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8 , No. 2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8, No. 2, pp. 159-169
Abbreviation: KJHE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9
Received 18 Mar 2019 Revised 10 Apr 2019 Accepted 11 Apr 2019
DOI: https://doi.org/10.5934/kjhe.2019.28.2.159

Peirce의 이론을 응용한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 뮤지컬 명성황후를 중심으로
안미화 ; 장애란*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The Semiotic Interpretation of Stage Costume using Peirce’s Semiotics : A Focus on Musical Empress Myeong-Seong
An, Mihwa ; Jang, Aeran*
Department of Fashion & Textiles, Je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 Jang, Aeran E-mail: jemmaran@jejunu.ac.kr


ⓒ 2019,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Stage costume is a tool used to convey the meaning of certain works in their visual representation of what is implied in the works. Thus, the inculcation of the tool in visual arts is to emphasize and dramatize the aura, style, and theme of those works. In other words, it provides a condui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roducer. This study aims to show the significance of stage costumes in mediating communication through semiotic interpretation of the visual manifestation. I utilized Peirce’s three categories of signs (icon, index, and symbol), a theory apt to analyze semiotic interpretations of stage costumes. In addition, I chose to use Empress Myeong-Seong, South Korea’s representative musical as my object of analysis. Empress Myeong-Seong was debuted in 1995 and has been performing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ges for a long time. The interpretation of the semiotic results of Empress Myeong-Seong’s stage costumes analyzed through the lenses of Peirce’s theory, are as follows:iconic sign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s and restorative representations of the stage costumes), indexical sign (the structuring of the signs conveying and representing the meaning behind the stage costumes), and symbolic sign (elegance, sublimity, and tragic ). In this study, the use of sign in the semiotic analysis of Empress Myeong-Seong’s stage costumes offers a useful framework that facilitate visual communication.


Keywords: Elegance, Peirce’s three categories of signs, Stage costume, Subline, Tragic
키워드: 무대의상, 비장, 숭고, 엘레강스, Peirce의 삼분법

Ⅰ. 서론

무대의상이란 관객들에게 공연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높이기 위해 배우의 신체 위에 착용할 외적 부가물(의상, 머리장식, 액세서리 등)의 중요한 시각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전문적인 디자인 작업을 통해 의미 있는 캐릭터로 완성한 것이다(김유선, 2009; 장혜숙, 2018). 물론 장르별 차이가 있지만 일상복과는 달리 무대예술의 극 중 캐릭터 외형을 형성하며 내면을 직접 드러내거나 함축시킨 중요한 시각요소로서 특정한 무대효과를 연출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즉, 작품에 함축된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의 형상화를 통해 인물창조 및 극의 분위기, 스타일, 주제를 강화시키고 극적 효과를 유발하는 미학적 특징을 지닌 독립적인 가치의 조형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장혜숙, 2018). 따라서 무대의상은 형태, 색상, 선과 질감을 통해 여러 해석과 유추가 가능하기에 관객과 소통하는 독립적인 영상언어로 기능한다(장혜숙, 2018). 즉, 무대의상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극을 보는 관객과 연출자 사이의 의미전달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이어야 한다. 무대의상이 캐릭터를 완성한 시각예술이며 독립적인 영상언어라는 점을 토대로, 작품의 활자상태의 등장인물에 시각적 요소를 부여하여 캐릭터 이미지로 형상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대의상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의 기능과 역할을 분석하는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기호학적 해석에 의한 무대의상의 시각적인 형상(영상언어)의 언어구조의 과정화를 구축함으로써 무대의상의 언어적 의미전달의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러 기호학 개념 중에서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 도상기호(iconic sign), 지표기호(indexical sign), 상징기호(symbolic sign)의 삼분법으로 구성된 Peirce의 이론을 차용하여 무대의상의 영상언어를 언어구조화 과정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대상으로 선택한 창작뮤지컬 명성황후의 무대의상을 중심으로 분석 및 해석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뮤지컬 명성황후(2005년작, 연출 윤호진)를 선택한 이유는 시대극이지만 극의 상황에 따라 무대의상을 고증적 재현과 현대적 재해석으로 디자인되었기 때문에 기호적 해석을 위한 소재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적으로 문헌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뮤지컬 명성황후와 기호적 해석을 위해 차용한 Peirce의 삼분법(iconic sign, indexical sign, symbolic sign)을 고찰한다. 고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품에 함축된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의 극적 효과를 유발하는 명성황후의 의상을 발췌한다. 2차적으로는 1차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근거로 Peirce의 삼분법을 적용하여 무대의상의 영상언어를 기호학적 해석으로 언어구조화 과정을 도출한다. 이로써 뮤지컬 명성황후의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방법을 정립함으로써 시각적 형상의 언어구조화가 가능함을 규명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뮤지컬 명성황후

뮤지컬 명성황후는 1995년 명성황후 시해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993년 극단 에이콤이 작가 이문열의 원작 대본인 ‘여우사냥’(1994년 봄) 작품 전체를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61곡의 노래로 명성황후의 삶을 극화한 초대형 한국의 뮤지컬이다. 뮤지컬 명성황후는 1995년 초연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공연이 지속되고 있으며 국내뿐 만 아니라 1997년 한국 뮤지컬로는 처음으로 미국 브로드웨이에 진출하였으며, 그 이후 뉴욕과 LA 투어 공연을 비롯하여 영국의 유명한 극장가인 웨스트엔드, 미국 코닥 극장, 캐나다 등의 해외 공연 등을 이어나가고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2018).

2005년도 작 명성황후의 뮤지컬은 서막을 시작으로 2막 13장과 종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성황후 시해 관련 히로시마의 법정장면을 시작으로 1막은 민자영이 왕비로 간택되는 1866년부터 임오군란 후 행방불명되었다가 환궁하는 1882년까지의 스토리이다. 1막과 2막 사이에는 12년의 시간차가 있고 2막은 외교의 장인 대연회를 시작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되는 1895년까지의 스토리이다. 종막은 명성황후의 혼이 비탄에 잠긴 백성의 앞에 나타나 조선의 발전을 기원하는 ‘백성이여 일어나라’는 곡으로 극을 마무리한다.

본 연구에서는 명성황후가 등장한 1막 1장(궁중 혼례장면), 1막 2장(궁중 생활장면), 1막 4장(친정선포 요청 장면), 1막 7장(환궁하는 장면), 2막 8장(연회 장면), 2막 13장(명성황후 시해 장면), 종막을 중심으로 극적 효과를 유발하는 무대의상을 발췌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2. Peirce의 기호학

기호(sign)는 사회적 작용력의 체현(體現)일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일으키는 주체이고, 기호학은 언어학, 철학, 문학을 비롯한 다양한 인문과학 분야의 고유 영역에서 새로운 분석 도구로 등장하면서 1960년대부터 구체적인 체계가 정립되기 시작하였다(김경용, 2014; 김운찬, 2014). 여기에서 기호학이란 문화의 모든 과정들을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으로 연구하며 상징체의 창조와 의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연구의 대상인 상징체가 어떤 구조로 구성되어 어떤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학문으로(김경용, 2014; Eco, 1976), 최근에는 문화, 연극, 광고, 건축, 패션, 예술,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현대기호학은 크게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 스위스의 언어학자)와 퍼스(Charles Sanders Peirce, 미국의 철학자)의 이론으로 나눠 볼 수 있는데, 소쉬르는 기호(sign)를 기표(signifier) + 기의(signified)로 정의하였고 퍼스는 도상(icon), 지표(index), 상징(symbol)으로 구성된 삼분법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명성황후 무대의상 자체의 시각 디자인의 요소를 바탕으로 완성된 무대의상의 결과물을 퍼스의 이론을 차용하여 분석 · 기호학적인 해석을 하고자 한다. 퍼스의 기호학을 살펴보면, 퍼스는 하나의 기호는 icon이거나 index이거나 symbol이라고 하였다(Peirce, 1992). 또한, 기호의 범주를 [그림 1]과 같이 삼원적 구조에 따라 기호 그 자체 혹은 표상체(Representamen), 대상체(Object), 해석체(Interpretant)라는 3요소로 분류하였고, 기호를 특유의 삼분법으로 일차성(Firstness), 이차성(Secondness), 삼차성(Thirdness)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일차성은 순수하게 음성적이고 물질적인 측면, 이차성은 실질적인 존재, 삼차성은 구성 규칙에 따르는 구조를 가리킨다(김운찬, 2014). 더 나아가 퍼스는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기호 분류를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상호 조합함으로써 아홉 종류의 하위 기호가 가능해진다고 하였다(김치수 외, 2016). 이 중 두 번째 분류법에 의해, 기호는 도상, 지표, 상징으로 구분하였다. 도상은 고유의 대상체와 유사한 기호이고, 지표는 대상체와 실존적 연결을 이루고 있는 기호이며, 상징은 기호와 대상체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나 유사성 없이 약속에 의한 자의적인 관계로 만들어진 기호이다(김경용, 2014).


[그림 1] 
퍼스의 삼원적 구조

<출처> 김치수 외, 2016. p.31



<표 1> 
퍼스의 기호유형 분류표
일차성 이차성 삼차성
표상체 품질기호(Qualisign) 개별기호(Sinsign) 법칙기호(Legisign)
대상체 도상기호(Icon) 지표기호(Index) 상징기호(Symbol)
해석체 논항기호(Argument) 발화기호(Dicent) 해석기호(Rheme)
<출처> 김치수 외, 2016. p.33

다시 말해서, 대상체의 이미지나 도표, 혹은 은유식으로 나타난 것은 도상기호, 그것이 명령이나 지시와 같이 환기적 기능으로 나타난 것은 지표기호, 어떤 자의적 기호들로 텍스트가 이루어진 것은 상징기호이다(송효섭, 2003). 장애란(1995)은 선행연구에서 이미 기호의 의미구조가 지표적 구조, 도상적 구조, 상징적 구조의 3단계로 구성되었음을 규명하였다. 1단계 경우, 기호는 한 개의 의미론적 내적의미인 구성요소(외연)와 한 개의 의미론적 외적 구성요소(기호의 대상)를 갖춘 지표적 구조이다. 2 단계 경우, 기호는 두 개의 의미론적 내적 의미의 구성요소(외연과 내포)와 두 개의 의미론적 외적 구성요소(기호의 대상과 그것의 배경)를 갖춘 도상적 구조이다. 3단계 모두를 갖춘 경우의 기호라면 3가지 내적 구성요소(외연, 내포, 인지)와 3가지 외적 구성요소(기호의 대상, 배경, 인지적 사고방식)를 갖춘 상징적 구조이다. 즉, 이러한 삼분법의 의미구조는 [그림 2]와 같이 서로 배타적인 존재가 아니라 서로가 한 단계씩 부가적으로 첨가됨에 따라 한 기호가 이러한 삼분법으로 구성된 것이 바로 기호작용이라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퍼스는 기호작용을 기호가 해석자에게 일으키는 인식효과라고 하였고(김경용, 2014), 이는 기호학의 기호작용의 하나인 커뮤니케이션으로 표현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상(icon), 지표(index), 상징(symbol)의 삼분법으로 구성된, 해석자로 하여금 인식효과를 발생시키는 기호작용인 커뮤니케이션을 일으켜 기호를 전달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는 퍼스의 이론이 시각적 디자인으로 표현되어 다양한 해석과 유추가 가능한 영상언어로써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지닌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을 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에서는 퍼스의 이론을 차용하여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을 하고자 한다.


[그림 2] 
기호의 의미구조 3단계 -복식에 나타난 건축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출처> 장애란, 1995. p.25




Ⅲ. 뮤지컬 명성황후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1. 무대의상 영상언어의 언어구조화 과정

무대의상은 극 내용에 대한 정보전달, 인물창조, 극의 주제나 분위기 표현, 극의 스타일 창출 등의 영상언어 역할 수행과 관객에게 의미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의 기능을 하고 있다(김현숙, 1995). 이 사항을 퍼스의 삼분법인 지표, 도상, 상징을 차용한 기호학적 해석을 통해 무대의상의 영상언어의 언어구조화 과정을 도출하였다. 그 영상언어의 언어구조화 과정을 3단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조형적이고 시각적인 이미지로 구성된 무대의상은 전반적인 스타일, 색상, 텍스처 등의 고유의 대상체와 유사한 기호로 이미지나 도표, 혹은 은유식의 표현을 도상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두 번째, 무대의상에 함축된 극의 정보나 의미 등은 대상체와 실존적 연결로 이루어진다는 점은 명령이나 지시 같은 환기적 기능의 지표로 해석이 가능하다. 세 번째, 무대의상을 통한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의 결과에서 유추한 상징적 의미는 기호와 대상체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나 유사성 없이 약속에 의한 자의적인 관계로 형성된 기호들의 텍스트를 상징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퍼스의 삼분법을 차용하여 뮤지컬 명성황후의 무대 의상의 영상언어를 기호학적 해석을 통해 언어구조화 과정을 도출한 결과는 [그림 3]과 같다 .


[그림 3] 
무대의상 영상언어의 언어구조화 과정

결론적으로 앞에서 살펴본 기호학적 해석을 통해 뮤지컬 명성황후 무대의상의 영상언어의 언어 구조화가 가능한지를 규명하였다. 즉, 일차적으로 극의 극적인 요소가 드러난 장면의 의상을 발췌하여 복식의 조형 요소(형태, 색채, 소재, 장신구 등)로 도상적 이미지를 분석하였으며, 이차적으로 그 무대의상이 지닌 내면의 의미를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그 무대의상의 상징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2. 뮤지컬 명성황후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앞에서 규명한 뮤지컬 명성황후 무대의상의 영상언어의 언어 구조화를 바탕으로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4]의 1막 1장은 명성황후가 왕비로써 첫발을 내딛는 궁중혼례식 장면으로 두 주인공을 중심으로 밝은 조명을 비춰줌으로써 주변인물보다 도드라져 보이도록 하였다. 이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해보면, 적의와 대수머리로 구성되었고, 색상은 적색과 금색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소재는 광택이 있는 단 종류가 사용되었다. 적의는 조선시대 왕비·왕세자빈·왕세손 빈, 대한제국의 황후와 황태자비가 가례 때 착용하는 법복이며(국립고궁박물관, 2012), 대수머리는 가례 때 착용하는 왕비의 머리장식이다. 명성황후의 궁중혼례식의 극적 장면을 적색과 금색을 활용해 적의로 디자인한 것은 적색은 권력의 의미의 색이고(김영인 외, 2009), 금색은 조선 시대 후기까지 일반 백성의 금기색(禁忌色)인 중국 황제의 색으로 색 중 가장 화려하며 오정색 중 위계가 으뜸이라는 점, 그리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색상이기 때문이다(조현주 외, 2013). 이는 명성황후의 인물창조 및 혼례식이라는 극의 분위기를 강화시키고 극적 효과를 유발하기 위해 조선시대 왕비의 법복인 적의의 고증적 재현을 통해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로 형상화하여 혼례식의 분위기 연출을 비롯한 왕권의 권위를 표현하였음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상징적 의미로 분석해보면, 명성황후의 단정하고 정숙하며 격식을 갖춘 품위성의 표현인 엘레강스(elegance)와 왕비의 권위가 표현되어진 인간의 위엄, 지위 등의 과시의 의미를 내포한 숭고(sublime)란 의미를 도출하였다(김민자, 2004). 이를 요약하면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혼례식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1막1장 – 궁중 혼례식
기호학적해석 도상 시각적 요소
형태 색상 소재 머리장식
적의 적색, 금색 광택 있는 단 종류 대수머리
디자인 작업
그림4
<출처> 뮤지컬 명성황후 화면 캡처
고증적 재현
지 표 왕비로서의 권위와 고귀한 아름다움
상징 엘레강스(elegance), 숭고(sublime)

[그림 5]의 1막 2장은 명성황후의 궁중생활 중 고종을 향한 여인의 마음을 표현한 장면으로 주변을 어둡게 하고 명성황후를 밝게 표현하였다. 이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해보면, 당의와 어여머리로 구성되었고, 색상은 주로 적색, 금색과 분홍계열의 색상이 혼재되어 사용되었으며, 소재는 광택이 있는 퀼팅소재가 사용되었다. 당의는 궁에서 평상시에도 착용한 소례복이며 어여머리는 예장용 머리장식이다. 여기서 사용된 오묘한 색은 명성황후의 고종에 대한 여인의 마음을 강화시키고 극적 효과를 유발하고자 부드럽고 여성스러운 여성이미지 연출을 위한 색상이기 때문이다. 또한 극의 분위기를 강화시키고자 형태의 고증적 재현 및 색상과 소재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여인의 여성스러움과 아름다운 이미지를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로 형상화하여 여성성의 강조를 통하여 표현하였음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상징적 의미로 분석해보면, 섬세하며 미묘하고 감미로운 매력의 여성성을 표현한 엘레강스(elegance)란 의미를 도출하였다(김민자, 2004). 이를 요약하면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궁중 생활 장면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1막 2장 – 궁중생활장면
기호학적해석 도상 시각적 요소
형태 색상 소재 머리장식
당의 적색, 금색, 분홍색 계열 광택있는 퀼팅소재 어여머리
디자인 작업
그림 5
<출처> 뮤지컬 명성황후 화면 캡처
고증적 재현 + 현대적 재해석
지표 여인으로서의 여성스러움, 아름다움
상징 엘레강스(elegance)

[그림 6]의 1막 4장은 명성황후가 고종에게 왕권강화를 위해 친정선포를 요청하는 장면으로 금박 봉황문양을 드리운 왕의 편전을 배경으로 구성하였다. 이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해보면, 당의와 어여머리로 구성되었고, 색상은 검정색, 적색, 금색을 주로 사용되었으며, 소재는 광택이 있는 단 종류의 소재가 사용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검정색은 왕권 강화를 위한 극적 효과를 유발하기 위한 색상으로 절제되고 엄숙한 분위기의 권위와 품위의 이미지 연출을 위한 색상이기 때문이며(김영인 외, 2009), 권력을 의미하는 적색과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금색도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당의에 사용된 검정색은 고증적으로 재현된 색상은 아니지만 왕권을 강화시키고 극적 효과를 유발하려는 의도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당의에 달린 보 역시 과장된 형태로 부착되었다. 이는 극의 분위기를 강화시키고자 형태의 고증적 재현 및 색상의 현대적 재해석으로 색상과 과장된 형태의 장식등을 통해 황후의 강인함과 권력 이미지를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로 형상화하여 왕권강화의 의지를 표현하였음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상징적 의미로 분석해보면, 왕권회복을 비롯한 왕권강화를 통해 왕후 권위의 과시적 의미를 표현한 숭고(sublime)란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의 <표 4>와 같다.

<표 4> 
친정선포 요청장면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1막 4장 – 친정선포 요청장면
기호학적해석 도상 시각적 요소
형태 색상 소재 머리장식
당의, 과장된 보 검정색, 적색, 금색 광택있는 단 종류 어여머리
디자인 작업
그림6
<출처> 뮤지컬 명성황후 화면 캡처
고증적 재현 + 현대적 재해석
지표 왕비의 강인함
상징 숭고(sublime)

[그림 7]의 1막 7장은 명성황후가 임오군란이후 환궁하는 장면으로 두 주인공은 계단위쪽에 있으며 신하들은 아래쪽에서 환궁을 즐거워하는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이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해보면, 원삼과 어여머리로 구성되었고, 색상은 푸른 계열이 혼합된 색과 적색, 노란색, 금색이 사용되었으며 소재는 광택이 있는 단 종류가 사용되었다. 원삼은 왕실에서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 소례복으로 착용하며 어여머리는 예장용 머리장식이다(류희경 외, 2015). 여기에서 권위의 이미지 연출을 위해 푸른 계열의 색상과 노란색이 사용되었고, 권위를 강화하고자 적색과 금색도 사용되었다. 또한 환궁하는 극의 분위기를 강화시키고자 황후이미지의 의상은 고증적 재현과 색상의 현대적 재해석이란 디자인 작업을 통해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로 형상화하여 환궁을 통한 왕비의 권위회복을 표현하였음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상징적 의미로 분석해보면, 명성황후의 왕비로써의 권위회복이 내재된 인간의 위엄, 지위 등의 과시적 의미의 표현인 숭고(sublime)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환궁장면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1막7장 – 환궁장면
기호학적해석 도상 시각적 요소
형태 색상 소재 머리장식
원삼 파란색 계열, 적색, 노란색, 금색 광택 있는 단 종류 어여머리
디자인 작업
그림 7
<출처> 뮤지컬 명성황후 화면 캡처
고증적 재현 + 현대적 재해석
지표 왕비의 권위회복
상징 숭고(sublime)

[그림 8]의 2막 8장은 명성황후가 다른 나라의 대사들과 연회의 자리에서 외교를 하는 연회장면으로 여러 나라의 대사들 중심에 테이블을 두고 두 주인공이 연회를 주도하는 장면을 표현하였다. 이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해보면, 적의와 큰머리로 구성되었고, 색상은 검정색, 적색, 파란색, 금색을 주로 사용되었으며 소재는 광택이 있는 단 종류가 사용되었다. 적의는 왕비의 법복이며 어여머리 위에 떠구지를 얹어 착용하는 큰머리는 예장용 머리장식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검정색은 절제되고 엄숙한 분위기의 권위와 품위의 이미지를 내포하는 색이며 권위의 이미지의 파란색, 권력을 나타내는 적색,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금색을 사용하였다. 또한 반짝이는 소재의 하피와 어여머리에 떠구지를 얹은 형태의 큰머리를 통해 대사들 앞에서 황후의 권위적 이미지 강화를 위해 상대적인 면적의 확장 효과를 형태의 고증적 재현과 색상의 현대적 재해석으로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로 형상화하여 면적의 확장을 비롯한 시각적 연출로 최고조의 왕권을 표현하였음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상징적 의미로 분석해보면, 명성황후의 최고조의 권위를 신체 확장이란 무대의상의 과장된 장식을 통해 캐릭터의 위엄, 지위 등을 과시, 극중의 대상에 대한 압도적인 분위기의 극적효과를 혼합적 긴장감의 표현인 숭고(sublime)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김민자, 2004). 이를 요약하면 다음 <표 6>과 같다.

<표 6> 
연회장면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2막8장 – 연회장면
기호학적해석 도상 시각적 요소
형태 색상 소재 머리장식
적의 검정색, 적색, 파란색, 금색 광택 있는 단 종류 큰머리
디자인 작업
그림 8
<출처> 뮤지컬 명성황후 화면 캡처
고증적 재현 + 현대적 재해석
지표 왕비의 최고조의 권위
상징 숭고(sublime)

[그림 9]의 2막 13장은 명성황후가 일본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 시해장면으로 하얀색의 치마, 저고리를 입은 명성황후를 중심으로 푸른색의 조명을 비추고 주변 자객들은 검은색의상으로 표현하였다. 이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해보면, 치마와 저고리, 첩지머리로 구성되었고, 색상은 백색이 사용되었으며 소재는 광택 있는 사 종류가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사용한 흰색은 우리나라의 상복의 색으로, 명성황후의 시해에 대한 슬픔과 죽음의 극적 효과를 유발하려는 의도이다. 즉, 슬픔과 죽음이란 극의 분위기를 강화시키고자 황후의 죽음 이미지의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을 상복의 고증적 재현으로 형상화하여 나라의 국모인 명성황후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극대화하여 표현하였음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상징적 의미로 분석해보면, 황후 죽음에 대한 비통함을 인간적 위대성이 침해되고 멸망될 때 느끼는 인간의 고뇌의 고양인 비장(tragic)이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김민자, 2004). 이를 요약하면 다음 <표 7>과 같다.

<표 7> 
명성황후 시해장면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2막13장 – 명성황후 시해장면
기호학적해석 도상 시각적 요소
형태 색상 소재 머리장식
저고리, 치마 흰색 광택있는 사 종류 첩지머리
디자인 작업
그림 9
<출처> 뮤지컬 명성황후 화면 캡처
고증적 재현
지표 왕비의 죽음에 대한 비통함
상징 비장(tragic)

[그림 10]은 명성황후가 죽은 후에 슬퍼하는 백성들에게 다함께 일어나 자주와 독립을 위해 힘을 합치고 조선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는 종막 장면으로 명성황후를 중심으로 주변인을 삼각대열로 배열하고 푸른빛의 어둠을 시작으로 점점 밝게 표현하였다. 이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해보면, 소매가 과장된 적의와 첩지머리로 구성되었고, 색상은 백색과 금색이 사용되었으며 소재는 광택이 있는 단 종류가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사용된 흰색은 슬픔과 죽음에 대한 극적 효과를 유발하기 위함이었고, 금색은 황후의 죽음을 조선의 밝은 미래를 향한 기원으로 승화시키려는 의도라고 사료된다. 또한 적의의 과장된 형태의 소매는 고증적 재현과 형태와 색상의 현대적 재해석으로 면적의 확장성을 강조함에 따라 사후임에도 불구하고 황후의 권위적이고 숭고한 이미지로 형상화하여 황후로서의 조선의 희망적인 미래를 기원하는 마음을 극대화하여 표현하였음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상징적 의미로 분석해보면, 황후의 죽음을 오히려 조선의 밝은 미래를 향한 기원으로 승화시키려는 내재적인 표현으로 비장(tragic)과 숭고(sublime)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 <표 8>과 같다.

<표 8> 
종막 장면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종막 – 종막 장면
기호학적해석 도상 시각적 요소
형태 색상 소재 머리장식
적의 흰색, 금색 광택있는 단 종류 첩지머리
디자인 작업
그림 10
<출처> 뮤지컬 명성황후 화면 캡처
고증적 재현 + 현대적 재해석
지표 왕비의 죽음을 조선의 밝은 미래를 향한 기원으로 승화시킨 바람
상징 숭고(sublime), 비장(tragic)

이상에서 뮤지컬 명성황후의 무대의상을 영상언어의 언어구조화 과정으로 규명하한 결과, 작품에 함축된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의 형상화를 통해 인물창조 및 극의 분위기, 스타일, 주제를 강화시키고 극적 효과를 유발하려는 의도에 따른 상징적 의미는 물론 언어적 의미 전달이 가능한 기호임을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의 <표 9>와 같다.

<표 9> 
뮤지컬 명성황후 무대의상의 기호학적 해석
영상 언어
⇩ ⇩ ⇩ 퍼스의 삼분법에 의한 기호학적 해석
언어의 구조화 도상 사진 외면의 의미
⇩⇩
무대의상의 현대적 재해석, 고증적 재현
<출처> 뮤지컬 명성황후 화면 캡처
형태 적의 당의 당의 원삼 적의 저고리, 치마 적의
색상 적색, 금색 적색, 금색, 분홍색 계열 검정색, 적색, 금색 파란색 계열, 적색, 노란색, 금색 검정색, 적색, 파란색, 금색 흰색 흰색, 금색
머리장식 대수머리 어여머리 어여머리 어여머리 큰머리 첩지머리 첩지머리
디자인 작업 고증적 재현 고증적 재현 + 현대적 재해석 고증적 재현 고증적 재현 + 현대적 재해석
지표 황후의 권위와 고귀한 아름다움 여인으로써의 여성스러움, 아름다움 황후의 강인함 황후의 권위 회복 황후의 최고조의 권위 황후의 죽음에 대한 비통함 황후의 죽음이 조선의 밝은 미래를 향한 기원으로 승화 내면의 의미
⇩⇩
무대의상의 의미전달
상징 엘레강스(elegance) 숭고(sublime) 비장(tragic) 상징적 의미


VI.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무대의상이 관객과 소통하는 영상언어로써 관객과 연출자 사이의 의미전달 기능의 도구임을 규명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기호학적 해석에 의한 무대의상의 시각적인 형상을 언어구조의 과정화로 정립함으로써 무대의상의 언어적 의미전달의 가능성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로써 기호학적 해석을 위해 차용한 Peirce의 삼분법을 토대로 무대의상의 영상언어의 언어구조화 과정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영상언어의 언어구조화 과정에 따라 일차적으로 뮤지컬 명성황후의 극적인 효과의 의상을 발췌한 후 무대의상의 시각적 요소(형태, 색채, 소재, 장신구 등)를 분석하였으며 이차적으로 그 무대의상에 함축된 내면의 의미를, 마지막으로 상징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궁중혼례식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한 결과, 왕비의 법복과 대수머리가 착용되었고 권력의 의미를 내포한 적색과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금색이 사용되었다. 이는 명성황후의 인물창조 및 혼례식이라는 극의 분위기를 강화시키고 극적 효과를 유발하기 위해 조선시대 왕비의 법복인 적의의 고증적 재현을 통해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로 형상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징적 의미로 분석한 결과, 명성황후의 단정하고 정숙하며 격식을 품위성의 엘레강스(elegance)와 황후의 권위가 표현된 인간의 위엄, 지위 등의 과시의 의미를 내포한 숭고(sublime)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두 번째, 궁중생활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한 결과, 당의와 어여머리가 착용되었고 부드럽고 여성스러운 이미지의 분홍계열과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금색이 섞인 색이 사용되었다. 이는 명성황후의 고종에 대한 여인의 마음을 강화시키고 극적 효과를 유발하고자 부드럽고 여성스러운 여성이미지 연출을 위한 색상이기 때문이다. 또한 극의 분위기를 강화시키고자 형태의 고증적 재현 및 색상과 소재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여인의 여성스러움과 아름다운 이미지를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로 형상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징적 의미로 분석한 결과, 섬세하며 미묘하고 감미로운 매력의 여성성의 엘레강스(elegance)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친정선포 요청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한 결과, 당의와 어여머리가 착용되었고 권위와 품위의 이미지를 내포한 검정색과 권력을 나타내는 적색,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금색이 사용되었다. 당의에 사용된 검정색은 고증적 색상은 아니지만 왕권을 강화시키고 극적 효과를 유발하려는 의도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당의에 달린 보 역시 과장된 형태로 부착되었다. 이는 극의 분위기를 강화시키고자 형태의 고증적 재현 및 색상의 현대적 재해석으로 황후의 강인함과 권력 이미지를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로 형상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징적 의미로 분석한 결과, 왕후의 권위를 과시적 의미의 숭고(sublime)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네 번째, 환궁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한 결과, 원삼과 어여머리가 착용되었고 권위의 이미지를 내포한 파란색 계열과 권위의 의미인 노란색, 권력을 나타내는 적색과 과장된 형태의 금색보가 사용되었다. 이는 환궁하는 극의 분위기를 강화시키고자 황후이미지의 의상은 고증적 재현과 색상의 현대적 재해석으로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로 형상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징적 의미로 분석한 결과, 명성황후의 왕비로써의 권위회복이 표현된 인간의 위엄, 지위 등의 과시적 의미인 숭고(sublime)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다섯 번째, 연회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한 결과, 적의와 큰머리가 착용되었고 권위와 품위의 이미지를 위한 검정색과 권위의 이미지를 위한 파란색, 권력을 위한 적색,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위해 금색이 사용되었다. 또한 황후의 권위적 이미지를 상대적인 면적의 확장 효과로 강화시키고자 반짝이는 소재의 하피와 어여머리에 떠구지를 얹은 형태의 고증적 재현과 색상의 현대적 재해석으로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로 형상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징적 의미로 분석한 결과, 명성황후의 최고조의 권위를 신체 확장이란 과장된 장식을 통해 캐릭터의 위엄, 지위 등을 과시, 극중의 대상에 대한 압도적인 분위기의 극적효과를 혼합적 긴장감의 숭고(sublime)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여섯 번째, 명성황후 시해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한 결과, 치마, 저고리와 첩지머리가 착용되었고 명성황후의 시해에 대한 슬픔과 죽음의 극적 효과를 유발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상복의 색인 흰색이 사용되었다. 이는 슬픔과 죽음이란 극의 분위기를 강화시키고자 황후의 죽음 이미지의 내면적 의미와 요소들이 상복의 고증적 재현으로 형상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징적 의미로 분석한 결과, 황후 죽음에 대한 비통함을 인간적 위대성이 침해되고 멸망될 때 느끼는 인간의 고뇌의 고양인 비장(tragic)이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종막 장면의 무대의상을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의 의미로 분석한 결과, 소매가 과장된 적의와 첩지머리로 구성되었고, 여기에서 사용된 흰색은 슬픔과 죽음에 대한 극적 효과를 유발하기 위함이었고, 금색은 왕비의 죽음을 조선의 밝은 미래를 향한 기원으로 승화시키려는 의도이다. 또한 적의의 과장된 형태의 소매는 고증적 재현과 형태와 색상의 현대적 재해석으로 면적의 확장성을 강조함에 따라 사후임에도 불구하고 황후의 권위적이고 숭고한 이미지를 형상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징적 의미로 분석한 결과, 황후의 죽음을 오히려 조선의 밝은 미래를 향한 기원으로 승화시키려는 비장(tragic)과 숭고(sublime)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무대의상의 시각적인 형상인 영상언어를 기호의 언어 구조화 과정을 통해 극의 외면의 이미지와 내면 의미, 상징적 의미를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호이므로, 무대의상의 영상언어가 언어적 의미 전달이 가능함을 규명하였다. 이로써 무대의상 연구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년 제주대학교 교원성과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국립고궁박물관, (2012), 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 서울, 국립고궁박물관.
2. 김경용, (2014),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3.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1, 서울, 교문사.
4. 김영인, 김은경, 김지영, 김혜수, .... 추선형, (2009), 패션의 색채언어, 파주, 교문사.
5. 김운찬, (2014), 현대 기호학과 문화분석, 대구, 중문출판사.
6. 김유선, (2009), 영화의상 디자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7. 김치수, 김성도, 박인철, 박일우, (2016), 현대기호학의 발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8. 김현숙, (1995), 무대의상 디자인의 세계, 서울, 고려원.
9. 류희경, 김미자, 조효순, 박민여, .... 최은수, (2015), 우리옷 이천년, 고양, 미술문화.
10. 장애란, (1995), 복식에 나타난 건축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기호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장혜숙, (2018), 무대의상 디자인, 서울, 도서출판 연극과 인간.
12. 조현주, 이광훈, 정혜민, (2013), 쉽게 이해하는 색채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13. 송효섭, (2003), 문화기호학, 서울, 도서출판 아르케.
14. 뮤지컬 명성황후, (2018a), https://www.youtube.com/watch?v=91_fpKytSXs에서 인출.
15. 뮤지컬 명성황후, (2018b),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00355&cid=40942&categoryId=33112에서 인출.
16. Eco, U., (1976), A Theory of Semiotics, Un Chan Kim, Translated, (2009), Paju, The Open Books.
17. Peirce, C. S., (1992), Peirce on SIGNS, Dong Sik Kim, Yoo Sun Lee Translated, (2008), Paju, Na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