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JHE - Vol. 23, No. 5, pp.919-928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Oct 2014
Received 04 Sep 2014 Revised 22 Oct 2014 Accepted 23 Oct 2014
DOI: https://doi.org/10.5934/kjhe.2014.23.5.919

A Study on the Wearing Conditions of Summer School Uniform and Comfortable Uniform for Middle School Students

KimYun Hee ; LeeJin Hee*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and Apparel Industry, Wonkwang University, Institute of Better Living
중학생의 여름철 교복 및 생활복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Correspondence to: * Lee Jin Hee Tel: +82-63-850-6647 E-mail: jinhlee@wku.ac.kr

Copyright © 2014,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on their uniform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wearing condition. on their comfortable uniform. Survey was conducted on 532 boys' and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in Iksan City. This study analyzed the purchasing factors and modification, fitting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comfortable uniform aspect of students. It wa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8 questions in tot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boys’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activity’ among the purchasing factors.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design’ and ‘activity’ among the purchasing factors. Second, in purchasing types, boys’ students bought the type of cooperative purchasing and the type of the school uniform special shop in girls’ students. Third, 51.0% of the students interviewed have experienced to modify their uniforms. Since the non fashionable design and non suitable uniform length caused the students to modify their uniform. Also students did not satisfy the color and design in their comfortable uniforms. Thus school uniform maker should make that consider movement, color, design, functional elements and changing students’aesthetic sense

Keywords:

Summer, Middle School, School Uniform, Comfortable Uniform, Wearing Condition, 여름, 중학교, 교복, 생활복, 착용실태

Ⅰ. 서 론

최근 우리나라 여름 날씨가 기후변화를 통해 길어지면서 냉방기의 사용 시간 또한 길어져 에너지 수급에 문제가 생길 우려를 낳았다. 이러한 여름철 냉방기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에너지 부족 현상에 대한 정부의 시책으로 관공서나 학교 실내 온도를 26도로 유지하고 냉방기의 사용을 시간대별로 가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시책을 펼치고 있다. 예를 들어 점심시간대에는 관공서의 경우 냉방기 가동을 정지하도록하는 것을 시행하였다. 따라서 학교에서도 학생들이 입는 교복을 통해 더위에 대응할 수 있는 소재 및 디자인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일선 학교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맞게 하절기에 교복과 더불어 생활복이란 개념으로 학교 내에서 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상의의 경우 폴로셔츠(polo-shirts)형의 신축성있는 소재로 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하의의 경우 하절기에도 긴바지를 착용하던 것에서 반바지를 착용하는 학교가 전국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최근 기후의 변화와 에너지 절약 등 사회전반적인 흐름에 기인한 하절기에 한시적으로 허용되는 의복이기는 하지만 더운 교실에서 학생들의 교육열을 높이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복 뿐 만 아니라 생활복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 하복용으로 입는 남학생용 긴 바지 교복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도입된 반바지 교복을 착용하는 학교가 많이 생겨나고 있는데 남학교 뿐 만 아니라 여학교에서도 착용하는 학교가 늘어가고 있다.

중학생의 경우 교복은 초등학교 시기를 지나 학교 단체복으로써 처음 접하게 되는 것으로 동조성을 통해 또래와의 동질감을 나타낼 수 있는 교복에 대한 기대감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각자의 개성보다는 단체 생활을 원활하게 하는 도구로서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행동의 제약을 받는 등 학생들의 입장에서는 강요나 억압의 상징일 수 있다.

교복에 대한 선행연구로 Lee & Cho(2012)의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은 이미 중학교 시절을 통해 교복 착용의 경험이 있어 치수적합성에 있어서 중학생보다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발달단계로 심리적, 신체적 변화가 심한 시기로 성장 속도가 가속화 되는 등 급격한 신체적 변화와 내분비선의 발달로 남녀의 성차가 뚜렷하게 나타난다(Kim & Bae, 2003). 또한 외모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시기로 외모를 매력적으로 보이고 싶어하고 의복을 그 수단으로 사용한다(Kang & Yoon, 2013). 또한 인터넷과 모바일, 연예인, 또래집단 등의 영향으로 그들만의 문화와 유행을 만들어 낸다. 특히 교복을 통학복으로 착용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교복은 통학복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같은 디자인의 교복을 3년 동안 착용하는데 자신의 외모를 돋보이게 하는 수단으로 교복 변형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청소년기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기후 변화에 따라 교복의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여야 함을 연구한 논문들로 Kim(1992)은 교복이 학생다워 보이고 집단에 동조함으로써 얻어지는 심리적 안정감, 행동의 조심성, 학생으로서의 자부심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활동하기에 불편하고 보온이 잘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단점이라고 하였다. Park(1997)의 서울시내 여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교복 착용시 문제점에 대하여 ‘개성표현의 문제’, ‘온도변화의 대처에 어려움’, ‘활동불편’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Yoo & Kweon(2012)는 생활한복형 교복 착용시 형성되는 의복 기후와 주관적 감각을 파악하고 소재성분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에서 상의 소재로는 P/R소재가, 하의로는 P/W 소재가 가장 낮은 피부온을 보여 시원한 소재로 여름철에 적합하다고 하였다. Lee & Kweon (2002)은 여자 중학생의 하복 관리 실태에서 교복의 개선점으로 활동성과 디자인을 들었으며, 여름철 환경에 적합한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공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한 중학교는 학생들이 교복이 불편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로 학교 규정에 맞지 않게 입자 가장 불편하게 여기는 부분이 무엇이고 어떻게 개선을 했으면 좋을지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디자인을 공모하여 디자인 스타일 활동성을 담보한 교복을 입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남학생의 경우 신축성이 없는 소재로 인해 활동에 불편함을 느끼고 유행에 맞게 바지부리를 줄여서 입거나 더운 여름에 반바지 착용을 희망하고 실제로 서울의 한가람 고등학교에서 반바지를 허용함으로써 전국적으로 반바지 교복을 허용하거나 생활복의 개념으로 허용하는 학교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생활복 착용에 있어서는 학교장의 재량으로 결정되는 사항으로 일부학교에서는 학부모, 학생, 선생님들이 참여하여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하여 디테일에 변화를 주고 길이를 학생들의 요구에 맞게 짧게 줄인 치마바지 생활복을 선정하여 업체에서 제작 원가를 다 공개하여 저렴한 가격에 학생들에게 만족감을 주는 생활복을 선정하였다고 한다(Daum blog)

익산시의 경우 2013년까지만 해도 1개 중학교에서 반바지를 착용하였는데 2014년에는 4개 중학교에서 등하교시 반바지를 착용하는 것이 허용되는 등 학교 내에서 반바지를 입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고, 남자 중학교에서만 착용되고 있지만 타지역의 경우 여자 중학생들의 반바지 착용이 인터넷을 통해 보도되고 있어 여학생의 바지나 반바지 착용이 앞으로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복을 처음으로 입게 되는 중학생들에게 있어 교복에 대한 만족감을 높임으로써 고등학교 교복에 대한 만족감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중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착용실태를 파악하고 불만요인을 분석하여 보다 만족감이 높은 교복을 제작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학교에서 착용하는 교복(하복)과 생활복에 대한 착용실태를 조사하고 남녀중학교별 맞음새 정도와 생활복 착용여부 및 생활복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조사대상 및 시기

조사대상은 익산시 소재 남자 중학교 2곳, 여자 중학교 2곳을 선정하여 남학생 168명, 여학생 355명 총 532명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학년별로는 1학년이 222명(42.4%), 2학년이 139명(26.6%), 3학년이 162명(31.0%)로 나타났다<Table 1>. 조사 시기는 2014년 7월 10일~7월 18일에 하였다.

Frequency of students according to types of middle school and grade N(%)

2. 조사도구

본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본 조사에 앞서 익산거주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설문지는 총 560부를 배부하였으며 그중 응답이 불성실하게 대답한 28부를 제외한 53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만족도에 관한 평가방법은 5점 리커트 척도(‘매우 그렇다’ 1점, ‘그렇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4점, ‘매우 그렇지 않다’ 5점)를 이용하였다.

설문 내용으로는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 2문항과 교복 구입에 관한 5문항, 교복 수선에 관한 3문항, 생활복 형태 1문항, 생활복 착용 여부 1문항, 생활복 수선에 관한 3문항, 생활복 만족도에 관한 문항 2문항과 서술형 1문항 총 1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자료분석

SPSS Win 20.0을 사용하여 모든 문항에 대해 기술통계를 살펴보았으며 남녀 학교별 교복구매요인, 맞음새 정도, 생활복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를 하였으며, 교복 구매 방법, 교복 변형 여부, 생활복 착용여부, 생활복 형태별 분포 등에 대해 교차분석(Crosstabs)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남녀학교별 교복구매요인 및 구입형태

남녀학교별로 교복의 구매 요인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구매요인 중 활동성에서 2.09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여학생의 경우는 디자인과 활동성에서 1.93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들은 남학생들과의 차이분석에서는 브랜드와 디자인에서 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남학생들보다 디자인과 브랜드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e 2>. 이는 청소년들에게 교복이 기능적, 효용적 가치가 아니라 브랜드 상징성이라는 가치로 인식하여 브랜드 소비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자신이 속해있는 집단을 표현하며 교복 브랜드의 착용을 통해 자신감과 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외모 지상주의로 작용한다고 한 연구 결과(Cheon & Shin, 2008)와 비슷한 결과로 특히 여학생의 경우는 디자인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선호도를 반영한 디자인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남녀학생들 모두 활동성을 중요시하므로 소재 및 기능적 구성도 고려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Significant difference school uniform purchase factors according to school types

남녀 학교별 교복 구입의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한 결과는 <Tabel 3>과 같이 남자 중학생의 경우는 21.0%에 해당하는 110명이 공동구매로 교복을 구매하였고, 여학생들의 49.9%인 261명이 교복전문점에서 교복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모에 관심이 더 많은 여학생들이 동조적 외모 관심과 가치지향적 외모 관심, 적극적 외모관심이 높을수록 브랜드 요인이 높게 나타난다는 Jung(2008)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브랜드 요인이 높게 나타나 교육부는 시·도교육청과 함께 교복 ‘공동구매 활성화’, ‘교복 물려 입기 운동’을 추진하지만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자 ‘교복 가격안정화’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학교가 교복 구매 절차를 주관하고 전자입찰 방식으로 구매의 투명성을 제고 할 계획이라고 한다(Kang & Yoon, 2013)

Significant difference of purchase types according to school types N(%)

교복 공동구매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관한 연구(Lim, 2011)에서도 공동구매에 대한 구매 의사가 낮게 나와 공동 구매 업체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 착용은 또래 집단의 유행을 따르기 위한 교복 변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남녀 학교별 교복 변형 경험을 묻는 항목에서 조사 대상자 중 남자 중학생(165명) 중 13.9%인 72명이 변형경험이 있고, 여자 중학생(353명) 중 37.1%인 193명이 변형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e 4>.

Significant difference of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s N(%)

패션과 교복에 대한 관심도가 교복수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결과(Hwang, 2002)에서는 패션에 관심이 높은 학생이 교복 수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복 수선 여부에 따라 패션과 교복에 대한 관심도가 교복 수선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학생들이 교복 변형을 행동으로 옮기지는 못하지만 외적인 부분을 중요시하는 청소년들의 내적 심리가 반영된 결과라고 하였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교복에서 서로 선호하는 이미지가 다르므로 남학생에게는 개성적인 이미지의 교복을 여학생에게는 지적이고 클래식한 이미지의 교복을 제안하면서도 교복 변형을 통해서 획일적인 교복에 대한 불만감을 해소시킬 수 있으므로 학생들이 경제적으로나 신체적으로 무리가 따르지 않게 교복변형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구매 형태별로 변형경험을 살펴본 결과 공동구매한 남자 중학생 110명 중 39명이 변형수선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복 전문점에서 구입한 49명 중 29명의 학생들이 변형을 한 것으로 나타나 의복에 관심이 높은 학생일수록 변형경험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여학생의 경우는 공동구매한 88명 중 55명이 변형 경험이 있다고 대답하였고 교복 전문점에서 구입한 261명 중 133명이 변형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Tabe 5>.

Significant difference of modification and purchase types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s N(%)

Significant difference of fit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s

교복의 맞음새를 묻는 문항에서 길다(크다) 1점, 약간 길다(약간 크다) 2점, 적당하다 3점, 약간 짧다(약간 작다) 4점, 짧다(작다) 5점으로 측정하였다.

남학생들의 경우 바지통, 허리둘레, 바지길이의 순으로 크거나 길다고 했으며, 여학생들은 치마길이, 치마폭, 허리둘레 순으로 크거나 길다고 나타났다. 바지(치마)길이 항목에서 남녀학생 간 매우 유의한 수준으로 조사되었고, 상의길이와 소매통에 대해서도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교복이 크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Lee & Cho(2012)의 연구에서 처음 교복을 구매할 때 3년 동안 입을 것을 고려하여 자신의 신체 사이즈보다 한사이즈 정도 큰 사이즈를 구매하고 있는 이유와 일치하고 있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신체적 특징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같은 치수체계를 사용하고 있어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체형 특성 및 신체부위별 증가량을 반영하여 교복의 맞음새를 향상시켜야(Ryu et al., 2013)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남녀 학교별 생활복 착용 여부 및 만족도

조사 대상 학교 중 여학교 1개 학교를 제외한 3개교에서 생활복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복을 입지 않고 있는 여자중학교의 학생들의 대부분이 생활복 착용을 희망한다고 응답하였다. 생활복을 착용하고 있는 학생들의 생활복 착용 빈도는 <Table 7>과 같다. 조사 대상 남자 중학생 168명중 82.1%에 해당하는 138명이 생활복을 착용하고 있으며 여자 중학생은 전체 355명 중 54.6%에 해당되는 194명이 생활복을 착용하고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여학생보다 남학생들의 생활복을 더 많이 착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Wearing or not of comfortable uniform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s N(%)

생활복 상의의 형태를 살펴보면 <Table 8>, 칼라가 달린 폴로형의 티셔츠 형태가 남녀 중학생 전체의 98.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의의 경우는 남자 중학교의 대부분이 반바지 형태의 생활복을 착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학교의 경우는 생활복 하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설문지에 자유롭게 기술할 수 있도록 한 문항에 대하여 반바지 교복이나 교복 하의가 치마 바지였으면 좋겠다고 응답한 여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여자 중학교에도 하절기에 반바지를 교복이나 생활복으로 착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Distribution of comfortable uniform types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s

생활복을 착용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착용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Significant difference of comfortable uniform’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s

남학생들의 경우 ‘활동이 편하다’, ‘입고 벗기가 편하다’, ‘구김이 잘 가지 않고 관리가 용이하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색상이나 디자인에 대해서는 불만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중학생들의 경우 ‘활동이 편하다’, ‘입고 벗기가 편하다’, ‘구김이 잘 가지 않고 관리가 용이하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색상과 디자인에 대해서는 다소 불만족인 것으로 나타나 남녀 중학생 간에 생활복의 만족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Lim(2004)의 학생들이 현재 착용하고 있는 교복에 대해 만족감이 낮은 이유로 활동의 불편함과 디자인적 요소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고 한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기존 교복에 비해서 활동성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사 대상 학생들이 속한 학교에서 통학복으로 생활복 착용을 허용하고 있었으며, 생활복을 착용하는 횟수를 조사한 결과 <Table 10>는 생활복을 착용하는 남자 중학생(138명)의 55.1%인 76명이 주 5회 착용하고 있었으며, 여자 중학생의 경우도 생활복을 착용하는 여자 중학생(194명) 35.6%에 해당하는 69명이 주 5회 착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여 ‘활동이 편하다’, ‘입고 벗기가 편하다’, ‘구김이 잘 가지 않고 관리가 용이하다’는 생활복의 만족도에 따라 착용횟수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Wearing times of top's comfortable uniform according to school types N(%)

서술형 불만요인에 대한 결과로, 색상과 디자인에 대한 불만사항이 높았는데(26명이 답함)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재에 대한 불만족으로 소재의 경우 약해서 터지거나 단추가 잘 떨어진다(15명), 와이셔츠형 교복 소재 뿐아니라 생활복 소재도 땀 흡수가 안되고 통풍이 안된다(24명)고 응답하여 소재에 대한 불만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여학생의 경우는 스커트를 착용하여 활동이 불편하고 속옷이 신경쓰여 속바지를 입어야 해서 덥다, 반바지 교복이나 치마바지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20명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Lee & Kweon(2002)의 하복 바지의 착용여부에 대해 54.5%가 희망한다고 하였으며, 희망하는 형태로는 반바지 형태로 여자 중학생의 하복을 꼭 스커트로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넘어 큐롯 스커트나 랩스커트 등 활동성과 심미성을 겸비한 디자인의 스커트나 반바지의 착용을 고려해야 하다는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결론 및 제언

중학생들의 여름철 교복 및 생활복 착용 실태에 대하여 익산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학생의 경우 구매요인 중 활동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여학생의 경우는 브랜드와 디자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학생들의 차이 비교에서는 브랜드와 디자인에서 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여학생들과 남학생들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2. 남자 중학생의 경우는 대부분 공동구매로 교복을 구매하였고, 여학생들의 대부분은 교복전문점에서 교복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남녀 학교별 교복 변형 경험을 묻는 항목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교복변형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구매 형태별로 변형경험을 살펴본 결과 남녀학생들 모두 공동구매한 학생들보다 교복 전문점에서 구입한 학생들이 교복 변형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나 의복에 관심에 높은 학생일수록 변형경험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5. 바지(치마)길이 항목, 상의길이와 소매통에 대해서도 남녀 간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교복의 길이 부분에서 길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6. 생활복 착용에 있어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들이 생활복을 더 많이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남녀학생들 모두 ‘활동이 편하다’, ‘입고 벗기가 편하다’, ‘구김이 잘 가지 않고 관리가 용이하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색상과 디자인에 대해서는 다소 불만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중학생 간에 생활복의 만족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적으로 익산이라는 제한된 지역에서 조사된 내용이므로 확대 해석에는 유의해야하며 앞으로 교복에 대한 연구는 학교생활을 보다 즐겁고 활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로서의 역할이 잘 수행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할 것이며, 중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선호도 및 만족도를 고려하여 제작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연구가 계속 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Notes

이 논문은 2013학년도 원광대학교의 교비지원에 의해서 수행됨.

References

  • Cheon, H. J., Shin, H. J., The Meaning of School Uniform Brand among Middle School Girls, Consumption culture study, (2008), 11(3), p113-128.
  • Cheon, H. J., Shin, H. J., The Meaning of Uniform Brand among Middle School Girls, consumer culture study, (2008), 1(3), p113-129.
  • Choi, E. H., Do, W. H., A Study on Sizing System and Wearing Conditions with School Uniform Pants for Highschool Gir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2012), 14(2), p286-293. [https://doi.org/10.5805/KSCI.2012.14.2.286]
  • Choi, O. H., Jung, O. I., A Study on the Repairs of School Uniforms according to Adolescents' Expressive Desir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9), 47(9), p15-26.
  • Daum blog, Hanyang University High School 생활복 선정[selection of Life clothings] Retrieved August 20. 2014 from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Qaqc&articleno=1626&categoryId=31&regdt=20130814091254, (2013, Aug, 14).
  • Hwang, J. S., Ahn, M. H., Yong, Y. J., Yu, S. Y., A Comparison of School Uniform Image Preferences and Modifications of School Uniform i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2002), 4(3), p243-247.
  • Jung, H. J., Kim, H. Y., Lee, Y. R., The Buying Behavior for School Uniforms according to Adolescents' Assertiveness and Appearance Concer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08), 32(5), p777-787. [https://doi.org/10.5850/JKSCT.2008.32.5.777]
  • Kang, J. Y., Yoon, J. A.,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School Uniform - Focusing on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2013), 11(3), p61-71.
  • Kim, S. H., The Effects of School Uniform on Studesnt’s Self-concept and Clothing Behavior,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3).
  • Kim, S. S., Shin, H. W., The perception of girls'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on the usage of trousers as school unifor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0), 22(1), p137-148.
  • Kim, Y. H., Bae, C. B., A Study of School Uniform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Adolesc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2003), 3(2), p33-48.
  • Kim, Y. M., Lee, J. R., Actual condition survey for thermokeeping of winter school uniforms, Fashion busines, (2013), 17(2), p82-94. [https://doi.org/10.12940/jfb.2013.17.2.82]
  • Lee, H. J., Cho, J. H., Research on th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and Fitness of Sizing System for Summer School Unifor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2012), 14(6), p1001-1009. [https://doi.org/10.5805/KSCI.2012.14.6.1001]
  • Lee, S. H., A study of school uniform satisfaction, clothing interest, and Self-concept of high school students in both gen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996).
  • Lee, S. J., Kweon, S. A.,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and Management of Middle School Girl's for Summer Uniforms, 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2002), 6(1), p169-189.
  • Lim, J. H., High school girl’s satisfaction level and design preference of school unifor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2004).
  • Lim, J. Y., A Study on the Purchasing Practice for Standardization System for Purchasing School Uniform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11), 19(3), p531-541.
  • Park, Y. A., A study on school uniform,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1997).
  • Ryu, E. J., Choi, H. S., Yi, K. H., Analysis of Boys' Body Sizes to Suggest a Sizing System for Middle and High School Unifor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13), 37(4), p598-617. [https://doi.org/10.5850/JKSCT.2013.37.4.598]
  • Yoo, J. J., Kweon, S. A., The Clothing Microclimates and Subjective Sensation for Casual Hanbok as School Summer Uniform,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2), 21(4), p765-780. [https://doi.org/10.5934/KJHE.2012.21.4.765]

<Table 1>

Frequency of students according to types of middle school and grade N(%)

Categories Middle School(boy) Middle School(girls) Total
Grade
1st 66(12.6) 156(29.8) 222(42.4)
2nd 34(6.5) 105(20.1) 139(26.6)
3rd 68(13.0) 94(18.0) 162(31.0)
Total 168(32.1) 355(67.9) 532(100)

<Table 2>

Significant difference school uniform purchase factors according to school types

Categories Middle school(boys) Middle school(girls) t-value
Factors Mean S.D. Mean S.D.
Brand 3.03 1.09 2.68 0.91 3.86***
Design 2.36 1.25 1.93 0.86 3.98***
Fit 2.27 1.18 2.00 0.83 2.74**
Fabric 2.28 1.16 1.97 0.85 3.12**
Activity 2.09 1.18 1.93 0.86 1.60
Price 2.33 1.11 2.06 0.91 2.76**
Management 2.27 1.16 2.07 0.80 2.08*
A/S 2.38 1.19 2.12 0.82 2.58*

<Table 3>

Significant difference of purchase types according to school types N(%)

Categories Middle school(boys) Middle school(girls) Total x2
Purchase types
Cooperative purchase 110(21.0%) 88(16.8%) 198(37.9%) 93.11***
School uniform shop 49(9.4%) 261(49.9%) 310(59.3%)
Order shop 4(.8%) 3(.6%) 7(1.3%)
etc. 5(1.0%) 3(.6%) 8(1.5%)
Total 168(100.0%) 355(100.0%) 523(100.0%)

<Table 4>

Significant difference of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s N(%)

Categories Middle school(boys) Middle school(girls) Total x2
Modification
Experienced modification 72(13.9%) 193(37.1%) 264(51.0%) 5.20*
No Experienced modification 93(18.0%) 161(31.1%) 254(49.0%)
Total 165(31.9%) 353(68.1%) 518(100%)

<Table 5>

Significant difference of modification and purchase types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s N(%)

Categories Middle school(boys)(n=165) Middle school(girls)(n=353)
Purchase types Experienced
modification
No
Experienced
modification
total x2 Experienced
modification
No
Experienced
modification
total x2
Cooperative
purchase
39(23.6%) 69(41.8%) 108 7.97* 55(15.6%) 31(8.8%) 86 7.46
School uniform
shop
29(17.6%) 20(12.1%) 49 133(37.7%) 128(36.3%) 261
Order shop 2(1.2%) 1(0.8%) 3 1(0.3% 1(0.8%) 3
etc. 2(1.2%) 3(1.8%) 5 3(0.8%) 0(0.0%) 3
Total 72(43.6%) 93(56.4%) 165 192(54.4%) 161(45.6%) 353

<Table 6>

Significant difference of fit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s

Categories Middle school(boys) Middle school(girls) t-value
Part of uniform Mean S.D. Mean S.D.
top width 2.82 0.56 2.77 0.69 0.92
top length 2.92 0.58 2.76 0.78 2.62**
sleeve width 2.77 0.57 2.92 0.63 -2.68**
sleeve length 2.86 0.51 2.91 0.60 -1.04
shoulder width 2.88 0.48 2.89 0.52 -0.19
pants width (skirt width) 2.54 0.87 2.58 0.75 -0.50
pants length (skirt length) 2.74 0.73 2.44 0.84 4.27***
waist circumference 2.67 0.77 2.64 0.64 0.42

<Table 7>

Wearing or not of comfortable uniform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s N(%)

Categories Middle school(boys) Middle school(girls) total x2
Wearing or not
wearing comfortable uniform 138(26.4%) 194(37.1%) 332(63.5%) 3.18***
no wearing comfortable uniform 30(5.7%) 161(30.8%) 191(36.5%)
total 168(32.1%) 355(67.9%) 523(100%)

<Table 8>

Distribution of comfortable uniform types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s

Categories Middle school(boys) Middle school(girls) x2
Comfortable uniform types
top 5(1.5%) 0(0%) 8.59*
132(39.8%) 194(58.4%)
no 1(0.3%) 0(0%)
bottom 123(37.0%) 0(0%) 311.38***
8(2.4%) 2(0.6%)
etc. 5(1.5%) 2(0.6%)
no 2(0.6%) 190(57.2%)

<Table 9>

Significant difference of comfortable uniform’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types

Categories Middle school(boys) Middle school(girls) t-value
Satisfactional factor Mean S.D. Mean S.D.
Good design 2.85 0.94 2.78 0.86 0.72
ood color 2.80 0.94 2.70 0.95 1.00
Too loose to show body shape 2.91 0.88 3.17 0.82 -2.86**
Comfortable 3.35 1.07 3.78 0.80 -4.05***
Fits well 3.10 1.01 3.34 0.87 -2.32*
Wrinkle-resistant and easy to manage 3.18 0.67 3.51 0.77 -3.40**
Breathable 3.14 1.01 3.29 0.86 -1.50
Sweat-absorbent and dries fast 3.09 1.04 3.19 0.91 -0.95
Easy to take on and off 3.26 0.93 3.61 0.82 -3.64***
More economical 2.96 0.84 3.98 0.84 -0.30
Doesn’t reveal underwear 3.30 1.04 3.55 0.91 -2.32*

<Table 10>

Wearing times of top's comfortable uniform according to school types N(%)

Categories Middle school(boys) Middle school(girls) Total x2
Times
No wearing 27(8.1%) 16(4.8%) 43(13.0%) 60.83***
1 30(9.0%) 30(9.0%) 60(18.1%)
2 1(0.3%) 24(7.2%) 25(7.5%)
3 2(0.6%) 35(10.5%) 37(11.1%)
4 2(0.6%) 18(5.4%) 20(6.0%)
5 76(22.9%) 71(20.8%) 147(43.7%)
Total 138(100%) 194(100%) 33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