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5, No. 1, pp.1-15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Feb 2016
Received 31 Jul 2015 Revised 01 Feb 2016 Accepted 16 Feb 2016
DOI: https://doi.org/10.5934/kjhe.2016.25.1.1

어머니-유아 정서적 가용성 유형 : 부부의 관계와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문영경1 ; 민현숙*
1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삼육대학교 유아교육학과
Types of Emotional Availability Among Mothers and Their Preschool Child: Relationship With Marital Relations and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oon, Young-Kyung1 ; Min, Hyun-Suk*
1Daejeon University, Department of Child Education and Counseling
*Samyook University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rrespondence to: *Min, Hyunsuk Fax: +82-42-280-2458 E-mail: minhs@hanmail.net

ⓒ 2016,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tterns of emotional availability among mothers and their preschool child and the relationship with marital relations and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s in this study included 135 preschool children(71 boys, 64 girls) and their mothe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was found as that. The maternal sensitivity was just lower than the middle level, and maternal structuring, nonintrusiveness, and nonhostility were just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The two children's scales, responsiveness and involvement were above the middle level. Second, the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was correlated with the scores of marital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stress of parental role. Third, three cluster groups of emotional availability emerged reflecting synchrony and asynchrony between maternal and child behavior. And the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by the clusters of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Keywords: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marital conflict, depression, parenting stress

키워드:

어머니-유아 정서적 가용성, 부부갈등, 우울, 양육 스트레스

Ⅰ. 서 론

어머니와의 관계는 유아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경험하게 되는 사회적 관계이며 이 관계를 통해 유아는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학습하게 된다. 그리고 그 관계 내 상호 정서표현 및 정서적인 대화의 교류는 건강한 어머니-유아의 필수불가결한 요소(Bornstein, & Lamb, 2008)로서 어머니와 자녀 간 이인관계 내의 정서는 초기 발달을 예측할 수 있는 민감한 지표로 연구되고 있다(Emde & Easterbrook, 1985).

생애 초기부터 어머니와 유아는 정서와 의사소통의 표현과 상호성의 양식을 형성해 나가는데(Bowlby, 1969; Gianino & Tronick, 1992; Sander, 2000; Stern, 1985),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적 관계의 중요성은 정서조율모델(affective attunement model, Stern 1985)과 상호조절 모델(mutual regulation model, Gianino & Tronick, 1992), 사회적 바이오피드백 모델(social biofeedback model, George & Watson, 1996), 교류모델(transaction model, Sameroff & Chandler, 1975; Thompson, 1990) 등에서 강조되고 있다. 특히, 교류모델은 어머니-유아의 발달 및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유아와 그 가족, 사회적 맥락에 의해 제공되는 경험들 간의 지속적인 역동적 상호작용의 산물로 보면서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맥락적 경험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이중 Biringen et al. (1998)은 애착이론(Ainsworth, et al., 1978)과 아동의 자율성을 촉진시키는 지지적인 어머니의 존재에 대한 이론(Emde, 1980; Mahler, et al., 1975)을 바탕으로 정서적 가용성(Emotional Availability: EA)을 성인과 아동의 정서적 관계의 질의 대표 개념으로 설정하였는데, 정서적 가용성은 영아가 디스트레스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맥락에 처하였을 때 보이는 전반적인 성인과 아동의 정서적 관계의 질을 나타내는 개념이다(Biringen, et al., 1998; Biringen, et al., 2000; Bornstein, et al., 2006). 정서적 가용성은 Ainsworth의 낯선상황 실험과 같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맥락에서 측정될 수 있으며, 영아 뿐 아니라 유아, 아동 그리고 부모가 아닌 다른 성인과 아동 간의 관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아버지-자녀, 어머니-자녀 뿐만 아니라 보육교사와 같은 다른 양육자와 영유아의 관계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연령대의 영유아 및 아동과 성인과의 관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정서적 가용성의 개념을 적용할 때 성인과 아동의 관계 내에서 아동의 발달수준에 따라 그리고 맥락적 특성에 따라 아동이 성인에게 보이는 반응 뿐 아니라 성인의 반응도 다를 수 있다고 본다.

최근 정서적 가용성이 “관계적 개념”(Biringen, & Robinson, 1991; Biringen, 1990; Emde, 2000)으로 개념화되었으므로, 이인 관계에 기초하여 정서적 가용성의 유형을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Biringen & Easterbrooks, 2012; Oppenheim, 2012). 이러한 견해는 정서적 가용성을 변인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지향적 관점에 입각한 접근 방식으로서 성인과 아동의 이인 관계의 특성을 정의하고 반영하는 것이며, 하나의 체계로서 성인과 아동 쌍을 바라보고 그들의 기능과 발달을 전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Magnusson, 1998). 이에 대해 Oppenheim(2012)은 하위 측정 변인들이 유기적으로 관련되므로 이들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각각의 유형의 특성을 구분할 경우, 유형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규명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실제 여러 연구에서 이인관계에 기초한 정서적 가용성의 유형을 구분하고 이에 다른 집단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시도되고 있는데, Vliegen et al.(2009)Biringen et al.(1998)의 3판의 기술척도에 근거하여 6가지 하위 영역을 최적의 영역(Optimal Zone), 비위험 영역(Non-risk Zone), 임상적 위험 영역(Clinical-risk Zone)의 영역으로 나누었고, 임상 집단에서의 정서적 가용성의 분포가 일반 어머니와 자녀의 정서적 가용성 분포와 차이가 남을 밝혀냄을 밝혔다. Bornstein, et al. (2006)은 어머니와 자녀를 대상으로 정서적 가용성이 높은 쌍, 중간 쌍, 그리고 낮은 쌍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내었다. 또한 Easterbrooks et al.(2005)은 자녀를 21세 이하에 출산한 젊은 어머니와 그 자녀의 정서적 가용성의 유형과 함께 그들의 이원적 맥락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미국 어머니의 경우 낮은 기능의 쌍, 중간 기능의 어머니-자녀 쌍, 중간 정도의 양육/비참여 자녀, 높은 기능의 어머니-자녀 쌍의 네가지 유형에 따라 그들이 처한 환경적 특성, 즉 어머니의 연령, 자녀의 연령, 지역사회, 건강문제, 가족 내 양육지원, 우울 등에 차이가 나타남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쌍방향적 관계에 근거한 유형의 분석은 정서적 가용성의 유형과 가족의 생활 환경과 맥락(예: 부모의 관계, 양육의 환경과 부모의 우울 등)과의 관련성을 분석해 내고 있다. 양방향적 유형 분석은 발달적 정신병리를 발생시키는 맥락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특정 유형의 특성에 근거한 중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하다(Biringen & Easterbrooks, 2012). 이와 같이, 어머니-유아 정서적 가용성은 양방향적 관계에 근거하여 분석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의 유형이 어떠한지 분석한 연구는 없어 우리나라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 수준 및 정서적 가용성 유형을 규명하고 이들의 개별적인 특성이 어떠한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한편, Sameroff와 Chandler(1975)는 유아와 그 가족, 사회적 맥락에 의해 제공되는 경험들 간의 지속적인 역동적 상호작용이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및 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면서, 유아가 경험하는 맥락적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들 중 부모의 결혼문제와 갈등은 유아에게 직접적으로 그리고 양육에 영향을 줌으로서 유아에게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Cummings, et al., 2000; Emery, 1999). 예를 들어, 결혼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부모들은 자신의 문제에 빠져 비효과적이고 비일관적인 훈육을 하기도 하는데, 즉, 부부간의 갈등이 발생할 경우 그 안에서의 분노나 회피, 스트레스 반응이 부모의 온정적, 지지적 반응과 정서적인 가용성을 저해한다는 것이다(Almeida, et al., 1999; Jouriles, et al., 1996). 그 뿐만 아니라 부모간의 강도 높은 갈등은 자녀의 정서적 안정감과 편안함을 해쳐 위축이나 적대감을 유발하게 된다. 실제, 가정에서의 분노를 경험하는 유아는 자신이 그 대상이 되지 않더라도 불안과 좌절을 경험하고, 분노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ummings et al., 1981; Campbell, 1997).

그 외에도 어머니의 심리적 문제, 특히 어머니의 우울(Carter, et al., 2001; Easterbrooks, et al., 2000; Trapolini, et al., 2008), 양육스트레스(Kang, 2005; Stak, et al., 2012)와 같은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역시 유아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특성은 특히 어머니를 통해 관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우울한 어머니는 자녀에게 덜 몰입하고 덜 반응적이며 덜 민감한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Demulder & Radlke-Yarrow, 1991; Field, 1992;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9), 자녀양육 스트레스가 높은 어머니들이 아동과 함께 구조화된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경우 아동에게 더 지시적이고 통제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ahler & Dumas, 1986). 이처럼 부모의 결혼관계와의 관련성, 양육스트레스, 우울감 등의 심리적 특성과의 관련성에 근거하여, 외국에서는 어머니와 자녀의 정서적 가용성 증진 부모중재 프로그램에 부모와 원가족 경험, 부부 관계 등을 점검해 보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방안을 교육프로그램에 포함시킴으로서 부모의 정서적 가용성을 증진시키고자 하고 있다(Biringen, et al., 2008; Biringen, 2009). 이를 통해 볼 때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과 부부의 결혼관계, 그리고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 시작되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들은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과 유아의 발달 특성 간의 관계 규명(Min, 2009; Moon, 2010)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의 특성과 이와 관련될 수 있는 여러 변인들을 다양하게 탐색할 필요가 제기되며, 특히, 외국에서 진행된 선행연구에 근거해 볼 때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은 어머니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맥락적 특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어 이에 대해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의 수준을 분석해 보고, 또 양방향적 이인관계에 기초하여 어머니-유아의 유형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또한 각각의 변인에 따라 그리고 규명된 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부부관계와 결혼만족도가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 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의 위험군을 규명해보고, 이들이 처해 있을 수 있는 생태학적 맥락의 특성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서 추후 중재의 방향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1.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은 어떠한가?
  • 2.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과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 3.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의 유형은 어떠한가?
  • 4.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유형에 따라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은 차이가 있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대전시의 중산층 밀집지역에 있는 6개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유아 135명(남아 71명, 여아 64명)과 그들의 어머니 135명이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와 그 가족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먼저 대상 유아의 연령은 평균 5세 5개월 (범위: 61개월-72개월)이었으며 그 중 남아는 71명(51.9%), 여아는 64명(48.1%)이었다. 유아 아버지의 평균 연령은 36.6세, 어머니가 평균 35.3세로, 아버지의 경우, 30대가 112(83.0%), 어머니의 경우 30대가 114명(84.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교육수준은 아버지의 경우 대졸이 71명(52.6%)으로 가장 많았고, 어머니의 경우 고졸이 65명(48.1%)으로 가장 많았다. 부모의 직업은 아버지의 경우 사무직이 60명(44.5%)으로 가장 많았으며, 어머니의 경우 전업주부가 84명(62.2%)으로 가장 많았고, 취업을 한 경우에는 사무직 15명(11.1%), 전문직 16명(11.9%)이 가장 많았다. 가계의 월 평균 수입은 200만원-300만원 미만이 57명(42.2%)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300만원대(37.0%), 400만원대 (20.8%)의 순으로 나타났다.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135)

2.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 그리고 결혼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였다.

1) 어머니-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을 측정하기 위해 Biringen, et al. (1998)가 개발한 정서적 가용성 척도 아동중기판 (The Emotional Availability Scales, 3rd edition, Middle Childhood Version)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정서적 가용성 척도(EA Scales)는 기술평정척도로서 각 점수에 해당하는 기술에 근거하여 점수를 부여하게 되어 있으며, 어머니 척도와 유아 척도로 구분되어 있다. 어머니 척도의 하위차원은 민감성(sensitivity), 비계설정(structuring), 비침해(nonintrusiveness), 비적대감(nonhostility)이며,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을 측정하기 위한 하위차원은 어머니에 대한 유아의 반응성과 유아의 어머니 참여시키기로 구성되어 있다. 어머니의 민감성은 9점 척도, 비계설정, 비침해, 비적대감은 각 5점 척도로 평정하며, 유아의 반응성, 유아의 어머니 참여시키기는 각 7점 척도로 평정한다.

본 연구자들은 척도의 개발자인 Zeynep Biringen에게 원격 훈련 테잎으로 신뢰도 훈련을 받고 자격인증을 받았으며, 본 연구 관찰항목의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해 본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4사례에 대해 본 연구자들과 신뢰도 훈련을 같이 받은 아동학 전문가 한명과 사례를 보면서 점수에 대해 논의한 후, 전체 사례 중 20%에 해당하는 27사례에 대해 평정하여 기록하였다. 이를 근거로 산출한 관찰자간 신뢰도는 어머니 민감성 r=.92, 비계설정 r=.87, 비침해 r=.84, 비적대감 r=.92, 유아의 반응성 r=.91, 어머니 참여시키기 r=.87,이었다.

2) 부부갈등

부부갈등 척도는 Markman, et al.(1994)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어진 보기 ‘전혀 그렇지 않다(1점)부터 ’매우 그렇다‘(5점) 까지 평정하는 리커트 척도이며 총 8개 문항으로 가능한 점수 범위는 8-40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부부간의 갈등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대상자들의 부부갈등 척도의 신뢰도 계수는 Cronbach α= .90이었다.

3) 결혼만족도

결혼만족도 척도는 Chung(2004)이 KMSS(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를 우리나라 문화에 맞게 수정한 RKMSS(Revised-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4개 문항으로, 주어진 보기에 ‘매우 불만족(1점)’에서 ‘매우 만족(5점)까지으로 표기하도록 되어 있다. 가능한 점수는 4-2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대상자들의 결혼만족도 척도의 신뢰도 계수는 Cronbach α= .91이었다.

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Kim과 Kang(1997)의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PSI-SF(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Abidin, 1990) 이외에 Cric과 Greenberg(1990)의 Parenting Daily Hassles(PDH), Mann과 Tomberg(1987)의 Maternal Guilt Scale(MGS)을 기초로 한국형으로 개발된 것으로 ‘자녀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 ‘부모역할에 대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61.8%가 전업주부인 관계로 자녀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부모역할에 대한 스트레스 두 요인만을 사용하였다. ‘자녀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는 자녀를 양육하는 일상생활 장면에서 직면케 되는 것을 반영하며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모역할에 대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는 부모역할 수행에 따른 심리적 부담감과 부모가 인지하는 어려움을 반영하며,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가능한 점수는 각 척도별 5점에서 6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많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신뢰도는 자녀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 Cronbach α=. =.85, 부모역할에 대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 Cronbach α=.85이었다.

5) 우울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의 경향인 우울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Kessler et al.(2002)에 의해 개발된 일반인 대상의 정신건강 측정 간편형 도구인 ‘K6’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경험할 수 있는 6개 우울 증상에 대해 ‘전혀 안느낌(1점)’부터 ‘항상 느낌(5점’)의 5점 척도로 우울의 정도를 측정한다. 가능한 점수는 6-3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우울에 대한 Cronbach α= .90이었다.

3.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본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은 구조화된 놀이과제 및 자유놀이상황에서 측정되었다. 과제를 실시하기 앞서, 연구자가 어머니와 유아에게 검사과정에 대한 간단한 지시사항을 전달하였고, 이후 유아와 어머니는 함께 책상과 의자 및 비디오 녹화시설이 구비된 곳으로 들어가 연구자가 차례로 제시하는 놀잇감(버튼을 돌려 그림을 그리는 판과 동물원 블록)을 가지고 20분간 놀이를 하며 상호작용을 하였다. 제시된 20분 중 전반부 5분은 ‘버튼을 돌려 그림을 돌리는 판(Etch-ASketch)’ 를 이용한 ‘집 그리기’과제를 제시하였으며, 후반부 15분은 동물원 블록을 갖고 어머니와 유아가 자유놀이를 하며 상호작용을 하도록 하였다. 전 과정은 비디오로 녹화되었다. 어머니용 질문지는 어머니의 기관 방문 시 수거하였으며, 교사용 질문지는 유아용 실험이 끝난 시점에 수거하고, 미수거된 질문지가 있을 경우 기관과의 협의 후 재방문하여 수거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윈도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의 고찰에 앞서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α의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및 백분율을 구하였다.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 결혼만족 등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위해 상관관계분석,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경향

본 연구에서 측정한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인 양육스트레스, 우울,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에 대한 점수범위, 평균 및 표준편차는 <Table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어머니의 민감성은 5.36점이며, 비계설정은 3.39점, 비침해는 3.71점, 비적대감은 3.75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민감성의 경우 1-9점의 점수 범위를 고려해 볼 때 중간 수준에서 약간 높으며, 비계설정, 비침해, 비적대감의 경우 1-5점의 점수범위를 고려해 볼 때, 중간 수준에서 약간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인 어머니에 대한 반응성은 4.82점, 어머니 참여시키기는 4.35점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반응성 수준은 5점 수준의 적절한 수준의 반응성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참여 역시 5점 수준의 적절한 수준의 참여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는 25.20점, 부모역할에 대한 스트레스는 25.64점으로 문항으로 나누었을 때의 점수는 2.1점으로 중간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우울은 10.78점, 문항으로 나누었을 때의 점수는 1.79점으로 중간보다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부부갈등은 15.20점, 문항으로 나누었을 때의 점수는 1.9점으로 중간보다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는 14.63점, 문항으로 나누었을 때의 점수는 3.65점으로 중간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연구대상 어머니들의 결혼에 대한 만족도는 높으며, 부부갈등이 낮은 수준, 우울과 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도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Overview of the measur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N=135)

2. 어머니- 유아 정서적 가용성과 양육스트레스, 우울,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과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이 어떠한 관련을 가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과 같이 나타났다. 어머니의 민감성은 부부갈등(r=-.24, p<.01)과 부적인 상관이, 결혼만족도(r=.29, p<.01)와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민감할수록 부부간의 갈등이 적으며, 결혼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비계설정은 어머니의 부모역할 양육스트레스(r=-.20, p<.05)와 부적인 상관이 결혼만족도(r=-.20, p<.01)와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유아와의 상호작용 시 비계설정을 잘 할수록 부모역할에 대한 양육스트레스를 덜 느끼며,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비개입은 어머니의 부모역할 양육스트레스(r=-.24, p<.01)와 부부갈등(r=.-18, p<.01)과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유아와의 상호작용 시 개입을 하지 않을수록 부모역할에 대한 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며, 부부간의 갈등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비적대감은 부부갈등(r=-.25, p<.01)과 부적인 상관이 결혼만족도(r=.25, p<.01)와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에게 적대적이지 않은 어머니들은 부부간의 갈등을 적게 느끼며,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반응성은 부모역할 양육스트레스(r=-.20, p<.05)와 우울(r=-.21, p<.05), 부부갈등(r=.-23, p<.01)와 부적인 상관이, 결혼만족도 (r=.24, p<.01)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참여시키기는 부부갈등(r=.-22, p<.05)과 부적인 상관이, 결혼만족도 (r=.27, p<.01)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서 반응을 잘 할수록 어머니는 부모역할 양육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며, 우울감이 적고, 부부갈등도 적으며, 결혼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서 참여를 많이 시킬수록 부부갈등이 적으며,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유형

놀잇감(버튼을 돌려 그림을 그리는 판과 동물원 블록)을 가지고 20분간 놀이를 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측정한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을 군집분석 한 결과 <Table 4>와 같이 3개의 유형으로 군집화되었다.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의 하위요인인 민감성, 비계설정, 비침해, 비적대감이 낮고,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인 반응성, 어머니 참여시키기가 낮은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이 낮은 집단(Cluster 1),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이 모두 중간인 집단(Cluster 2),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이 모두 높은 집단(Cluster 3)으로 나뉘었다.

정서적 가용성이 낮은 집단인 Cluster 1은 어머니의 민감성 다른 영역보다 낮으며, 비계설정, 비침해, 비적대감 또한 다른 집단보다 낮으며 유아도 마찬가지로 반응성과 어머니 참여시키기 모두 낮다. 이들은 어머니와 유아 쌍모두가 정서적으로 가용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Cluster 2는 정서적 가용성이 중간인 집단으로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 각 영역 모두 중간 정도의 점수이며, 유아의 반응성과 어머니 참여시키기 또한 중간정도의 점수로 나타났다. Cluster 3은 정서적 가용성이 높은 집단으로 정서적 가용성의 각 영역이 다른 집단보다 높았는데 특히 어머니가 비적대적이지 않으며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는 부모에 대해 매우 반응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Correlations among measure (n=135)

Types of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n=135)

4. 정서적 가용성 군집유형별 특성 분석

정서적 가용성 군집유형에 따른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군집 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은 부모역할에 대한 양육스트레스(F=3.97, P<.05), 부부갈등(F=4.67, p<.05), 결혼만족도(F=7.86,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이 모두 높은 Cluster 3(M=24.25)보다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이 낮은 Cluster 1(M=27.75)이 부모역할에 대한 스트레스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갈등에 있어서도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이 높은 군집 3(M=13.86)보다 정서적 가용성이 낮은 어머니-유아 Cluster 1(M=17.40)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 경우는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이 높은 Cluster 3(M=15.93)이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이 낮은 Cluster 1(M=13.61)과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이 중간인 Cluster 2(M=14.3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ariance analysis by emotional availability types (n=135)


Ⅳ. 논 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의 수준을 분석해 보고, 또 양방향적 이인관계에 기초하여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유형을 규명해 보고자하였으며, 각각의 변인에 따라 그리고 규명된 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부부관계와 결혼만족도가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 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을 어머니-유아 쌍을 분석 단위로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으로 나누어 어머니의 민감성, 비계설정, 비침해, 비적대감의 수준과 유아의 반응성과 유아의 어머니 참여시키기 수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대상 어머니의 민감성의 평균은 5.36점이었다. 이 결과는 Biringen et al.(1998)가 민감성 척도에서 6점 이상이 적절한 수준으로 나누었으며, 5점 이하를 위험집단, 5.5-6.5점을 비위험 집단으로 구분한 Vliegen et al.(2009)의 구분에 비추어 볼 때, 위험집단과 비위험집단의 경계선 상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어머니의 비계설정의 평균은 3.39점, 비침해의 평균은 3.71점, 비적대감의 평균은 3.75점으로서 이러한 점수는 1-5점의 점수 범위를 고려할 때 중간 수준에서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위험집단을 3-3.5점으로 규정한 Vliegen et al.(2009)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어머니의 평균 정서적 가용성 수준이 비위험 집단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유아의 반응성 수준은 4.82점, 어머니 참여시키기는 4.35점 수준으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수준을 Biringen et al.(1998)이 제시한 정서적 가용성 제 3판의 척도의 기술에 근거해 해석해 볼 때 우리나라의 어머니의 평균적 민감성 수준은 비일관적인 민감성 수준을 보인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비일관적인 민감성 수준을 보이는 어머니는 놀이 중 즐겁고 창의적인 것에서 다른 곳에 관심을 두기도 하거나 자신의 최선의 모습을 보이려고 노력하나 장 조정된 긍정성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어려워하는 어머니들이다. 또한 비계설정의 3점 정도는 역시 비일관적인 비계설정을 보이는 것이며, 비일관적인 비계설정은 어머니들이 비계설정을 시도하지만 성공을 하지 못하지 못하고 계속 되풀이 하는 경우와 성공적으로 비계설정을 하였지만 충분한 비계설정없이 다시 물러나는 경우, 그리고 너무나 비계설정하지 않거나 과잉 비계설정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자녀의 행동에 적절한 한계를 설정하지만 아이가 거부할 경우 그대로 물러나는 경우도 이에 해당한다. 비침해의 3점 수준은 약간의 침해 수준을 보여 자주 상호작용에 들어가 질문하고 놀이과정을 지시하고 제안하고 그리고 자주 변화를 주며 자녀의 방향에 반대되는 제안을 하지만 과잉보호하는 분이기로 해석할 수 있다. 비적대감의 3점 수준은 적대적인 신호가 은밀하지만 낮은 수준의 부정적인 감정을 보이는 어머니로 조급함, 불만, 불평등을 보이는 어머니로, 정서적 조율감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아의 반응성 5점의 수준은 유아가 여전히 반응적이고 정서적으로 긍정적이지만 때로 어머니의 질문에 무관심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 경우이며, 유아의 참여 5점 수준은 놀이 시 어머니를 포함시키려는 행동보다는 우선과제에 관심을 보이는 유아로 혼자있는 것을 더 좋아하고 혼자 노는 것을 더 좋아하지만 때로 부모의 관심과 흥미를 요구할 때가 있는 경우이다. 이때 유아의 자율적인 수행은 자율성과 과제에 부모를 포함시키는 것과 균형을 깨는 정도는 아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유아의 경우 반응적이고 정서적으로 긍정적이지만 때때로는 어머니에게 무관심하고, 어느 정도는 혼자있는 것을 더 좋아하는 정도의 수준을 보인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미국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수준과 비교해 보면(Biringen, et al., 2005; Bornstein, et al., 2008; Kang, 2005), 미국 유아를 대상으로 한 Kang(2005)의 연구에서 어머니의 민감성 6.18점, 비계설정 3.94점, 비침해 4.36점, 비적대감 평균이 4.53점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반응성 평균은 5.47점, 유아의 어머니 참여시키기의 평균은 5.49점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어머니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Bornstein et al.(2008)이 평균 20개월 영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한 바에 따르면 이탈리아 어머니의 민감성 평균 6.39점, 미국 6.24점, 아르헨티나 5.96점, 비계설정의 경우 이탈리아 어머니 3.91점, 미국 3.83점, 아르헨티나 3.64점으로 우리나라 어머니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비침해의 경우는 미국은 4.40점, 아르헨티나 4.20점, 이탈리아 4.15점, 비적대감의 경우 아르헨티나의 어머니는 4.81점, 미국 4.74점, 이탈리아 4.71점, 유아의 반응성도 이탈리아 아동 5.42점, 미국 5.10점, 아르헨티나 4.66점, 그리고 유아의 어머니 참여시키기도 이탈리아 아동 5.34점, 미국 5.11점, 아르헨티나 4.74점으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우리나라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은 민감성 기준으로 점수범위 2-9점으로 점수의 범위가 매우 넓게 분포하고 있으나, 평균적인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수준은 서양의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보다 낮은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본 연구의 실험과정 중 우리나라 어머니는 놀이가 진행되는 동안의 자녀와의 상호작용의 내용이나 정서적 조율이나 과정보다는 유아의 수행결과에 대해 더 관심이 많았다. 특히 ‘집 그리기’ 과제 수행 시 자녀가 버튼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는 것을 어려워 할 때 긍정적인 정서를 보이면서 격려를 하고, 진전을 보일 때 칭찬을 하기 보다는 자녀가 어려워 할 때, 어머니가 직접 그리려고 시도를 많이 하거나 오히려 약간의 불쾌감을 표시하거나, 심지어 짜증을 얼굴에 보이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한국, 중국 등 동아시아 부모가 유럽계 미국인 부모보다 자녀의 성취나 학업의 성공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는 연구결과(Shaffer, 2005)와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계 이민자 가정과 백인 가정 사이의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살펴 본 연구(Nam, 2008)에서, 한국계 이민자 가정의 부모들이 백인 부모들보다 지시적이며 덜 긍정적인 정서반응을 보였다는 연구결과와도 일치된 결과이다.

둘째,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과 부모의 갈등,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민감성과 부부갈등 및 결혼만족도, 비계실정과 부모역할 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 비침해와 부모역할 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 비적대와 부부갈등 및 결혼만족도와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의 갈등 관계와 결혼에 대한 만족도가 정서적 가용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한한 연구들(Almeida, et al., 1999; Jouriles, et al., 1996)과 일치하며, 맥을 같이한다. 이를 통해 볼 때, 부부 갈등 간에 갈등이 있을 경우, 그리고 결혼에 대해 만족하지 못할 경우, 어머니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에 빠져 자녀의 신호에 대해 민감하지 않게 되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부부관계 내에서 갈등이 발생할 시 그 관계에서 나타나는 적대적 감정이 자녀와의 관계 내에서도 전이되어 부정적인 감정이 표출되며, 결혼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갈등을 겪고 있는 어머니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비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자녀의 자율성을 침해하거나 효과적으로 자녀의 활동을 비계설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유아의 반응성은 어머니의 부모역할 스트레스, 우울, 부부갈등 및 결혼만족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어머니 참여시키기와 부부갈등 및 결혼만족도와 관계가 나타났다. 유아의 반응성은 어머니에 대한 애정적인 정서적 표현, 적절한 정서와 행동의 조절 등을 뜻하며, 유아의 어머니 참여시키기는 어머니에게 관심을 요구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는 유아가 어머니에게 정서적으로 안정적이지 않고 반응적이지 않을 경우 어머니 부모역할 스트레스, 우울, 부부갈등 등 어머니의 심리적인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는데, 유아가 부정적인 정서를 자주 표현할수록 어머니는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어머니 자신이 부모로서의 역할갈등을 겪는다는 결과(Ren & Hyun, 2002)와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양육스트레스나 부부갈등을 겪는 어머니가 자녀와의 상호작용 시 어머니가 침해하거나 적절히 반응하지 못함에 따라 어머니와의 관계 내에서 자녀는 그 영향을 받게 된다는 연구결과에 비추어(Hong, Bang, & Lee, 2007) 유아는 부모의 시도에 대해 반응하지 않으며, 부모의 도움을 요청하지 않게 되는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자녀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정서적 가용성 간의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 역할에 대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와 어머니의 비계설정, 비침해 그리고 유아의 반응성의 부적인 관련성이 나타났는데, 어머니의 비계설정, 비침해와 유아의 반응성의 관련성과 유아의 부모역할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와의 관련이 나타난 것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적절히 비계설정 하지 못하는 부모들이 일상생활에서의 자녀의 반응에 대해 자녀가 어머니를 놀이에 참여시키지 않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판단하거나 이러한 상황에 대해 자신이 부모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한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있다. 어머니의 비계설정은 유아기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에서 매우 중요한 특성(Biringen et al., 2005)이라고 보고 있으므로, 어머니의 비계설정 및 비침해는 유아기의 부모가 부모로서 자신에 대해 판단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작용될 수 있다. Biringen et al.(2005)은 18개월, 24개월, 39개월에 측정한 어머니의 민감성과 비계설정이 양육자로서의 어머니의 표상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하여 어머니가 자녀에 대해 민감하고 적절히 비계설정 하지 못할 경우 어머니는 자신의 부모역할에 대해 부정적으로 표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근거해 볼 때 정서적 가용성이 낮은 어머니들은 자신이 자녀의 요구에 대해 비 일관적으로 대하며, 또한 이로 인한 자녀의 반응으로 인하여 부모역할에 대해 자신감을 잃게 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과 우울 간의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아의 반응성과의 관계만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우울과 어머니-유아 정서적 가용성 간의 관계를 밝혀낸 연구들(Easterbrooks & Biringen, 2000; Kang, 2005)과는 일부 일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정서적 가용성과 우울 간의 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측정도구와 본 연구대상 어머니의 특성으로 인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Kessler et al.(2002)의 도구는 일반인 대상의 정신건강 측정 간편형 도구이므로 어머니의 우울이 정교하게 측정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연구 대상 어머니의 우울의 정도는 6점에서 23점의 점수 범위 중 11점 정도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 수준이 아닌 낮은 수준의 어머니의 우울 정도로 인하여 정서적 가용성과의 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다. 실제, 어머니의 우울과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간의 관계가 밝혀진 연구는 임상군을 대상으로 한 Kang(2005)의 Study 3이었으며, 일반 어머니와 유아를 대상으로 한 Study 1, 2 에서는 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과 어머니 우울 간의 관계는 우울 수준이 높은 임상군에서 더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예측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 군집분석으로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의 유형을 분석해 본 결과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수준이 높은 유형, 중간 유형 그리고 낮은 유형의 세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정서적 가용성의 유형이 구분된 것은 Bornstein et al.(2006)에서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 것과 동일하다. 또한 이렇게 세 가지 유형이 구분된 것은 정서적 가용성 척도가 이론적으로 “적응적”, “비일관적” 그리고 “비적응적”으로 구분(Biringen et al.. 2008)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서적 가용성 수준이 높은 유형의 평균 점수는 민감성 7.42점, 비계설정 4.41점, 비침해 4.22점, 비적대감 4.67점이며, 유아의 반응성은 6.29점, 어머니 참여시키기는 5.88점으로 이러한 점수 범위는 Vliegen et al.(2009)의 구분에 근거해 볼 때 최적의 정서적 가용성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이 범주에 속하는 어머니-유아의 쌍은 약 33.3%로 나타났다. 중간 유형은 민감성 5.02점, 비계설정 3.32점, 비침해 3.59점, 비적대성이 3.75점 수준으로, 그리고 유아의 반응성이 4.86점, 어머니 참여시키기가 4.23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점수 범위는 Vliegen et al.(2009)의 구분에 근거해 볼 때 비위험 집단의 정서적 가용성 수준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이 범주에 속하는 어머니-유아의 쌍은 약 32.6%로 나타났다. 낮은 유형은 민감성 3.70점, 비계설정 2.46점, 비침해 3.35점, 비적대성 2.87점 수준으로, 그리고 유아의 반응성이 3.35점, 어머니 참여시키기가 2.98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점수 범위는 Vliegen et al.(2009)의 구분에 근거해 볼 때 위험 군의 정서적 가용성 수준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 범주에 속하는 어머니-유아의 쌍은 약 34%로 나타났다.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의 우리나라 어머니와 유아의 약 66%는 비위험군 이상의 정서적 가용성 수준을 보이나, 약 34%의 어머니와 유아는 정서적 가용성 수준이 위험한 수준에 처해 있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의 유형을 분석한 연구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단순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자녀를 21세 이하에 출산한 젊은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한 Easterbrooks et al. (2005)의 연구와 비교해 보면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이 모두 낮은 기능의 쌍(Low functioning Cluster), 평균 정도의 쌍(Average dyads), 평균 정도의 부모와 반응하지 않는 유아의 쌍(Average par/disengaged child),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이 모두 높은 기능의 쌍의 네 가지 유형의 집단으로 나누어졌다. 이때 높은 기능의 쌍은 25%, 중간 기능의 쌍은 38%, 평균 부모와 반응하지 않는 유아의 쌍이 18%, 낮은 기능의 쌍은 19%으로 나타나, 세 가지 유형으로 군집화된 우리나라의 어머니-유아의 쌍과는 다른 유형을 보였다. 그러나 평균 부모와 반응하지 않는 유아의 쌍과 낮은 기능의 쌍이 위험군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약 63%의 어머니와 유아가 비위험군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약 36%의 어머니-유아가 위험군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고 본다. 이를 통해 볼 때 Easterbrooks et al.(2005)에서 분류된 미국 어머니의 위험군과 비위험군의 비율은 본 연구의 어 머니와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의 위험군과 비위험군의 비율과 유사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위험군의 어머니와 유아의 쌍을 대상으로 정서적 가용성 수준을 높이기 위한 중재적 접근이 필요하다고도 예측해 볼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중간 정도의 정서적 가용성 수준을 보이는 쌍에 대해서도 교육과 코칭을 통한 정서적 가용성 증진 방안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Vliegen et al.(2009)은 유아의 반응성의 중간 수준인 3.5-4.5점의 영역에 대해 비위험군이라고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도구 개발자인 Biringen et al. (2012)는 “약간의 위험성이 있는” 영역이라고 제시하였다. Biringen et al.(2012)은 도구를 더욱 정교화 하여 정서적 가용성 제 4판에서 임상 선별척도(Clinical Screener)를 통해 위험 집단을 구분해 볼 것을 제안하고 있는데, 정서적 가용성 4판의 임상척도에서는 어머니의 민감성과 유아의 반응성 수준에 근거하여 정서적 가용성의 영역을 1에서 100까지의 점수에 근거하여 문제 영역(problematic zone, 1-40), 분리(detachment, 41-60), 일상적이지 않은 정서적 가용성(complicated EA, 61-80), 쌍방적인 정서적 가용성(dyadic emotionally availability, 81-100)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있는데, 이 중 가장 높은 영역을 제외한 세 가지 영역을 모두 위험군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Biringen et al., 2012). 따라서 가장 높은 “쌍방향적으로 정서적으로 가용한 영역”에 들어가지 못하는 쌍은 “약간의 정도”라도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정서적 가용성 3판과 4판의 점수 범위가 다르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EA 임상 선별척도의 점수와 직접 비교할 수는 없으나, Biringen et al.(2012)의 분석 결과에 근거해 유추해 볼 때, 가장 낮은 쌍과 중간 수준을 포함한 우리나라의 어머니와 유아들의 약 65%는 정서적 가용성 수준이 “약간의 위험이 있는”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정서적 가용성이 중간인, 그리고 중간 이하인 어머니와 유아들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도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정서적 가용성의 유형에 따라서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부 결과는 다를 수 있지만 정서적 가용성 수준이 높은 수준과 낮은 집단의 어머니의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어머니의 부모 역할 양육스트레스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 유형을 구분하였을 때, 집단에 따라 생태학적 맥락의 특성이 차이가 남을 밝힌 Easterbrooks et al.(2005)의 연구와도 맥을 같이하며, 부모의 갈등 관계와 결혼에 대한 만족도가 정서적 가용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한한 연구들(Almeida, et al., 1999; Jouriles, 1996)과 자녀양육 스트레스가 높은 어머니들이 아동과 함께 구조화된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경우 아동에게 더 지시적이고 통제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Wahler와 Dumas(1986)의 연구와도 맥을 같이한다. 또한 정서적 가용성이 낮은 어머니-유아 쌍과 정서적 가용성이 높은 어머니-유아 쌍간의 결혼갈등, 유아의 부모역할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가 명확히 차이가 난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정서적 가용성이 낮은 어머니-유아 쌍의 경우,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부부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과 함께 어머니가 자녀 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한 부모역할을 인식하고 이를 실제로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실천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실제, 외국에서는 부부 관계 등을 점검해 보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방안을 교육프로그램에 포함시킴으로서 부모의 정서적 가용성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Biringen, et al., 2010), 최근에는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심리치료 기법인 마음챙김 수련을 접목하여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이를 통해 정서적 가용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프로그램들이 시도되고 있다(Biringen, et al., in press).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마음챙김 수련 뿐만 아니라 부부관계의 점검,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역할에 대한 교육을 포함하여 유아들의 발달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생활에서도 실천할 수 있는 실천형 부모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보급된다면 더 유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의 어머니들과 유아들이 일부 지역에서만 표집되었으며, 표집의 크기가 크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할 때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 유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우리나라의 다양한 지역의 어머니와 유아를 표집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시행될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 연구는 일반 어머니와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추후에는 위험부담을 가진 집단을 대상으로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에는 정서적 가용성이 낮은 어머니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중재 프로그램도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는 미약한 수준인 정서적 가용성의 수준을 분석하고, 양방향적 관계에 근거하여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적 가용성의 유형을 구분하였다는 점, 그리고 그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해 냄으로서 정서적 가용성 중재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규명해 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FERENCES

  • Ainsworth, M., D. S., Blehar, M. C., Waters, E., & Wall,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Hillsdale, NJ: Erlbaum.
  • Almeida, D. M., Wethington, E., & Chandler, A. L., (1999), Daily transmission of tensions between marital dyads and parent–child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1), p49-61. [https://doi.org/10.2307/353882]
  • Biringen, Z., (1990), Direct observation of maternal sensitivity and dyadic interactions in the home: Relations to maternal think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6(2), p278-284. [https://doi.org/10.1037/0012-1649.26.2.278]
  • Biringen, Z., (2009), The universal language of love, Boulder, CO.
  • Biringen, Z., Batten, R., Neelan, P., Altenhofen, S., Swaim, R., Bruce, A., Fetsch, R., Voitel, C., & Zachary, V., (2010), Emotional availability (EA): The assessment of and intervention for global parent-child relational quality, Journal of Experiential Psychotherapy, 49, p3-9.
  • Biringen, Z., Closson, L., Derr-Moore, A., Hall, A., Pratt, D., Pybus, K., Saunders, H., Warren, V., Lucas-Thompson, R., & Harman, J., (in press). Mindfulness, emotional availability, and emotional attachment: Three Daily Practices, Zero to Three Journal.
  • Biringen, Z., & Easterbrooks, M. A., (2008), Understanding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 interventions, Journal of Early Childhood and Infant Psychology, 4, p1-3.
  • Biringen, Z., & Easterbrooks, E. A., (2012), Emotional Availability (EA): Concept, research, and window on developmental and psychopathology, Development & Psychopathology, 24(1), p1-8. [https://doi.org/10.1017/S0954579411000617]
  • Biringen, Z., Matheny, A., Bretherton, I., Renouf, A., & Sherman, M., (2000), Maternal representation of the self as parent,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2(2), p218-232. [https://doi.org/10.1080/14616730050085572]
  • Biringen, Z., & Robinson, J., (1991), Emotional availability in mother-child interactions: A reconceptualization for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1(2), p258-271. [https://doi.org/10.1037/h0079238]
  • Biringen, Z., Robinson, J., & Emde, R. N., (1998), The emotional Availability Scales, (3rd ed.), Unpublished manual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
  • Biringen, Z., Skillern, S., Mone, J., & Pianta, R., (2005), Emotional availability is predictive of the emotional aspects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Journal of Early Childhood and Infant Psychology, 1, p81-97.
  • Bornstein, M., H., Bini, M., Suwalsky, J. T. D., Putnick, D., & Haynes, O. M., (2006), Emotional Availability in Mother-Child Dyads: Short-term stability and continuity from variable centered and person-centered perspectives, Merrill- palmer Quarterly, 52(3), p547-571. [https://doi.org/10.1353/mpq.2006.0024]
  • Bornstein, M. H., Putnick, D. L., Heslington, M., Gini, M., Suwalsky, J. T. D., Venuti, P., de Falco, S., Giusti, Z., & de Galperin, C. Z., (2008),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in ecological perspective: Three countries, two regions, two genders, Developmental Psychology, 44(3), p660-680. [https://doi.org/10.1037/0012-1649.44.3.666]
  •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 Campbell, S. B., & Cohn, J. E., (1997), The timing and chronicity of postpartum depression, In L. Murray, & P. J. Cooper (Eds.), Postpartum depression and child development, p165-197, New York, Guilford Press.
  • Carter, A., Garrity-Rokous, E., Chazan-Cohen, R., Little, C., & Briggs-Gowan, M., (2001), Maternal depression and comorbidity: Predicting early parenting attachment security, and toddler social-emotional problems and competenci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0(1), p18-26. [https://doi.org/10.1097/00004583-200101000-00012]
  • Chung, H., (2004),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 95(3), p1015-1022. [https://doi.org/10.2466/pr0.95.3.1015-1022]
  • Cummings, E. M., Davies, P. T., & Campbell, S. B., (2000),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and family process, New York, Guilford Press.
  • Cummings, E. M., Zahn Waxler, C., & Radke-Yarrow, M., (1981),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expression of anger and affection by others in the family, Child Development, 52(4), p1274-1282. [https://doi.org/10.2307/1129516]
  • DeMuldera1, E. K., & Radke-Yarrow., M., (1991), Attachment with affectively ill and well mothers: Concurrent behavioral correlate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3(3), p227-242.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5277]
  • Easterbrooks, M. A., Biesecker, G., & Lyons-Ruth, K., (2000), Infancy predictors of emotional availability in middle childhood: the roles of attachment security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atology,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2(2), p123-129. [https://doi.org/10.1080/14616730050085545]
  • Easterbrooks, M., A., & Biringen, Z., (2000), Guest editors'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Mapping the terrain emotional availability and attachment,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2(2), p170-187. [https://doi.org/10.1080/14616730050085518]
  • Easterbrooks, M. A., Chaudhuri, J. H., & Gestsdottir, S., (2005), Patterns of emotional availability among young mothers and their infants: A dyadic, contextual analysi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6(4), p309-326. [https://doi.org/10.1002/imhj.20057]
  • Emde, R. N., (1980), Emotional Availability: A reciprocal reward system for infants and parents with implications for prevention of psychosocial disorders, In P. M. Taylor (Eds.), Parent-infant relationship, Orlando, FL, Grune & Stratton.
  • Emde, R. N., (2000), Next steps in emotional availability research,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2(2), p242-248. [https://doi.org/10.1080/14616730050085590]
  • Emde, R. N., & Easterbrooks, M. A., (1985), Assessing emotional availability in early development, In D. K. Frankenberg, R. N. Emde, & J. W. Sullivan (Eds.), Early identification of children at risk: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p79-102, New York, Plenum press. [https://doi.org/10.1007/978-1-4899-0536-9_5]
  • Emery, R. E., (1999), Marriage, divorce, and children’s adjustment,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 Field, T., (1992), Infants of depressed mother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4, p49-66.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5551]
  • George, C., & Watson, J. S., (1996), Early social biofeedback theory of parent affect mirroring: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self-awareness and self-control in infancy,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77(6), p1181-1212.
  • Gianino, A., & Tronick, E. A., (1992), The mutual regulation model: The infants' self and interactive regulation and coping and defensive capacities, In T. M. Field, P. M. McCabe, & N. Schneiderman (Eds), Stress and coping across development, p47-68, Hillsdale, NJ, Englan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 Hong, M., Bang, H., & Lee, S., (2007), The relations of children’s behavior during problem solving and related variation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1), p123-145.
  • Jouriles, E. N., Norwood, D., McDonald, R., John, P., & Mahoney, A., (1996), Physical violence and other forms of marital aggression: Links with children's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2), p223-234. [https://doi.org/10.1037/0893-3200.10.2.223]
  • Kang, M., (2005), Quality of mother-child interaction assessed by emotional availability scales: Associations with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child behavior problems and child cognitive functio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 Kessler, R. C., Andrew, G., Cople, L. J., Hiripi, E., Mroczek, D. K., Normand, S.-L. T., et al , (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p959-976. [https://doi.org/10.1017/S0033291702006074]
  • Kim, K. H., & Kang, H. K., (1997), Development of the parenting stress sca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5), p141-150.
  • Magnusson, D., (1998), The logic and implication of a person oriented approach, In R. B. Cairns, L R. Bergman, & J. Kagan (Eds.), Methods and models for studying the individual, p33-64, Thousand Oaks, CA, Sage.
  • Mahler, M. S., Pine, F., & Bergman, A., (1975), The psychological birth of the human infant: Symbiosis and individuation, New York, Basic Books.
  • Markman, H. J., Stanley, S. M., & Blumberg, S. L., (1994), Fighting for Your Marriage: Positive Steps For A Loving and Lasting Relationship, San Francisco, Jossey Bass, Inc.
  • Min, H. S., (2009), Story stem narrative responses of preschoolers: Association with the level of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The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Moon., Y. K., (2010), The effects of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on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s :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The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Nam, E. Y., (2008), Examining cultural Differences in Parental Control and Child`s Emotional Outcom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2), p1-13.
  •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9), Chronicity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maternal sensitivity, and child functioning at 36 months, Developmental Psychology, 35(6), p1399-1413.
  • Oppenheim, D., (2012), Emotional availability: Research advances and theoretical question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4(1), p131-136. [https://doi.org/10.1017/S0954579411000721]
  • Ren, R., & Hyun, O., (2002),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yanbian korean-chinese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child rearing practic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11), p23-37.
  • Sameroff, A. J., & Chandler, M., (1975), Early influences on development: Fact or fancy?, Merrill-Palmer Quarterly, 21(4), p267-294.
  • Sander, L. W., (2000), Where are we going in the field of infant mental health?,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1(1-2), p5-20. [https://doi.org/10.1002/(SICI)1097-0355(200001/04)21:1/2<5::AID-IMHJ2>3.0.CO;2-S]
  • Shaffer, D. R., (2005),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Australia; Belmont, CA, Wadsworth. Thomson Learning.
  • Stak, D. M., Serbin, L. A., Girouard, N., Enns, L. N., Bentley, Y. M. N., Ledingham, J. E., & Schwartzman, A. E., (2012), The quality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on high-risk dyads: Application of the emotional scales in an intergenerational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 & Psychopathology, 24(1), p93-106. [https://doi.org/10.1017/S095457941100068X]
  • Stern, D. N., (1985), The interpersonal world of the infant: A view from psychoanalysis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 Thompson, R. A., (1990), Emotion and self-regulation, In. Thompson, Socioemotional development, p367-467,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 Trapolini, T., Ungerer, J., & McMahon, C., (2008), Maternal depression: Relations with maternal caregiving representations and emotional availability during the preschool years,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10(1), p73-90. [https://doi.org/10.1080/14616730801900712]
  • Vliegen, N., Luyten, P., & Biringen, Z., (2009), A multi-method perspective on emotional availability in the postpartum period, Parenting: Science & Practice, 9(3-4), p228-243. [https://doi.org/10.1080/15295190902844514]
  • Wahler, R. G., & Dumas, J. E., (1986), Maintenance factors in coercive mother—child interactions: The compliance and predictability hypothesi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19(1), p13-22. [https://doi.org/10.1901/jaba.1986.19-13]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135)

Variables Child Father Mother
N(%) N(%) N(%)
Sex boy 71(51.9)
girl 64(48.1)
Number of children one 47(34.8)
two 78(57.8)
three 10(7.4)
Parents age 20’s 0(0) 4(3.0)
30’s 112(83.0) 114(84.4)
40’s 23(17.0) 17(12.6)
Parents education middle school 9(6.7) 7(5.2)
high school 45(33.3) 65(48.1)
university 71(52.6) 58(43.0)
post graduate education 10(7.4) 5(3.7)
Parents job service worker 8(5.9) 11(8.1)
production worker 12(8.9)
office worker 60(44.5) 15(11.1)
professional worker 15(11.1) 16(11.9)
self-employed 40(29.6) 9(6.7)
housewives 84(62.2)
Income (ten thousand won) 201-300 57(42.2%)
301-400 50(37.0%)
401> 28(20.8%)

<Table 2>

Overview of the measur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N=135)

Variables Possible score range Score range M SD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Sensitivity 1 - 9 2-9 5.36 1.74
Structure 1 - 5 1-5 3.39 .99
Non intrusiveness 1 - 5 1-5 3.71 .96
Nonhostility 1 - 5 1-5 3.75 .96
Responsiveness to the mother 1 - 7 2-7 4.82 1.35
Involvement to the mother 1 - 7 2-7 4.35 1.39
Parenting stress
Child care 1 - 5 2-46 25.20 7.60
Parents role 1 - 5 3-45 25.64 6.75
Depression 1 - 5 6-23 10.78 4.16
Marital conflict 1 - 5 8-34 15.20 6.15
Marital satisfaction 1 - 5 4-20 14.63 3.05

<Table 3>

Correlations among measure (n=135)

Sensitivity Structure Non intrusiveness Non hostility Responsiveness
to the Mother
Involvement
to the mother
*p<.05,
** p<.01
Parenting stress Child Care Stress .13 .05 .01 .07 .03 .04
Parenting Role Stress -.16 -.20* -.24** -.17 -.20* -.17
Depression -.13 -.14 -.15 -.13 -.21* -.17
Marital Conflict -.24** -.14 -.18* -.25** -.23** -.22*
Marriage Satisfaction .29** .20* .15 .25** .24** .27**

<Table 4>

Types of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n=135)

Types of EA Low Function Dyads
(Cluster 1)
N=46(34%)
Average Function Dyads
(Cluster 2)
N=44(32.6%)
High Function Dyads
(Cluster 3)
N=45(33.3%)
M(SD) M(SD) M(SD)
Mother Sensitivity 3.70 .75 5.02 .70 7.42 .94
Mother Structure 2.46 .62 3.32 .67 4.41 .49
Mother Non Intrusiveness 3.35 1.07 3.59 .89 4.22 .67
Mother Nonhostility 2.87 .74 3.75 .62 4.67 .47
Child Responsiveness to the mother 3.35 .67 4.86 .46 6.29 .68
Child Involvement to the mother 2.98 .30 4.23 .71 5.88 .81

<Table 5>

Variance analysis by emotional availability types (n=135)

Cluster Low Function Dyads
(Cluster 1)
N=46(34%)
Average Function Dyads
(Cluster 2)
N=44(32.6%)
High Function Dyads
(Cluster 3)
N=45(33.3%)
F
M(SD) M(SD) M(SD)
*p<.05,
** p<.01
Marital Conflict 17.50(7.43)a 14.52(4.67)ab 13.79(5.47)b 4.67*
Marriage Satisfaction 13.57(3.25)a 14.30(2.66)a 16.02(2.76)b 7.86**
Parenting Stress Child care stress 25.29(6.90) 24.36(6.88) 25.9(8.88) .35
Parent role stress 27.95(6.56)a 24.81(6.24)ab 24.14(6.91)b 3.97*
Depression 11.91(5.34) 10.40(3.25) 10.05(3.43)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