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5, No. 5, pp.649-664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Oct 2016
Received 22 Aug 2016 Revised 20 Oct 2016 Accepted 24 Oct 2016
DOI: https://doi.org/10.5934/kjhe.2016.25.5.649

웰빙·웰다잉과 공간과의 연계를 통한 공간 특성 및 계획지침

유복희 ; 이민아*
울산대학교 주거환경학전공
국립군산대학교 사회환경디자인공학부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lans Enabling Linkage between Well-Being, Well-dying and Space
Yoo, Bok-Hee ; Lee, Min-Ah*
Dept. of Housing & Interior Design, Ulsan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and Coastal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Lee, Min-Ah Tel: +82-63-469-4625, Fax:+82-63-469-7424 Email: leema@kunsan.ac,kr

ⓒ 2016,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Compared to the past, the current materialistic prosperous life, new recognitions about life, and the crisis of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resulted in prioritizing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human beings, and the quality of social and living environments. The social demand for dignified death, to enable a person to have the last moment of life with dignity and valuable services, is being emphasized. For this purpose, a spatial model has been prepared for the linkage of well-being, well-dying, and space. Well-being space was selected as environmentally friendly, well-being, and healthy housing, whereas convalescent hospitals, nursing facilities and hospice were selected as the spatial models for well-dying. Following the selections, plans for the well-being spaces and well-dying spaces were suggeste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approaches well-dy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mpletion of life rather than disconnection from life, and linking life and death with the spatial environment of ‘home’.

Keywords:

spatial model, well-being space, well-dying space, spatial characteristic, spatial plans

키워드:

공간모델, 웰빙공간, 웰다잉공간, 공간특성, 계획지침

Ⅰ. 연구의 배경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과거와 비교하여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삶과 건강에 대한 새로운 인식 그리고 환경오염에 대한 위기는 경제적 가치보다는 인간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과 사회환경 및 거주환경의 질을 우선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사회적으로 웰빙, 참살이 혹은 웰다잉 등에 관련된 워크샵이나 강연, 교육프로그램, 각종 서적 등이 개발되고, 관련 전문협회나 연구소 등이 설립되고 있다(Lee & Yoo, 2016). 또한 ‘잘 먹고 잘 살자’라는 웰빙(well-being)열풍은 2009년 존엄사 논쟁에서 촉발된 웰다잉(well-dying)으로 연결되었고, 최근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가칭 웰다잉법)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즉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에 합당한 서비스를 받으며 생의 마지막 순간을 의미 있게 맞을 수 있는 품위 있는 죽음, 즉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강조되고 있다(Yun et al., 2004; Park, 2013).

한편, 지금까지 웰빙이나 웰다잉의 주제는 유기농 식품이나 헬쓰케어 혹은 자기개발이나 성찰에 집중되어 있었고, 이를 공간 환경과 연계한 정보나 연구는 아직 없었다. 주거환경 측면에서 친환경자재나 아파트 단지 내의 산책로, 신제품 개발 측면에서 본 건강한 주거공간에 대한 정보제공에 그쳤고, 웰다잉과 연계된 공간관련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Lee & Yoo, 2016). 특히, ‘웰다잉은 웰빙의 완성단계’라는 관점에서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하는 공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웰빙·웰다잉 공간에 대한 정의를 정립하고 물리적, 정서적, 사회적 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공간의 계획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웰빙·웰다잉과 공간의 연계를 위한 공간모델을 설정하고, 공간의 특성 및 요소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웰빙·웰다잉 공간의 계획지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삶과 죽음의 질 향상을 웰빙과 웰다잉으로 보고 이를 공간과 연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웰빙 공간에 대해서는 친환경, 웰빙, 건강요소를 포함한 주거공간을 대상으로 하였고, 웰다잉 공간에 대해서는 치유요소를 포함하는 요양시설, 요양병원, 호스피스 공간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웰빙주거, 웰빙아파트, 건강주거, 친환경주거, 치유환경, 요양시설, 요양병원, 호스피스의 7가지 키워드로 문헌을 검색하고 내용은 공간계획, 계획요소, 평가를 조합하여 문헌을 추출하였다. 문헌은 2000년대 이후부터 2016년 6월까지 해당되는 대한건축학회, 한국주거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건설관리학회,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한국농촌건설학회의 학술지논문과 학위논문 등을 대상으로 문헌을 검색하였다. 연구내용과 관련 없는 논문을 제외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공간계획 관련 55편과 계획요소 및 평가와 관련된 84편의 총 139편의 문헌을 분석에 이용하였다<Table 1>.

Subject and the number of reference retried (N)

[Figure 1]

Research progress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1) 웰빙과 웰다잉의 기본 개념을 설정한 뒤, 이를 공간에 연계시켜 웰빙과 웰다잉 공간의 개념을 정립한다.
  • 2) 웰빙과 웰다잉의 개념이 공간과 연계되는 과정 및 경향의 분석을 통해 공간모델을 설정한다.
  • 3) 문헌고찰을 통해 웰빙과 웰다잉의 기본 개념에 준하는 공간의 특성 및 구성요소를 도출한다.
  • 4) 웰빙·웰다잉 공간의 계획지침을 제안한다.

Ⅱ. 웰빙·웰다잉과의 연계 공간모델 도출

1. 웰빙·웰다잉의 개념과 공간

웰빙(well-being)의 사전적 의미는 ‘편안하고 건강하며 행복한 상태’(Oxford)로 인간이 예속되어 있는 환경과 신체, 마음, 정신의 모든 국면이 가장 조화롭고 만족스러운 상태를 지칭한다. 웰빙은 인간 개인의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측면으로 이해되어져 왔고 삶에 대한 만족, 삶의 질 향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Lee & Je, 2005). 급격한 경제성장과 산업사회를 대표했던 80년대를 지나 사회적 안정기에 들어선 90년대부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행동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Lee & Yoo, 2016), 이후 다양한 형태로 신체적, 정신적 삶의 유기적 조화를 추구하는 움직임이 있기는 했지만, 포괄적 의미로서 ‘웰빙’이라는 이름을 얻은 것은 2000년 이후이다(Seo, 2005).

지금까지 웰빙은 건강과 관련하여 폭넓게 사용되어 왔는데 건강이라는 용어는 각 나라, 단체, 연구자들에 따라 그 정의가 매우 다양하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질병이 없기만 한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건강의 개념을 정의하였다(www. who.int/mediacentre). 즉, 웰빙은 현대산업사회의 병폐를 인식하고,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나와 가족을 중심으로 스트레스가 없는, 보다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려는 경향으로 나타난 새로운 삶의 문화 또는 양식으로 볼 수 있다(Lee & Je, 2005; Ha & Lim, 2005; Seo, 2005). 본 연구에서는 웰빙은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의 세 가지가 편향됨이 없이 조화를 이루며 풍요롭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사회적 문화양식으로 정의한다.

한편, 웰다잉은 ‘살아온 날을 아름답게 정리하는 평안한 삶의 마무리는 일컫는 말’(Naver Trend knowledge Encyclopedia2)로써 안락사나 존엄사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면서 나타났고(Lee & Yoo, 2016), 최근에는 현대인의 우울증, 1인가구의 급증으로 자살 및 고독사에 초점이 맞추어지면서 ‘좋은 죽음(good death)’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논쟁이 더욱 활발해지게 되었다. 웰빙이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것’이라면 웰다잉은 인간으로서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소망을 전제로 삶의 내면을 풍요롭게 가꿔 삶의 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사람이 사람답게 죽는 것’을 의미한다(Kim, 2013). 웰다잉 또한 어느 한 영역의 충족만으로 이루어질 수는 없으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통합이 이루어질 때 진정한 웰다잉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단순히 죽음을 잘 맞이하자는 것이 아닌 죽음을 준비하면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측면에서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삶의 마무리를 준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Lee(2003)는 집이 거주자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인생의 출발점인 동시에 도착점이며 탄생에서 죽음으로 끝나는 인생길에 놓인 간이역이라고 하여,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주거공간을 언급하였다. 이렇듯 주거는 물리적 특성뿐 아니라 사회적, 심리적, 감정적 의미를 내포하는 개념으로 그 장소에 거주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그 사람의 성격, 감성, 삶을 말하는 매체로서 정신적인 의미가 강조된다. 인간은 끊임없이 적극적으로 자기 자신을 위한 장소를 만들어 나가며, 자신의 개인적, 사회적 정체감을 주거를 통해 나타내고자 한다. 주거는 인간의 주거욕구를 표현하고 실현하는 공간이며, 주거를 통해 생리적인 기초적 욕구를 충족하는 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자아실현에 까지 단계적으로 실현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나타나는 공간이기도 한다. ‘집’은 인간에게 삶, 휴식, 여유, 돌봄, 행복, 그리고 자아실현이 장이며 가치 있는 삶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 즉 ‘웰빙의 공간’ 이어야 할 당위성이 존재한다.

한편, Yi-Woo(2008)는 집이 거주자가 살아가면서도 서서히 죽어가는 즉,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장소라는 점을 언급하면서, 반면 현대의 집은 오직 삶만을 존재시키게 되어 삶과 죽음이 극단적으로 분리된 양상을 띤다고 비판하였다. 실제 인생 말기의 환자들은 임종 장소로 대부분 ‘내 집’을 선호하고 있는데, 2012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가 말기 및 진행 암 환자 465명을 조사한 결과 75.9%가 돌봄 장소로 ‘가정’을 택했다. 그 이유(복수응답)로는 ‘익숙한 장소가 주는 안정감’(88.9%), ‘가족과 함께 지낼 수 있어서’(72.4%), ‘경제적 부담이 적어서’(51.4%) 등을 꼽았다(Kukmin Daily News, 2016). 이것은 ‘집과 같은’ 환경이 편안하고 익숙한 웰다잉 공간으로 선호되고, 생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측면에서 웰다잉을 위한 ‘집과 같은’ 공간의 인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종합하면 웰다잉은 웰빙의 한 과정이며 ‘집’은 전 생애적 공간으로서 ‘가치 있는 삶과 죽음’을 영위하는 공간이며, 인간은 이러한 삶과 죽음의 의미가 공존하는 ‘집’의 주체로 볼 수 있다. 즉, 웰빙과 웰다잉의 측면에서 ‘집’ 그리고 ‘집과 같은’ 환경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인의 건강한 삶, 노화, 질병, 죽음에 이르기까지 적합한 삶의 공간에 대한 계획을 통해 인간의 생애환경으로서의 의미가 존재한다. 따라서 웰빙 공간이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의 조화를 이루며 건강을 추구하는 삶을 지원하는 ‘집’의 공간으로 정의하며, 웰다잉 공간은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삶의 마무리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치유를 지원하는 ‘집과 같은’ 익숙한 공간으로 정의한다.

2. 웰빙과 공간의 연계모델 도출

인간의 웰빙 공간은 그 중심에 개인이 있으며, 개인으로부터 영역을 확장하여 주변을 둘러싼 환경의 개선을 통해 웰빙을 성취하고 공간을 만들어간다. 주거는 시대의 변화와 같이 성장·확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물리적인 건물체로서 대형화되고 공간의 기능이 복합화 되는 것과 함께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수요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기 때문이다. 즉 웰빙 공간은 물리적 특성만이 아닌 거주자의 주거가치에 시간의 경험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이 특성이라 할 수 있다. Kim(2005)은 거주자의 변화되는 주거요구를 수용해야 웰빙주거가 될 수 있다고 하면서, 공간이 담고 있는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가치 확립 및 표현의 중요성 즉, 친환경성과 더불어 친인간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공간에 대한 인간의 요구와 만족을 알아가는 것은 인간의 웰빙 공간을 파악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주거욕구는 충분한 공간 확보 및 기능적인 공간배치에 대한 공간기능을 강조하였다. 2000년대 들어 소득수준의 향상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회전반에 유행하고 있는 웰빙 개념과 함께 건강에 관심이 높아진 현대인에게, 환경과 건강을 고려한 주택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친환경주거, 건강주거라는 패러다임의 등장을 불러왔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건축적 시도와 지속적인 연구로 이어지고(Kim, 2005; Lee et al., 2005), 아파트 차별화 계획의 일환으로 웰빙 요소를 적용한 친환경아파트, 웰빙아파트, 건강아파트가 등장하였다(Kim et al., 2004; Choi, 2007). 주거의 근원적 기능은 웰빙의 개념과 맥락을 같이하는 장소적 개념이 추가되는 것이며 웰빙주거는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조화된 삶을 수용하는 주거라 할 수 있다(Seo, 2005).

현대사회에서 주거는 단순한 의식주 기능만이 아니라 복합적 생활기능과 문화를 수용하는 환경으로 새롭게 부가되어야 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건강관리, 안전증진의 기능이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유비쿼터스를 통한 지능형 홈(Smart Home)이다. 외부에서도 집안의 환경을 조정할 수 있어 유비쿼터스 컴퓨팅기반이 구축된 주거는 주거생활의 편리함과 안전함을 가능하게 해주는 합리적인 주거로 이해 될 수 있고(Kim, 2010), 이는 주거의 편리성과 안전성, 그리고 주거 내의 건강증진 측면에서 건강주거의 주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오늘날 지구촌의 화두는 친환경과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관한 것이다. 지속가능성이란 자연과 공존하며 우리의 필요한 것을 충족시키는 지속적인 인간 활동이며, 미래를 보장 받으며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의 모색을 의미한다. 현재의 건축계에서 중점적으로 거론되는 에너지절감과 절약, 신재생에너지의 사용 등도 건강한 가치실현의 충족이란 측면에서 건강주거의 한 요소가 되어야 할 것이다(Chun & Kim, 2013).

따라서 사회적 문화양식인 웰빙의 개념이 삶의 공간 환경인 ‘집’과 연계된 웰빙 공간의 연계모델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개인의 주거가치 및 욕구의 실현이 중요한 매개로 작용하면서 편리하고 자연친화적인 그리고 안전하며 에너지 절약을 지원하는 친환경주거, 웰빙주거, 건강주거로 설정하였다.

3. 웰다잉과 공간의 연계모델 도출

웰다잉을 수용해야 하는 공간 즉 ‘집과 같은’ 환경은 치유환경의 개념과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치유환경은 의료시설 중심으로 사용된 개념으로 질병의 회복을 위한 치료적인 처치의 의미를 넘어 편안하고 익숙한 ‘집과 같은’ 환경을 만들어 환자 자신에게 내재하는 자연 치유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으로 접근한다. 치유환경의 조성은 의료시설뿐만 아니라 모든 시설에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요소이며, 단순히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인 요소를 제거하는 환경으로부터 총체적 건강을 위해 보다 긍정적 요소를 제공하는 적극적인 환경의 의미로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개념으로 확대된다(Lee & Lee, 2014). 따라서 치유환경은 인간의 건강 및 삶의 질에 접근해가는 총체적인 방법론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이는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문화적 지원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Park & Moon, 2011; Lee & Lee, 2014).

죽음을 앞두거나 예견되는 말기환자의 대부분은 일상생활에 대한 자립의지가 높으나 체력의 저하, 신체의 마비 및 신체기능의 저하로 운동장애와 함께 생활동작이 제한된다. 또한 정서적, 종교적으로 다양한 부정적 감정(부정, 분노, 타협, 우울, 수용, 상실감, 무기력, 불안, 공포, 고독감, 포기, 애통, 두려움, 외로움, 슬품, 격리, 절망, 근심, 걱정 등)이 행동으로 표출되므로 일상생활에서도 많은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Lee & Kim, 2006).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 호스피스 시설 등의 경우 환자 또는 노인들이 입소하여 사망에 이르기까지 생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방문객과 직원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 모두를 포용하는 치유환경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치유환경은 몸과 마음, 영혼을 치유해 주는 공간이자 존중감과 존엄성이 녹아 있는 공간으로 삶과 죽음, 아픔과 치유가 핵심이며, 웰다잉 공간은 죽음을 기다리는 단계가 아닌 죽음을 준비하는 단계 즉, 삶의 일부분으로 보는 생애적 관점에서 ‘집과 같은’ 공간으로의 치유환경이 요구된다.

또한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전문병원은 돌봄과 생활보조서비스의 제공을 장기간 요하는 기관인데 비하여, 호스피스 병동은 임종을 앞 둔 환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비교적 단기간의 돌봄 및 치유를 갖는다는 대상 환자의 차별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수대상을 위한 웰다잉 공간의 치유는 현재의 상태를 수용하고 그들이 가진 신체적 조건은 물론 심리와 정서, 사회적 그리고 종교적 가치를 지원하는 총체적인 환경의 조성이 요구된다. 즉 웰다잉과 공간의 연계모델은 돌봄과 치유, 임종을 포함하는 ‘집과 같이’ 편안하고 익숙한 치유환경의 공간으로 요양시설 및 요양병원, 호스피스로 설정하였다.


Ⅲ. 웰빙·웰다잉 공간의 특성 및 구성요소 도출

1. 웰빙공간의 특성 및 구성요소

웰빙 공간의 연계모델인 친환경, 웰빙, 건강주거의 평가 및 계획요소를 파악하여 웰빙 공간의 특성과 구성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Table 2>.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in well-being space

먼저 친환경 계획개념을 적용한 주택 또는 주거단지의 계획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에너지 및 자원이용의 효율성 제고를 통한 환경부하 저감과 인간의 편의성 및 만족도 증진을 통한 삶의 질 확보가 동시에 충족되는 계획과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속성을 갖고 있다. Kim(2002)은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한 환경친화건축의 목표를 환경부하 저감, 환경친화·환경공생, 거주환경의 쾌적성으로 한 뒤, 이에 대응하는 평가요소를 제시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거주자의 생활단위 공간에 대한 고려가 축소되어 있다. Lee(2005)은 단위주거 공간에 초점을 맞추어 친환경 주거공간을 ‘건축물의 공간계획, 재료, 설비, 실내환경 관리부분에서 에너지 및 자원을 절약하고 순환시킴으로 환경부하를 저감하고, 자연요소 도입 등으로 주변 환경과의 연계를 꾀하며, 실내환경 기준을 준수하여 쾌적성을 높임으로써 인간의 건강성 증진을 추구하는 주거 공간’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친환경 주거공간은 주택과 단지라는 공간적 범위를 가지고 주변환경이 지구환경 문제에 대응하고 환경친화적으로 유지되면서 거주자를 둘러싼 환경과의 조화와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주거라는 특성을 가진다.

웰빙이라는 사회적 요구 트랜드가 공간에 적용된 웰빙주거, 웰빙아파트, 건강주거의 개념을 가진 공간의 계획 또는 평가요소를 다룬 연구들을 살펴보면, Seo(2005)은 아파트 지원공간의 웰빙요소를 첨단기술, 취미생활, 실내환경 및 실내공간 요소로 구분하였으며, Kim et al.(2004)는 부산지역 잠재 수요자를 대상으로 웰빙아파트의 요소를 쾌적한 환경설비, 친자연환경, 마감재, 여가시설, 기타 편의시설로 구분하였고, Lee 와 Je(2005)은 건강, 물리적 환경, 자연, 편의, 커뮤니티, 개인개발, 안전의 요소로 설정하고, 단위세대의 계획요소와 단위건물 및 단지계획요건으로 구분하였다. Choi(2007)은 친환경과 관련하여 계획차원, 단지차원, 공동시설차원, 주동 및 주호차원으로 각 세부요소를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웰빙주거, 웰빙아파트 등의 계획요소는 실내거주자 중심의 공간계획과 물리적 요소가 강화되어 있다.

건강주거와 관련한 계획특성을 살펴보면, Ha 와 Lim(2005)는 웰빙트랜드에 따른 아파트의 건강관련 실내디자인 요소를 제시하고, 신체적 건강요소는 공기환경, 온열환경, 음환경, 빛환경, 특수공간, 위생, 건강진단프로그램으로, 정신적 건강요소로는 자연요소 도입, 안전성, 프라이버시 분위기, 특수공간 제공 등을 설정하였다. Cho 와 Kang(2010)은 건강주거를 건강을 지원하며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주거로 개념화하고, 건강주거 수준의 평가를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관리적 차원으로 제시하였고, Kim(2010)은 건강주거의 계획특성을 쾌적성, 안전성, 편리성, 건강성으로 구분하고 이에 해당하는 평가요소를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건강주거와 관련한 계획특성은 신체적 건강뿐만이 아닌 정신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지원을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고찰에서 웰빙 공간은 친환경주거의 개념으로 시작하여 건강주거의 개념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친환경주거는 대부분 설계 및 시공, 관리 등의 실천적 전략을 목표로 하고 외부환경을 주시한 요소들을 많이 내포하고 있으나, 웰빙주거, 건강주거는 그 주택에 살고 있는 거주자의 가치 있고 건강한 삶의 방식, 가치실현에 목적을 준 개념으로 실내환경의 향상이 고려되는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개인의 보편적 건강과 안위에 대한 주관적 개념이 웰빙의 주요 개념으로 인식됨에 따라 장시간 거주하는 단위세대 계획요소가 주요하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건강주거는 단지계획측면에서 친환경주거와의 다른 의미가 추가되기도 하는데, 자연에너지의 활용과 재생에너지 등을 통한 환경부하저감은 에너지절감의 실현기술과 함께 관리비 절감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고, 지구환경 보호라는 사회적 공헌가치 또는 정신적 건강가치에 중심을 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즉, 웰빙 공간과 관련된 이러한 접근은 피상적이고 광범위한 친환경주거의 개념에서 거주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위한 구체적인 건강주거의 계획 및 실현으로 이어지는 차별성을 가진다.

한편, 웰빙 공간의 계획 및 평가요소 구분은 각 연구자마다 많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건강증진을 추구하는 개념적 가치는 연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웰빙 개념에 준하여 공간을 물리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으로 구분하고 선행연구들을 재분류하고 분석하였으며, 중복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것은 중복표기를 하였다. 분석과정은 본 연구자들을 포함한 5인의 전문가가 각자 특성가치를 판단하고 이를 비교·평가하고, 판단의 차이가 발생한 경우 논의 후에 결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친환경주거, 웰빙주거와 관련되는 구성요소는 물리적 공간특성에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건강주거는 웰빙 개념에 근거한 물리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이 공간 구성요소가 상대적으로 고르게 제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들을 토대로 웰빙 공간은 쾌적한 실내환경, 친환경 자재, 편리하고 기능적이며 첨단적인 공간 구성, 위생, 건강 프로그램, 프라이버시, 친자연환경, 안전, 건강 공간, 커뮤니티, 편의시설, 에너지절감 시설 등의 특성이 있다. 이를 구체화시키는 요소로는 온·습도, 공기, 채광 및 조명, 소음, 효율적 공간배치, 편리한 공간, 음식물처리, 정수, 청소 시스템, 원격진료서비스, 웰빙룸, 실의 배치, 프라이버시, 실내정원, 자연채광, 옥상정원, 녹지, 실개천 및 연못, 방범시설, 내부 방재시스템, 주차장 경비, 안전 놀이공간, 취미공간, 손님 접대공간, 공동텃밭, 산책로, 운동시설, 부대시설, 원격조정 자동화시스템, 수자원 재활용, 단열, 태양광, 친환경조명 등이 제시되었다.

이를 기본으로 웰빙 공간의 물리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의 정의와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물리적 측면에서의 웰빙 공간은 신체적 건강증진을 지원하는 물리적 환경 요소, 신체적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조건의 제거를 지원하는 특성을 가진다. 여기에는 친환경자재의 사용, 물리적으로 쾌적한 실내환경의 제공, 효율적이고 편리한 공간의 구성, 음식물 처리, 정수 및 청소시스템과 관련한 위생공간 조성, 원격진료시스템, 웰빙룸과 같은 건강관련 요소가 제시된다.

정서적 측면에서의 웰빙 공간은 불안정한 긴장감을 없애 정신적, 심리적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특성을 가진다. 프라이버시 확보, 실내정원, 발코니, 옥상정원 등의 친자연 공간, 자연채광, 외부의 풍부한 녹지와 실개천, 연못 등을 통한 자연교감의 공간, 새로운 첨단기술의 도입으로 기능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등의 요소가 제시된다.

사회적 측면에서의 웰빙 공간은 개인에게 부과된 사회적 기능을 다해 사회생활에 잘 적응하는 상태로의 사회적 건강을 지원하는 특성을 가진다. 취미공간, 손님접대공간과 같은 특수공간, 공동텃밭, 산책로, 실내외 운동시설과 같은 공동생활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시설과 편의시설, 수자원 재활용, 단열, 태양광, 친환경조명 등과 같은 에너지절약 관련 요소를 제시한다.

2. 웰다잉 공간의 특성 및 요소

요양시설, 노인병원, 호스피스, 치유환경, 계획평가 및 요소 등을 키워드로 선행연구 및 문헌들을 고찰하여 웰다잉 공간의 치유환경에 관련한 특성 및 요소를 도출하였다. 치유환경을 다루는 선행연구들은 공간의 특성에 따라 여성전문병원, 일반 의료시설, 치매 등을 케어하는 요양시설과 노인전문병원, 호스피스 병동 등을 대상으로 치유환경을 다루는 논문이 있었다. 여성전문병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Park et al., 2007; Hwang et al., 2006)는 치유환경의 특성을 물리적 환경의 쾌적성과 심리적 측면, 그리고 가족 공간이 고려되는 등 사회성에 주목하여 공간요소를 제시하였다. 일반병원에서의 치유환경을 언급한 연구는 대부분 심리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환경의 공간구성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Cho & Park, 2002; Park, 2011; Lee & park, 2002).

본 연구에서 웰다잉의 공간모델로 제시된 요양시설과 요양병원, 호스피스 등을 대상으로 하는 치유공간의 특성 및 구성요소를 파악하였다. 각 연구주제별 치유환경의 구성요소 등에 대한 내용은 <Table 3>와 같다. Choi et al.,(2003)은 호스피스병동을 대상으로 치유환경 계획을 위한 자연환경 조절요소로서 빛, 온도, 공기, 경관, 생물을 제시하고, Lee 와 Kim(2006)은 말기환자의 특수성을 고려한 각 행위적 또는 신체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시설의 건축적 요소를 제시하고, 그 외에 정서적, 사회적, 그리고 종교적 특성에 따라 세부적 요소를 구분하였다. Cho 와 Lee(2010, 2011)은 치매전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An(2014)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시설을 대상으로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환경을 치매노인의 행동특성에 대한 조절에 중점을 두어 인지성, 안전성, 프라이버시, 자극의 조절 및 질, 지원성, 선택자율성, 자아유지, 커뮤니티환경 조성으로 구분하여 계획요소를 제시하였다. Song 과 Choi(2009)는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치유환경을 쾌적성, 안전성, 영역성, 거주성, 사회성으로 구분하였고, Kim et al.,(2010)은 노인전문병원을 대상으로 심리적 행동특성을 중심으로 안전성, 쾌적성, 거주성, 인지성, 사회성으로 구분하였고, Cung(2012)은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치유환경 항목으로 공간적, 심리적, 쾌적성, 사회적 특성 요소로 구분하고 있다.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in well-dying space

Choi(2013)은 문헌고찰을 통하여 노인전문병원의 물리적 디자인과 환경이 여러 다양한 건강관련 성과(health-related outcomes)에 기여하고 있음을 밝혀내고 약물사용의 감소, 넘어지는 사고와 낙상의 감소, 배회 행동의 감소, 직접적인 삶의 질 향상, 웰빙 향상, 수면의 질 및 패턴의 개선, 불안한 행동 감소, 인지적, 신체적 수행능력 개선, 공간 방향감과 길찾기 능력지지, 신체적 활동 증대 등 10개의 성과를 제시하였다. Chung(2015)은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심리적인 관심전환환경 요소를 추출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환경을 공간적, 심리적, 사회적 요소로 구분하고 공간적 요소로는 조망, 자연물, 인공물, 운동공간, 치유정원으로, 심리적 요소로는 미용·몸단장 공간, 프라이버시 유지공간, 식사·음료공간, 회상을 위한 환경, 종교공간으로, 사회적 요소로는 공용 거실공간, 활동·취미공간, 가족, 방문객 공간, 정보교류공간, 지역사회 교류공간을 제시하였다.

한편, 선행연구의 구성요소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웰다잉 공간을 물리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특성으로 재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분류 및 분석의 과정은 전술하였던 웰빙 공간의 특성 분석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며, 분석결과는 <Table 3>와 같다. 선행연구를 통해 각 연구자들은 기본적으로 환경과 치유와의 연계관계를 인식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웰다잉 공간의 연계모델로 제시한 요양시설, 요양병원, 호스피스병동 등의 공간은 특정대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행동 특성 및 지원에 주목하고 물리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환경 측면의 특성을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물리적 측면에서 일부분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들을 토대로 웰다잉 공간의 특성은 쾌적한 실내환경, 안전, 공간규모 및 배치, 프라이버시, 자연환경, 심미성, 거주성, 편안한 환경, 가족의 편의, 여가 및 활동유도 등으로 도출되었으며, 구체적인 구성요소로는 소음, 온습도, 공기, 채광 및 조명, 공간배치, 규모, 마감재, 안전 공간, 베리어프리, 프라이버시, 화장실 근접, 개인물품 전시 및 수납, 정원, 옥상, 자연교감, 자연조망, 재료색채, 나무 재질, 예술작품 감상, 음악치유, 거주성, 명상, 가족편의, 활동유도, 정보수집, 휴식, 교류활동, 기분전환, 흥미유발, 종교, 임종 등의 요소가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하여 웰다잉 공간의 물리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특성의 정의와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측면에서의 웰다잉 공간은 신체적 치유를 목적으로 가시적이고 측정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인 요소로는 소음, 온·습도, 공기, 채광 및 조명과 같은 실내환경, 베리어프리의 안전성, 공간 규모 및 배치 등과 관련된 요소로 구성된다.

둘째, 정서적 측면에서의 웰다잉 공간은 심리적 치유를 목적으로 주관적인 인간 내면의 안정과 편하고 익숙한 가정적인 분위기를 지원하는 특성을 가진다. 구체적인 요소로는 개인실, 화장실, 개인물품 수납 및 전시, 공간구분과 같은 프라이버시 관련요소, 정원, 옥상, 자연교감, 자연 조망 등과 같은 자연환경 요소, 색채, 나무 재질, 예술작품 및 음악 등 심미성을 지원하는 요소, 휴식, 여가, 취침 등과 같은 거주성을 조성하기 위한 요소로 구성된다.

셋째, 사회적 측면에서의 웰다잉 공간은 인간의 내면과 반공적 또는 공적 공간에서의 상호작용과 교류 행위를 지원하는 특성을 지니며, 가족 및 친지를 비롯한 인간관계를 위한 공간의 배려, 가족의 편의를 위한 요소와 흥미 공간, 소그룹활동, 휴식, 기분전환, 활동유도 등과 관련한 요소로 제시된다.

넷째, 영적 측면에서의 웰다잉 공간은 영적 치유를 목적으로 죽음을 가치 있게 맞이하는 것을 지원하는 특성을 가지며 명상, 임종, 종교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Ⅳ. 웰빙·웰다잉 공간의 제안

1. 웰빙 공간의 계획지침

웰빙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질병이 없는 건강한 상태뿐 아니라, 직장이나 공동체에서 느끼는 소속감이나 성취감의 정도, 여가생활이나 가족간의 유대, 심리적 안정 등 다양한 요소들을 웰빙의 척도로 삼는다.

삶의 질 향상이라는 주거요구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모두 수용하는 웰빙 주거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Seo, 2005). 거주자들은 단지와 세대 내에서 편안하고 안락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걷기, 자전거타기 등과 같은 육체적 건강 활동과 요가나 명상, 취미생활 영위를 위한 정신적 건강 활동(Seo, 2005; Lee & Je, 2005), 그리고 친환경으로 대변되는 로우테크(Low-Tech)와 첨단기술의 하이테크(High-Tech)적 개념을 동시에 요구하게 되었다. 유해물질과 같은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를 줄이고 편리한 생활을 위한 여건을 조성함은 물론, 일상생활의 편의를 위한 부가시설이나 자연요소와의 접촉을 통한 심신회복이 주거생활의 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Kim et al., 2004; Lee & Je, 2005). 친환경을 적극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자연환경의 훼손을 줄이고, 인간친화적,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며, 친환경 건축자재를 사용하고, 자원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면서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주거계획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건강주거는 그 자체가 건강한 집이 될 수도 있고, 그 안에 사는 사람의 건강을 지원해주는 기능을 가진 집이 될 수도 있다(Lee et al., 2005).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고찰을 바탕으로 웰빙 공간의 물리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과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계획지침을 제안한다.

첫째, 물리적 측면에서의 웰빙 공간은 다음과 같은 계획지침을 제안한다.

  • 1) 생태계 및 자연경관을 고려한 배치를 통하여 일조 및 조망, 통풍 등을 고려하고, 지역성을 고려한 미기후 및 지형, 지세를 이용하여 자연환경과 주거공간과의 연계를 최대한 고려한다.
  • 2) 쾌적한 실내환경의 조성을 위한 물리적 환경요소에 대해 적절한 계획이 고려되어야 한다. 세대간 및 외부환경에서 들리는 소음이 차단되고, 온·습도조절, 난방조절장치, 단열 등이 고려되어 실내에 열적으로 쾌적하게 지낼 수 있도록 계획한다. 냄새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설비 및 장치가 계획되고, 실내 자연통풍이 가능한 큰 창, 실내에는 화학물질의 발생이 적은 친환경 실내마감재 및 가구 등을 사용하여 쾌적한 실내공기의 질을 유지하여 건강에 증진시켜야 한다. 또한 눈부심이 없는 자연스럽고 편안한 조명을 계획하고, 루버나 차양시설이 설치되어 햇빛을 조절하도록 계획하고, 실내에 충분한 채광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 3) 효율적이고 편리한 공간의 구성을 계획하여 편리성, 효율성, 거주성을 증진시켜야 한다. 효과적인 수납시스템을 사용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계획하고, 가변형 시스템이 적용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주택 내 발코니가 넓고 채광이 잘되는 웰빙 부엌과 자연채광이 잘 되는 웰빙 욕실을 계획한다. 주택 내 환자나 노약자를 배려한 설비나 시설을 계획한다.
  • 4) 음식물 처리, 정수 및 청소시스템과 관련한 위생공간의 조성이 계획되어야 한다. 음식물 쓰레기 및 재활용 처리시설이 설치되고, 중앙정수시스템으로 깨끗한 물을 공급한다. 주택 내 중앙 집진식 청소시스템을 설치하여 청소가 손쉽게 할 수 있는 위생공간의 배려가 고려되어야 한다.
  • 5) 주택내 병원과의 원격진료서비스로 건강진료가 용이하도록 계획하고, 주택 내 운동이나 웰빙룸 등과 같은 건강관련 요소를 고려한다.

둘째, 정서적 측면에서 웰빙 공간은 다음과 같은 계획지침을 제안한다.

  • 1) 웰빙 공간은 실내·외 환경으로부터 프라이버시가 확보되는 것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데, 가족간 프라이버시의 유지뿐 아니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될 수 있는 공간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 2) 외부의 자연친화적 환경을 고려한다. 전원주택의 경우 녹지를 포함하고 있는 대지의 선정과 어우러지는 배치를 고려하고, 도시주택의 경우에는 인공적인 자연환경을 만들어 인공적인 건물의 차가운 요소로부터 격리되어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테마정원 등을 계획한다.
  • 3) 내부의 자연친화적 공간을 조성하여 정서적 건강을 지원한다. 실내정원, 발코니, 옥상정원 등의 친자연 공간이 조성되며, 자연채광이 충분히 실내로 도입되고 풍부한 녹지와 실개천, 연못 등을 통한 자연교감 공간, 주택내 실내정원 설치가 가능한 공간 등이 계획되어야 한다.
  • 4) 새로운 첨단기술의 방범 및 안전시스템의 도입을 통해 안전성을 증대시켜야 한다. 초고속 정보통신 도입으로 주택내부에 원격조정 자동화시스템을 구비하여 외부공간에 안전한 방범시설, 주택내부에 긴급사황 모니터링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보안 및 방재시스템을 계획한다. 주차장은 외부인 통제와 경비가 이루어지고 근처에 자연을 활용한 안전한 놀이시설로 계획한다.

셋째, 사회적 측면에서의 웰빙 공간은 다음과 같이 계획지침을 제안한다.

  • 1) 취미공간, 손님접대공간과 같은 특수공간을 제공하여 사회적 인간관계를 증대시킨다.
  • 2) 공동생활을 지원하는 시설과 공간이 계획되어야 한다. 근처에 건강 산책로 및 조깅코스, 테니스장 등 다양한 실외 운동시설과 헬스센터나 요가 등의 실내 운동시설을 계획한다. 또한 근처에 DVD실, 카페, 영화관 등 다양한 부대시설로 여가활용이 쉽도록 계획한다.
  • 3) 우수·중수 등의 수자원 재활용, 단열 시공으로 냉·난방으로 인한 에너지를 절약, 주택내 태양광을 이용하여 에너지절약, 조명 등의 친환경 조명으로 교체하여 에너지절약관련 요소를 증진시키는 공간이 제공되어야 하며, 에너지를 절약을 통한 경제적 측면과 함께 지구환경에 공헌하는 사회적 가치실현의 기여를 고려한다.

2. 웰다잉 공간의 계획지침

병원이나 호스피스병동, 요양시설에서 죽음을 맞게 되는 경우 환자의 프라이버시와 존엄상실의 문제가 가장 크다(Porock et al., 2009). 지금까지의 병원의 물리적 환경은 관리와 기능위주의 시설적 성격이 강했기 때문에 환자들에게는 고통스럽고 무의미한 장소로 전락되어 탈피감, 사회 기피적 행위, 정신, 신체, 장애적 질환 등의 부적응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Park & Choi, 2007). 환자가 보유한 능력을 유지, 증진시키고, 그들의 자존감, 독립감, 자율감을 높일 수 있는 공간계획과 적정한 오감의 자극과 인지 및 지각환경이 필요하다. 비단 환자뿐 아니라 가족과 친지, 성직자, 방문자, 그리고 의료요원들의 신체적, 정신적 안정을 위해 물리적 장애를 없애고 스트레스를 낮춘 공간에서 적극적으로 케어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환경을 갖추어야 한다(Cho & Park, 2002; Kim, 2008; Lee & Kang, 2013). 실내환경 요소에 영향을 주는 실의 배치방식과 효율적인 동선, 병실과 가족공간의 연계적 구성, 마당과 같은 외부공간의 필요성도 제기된다(Lee & Kim, 2006). 특히, 의료시설에서의 사생활 보호는 치유환경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는데(Lim & Shin, 2012; Chung, 2015), 가변성이 확보된 넓은 1인실 혹은 최소 2인실의 공급을 통해 빛, 소음, 공기 등 적절한 실내 환경의 요소가 확보될 수 있고(Cho & Park, 2002; Park, 2011), 적절한 규모의 개인 거주실은 조망과 자연물, 인공물, 미용·몸단장, 정보교류 등 모든 요소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국내에서 가장 변화가 필요한 공간 중 하나로 보고 있다(Chung, 2015).

이상의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하여 웰다잉 공간의 물리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측면의 특성과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계획지침을 제안한다.

첫째, 신체적 치유를 위한 웰다잉 공간은 다음과 같은 계획지침을 제안한다.

  • 1) 실내의 물리적 환경과 관련하여 자연광과 조명시설의 조도를 최적화하고, 냄새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환기시스템과 개방이 가능한 큰 창문 등을 이용하여 공기흐름이 조절되도록 계획하며, 가구 등에 친환경자재를 사용하여 실내오염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환자의 특성상 소음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므로 이를 고려한 병실의 배치는 물론 외부 또는 인접한 복도 등에서 들리는 소음의 방지를 고려하고, 병실에는 온도 및 습도 등이 환자가 조절 가능한 환경 내에 있도록 계획한다.
  • 2)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병실, 화장실 및 이동공간에는 미끄럽지 않은 바닥마감재를, 이동 공간 벽에는 핸드레일을 설치하는 등의 보행 및 생활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또한 환자의 신체통증 완화를 위해 수시 관찰이 요구되므로 동선 단축과 간호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병실과 간호대기실의 관계가 밀접할 필요가 있다.
  • 3) 공간의 규모 및 배치 등의 배려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환자 공간 중에서 병실의 크기는 일반 병원시설보다 넓게 계획되어야 하고, 1인실과 2인실 위주로 구성하며 가변성이 확보된 1인실을 공급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화장실 등은 생활공간과의 인접배치가 유리하며, 병실 또는 환자실의 배치는 채광, 환기, 환자의 프라이버시 등에 대한 침해를 개선하기 위해서 중정형 편복도 방식이나 중복도+편복도 방식이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정서적 치유를 위한 웰다잉 공간은 다음과 같은 계획지침을 제안한다.

  • 1)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는 공간계획 및 일반시설과의 분리, 타환자의 면회객 등의 시선을 차단하여 심리적 위축 및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배려가 되어야 한다. 또한 환자가 애착을 가지고 있는 기호품, 물건 등을 보관하거나 감상할 수 있는 진열 및 장소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 2) 환자에게 유익한 자연요소를 적극 도입하여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치유공간을 고려해야 한다. 정원, 그린 하우스, 산책로, 분수, 연못 등에 의해 자연과의 교감을 할 수 있도록 고려하고, 병실 및 복도 등에는 외부 조망이 가능하고, 자연채광이 충분히 유입되는 공간으로 계획하고 환자가 외부로 찾아나가지 않더라도 시간의 흐름,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 3) 환자에게 감각 등의 자극을 통한 심미성을 제공함으로써 정서적 안정과 쾌적함을 주고자 하는 공간적 배려가 있어야 한다. 병실 등의 가구 및 마감재료는 부드럽고 차분한 색채의 사용과 나무와 같이 부드럽고 따뜻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등의 배려가 고려되어야 하고, 또한 시각적인 안정을 위한 병실에 예술작품 및 미적요소(심미적으로 아름다운)가 갖추어져 있도록 계획한다.
  • 4) 병실 공간에서도 집과 같은 거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려가 고려되어야 한다. 병실내 공간분할은 단순히 커튼이나 파티션으로 병상을 분할하기 보다는 최대한의 시각적 차단을 위한 공간구성을 구획하고 근본적으로 병상 당 면적을 확대하여 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한다. 공용공간은 편한 분위기로 거주성(휴식, 식사, 오락, 모임 등)을 높인다. 병동 복도는 이동 통로로서의 주기능 외에도 병동 이용자의 배회 및 재활운동, 담소, 면회, 면담 등의 다양한 생활상이 반영되는 거주공간으로, 병실 체류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벗어날 수 있는 디자인과 채광, 환기 등이 고려된 쾌적한 환경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Figure 2]

Injection room for anticancer (www.mjcancer.com)

셋째, 사회적 치유를 위한 웰다잉 공간은 다음과 같은 계획지침을 제안한다.

  • 1) 가족의 편의를 위한 공간의 확보는 중요하다. 환자와 그 가족들을 위한 공간을 구분하여 계획하여야 하고 가족의 체제기간이 긴 독립형 호스피스와 같은 시설에서는 가족을 위한 공간의 세분화된 구성이 요구된다. 환자와 가족을 고려한 병실은 가족들과 함께 있을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면적으로 하고, 가족 및 친지방문에 따른 별도의 침실(휴식 등)이 요구된다. 보호자(가족)들의 물품보관 등을 위한 공간도 계획한다.
  • 2) 프라이버시가 확보되는 소공간의 휴게실을 고려해야 하고, 각각 특색 있게 계획하여 환자가 기분이나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별성과 선택권이 존중되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즉, TV시청실, 방문객 면회실, 휴게만을 위한 장소, 책을 읽거나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취미공간, 식당 등을 구분하여 설치하고 환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간이 의료도서관 혹은 컴퓨터실 등과 같은 정보 수집을 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한다.
  • 3) 활동을 유도하여 기분전환 및 사회적 교류를 유도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한다. 병실이나 복도의 창문 등을 통해 환자가 직접 외부 정원이나 테라스 등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하고 정원공간에는 산책로, 휴식공간, 감상공간 등을 마련하여 활동을 배려한다. 동물(개, 물고기)을 키우고, 텃밭이나 비닐하우스 등에서 꽃이나 채소를 재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무기력, 상실감, 우울 등의 정서적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미용실, 취미실, 영화관 등과 같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공간 조성이 요구되며, 미용. 몸단장을 위한 공간 조성을 고려한다.

넷째, 영적 치유를 위한 웰다잉 공간은 다음과 같은 계획지침을 제안한다.

  • 1) 타협, 우울, 수용에 따른 사색, 명상으로 영적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자연 공간, 명상 정원 및 명상 공간 등을 계획한다.
  • 2) 불경, 찬송을 위한 조용하고 격리된 공간을 계획하여 종교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3) 유언, 프라이버시, 비밀유지 요구 등의 신변 정리를 위하여 임종을 가까이 둔 환자나 가족들을 위한 임종실을 계획한다.
[Figure 3]

Harmonious with nature an annex space to the Chorakdang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삶과 죽음의 질 향상을 웰빙과 웰다잉으로 보고 이를 공간과 연계시켜 그 공간의 특성 및 계획지침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언을 한다.

  • 1) 웰빙이란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이 조화를 이루는 삶을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개념이다. 이러한 웰빙의 개념과 공간을 연계시키는 공간모델은 ‘건강한 주거’ 이며 시간의 변화에 따른 개인의 주거가치 실현이 중요한 매개로 작용하여 친환경주거, 웰빙주거, 건강주거로 도출하였다. 웰빙공간은 신체적 건강증진을 지원하는 물리적 특성, 정신적․심리적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서적 특성, 개인에게 부과된 사회적 기능을 다해 사회생활에 잘 적응하는 상태로의 사회적 건강을 지원하는 사회적 특성을 가지는 공간으로 정립하고 이에 해당되는 계획지침을 제안하였다.
  • 2) 웰다잉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그리고 영적 측면에서 가치 있는 삶의 마무리를 준비하는 것이다. 웰다잉과 공간의 연계모델은 특수대상을 위한 돌봄과 치유, 임종을 포함하는 ‘집과 같은’ 편안하고 익숙한 치유환경의 공간으로 요양시설 및 요양병원, 호스피스로 설정하였다. 웰다잉 공간은 신체적 치유를 지원하는 물리적 특성, 심리적 치유를 목적으로 편하고 익숙한 가정적인 분위기를 지원하는 정서적 특성, 인간의 내면과 반공적 또는 공적 공간과의 상호작용과 교류 행위가 이루어지는 사회적 특성, 영적 치유를 목적으로 죽음을 맞이하는 영적 특성을 가치를 가지는 공간으로 정립하고 이에 해당되는 계획지침을 제안하였다.
  • 3) 본 연구에서 웰다잉은 삶과 단절된 것이 아니라 삶의 완결 측면에서 접근하고, 삶과 죽음을 ‘집’의 공간 환경과 연계시켰다는 특성이 있다. 웰빙과 웰다잉, 이 두 가지 개념의 합일점을 찾아 공간과 연계시키는데 지금까지 영양 및 식단, 건강관리 차원, 개인의 심리 사회적 준비로만 다루어지던 웰빙과 웰다잉에 대해 인간의 공간 환경요소로 접근을 시도한 것에 의미를 가진다. 대부분 현대인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공간이 집이 아니라는 현실을 고려하여, 임종단계에서 사람들이 접하게 되는 공간인 병원이나 요양병원, 호스피스에 대해 낯설음과 친밀함의 개념적 접근에 근거하여 웰빙 공간의 특성 및 계획지침과 마찬가지로 웰다잉 공간을 ‘집과 같은’ 환경으로 접근을 시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4) 본 연구는 웰빙과 웰다잉이라는 개념을 사회적, 그리고 고유한 개인적 문화양식 및 가치로 출발한 것에 기인하여 공간을 개인공간과 가족의 공간이라는 범위로 제한하여 연구가 이루어졌고, 국내의 문헌을 중심으로 계획지침을 도출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웰빙과 웰다잉 공간의 계획지침을 평가도구로 개발하여 이를 통한 추후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진정한 웰다잉의 공간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6년도 울산대학교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An, E. H., (2014), Analysis of the factor for therapeutic environment in the group-hom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using AHP,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0(10), p63-70. [https://doi.org/10.5659/JAIK_PD.2014.30.10.63]
  • Cho, K. H., & Park, J. S., (2002), An architectural planning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hospice based on typology,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8(1), p45-52.
  • Cho, J. Y., & Lee, H. W., (2010),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lderly care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using the therapeutic environment elements,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16(1), p25-33.
  • Cho, J. Y., & Lee, H. W., (2011), A study on the assessment procedure for therapeutic environment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with dementia consider physical environment and therapeutic element,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3(1), p101-110.
  • Cho, S. H., & Kang, N. N., (2011),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healthy housing quality of multi-family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1), p43-55. [https://doi.org/10.6107/JKHA.2011.22.1.043]
  • Choi, J. Y., Kim, Y. E., & Kang, B. K., (2003), A study on the method to the healing environment of the hospice facility,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2), p115-118.
  • Choi, K. S., & Kim, K. C., (2002), A study on the supportive design conditions for the hospital stress in Korea,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8(1), p61-67.
  • Choi, Y. J., (2007), Present condition and preferences on well-being elements in apartmen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1), p61-72.
  • Choi, Y. S., (2013), A study on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that promote safety, quality of life, and health of elderly patients,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19(3), p7-19.
  • Chung, M. R., (2012), A study on the order of healing environment of nursing homes by maslow’s hierarchy of nee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1(1), p240-247.
  • Cung, J. W., & Kim, K. H., (2013), A study on the behavioral affordance of healing environment and concept of sustainability-focuses on the eco-friendly low-rise medical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2(4), p158-166. [https://doi.org/10.14774/JKIID.2013.22.4.158]
  • Chung, M. R., (2015), Nursing home environment with positive distraction for reduction of chronic pain and heal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4(2), p206-216. [https://doi.org/10.14774/JKIID.2015.24.2.206]
  • Ha, M. K., & Lim, B. L., (2005), Characteristics of health-concerning interior design under well-being tren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4(3), p130-138.
  • Hwang, Y. S., Kim, Y. Y., & Chang, Y. J., (2006),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healing environments of the wards in Women’s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5(5), p221-229.
  • Kim, B. S., (2005), Well-being & housing, Review of Architecture & Building Science, 49(5), p24-28.
  • Kim, C. H., (2008),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and architectural application of the hospice and palliative facilities as social facilities-focused on the stationary facilities in Berlin German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8), p99-106.
  • Kim, D. J., Lee, J. H., & Ha, M. K., (2010), Planning for healing environment through evidence–based design-focusing on geriatric hospital-,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0(2), p249-254.
  • Kim, H. J., (2002), A users’ preference study of design elements for environmentally-friendly apartment housing in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8(6), p27-36.
  • Kim, J. H., Bin, J. Y., & Oh, S. M., (2004), An investigation into perceptions of potential customers in Busan towards well-being apartments,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5(6), p154-162.
  • Kim, K. H., (2005),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well-being apartments’ marketing elem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Ajou University, Korea.
  • Kim, M. H., (2013), Research for christian education about well-dying based on logotherapy, Master Thesis, Kosin University.
  • Kim, S. Y., (2010), A study for identifying of planning factor of healthy eco dwelling. Master, Thesis, Hansung University.
  • Lee, C. H., & Kim, Y. H., (2006),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plans of independent hospice facilit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12), p239-247.
  • Lee, E. G., (2003), Studies on image of scenery implying death,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 Lee, H. J., & Lee, H. K., (2014), A study on healing environmental elements of a unit of learning space of herman herztberger’s educational facility wor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3(3), p3-10. [https://doi.org/10.14774/JKIID.2014.23.3.003]
  • Lee, H. K., & Kang, M. J., (2013), A space design of department of psychiatry & behavioral science of applying the healing environment,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6(1), p151-154.
  • Lee, J. H., & Je, H. S., (2005), A study on architectural of well-being apartment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newspaper advertisements and consumer preferenc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12), p127-134.
  • Lee, M. A., & Yoo, B. H., (2016), The class development of liberal arts through link of well-being·well-dying and housing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5(2), p267-280. [https://doi.org/10.5934/kjhe.2016.25.2.267]
  • Lee, M. K., Jung, J. J., & Choi, H. S., (2005), A basic study on the concept and cases of healthy eco dwell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7(3), p68-75.
  • Lee, S. Y., & Park, J. S., (2002), A study on the method of ecological healthcare facility for the healing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31, p41-48.
  • Lee, W. H., (2005),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 for environmental friendly housing, Unpublished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Korea.
  • Lim, S. H., & Shin, A. R., (2012), The dignified dying for the elderly in geriatric hospital,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8(4), p93-115.
  • Park, D. S., (2013), A study on the legal principles & system of the living wil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Korea.
  • Park, J. G., (2011), A study on healing environments and evidence based–focused on healthcare environments in the United Stats,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17(1), p41-50.
  • Park, S. H., & Choi, M. H., (2007), An derivation of the major factors for the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in women’s hospital by the analysis of prior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3), p73-82.
  • Park, S. H., Yeo, J. K., & Choi, M. H., (2007),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in women's hospital by quantitative evaluation of healing-environme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4), p21-28.
  • Park, S. K., & Moon, J. M., (2011), A study on the space design research tendencies for the healing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4), p21-28.
  • Seo, M. J., (2005),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application of the well-being planning element of the apartment supporting space, Unpublished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 Song, H. J., & Choi, S. H., (200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reatment conditions of the nursing hom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15(3), p31-39.
  • Porock, D., Pollock, K., & Jurgens, F., (2009), Dying in public: The nature of dying in an acute hospital setting,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 23(10), p10-28. [https://doi.org/10.1080/02763890802664521]
  • Yi-Woo, C. H., (2008), Imagining the different spaces of life and death, Journal of Feminist Theories and Practices, 19, p215-237.
  • Yun, Y. H., Rhee, Y. S., Nam, S. Y., Chae, Y. M., Heo, D. S., Lee, S. W., Hong, Y. S., Kim, S. Y., & Lee, K. S., (2004), Public attitudes toward dying with dignity and hospice·palliative care,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7(1), p17-28.

[Figure 1]

[Figure 1]
Research progress

[Figure 2]

[Figure 2]
Injection room for anticancer (www.mjcancer.com)

[Figure 3]

[Figure 3]
Harmonious with nature an annex space to the Chorakdang

<Table 1>

Subject and the number of reference retried (N)

Keywords Spatial planning
(guideline etc.)
Planning(design) factor & evaluation
Well-being Healthy housing 9 16
Wellbeing housing 3 6
Environment-friendly housing 16 36
Well-dying
(healing environment)
Hospital etc. 9 13
Convalescent hospital/Nursing facilities 8 12
Hospice 10 1
Sum 55 84

<Table 2>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in well-being space

Researcher Well-being space Space components Characteristic
phy* emo** soc***
phy* ; physical characteristic in well-being space
emo** ; emotional characteristic in well-being space
soc*** ; social characteristic in well-being space
Kim (2002) environmentally-friendly apartment housing reducing the environmental load energy conservation & cycle energy demand, solar energy, unused energy, waste heat
resource saving & cycle recycling materials, effective use of land, recycling of water resources, disposal of waste matter & recycling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links with surroundings optimizing of natural conditions, creating green area & link, organic linkage in and outside building, community, friendly culture
residential comfort health & improving comfort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rest space
Lee (2005) environmental friendly housing reducing environmental load space plan
facilities & equipment system
materials
waste
organic links with surroundings space plan
materials
comfort & amenity space plan
facilities & equipment system sound, light, air, heat environment
materials
Seo (2005) well-being housing advanced technology convenient facilities, safety facilities
dilettante life interior green
building materials indoor finishing materials
indoor environment heat, air, light, sound, microorganism
indoor space spatial separation, space efficiency
Ha & Lim (2005) health housing physical health air, heat, sound, light environment, spacial space, cleanliness, health screening program
mental health introduction to element of natural, safety, privacy, atmosphere, providing a special space
Lee & Je (2005) well-being apartments health physical environment nature convenience community individual development safety housing unit 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natural lighting, prevention of noise, comfortable kitchen, air purification system, automation equipment, central vacuum system, indoor garden, wellbeing bathroom, wellbeing room, balcony type yard, consideration for elderly, telemedicine system
unit building & comple x trail, jogging path, water purification system, green area, themed garden, fruit trees, season of trees, indoor sports facilities, food waste disposal facility, streamlet, pond construction, walking not having a car, safety play facilities, outdoor sports facilities, recycling rainwater & heavy water, natural energy utilization, expand facilities, common garden, roof garden
Choi (2007) well-being housing plan site, public facilities, building & housing
complex site plan, landscape, exterior common space, infrastructure & digital system
public facilities exercise·health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building & housing building plan, plane plan, finishing materials, environment·facilities, bathroom, home automation, life support appliances
Kim (2010) healthy eco dwelling comfort ventilation, natural lighting, solar right, right of a view,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prevention of noise, securing green space
safety security, structure, bathroom, walking safety
convenience spatial structure, parking, rearing children, public facilities, service facility utilization
health health screening, management service, environment friendly building materials, indoor and outdoor sports facilities, bicycle lane, bicycle shed, community facilities
Cho & Kang (2011) healthy housing physically comfort air, sound, light, heat, friendly environment
hygiene cleanliness, materials, support physical activities
safety from disaster home disaster, nature disaster
convenience spatial composition, performance facilities, circulation system
psychologically vitality attraction of housing complex, proper floor area ratio, secure the daylight, noise standard, normal space
stability green space construction, privacy
dignity individualization, pride
safety psychological safety, traffic accident & crime prevention
social solitary life nature environment, educational facility
social unification friendly town, family friendly
identity complex reputation, our consciousness
residential safety facility composition, settlement
managerial operation activity cleaning condition & health control, daily living support operations
maintenance control short term maintenance, mid and long term maintenance plan
information management user’s manual, citizen autonomy protocols
organization management composition of organization, roles management of organization
Kim (2010) healthy eco dwelling comfort ventilation, natural lighting, solar right, right of a view,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prevention of noise, securing green space
safety security, structure, bathroom, walking safety
convenience spatial structure, parking, rearing children, public facilities, service facility utilization
health health screening, management service, environment friendly building materials, indoor and outdoor sports facilities, bicycle lane, common a bicycle shed, community facilities

<Table 3>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in well-dying space

Researcher Well-dying space Space components Characteristic
phy* emo** soc*** spi****
phy* ; physical characteristic in well-dying space
emo** ; emotional characteristic in well-dying space
soc*** ; social characteristic in well-dying space
spi**** ; spiritual characteristic in we11-dying space
Choi et al. (2003) hospice facility nature environment light nature lighting, color
heat shading/radiant heat
air nature draft, air cleaning, scent
scenery indoor gardening, exterior space, waterfront areas
life plants, animal
Lee & Kim (2006) independent hospice facilities physical deodorization, grasping symptom, state measure, sight and hearing, meal, privacy, defecation, activity, space plan and layouts
emotional privacy, patient room environment, interesting factors, recreativeness, light, sound, feeling of space, area, color, culture, lifestyle and standard of living, nature factors, family connection, a homelike atmosphere
social privacy, family and relatives, bond with friends
religious sound, privacy, nature factors, silent
Song & Choi (2009) nursing home comfort noise, air, ventilation, thermal, natural element, natural view, indoor garden, trail, enough window, material texture, comfort, lighting, illumination, color
safety simple moving line, simplicity of function, sign system, landmark, functionality, accessibility, clarity, spatial scale, materials, furniture and seat arrangement, safety, security, way finding
territoriality privacy, ownership, noise, furniture, storage space, independence, liberty, personal space, space for hobby, space promoting activity
habitability familiar surroundings, work of art, habitability, intimacy, art, environmental adaptability, color, illumination, lighting
sociality sociality, communication, education space, resting space, space for family and visitor
Kim et al (2010) geriatric hospital safety safety accident prevention, fall prevention, easiness of access
comfort comfortable environment, planning of lighting
habitability environment like home, personal space
cognition way finding, open space, work of art
sociality supporting social activity, construction of flexibility
Chung (2012) nursing homes spatial way finding, suitable space scale, accessibility, openness, clarity, view, natural object, trail, artefact
psychological privacy, safety·security, homelike environment, environment for remembrance
comfort noise, indoor illuminance and lighting, indoor temperature, indoor air quality, furniture
sociality common relaxation space, activity·hobby, exchange of information
Cho & Lee (2011)
Cho & Lee (2010)
An (2014)
elderly care facility


group-home for the elderly
recognition & orientation mark symbol, small scale
safety safety
privacy habitability
control of the stimulus sound, lighting, color, texture
quality of the stimulus comfort, familiarity
supportability accessibility
autonomy of choice dignity, outdoor activity
self maintenance, homelike environment
community environment socialization
Chung (2015) nursing home spatial view, natural object, artifact, exercise area, healing garden
psychological beauty·grooming, privacy, meal·beverage, environment for remembrance, religious space
social common living room, activity·hobby, space for family and visitor, exchange of information, community ex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