimental
(n=25)
8.68 2.41 11.68 1.86 3.00 1.26 7.24***
Control
(n=25)
8.32 3.29 9.16 2.93 .84 .80
Total Experimental
(n=25)
40.88 7.10 72.36 9.49 31.48 7.53 9.25***
Control
(n=25)
40.52 9.31 56.00 9.10 15.48 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