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8 , No. 4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8, No. 4, pp. 319-332
Abbreviation: KJHE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19
Received 20 Jun 2019 Revised 14 Jul 2019 Accepted 26 Jul 2019
DOI: https://doi.org/10.5934/kjhe.2019.28.4.319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다중매개효과
정민정 ; 김유진*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초빙교수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사회복지과 부교수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fficacy and Role Perform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Characte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Chung, Minjung ; Kim, Yuj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olicy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yeongg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ence to : *Kim, Yujin Tel: +82-31-496-4664, Fax: +82-31-431-9543 E-mail: nausikala@hanmail.net
IRB 승인 번호: 2-1040781-AB-N-01-2018126HR


ⓒ 2019,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With the goal of providing basic data on the role of childcare teachers and different mediating factors that have a qualitative impact on child developmen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fficacy and role perform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characte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current study surveyed 287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do Province using character self-evaluation, teacher’s efficacy,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o collect data.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intercorrelation between all the four factors, childcare teacher’s character, teacher’s efficacy,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ly, the study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efficacy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while the teacher’s role performance show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characte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Keywords: Character, Teacher-child interaction, Teacher’s efficacy, Teacher’s role performance, Multiple mediating effect
키워드: 인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 다중매개효과

Ⅰ. 서론

우리 사회가 저출산, 노령화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보육정책은 더 이상 저소득층 맞벌이 부부의 육아지원이 아닌 가족정책, 아동정책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가족지원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보육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보육기관 증설과 같은 양적 확장과 더불어 최근에는 안심보육 실현을 위한 보육환경 조성과 수요자 중심의 보육정책이 실현될 수 있도록 보육의 질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보육의 질은 유아가 앞으로 살아가면서 타인과 어떻게 상호작용해야 하는지 방법을 가르쳐주고 사회 정서적 발달의 기초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Howes와 Smith(1995)는 보육의 질을 구조와 운영과정의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즉, 구조적인 질은 집단의 크기, 교사 대 유아의 비율, 교사의 교육과 훈련 정도 등을 말하는 것이고, 운영과정적인 질은 교사가 준비한 활동에 대해 유아들이 어떻게 경험했는지, 교사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긍정적이었는지 부정적이었는지 등에 대한 것이다. 많은 학자들이 보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중 교사요인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다. Vandell과 Powers(1983), Howes와 Olenick(1986)은 보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사의 수준, 적절한 교사 대 아동의 비율 등을 들었으며, Scarr와 Eisenberg (1993)는 보육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요구,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 교사 대 유아의 비율, 교사의 교육과 훈련 등을 들고 있다(조인숙, 2005).

그 중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보육의 질을 높이는데 핵심적인 요인으로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면서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김수정, 2018; 박창현, 2015; 정진희, 이대균, 2017; Hamre et al., 2013).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보육의 일과나 교수학습 과정 중에 일어나는 교사와 유아의 모든 종류의 접촉 즉, 상호교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아가 교사에게 전하는 다양한 언어적, 비언어적인 신호와 교사의 적절한 피드백 등 모든 것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Downer et al., 2010).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 즉, 정서적, 사회적, 언어적, 교육적 측면 모두에 영향을 미쳐 유아가 심리적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끼게 하며, 친사회적인 행동을 발달시키게 한다. 또한, 유아의 언어적 반응 길이와 교수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언어적, 교육적 효과를 촉진한다(권영애, 이순복, 2017; 박창현, 나정, 2012; 성지현, 2012). 정부도 이러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2018 어린이집 통합지표를 기준으로 한 보육시설 평가에 있어서도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중요한 지표로 포함시켜 교사가 유아의 개별적 차이 및 흥미를 잘 파악하고 발달에 적합한 경험을 제공하며 적절한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느냐에 따라 보육시설의 질을 평가하고 있다.

많은 연구들에 따르면 교사의 다양한 요인들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강은주, 이수경, 2017).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성품과 성격을 말하는 것으로 최근 유아발달에 있어서 인성의 중요성을 인정한 정부는 건전하고 올바른 인성을 갖춘 시민 육성을 목적으로 인성교육진흥법을 제정하고 2015년 7월 21일부터 각급 교육기관에서 인성교육을 국가적으로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보육진흥원에서도 보육교사의 인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과목을 개설하고 대면 교과목으로 지정하고 있다.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배정연, 2019; 오경숙, 2018; 정다우리, 2013; 최미곤, 황인옥, 2016). 즉, 보육교사의 긍정적 자아개념, 직무수행, 창의성이 높을수록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효능감은 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과 판단으로 교사 자신이 유아의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 정도를 말한다(오금자, 2017). 다시 말해 교사효능감은 보육현장에서 교사의 교수행동 및 학습능력에 있어서 개인차를 설명해주는 변인이 된다.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와 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심숙영, 임선아, 2017; 이은정, 2011).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일수록 유아에게 따뜻하고 지지적인 교실 환경을 제공하고 유아들을 적극적으로 참여시켜 민주적인 의사결정을 내렸으며(Ashton et al., 1983), 문제 상황이 발생했을 때에도 유아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격려해 주었다(Costa & Riordan, 1996). Gibson과 Dembo(1984)의 연구에서도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들은 유아들에게 보다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긍정적인 교수방법과 피드백을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었는데, 보육교사의 역할이란 어린이집에서 교사라는 지위를 가진 사람에게 요구되는 생각, 행동 및 태도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은 어린이집 교사로서 적합한 자질과 전문성을 갖추고 그 지위에 요구되는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의 중요성에 대해 Katz(1969)는 보육교사가 정확하게 자신의 역할을 지각하고 수행하면 영유아들의 학습에 효과가 나타나며, 역할수행을 제대로 행하지 못하면 영유아들에게 다시 회복할 수 없는 손실을 준다고 하였다. 예전과 달리 최근 보육교사는 단순히 유아를 보호하고 교육하는 역할을 넘어서 양육대행자, 학습촉진자, 생활지도자, 상호작용자, 지역사회관계 유지자로서 다양하고 포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박선욱, 2018; 이청, 2017). 이러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으며(곽한나, 2018; 박유영 외, 2007; 신희이, 2011; 이현주, 2015), 교사가 유아와 상호작용 할 때 일방적인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의 개별적인 발달 차이나 기질 등 개인 특성에 따라 적합한 상호작용 유형과 전략을 사용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이정애, 2013).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창의적 인성 점수가 높은 교사들이 교사효능감도 대체로 높았으며 특히 개인적 효능감에서 더욱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이수영, 봉진영; 2016). 인성의 하위요인 중 직무수행과 긍정적 자아개념은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모두와 높은 상관을 보여 그 중요성이 두드러졌다(엄은나, 2016; 정명자, 2016). 또한, 교직인성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황선영(2016)이수연(2017)의 연구를 살펴보면, 인성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인성의 하위요인 중 특히 긍정적 자아개념과 공감적 이해가 교사역할수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희정(2019)의 연구에서는 교직윤리의식을 매개로 하여 교직인성이 교사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매개 역할로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인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행복감 및 자아개념 등의 각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강은주,이수경, 2017; 김연아, 김경은, 2018; 심영희, 권민균, 2018)이 대부분으로, 보육교사의 인성,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와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역할과 유아발달에 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중재요인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따라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다중매개효과는 어떠한가?


Ⅱ. 연 구 방 법
1. 연구모형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라 설정한 가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1] 
연구모형

가설 1.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사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 5. 보육교사의 교사역할수행은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할 것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으며, 총 320부 중 300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87부를 연구결과 처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사회인구학적 배경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N=287)
구 분 빈도 퍼센트 구 분 빈도 퍼센트
기관유형 국공립 104 36.2 최종학력 고졸 53 18.5
민간 95 33.1 2년(3년)제 대졸 146 50.9
직장 2 .7 4년제 대졸 80 27.9
법인 4 1.4 대학원졸 8 2.8
가정 82 28.6 총경력 1년미만 19 6.6
연령 20-25세 38 13.2 1-3년미만 67 23.3
26-30세 36 12.5 3-5년미만 65 22.6
31-35세 30 10.5 5-7년미만 36 12.5
36-40세 40 13.9 7-10년미만 37 12.9
41-45세 51 17.8 10년이상 63 22.0
46세 이상 92 32.1 담당학급
유아연령
만1세(12-24개월) 88 30.7
소지자격 유치원정교사1급 1 .3 만2세(25-36개월) 72 25.1
유치원정교사2급 6 2.1 만3세(37-48개월) 40 13.9
보육교사1급 92 32.1 만4세(49-60개월) 22 7.7
보육교사2급 122 42.5 만5세(61-72개월) 22 7.7
혼합반 43 15.0
보육교사3급 27 9.4 현직급 일반보육교사 228 79.4
원장 39 13.6 주임교사 25 8.7
결혼여부 기혼 183 63.8 원감 5 1.7
미혼 104 36.2 원장 29 10.1

<표 1>에서와 같이 보육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기관 유형을 살펴보면, 국공립이 104명(36.2%)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민간 95명(33.1%), 가정 82명(28.6%) 순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연령은 46세 이상이 92명(32.1%)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41-45세가 51명(17.8%)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최종학력은 2년 혹은 3년제 대졸이 146명(50.9%)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이 4년제 대졸 80명(27.9%)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총 경력은 1-3년 미만이 67명(23.3%), 3-5년 미만이 65명(22.6%)이었으며, 10년 이상 근무한 보육교사도 63명(22.0%)이나 되었다. 소지자격을 살펴보면, 보육교사 2급이 122명(42.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 1급이 92명(32.1%)으로 대부분이 보육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담당 학급은 영아반 만1세가 88명(30.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연구도구
1) 보육교사의 인성자기평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보육교사의 인성자기평가 척도는 전재선(2011)이 개발한 인성자기평가도구로, 이것은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인성자기평가 척도는 인간애, 긍정적 자아개념, 사회관계, 직무수행, 창의ㆍ인성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항구성은 총 80문항으로 각 문항은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인성자기평가의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표 2> 
인성자기평가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범주 하위요인 문항수 신뢰도
인간애 이타심, 용서 10 .780
긍정적 자아개념 자기개발, 주도적 성취동기, 자기조절 20 .909
사회관계 원만한 의사소통, 공감적 이해 13 .894
직무수행 직무수행, 태도 13 .798
창의ㆍ인성 유머ㆍ위트, 사회문제 인식, 창의적 성향 24 .874
전체 80 .951

2)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척도는 Riggs와 Enoch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이분려(1998)가 보육교사에 맞게 번역ㆍ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교사효능감 척도의 하위요인은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 총 25문항으로 각 문항은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의 수준이 높고 점수가 낮을수록 교사효능감 수준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표 3> 
교사효능감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수 신뢰도
일반적 교수효능감 12 .748
개인적 교수효능감 13 .710
전체 25 .812

3) 보육교사의 교사역할수행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측정을 위하여 주연희(2004)가 개발하고 고영자(2007)허은지(2014)가 수정ㆍ보완한 보육교사 역할수행 척도를 사용하였다. 하위요인은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상호작용, 대인관계, 업무수행, 교사의 전문성 개발로 구성되어 있다. 문항수는 총 44문항으로 각 문항은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요인에 대한 역할수행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표 4> 
교사역할수행 문항구성 및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수 신뢰도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12 .916
유아와의 상호작용 10 .906
대인관계 5 .857
업무수행 8 .857
교사의 전문성 개발 9 .905
전체 44 .964

4) 교사-유아 상호작용

본 연구에서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이은해와 이기숙(1995)이 개발하고 이정숙(2003)이 수정ㆍ보완한 교사-유아 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항수는 총 30문항으로 각 문항은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표 5> 
교사-유아 상호작용 문항구성 및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수 신뢰도
정서적 상호작용 10 .931
언어적 상호작용 10 .900
행동적 상호작용 10 .913
전체 30 .970

4. 연구절차
1) 예비조사

본 연구의 예비조사는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3곳의 보육교사 5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 및 취지를 설명하고, 설문내용에 대한 이해도 및 검사시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결과 설문에 소요되는 시간은 15-20분이었으며, 예비조사를 토대로 하여 설문지 각 문항의 적합도 및 이해도 등을 파악하여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2) 본 조사

본 조사는 2018년 3월 31일부터 9월 29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K대학에서 보육교사 직무교육을 받고 있는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320부 중 300부(93.75%)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87부를 연구결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5.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보육교사의 인성, 교수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인성, 교수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변인들 간의 관계와 다중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Preacher와 Hayes(2004, 2008), Hayes et al.(2011)이 개발한 SPSS PROCESS macro 3.3버전을 사용하였다. SPSS Indirect macro는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며, 매개효과의 유의성 결과에서 나타난 신뢰구간 내의 간접효과 값에 0이 포함되지 않으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여 5,000회 재 표본 작업을 지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보육교사의 인성,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1) 보육교사의 인성,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성

보육교사의 인성,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

<표 6> 
보육교사의 인성,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평균, 표준편차 (N=287)
구 분 평균(M) 표준편차(SD)
인성 인간애 3.64 .52
긍정적 자아개념 3.92 .48
사회관계 4.01 .49
직무수행 3.98 .43
창의ㆍ인성 3.34 .49
전체 3.78 .38
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수효능감 3.58 .43
개인적 교수효능감 3.10 .40
전체 3.34 .36
교사역할수행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3.82 .56
유아와의 상호작용 3.87 .53
대인관계 4.03 .59
업무수행 3.87 .59
교사의 전문성 개발 3.65 .60
전체 3.85 .49
교사-유아 상호작용 정서적 상호작용 4.23 .53
언어적 상호작용 4.13 .51
행동적 상호작용 4.19 .52
전체 4.18 .51

위의 <표 6>에서 보육교사의 인성은 평균 3.78 (SD=.38)로 나타났고, 교사효능감은 평균 3.34 (SD= .36)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역할수행에서 평균은 3.85 (SD=.49)로 나타났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평균은 4.18(SD=.51)로 나타났다.

2) 보육교사의 인성,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

보육교사의 인성,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보육교사의 인성,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 (N=287)
구분 인성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유아 상호작용
인성 1
교사효능감 .21** 1
교사역할수행 .62** .13* 1
교사-유아 상호작용 .58** .18** .71** 1
*p<.05, **p<.01

<표 7>에서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은 정적 상관관계(r=.21, p<.01), 인성과 교사역할수행은 정적 상관관계(r=.62, p<.01),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정적 상관관계(r=.58, p<.01)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은 정적 상관관계(r=.13, p<.05),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정적 상관관계(r=.18, p<.01)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역할수행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정적 상관관계(r=.71, p<.01)로 나타났다.

2.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다중매개효과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8>과 같다.

<표 8>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다중매개효과
구분 B t R2 F LLCI ULCI
모형1 인성→교사효능감 .21 3.67*** .05 13.44*** .10 .32
모형2 인성→교사역할수행 .80 13.31*** .38 177.254*** .68 .92
모형3 교사효능감→교사-유아 상호작용 .08 1.42 .55 113.67*** -.03 .19
교사역할수행→교사-유아 상호작용 .60 11.22*** .49 .70
인성→교사-유아 상호작용 .30 4.21*** .16 .43
***p<.001

위의 <표 8>을 살펴보면, 먼저 모형 1에서 보육교사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인성은 교사효능감(B=.21, p<.001)에 정적 예측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형 2에서 보육교사 인성이 교사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인성은 교사역할수행(B=.80, p<.001)에 정적 예측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모형 3에서 보육교사 인성,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인성(B=.30, p<.001)은 정적 예측관계가 나타났고, 교사효능감(B=.08, p<.05)은 미치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교사역할수행(B=.60, p<.001)은 정적 예측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인성이 높아질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이고 낮을수록 부정적이기 때문에 인성은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점수를 높이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성이 높아질수록 교사효능감 및 교사역할수행이 높아지기 때문에 인성은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점수를 높이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교사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역할수행이 높아질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사역할수행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 2]와 같다.


[그림 2]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다중매개효과(비표준화 회귀계수)

보육교사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다중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통해 간접효과와 직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9>와 같다.

<표 9>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다중매개효과에 대한 부트스트래핑 검증 결과
경로 효과계수 S.E. 95% 신뢰구간
Total 인성→교사-유아 상호작용 .80 .07 [ .66, .92]
Direct 인성→교사-유아 상호작용 .30 .07 [ 16, .43]
Indirect 인성→교사효능감→교사-유아 상호작용 .02 .02 [-.01, .01]
인성→교사역할수행→교사-유아 상호작용 .48 .07 [ .35, .62]
전체 간접효과 .50 .06 [ .38, .63]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효능감을 거쳐 교사-유아 상호작용으로 가는 경로를 살펴보면, 95% 신뢰구간이 [-.01, .01]로 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성이 교사역할수행을 거쳐 교사-유아 상호작용으로 가는 경로를 살펴보면, 95% 신뢰구간이 [.35, .62]로 0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교사역할수행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먼저 보육교사 인성은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교사역할수행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교사역할수행은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 교사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와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이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성이 높아질수록 교사효능감도 높게 나타나 정적 예측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 대해서 보고한 많은 선행연구(정명자, 2016; 조주원, 전유영, 2017; 황경선, 2018; Gibson & Brown, 1982)의 결과와 일치한다. 정은희(2019)는 교사인성이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김경신(2016)은 보육교사의 인성 중 특히 긍정적 자아개념이 효능감과 매우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고연경 외(2013)의 연구에서도 교사의 인성 중 긍정적 자아개념에서 주도적 자아성취가 교사효능감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교사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고 자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사로서의 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황경선(2018)의 연구에서는 교사효능감의 일반적 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 모두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창의인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의인성이 높은 교사가 교사효능감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김용숙 외, 2013; 이현경, 남명자, 2009)를 지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보육교사로서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창의적으로 새로운 일을 계획하며 긍정적인 자기인식과 주도적인 성취동기를 가지고 있는 교사가 자신이 하는 일을 중요한 일로 인식하고 유아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게 하는 요인임을 의미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사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성이 높아질수록 교사역할수행도 높게 나타나 정적 예측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한 선행연구(김희정, 2019; 이수연, 2017; 이수진, 2016; 황선영, 2016)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수연(2017)의 연구를 살펴보면, 인성의 하위요인 중 공감적 이해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수진(2016)의 연구에서는 인성의 하위요인 중 창의적 성향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직무수행태도, 공감적 이해, 주도적 자아성취, 자기조절 순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역할수행 간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힌 연구들에서도 창의적 인성이 높을수록 창의적 역할수행도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박상희 외, 2005; 손현주, 2017; 이혜영, 2010; 조은명, 2010).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은 단순히 교수자로서의 역할이 아닌 유아들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 개인적 자질과 전문적 자질이 동시에 강조되어지는 역할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보육교사의 전문적 역할수행은 교사 개인이 자신의 역할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성품과 태도를 바탕으로 보육활동에서 필요한 도덕적 가치와 덕성을 바람직하게 투여할 때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도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성이 높아질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도 높게 나타나 정적 예측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보육교사의 인간애, 긍정적 자아개념, 직무수행, 창의성이 높을수록 교사-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김동희. 2011; 김선희. 2016; 이미자, 2018; 최미곤, 황인옥, 2016). 박주미(2016)의 연구에서는 인성의 하위요인 중 특히 직무수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경숙(2018)의 연구에서는 긍정적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윤조 외(2015)의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인성은 스트레스 대처유형에도 영향을 미쳐 적극적 대처 및 소극적 대처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선미와 부성숙(2017)의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인성이 높을수록 유아와의 관계에서 공감, 애착, 개방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갈등이 적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과 전문성 증진을 위해 보육교사의 교수학습기술 향상뿐만 아니라 올바른 인성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넷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유아의 정서적, 행동적, 언어적 상호작용이 긍정적이라고 보고한 연구결과(권랑희, 이진희, 2015; 박금자, 이미숙, 2013; 박주미, 2016; 이재진, 최나야, 2013)와는 일치하지 않으나, 보육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보고한 정은희(2019)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이는 김연화(2012), 안상미(2002), 이희영(2018), 전인옥(1999)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구들에 따르면 교사효능감의 경우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언어적ㆍ비언어적 교수 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효능감의 수준이 높다는 것이 보육교사의 실제적인 발달지식과 기술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과 같은 정의적 영향보다는 직무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발휘되는 교사역할수행이 훨씬 더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육교사에 대한 전문적이고 실제적인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여 교사가 유아의 발달변화와 특성을 이해하고 개인특성에 따른 상호작용 유형과 전략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교사-유아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증진 시킬 수 있으리라 본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역할수행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역할수행이 높아질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 보육교사의 역할이 점점 확대되어 져서(임은정, 2007), 보육교사는 유아가 각 발달단계에 적합한 과업을 습득하고 개개인의 잠재적 능력을 개발하여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게 미래를 준비시키는 등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요구된다(조방제, 2004). 이처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은 유아의 전인적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김현지 외, 2010), 유아교육의 특성상 교사의 영향력이 매우 크므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은 유아교육 및 보육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겠다.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역할수행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본 본 연구결과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으며, 다만 유사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교사역량, 교수몰입,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역량과 교수몰입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결과(김숙현, 2018; 박주영, 2017; 심성경 외, 2014)들을 찾을 수 있다. 즉, 보육교사의 교사역량과 교수몰입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도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반응에 민감하며, 동료 교사, 원장, 학부모 등과의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전문성을 키워나가고, 주변 상황을 인지하고 스스로를 통제하는 능력이 높을 때 유아와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육현장에서 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행동 및 태도의 포괄적인 행동 양식을 향상 시키기 위한 다양하고 전문적인 교사역할수행의 지원방안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실천이 요구된다 하겠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결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역할수행이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역할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이 유아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는 연구결과 탐색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교사 자신이 설문지에 응답함으로써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실제적 관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교사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자기평가가 실제적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하고 실제적인 평가방법의 활용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교사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사이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보육교사의 긍정적 교사효능감은 다양한 형태로 교사의 인성이나 교사-유아 상호작용 각각에 미치는 영향력이 큼에도 본 연구의 매개효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그 원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는 후속연구 역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역할수행의 매개효과에 대한 새로운 모형을 구축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양한 보육의 문제 상황 속에서 적극적,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적인 능력이 요구되는 현시점에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학습기술의 향상과 함께 보육교사의 올바른 인성을 갖추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유아발달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References
1. 강은주, 이수경, (2017), 보육교사의 인성과 행복감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교육연구, 2(2), p1-18.
2. 고연경, 장석경, 이정아, (2013), 예비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인성 및 행복감 간의 관계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2(1), p19-34.
3. 고영자, (2007), 유아교사의 교직부합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교사의 조직몰입 및 역할수행,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곽한나, (2018), 영아 교사의 역할 인식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권랑희, 이진희, (2015),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아동교육, 24(2), p93-107.
6. 권영애, 이순복, (2017),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6(2), p115-129.
7. 김경신, (2016), 교직역량에 기반한 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동희, (2011),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유아의 또래수용 간의 관계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선희, (2016), 유아의 기질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수정, (2018),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관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연구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4), p647-654.
11. 김숙현, (2018), 보육교사의 교사역량과 교수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연아, 김경은, (2018), 열린어린이집 교사의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인식과 직무 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25(4), p23-44.
13. 김연화, (2012),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용숙, 전연주, 박지영, (2013),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수효능감 및 직무수행의 어려움 인식 간의 관계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3), p1100-1108.
15. 김춘옥, (2018), 영아교사의 교직적성이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보육 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민감성의 조절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현지, 한성민, 전경아, (2010),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이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 보육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2), p39-56.
17. 김희정, (2019), 보육교사의 교직인성, 교수효능감, 교직 윤리의식, 교사역할수행간의 구조분석,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박금자, 이미숙, (2013), 유아교사의 효능감이 유아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집, 33(1), p52-75.
19. 박상희, 김경의, 이효숙, (2005),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p165-185.
20. 박선욱, (2018), 보육교사의 보육신념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교사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박유영, 이수기, 윤현숙, (2007), 보육교사와 보육시설장의 관점에서 본 보육교사의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1(4), p149-173.
22. 박윤조, 임명희, 안정숙, (2015),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3), p129-148.
23. 박주미, (2016), 영아교사의 인성 및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박주영, (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교수몰입도가 유아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박창현, (2015), 유아교사의 개인특성과 유아교육기관 특성이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p201-220.
26. 박창현, 나정,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p99-125.
27. 배정연, (2019), 유아교사의 인성, 전문성 인식,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성지현, (2012),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회지, 32(4), p229-253.
29. 손현주, (2017),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역할수행 간의 관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신희이, (2011),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영아교사의 민감성, 교직헌신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심성경, 김은아, 이선경, (2014), 보육교사의 교수몰입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1(4), p73-92.
32. 심숙영, 임선아, (2017),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 유아기질에 따른 차이 검증, 유아교육연구, 37(4), p353-369.
33. 심영희, 권민균, (2018), 영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적 분석: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7(3), p147-164.
34. 안상미, (2002),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엄은나, (2016), 예비보육교사의 인성과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 p53-78.
36. 오경숙, (2018),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오금자, (2017), 원예체험프로그램 활동을 통한 보육교사의 정서조절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서울한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이미자, (2018), 보육교사의 인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이분려, (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 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이수연, (2017),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인성 및 직무수행 연구,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수영, 봉진영, (2016), 예비 보육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창의적 인성이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1), p241-252.
42. 이수진, (2016), 유아교사 인성과 교사 역할수행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이은정, (2011),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한국자치행정학보, 25(2), p319-337.
44. 이은해, 이기숙, (1995),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5(1), p157-179.
45. 이재진, 최나야, (2013), 영유아 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3(3), p183-203.
46.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이정애, (2013), 영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영아 발달지식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이청, (2017),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어린이집 내의 대인관계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이현경, 남명자, (2009), 예비보육교사의 현장실습 경험 및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4), p119-135.
50. 이현주, (2015),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p93-112.
51. 이혜영, (2010),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사고양식 및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수행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이희영, (2018),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및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임은정, (2007), 유아교사효과 관련 변인 분석: 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4. 전인옥, (1999),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효능감이 언어적ㆍ비언어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9, p203-237.
55. 전재선, (2011),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6. 정다우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교사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1, p49-70.
57. 정명자, (2016), 유아교사의 인성 및 교사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8. 정은희, (2019), 유치원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전문성과의 구조 관계 분석,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9. 정진희, 이대균, (2017),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 실행에 따른 교사의 성장과정,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p131-161.
60. 조방제, (200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요구분석을 통한 양성교육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연구: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 및 양성교육프로그램 교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13(1), p79-94.
61. 조은명, (2010),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및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 수행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2. 조인숙, (2005), 보육 서비스 질과 보육시설 조직문화의 관계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3. 조주원, 전유영, (2017), 보육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인식의 관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p275-303.
64. 주연희, (2004), 유아교육기관 신임교사의 역할수행 관련변인 영향분석,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5. 최미곤, 황인옥, (2016), 보육교사의 인성과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9(2), p169-197.
66. 최선미, 부성숙, (2017), 유아교사의 인성과 사회적 관계의 관련성 연구, 육아지원연구, 12(1), p5-27.
67. 허은지, (2014), 어린이집교사의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8. 황경선, (2018), 예비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직적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9. 황선영, (2016), 유아교사 인성이 교사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0(6), p5-24.
70. Ashton, P. T., Webb, R. B., & Dota, N., (1983), A Study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Final Report, Executive Summary,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Contact(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31 833).
71. Costa, J. L., & Riordan, G. P., (1996), Teacher efficacy and the capacity to trust,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p1-22, New York. U.S.A.
72. Downer, J., Sabol, J., & Hamre, B., (2010),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Toward a theory of within-and cross-domain licks to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1(5), p699-723.
73. Gibson, S., & Brown, R., (1982), Teachers’ sense of efficacy: Changes due to experience, Annual Meeting of the California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p1-12, Sacramento. U.S.A.
74.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p569-582.
75. Hamre, B. K., Pianta, R. C., Downer, J. T., DeCoster, J., Mashburn, A. J., Jones, S. M., & Brackett, M. A., (2013), Teaching through interactions: Testing a developmental framework of teacher effectiveness in over 4,000 classroom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13(4), p461-487.
76. Hayes, A. F., Preacher, K. J., & Myers, T. A., (2011), Mediation and the estimation of indirect effects in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In, Bucy, E. P., & Holbert, R. L., (Eds.), The Sourcebook for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Measures, and Analytical Techniques, New York, Routledge.
77. Howes, C., & Olenick, M., (1986), Family and child care influences on toddler’s compliance, Child Development, 57, p202-216.
78. Howes, C., & Smith, E., (1995), Relations among child care quality, teacher behavior, children’s play activities, emotional security, and cognitive activity in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4), p381-404.
79. Katz, L. G., (1969), Teaching in preschools: Roles and goles, Annual Spring Meeting of the Northern California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p1-17, Redwood City. U.S.A.
80.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and Computers, 36(4), p717-731.
81. Preacher, K. J., & Hayes, A. F., (2008),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40(3), p879-891.
82.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4(6), p625-637.
83. Scarr, S., & Eisenberg, M., (1993), Childcare research: Issues, perspectives and result, Annual of Psychology, 44, p613-644.
84. Vandell, D. L., & Powers, C. P., (1983), Day care quality and children's free play activitie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3(3), p439-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