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33, No. 1, pp.1-15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Feb 2024
Received 21 Aug 2023 Revised 11 Dec 2023 Accepted 24 Dec 2023
DOI: https://doi.org/10.5934/kjhe.2024.33.1.1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가 만 2세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문지기 역할의 조절효과

곽희선1) ; 김수정2), *
1)한남대학교 이동복지학과 석사졸업
2)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부교수
The Influence of Fa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2-year-olds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Maternal Gate-keeping Role
Kwak, Huiseon1) ; Kim, Soojung2), *
1)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Guidance, Hannam University
2)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Guidance, Hannam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Soojung Kim Tel: +82-42-629-7618 E-mail: soojungkim@hnu.kr

ⓒ 2024,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other's role as a gatekeeper on the effect of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s in 2-year-old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27 fathers of 2-year-old infants enrolled in daycare centers in A, Gyeonggi-do,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ing the SPSS 25.0 program. As a result of the main study, first, the fa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e mother's openness were important variable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social emotions. Second, the more positive a father takes parenting, the more the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improves, and the more the mother encourages the father's parenting and refrains from criticizing and controlling, the higher its influenc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of infants' social emotions can vary depending on the parenting attitude provided by parents, and the role of a mother's gatekeeper is a factor that influences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In other words, the role of a mother's gatekeeper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parenting and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suggesting that mothers should refrain from criticizing and controlling the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positively influence the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encouragement and support.

Keywords:

Father`s positive child rearing attitude, Infant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Maternal gate-keeping

키워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Ⅰ. 서론

인간의 발달에 있어 어느 시기 하나 중요하지 않은 시기가 없겠으나, 생애 초기, 즉, 생후 2년 전후를 의미하는 영아시기는 전 생애에 걸친 인간의 발달 시기 중 발달의 전 영역에 걸쳐 가장 많고 빠른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임이 분명하다. 특히, 누워만 지내던 생애 초기를 지나, 기고, 일어나 걷기 시작하며, 탐색할 수 있는 물리적, 사회적 환경이 확대되는 만 2세경의 시기는 신체적 성장뿐 아니라 인지 및 사회 정서적인 면에서도 폭발적인 발달을 이루어내는 시기이다(심숙영, 오정윤, 2015; 오정화, 김소향, 2016; 황선영, 2013). 특히, 이 시기 영아는 자신을 생애 초기부터 안정되게 양육하여준 부모와의 관계를 넘어서, 차츰차츰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경험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의 정서 및 타인의 정서를 인지하고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사회적으로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주요한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최정미, 2002; Nicolopoulou & Smith, 2022).

이러한 영아의 사회 정서적 발달은 무엇보다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며, 부모가 어떠한 양육 태도를 가지고 영아를 양육해왔는가는 영아의 사회 정서적인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선행연구들은 일관되게 보고하고 있다(강보미, 김경철, 2023; 백주희, 장유진, 2023; 유지연, 황혜정, 2022). 가장 대표적인 양육태도 연구로서 Baumrind(1966)의 연구를 들 수 있는데, 그녀의 연구에 의하면, 부모의 양육 태도가 온정적일 때 아동은 유능한 성인으로 성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거부적이고 통제적인 양육 태도를 보일수록 자녀는 분노, 무력감, 혹은 타인에 대한 적대심이 증가함을 보고하였다(박영미, 1996; 안효진, 김수정, 2022; Baumrind, 1966, 1991, 2005, 2013; Steinberg et al., 1992). 특히, Baumrind(1966)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의 유형으로서, 온정적이지만 동시에 적절한 제한을 설명으로 제공하고 권위를 갖춘 권위적인(authoritative) 양육유형이 자녀의 전인발달에 가장 장기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밝혔고, 권위적인 양육태도는 이후의 parenting연구에서도 긍정적인 양육유형을 대변하는 특성으로서 연구되어져 왔다.

한편, Baumrind(1966)로부터 시작된 많은 연구들은 부모의 양육 태도와 영유아의 사회 정서적 발달 간의 관계를 연구함에 있어, 주로 어머니의 양육 태도에 초점을 맞추어왔다(박소은, 남은영, 2010; 최은아, 이희선, 2012). 그러나, 자녀 양육에서 아버지의 역할에 관한 관심 및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어져오고 있으며(이배, 2012; Cappuzzo et al., 2010; Fagan & Palm, 2004), 특히, 초저출산의 위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대한민국에서 더 이상 양육을 어머니의 외롭고 고된 역할로 규정짓는 문헌은 그 어디에서도 찾아보기가 어려울 지경이다. 재개념화된 자녀 양육에서 아버지의 양육 태도가 자녀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아버지의 애정적, 자율적인 양육 태도가 영유아의 기본생활 습관에 있어 청결과 질서를 더 잘 지키도록 지원하며(김양호, 2004), 영유아의 사회적 활동성, 안정성, 협력성 등의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고하고 있다(양경수, 2011). 이에 반해, 아버지의 양육 태도가 간섭적이고 통제적일수록 유아의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창의성 발달 및 인지적 자발성이 저해됨도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김은정, 1996; 조혜정, 200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사회 정서적 발달을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으로서, 어머니 혹은 아버지의 양육 행동 및 태도가 아닌, 아버지와 어머니가 진정으로 함께 양육에 참여하는 이상적인 양육맥락으로서 개념화되는 공동양육(co-parenting)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녀 양육에 대한 아버지의 적극적 참여와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의 중요성에 더해, 부모 한쪽에서만 받는 긍정적인 자극보다 부모 양쪽 모두로부터 긍정적 자극을 받는 것이 영유아의 인지적·사회적 발달에 보다 긍정적이라는 선행연구의 결과들은 어머니 혹은 아버지 한쪽 양육의 중요성과 특성의 논의에서 한발 나아가 부부가 함께 협의하여 자녀를 함께 공동으로 양육하는 ‘부모 공동양육’의 개념을 등장시키게 되었다(Carter, 2010). 부모가 함께 공동으로 자녀를 안정적으로 양육하는 맥락이 제공될 때, 영유아의 사회 정서적 발달은 물론, 전인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은 이미 경험적인 연구를 통해서도 밝혀졌을 뿐 아니라(박선진, 강민주, 2020; 박잎새, 남은영, 2015; 정미애, 2022), 어머니 혹은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가 영유아의 다양한 측면의 발달을 지지하는 연구를 토대로 하였을 때 합리적으로 그 유사한 결과를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공동양육 이론에 따르면, 자녀 양육에 있어 어머니와 아버지는 공동으로 양육에 참여하지만, 생애 초기 출산과 수유를 전담하게 됨에 따라 양육의 주도권을 가질 수밖에 없던 어머니의 상호작용 방식은 아버지의 양육 참여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이채율, 2021). 즉, 아버지의 양육 참여 및 긍정적인 양육 태도의 확립에는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보이는 태도가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때, 아버지의 양육 태도에 미치는 어머니의 상호작용 방식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Maternal gatekeeping)’로 정의된다(Allen & Hawkins, 1999; Kulik & Tsoref, 2010).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은 가사와 양육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고자 하는 아버지를 관리·감독하여 어머니와 아버지의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는 신념과 행동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선행연구들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가장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고 있다(Kulik & Tsoref, 2010).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은 두 개의 다른 어머니의 상호작용방식을 포함하는 구성 요인으로 설명되는데, 첫 번째, ‘문열기(gate opening)’는 아버지와 자녀의 상호작용 및 양육 태도를 지지하고 격려하는 어머니의 공동양육 참여방식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문닫기(gate closing)’는 아버지의 양육 태도 및 양육 참여를 신뢰하지 않고 비난, 제한하는 어머니의 공동양육 참여방식을 의미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서 문열기는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를 연결해주는 요소로 작용하며 자녀 및 아버지 본인에게 아버지를 긍정적인 존재로 인식시켜줌으로써 아버지로 하여금 양육에 참여할 의지를 강화시키는 데에 긍정적 측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uhlman & Pasley, 2013; Seery & Crowel, 2000). 국내 연구에서도 아버지가 공동양육에서 어머니의 문열기 역할을 높게 인식할수록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 및 양육효능감이 높았음이 확인되었다(황윤하, 김희진, 2015). 또한 아버지의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간섭이나 통제가 낮고 지지적 행동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자녀 양육에 대한 인식 및 양육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강수경, 김해미, 정미래, 2019). 이에 반해, 어머니가 아버지와의 공동양육에서 문닫기 역할로서 문지기를 수행할수록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은 감소하였으며(조숙인, 2010), 아버지의 양육 참여의 양 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정미라 외, 2015).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양육 태도는 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갈은주, 2014; 이미선, 2002)와 어머니가 아버지의 양육에 지지적인 태도를 보일수록 아버지의 양육의 질이 높아지며, 어머니가 아버지의 양육을 제한할수록 아버지의 양육의 질이 낮아진다는 선행연구(De Luccie, 1995)를 토대로 아버지의 양육 태도는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영향을 주며, 이때, 앞서 살펴본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그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제로 Easternbrooks et al.(2007)에 따르면 아버지와 어머니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질수록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증가하며, 어머니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아버지가 적극적으로 양육에 참여하였는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있어 어머니가 조절 변인으로써의 역할을 함을 나타낸다(Easternbrooks et al., 2007).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관련된 다수의 외국 선행연구의 사례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문열기인 칭찬, 감사, 지지, 존중은 자녀-아버지 관계에 중재 효과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Cannon et al., 2008; Zvara et al., 2013).

특히, 공동양육과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이방실 외, 2017). 앞서 논의한 바처럼, 사회정서 발달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는 영아시기, 특히 만 2세의 영아를 대상으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지원함에 있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두 하위요소, 즉, 문열기 및 문닫기 행동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아버지의 양육 태도와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 간의 관계를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조절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만 2세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이 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건강한 공동양육 맥락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 문제 1.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 연구 문제 2.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은 조절 효과를 가지는가?

Ⅱ. 연 구 방 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간의 관계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경기도 A 지역의 2세 영아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만 2세는 부모와의 애착 관계를 넘어서서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접하고 활발하게 사회 정서발달을 이루어내는 시기에 해당하므로, 영아기 중, 만 2세 영아를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황선영, 2013).

자료 수집을 위해 온라인 설문지 방식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온라인을 통해 자동으로 회수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39부 중 미응답 및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127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아래의 <표 1>에 요약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N=127)

자녀의 성별로는 남아가 71명(55.9%)으로 여아 56명(44.1%)에 비해 많았고, 자녀 수는 1명인 경우가 54명(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2명인 경우는 50명(39.4%), 3명 이상인 경우는 23명(18.1%) 순으로 조사되었다.

아버지의 평일 하루 평균 자녀 돌봄 시간을 살펴보면, 2시간이 5명(43.3%)으로 가장 많았고, 3시간이 38명(29.9%), 1시간 이하가 15명(11.8%), 5시간 이상이 10명(7.9%), 4시간이 9명(7.1%) 순이었으며, 아버지의 주말 평균 자녀 돌봄 시간으로는 5시간-10시간 미만이 64명(50.4%)으로 가장 많았고, 5시간 미만이 32명(25.2%), 10시간 이상이 31명(24.4%) 순으로 조사되었다.

2. 연구 도구

1)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를 살펴보기 위해 Robinson et al. (1995)이 개발하고 한국 아동 패널 연구진이 번역 및 수정한 4-12세 어린이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 태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의 적절성과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아교육 전문가 1인의 검증을 받았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을 검토·수정하였다. 예비조사 시 이해도에 어려움을 겪는 문항인 ‘아이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는 ‘아이가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와 “학교생활”을 “어린이집”으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Robinson et al., 1995).

본 도구는 ‘귄위적’, ‘귄위주의적’, ‘허용적’으로 세 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에 따른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보기 위하여 긍정적 양육 태도에 해당하는 본 척도의 권위적 양육 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해당 척도의 결과를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행동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는 총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애정, 관여(Warmth & Involvement)의 경우 “아이가 잘할 때, 칭찬해 준다”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11문항, 이성/유도(Reasoning/Induction)는 “아이에게 왜 규칙을 따라야 하는지 이유를 설명해 준다”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7문항, 민주적 관계(Democratic Participation)는 “아이에게 어떤 것을 하라고 요구하기 전에, 아이가 원하는 것을 먼저 고려한다‘를 포함하여 5문항, 친절/편안함(Good Natured/ Easy Going)’은 인내심을 갖고 아이를 대한다’와 같은 4문항을 포함하는 행동으로 총 27문항이다. 질문지는 Likert 5점 척도이며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거의 그렇지 않다(2점)’, ‘그저 그렇다(3점)’, ‘대체로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로 평정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양육 태도를 보인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척도의 내적 합치도 Cronbach's α 계수는 전체문항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96이었다. 아버지의 권위적인 양육 태도의 하위요인별 신뢰도 계수는 애정/관여가 .95, 이성/유도가 .86, 민주적 관계가 .85, 친절/편안함이 .85로 나타났다.

2)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살펴보기 위해 Van Egeren(2000)이 개발하고 Schoppe-Sullivanl et al.(2015)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한국 실정에 맞게 개발 및 타당화 한 조윤진, 임인혜(2016)의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 역할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 척도와 아버지 척도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조윤진, 임인혜, 2016).

본 도구는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아버지용)’을 사용하였으며, 하위요인으로 문을 열기(격려)의 경우 ‘아내는 내가 갖고 있는 자녀 양육과 관련한 생각이나 계획에 관심을 기울인다’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9문항, 문닫기(비난과 통제)의 경우 ‘아내는 나의 양육방식을 비난한다’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8문항으로 총 17문항 구성되어 있다. 질문지는 Likert 5점 척도이며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 ‘별로 그렇지 않다(2점)’, ‘그저 그렇다(3점)’, ‘대체로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로 평정한다. 하위요인인 문열기(격려)의 점수가 높을수록 어머니가 아버지의 양육에 격려를 많이 하는 문지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문닫기(비난과 통제)의 점수가 높을수록 어머니가 아버지의 양육에 비난과 통제를 많이 하는 문지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척도의 내적합치도 Cronbach's α 계수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문열기인 격려는 .93,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문닫기인 비난과 통제는 .86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척도의 신뢰도 분석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척도의 신뢰도 분석

3)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본 연구에서는 2세 사회정서 발달에 관한 정의와 구성요인에 관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사회 정서발달을 측정하는 도구인 김호인(2010)의 ‘2세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평정척도’를 김은희(2018)가 부모용으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김은희, 2018; 김호인, 2010).

본 도구의 각 영역별 하위요인으로 ‘기본 정서 및 사회적 행동’, ‘자아개념’, ‘자기조절’, ‘사회적 관계’로 네 개의 문항으로 구분하였다. ‘기본 정서 및 사회적 행동’은 영아의 정서, 긍정적인 신체접촉 및 애착 행동 등을 포함하는 행동으로 ‘잘못한 후 꾸지람을 들을 때 두려움을 느낀다’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5문항, ‘자아개념’은 영아의 능력, 행동, 태도, 가치를 포함하는 행동으로 ‘얼굴에 묻은 음식이나 크레용 등을 거울을 보고 닦을 수 있다’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7문항, ‘자기조절’은 인지 조절과 자기조절을 포함하는 행동으로 ‘바지를 혼자 입을 수 있으나 단추를 끼우거나 고리를 끼우는 것은 부모에게 도움을 요청한다’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11문항, ‘사회적 관계’는 또래,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행동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부모에게 확실히 말한다’와 같은 애용을 포함한 6문항으로 총 29문항 구성되어 있다. 질문지는 Likert 5점 척도이며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 ‘별로 그렇지 않다(2점)’, ‘그저 그렇다(3점)’, ‘대체로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로 평정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각 요인에 대한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척도의 내적합치도 Cronbach's α 계수는 전체 .91이었다. 하위요인별 신뢰도 계수는 기본 정서 및 사회적 행동이 .70, 자아개념이 .71, 자기조절이 .85, 사회적 관계가 .73로 나타났다.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척도의 신뢰도 분석

3. 연구절차

본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연구에서 선정한 검사 도구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정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의 아버지 1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12일에서 2022년 11월 13일까지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경기도 A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2세 반 영아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2022년 11월 13일부터 2022년 11월 17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자가 해당 기관의 원장 및 담임교사에게 연구목적 및 내용, 설문지 소요 시간과 설문 기간, 설문지 배부 및 회수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으며, 담임교사는 해당 반의 학부모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등이 설명되어져 있는 안내문을 발송하였다. 안내문에는 연구목적 및 내용, 설문지 소요 시간과 설문 기간, 설문지 배부 링크 및 회수 방법 등이 포함되어져 있으며, 연구 참여에 어떠한 강제성도 없음이 안내에 포함되었다. 온라인 질문지는 연구대상자인 아버지가 설문에 응답 시 자동 회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연구 도구의 신뢰도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둘째,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셋째,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에 따른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 의해 중재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아버지의 양육 태도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상호작용변수를 투입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경우,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점수분포에 따라 상, 하 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별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에 대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중재 효과 차이를 알아보았다.


Ⅲ. 연 구 결 과

1.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일반적 경향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살펴보고, 정규성을 진단하기 위해 왜도, 첨도를 산출한 결과는 아래의 <표 5>와 같다.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일반적 경향(N=127)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전체 평균은 3.37(SD=.88)점이었고, 하위요인인 애정/관여는 3.13(SD=1.08)점, 이성/유도는 3.55(SD=.90)점, 민주적 관계는 3.32(SD=.99)점, 친절/편안함은 3.47(SD=1.14)점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전체 평균은 3.78(SD=.42)점이었고, 하위요인인 기본 정서 및 사회적 행동은 3.75(SD=.57)점, 자아개념은 3.95(SD=.45)점, 자기조절은 3.63(SD=.55)점, 사회적 관계는 3.78(SD=.51)점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하위요인인 격려의 평균은 3.21(SD=1.08)점, 비난과 통제는 2.93(SD=.95)점으로 나타났다.

왜도와 첨도를 계산한 결과, 왜도 -.98 ~ -.14, 첨도는 -.99 ~ 1.46으로 모든 변수들에서 절대값 2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일변량 정규성 가정을 충족시킨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변수들에서 정상분포 가정을 충족하므로 최대우도법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는 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2.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총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세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표 6>과 같다.

아버지의 양육 태도,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간의 상관관계(N=127)

먼저,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종속변인인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은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r=.64, p<.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의 하위요인인 기본 정서 및 사회적 행동은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의 하위요인인 애정/관여(r=.38, p<.01), 이성/유도(r=.45, p<.01), 민주적 관계(r=.35, p<.01), 친절/편안함(r=.36, p<.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의 하위요인인 자아개념은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의 하위요인인 애정/관여(r=.46, p<.01), 이성/유도(r=.58, p<.01), 민주적 관계(r=.43, p<.01), 친절/편안함(r=.55, p<.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은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의 하위요인인 애정/관여(r=.52, p<.01), 이성/유도(r=.53, p<.01), 민주적 관계(r=.40, p<.01), 친절/편안함(r=.33, p<.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음으로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관계는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의 하위요인인 애정/관여(r=.52, p<.01), 이성/유도(r=.53, p<.01), 민주적 관계(r=.43, p<.01), 친절/편안함(r=.47, p<.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총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N=127)

독립변인으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하위요인을 투입하였고, 종속변인으로는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투입한 최종 모형의 설명력은 약 50.3%(R2=.50)이었으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F=22.27, p<.001). 또한, Durbin-Watson 통계량은 1.91로 2에 근사한 값을 보여 독립성 가정에 문제가 없고, 분산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가 10 미만으로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다회귀모델을 통해,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의 구체적인 하위 항목들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하위요인들을 각각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였다.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면,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중 애정/관여(β=.33, p<.001), 이성/유도(β=.39, p<.001),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β=.33, p<.001)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중 애정/관여를 비롯하여 이성/유도, 그리고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가 증가하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이 향상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3.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조절효과

1)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의 조절효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1단계에서 독립변인 아버지의 권위적인 양육 태도를 투입하였는데, 특히, 조절변인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회귀모델과 달리,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의 총점을 조절 모델에서는 사용하였다. 2단계에서 조절 변인인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를 투입하였다. 특히, 연구 문제 2번의 회귀분석과 달리, 조절 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아버지의 양육 태도의 하위요인을 각각 독립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아닌,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긍정적인 양육 태도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어떻게 그 관계를 조절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긍정적인 아버지의 양육 태도 변인을 투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3단계에서 독립변인과 조절변인을 곱한 상호작용항을 추가로 투입하여 조절변인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 상호작용항을 회귀식에 추가로 투입하였을 때의 설명력(R2)이 첫 번째, 두 번째 단계의 회귀식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한다면 조절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박용권, 2010). 본 연구에서는 다중공선성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 독립변인 평균 중심화(mean centering) 하였다.

1단계에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를 투입한 결과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64, p<.001), 약 41%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는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β=.69, p<.001)는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 역시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27, p<.001). 마지막 3단계에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의 상호작용항이 유의하였으며(β=.15, p<.05),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대해 설명력의 유의한 증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ΔR2=.02, p<.05). 따라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는 유의한 조절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아래의 <표 8>에 요약하였다.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의 조절효과(N=127)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의 조절 효과는 아래의 [그림 1]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1]에서와 같이, 어머니가 문지기 역할에서 격려를 많이 하는 집단일수록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가 높아져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이 강하게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다시 말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는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림 1]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의 조절효과

2)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의 조절효과

첫 번째 단계에서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를 투입한 결과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총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β=.64, p<.001), 약 41%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는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β=.66, p<.001)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단계에서 아버지의 양육 태도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의 상호작용항이 유의하였으며(β=-.21, p<.01),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대해 유의한 설명증분이 나타났다(ΔR2=.03, p<.01). 따라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의 총점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비난과 통제 방식의 문지기 역할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는 아래의 <표 9>에 요약하였다.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의 조절효과(N=127)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 조절 효과는 아래의 [그림 2]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2]에서와 같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서 비난과 통제를 적게 하는 집단일수록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가 높아져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이 강하게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다시 말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는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림 2]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의 조절효과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사회 정서발달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는 영아시기, 특히 만 2세의 영아를 대상으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지원함에 있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두 하위요소, 즉, 문열기 및 문닫기 행동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은 만 2세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 태도 중 애정/관여, 이성/유도일수록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의 향상과 상관이 있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 양육 태도는 자녀의 정서지능 전반에 걸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박영애 외, 2002; 장정희, 2001). 또한 아버지의 양육 태도 중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태도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성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거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부적인 상관관계(이은주, 2018)가 있다는 선행연구와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는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중 사회적 관계를 향상시키고,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는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중 자아개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관련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유아 변인과 직접적인 관계와 연관성으로 다루어지기보다 아버지 변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김애숙, 2019), 본 연구의 결과를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결정짓는 요소 중 양육 스트레스와 부부관계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어머니의 양육 양육 스트레스 지수가 높을수록 자녀에게 강압적인 태도를 보이고 체벌 및 방임의 양육 행동을 취하게 되어 자녀의 사회 정서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와 맥락을 같이한다(이수기, 문병환, 2011). 또한 어머니의 문열기가 아버지의 양육 참여 및 양육 태도를 높여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김애숙, 2019; 신진숙, 2020; 정미라 외, 2015)도 확인되었다.

둘째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문 열기에 해당)와 비난과 통제(문 닫기에 해당)가 각각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는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를 많이 할수록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이 증가하였다. 즉,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환경적, 심리적 지원은 아버지의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향상시키는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아버지가 긍정적인 양육 태도를 취할수록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이 증진되는데, 어머니가 아버지의 양육에 대하여 격려할수록 그 영향력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는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를 적게 할수록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증가시키는 정도가 높아졌다. 즉, 어머니가 비난과 통제를 자제할수록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변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이는 아버지가 긍정적 양육 태도를 취할수록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이 증진되는데, 어머니가 아버지의 양육에 대하여 비난과 통제를 자제할수록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영아기 자녀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열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횟수를 증가시켜 양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이예린, 2019; Schoppe-Sullivan et al. 2008)와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간섭이나 통제가 낮고 지지적 행동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인식 및 양육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며(강수경 외, 2019), 아버지의 양육 참여를 격려하거나 지지하는 문열기가 이루어지는 가정에서 긍정적인 양육 태도가 형성되었다는 연구(김혜림, 2019) 및 어머니의 문열기가 아버지의 양육 참여 및 양육 태도를 높여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김애숙, 2019; 신진숙, 2020; 정미라 외, 2015)가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은 아버지의 양육 태도와 자녀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버지의 양육 태도는 아버지 개인적 특성보다는 어머니의 역할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Marsiglio & Cohan, 2000)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버지의 양육 태도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아버지 개인의 양육 행동 만으로서가 아니라, 어머니의 태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공동으로 마련한 진정한 의미의 공동양육이라는 맥락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아버지의 양육에의 참여 자체도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있어 그 영향력이 있으나, 어머니가, 아버지의 양육에의 참여에 있어 어떠한 문지기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이 자녀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으므로, 어머니는 진정한 공동양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대해 비난, 통제를 자제하고 격려, 지지하는 전략을 사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진정한 공동양육이란 각자가 어머니로서,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로서, 아버지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양육 행동을 할 때, 어떠한 조력자로서, 그 관계에서 기능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가진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진정한 의미의 공동양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자녀 간의 삼각관계가 건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는 부모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는 자신과 아버지의 양육 태도 및 양육 행동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인정하고 비난하거나 거부하기보다는 자녀 양육에 있어 공동파트너로서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어머니의 지지는 아버지로 하여금 보다 긍정적인 양육 태도를 형성할 수 있게끔 지원하는 효과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의 형성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져오는 것임을 본 연구는 다시 확인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대를 토대로 한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어머니의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지원을 기대한다. 특히, 본 연구는 아버지들에게 자신의 아내가 자녀 양육에 있어서 문지기 역할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직접 알아본 연구로서, 아버지들의 입장에서 어머니가 문지기 역할을 비난과 통제의 방식으로 진행할 때에, 긍정적인 양육 태도를 수행하는 정도가 자녀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낮추게 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아버지들이 자녀 양육에 참여할 때, 스스로의 양육 태도를 긍정적으로 가져야 함뿐 아니라, 아내가 자신의 양육상황에 어떻게 참여하는 것이 적절할지를 알고, 어머니, 아버지, 자녀 삼각관계를 건강한 방식으로 설정하는 것 또한 중요함을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에서 안내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A시의 2세 영아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진행된 본 연구를 기초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지역의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영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도움이 되는 부모의 양육 태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도구는 자기보고 식 설문지로, 아버지의 응답을 통해 분석이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양육 태도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 관해 관찰법, 면접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설문해 볼 필요가 있으며,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은 사회적 상황이 활발히 일어나는 원에서 교사의 관찰을 통해 객관적이고 다각적인 질적 연구를 실시해 볼 필요가 있겠다.

REFERENCES

  • 갈은주(2014). 아버지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사회 정서발달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강보미, 김경철(2023).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어머니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 양육 참여도의 조절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7(2), 75-97.
  • 강수경, 김해미, 정미라(2019).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양육과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9(4), 175-194.
  • 김애숙(2019).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양호(2004). 아버지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기본 생활 습관과의 관계.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정(1996). 부모의 양육 태도와 창의성 과의 관계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희(2019).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원가족 애착 경험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혜림(2019). 아버지의 기질 유형과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및 부모 공동양육 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호인(2010). 2세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평정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선주, 강민주(2017).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성역할 태도와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11(3), 87-111.
  • 박선진, 강민주(2020). 부모 공동양육의 질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 불안의 이중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 14(2), 3-27.
  • 박소은, 남은영(2010).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정서 인식, 정서 수용 및 양육 태도 간의 관계: 저소득가정과 중류가정을 중심으로. 한국심기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3), 89-103.
  • 박영미(1996).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 행동과 정서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아동교육, 5(1), 49-64.
  • 박영애, 박인전, 최영희(2002). 아동의 우울 및 불안 경향과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 가정과 삶의 질 학회. 20(2). 203-214.
  • 박용권(2010). SPSS 사회복지자료분석. 서울: 도서출판 신정.
  • 박잎새(2012). 부부공동양육, 아버지 양육 참여 및 유아의 정서 조절 능력 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잎새, & 남은영(2015). 부부공동양육, 아버지 양육 참여 및 유아의 정서 조절 능력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4), 135-153.
  • 백주희, 장유진(2023).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 특성이 만 2세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인간연구, 50, 299-326.
  •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2020).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 과정 해설서. 세종: 보건복지부.
  • 송민선(2008).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가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진숙(2020).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 공동양육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심숙영, 오정윤(2015).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유아의 정서지능 및 사회정서·행동에 미치는 효과. 아동과 권리, 19(1), 27-55.
  • 안효진, 김수정(2022). 가정 및 학교의 자율성 지지맥락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학업수행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생애학회지, 12(3), 1-19.
  • 양경수(2011). 아버지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9(2), 75-84.
  • 양연숙(2000). 영아의 타인 양육 경험에 따른 어머니에 대한 애착과 정서 조절.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오연주, 조복희, 강희경(2000). 유아의 신체활동 및 아버지의 참여에 관한 실태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2, 57-84.
  • 오정화, 김소향(2016). 그림책에 기초한 주제환상극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정서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3), 21-46.
  • 유안진(1985). 유아환경론, 서울: 창지사.
  • 유지연, 황혜정(2022). 부모의 양육 태도 군집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9(3), 1-28.
  • 육아정책연구소(2011). 육아정책연구소. 유아교육보육주요통계, 24-25.
  • 이미선(2002). 아버지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방실, 강수경, 정미라(2017).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 행동과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7(5), 413-434.
  • 이배(2012).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수기, 문병환(2011).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유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6). 259-274.
  • 이예린(2019).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은주(2018). 아버지의 양육 태도와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정순(2002), 부모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사회 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채율(2021). 아버지의 양육 태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문지기 역할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혜원(2005).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를 척도 개발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장정희(2001).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미라, 김민정, 이방실(2015). 어머니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 및 행동 간의 관계: 부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보육 지원학회지, 11(2), 355-373.
  • 정미애(2022). 어머니, 아버지가 인식하는 공동양육 및 행복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42(6), 473-494.
  • 정은혜(2001).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숙인(2010). 어머니의 취업 및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옥자, 현온강(2005).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와 방임 및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아동의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6(3), 141-162.
  • 조윤진, 임인혜 (2016).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 역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육아지원연구, 11(2), 33-57.
  • 조혜정(2006). 유아의 놀이성과 부모의 양육 태도와의 관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정미(2002). 어머니의 성인기 애착과 애정적 양육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4), 125-138.
  • 최정미(2002).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3(3), 205-216.
  • 황선영(2013).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적 적응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153-180.
  • 황윤하, 김희진(2015).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대한 부부의 인식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 및 양육효능감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0(2), 55-73.
  • Allen, S. M., & Hawkins, A. J. (1999). Maternal gatekeeping: Mothers’ beliefs and behaviors that inhibit greater father involvement in family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1), 199-212. [https://doi.org/10.2307/353894]
  • Baumrind, D. (1966). Effect of authoritative parental control on child behavior. Child Development, 37, 887-907. [https://doi.org/10.1111/j.1467-8624.1966.tb05416.x]
  • Baumrind, D. (1991).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t competence and substance use.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1(1), 56–95. [https://doi.org/10.1177/0272431691111004]
  • Baumrind, D. (2005).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and adolescent autonomy.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2005(108), 61-69. [https://doi.org/10.1002/cd.128]
  • Baumrind, D. (2013). Authoritative parenting revisited: History and current stat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1-34. [https://doi.org/10.1037/13948-002]
  • Cannon, E. A., Schoppe-Sullivan, S. J., Mangelsdorf, S. C., Brown, G. L., & SzewczykSokolowski, M. (2008). Parentcharacteristics asantecedents of maternal gatekeeping and fathering behavior. Family Process, 47, 501-519.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8.00268.x]
  • Cappuzzo, R. M., Sheppard, B. S., & Uba, G. (2010). Boot camp for new dads: The importance of 214 infant-father attachment. Young Children, 65(3), 24-28.
  • Carter, A. S., Godoy, L., Wagmiller, R. L., Veliz, P., Marakovitz, S., & Briggs-Gowan, M. J. (2010). Internalizing traject or iesin young boys and girls: The whole is not asimplesum of it spart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8(1), 19-31. [https://doi.org/10.1007/s10802-009-9342-0]
  • De Luccie, M. F. (1995). Mothers as gatekeepers: A model of maternal mediators of a father involvement.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6, 115-131. [https://doi.org/10.1080/00221325.1995.9914811]
  • Easterbrooks, M. A., Barrett, L. R., Brady, A. E., & Davis, C. R. (2007). Complexities in Research on Fathering: Illustrations from the Tuft Study of Young Fathers. Applied Development Science, 11(4), 214-220. [https://doi.org/10.1080/10888690701762118]
  • Fagan, J., & Palm, G. F. (2004). Father and Early Childhood Programs, Getting Started-Practical Suggestions for Developing Fatherhood Initiatives (15-195). Canada: Thomaon Delmar Learing.
  • Hurlock, E. B. (1973). Adolescent development, 4th ed, McGrow-Hill.
  • Kulik, L., & Tsoref, H (2010). The entrance to the maternal garden: environmental and personal variables that explain maternal gatekeeping. Journal of Gender Studies, 19(3), 263-277. [https://doi.org/10.1080/09589236.2010.494342]
  • Marsiglio, W., & Cohan, M. (2000). Contextualizing father involvement and paternal influence: Sociological and qualitative themes. Marriage & Family Review, 29(2-3), 75-95. [https://doi.org/10.1300/J002v29n02_06]
  • Nicolopoulou, A., & Smith, P. K. (2022). Social play and social development.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Childhood Social Development, 538-554. [https://doi.org/10.1002/9781119679028.ch29]
  • Puhlman, D. J., & Pasley, K.(2013). Rethinking maternal gatekeeping. Journal of Family Theory and Review, 5, 176-193. [https://doi.org/10.1111/jftr.12016]
  • Robinson, C. C., Mandleco, B., Olsen, S. F., & Hart, C. H. (1995). Authoritativ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practices: Development of a new measure. Psychological Reports, 77(3), 819-830. [https://doi.org/10.2466/pr0.1995.77.3.819]
  • Schoppe-Sullivan, S. J., Brown, G. L., Cannon, E. A., Mangelsdorf, S. C., & Sokolowski, M. S. (2008). Maternal gatekeeping, coparenting quality, and fathering behavior in families with infant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3), 389. [https://doi.org/10.1037/0893-3200.22.3.389]
  • Schoppe-Sullivan, S. J., Lauren, E. A. K, Meghan, A. L., Daniel, J. B., & Claire, M. K. (2015). Who are the gatekeepers? Predictors of maternal gatekeeping.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15, 166-186. [https://doi.org/10.1080/15295192.2015.1053321]
  • Seery, B. L., & Crowley, M. S. (2000). Women's emotion work in the family: Relationship management and the process of building father-child relationships. Journal of Family Issues, 21(1), 100-127. [https://doi.org/10.1177/019251300021001005]
  • Steinberg, L., Lamborn, S. D., Dornbusch, S. M., & Darling, N. (1992). Impact of parenting practices on adolescent achievement: Authoritative parenting, school involvement, and encouragement to succeed. Child Development, 63(5), 1266-1281.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2.tb01694.x]
  • Van Egeren, L. A. (2000). Coming to Terms with Coparenting: Implications of Defini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2004(11), 165-178 [https://doi.org/10.1023/B:JADE.0000035625.74672.0b]

[그림 1]

[그림 1]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의 조절효과

[그림 2]

[그림 2]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의 조절효과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N=127)

구분 빈도(명) 백분율(%)
자녀 성별 남자 71 55.9
여자 56 44.1
자녀 수 1명 54 42.5
2명 50 39.4
3명 이상 23 18.1
자녀 출생순위 외동 42 33.1
첫째 39 30.7
둘째 42 33.1
셋째 이상 4 3.1
아버지 연령 만 30세 이하 4 3.1
만 31-35세 34 26.8
만 36-39세 67 52.8
만 40세 이상 22 17.3
어머니 연령 만 30세 이하 8 6.3
만 31-35세 67 52.8
만 36-39세 43 33.9
만 40세 이상 9 7.1
자녀 양육에 대한 타인의 도움 전혀 도움 받고 있지 않다 24 18.9
별로 도움 받고 있지 않다 32 25.2
보통이다 32 25.2
도움 받고 있다 33 26.0
많이 도움 받고 있다 6 4.7
아버지의 평일 하루 평균 자녀 돌봄 시간 1시간 이하 15 11.8
2시간 55 43.3
3시간 38 29.9
4시간 9 7.1
5시간 이상 10 7.9
아버지의 주말 평균 자녀 돌봄 시간 5시간 미만 32 25.2
5시간-10시간 미만 64 50.4
10시간 이상 31 24.4

<표 2>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척도의 신뢰도 분석

구분 문항 번호 문항 수 Cronbach’s α
애정/관여 1, 2, 3, 5, 6, 10, 13, 16, 17, 18, 20 11 .95
이성/유도 8, 12, 14, 19, 23, 25, 27 7 .86
민주적 관계 11, 15, 21, 24, 26 5 .85
친절/편안함 4, 7, 9, 22 4 .85
전체 27 .96

<표 3>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척도의 신뢰도 분석

구분 문항 번호 문항 수 Cronbach’s α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격려 1~9 9 .93
비난과 통제 10~17 8 .86

<표 4>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척도의 신뢰도 분석

구분 문항 번호 문항 수 Cronbach’s α
기본 정서 및 사회적 행동 1~5 5 .70
자아개념 6~12 7 .71
자기조절 13~23 11 .85
사회적 관계 24~29 6 .73
전체 29 .91

<표 5>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일반적 경향(N=127)

구분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애정/관여 3.13 1.08 -.34 -.99
이성/유도 3.55 .90 -.98 1.02
민주적 관계 3.32 .99 -.74 -.23
친절/편안함 3.47 1.14 -.69 -.54
전체 3.37 .88 -.81 .18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기본 정서 및 사회적 행동 3.75 .57 -.28 -.62
자아개념 3.95 .45 -.57 1.46
자기조절 3.63 .55 -.47 -.42
사회적 관계 3.78 .51 -.28 -.62
전체 3.78 .42 -.21 -.77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격려 3.21 1.08 -.61 -.24
비난과 통제 2.93 .95 -.14 -.60

<표 6>

아버지의 양육 태도,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간의 상관관계(N=127)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아버지의 양육 태도 1. 애정/관여 1
2. 이성/유도 .66** 1
3. 민주적 관계 .72** .68** 1
4. 친절/편안함 .65** .63** .59** 1
5. 전체 .88** .85** .86** .85** 1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6. 기본 정서 및 사회적 행동 .38** .45** .35** .36** .44** 1
7. 자아개념 .46** .58** .43** .55** .59** .58** 1
8. 자기조절 .52** .53** .40** .33** .51** .52** .51** 1
9. 사회적 관계 .52** .53** .43** .47** .57** .46** .62** .65** 1
10 .전체 .58** .63** .49** .51** .64** .80** .81** .83** .83** 1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11. 격려 .21* .10 .17 .17 .19* .06 .07 .10 .21* .14 1
12. 비난과 통제 -.32** -.31** -.37** -.30** -.38** -.10 -.20* -.13 -.20* -.19* -.56** 1

<표 7>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N=127)

종속변인 독립변인 B SE β t p VIF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상수) 2.08 .19 11.07 .00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애정/관여 .13 .04 .33*** 3.25 .00 2.65
이성/유도 .18 .05 .39*** 4.02 .00 2.34
민주적 관계 -.03 .04 -.08 -.77 .44 2.59
친절/편안함 .04 .03 .11 1.22 .22 2.01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격려 .13 .03 .33*** 4.31 .00 1.50
비난과 통제 .07 .04 .15 1.78 .08 1.68
Durbin-Watson=1.91, R2 =.53, Adj-R2 =.50, F=22.27***

<표 8>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의 조절효과(N=127)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B β B β B β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31 .64*** .33 .69*** .32 .67***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격려     .11 .27*** .10 .24***
양육 태도 X 격려 .05 .15
R2 .41 .48 .50
△R2   .07*** .02*
F 86.03*** 56.47*** 40.52***

<표 9>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의 조절효과(N=127)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B β B β B β
아버지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 .31 .64*** .32 .66*** .26 .54***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중 비난과 통제 -.03 -.06 -.01 -.02
양육 태도 X 비난과 통제 -.08 -.21**
R2 .41 .41 .44
△R2   .00 .03**
F 86.03*** 43.19*** 3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