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Vol. 23, No. 6, pp.1155-1170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Dec 2014
Received 13 Dec 2014 Revised 21 Dec 2014 Accepted 23 Dec 2014
DOI: https://doi.org/10.5934/kjhe.2014.23.6.1155

A Study of Family Relation Experiences of the Behavioral Problems of Adolescents

KimSung Bong ; HongDal Ah Gi* ; JungEun Mi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Institute for Better Living, Wonkwang University
문제행동청소년의 가족관계경험에 대한 연구

Correspondence to: * Hong, Dalahgi Tel: +82-63-850-6652; Fax: +82-63-850-7301 Email: dalhong@wku.ac.kr

© 2014,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family experiences of adolescent behavior problems by analyzing and integrating family experiences in the family relationships.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in-depth family experience by analyzing the individual meaning of family experiences from client’s wording. This study was performed in phenomenological method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counselling ca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9 units of meaning were derived on family relationships

In the family relationship domain, desire to die or kill others, guilt and resentment, not receiving the respect, mother’s ignorance and verbal abuse to father were derived as primary components.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s- Not understanding about his father's drunkenness and disgust, getting exhausted, untrusted parents, unidirectional attitude without communication. Sibling Relationships- younger brother or sister to work off frustration.

Keywords:

family experiences, individual meaning, abuse, drunkenness, 가족경험, 개인적 의미, 폭력, 술취함

Ⅰ. 서 론

청소년기는 아동기와 성인기의 특징을 함께 갖고 있는 과도기이며, 사회인으로서의 인생관을 확립하게 되는 과정의 동요기이다(Kown, 2010). 이 시기는 정체감 위기로 좌절과 갈등을 경험하기도 하고, 급변하는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면서 문제행동의 가능성을 내포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은 성장과정에서 겪게 되는 긴장과 압박에 대한 반응이라고 볼 수 있으며, 자신을 힘들게 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반항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청소년이 갖게 되는 긴장과 문제의 원인은 대체적으로 사회화의 일차집단인 가정과 부모가 주목을 받게 된다. 또 이들의 방어적 행동이 과도하게 나타날 때 이는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가 된다.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은 우발적이고 양적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저연령화, 재범화의 경향을 보임에 따라 가정, 학교, 사회에서 중요문제로 대두되고 있다(Song, 1995). 이러한 경향은 사회적 혼란을 가져오며, 사회규범을 저촉하는 행위임을 고려할 때 자녀사회화의 집단인 가정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일차적 배경으로 가정환경을 들고 있다. 가정환경에는 가정의 정서적 분위기, 가족원간의 애정적 상호작용, 부모자녀간의 정서적 친밀감과 같은 심리적 환경(Choi, 2008)으로 긴장, 불화, 갈등, 무관심, 애정결핍 등 가족관계적 측면에서 직접적인 문제행동의 원인이 된다.

청소년 문제행동과 관련된 연구 중에서 가족관계적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는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문제행동 관련 연구(Han, 2000; Han & Jang, 2008; Kim, 2010), 부모자녀간의 갈등과 어머니의 우울증세(Kim, 2004), 부모특성과 애착에 따른 청소년 비행(Lee & Kang, 2010)을 다루고 있다. 이처럼 많은 연구들이 부부갈등과 청소년자녀의 문제행동을 관련짓고 있어서 부부관계가 자녀에게 영향력 있는 요소임을 보여준다. 부부관계는 주로 부부갈등과 부모의 심리 정서적 주제들을 다룬 연구들로 자녀가 겪는 갈등에 초점이 맞춰진 연구는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가족관련 연구는 가족관계 형성에서 중요한 요인인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의사소통 외의 다양한 가족관련 변인을 다루지 못하고 있어서 문제행동 청소년 당사자가 가족에 대해 어떤 감정을 갖고 있는지를 알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의 청소년문제행동에 관한 연구는 다각도로 이루어져왔으나 실제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청소년의 입장에서 그 원인과 구조를 파악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사회가 변화하면서 가족도 변화하고 청소년문제의 성격도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 문제행동의 원인을 피상적인 요소들로 말하기보다는 실제 문제행동을 보였던 청소년들이 체험하고 느끼고 있는 가족관계에서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이들의 문제행동이 어떤 구조를 갖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문제행동으로 상담을 받고 있는 청소년상담사례를 통해 문제행동을 가진 청소년이 체험한 가족관계경험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 내담자의 언어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면서 내담자 가족관계경험의 개별적 의미와 그 개별적 요소들을 통합할 수 있는 구조를 밝혀 청소년문제행동과 관련된 가족관계경험에 대한 통합적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문제행동 당사자의 시각을 통해 가족관계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여 그 구조를 찾아냄으로써 부모와 청소년상담사들이 청소년을 지도할 때 도움이 되도록 하고, 가족의 건강성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데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문제행동청소년들이 인식한 가족관계경험의 통합적 구조는 무엇인가?


Ⅱ. 연구방법과 자료수집

본 연구는 문제행동청소년이 체험하고 느낀 가족관계경험을 통해 문제행동의 구조를 이해하고, 청소년내담자가 생각하는 가족관계경험에 대해 상담 중에 표출한 말과 행동을 그대로 드러내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현상학은 한 상황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관점으로부터 사회적 현실을 연구하며, 대상자 의식의 내용과 구조를 상세히 묘사하고자 하며, 그들 경험의 질적 다양성을 이해하고자 하고, 그것들의 본질적인 의미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Shin et al., 2005) 현상에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다양한 반응, 해석, 상대방의 관점에 대한 상호작용 내용, 시각의 변화 등을 강조하는 특성을 지닌다(Shin et al., 2005). 이상의 특성은 본 연구에서 찾고자 하는 문제행동청소년의 가족관계경험 즉, 자신이 가족관계에서 느끼고 경험했던 감정들을 내담자의 체험, 반응, 해석과 이에 따른 결과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또 그들의 가족관계경험을 분석하여 청소년 문제행동 구조를 생성해 봄으로써 이의 해결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은 00청소년상담지원센터에서 이루어진 상담사례 51건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상담기간은 내담자 별로 차이가 있으며, 5~6회 정도의 상담이 이루어졌다. 선택된 사례는 자발적으로 상담소를 찾은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문제행동이라고 불리는 행동으로 의뢰된 청소년 내담자들이다.

상담은 초기 내담자가 문제행동을 보인 것은 근본적으로는 가족에 원인이 있을 것이라는 선행연구들 즉 ‘가족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심리특성과 비행의 차이 혹은 가족구조가 청소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Cho & Lim, 2009; Gu, 2003),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문제행동 관련 연구(Han & Jang, 2008; Kim, 2010),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 문제행동(Han, 2000; Kim, 2010)’들의 입장을 견지하고 상담에 임하였다. 내담자들은 상담과정을 통해 자신의 가족에서 경험하고 느낀 내용이나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하면서, 상담이 이루어졌다. 모든 상담 내용은 내담자의 동의를 얻어 녹음하였고, 분석을 위해 축어록으로 작성되었다. 축어록은 내담자의 개인적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 본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였다.

문제행동 청소년들은 부모와 관계에서 생활규칙, 귀가시간, 생활예절, 친구 문제 등의 영역에서 잦은 불화와 갈등을 겪고 있었으며, 자기 자신에 대해서 소중히 여기는 의식이 적고, 열등감에 사로 잡혀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타인과 관계에서도 자기중심적이고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는 행동을 하면서 정서적인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문제행동을 하는 청소년들은 행위자체는 자신들이 했지만 문제행동의 원인은 잘못된 부모와 가정환경 때문이라는 인식이 강하여 자신의 가족관계경험을 강하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Cho & Lim, 2009; Han & Jang, 2008; Kim, 2010). 본 연구자는 문제행동을 하는 청소년들을 상담하면서 청소년 당사자와 가족 구성원의 가족 상담을 함께 진행한 결과에 만족할만한 효과를 거두었다. 이에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행동을 가진 청소년들의 생각을 알고 이들이 문제로 느끼는 것과 가족관계경험을 분석을 함으로써 청소년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계관련 원인들을 파악할 수 있고, 문제행동을 갖게 되기까지의 구조를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Ⅲ. 자료분석과 연구참여자

사례분석의 첫 번째 단계는 상담내용을 전사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어서 내담자의 전체적인 이야기를 파악한다. 두 번째 단계는 본 연구의 관심사인 가족관계경험과 관련된 내용에 주목하면서 의미단위를 구분한다. 여기에서는 녹취내용을 반복적으로 천천히 읽으면서 단위를 쪼갠다. 세 번째 단계는 대상자의 일상적 표현을 학문적 용어로 변형한다. 구분된 모든 의미단위를 검토하고 그것 속에 내포된 학문적 통찰을 표현한다. 네 번째 단계는 변형된 의미단위들을 구조라고 하는 일관성 있는 진술로 통합한다. 이것은 ‘경험의 구조’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현상학에서는 대상자 행동의 이유가 아닌 ‘의미’, 즉 ‘대상자 행동의 구조’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

이상의 작업과정은 가족전공 대학원 박사과정 2명과 청소년상담사 3명이 계속적인 검토를 하면서 내담자 가족관계경험의 의미를 잘 포착하기 위해서 노력했으며, 누락된 내용과 학문적 용어에 대한 합의 등을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개인정보는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자 28명, 여자 23명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분포는 10세에서 19세의 분포를 보이며, 15세~17세가 가장 많았다. 이들의 문제행동정도는 보호관찰이 5명, 쉼터생활을 하는 경우는 4명으로 나타났으며, 한 사람이 두 개 이상의 문제행동을 보이고 있었다.

Personal inform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1)


Ⅳ. 연구결과

1. 가족관계경험에 대한 구성요소

문제행동청소년의 가족관계경험을 부모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자매관계로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도출된 의미단위는 <Table 2>와 같이 의미단위 19개였고, 하위구성요소는 14개, 구성요소는 9개이다.

Themes of family relation experiences

2. 가족관계경험에 대한 구성요소내용

1) 부모관계

자녀가 부모관계를 통해 경험한 가족관계경험에 따른 구성요소는 ‘죽고 싶은 마음과 죽이고 싶은 마음, 죄책감과 원망심, 존중받지 못함’으로 도출되었다. 하위구성요소는 ‘술과 부부싸움 그리고 자녀가 겪는 심리적 고통, 엄마의 불행은 자신 때문, 존재감을 느끼지 못하는 자녀, 부부간의 비존중’ 등으로 도출되었다.

자녀에게 부모관계는 다른 어떤 관계보다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는 관계로 청소년들이 겪는 심리적 고통과 청소년문제행동의 주된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대상의 청소년들은 부모의 싸움과 갈등으로 인하여 심리적 고통을 받는데 주로 부의 술주정과 부모 서로간의 비존중 등으로 자신도 죽고 원망의 대상도 죽이고 싶을 정도의 증오감을 느끼고 있으며, 모의 불행이 자신 때문이라는 자책감과 부의 폭력 앞에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무력감에 괴로워하면서, 자식으로서도 아무런 심리적 배려를 받지 못하는 자신에 대한 비 존재감을 복합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죽고 싶은 마음과 죽이고 싶은 마음

본 연구사례에서 나타난 부부싸움과 갈등의 주된 원인은 부의 술에 의한 폭력과 주정이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를 지켜보는 자녀들은 죽음과 살인충동을 느낄 정도의 극단적인 생각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은 부모의 부부싸움과 부의 폭력행위들을 보면서 자신의 무력감과 자책감, 죄책감, 원망감으로 부모에 대한 반발 심리로 내면적 대항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항상 술을 마시고 들어와 술에 취해 부부싸움을 하고, 술에 취한 부는 자녀에게 혹은 모에게 폭력을 행사함으로써 자녀에게 심한 상처가 되고 있었다. 부의 술주정과 폭력에 어찌할 수도 없는 청소년들은 심적으로 위축이 되고, 부에 대한 원망과 분노를 문제행동으로 표출하고 있었다.

*술과 부부싸움 그리고 자녀가 겪는 심리적 고통

- 엄마가 왜! 애들을 때리고 잠을 못 자게 하냐고 하면서 술 먹었으면 잠이나 자라고 하면 엄마에게 욕하면서 엄마 머리를 잡고 주먹으로 때리고.....후(한숨) 정말 그럴 때마다 정말 죽고 싶어요.<사례2>

- 언젠가 쉬는 날 친구가 우리 집에 놀러 왔는데 아빠하고 엄마가 싸우는 거예요. 아빠는 엄마를 두둘겨 패고 엄마는 나 죽여라 하면서 소리를 고래고래 지르고.....친구가 무안해서 가버렸어요.(한숨쉬면서) 쪽팔려 죽는 줄 알았어요.<사례5>

- 아빠는 매일 술을 먹고 와서 엄마를 때렸어요. 엄마가 아파서 누워 있는데도.....정말.....죽고 싶어요.(울먹이며) 엄마가 불쌍해요. 보고 싶구요.<사례28>

- 아빠요(반문하다 욕설) 집승같은 X....(확 뒤져버리지 않고.....) 맨 날 술만 쳐먹고 와서 엄마를 때리고......그리고 엄마 옷을 찢고...변태XX아휴...정말 또라이짓만 하는...(화를 참지 못하면서)...칼로 찔러 죽여 버렸으면 좋겠어요.<사례 45 >

- 자주 싸웠는데 아빠가 엄마를 몽둥이로 때리고 발로차고 그리고 화가 풀리지 않으면 부엌칼로 엄마를 죽이겠다며 휘둘러 엄마가 상처를 나서 치료한 적도 있고, 그리고 엄마 머리채를 잡고...피를 흘리는 엄마모습을 여러 번 봤어요.<사례46>

(2) 죄책감과 원망

부모의 부부싸움은 자녀로 하여금 낮은 자아존중감과 소외감을 가져다주고 있다. 특히 재혼가족의 계부모와의 관계에서 많이 일어나고 있었다.

부모의 싸움을 통해 자신의 존재가 싸움의 원인이 되고 자신으로 인해서 한없이 작아지는 모를 보면서 모의 불행이 자신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처음에는 실망감을 보이다가 부모에 대한 원망심을 마음속에 키우면서 분노로 이어지고 반발심을 갖게 된다.

*엄마의 불행은 자신 때문(분노와 반발심)

- 아빠와 엄마가 자주 싸웠어요. 나 때문에...엄마가 아빠에게 양육비를 달라고 하면 아빠가 신경질을 내고, 내가 지네들 물건인가요. 맨날 서로 내 핑계를 대고, 나보고 어떡하라고, 확 죽어버리면...<사례40>

- 새 아빠가 처음에는 좋았어요. 동생들도 있고...동생들이 잘못해도 새 아빠는 나에게 괜히 화를 내요. 엄마는 아무 말도 안하고요. 집에 들어갔는데 아빠와 엄마가 싸우시는 거예요....나 때문에 엄마는 아무 말도 못하고...화가 너무 나서 새 아빠에게 덤볐어요. 내가 이 집구석을 나갈테니 제발 우리엄마 좀 괴롭히지 말라고요.(병신같이 말도 못하고 죄를 졌다고) 엄마가 불쌍해요. 나 같은 것 없으면...<사례 48>

(3) 존중받지 못함

부부간의 정을 느끼지 못하고 부부싸움을 자주하는 부부는 자녀에게 무관심으로 대하는 경우가 있다. 부부생활에 만족하지 못하고 서로가 갈등하는 상황에서 자녀들을 애정과 관심으로 돌볼 수 있는 심리적 여유가 없기 때문인데 청소년들은 이러한 부모의 태도에 대한 반발심으로 문제행동을 보이게 된다.

*존재감을 느끼지 못하는 자녀

- 맨 날 엄마는 아빠 욕을 하고.....그리고 집에 오면 아무렇게나 하고.....

아빠를 본지 오래 되었어요. 한 번도 오지 않아요. 전화도 없고.....(푸념섞인 말로 ) 뭐하러 낳아놓고는.....(비아냥조의 말로) 웃겨요. 내가 나달라고 했나....

돌보지도 않고 정말 쯧쯧 정말 싫어요. 엄마도 아빠도 마찬가지요. 나 같은 것은 관심도 없어요. 내가 밖에 나가든 집에 들어오든.....정말 살기 싫어요.<사례42>

*부부간의 비 존중

서로 다른 성격과 부부간의 비존중은 자녀에게도 견디기 힘든 부모의 모습이다. 자녀는 부와 모 사이에서 누구의 편을 들 수 없는 심리적 갈등을 겪게 된다.

- 엄마는 아빠를 무시해요. 아빠에게 욕을 하고.....그리고 내가 이집구석을 나가야지 하면서 막 욕을 해요. 정말 죽겠어요. 제발 아빠에게 심하게 안했으면 좋겠어요. 서로 너무 달라요. 아빠는 조용하고 무뚝뚝한데 엄마는 막 설쳐대고 그리고 엄마 마음대로 막 해대거든요. 그러면서 아빠에게 막....도대체 왜 사나싶어요.<사례23>

2) 부모자녀관계

부모자녀관계에서 의미단위는 27개, 하위구성요소는 8개, 구성요소는 6개로 도출되었다. 부모자녀관계의 청소년 문제행동의 구성요소는 ‘부의 술주정에 대한 이해불가와 혐오감, 불안과 자학, 강한 부모아래에서 억눌린 자녀, 신뢰할 수 없는 부모, 지나친 간섭과 무서운 무관심, 소통이 없는 일방적 태도’로 도출하였다.

부모자녀관계에서 문제행동청소년들이 체험한 가족관계경험은 술주정이 심한 부의 술주정받이로 살아야 하는 자신과 가족들이 불쌍하고, 부에 대해 혐오감과 두려움으로 극도의 부정적인 복합감정에 견디기 힘들어 한다는 점이다. 여기에 비정상적인 이상행동을 보이는 부모를 가진 자녀는 불안과 자학으로 지쳐가서 모든 의욕을 상실하게 되는 상태가 되기도 하였다. 때로는 강압적이고 무조건적이고 간섭이 심한 부모와 무관심한 부모의 태도들로 부모에 대한 신뢰는 형성될 수가 없었으며, 부와 모의 소통이 되지 않는 일방적인 태도도 집에 대한 거부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1) 부의 술주정에 대한 이해불가와 혐오감

*부의 술주정받이

부의 술주정은 청소년 자녀로 하여금 부에 대한 심한 거부감을 가지게 한다. 자녀들은 부의 상황이나 부를 이해하기 보다는 자신이 겪어야 하는 심적 고통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술주정에 대한 혐오감은 부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과, 죽고 싶고 죽이고 싶을 정도의 극단적인 혐오감을 가지고 있었다.

- 우리 아빠는 말도 하기 싫어요. 씨X 술만 먹고오면 잠도 못 자게하고 아무도 소용없다고 하면서 욕도 하고 때려요. 술을 먹고 와서 잠을 못 자게하고 내 머리를 때리니까 엄마가 제발 그러지 말라고 하니까 엄마를 발로 차고 머리를 잡고 때려서 너무나 화가 나서 머리로 아빠를 들이받고 집을 나와 버렸어요. 정말 나는 맞는 것이 싫거든요. 특히 머리를 때리면 화가 치밀어 올라서 정말 죽겠어요.<사례2>

- 아빠는 맨날 술만 먹고 나만 보면 때려요. 야 새끼야 니미 닮아가지고...그러면서 내가...제발 그러지 말라고 하면 “이자식이 지 애비를 째려봐.” 그러면서 손으로 내 머리를 때리고...휴...정말 싫어요. 차라리 확 죽었으면 좋겠어요.<사례28>

- 아빠와 살면서 술만 먹고 오면 너무 때려서 집이 싫었어요. 아빠가 술을 먹고 오면 큰집으로 도망다니면서 살았어요...저를 엄청 때렸어요. 온통 피멍이 들도록.....너무 아파 걷지도 못했어요. 엄마에게 보내달라고 해도 보내주지 않고...<사례32>

- 집이 싫어요. 전부 다 보고 싶지 않아요. 새 아빠가 너무너무 싫어요. 술먹고 와서 내 몸을 더듬고 속옷을 벗기려고 해서 반항하니까 고무호스로 막 때리고, 일시키고..완전 지옥이에요. XX 새끼 아휴 확...엄마만 아니면...확...<사례52>

(2) 불안과 자학, 지쳐감

자신들의 의지와 관계없이 갖게 된 가족환경에 의해 자녀들이 겪는 부정적 경험은 불안감에 싸여 스스로를 자학하고, 지쳐가고 있었다. 부나 모에 대한 심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경우들인데 이는 부의 이상성격과 부의 지나친 자녀에 대한 불신으로 비상식적인 행동을 하고, 이 이상행동은 자녀로 하여금 부에 대한 거부감과 혐오, 죽고 싶고 죽이고 싶은 감정을 가지게 하고 있었다.

*부모의 이상성격

- 우리 아빠요(반문하면서) 또라이예요. 내가 친구하고 전화만 해도 모텔에 가서 남자하고 잤다고 산부인과에 끌고가고...(검사한다고 개같이 냄새를 맡고(욕)정말 죽고 싶어요.

- 이혼서류를 하고 온 날 괜히 효자손과 주먹으로 나를 심하게 때려 온몸에 멍이 들었어요. 정말 짐승 같아요.(변태 같은 XX) 자기가 바람을 피워놓고 엄마에게 바람피웠다고 엄마를 때리고...확 죽어 버렸으면...부엌칼로 위협하고, 때리고...그리고 말리는 저를 발로 차서...내가 죽을 것 같아서 112에 신고했어요. 경찰이 간 뒤에 내 머리를 잡고 땅에 쳐밖고 죽이겠다고...그냥 확 죽이고 싶어요.<사례35>

- 엄마가 늦게 오고...또 무서워요 화가 나면 때리고...욕을 해요. .저는 엄마하고 싸우는 것이 너무 힘들어요. 내말은 듣지도 않으면서 때리고 욕을 하고. 뭐 하러 낳아놓고...죽고 싶어요. 나 같은 것은 없는 것이<사례39>

(3) 강한 부모아래에서 억눌린 자녀

*부와모의 강압적인 태도

청소년들은 부나 모의 강압적인 태도에 대하여 많은 불만과 반발심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부의 비인격적인 대우와 강압적인 행동과 폭력으로 자녀를 통제 할 때 청소년들은 강한 반발심으로 문제행동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녀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자녀가 처해있는 발달 시기적 특성 등은 전혀 배려하지 않는 부모의 일방적인 태도가 자녀로 하여금 집을 뛰쳐나가게 하는 원인이 됨을 보여준다.

- 아빠가 너무나도 싫어요. 너무 강압적으로만 하구요. 내가 말을 하려고 하면 듣지도 않고 자기 말만 해요. 그러면서 발로차고 주먹으로 때려요. 저는 그런 아버지가 싫어요.<사례1>

- 집은 아빠에 대한 기억이 나서 싫어요. 친구 집에 가서 놀다 자고 학원에 가지 않았다고 내 머리를 가위로 자르고...그러면서 걸레자루로 때려서 온몸이 시퍼렇게 멍이 들었어요. 그런데 정말 쪽팔리는 것은 가위로 내 머리를 잘라 친구들에게 놀림감이 되고...후...그때는 죽고 싶었어요. 그런데 엄마는 계속 잔소리를 해대고...정말 집에 들어가기 싫어요.<사례 9>

- 아빠가 내가 학교를 잘 가지 않는다고 내 교복을 찢었어요. 그러면 내가 겁날 줄 알고....다시 학교에 가래요. 정말 웃겨요. 교복을 사줄 형편도 안 되면서 정말 웃기죠. 그래도 엄마가 있으면 내편을 들어 주었을 거예요. 엄마가 정말 보고 싶어요.<사례41 >

*우정과 공부사이에서의 갈등과 압력

부모자녀관계에서 부모들은 자녀의 또래 관계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않지만 청소년들은 그 반대의 생각을 가지고 있다. 청소년들은 또래 관계를 그 어느 것 보다도 중요시 여기고 있는데 부모들의 공부에 대한 강요는 자녀들로 하여금 공부와 우정사이에서 갈등을 하게 한다. 자녀의 성적(成績)에 대한 부모의 일방적 태도도 가출을 생각할 만큼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나는 의사표현을 할 수 없어요. 매일 혼자 지낸 시간이 많아요. 그래서 내 문제는 내가 해결해요. 고등학교진학 후 도저히 친구들을 따라갈 수 없어요. 기초가 엉망이거든요. 포기하고 싶은데...그런데 엄마 아빠는 내게 너무나 큰 기대를 해요. 저는 부담되어 죽겠는데...한 번도 내 마음을 터놓고 엄마 아빠에게 이야기 한 적이 없어요. 아빠는 공부 공부 하면서 공부 못하는 놈들은 죽어버려야 한다면서 가끔씩 협박하는 것 같아요. 솔직히 열심히 하고 싶지만 알지 못해 답답해 죽겠는데...그냥...음 매일 혼자...그래서 죽음에 대한 생각을 자주해요...어느 날인가는 명예롭게 죽는 꿈을 꿨어요.<사례4>

- 뭐든지 다 해 줄 거니까...공부만 잘하라고...저도 친구들과 놀고도 싶고요. 자유롭게...친구들이 집에 오는 것을 무척 싫어해요. 엄마 아빠는 친구들에게 눈길조차 주지 않고 무시해요. 그러면서 학생이 공부를 해야지...하면서...그러니까 친구들이 나하고 잘 놀아주지 않아요. 그런 소리만 하면 정말 화가 나요...정말 짜증나고 그럴 때 마다 집을 나가고 싶어요.<사례20>

- 엄마가 너무나 싫어요. 모든 것을 엄마 마음대로해요. 꼭 일류병 환자예요. 맨날...강제로... 정말 짜증나요. 잔소리 지긋지긋해요.(불만조로)자기는 못했으면서 나한테만...정말 웃겨요. 내가 학교에 가는 날은 엄마가 꼴 보기가 싫어서 피하는 거요.<사례 33>

(4) 신뢰할 수 없는 부모

청소년들은 부와 모의 이중성과 불일치한 행동에 많은 실망감과 배반감을 가진다. 자신과 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이중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에서 신뢰가 깨어져 버리고, 부모를 우스운 존재로 치부해버리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관계에서 겪는 자녀가 가족관계경험은 부모에 대한 거부감이나 반발 심리로 작용하여 문제행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부와 모의 이중적인 행동

- 꼭 계모 같아요. 엄마는 모든 것이 가식적이예요. 지난번에 친척이 왔는데...정말 웃겨(비웃음) 평소와는 달리 상냥하게 하면서....가증스러워...모든 일을 맘대로 해요. 내가 말을 하려고 하면 말대꾸한다고 하고 그냥 있으면 반항 한다고...너 같은 년 필요 없다며 나가 죽으라고...친구들과 있으면 마음이 편해요. 재미있고...<사례41>

- 어릴 적에 이혼해서...엄마는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어요. 그래도 보고 싶은데...그런데 이제 상관없어요. 어차피 버린 자식 만나면 무엇 하겠어요. 우리 아빠요. (무시하듯) 정말 웃겨요. 순 거짓말쟁이예요. 지난번에 와서 핸드폰 사준다고 약속 해놓고 연락도 없어요. 아빠는...나 같은 것은 없어지는게 속이 편할 거예요. 그래도 큰아빠는 나에게 잘해주지만 큰아빠가 아빠는 될 수 없잖아요.<사례12 >

- 엄마는 핸드폰을 바꿔 준다고 해놓고 바꿔주지 않으면서 엄마는 맨 날 잔소리만 해요. 이것해라 저것해라 귀찮아 죽겠어요. 그러면서 내가 뭐라고 하면 화를 내면서 나가 죽으래요. 아빠가 너무 자기 마음대로 해요. 지난번에는 아빠가 컴퓨터 선을 끊어 버렸어요. 그러면서 자기는 컴퓨터로 바둑을 두면서...<사례21>

- 아빠가 너무나 많이 변했어요. 독재자예요. 새엄마는 아빠가 없으면 나를 막 혼내요.(미워하고) 그리고 데려온 형에게는 너무나 잘해줘요. 그러다가 아빠만 있으면 나에게 잘해주는 척해요. 정말 싫거든요. 아빠는 몰라요. 차라리 엄마와 동생하고 살았으면 좋겠어요. 아빠도 보기 싫고<사례51>

(5) 지나친 간섭과 무서운 무관심

부모의 지나친 간섭도 문제가 되지만 무관심도 무서운 반발 심리를 갖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청소년이 겪은 가족관계경험은 해결책을 주지 않고 물리적인 통제를 가하는 부모와 본인살기에 급급한 부모로부터 자신의 존재가 배려 받지 못한다는 생각이 강한 반발심과 자포자기 심리를 갖게 됨을 보여준다.

*부와 모의 지나친 간섭

청소년기의 특징 중의 하나가 남으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으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부모들의 정당한 간섭은 자녀의 통제수단이 되지만 지나친 간섭은 반발심을 일으키고 있었다.

- 아빠가 이상하게 변했어요. 초등학교 때는 잘 대해주었는데...중학교에 들어가니까 사사건건 간섭해요. 나도 나만의 시간이 있는데...매일 혼자 있어요. 심심하니까 친구들과 게임도하고...컴퓨터를 안하면 불안해요. 그리고 걱정이 돼요. 맨날 아빠는 컴퓨터도 못하게 하고 공부만 하래요. 그러면서 컴퓨터를 부쉈어요. 그날도 아빠하고 싸우고 집을 나와 버렸어요. 확 죽어 버리려고요. 그런데 친구들과 놀다가 보니까 화가 풀리어...엄마는 맨날 언니 애기만 해요. 공부 좀 잘한다고, 그때마다 언니가 얄미워죽겠어요. 아빠와는 대화가 안돼요. 일방적이예요. 맨날 이것해라 저것 하지마라.<사례6>

- 엄마가 싫어요. 자꾸만 상관을 해요. 귀찮게 지겨워 죽겠어요. 게임도 못하게 하고....학원을 빠졌는데 빗자루를 가지고 막 때리려고 했어요. 할머니가 말려 줬어요.<사례14>

*부와 모의 무서운 무관심

부모의 무관심은 자녀들에게 큰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무관심적인 태도는 자녀로 하여금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분노와 원망, 실망 등으로 부모를 무시하고 스스로를 포기해버리는 걷잡을 수없는 행동을 하게 된다. 자신의 존재에 대해 확인하고 배려 받고 싶은 내면의 욕구가 채워지지 않고, 부모를 기다려도 오지 않는 부모에 대한 원망과 체념 등으로 인한 큰 실망감으로 반발심을 키워나가고 있다.

- 처음에는 엄마가 무척 보고 싶었는데...나를 큰집에 맡겨 놓고 한 번도 찾아오지 않았어요. 자기들 살기 바쁘다고...그래서 나도 포기했어요. 나도 내 멋대로 살겠다고...오지도 않은 엄마나 아빠를 기다려서 무얼 해요. 괜히 낳아놓고..<사례11>

- 엄마는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어요. 음...엄마는 내가 초등학교 3학년 때 아빠랑 이혼했데요. 맨 날 싸우고...밥도 안주고, 몰라요 생각이 안나요. 한 번도 만난 적 없으니까 이제 상관없어요. 어차피 버린 자식 만나면 뭣하겠어요.<사례12>

- 아빠는 한 달에 한번정도 전화를 해요. 저에게 관심이 없는 것 같아요. 어떻게 사냐고 물어보지도 않고...정말 웃겨서...이젠 나도 그런 아빠는 필요 없어요.<사례25>

- 아빠요?(무시하는 조) 몰라요. 새 여자하고 경기도에 살고 있데요. 나 같은 것 관심도 없어요. X같이...(여자한데 꽉 잡혀서...병신 같이)<사례31>

- 엄마는 사람이 아니에요. 웃지도 않고 엄마가 화도내지 않고 표정이 없어요. 그럼 엄마는 내가 무슨 일을 저질러도 다른 엄마들은 야단법석인데 우리엄마는 관심 없다는 표정으로 외면해버려요. 나는 그러는 엄마를 보면 더 화가 나요. 정말 죽이고 싶을 정도로 차라리 확 죽어버렸으면...정말...차라리 화를 내면 덤비고 욕을 하면 속이라도 풀릴 것 같은데...정말 미쳐버릴 것 같고...그래서 죽으려고 했는데...죽지도 못하고...<사례37>

- 엄마는 아무런 상관을 안 해요. 내가 게임을 하든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며 쌈질도하고 외박을 해도요. 엄마는 나를 꼴도 보기 싫대요. 그래서 나도 내 맘대로 해요. 그러면서 엄마라고..밥도 제대로 해 안주고...<사례42>

(6) 소통이 없는 일방적 태도

부모의 강압적이고 일방적인 소통으로 위축되고, 자녀들은 부모로부터 무시를 받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자신의 의견이 있는 것을 부모는 알려고 하지도 않고 일방적으로 이끌며, 타협과 조정과 이해가 없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자녀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갈등을 갖게 되고 부모에게 거부감을 갖게 되는 모습을 보인다.

*부와 모의 일방적인 태도

- 신경질 나 죽겠어요. 엄마는 나에게는 이것저것 시켜요 내가 무슨 말만 하면 듣지도 않고 자기마음대로 해요. 얼마 전에 엄마가 모처럼 나에게 신발을 사준다고 해서 따라갔는데 내 생각은 묻지도 않고 무조건 엄마가 골라준 것을 신으래요. 정말 웃겨요. 신발도 싼티나는 것으로...그리고 내가 핸드폰을 사달라고 하니까 엄마가 화를 내면서<사례27>

- 아빠 엄마는 나에게 잘해준다고 하지만 너무 싫어요. 아빠는 자기 마음대로 해요.

내가 무슨 말을 하려고 하면 듣지 않으면서 자꾸...애들하고 놀고 싶은데 산에 끌고 가고...등산가도 아니면서...정말 싫거든요...아빠가 내가 잘못했는데 동생을 때려서 머리에 피가 났어요....정말 무서웠어요. 그리고...두려워요.

-아빠 엄마가 헤어져 살면서 집에 가기 싫어졌어요. 매일 혼자 저녁까지 있어야 하고 음...그리고 아빠와 지내는 것 싫어요. 엄마와 함께 살고 싶어요.<사례34>

- 아빠는 내가 무슨 말만 하려고 하면 듣지도 안 해요. 그러면서 강압적으로...아빠가 너무나 많이 변했어요. 독재자예요.<사례51>

이상을 종합해보면 문제행동청소년들의 부모자녀관계에서의 가족경험은 부모의 지나친 간섭, 부모의 이중적이고 불일치한 행동, 무관심, 일방적인 행동, 폭력 및 강압적인 태도, 자녀의 편애 등이었다. 특히 부모의 폭력과 강압적인 태도에 대한 사례가 많이 차지하고 있어서 부모의 자녀에 대한 강압과 폭력은 청소년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3) 형제자매관계

형제자매관계에서 의미단위는 5개였고, 하위구성요소는 2개, 구성요소는 1개로 도출되었다. 형제자매관계에서의 청소년문제행동의 구성요소는 ‘욕구풀이 대상으로의 동생’으로 도출하였다. 형제자매들과의 수평적 인간관계를 통해 협상과 협동, 경쟁방법을 배우게 되고, 동료집단을 형성하여 복종을 배우면서 체면을 유지하고 자신의 능력을 통해 적응력과 인간관계기술을 습득하게 한다. 그러나 형제자매간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경우에는 폭력과 다툼으로 발전하는 경우들이 발생한다. 본 사례에서는 강압적인 부의 양육태도에 대한 반발로 형은 동생에게 강압적인 태도를 보이고 동생은 형에게 반발적 행동을 하게 되는 경우기 있었고, 부모의 무관심한 가족환경에서 여동생은 힘 있는 오빠의 성충동 대상이 되기도 하고 화풀이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1) 욕구풀이 대상으로의 동생

*성충동의 대상

부모의 보살핌이나 감독이 없는 상태에서 형제자매관계는 서로 갈등과 반목이 이어지고, 성적인 문제에도 노출되는 위험한 실태를 보여준다. 인터넷 성인게임에 빠져 살면서 자신의 성적 욕구풀이를 여동생을 대상으로 삼은 경우이다. 내담자는 상담과 함께 정신건강지원센터에서 성도착 치료를 병행하고 있다.

- 나는 성인 게임에 빠져있었는데...자위도하고...동생이 늦게 왔어요. 그래서 뭐라고 했더니 동생이 대들면서 욕설을 했어요. 동생이 나에게 저는 맨날 섹컴보면서...지랄혀...그래서 화가 나서 때리니까 더 발악을 하면서 병신같은 새끼라고 하면서 몸싸움을 하다가 동생의 속살을 보니까...그 이후로 1주일에 한번정도 동생을 협박해서 동생을...그런데 어른들은 잘 몰랐어요....그뒤부터 동생이 밖에서 안좋은 행동을 하고 다닌 것 같아요. 또 쌈질만 하고 다닌다고 동생을 혼을 냈어요.<사례17>

*화풀이의 대상

형제자매관계의 위계를 이용하여 동생을 힘으로 제압하게 되고, 자신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 폭력을 쓰게 된다. 이렇게 반복적인 과정에서 형제자매관계가 원망과 화풀이․분노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또 부모들이 일방의 편을 드는 차별대우도 형제관계에서 불만의 요소가 된다. 화풀이의 대상이 된 동생들은 빗나간 방법으로 보복행동을 하게 되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 오빠도 마찬가지예요. 중학교 때 오빠는 화만 나면 저를 때렸어요. 아빠 앞에서는 꼼짝 못하면서...찌질이...힘없는 나에게만...<사례35>

- 형은 맨날 컴퓨터만 해요. 내가 하려고 하면 성질내요. 그러면서 주먹으로 때려요. 아빠 앞에서는 아무 말도 못하면서...(분노섞인 말투로) 다 죽어버렸으면 좋겠어요. 내가 한참 컴퓨터 게임을 하고 있는데 형이 와서 뒤에서 내 머리를 때리면서 비키라고 하잖아요. 너무 화가 나서 대드니까 또 때려서 내가 칼로...<사례38>

- 오빠는 청소 한번도 안하고 자꾸만 나를 시켜요. 힘들어서 못하겠다고 하면 나에게 엉긴다고 주먹으로 때리고 그리고 발로 차요. 엄마가 없어 혼자 집안 일이 힘겹고 지겨워죽겠는데...집이 싫어요.<사례44>

이상을 종합하면 가족관계에서 문제청소년이 겪은 가족관계경험을 종합해보면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부부관계가 가정환경과 분위기를 좌우하고 있었고, 부모들의 행동과 자신이 처한 상황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많은 사례에서 부부갈등으로 인한 청소년들의 심리적인 고통은 극단적인 ‘죽고 싶은 마음과 죽이고 싶은 마음’을 느끼고 있을 정도로 심각함을 나타냈다. 죄책감과 원망심, 존중받지 못함, 부의 술주정에 대한 이해불가와 혐오감, 불안과 자학, 지쳐감’등의 감정의 근원에는 ‘술’에 의해 가족들이 당해야 하는 심리적 고통이 자리하고 있었다. 형제자매간에 서로 폭력을 행하는 것도 모두가 잘못된 부부관계에 근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문제행동은 가족관계에 의한 가족관계경험을 통하여 형성된 산물이라는 점에서 건강한 가족관계의 중요성을 인식시켜주고 있었다.

4) ‘맨날’을 통해본 가족관계경험구조

본 연구자가 청소년들과 상담을 진행하면서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주의 깊게 살펴 본 결과 청소년들은 심한 욕설과 불만이 섞인 말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상담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언어표현 중에 자주 등장하는 ‘맨날’이라는 용어가 있었다. 상담을 하면서 이들은 ‘맨날’이라는 말을 왜 이렇게 습관처럼 사용하고 있을까 하는 호기심이 생겼으며, 이 ‘맨날’이란 말과 그들의 문제행동과 가족관계경험구조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 해보고자 한다.

‘맨날’은 ‘만날’의 전라도 방언으로 항상, 늘, 매일같이, 계속하여서 등의 뜻으로 사용된다. ‘만날’의 만(萬)은 ‘많은 날’을 의미한다고 해석된다. 따라서 문제행동청소년들이 자주 사용하는 맨 날은 자신이 처한 가족관계환경을 일반화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있으며, 자신이 가족의 영향력을 벗어날 수 없다는 한계감에 대한 표현이었다. ‘맨날’은 자신의 문제행동원인이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으며, ‘맨날’나의 불행한 일상이 반복되면서 바뀌지 않을 것 같은 가족구조와 영원히 개선되지 않고, 내가 변화시킬 수 없고, 내가 주도할 수 없다는 한계에서 스스로의 무기력함에 빠질 수밖에 없음을 말해준다.

‘맨날’과 관련된 문제행동청소년의 변은 이렇게 요약할 수 있다. ‘맨날’ 내가 하는 가족관계경험이란 혼자 집에 있어야하고, 욕만 들어야 하고, 부모는 바쁘다고 관심도 없으며, 잔소리만 하고, 술 먹고 싸우고, 밥도 안주고.....등등 인데 ‘나도 어쩔 수 없다. 나도 살아남기 위해서 방어적으로 행동하다보니 문제행동이 된 것이다. 또 아버지의 가부장적 사고와 폭력적이고 강압적이고 일방적인 태도는 나를 옥죄고, 무기력하게 만들었으며, 이러한 것으로부터 내가 받는 스트레스는 언제 끝이 난다는 기약도 없는 즉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 나도 돌파구가 필요하지 않겠는가?’

문제행동청소년들은 자신의 가족환경과 가족관계경험이 행복할 수 없고, 가출을 할 수 밖에 없고, 싸움을 할 수 밖에 없고 등등 문제행동을 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의 깊은 이면에는 ‘맨날’(항상) 나의 가정이 이렇지 않았다면 나도 잘 행동하고 가족과 함께 사랑하며 살 수 있었을 텐데, 내가 우리 가정을, 우리 부모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 나에게도 이러한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있고 계기가 주어진다면 부모에게 인정받고 잘살고 싶다.‘라는 생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의 부정적인 ‘맨날’과는 다른, 희망적인 ‘맨날’을 만들어 갈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문제행동청소년들의 가정과 본인들에게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개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가족관계경험의 통합적 구조

마지막 단계인 체험의 구조를 기술하는 단계를 “변형된 의미 단위들이 담겨있는 연구자의 일관된 내용으로 종합하고 통합하는 단계”로 설명(Giorgi, 1985)할 수 있다.이 종합과정에서는 모든 의미 단위들을 고려해야하며, 표현을 통합함으로써 변형된 의미단위의 모든 의미들을 최소한 암묵적으로라도 일반화된 문장으로 표현한다. 본 절에서는 이와 같은 지침에 따라 앞 절에 제시된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문제행동청소년의 가족관계경험은 외로움, 사랑수용그리움․연민, 역할중압감, 자포자기무력감, 원망증오배신감거부감, 안정감 없는 환경, 역기능적인 의사소통, 역기능적 양육태도 라는 9개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모의 부부갈등을 지켜보는 청소년들은 부부싸움이 자신 때문이라는 죄책감에 어찌할 바를 모르다가 계속되는 부모의 싸움과 강도 높은 폭력에 무력해지는 자신을 경험하면서 죽고 싶은 마음과 죽이고 싶은 마음까지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부의 지나친 술주정을 이해할 수 없었고 혐오감마저 가지고 있었다.

또 자신의 가정환경을 만든 부모에 대한 미움과 폭력을 당하는 부모에 대한 연민으로 복잡한 감정을 갖게 되기도 했다.

문제행동청소년들은 가족관계에서도 원만한 가족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함께 살지 않고 있는 모에 대한 그리움과 자신의 감정을 읽지 못하고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부에 대한 증오심이 마음깊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특히 계부모가족에서 계부에 대한 거부감과 증오심은 매우 크게 작용하였다. 부모와 함께 살지 못하는 자녀들은 미움과 그리움의 감정들이 자주 돌출 되었다. 미움과 그리움은 사랑과 증오로 변하고 부모들이 자신을 버렸다는 생각에 배신감을 가지면서 그 환경에서 벗어나고자 가출을 하기도 하고 문제행동을 하면서 생활하기도 하였다.

문제행동청소년들의 부모와의 가족관계경험은 역기능적인 의사소통과 부모의 역기능적인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부모의 태도는 자녀의 자존감을 억눌러 불안감을 갖게 하고 있었다. 특히 소통이 없는 일방적인 태도, 지나친 간섭은 자녀로 하여금 스스로 생활에 지쳐가게 만들어 삶을 포기하게 하는 자학으로 이어지게 하였다.

청소년들의 문제행동구조는 정서적으로 안정을 주지 못하는 심리적인 원인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지 못하는 가족의 환경에서 가족 간의 정이 없는 관계에서 외로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청소년들은 심리적으로 안정감이 없는 환경에서 벗어나고자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을 요구하거나 가족 간의 대화를 시도해보지만 이러한 노력이 안정감이 없는 가족환경에서는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어 스스로가 좌절하고 자신의 건전한 생활을 포기하고 있었다. 안정감 없는 가족환경은 구질구질한 물리적 환경, 부의 술주정, 부모의 이상한 성격, 부의 통제 부재, 경제적 빈곤 등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 청소년들의 대부분은 외로움의 중압감에 시달리면서 가정과 가족들에게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또래 친구들과 함께 컴퓨터 게임을 하거나 또래친구들과 밤늦게까지 길거리를 배회하게 되면서 문제행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컴퓨터 게임에 빠진 청소년들은 인터넷 중독으로 이어지고, 길거리를 배회하는 청소년들은 절도와 집단 폭력, 공공기물파손, 가출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중 인터넷 중독에 빠진 청소년들은 학업포기와 성 일탈 행동을 하는 경우들이 많았고 자신의 동생을 욕구풀이 대상으로 삼기도 했다.

청소년들은 자신들이 처해있는 환경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갖기보다는 환경을 탓하며 이렇게 만든 부모들을 원망하면서 스스로에 대한 자포자기의 심정을 드러내고 있었다. 가족관계에서 청소년들이 경험한 문제행동구조를 요약하면 안정감이 없는 환경 (부의 술주정에 대한 이해불가, 부모의 이상적인 성격, 부의 통제부재, 불안, 자학, 자책, 창피함, 거부감)에서 ⟶ 역기능적 의사소통 (일방적인 의사소통, 비난, 핀잔, 훈계, 명령, 독단, 회피, 불신, 비판, 무시, 단정, 말 끊기), 역기능적인 양육태도(신뢰할 수 없는 부모, 지나친 간섭과 무서운 무관심, 내 것이 아닌 삶, 부모의 이중적인 행동)→문제행동의 구조로 볼 수 있다.


Ⅴ. 논 의

본 연구는 청소년상담사례를 통해 문제행동을 가진 청소년이 체험한 가족관계경험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은 본 연구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문제행동청소년의 가족관계경험에 대한 인식과 체험을 기술하고 본질적인 구조를 밝히는데 적합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상담과정에서 표현되는 내담자가 생활 중에서 겪은 가족관계경험과 가족에 대한 인식을 통해 청소년문제행동의 본질적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고자 한다.

문제행동청소년이 경험한 가족관계중에서 부모관계에 따른 구성요소는 ‘죽고 싶은 마음과 죽이고 싶은 마음, 죄책감과 원망심, 존중받지 못함’으로 도출되었고, 하위구성요소는 ‘술과 부부싸움 그리고 자녀가 겪는 심리적 고통, 엄마의 불행은 나 때문, 존재감을 느끼지 못하는 자녀, 부부간의 비존중’ 등으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는 기능적인 가족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줄 수밖에 없다. 가족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기능적 가족환경은 가족구성원들이 심리적정서적으로 안정이 되고 가족원들의 심리적 유대가 높아지며, 그중에서도 청소년기 자녀들의 심리적인 안정을 이끄는 요인이 되지만 역기능적인 가족 환경은 청소년의 불안, 우울 등의 부적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Jo & Kim, 2011). 청소년들은 안정된 가족관계에서 가족의 지지와 사랑을 받고자 한다. 그러나 폐쇄적인 가족환경은 가족관계에서 유대감 단절로 청소년들이 가족에게 수용되지 못하고, 청소년은 그러한 가족환경을 수용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자녀에게 부모님들의 관계는 다른 어떤 관계보다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는 관계로 청소년들이 겪는 심리적 고통과 청소년문제행동의 주된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는 사랑받고 인정받는 존재로서 가족 안에서 소속감을 갖을 수 있는 것임에도 이러한 기본 욕구가 채워지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행동청소년들이 지각하는 가족관계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게다가 부모자녀관계에서 문제행동청소년들이 체험한 가족관계경험은 부의 술주정받이로 살아야 하는 자신과 모의 불행이 자신 때문이라는 자책감과 부의 폭력 앞에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무력감에 괴로워하면서, 자식으로서도 아무런 심리적 배려를 받지 못하는 자신에 대한 비존재감을 복합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상적인 이상행동을 보이는 부모를 가진 자녀는 불안과 자학으로 지쳐가면서 모든 의욕을 상실하게 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대단히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술로 인해 가족관계가 와해되고 청소년은 무기력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알콜중독가정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이 있어야 한다. 문제행동청소년들은 부의 술주정이나 폭력에 대한 심한 거부감과 반발로 가출을 하거나 또래 친구들과 폭력써클에 가입하여 또 다른 폭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또 부모를 신뢰하지 못하는 경우도 부모들의 일방적이고 강압적이면서 무조건적이고 무관심한 부모의 태도에서 청소년들은 집에 대한 거부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이란 물리적인 공간과 심리적인 공간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심리적인 공간은 가족관계의 상호작용의 질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들이 가출을 하는 이유는 ‘집’이라는 것이 안정감을 주지 못하고 답답함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회가 급변하면서 가족이 소인수화되고 맞벌이 가정이 일반화되면서 가족 내 갈등을 완화시켜줄 사람들이 부재한 현대사회가 당면한 문제이다.

부모자녀관계에서 부모의 역기능적인 양육태도로 부모의 믿지 못하는 태도, 부모의 무관심적인 태도, 부모의 폭력적인 태도, 부모의 과잉보호적인 태도 등에 대한 반발심과 불신, 원망심을 표출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이 적대적이고 통제적일수록 청소년들은 더 많은 문제행동을 일으키고, 애정적이고 자율적일수록 문제는 적어지므로 부모의 양육행동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 반면에 부모의 과잉보호적인 양육태도도 스스로가 무력감에 빠져 또래와 대인관계 미숙으로 인하여 왕따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부모의 보호에 대한 반발로 가출을 하여 문제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과잉보호와 같은 애정방식은 자녀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방해하며 자녀를 의존적이고 소극적인 태도로 자신감을 갖지 못하게 된다고 보고 있어서 부모들의 적절한 보호수준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

부정적인 가족관계가 반복되면 자녀의 성장 발달에 영향(Lee et al., 2009)을 준다. 부부의 갈등은 아동의 공격성(Jeong & Lee, 2004; Kang, 2002), 반사회성과 비행(Kim, 2002), 불안과 사회적 위축(Jeong & Kim, 2003), 내재화된 문제행동(Kim & Lee, 2007)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부모갈등이 아동에게 위협적으로 지각되고, 자기 비하감을 유발하게 될 때, 자녀의 분노, 슬픔, 근심, 수치심등의 정서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부모의 언어적․신체적 갈등을 목격한 자녀는 생생한 공격행동을 직접 경험하게 되어서 공격적으로 될 위험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폭력의 세습성을 고려하면 폭력적인 부모와 함께 살고 있는 이들 청소년에게 폭력이 세습되지 않도록 긍정적인 스트레스대처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부모자녀의사소통에서도 자녀들은 부모와 전혀 소통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대화를 시도하지 않고 속으로만 불만을 쌓아가고 있다. 따라서 가족 간의 의사소통의 방법에 대한 교육이나 소통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가족 간의 유대감은 의사소통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은 문제점과 병리적 증상을 증가시키고(An & Kim, 2008; Choi et al., 2001; Gun & Lee, 2006; Lee, 2007), 의사소통이 원활할수록 부모자녀의 갈등이 줄어들며(Kong et al., 2005), 대화의 양이 많을수록 의사소통 능력도 향상이 되는 (Han & Hur, 2005)것으로 보고 있지만 문제행동청소년들은 부모들의 일방적인 의사소통과 비난, 핀잔, 훈계, 명령, 독단, 회피, 불신, 비판, 무시, 단정, 말 끊기 등으로 처참함을 느낀다고 말한다(Kim et al., 2014). 또 이러한 부모에게 심한 반발심과 함께 무시당하는 느낌이 든다고 하였다. “말을 끊어버릴 때 죽어버리고 싶어요.”, “무슨 말을 하려고 해도 들어주지 않아요.”와 같은 말에서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이 이들 청소년들에게 어떤 감정을 주는지 짐작할 수 있다. Ko(2003)는 연구에서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개방적인 의사소통일수록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폐쇄적이고 역기능적일수록 문제행동은 증가한다고 보고 있는 것처럼 자녀와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지 그 방법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의사소통이란 양방향의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청소년들도 자신의 생각을 어떠한 방식으로 부모에게 전달할 것인지 배워야 할 것이다.

문제행동청소년이 경험한 부모자녀관계는 믿을 수 없고, 폭력적이거나 과잉보호로 일관하는 부모, 상호 존중이 없는 가족관계이다. 가족이 있어도 소통이 없어서 외롭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터넷 중독으로 빠지거나 또래의 친구들과 밤늦게까지 길거리를 방황하면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고 자연스럽게 불건전한 문화와 접하게 되고 문제행동을 하게 되는 문제행동의 구조를 갖게 된다. 형제자매관계에서는 부모의 관심과 사랑이 배제된 가족관계에서는 서로 부모의 책임을 떠맡게 되는 것에서 오는 불만이 형제자매 사이에서 갈등을 작용을 하였다.

문제행동청소년들은 모두 집에 대한 부정적인 가족경험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또 이들이 문제행동을 하게 된 동기를 말해주고자 하는 의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맨 날’이라는 용어도 자신의 문제행동은 ‘맨 날(항상) 가족이 이렇게 생겼기 때문에 내가 이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다’라는 원망과 그 이면에는 ‘맨날(항상) 나의 가정이 이렇지 않았다면 나도 잘 행동하고 가족과 함께 사랑하며 살고 싶다’라는 마음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문제행동청소년들이 가족관계에서 느끼는 공통적인 정서는 가정의 따뜻한 정을 느끼지 못하고 부모들의 무관심속에서 혼자서는 견디기 힘든 외로움이었다. 부모와의 교감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느낄 때 청소년들은 집이 아닌 곳에서 소통거리를 찾게 되며, 이것이 불건전 할 때 문제행동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결국 부모와 관계에 근원을 두고 있다고 보여 진다. 본 연구사례에서도 물질적인 공세를 펴서 친구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애쓰는 청소년이 있었으며, 성(性)적 자극에 민감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은 동생을 성폭행의 대상으로 삼기도 하고, 동네 가게주인에게 성희롱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등 위험한 환경에 아무런 보호나 배려없이 노출되어 있다는 점은 부모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관심도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방황하는 청소년들은 Jang(2006)의 연구에서 보고된 것처럼 무단결석, 학교부적응이나 반사회적 행동, 일탈행동에 가담하고, 알코올과 약물사용 및 성행동을 포함하는 위험행동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청소년들의 생각을 바꿔주기 위해 부모의 따뜻한 지지와 관심은 물론 외로움을 느끼지 않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던 것은 청소년들의 문제행동 예방을 위해서는 가족 간에 따뜻하고 친밀한 분위기로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고 너무 과중한 역할에 중압감을 느끼지 않도록 배려해주고,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서로 개방적인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가족의 정과 친밀감을 느낄 수 있는 가족관계경험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에게 심리적인 안정을 줄 수 있는 가정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부모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부모자신이 스스로 모범을 보임으로써 자녀에게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해야 하며, 부모들은 더 전문적인 부모역할을 배워야 한다. 자녀들이 어릴 때에는 부모의 관심과 간섭이 자신들을 잘 돌봐주고 도와주는 존재로 여기지만, 청소년기 때에는 쓸데없이 참견하고 의심이 많고, 통제만 하는 존재로 본다. 따라서 부모들은 청소년기 발달단계의 특징과 이들이 관심을 갖는 주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제행동청소년들의 가족경험에만 초점을 두고 이들의 문제행동관련 가족경험구성요소를 통해 문제행동구조를 이해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상담의 전체 진행은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담이 진행되면서 부모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반성하고 상담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면서 자녀와 화해하고 자녀를 문제행동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부모의 자녀는 훨씬 빠른 속도의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청소년문제행동을 해결하기위해서는 부모들이 자녀들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심리적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가족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책이며, 부모들의 태도변화를 위해서는 부모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이 강하게 요구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3학년도 원광대학교 교비지원에 의해서 수행됨

References

  • An, S. M., & Kim, Y. H., (2008),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between melancholy and the flight of family conflict and yout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2), p1-31.
  • Cho, A. M., & Lim, Y. S., (2009), The differences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tatus delinquency according to the family structure, Journal of Future Oiented Youth Society, 6(1), p137-154.
  • Choi, K. R., (2008), Family relations, Seoul : Knowledge community.
  • Choi, W. S., & Kim, G. S., & Choi, S. N., & , (2001), A Study on Children's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 and Trait Anxiety in Single Parent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8(2), p191-207.
  •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 Gu, I. H., (2003),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Poor and Poverty Transition in Korea: Since the Recent Economic Crisi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8, p82-112.
  • Gun, J. H., & Lee, E. H., (2006), An Application of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 Predicting Game Addiction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 p95-112.
  • Han, J. E., & Jang, Y. E., (2008),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Adolescents on Peer Victimization,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9(3), p373-386.
  • Han, J. L., & Hur, G. H., (2005), The Relationships of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Offsprings' Self-esteem, Self-disclosure, Locus of Control,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9(5), p202-227.
  • Han, M. H., (2000),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Conflict, Conflict-Coping Behaviors of Coup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ang University, Korea.
  • Jang, H. S., (2006), Life-span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Parkyoungsa.
  • Jeo, A. M., & Lim, Y. S., (2009), The Differences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tatus Delinquency According to the Family Structure, Future Youth Association, 6(1), p137-154.
  • Jeong, E. H., & Lee, M. S., (2004), The Relationship of Parent′s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School-aged Children, Children′s Aggression, and Peer Harassment,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4), p115-126.
  • Jeong, M. K., & Kim, Y. H., (2003), Maternal Parenting Experience, Depression, Marital Conflict, &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chool Children's Maladjustmen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8), p123-137.
  • Jo, H. W., & Kim, Y. H., (2011), Effects of Family Functioning on Adolescents' Emotional Autonom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6(3), p143-165.
  • Kang, D, G., (2002), Marital & Parent-Child Relationship Related to Children's Problem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Korea.
  • Kim, J. R., & Lee, E. H., (2007),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en`s Insecure Attachments on Their Depression and the Behavior Problems in Thier Children: The Mediating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Marital Conflic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19(2), p297-391.
  • Kim, M, J., (2010), The Effect of Communication Inter-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s and Marital Couples' Conflicts on Adolescent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buk University, Korea.
  • Kim, O, N., (2004), Single Mother Family's Mother-Adolescent Conflicts, Coping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3(4), p507-520.
  • Kim, S, B., & Hong, D. A. G., & Lee, S. W., & Hwang, E. K., (2014), A study of experiences of the behavioral problems of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19(3), p599-625.
  • Kim, Y. H., (2002),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environmental factor or family structur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1(4), p357-65.
  • Ko, J. J., (2003),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and Family Relational Variable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Korean Journal of Home Economics, 41(7), p121-143.
  • Kong, I. S., & Lee, E. J., & Lee, L. L., (2005), Adolescents' Conflict, Con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heir Self-Concept, Journal of Human Ecology, 14(6), p925-936.
  • Kown, Y. C., (2010), Youth culture, Gyeong-Gi Do GoYang: Knowledge Community.
  • Lee, I. J., (2007), A Study on Moral and Social Conventional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Domain Distinction Model,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24, p236-282.
  • Lee, C. H., & Kang, M. W., (2010), Articles: A study of the influence of functionally-broken family and resilience on Juvenile delinquency, Korea Police Science Review, 12(1), p175-200.
  • Lee, N. S., & Shin, S. H., & Kim, Y. H., (2009), Effects of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Adjustment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Life Sciences Research Journal, 13(1), p15-26.
  • Shin, K. L., & Jeo, M. O., & Yang, J. H., (2005), Qualitative Researching,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 Song, S. J., (1995), Study on youth problem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needs, The Kyonggi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9, p71-94.

<Table 1>

Personal inform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1)

case SEX
(Age)
Problem Behavior case SEX
(Age)
Problem Behavior case SEX
(Age)
Problem Behavior
1 M(17) Runaway from home, Maladjustment at school 18 M(18) Threaten, Burglary, Inflict an injury 35 F(17) Suicidal attempts, Maladjustmnet at school
2 M(14) Impulsive behavior, Maladjustment at school 19 F(14) Abusive language, Poor results at school, lethargic behavior 36 M(15) excessive behavior, outcast
3 F(17) School violence victim, Social phobia, Depressive tendency, Suicidal attempts 20 M(17) Maladjustment at school, smoking, Drinking Leak of personal relations 37 F(17) Abusive language, violence, excessive behavior
4 M(19) Suicidal attempts, internet addiction 21 M(14) Abusive language, Personality disorder 38 M(18) Special larceny, Maladjustment at school
5 M(17) Maladjustment at school , Smoking 22 M(16) Special larceny, Vandalizing 39 F(15) Leak of personal relations, Extortion
6 F(14) internet addiction, Runaway from home 23 F(15) internet addiction, Maladjustment at school 40 M(15) Bullying, Maladjustment at school
7 M(16) Poor results at school, lethargic behavior 24 M(13) Anger managemnet, violent behavior 41 M(17) Refual to attend school,
8 F(17) Drinking, Smoking, Sleep-over, Runaway from home 25 M(14) School violence, Maladjustment at school 42 F(16) Internet addiction, impulsive behavior
9 F(15) Runaway from home, Skipping Class w/o notice, Refusal to attend school 26 F(10) Sexually exposed, Mutism 43 M(17) Internet addiction, Maladjustment at school
10 F(17) Runaway from home, Maladjustment at school, Sexual deviance, outcast 27 M(13) Bullying, outcast 44 F(14) Maladjustment at School, Leak of personal relations
11 F(17) Suspension of studies, Runaway from home, Prostitution 28 M(13) outcast 45 F(16) Suicidal attempt, Maladjustment at School
12 F(16) Suspension of studies, Runaway from home, Prostitution 29 F(15) outcast, Maladjustment at school 46 F(13) Victim and assailant of Bullying
13 F(15) Depressive personality, violence (Self-injurious) behavior 30 M(13) Poor results at school, Leak of emotional control 47 M(15) Victim and assailant of Bullying
14 M(13) Internet game addiction 31 M(16) Runaway from home, Maladjustment at school 48 M(17) Special larceny, Internet addiction
15 M(14) Abrupt problem behavior, Damage school property 32 M(17) Special larceny, Runaway form home 49 M(15) Outcast, Maladjustment at school
16 F(16) Social phobia, Poor results at school 33 F(17) Maladjustment at school, Refual to attend school 50 F(14) Runaway from home, Smoking
17 M(17) Runaway from home, Sexual assault, internet addiction, Smoking, Drinking 34 F(16) Smoking, Bullying 51 M(14) Maladjustment at school, Poor results at school

<Table 2>

Themes of family relation experiences

Family
relations
Meaning
unit
Categorization Themes
father and
mother
relations
when he sees father's drinking habits and violence toward mother, he think drastic measures like suicide and run away from home, and he hard to repress hatred and anger of his father drinks and fights, feeling hatred and helplessness from abusive father feeling suicidal and homicidal
he thinks himself and fights are the cause of conflicts from seeing parent's behaviers such as taking their responsibilities to each other and second marriage mom's misfortune is me to blame (anger and repulsion ) feeling guilty and blaming someboby
because of the parent's conflicts, blaming parents who doesn't concern their children just a little interest disrespectful
feeling abandoned from disrespectful behavier disaffection of parent being abandoned
parents and
child
relations
anger from father's unacceptable drinking habits anger from accepting father's drinking habits hatred and anxiety from father's drinking habits
feeling repulsion of violent father, affection of mother both yearning
fear from vent parent anger on him weird personality of his parent getting tired from anxiety self-torture
distrust from parent's ambivalent behavior hatred from pretentious manner
denying opinions with compulsive attitude compulsive attitude of his parent helpless feelings from conflicts and pressure
cutting hair and tearing school uniform hurt self-esteem
threat and disregard about study
ignore promise and feelings
a sudden change of attitude and immoderate control and intervention disappointment and anger from intensive control distrust of human being
blaming indifference
avoiding responsibility for raising
unreciprocated attitude conflict and pressure between study and friendship unreciprocated attitude without communication
brothers and
sisters
relations
sexual impulse on their siblings caused by internet addict target of sexual impulse target of solving requirement
stress reliever cause by parentless target of anger
controlling with violence and tr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