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JHE - Vol. 22, No. 1, pp.89-98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Feb 2013
Received 23 Aug 2012 Revised 14 Feb 2013 Accepted 14 Feb 2013
DOI: https://doi.org/10.5934/KJHE.2013.22.1.89

Effects of a adolescent's attachment with parent and peer on their leadership life skills

JangYoungae ; ParkJueun*
Dept. of Consumer Science and Child Development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Correspondence to: Park Jueun Tel: 032-835-8250 Fax: 032-835-8357 E-mail: dugi88@hanmail.n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ttachment with parent and peer on the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The subjects were 281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Incheo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were a moderate level. And,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more amicable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peers, the more developed their overall leadership life skills. Finally, the peer attachment rather than parental attachment was more influenced on their leadership life skills. Focusing on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educational implication for promoting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were discussed.

Keywords:

leadership life skills,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리더십 생활기술, 부모애착, 또래애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lead’라는 영어단어에서 파생된 ‘리더십(leadership)’이라는 용어는 ‘이끌다’, ‘앞서 나가다’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을 이끌어 나가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말한다. 리더십이 일상생활을 살아가면서 필요한 생활기술이라는 측면에서 ‘리더십’과 ‘생활기술’이란 용어를 연결한 ‘리더십 생활기술(leadership life skill)’ 개념이 제안된 이래로 이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리더십 생활기술이란 실제 생활 속에서 리더십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가정, 학교, 사회 등 우리 생활의 모든 장에서 요구되는 기술을 말하며, 동시에 우리의 삶과 우리가 속한 집단과 사회를 개선해 나가기 위해 우리 모두가 지녀야 하는 생활기술을 말한다(Kang, 2012; Kim & Lee, 2011).

청소년기는 리더십 생활기술을 발달시키는 결정적인 시기로(Linden & Fertman, 1998), 청소년기에 리더십 생활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청소년들의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원만하고 진취적인 생활을 이루어가고, 위험행동을 예방하며, 성공적인 성인기를 위한 도약의 발판이 된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은 리더십 생활기술을 습득함으로써 개인, 사회, 조직생활을 성공적으로 영위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자기 자신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고, 사회적으로는 글로벌 세대에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으며, 조직 속에서는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과 조직관리 기술 및 조직에 적응하여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Choi, 2001; Kim, 2002).

청소년기에 획득하고 발휘해야 할 리더십 생활기술 역시 천부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가정, 학교, 사회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Dormody & Seevers, 1995). Kern 등(1996)은 특히 청소년기 리더십 생활기술을 발달시키는데 있어서 부모나 친구와 같은 의미 있는 타인의 도움과 지지가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청소년기의 부모애착은 영아기와 유아기의 애착과는 달리 애착대상에 대한 신체적 접근의 빈도와 강도는 감소하고 과거에 비해 부모의 영향력이 약해지기는 하지만 스트레스 상황에서 애착대상을 안전기지로 생각하게 된다는 점에서는 여전히 중요하다.

한편, 어린 시기에 가정에서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애착은 내적 작동모델(internal working model)로 기능하면서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경험하게 되는 인지적, 사회적 경험들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도록 돕는다(Bowlby, 1982). 청소년이 가족과의 지지적 관계를 통해 얻게 되는 사랑과 수용, 안전의 느낌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처전략을 증진시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에서도 이들을 보호하고 나아가 학교생활적응과 심리적 안녕에 도움을 준다(Jang, 2001). 또한 부모와의 애착은 의사소통 능력이나 사회적 능력, 대인관계 능력, 학업성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Guerrero & Jones, 2003; Ryan et al. 1994).

Bretherton 등(1990) 역시 청소년기의 애착은 아동기처럼 가시적인 애착행동은 감소하지만 정서적으로 부모에 대한 애착은 그대로 유지됨을 밝혔다. 부모애착이란 청소년이 부모에 대한 신뢰감과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도움을 요청하는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로(Armsden & Greenberg, 1987; Kenny, 1987), 청소년기의 부모와 자녀 모두가 상호존중과 개별성에 근거하여 친밀한 관계를 유지함과 동시에 자신을 하나의 개체로 분리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Greenberg et al., 1983). Armsden과 Greenberg (1987)는 고등학교 시기에도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부모는 여전히 대단히 중요한 존재이고, 부모에 대한 애착은 또래에 대한 애착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1999)의 연구에서도 부모에 대한 애착이 또래에 대한 애착보다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인생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밝혀내고, 부모에 대한 애착이 또래와의 애착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또래집단은 청소년기 행동의 기준과 모범이 되고 또한 사회적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인간의 사회 및 성격발달의 가장 중요한 매개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Lee, 1998). 또래란 서로 나이가 비슷하거나 또는 성숙수준이 비슷하여 일상적으로 함께 상호작용할 수 있는 대상으로, 청소년기의 또래관계는 정서적 지지와 안락의 원천이 되고, 안전한 피난처와 안정된 기반을 제공하며, 심지어는 고통을 분산할 수 있는 원천이 된다(Perry & Bussey, 1984; Santrock, 1990). 특히, 청소년기의 또래관계는 사회적 발달에 안정감을 촉진시켜주고 타인과 원만하게 일할 수 있는 경험을 얻게 되며, 관대함과 이해력을 발달시키고 사회적 기술을 획득하는 기회를 얻게 된다(Freeman & Brown, 2000). Laird 등(1999)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또래간 상호적인 우정관계가 잘 형성되었을 때는 안정감을 느끼고, 갈등이 낮아지며, 반사회적 행동에 대해 보호역할을 한다.

최근 부모 및 또래와의 애착이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Guerrero와 Jones(2003)의 연구에 의하면, 애착은 사회적 표현력, 사회적 조정력, 사회적 민감성, 감정적 표현력, 감정적 조정력, 감정적 민감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Ryan 등(1994)는 부모에 대한 애착수준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또래들과 협동적이고 친사회적인 상호작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높은 학업성취를 이루고 학교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애착은 리더십 생활기술과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Popper 등(2000)과 Towler(2005)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부모와 안정적인 애착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들의 변혁적 및 카리스마적 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im(2009)의 연구에서는 부모애착의 하위유형인 신뢰감과 의사소통은 또래관계 및 협력형 갈등해결전략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우리나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애착이 청소년들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본 Jang과 Han(2008)의 연구에 의하면, 아버지 혹은 어머니와 정서적, 심리적 유대감인 애착정도가 높은 청소년들은 상대적으로 애착정도가 낮은 청소년보다 리더십 생활기술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 두 사람 모두와 애착정도가 높게 형성되었을 때 가장 높은 리더십 생활기술을 보인 반면, 아버지와 어머니 두 사람 모두가 애착정도가 낮을 때 가장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와의 의사소통과는 달리 어느 한쪽의 애착수준이 낮을 경우 어머니보다는 아버지와의 유대감, 애착관계가 깊었을 때 리더십 생활기술을 더 발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리더십 생활기술을 획득하고 꾸준히 개발해 나가는데 있어서 청소년기는 결정적인 시기이므로, 최근 청소년들의 리더십 생활기술 계발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오고 있다. 그러나 리더십 형성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부모 및 또래와의 애착이 청소년들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부모 및 또래와의 애착이 그들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청소년들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과 또래애착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이 속한 집단에서 바르고 적절하게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리더로서의 자질을 갖출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학교생활과 나아가 사회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적 함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문제

본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 또래애착,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은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3개 구에 위치한 중학교 세 곳을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하여, 이들 중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학생 총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 거쳐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5부를 제외하고 총 281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조사는 2011년6월 13일부터 6월 24일까지 12일 동안에 걸쳐 이루어졌다. 조사대상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2. 측정도구

1)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 척도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Dormody와 Seevers(1995) 등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Lee(2006)가 재구성한 총 26문항의 ‘리더십 생활기술’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의사소통 기술(4문항)’, ‘의사결정 기술(5문항)’, ‘인간관계 기술(5문항)’, ‘학습능력 기술(4문항)’, ‘자기이해 기술(5문항)’, ‘그룹활동 기술(3문항)’ 등 6개 하위영역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문항은 ‘결코 그렇지 않다’ 1점에서 ‘항상 그렇다’의 5점에 이르는 Likert형 척도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리더십 생활기술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척도의 Cronbach’s α 계수는 하위영역에 따라 ‘의사소통 기술’은 .71, ‘의사결정 기술’은 .84, ‘인간관계 기술’은 .85, ‘학습능력 기술’은 .77, ‘자기이해 기술’은 .79, ‘그룹활동 기술’은 .78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94로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척도임이 입증되었다.

2) 부모애착 척도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부모애착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Armsden과 Greenberg (1987)가 개발한 '부모 및 친구애착척도(IPPA,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의 개정본(IPPA-R) 중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Yoon(2010)가 재구성한 '부모애착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신뢰감(10문항)', '의사소통(9문항)', '친애(6문항)'의 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문항 수는 25문항이다. 모든 문항은 '결코 그렇지 않다' 1점에서 '항상 그렇다'의 5점에 이르는 Likert형 척도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에 대한 애착정도가 강함을 의미한다. 본 척도의 Cronbach's α계수는 하위영역에 따라 ‘신뢰감’은 .87, ‘의사소통’은 .88, ‘친애’는 .64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93로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척도임이 입증되었다.

3) 또래애착 척도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또래애착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Armsden과 Greenberg(1987)가 제작한 ‘부모 및 친구애착척도(IPPA,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를 수정한 개정본(IPPA-R) 중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Eom(2009)이 재구성한 ‘또래애착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신뢰감(7문항)’, ‘의사소통(14문항)’, ‘친애(4문항)’의 3개 하위영역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문항은 ‘결코 그렇지 않다’ 1점에서 ‘항상 그렇다’의 5점에 이르는 Likert형 척도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또래에 대한 애착이 강함을 의미한다. 본 척도의 Cronbach’s α계수는 하위영역에 따라 ‘신뢰감’은 .70, ‘의사소통’은 .91, ‘친애’는 .59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91로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척도임이 입증되었다.

3.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처리하였다. 조사대상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일치도 계수인 Cronbach’ α값을 산출하였다. 부모애착, 또래애착,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부모 및 또래애착이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에 앞서 다중공선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값을 산출하였으며,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및 또래애착 변인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과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부모애착, 또래애착,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의 일반적 경향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리더십 생활기술 점수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각 측정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Table 2> 참조). <Table 2>를 보면 부모애착의 경우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평균점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하위영역 별로는 신뢰 평균점수가 3.61점으로 세 하위영역 중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은 평균 3.43점으로 가장 낮았다. 그러므로 대체적으로 조사대상 청소년들은 부모에 대한 적절한 신뢰감과 부모로부터 사랑받는다는 느낌을 갖고 있으며, 부모와 편안한 대화를 나누는데 어려움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래와의 애착에서도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평균점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래애착의 하위영역 별로는 신뢰와 애정의 평균점수가 각각 3.80점과 3.77점으로 의사소통 평균점수 3.53점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 조사대상 청소년들에게 또래관계는 고민을 나누고 도움을 받는 등 실제적인 관계 이상으로 정서적으로 가까운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또래에 대한 애착이 대체적으로 부모에 대한 애착보다 약간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청소년기의 애착대상이 부모로부터 또래로 확장되는데 따른 변화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 점수 역시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평균점수를 나타내고 있어, 이 시기에 리더십 생활기술 계발을 위한 적절한 교육적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차세대 리더를 배양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시사해 주었다. 하위영역 별로는 인간관계기술 평균점수가 3.74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3.62점인 의사소통 기술로 나타난 반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학습기술로 평균 3.42점이었다. 따라서 조사대상 청소년들은 전반적으로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통해 타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집단 내에서 조화로운 생활을 조성해 나갈 수 있는 자질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Adolescent's Leadership

2.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조사대상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과 또래와의 애착 정도를 분석한 결과가 <Table 4>와 <Table 5>에 각각 제시되어 있다.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투입된 변인들간 다중공선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Table 3> 참조), 투입된 변인들간 상관계수가 .70 이상을 넘는 변인이 없어 회귀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VIF(variance Inflation Factor) 계수를 산출한 결과 1.036~2.620으로 나타나, 투입된 변인들 모두 4를 넘지 않아 잔차간 자상관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Pearson's Correlations of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우선,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Table 4> 참조),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의 6개 모형 모두 유의확률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설명모형임이 확인되었다. 부모애착 세 하위변인은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의 자기이해 기술과 집단활동 기술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의 애착형성 정도는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집단을 친근하게 유지해 나가는 기술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와 편안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관계가 형성된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의사소통 기술, 의사결정 기술, 관계기술, 학습기술 모두에서 각각 β=.23(p<.05), β=.41(p<.01), β=.22(p<.05), β=.22(p<.05)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변인으로 나타나, 부모와 편안하게 의사소통 할수록 타인과 적절한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며 타인과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문제를 잘 해결해 나가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와의 의사소통 정도는 청소년의 의사결정 기술에 β=.44로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변인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의사결정 기술은 부모와의 의사소통 애착 부모와 어떤 것이든 자연스럽게 이야기할수록 뛰어나게 발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청소년의 관계기술은 부모와의 의사소통 외에도 신뢰감에서 β=.22로 나타나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나, 부모와 신뢰로운 애착관계를 형성할수록 타인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다음으로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또래애착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Table 5> 참조),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의 6개 6개 모델 모두 유의확률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설명모델임이 확인되었다. 또래애착 세 하위변인 중 신뢰와 애정은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의 6개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또래와 감정적으로 유대관계를 맺고 신뢰로운 관계를 유지하는 정도는 전반적으로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또래들과 친밀한 대화를 나누며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상호작용은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 하위영역 중 자기이해 기술을 제외하고 의사소통 기술(β=.47), 의사결정 기술(β=.36), 관계향상 기술(β=.46), 그리고 학습관련 기술(β=.33)에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변인으로 나타나, 또래들과 친밀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관계의 형성은 청소년들의 의사소통 기술, 의사결정 기술, 관계향상 기술, 그리고 학습관련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3. 부모 및 또래애착이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과 또래애착 각각의 하위변인들 중 주로 의사소통과 관련한 애착관계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으나, 평균점수에서는 신뢰와 애정 영역보다 의사소통 영역이 낮게 나타났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롭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청소년 리더십 6개 하위영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아,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각 하위영역이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 총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가 <Table 6>에 제시되어 있다.

<Table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MODEL 1]과 [MODEL 2] 모두 각각 17%와 40%의 설명력을 보여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설명모형임이 확인되었다. 우선 [MODEL 1]을 보면 부모애착 하위변수 중 의사소통에서만 β=.28로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으며, [MODEL 1]의 설명력은 17.0%로 나타났다. 한편, [MODEL 2]에서는 부모애착 세 변수에 또래애착 변수를 추가했을 때, 변화된 설명력이 23.0%로 나타나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영향 중 또래애착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특히 또래와의 관계에서 허심탄회하고 거리낌 없는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안정적인 애착관계가 리더십 생활기술에 전반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리더십 생활기술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시기가 청소년기라는 관점에서, 이들의 리더십 생활기술 발달에 부모 및 또래와의 애착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들의 리더십 생활기술 형성에 부모나 또래와의 애착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해 봄으로써,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 개발에 관한 부모와 또래관계의 기여정도를 파악하고 교육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부모 및 또래와의 애착은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들은 부모에 대한 적절한 신뢰감과 부모로부터 사랑받는다는 느낌을 갖고 있었으며 부모와 편안한 대화를 하는데 어려움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또래관계는 고민을 나누고 도움을 받는 등 실제적인 관계 이상으로 정서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또래애착 점수가 부모애착 점수보다 높게 나타나 청소년기는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보다는 또래들과의 정서적 유대가 더 중요하고 의미 있는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들의 리더십 생활기술 역시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평균점수를 나타내,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통해 또래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집단 내에서 조화로운 생활을 조성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시기에 리더십 생활기술 개발을 위한 적절한 교육적 개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시기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론은 청소년기가 리더십 생활기술 발달의 결정적인 시기라는 Linden과 Fertman(1998), Kern et al.(1996)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우선 청소년들의 부모애착은 대체적으로 리더십 생활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에게 자신의 감정이나 의견, 생각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편안한 관계를 형성한 청소년들일수록 타인과 적절한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며 타인과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문제를 잘 해결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의사결정 기술은 부모와의 의사소통 애착관계가 적절하게 형성되었을 때 잘 발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청소년의 관계기술은 부모와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할수록 타인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확고한 애착관계가 형성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관계적으로나 의사소통 측면에서 더 뛰어나고 감정표현을 조절하여 잘 표현할 수 있으며, 사회적 유능감이나 변헉적 및 카르스마적 리더십을 잘 수행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Jang & Han, 2008; Guerrero & Jones, 2003; Popper et al., 2000; Towler, 2005). 따라서 리더십 생활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와 어떻게 정서적, 심리적 유대감과 친밀감을 형성하느냐가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또래애착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또래애착 세 하위변인 중 의사소통은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의 5개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또래들과 친밀한 대화를 나누며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상호작용은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 하위영역 중 자기이해 기술을 제외하고 의사소통 기술, 의사결정 기술, 관계향상 기술, 그리고 학습관련 기술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기의 또래관계가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맺도록 하는 사회적 기술을 획득하게 하며, 또래 간 우정관계가 잘 형성되었을 때 안정감을 느끼고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보호역할을 한다는 Freeman과 Brown(2000), Laird 등(1999) 등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부모 및 또래애착이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애착 변수를 다룬 [MODEL 1]의 설명력은 17.0%로 나타난 반면 [MODEL 1]에 또래애착 변수를 더한 [MODEL 2]에서는 변화된 설명력이 23.0%로 나타나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영향 중 또래애착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또래와의 대화를 통한 안정적인 애착관계가 리더십 생활기술에 전반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이 또래들과 충분한 상호작용을 통해 마음과 생각을 편안하게 나눌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격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이러한 노력은 집단 따돌림이나 학교폭력을 줄이는 데도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한계가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우선 본 연구는 인천지역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청소년들에게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리더십 생활기술 척도가 대인관계 형성에 필요한 의사소통 및 친밀감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관한 포괄적인 능력을 살펴보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있어서 애착관련 변인의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청소년이 지니고 있는 리더십 생활기술 기술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또래관계 형성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며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 고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충분하지 않고 있으므로, 앞으로 다양한 관련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탐색적 수준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부모 및 또래애착 척도들 중 ‘친애’ 소척도가 다른 소척도들에 비해 신뢰도가 약간 낮았는데, 후속연구에서는 이들 척도의 신뢰도가 보다 안정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리더십 생활기술 하위영역들간 관계를 규명하지 못하였는데, 추후연구에서는 각 요소들간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다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부모와 또래에 대한 애착 정도를 동시에 측정하였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생애초기 부모와의 애착이 또래관계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단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References

  • G. C Armsden, M. T Greenberg,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987), 16(5), p427-453. [https://doi.org/10.1007/BF02202939]
  •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2nd ed.), New York: Basic Books, (1982).
  • I Bretherton, D Ridgeway, J Cassidy, Assessing internal working models of the attachment relationship, In M. T. Greenberg, D., Cicchetti & M. Cummings (Eds.), Attachment in the preschool years(pp.273-308).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0).
  • C. W Choi, The related variables of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 T. J Dormody, B. S Seevers, Predicting youth leadership and skills among FFA members in Arizona, Colorado, and New Mexico, The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1995), 35(2), p65-71. [https://doi.org/10.5032/jae.1994.02065]
  • Y. K Eom, The effect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on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2009).
  • H Freeman, B. B Brown, Primary attachment to parents and peers during adolescence: Differences by attachment styl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00), 30(6), p93-114.
  • M. T Greenberg, J. M Siegel, C. J Leitch,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s to parents and peers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Adolescence, (1983), 12(5), p373-386. [https://doi.org/10.1007/BF02088721]
  • L. K Guerrero, S. M Jones, Differences in one's own and one's partner's perceptions of social skills as a function of attachment style, Communication Quarterly, (2003), 51(3), p277-295. [https://doi.org/10.1080/01463370309370157]
  • H. E Jang, J. L Han, The effects of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attachment with parents on their leadership life skill, Korea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08), 13(1), p207-226.
  • W. S Ja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five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development, (2001), 14(2), p105-119.
  • S. H Kang, Casual setucture analysis among leadership life skills, emotional intelligence, mor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2), 21(3), p129-145.
  • M Kenny, The extent and function of parental attachment among first yea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987), 16, p17-27. [https://doi.org/10.1007/BF02141544]
  • L. R Kern, L Klepac, A. K Cole, Peer relationships and preadolescent's perception of security in the child-mother relationship, Developmental Psychology, (1996), 32, p457-466. [https://doi.org/10.1037/0012-1649.32.3.457]
  • J. D Kim,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life skills through adolescent's particip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kuk University, (2002).
  • J.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re attachment, empathy,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mong peer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99).
  • L. E Kim, K. H Lee, A meta-analysis of youth leadership related variables: focus on implication of leadership selection by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11), 8(1), p43-59.
  • Y. J Kim, The effect of personal growth on volunteer activity among adolesc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Christianity. Baekseok University, (2009).
  • R. D Laird, G. S Petti, K. A Dodge, J. E Bates, Best Friendships, Group Relationships, and antisocial Behavior in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999), 19(4), p413-437. [https://doi.org/10.1177/0272431699019004001]
  • C. J Lee, The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Seoul: The educational institute of Seoul, (1998), p42-46.
  • H. J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life skills and communication with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ungji University, (2006).
  • J. A Linden, Fertman, Youth Leadership: A guide to understanding leadership development in Adolescents, San Francisco, California: Jossey-Bass Inc, (1998).
  • D. G Perry, K Bussey, Social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4).
  • M Popper, O Mayseless, O Castelnov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ttachment, Leadership Quarterly, (2000), 11(2), p267-289. [https://doi.org/10.1016/S1048-9843(00)00038-2]
  • R. M Ryan, J. D Stiller, J. H Lynch, Representation of relationships to teachers, parents, and friends as predictor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994), 14, p226-249. [https://doi.org/10.1177/027243169401400207]
  • J. W Santrock, Adolescence: An International, Dubuque, Iowa:Wm. C. Brown, (1990).
  • A Towler, Charismatic leadership development: Role of parental attachment style a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2005), 11(4), p15-25. [https://doi.org/10.1177/107179190501100402]
  • J. A Yoon,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 attachment on peer attachment and aggression in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2010).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variables N (%) variables N (%)
sex male 137 48.8 monthly family income less than 3 million 99 35.6
female 144 51.2
executive activity yes 188 66.9 3~3.99 million 70 25.2
no 93 33.1
academic achievement upper 78 27.8 more than 4 million 109 39.2
middle 154 54.8
lower 49 17.4
father's education high school 126 45.7 mother's education high school 159 57.8
college 121 43.1 college 95 34.5
graduate school 29 10.3 graduate school 21 7.6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Adolescent's Leadership

variables mean sd range
parental attachment trust 3.61 0.72 1-5
communication 3.43 0.77 1-5
affection 3.54 0.64 1-5
total 3.53 0.63 1-5
peer attachment trust 3.80 0.58 1-5
communication 3.53 0.67 1-5
affection 3.77 0.66 1-5
total 3.70 0.53 1-5
adolescent's leadership communication skill 3.62 .74 1-5
decision-making skill 3.47 .74 1-5
relationship skill 3.74 .75 1-5
learning skill 3.42 .72 1-5
self-understanding skill 3.49 .69 1-5
group activity skill 3.55 .73 1-5
total 3.55 .60 1-5

<Table 3>

Pearson's Correlations of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variables 1 2 3 4 5 6 7 8 9 10 11 12
parental attachment
   trust 1
   communication .65(**) 1
   affection .64(**) .59(**) 1
peer attachment
   trust .25(**) .20(**) .19(**) 1
   communication .21(**) .22(**) .12(*) .61(**) 1
   affection .25(**) .19(**) .28(**) .46(**) .42(**) 1
leadership life skills
   communication skill .32(**) .33(**) .17(**) .40(**) .50(**) .14(*) 1
   decision-making skill .37(**) .42(**) .20(**) .35(**) .42(**) .19(**) .66(**) 1
   relationship skill .34(**) .34(**) .17(**) .46(**) .55(**) .25(**) .69(**) .63(**) 1
   learning skill .34(**) .34(**) .17(**) .29(**) .38(**) .19(**) .52(**) .69(**) .55(**) 1
   self-understanding skill .31(**) .29(**) .23(**) .32(**) .39(**) .23(**) .51(**) .57(**) .52(**) .69(**) 1
   group activity skill .30(**) .31(**) .18(**) .41(**) .50(**) .23(**) .58(**) .63(**) .59(**) .62(**) .63(**) 1

<Tabe 4>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parental attachment communicatio n skill decision-making skill relationship skill learning skill self-understanding skill group activity skill
b β b β b β b β b β b β
trust .74 .17 45 .08 1.16 .22* .83 .20 1.01 .20 .41 .13
communication .88 .23* 1.96 .41*** 1.07 .22* .85 .22* .37 .08 .62 .21
affection .33 .07 .58 .10 .61 .10 .41 .09 .30 .05 .11 .03
R2 .12 .18 .134 .13 010 .01
adjusted R2 .11*** .17*** .12*** .12*** .09*** .09***
F value 12.95 20.98 14.27 14.29 10.354 10.59

<Table 5>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peer attachment communication skill decision-making skill relationship skill learning skill self-understanding skill group activity skill
b β b β b β b β b β b β
trust .58 .11 .60 .09 .885 .13 .23 .04 .47 .07 .46 .12
communication 2.10 .47*** 1.98 .36*** 2.58 .46*** 1.43 .33*** 1.61 .31 1.36 .42***
affection .51 .11 .00 .00 .05 .01 .13 .03 .31 .06 .01 .00
R2 .27 .18 .31 .14 .16 .26
adjusted R2 .26*** .18*** .31*** .13*** .15*** .25***
F value 34.40 21.21 42.97 15.96 17.53 32.87

<Table 6>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variables MODEL 1 MODEL 2
b β b β
parental attachment
   trust 4.55 .20 3.39 .15
   communication 5.84 .28** 022 .20*
   affection 1.79 .07 1.29 .05
peer attachment
   trust 3.16 .11
   communication 10.18 .43***
   affection 1.56 .06
R2 .18 .41
adjusted R2 .17*** .40***
R2 Change - .23***
F value 20.31 3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