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8 , No. 2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8, No. 2, pp. 67-80
Abbreviation: KJHE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9
Received 01 Feb 2019 Accepted 14 Feb 2019
DOI: https://doi.org/10.5934/kjhe.2019.28.2.67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손승희* ; 나종혜 ; 김효진 ; 이진수 ; 백은정 ; 조문교 ; 김은영 ; 허은영 ; 박정옥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Children’s Problem-solving-ability” : Based on Nuri Curriculums
Son, Seunghee* ; Rah, Jonghay ; Kim, Hyojin ; Lee, Jinsoo ; Baek, Eunjung ; Cho, Moonkyo ; Kim, Eunyoung ; Heo, Eunyoung ; Park, Jeongok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Welfare, Hannam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 Son, Seunghee Tel: +82-42-629-8247, Fax: +82-42-629-7437 E-mail: snoopy0214@hanmail.net


ⓒ 2019,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Children’s Problem-solving-ability(EPECP)”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ased on the parameters of that program.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consisted of 1) a main purpose and aims, 2) contents of 14 activities based on the Nuri curriculums, 3) specific directions to teachers to implement in the classrooms and 4) ways to evaluate the outcomes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posi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four daycare centers located in D c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5-year-olds-classes (13 children) within the two daycare centers and the participants were chosen randomly, the EPECP was implemented during the children’s free play time for six weeks, while the comparison group (18 children) went along with their routine and regularly scheduled school program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problem-solving-ability scores as measured between the comparison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EPECP. However, after six-weeks of the EPECP implementation in the classroom,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problem-solving-ability scores (t=4.78, p< .001). In conclusion, the EPECP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positive problem-solving solutions for children.


Keywords: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Promote positive solutions, Nuri-curriculum
키워드: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긍정적 해결방안 증진, 누리과정

Ⅰ. 서론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인간은 사회 안에 공존하면서 삶을 영위하는 존재로 주변인들과 필연적으로 사회적 관계를 맺고 살아간다. 아동은 태어나면서부터 양육자의 보살핌을 받으며 가족 중심의 초기 관계를 형성하고, 유아기에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만나는 또래나 교사와 관계를 맺는다. 유아가 점차 성장함에 따라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로 사회관계가 확장되면서 사회에 적응하는 사회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사회화 과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으로 최근 가족형태의 변화에 따라 우리사회 영유아들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연령이 대폭 낮아지면서 일찍부터 또래관계를 경험하게 되었다. 유아기 또래관계는 아동기 및 청소년기 인지,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후기 사회적 부적응에까지 영향을 미친다(손승희, 이은해, 2004).

유아는 또래와의 관계를 통해 자신을 새로이 인식하고 사회적 소속감을 갖게 된다. 또한 유아는 또래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자신과 다른 욕구와 생각을 갖고 있는 또래와 하루에도 몇 번씩 대인간 문제 상황에 부딪히게 된다. 유아기는 대인간 문제 상황에 처했을 때 가능한 해결방안들을 스스로 모색하고 최선의 해결책을 결정하여 문제해결의 결과를 주체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이 형성되는 시기이다(조복희 외, 1997).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정립한 Shure와 Spivack(1974)은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대인관계 속에서 다양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기술이나 방법을 발견하거나 창조하는 능력을 “대인간 인지적 문제해결(Interpersoanal Congnitive Problem Solving; ICPS)”이라고 하였다. 이후 Shure(1992)는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을 발생 가능한 다양한 문제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 문제에 대한 대안적 해결법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인 대안적 해결사고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수단을 창안할 수 있는 능력인 수단-목적 사고력, 자신이 행한 행동의 결과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인 결과적 사고력, 자신 혹은 타인의 행동이나 감정에 대한 동기나 원인을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인 원인적 사고력으로 설명하였다. 한편 Krasnor와 Rubin (1983)은 대인관계에서 야기되는 문제나 갈등들을 해결하기 위한 목표를 세우고 이 목표를 이룰 수 있는 행동들을 선택하는 것을 대인문제해결사고로 정의하였다. 이처럼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학자들마다 조금씩 정의가 다르긴 하나 개인의 사회 적응에 핵심 요소로 대인관계의 시작과 유지를 위한 중요한 사회적 능력으로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문제와 갈등을 해결하는 사고능력’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대인간 문제해결능력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사회적 인지 능력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보면 대인간 문제 상황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할 때 다양한 해결 방법과 바람직한 대안을 많이 생각해낼 수 있는 유아가 사회적 유능성과 지도력이 높았고 또래사회에서 용인되는 긍정적인 방법으로 문제해결을 할수록 집단 구성원으로 인정받기 쉽고 인기가 많았다. 또한 다른 사람이 행한 행동의 원인에 대해 적절하게 추측하는 유아가 또래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으로 적응을 잘 한다고 하였다(김은경, 2010; 손승희, 이은해, 2004; 이경희, 최경순, 1992; 최난이, 남은영, 2016; Pelligrini, 1985). 한편 창의성과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을 함께 본 선행연구에서는 유아가 대인관계 문제해결을 위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해결전략을 대상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과 기술을 시도할 수 있을 때, 문제해결능력이 발달할 뿐 아니라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박지영, 2015). 반면 사회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사회부적응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부정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많이 사용하고,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정다혜, 박중규, 2017). 이처럼 유아가 대인관계 속에서 적절하고 다양한 문제해결 방법을 배우고 발달시키는 것은 또래관계의 형성, 유지, 그리고 이후의 사회적응에도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것은 유아기 주요 발달과업일 뿐 아니라 유능한 미래시민을 육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국내 연구들은 주로 연령, 성, 인지능력 등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의 발달을 결정하는 아동의 특성을 탐색하는 연구(권연희, 2003; 김경희, 주현주, 2013)나 언어활동, 그림책 활용 프로그램, 미술활동, 협동적 수학활동, 명화감상, 협동미술 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이 증진되는 효과검증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김우영, 김영옥, 2014; 박옥영, 도미향, 2011; 서 현 외, 2014; 정주선, 김영옥, 2009). 이처럼, 국내에서 개발된 기존의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증진 프로그램은 하나의 발달 영역 또는 단위 활동 위주로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실행하고 있는 누리과정 프로그램의 전체 영역과 세부내용을 골고루 포함시킨 프로그램은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을 기초로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일어나는 흥미영역별 놀이 또는 대/소집단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유아의 대인간 문제 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에 1차로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이후 만 5세반을 대상으로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1. 유아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교육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 2. 유아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긍정적 문제해결방안 증진에 효과를 미치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에서는 D시에 있는 직장 어린이집과 국공립 어린이집 4곳을 임의표집하고 해당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3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시기 아동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취학 전기는 인간으로서 건전한 삶을 영위해 나가고 사회의 적합한 구성원이 되어 가는데 있어 필수적이며, 나아가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권연희, 2003; Waters & Sroufe, 1983).

실험집단은 어린이집 2곳의 만 5세 2개 반 유아 13명(남아 5명, 여아 8명)으로 평균 월령은 71.38개월이었다. 비교집단은 어린이집 2곳의 만 5세 2개 반 유아 18명(남아 11명, 여아 7명)으로 평균월령 70.44개월이었다.

2. 연구도구
1)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검사

본 연구에서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Shure & Spivack(1974)의 Preschool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PIPS)를 번안하여 사용한 손승희와 이은해(2004)의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검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PIPS는 크게 또래와의 상황과 어머니와의 상황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또래 간 문제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또래와의 상황만을 사용하였다. 본 검사는 유아의 또래 간 문제 해결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7개의 에피소드를 제시하고 유아의 반응을 확인하는 검사이다. 7개의 에피소드는 놀이 상황에서 친구가 가지고 놀고 있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싶을 때 유아가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있다.

검사를 실시하기 전 유아의 긴장을 풀고, 검사자와의 rapport를 형성하기 위해 간단한 대화를 한 후 유아에게 검사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검사자는 유아에게 “지금부터 선생님이 그림을 보여주고 그림 속에 나오는 아이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이야기를 해 줄꺼에요. 이야기를 다 듣고 이야기 속의 아이가 말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네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선생님에게 이야기 해주면 된단다.” 라고 이야기하며 검사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유아에게 첫 번째 에피소드 그림을 제시하며 “00이와 △△가 교실에서 놀이하고 있는데 00이가 계속해서 □ 장남감을 가지고 놀고 있어. △△도 □ 장남감을 가지고 놀고 싶은데 00이가 혼자서 계속 가지고 놀이하고 있어. 이럴 때 △△는 00이에게 어떻게 하면 좋을까?” 라고 질문하며 검사를 진행하고, 유아가 한 에피소드에서 3번까지 대답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유아가 모든 에피소드에서 항상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면 3개의 추가 에피소드가 더 주어진다. 하지만 연속해서 3번의 에피소드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면 검사는 끝나게 된다. 유아의 흥미 지속과 동기유발을 위해 7개의 에피소드에 나오는 등장인물과 장난감은 에피소드별로 모두 다르다. 에피소드는 남아용과 여아용으로 구분하여 준비 후 검사 대상 유아가 남아일 경우 남아 그림이 있는 에피소드를 제시하고, 여아일 경우 여아 그림이 있는 에피소드를 제시한다. 에피소드 속의 장남감은 남아는 자동차, 공, 사진기, 야구방망이, 비행기, 블록, 자전거, 여아는 인형, 탬버린, 공, 사진기, 그림책, 블록, 자전거 그림이다.

유아의 반응에 대한 채점은 적절한 해결방안, 해결방안이 아닌 것, 열거, 반복으로 구분하여 각각 그 수를 기입한다. 적절한 해결방안(relevant solution)은 문제해결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반응으로 각각의 새로운 반응에 1점씩 주어진다. 해결방안이 아닌 것(no-solution)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거나 혹은 문제 해결과 전혀 관련 없는 이야기를 하는 경우로 0점 처리한다 한다(예: 다른 곳에서 놀아요, 바보라고 했어요). 열거(enumerations)는 이전에 이야기한 해결방안과 동일한 내용의 해결방안을 답하는 것(예: 선생님한테 부탁해요, 형한테 부탁해요)이고, 반복(repetitions)은 이전에 대답과 똑같은 단어나 의미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예: 빌려줄래, 빌려줄래). 열거와 반복도 0점 처리한다.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점수는 적절한 해결반응의 총합으로 계산하고 가능한 점수의 범위는 1~10점이다.

유아의 응답 중 ‘적절한 해결반응’을 손승희와 이은해(2004)의 분류에 따라 긍정적 문제해결능력, 부정적 문제해결능력으로 분류하였다(<표 1> 참조). 긍정적 문제해결능력 점수는 아동이 제시한 적절한 반응 중 긍정적 범주에 속하는 반응들의 합으로 계산되고, 부정적 문제해결 능력 점수는 아동이 제시한 적절한 반응 중 부정적 범주에 속하는 반응들의 합으로 계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긍정적 문제 해결능력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긍정적 문제해결능력 점수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검사의 채점자간 신뢰도는 채점자 2명의 일치도로 구한 결과 Pearson 상관계수 .94로 나타났다.

<표 1>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검사의 반응 범주
긍정적 해결 방안 범주 문 항 점수
요청 · 내가 그거 가지고 놀아도 되니? 빌려줄래?
· 제발 내가 그거 가지고 놀아도 되니?(좀 더 공손한 표현)
· 내가 그거 잠깐 가지고 놀아도 되니? 내가 놀고 다시 줄게.
1
공평 · 우리 같이 놀자, 너는 공을 차고 나는 받을게.
· 너랑 나랑 차례로 사이좋게 놀자, 돌아가며 놀자.
1
기다림 · 친구가 다 가지고 놀 때까지 기다려요. 1
심리적 자극 · 나 너 좋아해, 난 이 장난감이 정말 좋아! 1
교환 · 내 장난감이랑 바꾸자 1
보상 · 나랑 놀면 훨씬 재미있을텐데, 내가 가지고 노는 동안 너는 다른 장남감을 가지고 놀 수 있는데 1
부정적 해결 방안 거래 · 사탕을 줘요, 아이스크림을 줘요(물건제의)
· 고장난거 고쳐줄게, 자전거를 밀어줘요(서비스 제의)
· 우리 집에 놀러오게 해줄게, 생일파티에 초대할게(약속제의)
1
권위의존 · 엄마(아빠, 누나 등)에게 말해요, 선생님한테 말해요. 1
계책
(속이기)
· 거짓말해요(속여요), 친구가 부른다고 거짓말해요. 1
빼앗기 · 장난감을 뺐어요, 가로채요, 잡아채요. 1
공격성 · 친구를 때려요, 발로 차요, 물어요(신체적)
· 친구에게 모래를 뿌리고 앞이 안보이게 되면 장난감을 가지고 와요.(도구 이용)
· 개(고양이)를 뒤쫒게 해요.(위험적인 대상이용)
· 너 자동차를 부술거야, 너 책을 찢을거야.(소유물 손상)
· 너랑 안 놀아!!(언어적)
1
일반적 주장 · 야 이리 내!!!, 내꺼야!! 1
훔치기 · 친구가 안 볼 때 몰래 가져와요 1

3) 연구의 절차

본 연구의 절차는 프로그램 개발, 검사자 훈련, 교사훈련, 사전검사, 프로그램 적용,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1)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 고찰을 통해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용어 정의를 하였다. 이후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그리고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을 거쳤다.

먼저, 본 연구자들은 문헌 고찰의 시사점을 반영하여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목적과 목표를 기초로 하여 만 5세 누리과정, 유아의 흥미, 흥미영역별 균형, 활동 방법의 다양성, 영역별 연계, 주제 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내용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단계를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아동복지학 전공 교수 2인 및 현직 어린이집 교사 6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 구해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2) 검사자 훈련

본 연구의 검사자는 어린이집 교사 경력 평균 4년 이상의 아동복지학 석사과정 3명이었다. 검사자 훈련은 본 연구의 검사자들이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검사를 진행하는 방법과 아동의 반응을 채점하는 방법을 숙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검사자 2명이 한 팀을 이루어 한 명은 검사자, 한 명은 아동의 역할을 하여 검사 진행 방법과 검사 채점 방법이 숙달될 때까지 실시하였다. 검사자 훈련을 통해 검사 도구 사용법, 검사 소요시간 측정, 검사 시 검사자의 언어적 지시 적절성 등을 살펴보았으며 검사자 간의 채점자간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3) 사전검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였다. 검사 전 유아들이 교육활동에 방해되지 않고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시간을 협의하였고, 검사시간 동안 2-3명의 검사자가 짝을 이루어 어린이집으로 방문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1명의 검사자는 아동에게 직접 검사를 실시하였고, 1-2명의 검사자는 검사에 방해되지 않는 곳에서 아동의 반응을 기록하였다. 검사시간은 한 아동 당 15분~20분정도 소요되었다.

(4) 교사교육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중진 프로그램은 자유놀이 시간에 흥미영역별 또는 대/소집단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활동이므로 담임교사가 활동에 대해 이해하고, 유아들의 반응을 지지하고 확장해주어야 한다. 이에 실험집단의 담임교사들에게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활동들에 대한 교사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집단의 교사는 어린이집별로 각 1명씩 총 2명이었다. 교사교육은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 6주 동안 1회 1시간씩 총 14회 실시하였으며, 교육은 어린이집별로 각각 이루어졌다. 실험집단 교사에게 실시한 교사교육의 내용은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각 활동 목표와 교육내용, 활동방법, 교수-학습 단계별 교수전략, 유의점, 교사역할 등이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담임교사의 교사 경력과 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5) 프로그램 적용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총 6주간 어린이집 자유선택놀이시간 또는 대/소집단활동 시간에 주제와 연계하여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사전에 교사교육을 받은 담임교사가 운영하는 실험집단 유아에게 적용하였으며, 교사는 조력자로서 프로그램이 유아 주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중진을 위한 활동들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각 활동에 대한 유아의 흥미가 유지되는 동안 보육실에 계속 배치하여 유아들이 자유롭게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비교집단 유아들이 있는 반에서는 해당 어린이집의 주제에 따라 놀이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은 실시하지 않았다.

(6) 사후검사

사후검사는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 실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1주 동안 실시하였다. 비교집단 유아에게도 같은 시기에 실험집단 유아와 같은 검사를 실시하였다.

4)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유아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에 대한 paired– t검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교육 프로그램
1)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증진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유아의 대인간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고 증진 교육의 중요성, 목적 및 목표와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들(박옥영, 도미향, 2011; 손승희, 이은해, 2004; Kransor & Rubin, 1983; Selman & Demorest, 1984; Shure & Spivack, 1974; Spivack & Shure, 1976)에 근거하여 이를 분석하고 반영하여 본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대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 상황에서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긍정적 해결 방안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또래 관계를 형성한다. 또한,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통해 전인 발달의 기초를 형성하도록 한다.’ 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관계에서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힌다. 둘째, 또래관계에서 상황에 적절한 긍정적인 해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대인간 문제 해결전략을 사용함으로서 또래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2) 유아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내용 선정 및 구성

유아의 대인간 문제 해결 능력과 관련하여 선행연구(강 상 외, 2013; 권연희, 2003; 김경희, 주현주, 2013; 김은경, 2010; 손승희, 이은해, 2004; 조순옥, 2016)를 고찰하여 연구의 흐름 및 관련변인을 살펴보고 유아의 대인간 문제 해결 능력 증진의 중요성에 대해 파악한 후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국내외 선행연구(손승희, 이은해, 2004; Selman & Demorest, 1984; Shure & Spivack, 1974; Spivack & Shure, 1976)를 토대로 대인간 문제 해결 능력의 하위요소를 살펴보았다. 최종적으로, 대인간 문제 해결능력 4가지 하위영역인 대안적 해결사고, 결과예측사고, 원인적 사고, 수단-목적 사고 중 4∼6세 아동의 사회적 적응, 발달과 가장 상관이 높다는 선행연구 결과(Shure, 1992) 보고에 따라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하위영역 중 또래와의 상황에 필요한 대안적 해결사고 능력(PIPS)을 측정한 손승희와 이은해(2004)의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검사의 반응범주’를 바탕으로 활동 선정의 기준을 정하였다. 또한, 누리과정의 영역별 내용범주 및 세부내용이 활동 속에 녹아들어가도록 누리과정과의 연계를 도모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프로그램의 활동들은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검사의 반응 범주인 긍정적 해결방안(요청, 공평, 기다림, 심리적 자극, 교환, 보상)이 잘 도출될 수 있도록 연구대상 아동의 연령, 흥미, 발달수준, 어린이집의 환경, 주제, 누리과정 등을 고려하여 총 14개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선정된 활동들은 아동복지학 전공 교수 2인, 현직 어린이집 교사 경력 6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어린이집 적용시기, 집단유형, 흥미영역의 균형적 배치 등을 협의하여 최종 선정한 프로그램의 활동은 <표 2>와 같다. 본 활동들은 자유선택활동 시간 또는 대/소집단 활동 시간에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 활동으로 실시하도록 계획하였다.

<표 2>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내용
실험집단
주 제 활 동 명 누리과정 흥미영역/집단유형 긍정적 해결방안 범주
1 친구들과 놀이 할 때의 약속이 있어요 의사소통/사회관계 언어 / 대집단 요청, 공평, 기다림, 교환, 심리적 자극, 보상
2 ‘꾹 참았네’ 개사하기 예술경험/사회관계 음률 / 소집단 요청, 공평, 기다림, 교환, 심리적 자극, 보상
3 반쪽 그림 색칠하기 예술경험/사회관계 미술 / 소집단 기다림, 교환, 심리적 자극
4 좋아하는 동물을 소개해요 자연탐구/사회관계 수 / 소집단 교환
5 작아지는 섬 신체운동·건강/사회관계 신체 / 소집단 요청, 공평, 기다림, 교환, 심리적 자극, 보상
6 두근두근 내마음 자연탐구/사회관계 과학 / 소집단 기다림, 교환, 심리적 자극
7 다 내꺼야 의사소통/사회관계 언어 / 대집단 기다림, 심리적 자극
8 소중한 가족 글자암호퍼즐 의사소통/자연탐구 언어 / 소집단 요청, 공평, 기다림, 교환, 심리적 자극, 보상
9 소중한 가족 다함께 콜라쥬 (우리집 꾸미기) 예술경험/사회관계 미술 / 대집단 요청, 공평, 기다림, 교환, 심리적 자극, 보상
10 우리동네 같이 놀아요 (보드게임) 자연탐구/사회관계 수 / 소집단 요청, 공평, 기다림, 교환, 심리적 자극, 보상
11 우리동네 물물교환 시장놀이 예술경험/사회관계 역할 / 소집단 교환, 보상
12 우리동네 어린이집 가는 길 의사소통/자연탐구 과학 / 소집단 요청, 공평, 기다림, 교환, 심리적 자극, 보상
13 우리동네 도미노블록 놀이 신체운동·건강/사회관계 쌓기 / 소집단 공평, 기다림
14 우리동네 짝꿍 찾아 뛰어요! 신체운동·건강/의사소통 신체 / 대집단 공평, 교환, 심리적 자극, 보상

3) 교수·학습 방법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교육프로그램의 교수-학습단계는 유아의 우정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서 현 & 임지윤, 2015)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단계를 추출하고 대인간 문제해결전략 단계를 넣어 직접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단계를 보완하였다. 이를 다시 아동복지학 전공 교수 2인과 아동복지학 전공 박사과정 4인, 아동복지학 석사과정 3인과 협의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도입, 전개, 마무리 단계로 이루어진 6단계 과정을 구성하였다. 즉, 도입(1단계: 동기유발), 전개(2단계: 탐색하기, 3단계: 탐구하기, 4단계: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사용하기, 5단계: 확장하기), 마무리(6단계: 평가)의 과정을 거친다. 교수-학습활동은 언어, 수, 과학, 음률, 미술, 신체활동 등으로 구성되어졌으며 교사의 역할은 동기유발자, 시범자, 환경 준비자, 평가자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계획하였다<표 3>.

<표 3>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 활동의 예
활 동 명 어린이집 가는 길 주제 나와 어린이집 집단유형 소집단
활동장소 보육실 수과학 영역 활동시간 15분 연령 만5세
활동목표 - 대인간 문제 해결을 위해 상대방에게 마음을 표현하는 긍정적 말을 안다.
- 자석을 사용하여 버스를 움직여보고, 자석의 원리에 호기심을 갖는다.
누리과정 관련요소 · 의사소통 > 말하기 > 상황에 맞게 바른 태도로 말하기
· 자연탐구 > 과학적 탐구하기 > 물체와 물질 알아보기
대인간 문제 해결능력 범주 요청, 공평, 기다림, 심리적 자극, 보상
활동자료 활동판, 막대자석, 자석 달린 버스, 글자카드(대인간 문제해결능력 범주 관련), 주사위, 종이블록,
활동방법
도입 1단계
(동기유발)
1. 어린이집에 오는 길 경험 이야기 나누기
T: 오늘 아침에 누구랑 어린이집에 왔니?
T: 가족들과 어린이집에 어떻게 왔니? 무엇을 타고 왔어?
전개 2단계
(탐색하기)

3단계
(탐구하기)
1. 활동자료 살펴보며 활동방법 생각해보기
T: 여기에 어떤 것들이 있니?
T: (자석을 보며) 이것을 본적이 있니?
T: 맞아 자석이야. 여기 버스도 살펴볼까?
T: 그리고 여기 글자카드가 있구나. 어떤 말들이 적혀 있니?
(*긍정: 빌려줘, 같이하자, 기다릴게, 바꿔하자, 나랑놀면 재밌어, 친구야좋아 *부정: 혼자할거야, 너 싫어, 너랑 안놀아 등 - 대안적 해결사고 관련)
C: (글자를 읽지 못하면 교사가 함께 읽는다,) 같이하자. 바꿔하자. 싫어.
T: 잘 읽어주었어. 이번엔 활동판을 살펴보자. 무엇이 있니?
T: 그렇구나. 그럼 이것들을 가지고 어떻게 하는 활동 할 수 있을까?
T: 그렇게 할 수 있겠구나. 멋진 생각이야.
그러면 자석 그림이 그려져 있는 칸에서는 어떻게 하는 걸까?
T: 너희들 생각과 선생님도 같아. 활동을 하기 전에 지켜야 할 약속은 무엇이 있는지 이야기 해보자.
2. 활동 시 지켜야 할 약속 이야기 해보기
T: 자석 그림 칸에 버스가 도착하면 어떻게 할까?
C: 자석을 카드에 붙여봐요. 붙으면 차에 실어요. T: 카드가 붙으면 차에 싣고, 그러면 만약 붙지 않으면 어떻게 할까?
C: 가져 갈 수 없어요. 한 번 더 해요. T: 그럼 붙지 않으면 한번만 더 해 볼 수 있도록 기회를 줄까?
T: 카드에 글자가 적혀 있구나. 자석에 붙여서 내 버스로 싣기 전에 무엇을 하면 좋을까?
T: 그래 좋아. 이제 우리가 정한 약속을 잘 지키며 활동을 해보자.
4단계
(대인간문제해결 전략 사용하기)
1. 주사위에 나온 숫자만큼 버스를 움직여 칸을 이동한다. 자석이 그려져 있는 칸에 도착하면 자석을 이용하여 글자카드를 붙여본다. 글자카드를 붙인 후 읽어보고 버스에 싣는다. 반복하여 활동하여 칸을 이동해 최종 목적지 어린이집으로 간다.

2. 버스에 붙지 않은 또는 붙은 카드 속의 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공감하기
T: 어떤 카드를 싣고 어린이집에 왔니?
C: 기다릴게. 바꿔하자 카드요. (긍정적 카드)
T: 어린이집에 오지 못한 카드들도 있구나. 버스에 붙지 않은 카드의 말은 어떤 것들이었니?
C: 싫어. 너랑 안 놀아. (부정적 카드)
T: 그렇구나. 그런데 여기 있는 ‘기다릴게, 바꿔하자..’이런 말들을 해 본 적이나 들어본 적이 있니?
T: 이런 말을 들었을 때 기분이 어땠니? 친구에게 하면 기분이 어떨까?
T: ‘너랑 안 놀아, 싫어’이런 말들을 해 본 적이나 들어본 적이 있니?
T: 이런 말을 들었을 때 기분이 어땠니? 친구에게 하면 기분이 어떨까?
T: 그랬구나. 그럼 우리가 친구와 놀이할 때 친구가 놀고 있는 장난감을 갖고 싶으면 어떤 말을 해야 할까?

3. 활동 후 정리 한 뒤 평가한다.
T: 활동을 해 봤는데 어땠니?
T: 어떤 점들이 좋았니?
T: 어려운 점은 없었니?
T: 다음에 또 다른 방법으로 놀이해보자.
5단계
(확장하기)
1. 자석그림 위에 도착했을 때, 기존 방법 외에 글자카드를 주머니에 넣어 뽑아 활동해보기
2. 글자카드를 뒤집어 메모리 게임으로 확장하여 활동하기
마무리 6단계
(평가)
· 자석의 원리를 알고 호기심을 갖고 탐구하였는지 평가한다.
· 대인간 문제 해결을 위한 긍정적 표현 방법을 알고 말 해 볼 수 있는지 평가한다.

프로그램의 목표, 목적,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의 구성체계는 [그림 1]에 제시된 바와 같다.


[그림 1]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체계

2.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실험집단 유아와 비교집단 유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검사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4>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사전 검사 점수 차이 검증 (N=31)
집 단 사전 검사 t
M(SD)
긍정적 해결방안 실험집단(n=13) 1.69( .85) 1.20
비교집단(n=18) 2.11(1.02)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긍정적 해결방안의 사전검사 점수는 실험집단(M=1.69, SD=.85)과 비교집단(M=2.11, SD=1.02)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실험집단 유아와 비교집단 유아의 긍정적인 대안적 해결 사고 능력에는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한편,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6주간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 유아와 비교집단 유아의 긍정적인 대안적 해결 사고 능력 검사 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집단 유아의 긍정적인 대안적 해결 사고 능력에는 프로그램 실시 전(M=1.69, SD=.85)과 실시 후(M=3.08, SD=.95)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4.78, p<.001). 반면, 비교집단 유아의 긍정적인 대안적 해결 사고 능력에는 프로그램 실시 전(M=2.11, SD=1.02)과 실시 후(M=2.44, SD=1.04)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간 문제 해결능력에서 긍정적인 대안적 해결사고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표 5>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사전, 사후 검사 점수의 paired– t 검증 (N=31)
Group 사전 검사 사후 검사 t
M(SD) M(SD)
긍정적 해결 방안 실험집단
(n=13)
1.69 ( .85) 3.08 ( .95) -4.78***
비교집단
(n=18)
2.11(1.02) 2.44(1.04) -1.10
***p<.001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의 이론적 탐색과 누리교육과정, 흥미영역별 활동을 고려한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먼저 선행연구를 기초로 목적 및 목표를 선정하고 이에 따라 교육내용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방법을 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목적은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의 대안적 사고능력 증진 활동을 통하여 ‘대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 상황에서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긍정적 해결 방안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또래 관계를 형성한다. 또한,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통해 전인 발달의 기초를 형성하도록 한다.’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첫째, 또래관계에서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힌다. 둘째, 또래관계에서 상황에 적절한 긍정적인 해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대인간 문제 해결전략을 사용함으로서 또래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한다로 설정하였다.

만 5세 누리과정의 사회관계 영역의 목적은 ‘자신을 존중하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이고, 이에 따른 하위 목표 중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알고,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조절한다.’, ‘친구, 공동체, 구성원들과 서로 돕고, 예의와 규칙 등 사회적 가치를 알고 지킨다.’라는 항목이 있다. 누리과정에서 언급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는 능력과 태도’에 포함되는 요소들이 많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은 매우 중요한 덕목이라고 할 수 있다(손승희, 이은해, 2004). 만 5세는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권연희, 2003; Waters & Sroufe, 1983), 본 연구에서 설정한 프로그램의 목표와 목적은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과 연계되어 있으며,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에 적합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유아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을 구성하기 위하여 먼저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인성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김우영, 김영옥, 2014; 박옥영, 도미향, 2011; 손승희, 이은해, 2004; 안주영 외, 2014; 조연경, 배지희, 2017; Spivack & Shure, 1976)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에서는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명화, 그림책, 음악 활동 등과 같이 특정 매체나 흥미영역을 주로 활용하였고, 증진 시키고자 하는 대안적 문제 해결 방안의 범주를 세분화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계획 및 실시한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표는 또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상황에서 유아가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해결방안을 보다 많이 생각해내고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해결방안의 범주를 구분하여(손승희, 이은해, 2004) 범주별 활동을 계획하였다. 즉,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의 긍정적 해결방안–요청, 공평, 기다림, 심리적 자극, 교환, 보상–을 균형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도록 연구대상 아동의 연령, 흥미, 발달수준, 어린이집 기관의 환경, 주제, 누리과정 등을 고려하여 총 14개의 활동을 개발하였다. 친구가 갖고 있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싶은 유아의 문제해결 전략이 요청-‘빌려줄래’- 하나 밖에 없을 때, 친구가 자신의 요청을 거절하면 유아는 문제 해결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당황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공평-‘같이 놀자’, 교환-‘내 장난감이랑 바꿔서 놀자’ 등의 다양한 대안이 있다면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더불어 긍정적인 또래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확률도 높아지게 된다.

한편, 유아들은 자기 주도적인 놀이를 통해 세상을 배우기 때문에(Piaget, 1970),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내용을 특정 시간에 이벤트처럼 실시하는 활동이 아닌 실내자유선택놀이 시간에 흥미영역별로 할 수 있는 주제 관련 활동 및 대/소집단 활동으로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계획하였다. 어린이집에서 매일 일어나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다양한 놀이를 통해 유아들이 대인간 문제해결 상황을 접하고, 그에 따른 긍정적인 해결 기술을 사용하는 훈련을 받는 것은 유아들의 발달에 매우 적합한 방법이기 때문에 유아들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활동을 일회성으로 실시하지 않고, 유아의 흥미가 지속되는 동안 계속해서 활동을 해볼 수 있도록 자료를 교실에 배치하고 놀이가 반복, 확장 될 수 있는 점은 유아가 꾸준히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을 훈련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문제 2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하였는데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대인간 문제 상황에서 긍정적인 해결방안을 더 많이 생각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긍정적 문제해결 사고 능력 증진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이와 같이 긍정적 문제해결 사고 능력이 향상된 원인은 본 연구에서 다양한 긍정적 문제해결 기술을 지속적인 놀이상호작용을 통해 제안하고, 유아가 실제적으로 또래 관계에서 문제해결기술을 사용해보면서 유아의 긍정적 문제해결방안 인식이 향상되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유아가 자신의 문제해결방법을 다른 유아에게 사용해보면서, 자신의 방안이 타인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 실제로 경험하게 되어 유아들의 대인문제해결력이 증진된 것이다. 이는 정주선과 김영옥(2009)의 연구에서 유아의 협동미술활동 과정 중, 유아가 또래와 함께 활동을 하기 위해 구체적인 문제해결기술을 사용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문제해결방법이 다른 유아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 실제로 경험할 수 있었기 때문에 대인간 문제해결력이 증진되었다고 밝힌 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 그리고 소집단 협동놀이를 통해 유아가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을 세우고 또래에게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을 통해 유아의 대인간 문제 해결능력이 향상된다는 이경희와 김연희(2016)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는 유아의 긍정적 문제해결방안 증진 교육은 유아의 놀이 환경에서 제안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또래 관계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유아가 실제적으로 구체적인 문제해결방안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또래라는 수평적인 관계 속에서 유아는 긴장감 없이 편하게 다양한 대인간 문제해결방안을 연습할 수 있다(윤주리, 황혜신, 2006). 특히,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누리과정의 전 영역을 균형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놀이중심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유아가 보다 편하고 자연스럽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그로 인해 얻어지는 긍정적 문제해결방안 또한 보다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의 긍정적 문제해결방안 증진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증진 프로그램이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하며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와 현장적용을 위하여 심도 있는 연구를 확대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는 D지역의 만 5세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은 유아의 중요한 사회적 능력의 일부이자 필수이므로 다양한 연령, 생활환경, 발달단계 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6주 동안 실시하였다. 6주가 짧은 시간은 아니지만, 다양한 주제에 맞는 활동을 적용하기에는 부족한 시간일 수 있으므로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을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발달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먼저 유아의 대인문제 해결능력 증진을 위해 각 영역별, 집단유형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것은 의미가 크다 할 수 있다. 또한, 일회성 프로그램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 누리과정에 기초하여 유아의 흥미에 따라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놀이 중심, 유아 주도적 프로그램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년도 한남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


References
1. 강상, 권가영, 류경희, (2013),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정적 양육태도: 정서지능과 대인문제 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3(4), p329-356.
2. 권연희, (2003),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경희, 주현주, (2013), 아동의 회복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7(3), p437-457.
4. 김우영, 김영옥, (2014), 명화감상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유아교육연구, 34(3), p263-290.
5. 김은경, (2010),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정서능력과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을 매개로하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2), p155-181.
6. 박지영, (2015), 유아의 성격이 의사결정력에 미치는 영향력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7(2), p89-104.
7. 박옥영, 도미향, (2011),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과 조망수용능력증진을 위한 NLP코칭 동화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코칭연구, 4(2), p5-31.
8. 서현, 선현아, 박미자, (2014), 그림책을 활용한 마음이해 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34(5), p55-84.
9. 서현, 임지윤, (2015), 유아 우정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유아 그림책 활용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5(4), p95-125.
10. 손승희, 이은해, (2004), 아동의 또래유능성과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및 어머니 양육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2(4), p167-177.
11. 안주영, 최영미, 이희영, (2014), 또래칭찬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자기 효능감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3), p27-48.
12. 윤주리, 황혜신, (2006), 대인대상과 인지양식에 따른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대한가정학회지, 44(12), p19-30.
13. 이경희, 최경순, (1992), 아동의 대인간 문제 해결력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3(2), p83-97.
14. 이경희, 김연희, (2016), 소집단 협동놀이가 유아의 대인문제 해결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3), p65-91.
15. 정다혜, 박중규, (2017), 초기 부적응 도식과 문제해결능력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7(1), p123-139.
16. 정주선, 김영옥, (2009), 집단 크기에 따른 미술협동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그리기 표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p433-452.
17. 조복희, 양연숙, 김암이, 정미자, ... 한유미, (1997), 유아의 애착행동과 사회적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5(6), p249-259.
18. 조순옥, (2016),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자아탄력성 간 관계, 육아지원연구, 11(1), p95-118.
19. 조연경, 배지희, (2017), 주제극놀이를 통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유아교육연구, 37(3), p93-118.
20. 최난이, 남은영, (2016),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7(4), p57-67.
21. Kransor, L. R., & Rubin, K. H., (1983), Preschool social problem: A tempts and outcomes on naturalistic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54(6), p1545-1558.
22. Pellegrini, D. S., (1985), Social cognition and competence in middle childhood, Child Development, 56(1), p253-264.
23. Piaget, J., (1970), Science of education and the psychology of the child, New York, Orion Press.
24. Selman, R. L., & Demorest, A. P., (1984), Observing troubled children's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Implications of and for a developmental model, Child Development, 55(1), p288-304.
25. Shure, M. B., (1992), I can problem solve(ICPS): An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program (Preschool), Champaign, IL, Research Press.
26. Shure, M. B., & Spivack, G., (1974), The PIPS test manual, Washington, DC,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7. Spivack, G., J. J., & Shure, M. B., (1976), The problem-solving approach to adjustment: A guide to research and interven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28. Waters, E., & Sroufe, I. A., (1983), Social competence as a developmental construct, Developmental Review, 3, p7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