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5, No. 2, pp.251-265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pr 2016
Received 07 Mar 2016 Revised 22 Mar 2016 Accepted 25 Mar 2016
DOI: https://doi.org/10.5934/kjhe.2016.25.2.251

어린이집의 공간구성과 보육실 흥미영역에 관한 전문가 의견조사

박정아 ; 최목화*
원광대학교 가정교육과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 Study on the Expert Opinion Survey on the Activity Area and Space Organization in a Child Care Center
Park, Jung-a ; Choi, Mock wha*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onkwang University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Guidance, Hannam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Choi, Mock wha Tel:+82-42-629-7442, Fax:+82-42-629-7462 Email: mockwha@hnu.kr

ⓒ 2016,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expert opinions on the organization of space and activity areas in a child care center.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30 experts involved in the children's nursery and the design of child care environments. The frequency percent,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tendency for low importance placed on service space was observed. In the case of the lack of space in classrooms, the attitude towards the layout where two classrooms share an integrated space through a two teacher system was positive.

2) The importance of the entrance area was high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enter. There was a high tendency to favor the separation of eating and sleeping activities from the care activity spaces.

3) The major activities of the outdoor playground were shown as physical activity and water and sand activity. Even in small size centers, the demand for the outdoor playground tended to be higher.

4) The minimum number of activity areas was only 3-4 for 0 to 2 year olds, and was 4-5 for 3 to 5 year olds.

Keywords:

child care center, expert opinion survey, space organization, care activity, activity area, outdoor playground

키워드:

어린이집, 전문가 의견조사, 공간구성, 보육활동, 흥미영역, 실외놀이터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어린이집의 양적확대와 더불어 질적 수준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보육의 절반이 프로그램과 교사에 의해 이루어진다면, 그 절반은 물리적 환경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환경은 보육 프로그램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어린이집의 규모, 공간의 크기, 공간 형태에 따라 영유아 발달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Kim et al., 2009; Park et al., 2011).

아동을 위한 바람직한 보육환경은 아동과 보육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주 사용자인 아동과 교사의 요구, 그리고 보육활동 및 프로그램을 적합하게 지원할 수 있는 공간구성이 중요하다.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의 보육활동을 원활히 지원할 수 있는 기능적인 공간구성은 보육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보육공간과 관리 및 서비스공간이 균형적으로 배분되어야 한다(Choi, et al., 2002; Park et al 2011). 그러나 대부분의 어린이집은 보육공간의 비중이 크고 상대적으로 관리 및 서비스 공간이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Park et al., 2011). 이것은 어린이집의 기능적 공간구성에 대한 이해 부족과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어린이집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지침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므로 영유아들의 건강한 발달과 원활한 보육활동 지원을 위해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에 기초한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공감대 인식이 우선 필요하다. 또한 영유아들의 놀이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는 보육실의 흥미영역 구성은 보육활동을 지원해 주는 물리적 환경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육실의 흥미영역은 표준보육과정에서 연령에 따라 7-8개 영역을 제시하여 어린이집 현장상황에 맞게 구성 배치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볼 수 있는 보육실의 흥미영역은 7-8개 영역 모두를 단순 배열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과밀을 초래하여 오히려 영유아들의 놀이 활동을 제한하고, 방해하는 경우로 지적되어(Park & Choi, 2012) 이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다. 따라서 영유아들의 바람직한 보육환경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집의 기능적 공간구성과 보육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흥미영역의 수와 구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영유아들의 놀이활동을 현실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어린이집의 공간구성과 보육실 환경구성 방안을 제시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그리고, 바람직한 보육의 실현을 위해 보육활동과 보육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환경이 연계된 어린이집 모형 개발을 위하여 다학제적으로 합의점을 모색해 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프로그램 및 환경과 관련된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보육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보육환경이 통합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어린이집 환경 모형을 찾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어린이집의 기능적 공간구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둘째, 보육활동을 위한 보육실의 흥미영역 구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셋째, 학계와 실무계 전문가들의 의견차이가 있는가?

2. 연구방법

전문가 선정기준은 보육 및 환경관련 학계 및 실무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학계전문가는 아동과 환경 간의 연계에 연구 경험이 있는 아동ㆍ유아교육 전공교수 및 연구원, 어린이집 관련 연구를 한 경험이 있는 건축ㆍ주거학분야 교수 및 연구원으로 하였다. 실무분야는 어린이집에서 5년 이상 근무한 원장과 교사3), 어린이집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건축가로 구성되었으며, 최종 선정된 전문가는 총 30명이다. 국내의 보육환경분야는 아직 초기 단계로 연구자료도 부족하고 전문가들이 그리 많지 않은 상황이므로,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집단(30명)은 이 분야의 대표성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질적인 수준에서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사기간은 2011년 5월 20일부터 6월 13일까지이며, 조사방법은 우편이나 이메일을 통해 설문을 배포하였고, 총 30부(100%)가 회수되어 분석 자료에 사용하였다. 본 조사는 2011년 4월 설문지를 작성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ㆍ보완한 내용을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전문가들에게 실시하였다.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내용은 사전에 실시한 시설장 워크샵4) 내용을 기초로 환경과 프로그램 측면에서 논의되었지만 합의점을 찾기가 어려웠던 어린이집의 공간구성과 흥미영역의 내용들을 중심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Table 1>. 자료분석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는 질적분석과 자료의 객관성을 제시하기 위한 양적분석을 병행하였다. 질적분석은 전문가들이 제시한 의견을 바탕으로 내용을 분석하였고, 양적분석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Question items


Ⅱ. 문헌고찰

1. 어린이집 공간구성

어린이집 공간구성에 관한 분류기준은 학자마다 다양하다. Kim et al.(2011)은 어린이집 설치에 대해 진입영역, 보육영역, 관리 및 지원영역, 공용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진입영역이란 울타리설치, 통학로확보, 현관 등 어린이집에 진출입하는 공간으로서 주변시설과 구별되도록 영역을 구분하고 현관에는 출입을 확인할 수 있는 사무실이 인접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보육영역은 보육실, 영유아 화장실, 낮잠실, 유희실, 옥외놀이터 등 보육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영아보육실에는 조유, 수유, 기저귀갈이가 설치되고, 보육실에서 낮잠이 이루어지는 경우 침구수납공간을 설치하며 가능한 식침을 분리하여 위생을 청결하게 하고, 옥외놀이터에는 놀이기구와 수납창고 등을 설치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관리 및 지원영역에는 원장실, 사무실, 교재실, 교사실, 성인화장실 등과 조리실, 식당, 세탁실, 창고 등을 설치하여 종사자들의 업무를 돕고 보육활동을 지원한다. 공용공간영역은 복도, 계단실 등의 통로공간과 기계실 등의 설비공간을 포함한다.

보육활동은 대부분 보육실에서 일어나므로 보육실의 적정면적 및 설비 확보, 보육활동 자료구비 등이 이루어져야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가인증지표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보육활동은 보육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어린이집 설치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공간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영아와 유아는 발달에 차이가 있어 보육에 필요한 요구가 다르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영아의 경우 조유, 수유 및 기저귀갈이대가 구비되어야 하고, 이동이 어려워 보육실에서 식사가 이루어지므로 식침분리를 원칙으로 낮잠실을 따로 설치하거나 보육실을 크게 하여 식사영역과 낮잠영역을 구분하고 신체활동영역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표준보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기본생활, 신체운동, 사회관계, 의사소통, 자연탐구, 예술경험 등 6개 영역 중 움직임이 큰 신체운동을 유희실 또는 옥외놀이터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유아가 옷을 벗고, 손을 씻는 등 기본생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보육실 출입문 근처에는 개인사물함을 두고 화장실을 인접시켜야 한다.

그러나 전국을 대상으로 한 어린이집 48개소 가운데 유희실과 같은 신체 활동실이 독립되어 있는 어린이집은 8개소(17%), 공용거실 또는 다목적실 등을 공용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9개소(19%)로 나타나 보육실 이외의 보육활동을 위한 신체활동 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Kim et al., 2011).

또한 Park과 Choi(2012)는 보육시설공간 디자인과 관련된 국내외 서적 및 연구에서 나타난 분류기준을 분석하여 어린이집의 실내공간구성을 크게 보육, 관리, 서비스 공간 등 3개로 구분하고, 각 하위공간들을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보육공간은 보육실 및 보육실과 연계된 화장실, 낮잠실, 유희실 등 보육활동에 사용되는 공간으로 분류하였으며, 관리공간은 사무실, 교사실, 원장실 등 보육활동을 관리하고 운영하는데 관련되는 공간들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서비스 공간은 보육활동을 지원하는데 소요되는 공간과 진입공간과 복도, 계단 등의 공용공간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분류기준에 의거하여 기능적 공간구성을 보육ㆍ관리ㆍ서비스 공간으로 분류하고자 한다<Table 2>.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space in child care center

2. 보육실내 흥미영역구성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1-2세 보육프로그램의 보육실 환경구성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면, 보육실환경은 일상생활을 하는 공간과 놀이를 통하여 학습하는 공간으로 구분하고 있다. 보육실의 흥미영역 구성을 위해서는 먼저, 보육실의 크기와 유아수에 기초하여 배치할 흥미영역수를 정하고, 이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수시로 변경할 수 있으며, 1년을 단위로 4-5번 정도 위치를 재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보육프로그램에 제시된 흥미영역의 종류는 영아반의 경우 대근육 활동, 쌓기, 역할, 언어, 창의적표현, 탐색조작 영역으로, 유아반의 경우 쌓기, 역할, 미술, 언어, 수조작, 과학, 음률영역으로 제시되어 있다. 흥미영역 배치 시 유의할 점으로는 보육실의 공간 크기와 유아수, 흥미영역에 필요한 공간크기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유아의 수가 20명이고 공간이 20명이 놀기에 적당하다면 한 흥미영역에 3-4명이 들어가서 활동할 수 있도록 약 5-6개의 영역으로 구성할 수 있다고 제시되어 있다. Park과 Choi(2012)는 영유아반 보육실 36개 사례를 대상으로 흥미영역 특성을 분석한 결과 영아반은 평균 6개, 유아반은 7개의 영역을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흥미영역 구성은 보육프로그램에서 제시한 모든 영역을 보육실에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보육실의 크기를 고려한 현장에 맞는 융통성있는 배치가 될 수 있는 지침이 제시되어야 함을 뜻한다.


Ⅲ. 조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조사대상자는 학계전문가 18명(60%), 실무전문가 12명(40%)이며, 각각 보육과 환경으로 구분하면 보육전문가는 20명(66%), 환경전문가는 10명(34%)이었다.

2. 공간구성

1) 기능적 공간구성

원활한 보육활동을 위한 어린이집의 기능적 공간구성5)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전문가들에게 어린이집 전체 공간을 100%로 볼 때 규모별로 보육, 관리, 서비스공간의 구성 비율을 어느 정도로 배분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집 규모별6) 공간구성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Table 3>에서와 같이 어린이집의 기능적 공간구성에 대하여 전문가들은 규모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규모가 작아질수록 보육공간에 대한 비율이 커지고 관리와 서비스공간은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소규모시설에서 보육공간의 비율이 약 71%로 높아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소규모시설의 경우 협소한 공간에서 보육활동이 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보육공간에 대한 비중이 높아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이 반영되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Park 등 (2011)의 51개 사례 어린이집 평면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기능적 공간구성비가 평균적으로 보육 57%: 관리 9% :서비스 34%의 비율로 나타나고 있어 실제 현장에서는 관리공간에 대한 비중이 현저하게 낮고 상대적으로 서비스 공간에 대한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즉 원장실, 사무실, 교사실, 상담실과 같은 공간이 축소되어지면서 관리공간이 매우 열악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 전문가들의 의견에서는 시설규모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보육공간은 56-71% 범위에서, 관리와 서비스 공간은 15-23%의 범위에서 구성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학계에서는 실무계보다 보육과 관리공간에 비중을 더 두고 있는 반면 실무계에서는 서비스공간에 비중을 더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roportion of the space for care activity, management & service space N=29

기능적 공간구성에 대해 몇몇 전문가들이 직접 언급한 의견을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의견1.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관리공간보다는 보육공간 내지는 서비스공간에 우선을 두는 편입니다. 특히 홀과 같은 여유공간이 있으면 아이들이 훨씬 여유롭게 생활을 할 수 있고, 반, 연령과 상관없이 통합할 수 있는 시간대도 마련되어 좋습니다. 원장실이 넓은 것보다는 보육실, 홀과 같은 보육공간, 서비스 공간이 넓은 것이 더 민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H원장)
의견2.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이 보내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보육실에서만 하루종일 지내는것은 무리입니다. 또한 비가 오거나 춥거나 등 날씨에 따라 실외놀이를 나가기 어렵기 때문에 어린이집 보육실의 공용공간(유희실, 강당…) 이 꼭 필요합니다. 대규모시설의 경우 교사실이 한 곳에 배치되어 있기보다 나누어 배치되는 것이 접근성 및 사용의 편리성 높아집니다(S원장)
의견3. 대규모와 중규모의 관리공간과 서비스 공간의 비중을 두는 것이 많이 고민되었습니다. 규모가 클수록 교사들이 많아지고 이들의 복리후생 차원에서라도 별도의 공간 중 일하는 교사실 외에 휴게공간도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대규모 서비스 공간은 중규모보다 가중치가 떨어지게 되었는데 영유아들이 일과에서 이동은 주로 이러한 서비스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곳이 너무나 좁거나 불편한 구조라면 분쟁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질 것을 감안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런 곳일수록 일과의 계획이 연령별, 반별로 사전에 치밀하게 조육되고 의사소통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기관에서는 이러한 일과의 조율을 간과하는 곳이 많습니다(L교사)
의견4. 보육활동을 위해서는 보육공간뿐 아니라 관리공간과 서비스공간이 모두 필요하고 중요합니다. 지나치게 보육공간에 많은 비중을 두게 되면 균형있는 보육활동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관리공간과 서비스공간의 적절한 배분이 중요합니다.(C교수)

이상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어린이집의 공간 구성비를 전문가들은 보육공간 60-70%, 관리.서비스 공간 15-20%의 범위를 적절한 구성으로 제안하고 있다. 한편 실무계에서는 보육실 이외의 홀과 같은 여유공간, 공용공간(유희실, 다목적공간 등)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서비스공간에 대한 비율이 학계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공간에 대해 시설규모별로 중요성을 파악한 결과, 시설규모에 관계없이 원장실의 중요도가 가장 낮았고, 중소규모의 경우 상담실에 대한 중요도도 낮게 평가되었다<Table 4>.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spaces by center size N=30

특히, 소규모의 경우 사무실(1.56), 원장실(1.61), 상담실(1.67)이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반면, 중소규모이더라도 교사실(중규모:2.72, 소규모:2.28)과 자료실(중규모:2.78, 소규모:2.28)의 중요도는 높게 나타났다. 중규모의 경우 상담실이 학계(1.94)보다 실무계(2.58)에서 더 높게 평가하였다. 이는 실무 전문가들의 현장 상황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보육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보육실의 적정규모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2담임제를 활용하여 2개의 보육실을 넓게 터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시설규모가 작을수록 그 필요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Table 5>.

Attitude towards the layout where two classrooms share an integrated space through a two teacher system N=30

학계보다 실무계에서 그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시설규모가 작을수록 그 필요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유아보다 영아들에 대해 필요성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유아의 경우 학계보다 실무계에서 필요성을 더 높게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별로는 유아보다 영아들에 대해 필요성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보육실을 넓게 트고 2담임제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몇몇 전문가들이 직접 언급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의견1. 지금까지 보육실의 물리적 공간 때문에 교사 1인이 영유아를 보육하는 것이었다면 위의 방안은 교사들과 영유아 모두에게 바람직한 상황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국내의 보육의 질이 높은 곳으로 평가되고 있는 S 어린이집이나 P 재단의 어린이집들 모두 2인 이상의 담임 교사 체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L교사.)
의견2. 2담임제는 공간 활용면에서도 장점이 있지만, 보육의 실제면에서도 장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아동과의 개별적인 상호작용시 2담임제인 경우는 용이합니다. 한명의 교사가 아동들과 개별적인 상호작용을 할 때 한 명의 교사는 교실 전체를 운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영아반의 경우 한 명의 교사가 기저귀를 갈아주거나, 양치지도 등을 해줄 경우 다른 한 명의 교사는 반 전체를 관리할 수 있어요). 그리고 또한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용이합니다. 2담임제는 시설 규모와 연령에 상관없이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데, 영아와 유아 두 연령 중에 어느 연령이 더 필요하다고 묻는다면 개별적인 보호가 더 필요한 영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P원장).
의견3. 영아의 경우 두 개 보육실을 틀 경우 정적 공간이 확보와 함께 두 사람이 이상의 교사의 돌봄을 받을 수 있어 융통성 있는 프로그램 운용의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보육집단의 크기가 지니치게 커지는 것에 대해서는 제한이 필요합니다(L교수).

이상의 의견을 정리해보면 실무현장에 있는 교사나 원장의 경우 시설규모나 연령에 상관없이 프로그램 운영이나 보육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2담임제가 훨씬 긍정적이라는 의견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진입공간

진입공간은 부모와 자녀가 만나고 헤어지는 사회적 공간과 전이공간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진입공간을 잘 계획하는 것이 시설규모별로 어느 정도 중요한지를 조사한 결과, 시설규모에 상관없이 중요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규모가 클수록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able 6>.

Importance of entrance N=29

영아보육실과 연계하여 부모와 영아가 만나고 헤어질 수 있는 전이공간 마련에 대한 의견은 소규모일수록 낮게 나타났다<Table 7>. 이것은 부모가 등하원시 영아를 데려다 주는 경우 현관 밖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고, 또한 교사 혼자 영유아들을 관리해야하므로 이미 먼저 와 있는 영아들의 관리 문제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교사들이 아이들을 배웅하거나 맞이할 때 불안감을 없애줄 수 있는 진입공간의 디자인적인 해법을 찾아야 할 부분이라 판단된다. 진입 공간에 대한 몇몇 전문가들의 의견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의견1. 영아의 경우 부모와 헤어지는 것이 쉽지 않은 경우가 유아보다 더 많습니다. 이에 영아는 부모와 만나고 헤어지는 것이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이 더 요구된다고 봅니다. 그리고 부모와 이미 기분 좋게 헤어지고 난 영아라도 다른 영아가 부모와 헤어질 때 우는 것을 보면 기분이 좋지 않아질 수 있기에 헤어지는 전이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영아의 경우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P원장).
의견2. 보육실에서 아이와 만나고 헤어지는 것보다는 교실 입구에 전이 공간이 있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H원장).
의견3. 교사의 수는 한정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공간이 이미 먼저 와 있는 영유아들과 분리되게 되는 공간이라면 불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공간의 개방성과 동시에 전이답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아늑한 공간의 의미에 대해서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L교사.)
의견4. 전이공간을 따로 둘 경우 교사가 실제로 보육실에서 나옴에 따른 학급 관리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래 제시한 거실중심형 공간과 전이공간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요? 공간의 크기와 관련이 되는지... 명확한 구분이 필요할 듯 합니다. 특히 소규모 기관의 경우에는 이 두 가지가 중복된다고 생각합니다(K교수).

이상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전이공간으로서 진입공간의 필요성은 모두 공감하면서 영유아들의 관리문제를 우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의 출입구와 보육실 입구 전이공간에 영유아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아늑한 공간을 제공하고, 현재 교사1인이 영유아를 관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요구되어진다.

Necessity of Transition area associated with the infant room N=30

3) 식침분리

보육실내 식사와 낮잠을 위한 공간을 구성하는데 식침혼용 또는 식침분리에 대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Table 8>. 일반적으로 식침분리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소규모시설이나 영아의 경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보육활동과 식침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간특성이나 연령에 맞게 탄력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시설규모별 보육실과 분리되어야 하는 기능을 살펴보면 대규모의 경우 식사와 낮잠을 모두 보육실과 분리하는 의견(65.3%)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식사분리(30.4%)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 소규모의 경우 식사공간을 분리하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영아의 경우 식사분리 또는 낮잠, 식사 모두 보육실 내에 두는 의견이 각각 39.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경우 식사, 낮잠 모두 분리시키는 의견이 4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9>. 일반적으로 식사와 낮잠 공간을 분리하는 것이 좋으나 영아들의 경우, 분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보육실을 식사하는 공간과 낮잠 자는 공간으로 분리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영아의 경우는 이동으로 인한 어려움으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만0세의 경우는 식사와 낮잠 분리가 모두 어렵고, 만1세의 경우 식사분리정도는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만 2세의 경우는 식사분리와 낮잠 분리가 만 2세 후반 정도면 가능하므로 영아의 이동가능여부에 따라 계획방법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Importance of separation of eating and sleeping N=29

Func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care activity N=23

4) 실외놀이터

영유아별 실외놀이터를 구성하는 놀이영역과 놀이시설의 중요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0>.

학계, 실무계 모두 신체활동과 물모래활동의 중요성을 가장 높게 지적하고 있다. 이는 영,유아기 신체활동의 중요성과 특히 물, 모래영역의 경우 유지관리 및 적절한 디자인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영유아들에게 실외놀이활동은 자연과의 상호작용, 다양한 감각발달을 통한 사고의 확장, 다양한 놀이를 통한 도전과 스릴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극 권장해야 할 것이다. 50인 이하 소규모 시설 영유아들에게 실외놀이터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Table 11> 소규모시설은 대규모시설보다 실내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실외놀이터가 더 필요한 것으로 모든 전문가들이 평가하고 있다.

하루 종일 어린이집에서 보내야 하는 영유아에게 개방된 실외놀이터에서의 교육적 경험과 시간은 영유아 발달과 교육에 아주 중요한 요소이므로 근처 놀이터 이용이나 옥상 혹은 실내에 설치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만하다. 현재 실외놀이터는 소규모 어린이집에 대해서 법적으로 선택사항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아동 정원에 상관없이 실외 놀이터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구비할 것을 법제화할 필요성이 있다.

Outdoor playground [N=30]

Demand on the outdoor playground for small size center N=30

2. 흥미영역

1) 흥미영역 구성

흥미영역의 상대적 중요성은 전체영역의 합계를 100%로 하여 각 영역에 대한 가중치를 표시하게 한 후 평균을 산출하였다. <Table 12>.

Importance of activity areas in the 0 to 2 classroom N=28

그 경향을 살펴보면 학계전문가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은 대근육(26.88)> 탐색ㆍ조작(17.65)> 창의적 표현(17.24)영역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무전문가들은 대근육(22.73)> 탐색ㆍ조작(18.64)> 언어(15.91)> 쌓기(15.91)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반은 수조작, 쌓기, 미술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3>. 학계에서는 수조작과 미술영역을 중요하게 평가하였고, 실무집단에서는 쌓기 영역에 비중을 두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학계집단은 역할(17.53), 미술(17.06), 언어(16.88)영역에 비중을 두는 반면, 실무집단에서는 역할(19.55), 쌓기(18.64), 언어(16.64)영역에 비중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영역 구성에 대해 몇몇 전문가들이 언급한 의견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의견1. 유아반의 경우 연령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만 3세의 경우에는 역할과 쌓기 영역을 좀 더 강조해야 하고 만 4세 후반부터 5세는 수과학 영역과 언어 영역이 좀 더 강조되길 바랍니다. 만 3세에는 상상놀이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S교수).
의견2. 영아반의 경우 대근육 공간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현실적으로 보육공간은 법적인 면적이외의 여유 공간을 갖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에 법적인 공간에서는 영아반은 대근육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 거실 또는 바깥 놀이 또는 유희공간에서 대근육 활동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법적인 면적 이외의 여유 공간을 확보 한다 하더라도 영아들이 충분히 대근육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에는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오르기를 할 수 있는 매트 또는 놀이집을 설치하는 것은 가능하나, 자동차 타기 등의 움직임을 많이 요하는 활동은 교실에서 하기에는 다른 활동을 하고자 하는 영아들에게 어려움이 있습니다.(B원장).
의견3. 흥미영역의 중요성을 별로 느끼지 않습니다. 아이들의 교실은 생활공간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영역을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지나치게 세분화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H원장)
의견4. 카테고리를 좀 더 큰 개념영역으로 구분하면 어떨까요? 예컨대, 움직이기/ 말하기/ 만들기/ 느끼기/ 표현하기… 등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요?(L건축소장)

이상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모든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흥미영역을 7-8개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구성 배치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오히려 영유아들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고 보육실의 크기와 현장상황을 고려한 환경으로 흥미영역을 융통성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즉 영유아들의 흥미를 고려한 구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Importance of activity areas in the 3 to 5 classroom N=28

2) 통합 가능한 흥미영역

제한된 보육실 공간으로 인해 모든 흥미영역을 구성할 수 없는 경우에 흥미영역을 통합하는 것에 대한 의견 및 연령별 최소 영역수에 대한 조사결과 학계와 실무집단 모두에서 영아반은 3-4개 영역, 유아반은 4-5개 영역을 제안하고 있었다<Table 14>. 일반적으로 보육실 면적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많은 영역(7-8개)을 배치할 경우 과밀과 스트레스를 초래할 수 있고 오히려 차지하고 있는 영역들이 아동들의 놀이 활동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보육실의 공간면적이 협소할 경우 흥미영역수를 모두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할 수 있는 영역들은 통합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Park과 Choi(2012)는 유사하거나 연계활동이 가능한 흥미영역들을 메시, 정적, 동적 영역으로 구성하여 융통성있게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전문가들에게 보육공간이 협소할 경우 통합할 수 있는 성격의 영역들에 대한 의견들을 자유응답식으로 질문하여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아반의 경우 대근육은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의견이 많으나 쌓기, 창의적 표현 영역을 통합 가능한 영역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이외에 언어영역과 탐색, 조작영역을 통합가능한 영역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역할과 쌓기영역을 통합가능한 영역으로 제시하는 의견이 많았다.

유아반의 경우 언어영역은 독립적인 영역으로 고수하는 의견이 많았다. 그리고 수.조작영역과 과학영역을 통합 가능한 영역으로 보는 의견이 많았으며 역할영역과 쌓기 영역 그리고 음률영역과 미술영역을 통합가능한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근거로 보육실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영역구성을 할 수 있다는 것과 동시에 평가 인증시 흥미영역 구성에 대한 탄력적이고 융통성있는 배치를 권장하도록 교사 및 시설장 등을 대상으로 한 실무자교육이 필요한 부분이라 판단된다.

Number of minimum activity area N=29

3) 보육실공간의 분위기와 다양성

보육실 환경은 전체적으로 시설 같은 분위기를 지양하고 아늑하고 편안한 집과 같은 환경을 조성하여 하루 종일 어린이집에서 지내야 하는 영유아들에게 긴장감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보육실의 분위기와 다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요소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5, 16>.

영아반의 경우 학계, 실무 집단 모두 음향, 조명, 색 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고 있으며, 유아반의 경우 조명과 공간의 다양성, 음향, 색이 중요 요소로 평가되었다.

보육실 공간의 분위기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소들은 모두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이러한 요소들의 전체적인 조화가 중요하다. 가령 영유아 모두에게 중요한 요소로 평가된 색과 조명의 경우, 활동과 분위기에 맞도록 적절히 사용하지 않으면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와 영유아들의 놀이활동을 방해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보육실의 분위기조성과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한 계획 지침이 요구되어진다.

Atmosphere and diversity in classroom (0 to 2 years) N=30

Atmosphere and diversity in classroom (3 to 5 years) N=29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보육활동과 보육환경이 통합적으로 연계된 어린이집 환경 모형을 찾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어린이집의 환경구성에 관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의견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1. 기능적 공간구성에 관한 의견

원활한 보육활동을 위한 기능적 공간 구성 비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조사 분석한 결과 대.중규모에서는 보육. 관리. 서비스공간의 구성비를 대략 60:21:19로 제안하고 있다. 이는 보육공간 못지 않게 관리.서비스공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즉 어린이집의 원활한 보육 활동을 위해서는 보육. 관리. 서비스 공간이 어느 정도 균형적으로 구성 배치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어야 함을 뜻한다. 그러나 실무자들의 의견에서는 관리공간이 현실적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제안이 요구된다. 이는 관리공간인 사무실, 교사실, 상담실, 자료실의 필요성과 서비스공간인 복도와 공용공간 등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복도나 홀과 같은 공용공간이 여유가 있으면 아이들이 어린이집에서 훨씬 자유롭게 생활을 할 수 있고, 반, 연령과 상관없이 통합할 수 있는 시간대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보육실의 적정규모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2담임제를 활용하여 2개의 보육실을 넓게 터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의견으로는 학계보다 실무계에서 필요성을 높이 인지하고 있으며, 특히 시설규모가 작을수록 그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진입공간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시설규모에 상관없이 중요도는 높게 나타고 있다. 따라서 영유아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전이공간에 대한 디자인과 영유아들의 관리를 위한 대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보육활동과 식침분리에 대한 의견으로는 대규모의 경우 식사와 낮잠을 모두 보육실과 분리하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식사를 분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 소규모의 경우 식사공간을 분리하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령에 따라 위생과 관리문제를 고려할 때 식침분리를 권장해 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유아별 실외놀이터를 구성하는 놀이영역과 놀이시설에 대한 의견으로는 학계, 실무계 모두 신체활동과 물모래활동을 중요한 활동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소규모일지라도 실외놀이터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현재 실외놀이터 구성은 49인이하 소규모 어린이집에 대해서 법적으로 선택사항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아동 정원에 상관없이 소규모시설에서도 실외놀이터를 구비할 것을 법제화할 필요성이 있는 부분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바람직한 보육활동을 위한 공간 구성은 특히 소규모 어린이집에서 더욱 중요하게 요구되어짐을 알 수 있다. 소규모의 경우는 보육실도 협소하여 영유아들의 자유로운 활동공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홀이나 복도, 진입공간과 같은 서비스 공간의 확보, 여유공간을 위한 통합교실의 운영, 실외놀이터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2. 흥미영역 구성에 대한 의견

보육활동과 흥미영역 구성에 관한 의견으로는 영아반의 흥미영역은 대근육영역과 탐색ㆍ조작영역에 상대적 중요성을 보이는 경향이었다. 영, 유아반 모두 역할과 언어영역이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그리고 제한된 공간에서 흥미영역 통합방안으로 최소 영역수는 영아반은 3-4개, 유아반은 4-5개 영역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안하고 있다.

표준보육과정에서는 흥미영역을 6-8개로 제시하고 보육실의 공간이나 여건에 따라 그 수를 합하거나 확대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실태조사를 보면 어린이집의 규모나 보육실의 규모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어린이집이 획일적인 구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영역구성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볼 수 있으므로 보육실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영역구성을 할 수 있는 흥미 영역구성 지침을 제시하여 교사와 시설장을 대상으로 한 실무자교육이 필요한 부분이라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원활한 보육활동을 위한 흥미영역은 가능한 통합하여 구성하면 보육실내에 여유 공간이 만들어지므로 통합구성을 제안하도록 한다. 이렇게 확보된 여유 공간은 영유아들의 움직임을 촉진하고, 자유로운 놀이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보육실의 여건에 따라서 융통성 있게 흥미 영역을 구성하여 영유아들의 놀이활동이 자유롭게 촉진될 수 있는 영역 구성이 우선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보육실의 분위기와 다양성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영아들의 경우 음향, 조명, 색 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하였고, 유아들의 경우 조명과 공간의 다양성, 음향, 색을 중요 요소로 평가하였다. 어린이집에서 하루 종일 지내야 하는 영유아들에게 보육실의 분위기는 심리적 정서적인 면에서 중요하다. 특히 영아들에게는 색과 조명을, 유아들에게는 보육 활동 분위기에 맞도록 다양성을 주면서 전체적인 조화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현장 실무자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워크숍을 진행하여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였고, 그 다음 단계로 전문가들로 구성된 학계와 실무계의 의견을 종합하여 보육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구성과 흥미영역을 보육환경과 연계한 어린이집 환경 모형을 찾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시도되었다. 지금까지 어린이집의 보육프로그램과 보육환경은 연계되지 못하고 별개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보육프로그램을 지원하고자 하는 물리적 환경의 문제를 부분적으로나마 해결하고자 하는 고민을 다학제적인 전문가들의 의견에 기초하여 공감대를 찾기 위해 시도한 점에 의미를 둘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가 소수 전문가들의 의견에 근거한 결과이므로 좀 더 넓고 다양한 어린이집 현장 실무자들의 폭넓은 의견이 반영되지 못한 점이 한계점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 자료에 근거하여 열악한 어린이집의 보육환경이 다소 개선될 수 있는 단초가 되길 바라며, 보육활동과 보육환경이 연계된 어린이집 환경 연구가 후속연구로 계속 진행되어질 수 있길 기대해 본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5년도 한남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Notes

3) 원장 및 교사의 경우 5년 이상 근무, 원장은 석사이상, 교사는 4년제 이상인 자로 구성하였다
4)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물리적 보육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현장의 상황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원장 8명을 대상으로 워크샵을 실시하였으며, 워크샵에서 다룬 내용은 어린이집 환경구성시 교육철학의 반영, 보육프로그램과 환경연계를 위해 실내외 환경구성시 차별화된 특성유무, 자유선택활동에 선호되는 흥미영역 및 흥미영역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 특별활동에 대한 공간적 배려 유무, 실외활동시 고려사항 및 시설요구, 보육공간과 관리 및 서비스공간의 기능적 공간구성에 대한 의견, 진입공간에 대한 의견, 식침분리에 대한 의견,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위한 지역사회연계방안에 대한 의견 등이 포함되었다.
5) 보육공간은 보육실 및 보육실과 연계된 화장실, 낮잠실, 유희실 등의 공간, 관리공간은 사무실, 교사실, 원장실 등 보육활동을 관리하고 운영하는데 관련되는 공간, 서비스공간은 보육활동을 지원하는 데 소요되는 공간과 홀, 복도, 계단 등의 공용공간을 의미한다.
6) 어린이집 정원을 기준으로 소규모는 정원수 기준 50인 미만, 중규모는 50-100인 미만, 그리고 대규모는 100인 이상을 의미한다.

References

  • Choi, M. W., et al , (2002), Child care center design, Seoul, Changjisa.
  • Kim, U., Kim, J., Choi, K., Jo, U., Jo, H., & An, J., (2009),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standards i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No. 2009-06),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 Kim, Y., Choi, M., & Park, J., (2011), A preliminary study of licensing facilitation standards for improvements in quality for childcare cente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 p205-223.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2011 Accreditation instructions in child care facilitie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Olds, A. R., (2001), Child Care Design Guide, New York, MaGraw-Hill Companies.
  • Olds, A. R., (2009), Child Care Design Guide, Choi, M., Choi, K., & Byun, H. Translation, Seoul, Gyomunsa, (The original book published 2001).
  • Park, J., & Choi, M., (2012),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activity areas in classrooms of childcare centers depending on age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3(1), p89-96. [https://doi.org/10.6107/JKHA.2012.23.1.089]
  • Park, J., Choi, M., & Kim, Y., (201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ea and spatial elements based on the building size of childcare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1), p65-73. [https://doi.org/10.6107/JKHA.2011.22.1.065]

<Table 1>

Question items

Category Contents
Space organization 1. Function for care activity
  ▪ The proportion of the space for care activity, management & service space
  ▪ Attitude towards the layout where two classrooms share an integrated space through a two teacher system
2.The meaning of entrance area
  ▪ The importance of entrance area
  ▪ Transition area associated with the infant room
3. Separation of eating and sleeping
  ▪ Separation of eating and napping from the care activity
4. Outdoor playground
  ▪ Play area & equipment for outdoor play
  ▪ The demand on the outdoor playground
Activity area 5. Activity areas in the classroom
  ▪ Spatial configuration of activity areas
  ▪ Number of minimum activity area
  ▪ Integration of activity areas in the limited classroom
6. Atmosphere and diversity in classroom
  ▪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s the atmosphere and diversity

<Table 2>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space in child care center

Category Contents
Space for care activity classroom/playroom/nap room/nursing room/restroom for children/living room centered public space /video room/art room/ physical training room/extra room/sand treatment room/computer room/piano room
Space for management director room/office room/teacher room/materials room/health room/ counseling room
Space for service entrance the front door/rest room for adult/bath room/laundry room/kitchen/dining room/storage/corridor, stairs, EV: elevator/machinery and equipment/ evacuated chamber/building manager room/teachers' lounge/waiting room for parents

<Table 3>

The proportion of the space for care activity, management & service space N=29

Category Academics (n=17) Workers (n=12)
1) M(SD)
L: large-size center,
M: medium-size center,
S: small-size center
L
Care space 57.50 (8.952)1) 55.00 (7.687)
Management space 23.61 (7.031) 22.92 (7.525)
Service space 18.89 (7.388) 22.08 (6.201)
M
Care space 63.06 (9.570) 62.50 (9.653)
management space 20.00 (8.044) 18.33 (6.155)
service space 16.94 (5.975) 20.00 (7.687)
S
Care space 70.83 (9.432) 70.42 (12.873)
management space 15.83 (6.913) 13.75 (6.784)
service space 13.33 (5.941) 15.83 (8.747)

<Table 4>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spaces by center size N=30

Category Academics (n=18) Workers (n=12)
1) M(SD)
L: large-size center,
M: medium-size center,
S: small-size center
L
Office 2.56 (.616)1) 2.83 (.389)
Director's R 2.39 (.778) 2.67 (.651)
Teacher's R 2.94 (.236) 2.92 (.289)
Materials' R 2.94 (.236) 3.00 (.000)
Counseling R 2.67 (.485) 2.83 (.389)
M
Office 2.00 (.594) 2.33 (.778)
Director's R 1.94 (.639) 2.25 (.622)
Teacher's R 2.72 (.461) 2.75 (.452)
Materials' R 2.78 (.428) 2.83 (.389)
Counseling R 1.94 (.416) 2.58 (.515)
S
Office 1.56 (.705) 2.00 (.853)
Director's R 1.61 (.698) 1.92 (.793)
Teacher's R 2.28 (.669) 2.33 (.778)
Materials' R 2.28 (.752) 2.50 (.674)
Counseling R 1.67 (.686) 1.92 (.793)

<Table 5>

Attitude towards the layout where two classrooms share an integrated space through a two teacher system N=30

Category Academics (n=18) Workers (n=12)
1) M(SD)
L: large-size center,
M: medium-size center,
S: small-size center
Center size
L 1.56 (.705)1) 2.50 (.798)
M 1.89 (.758) 2.83 (.389)
S 2.44 (.784) 3.00 (.000)
Age(year)
0-2 2.28 (.958) 2.75 (.622)
3-5 1.94 (.725) 2.58 (.515)

<Table 6>

Importance of entrance N=29

Category Academics (n=18) Workers (n=11)
1) M(SD)
L: large-size center,
M: medium-size center,
S: small-size center
L 2.89 (.323)1) 2.82 (.405)
M 2.50 (.514) 2.73 (.467)
S 2.33 (.840) 2.18 (.603)

<Table 7>

Necessity of Transition area associated with the infant room N=30

Category Academics (n=18) Workers (n=12)
1) M(SD)
L: large-size center,
M: medium-size center,
S: small-size center
L 2.56 (.705)1) 2.67 (.492)
M 2.28 (.752) 2.42 (.793)
S 2.00 (.840) 2.18 (.751)

<Table 8>

Importance of separation of eating and sleeping N=29

Category Academics (n=18) Workers (n=11)
1) M(SD)
L: large-size center,
M: medium-size center,
S: small-size center
Center size
L 2.83 (.383) 2.82 (.405)
M 2.44 (.616) 2.55 (.688)
S 2.06 (.639) 2.09 (.944)
Age(year)
0-2 1.83 (.618) 2.18 (.751)
3-5 2.72 (.461) 2.82 (.405)

<Table 9>

Func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care activity N=23

Category Eating Napping Eating & Napping All activity in classroom Total
1) n(%)
L: large-size center,
M: medium-size center,
S: small-size center
Center size
L 7(30.4)1) 1(4.3) 15(65.3) 0(0.0) 23(100.0)
M 13(56.5) 5(21.7) 5(21.7) 0(0.0) 23(100.0)
S 11(47.8) 4(17.4) 3(13.1) 5(21.7) 23(100.0)
Age(year)
0-2 9(39.1) 3(13.1) 2(8.7) 9(39.1) 23(100.0)
3-5 9(39.1) 3(13.1) 11(47.8) 0(0.0) 23(100.0)

<Table 10>

Outdoor playground [N=30]

Category Academics (n=18) Workers (n=12)
1) M(SD)
0 to 2 years
Area Physical 2.82 (.393)1) 2.83 (.389)
Water/sand 2.94 (.243) 2.83 (.389)
Animal/plant 2.47 (.514) 2.50 (.798)
Quiet 2.24 (.831) 2.67 (.651)
Open 2.18 (.636) 2.58 (.669)
Facility Structured 2.00 (.632) 2.25 (.754)
Unstructured 2.56 (.512) 2.58 (.515)
3 to 5 years
Area Physical 2.94 (.243) 3.00 (.000)
Water/sand 2.88 (.332) 3.00 (.000)
Animal/plant 2.82 (.393) 2.83 (.577)
Quiet 2.47 (.624) 2.67 (.651)
Open 2.76 (.437) 2.92 (.289)
Facility Structured 2.44 (.629) 2.75 (.452)
Unstructured 2.81 (.403) 2.92 (.289)

<Table 11>

Demand on the outdoor playground for small size center N=30

Category Academics (n=18) Workers (n=12)
1) M(SD)
Necessity of the outdoor playground 3.00 (.000)1) 2.83 (.389)

<Table 12>

Importance of activity areas in the 0 to 2 classroom N=28

Areas Academics (n=17) Workers (n=11)
1) M(SD)
Large motor 26.88 (9.532)1) 22.73 (6.467)
Language 12.53 (6.938) 15.91 (3.754)
Manipulatives 17.65 (7.097) 18.64 (5.519)
Imaginary play 11.59 (6.643) 13.64 (3.931)
Block 15.29 (4.832) 15.91 (3.754)
Creative expression 17.24 (8.437) 13.18 (5.135)

<Table 13>

Importance of activity areas in the 3 to 5 classroom N=28

Areas Academics (n=17) Workers (n=11)
1) M(SD)
Language 16.88 (5.146)1) 16.64 (4.154)
Numbers & Manipulatives 13.53 (4.125) 11.09 (1.921)
Science 11.06 (4.264) 11.64 (2.292)
Drama 17.53 (6.355) 19.55 (3.503)
Block 13.00 (5.511) 18.64 (5.519)
Music & Movement 11.35 (5.361) 10.27 (2.370)
Arts 17.06 (5.793) 12.00 (3.256)

<Table 14>

Number of minimum activity area N=29

Category Academics (n=17) Workers (n=12)
1) M(SD)
0 to 2 years 3.82 (.529)1) 3.50 (.522)
3 to 5 years 4.53 (.717) 4.75 (.866)

<Table 15>

Atmosphere and diversity in classroom (0 to 2 years) N=30

Category Academics (n=18) Workers (n=12)
1) M(SD)
Acoustic 2.78 (.548)1) 3.00 (.000)
Lighting 2.89 (.323) 3.00 (.000)
Window 2.50 (.786) 2.92 (.289)
Door 2.44 (.705) 2.75 (.622)
Color 2.78 (.548) 2.83 (.389)
Finishing material 2.56 (.784) 2.75 (.452)
Diversity of space 2.28 (.752) 2.58 (.669)

<Table 16>

Atmosphere and diversity in classroom (3 to 5 years) N=29

Category Academics (n=17) Workers (n=12)
1) M(SD)
Acoustic 2.72 (.669)1) 2.92 (.289)
Lighting 2.83 (.383) 3.00 (.000)
Window 2.61 (.698) 2.83 (.389)
Door 2.72 (.575) 2.58 (.515)
Color 2.78 (.548) 2.83 (.389)
Finishing material 2.56 (.705) 2.83 (.389)
Diversity of space 2.78 (.548) 3.00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