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8 , No. 5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8, No. 5, pp. 419-435
Abbreviation: KJHE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9
Received 05 Jun 2019 Revised 14 Sep 2019 Accepted 08 Aug 2019
DOI: https://doi.org/10.5934/kjhe.2019.28.5.419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의 소비자사회화를 위한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교육: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에 기반한 탐색적 연구
심영*
서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Ethical Consumption Education for Parents for the Consumer Socialization of Early Child on Ethical Consumption: An Exploratory Study Based on the Perception and the Practice Behavior of the Parents on the Ethical Consumption
Shim, Yo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owo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 Shim, Young Tel: +82-43-299-8762, Fax: +82-43-299-8769 Email: syoung@seowon.ac.kr


ⓒ 2019,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conceptual awareness on ethical consumption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need for parent education on ethical consump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consciousness and the practice behavior on ethical consumption of parents with early child by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conceptual awareness on ethical consump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education experience on ethical consumption was related to the conceptual awareness and the need for parent education on ethical consump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of parents in planned expenditure at the stage of resource allocation, and saving of resources and objects at the stage of disposal by the education experience on ethical consump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actice behavior of parents in planned expenditure at the stage of resource allocation, and recycling and reuse at the stage of disposal by the education experience on ethical consump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of parents in budgeting and spending resources, donating to neighbors and society at the stage of resource allocation, purchasing environmentally-friendly enterprise products at the stage of purchase, recycling and reusing, separating and disposing of waste and minimizing waste at the stage of disposal by the conceptual awareness of ethical consump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actice behavior of parents in budgeting and expenditure, donating to neighbors and society at the stage of resource allocation,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at the stage of purchase, environmentally oriented purchasing behavior, community revitalization and eco-friendly use, and savings of resource and product at the stage of use, recycling and reuse, waste disposal and waste minimization at the stage of disposal by the conceptual awareness of ethical consumption.


Keywords: Parent with early child, Consumer socialization of early-child, Ethical consumption, Education on ethical consumption, Parent education
키워드: 유아부모,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의 소비자사회화, 윤리적 소비 교육, 부모교육

Ⅰ. 서론

자원고갈로 인한 생산과 소비의 지속가능성 여부, 환경오염 및 생태계 파괴로 인한 기후변화 등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시작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과 노력은 오늘날 공동체 일원으로서 소비자의 소비생활이라는 맥락에서 윤리적 소비로 이어지며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되고 있다. 윤리적 소비는 인간, 자연환경,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둔 지속가능발전의 가치를 지향하는 소비이다(천경희 외, 2017).

우리 사회에서도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이와 관련되어 학계 연구가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흐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는 윤리적 소비의 개념적 측면에 초점을 둔 연구 흐름(김민재, 2015; 문혁, 2013; 박미혜, 강이주, 2009; 송인숙, 2005; 전상민, 2016; 홍연금, 송인숙, 2010)으로, 이 연구 흐름은 윤리적 소비에 대한 개념적, 이론적 토대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측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 둘째는 윤리적 소비 행동에 초점을 둔 연구 흐름이다(박미혜, 2015; 박미혜, 강이주, 2009; 정주원, 2012; 천경희 외, 2012; 홍연금, 송인숙, 2010; 홍연금 외, 2011; 홍은실, 신효연, 2010). 이 연구흐름은 윤리적 소비를 실천하는 소비자 특성이나 윤리적 소비 행동의 영향요인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윤리적 소비에 대한 실제적 상황 이해의 의미를 제공한다. 셋째는 윤리적 소비를 교육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초점을 둔 연구 흐름(송인숙, 천경희, 2009; 천경희 외, 2012; 하선혜 외, 2018)으로, 이 연구흐름은 윤리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실천 제고에 그 의미가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특히 둘째 및 셋째의 연구흐름은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 실천과 나아가 소비자의 지속가능발전 구현이라는 실천적 측면에서의 의미가 지대한 연구흐름이다. 이러한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흐름이기는 하나, 지금까지 수행된 실천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그 대상이 주로 중·고등학교 학생과 대학생을 포함하는 청소년소비자이거나 일반 성인소비자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는 연구대상 측면에서의 한계를 지닌다. 청소년 소비자, 특히 대학생 소비자는 생애주기 단계에서 보면 소비자로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성인소비자로 이어지는 단계라는 점에서 청소년 소비자 그 자체로는 의미있는 연구대상이다. 그러나 세 살 적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에서 보여주듯이 유아기에 형성된 태도나 습관 등은 아동기, 청년기, 성인기 그리고 노년기로 이어진다는 점은 유아기에 형성되는 소비자로서의 태도나 습관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유아기는 출생으로부터 만 6세에 이르는 기간으로 인간발달 단계 중에서 의식, 가치, 습관, 태도, 행동 등을 형성하며 사회구성원으로서 사회화되는 가장 결정적 시기로, 앞서 언급된 속담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유아기의 사회화는 이후 생애주기 단계에서도 지속적으로 그 영향을 미친다(고화정, 정순희, 2007; 권순남, 2014; 김희경, 2014; 우수경, 외 2016; 제미경, 김영옥, 2002; Siraj-Blatchford, 2009). 따라서 유아기에 어떻게 사회화되었는가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유아기 사회화 과정에서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특히 부모로서, 유아기 자녀는 부모에 대한 관찰, 의사소통 등을 통해 부모의 의식, 가치, 습관, 태도, 행동 등을 모방, 습득하며 체화한다. 이러한 사회화 과정과 사회화 과정에서의 부모 역할은 소비자로서의 유아의 의식, 태도, 습관, 행동 등 즉, 유아의 소비자사회화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이나 실천행동은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의 소비자사회화에 매우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그 의미가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소비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즉, 아동기, 청년기, 성인기 그리고 노년기로 이어지는 생애주기 과정에서 소비자로서 윤리적 소비실천, 나아가 지속가능발전을 지향하는 소비실천 가능성 여부는 유아기 자녀의 소비자로서의 사회화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이나 실천행동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소비자로서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의 뿌리이자 토대가 될 유아기 자녀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에 가장 강력하고 지대한 영향력을 지닌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유아부모에 대한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 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교육을 위한 제언을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 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의 소비자사회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유아부모로 하여금 실제 소비생활에서 윤리적 소비를 의식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윤리적 소비 교육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지닌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로서의 유아부모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의 소비자사회화를 위한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을 제고하는 윤리적 소비 교육의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윤리적 소비

윤리적 소비(Ethical Consumption)는 소비자의 소비생활에서 소비윤리를 실천하는 소비행동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여기에서 소비윤리는 소비행동에 대한 윤리적 판단기준을 의미하는 개념이다(천경희 외, 2017).

1990년대 영국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윤리적 소비 개념은 소비자 자신이 지닌 도덕적 신념을 기반으로 한 의식적인 구매로 정의되었다(전상민, 2016; 천경희 외, 2017; Carrigan & Attalla, 2001; Crane & Matten, 2003). 이는 주로 구매행동에 초점을 둔 것으로 거래과정에서의 소비자의 도덕적 소비선택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후 Barnett et al.(2005), Vitell et al.(2001)는 인권, 환경, 동물, 사회정의 등과 같은 사회적 이슈를 기반으로 이와 관련된 소비자의 도덕적 소비선택을 주장하였다. 이는 단순히 구매행동 측면에서의 윤리적 소비선택만이 아니라 소비자의 소비생활과 관련된 모든 측면에서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는 사회적 책임 실천을 강조하는 것으로, 아동노동 및 제3세계 노동자 인권, 안전 및 건강, 자연·생태환경의 보존 및 보호, 동물복지, 지역공동체 살리기 등 인권, 환경, 동물, 사회정의 등을 고려하는 소비자의 도덕적 소비선택을 포함한다(천경희 외, 2017). 즉, 윤리적 소비는 단순히 자연 생태환경 보전에 관심을 두는 환경친화적 소비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인권, 지역 및 지구촌 공동체, 동물복지 등을 함께 고려하는 소비자의 책임있는 소비실천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윤리적 소비는 인간, 자연환경 및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둔 소비실천 개념이다(천경희 외, 2017).

한편 소비는 재화나 서비스를 단순히 사용하는 행위만이 아니라 재화나 서비스를 획득 구매하고, 사용하며, 나아가 처분하는 행위를 포함할 뿐 아니라 재화나 용역을 획득구매하기 위한 자원배분의 행위를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이다(이승신 외, 2003). 이는 곧 소비자의 소비실천은 자원배분, 구매, 사용 및 처분에 이르는 일련의 소비과정에서의 실천을 의미한다. 따라서 윤리적 소비는 자원배분에서부터 구매, 사용, 처분에 이르는 소비의 전 과정에서 윤리적이어야 한다(홍연금, 송인숙, 2010; 천경희 외, 2017). 이에 본 연구에서 윤리적 소비는 자원배분, 구매, 사용, 처분의 4단계 소비과정에서의 윤리적 소비를 살펴본다.

2.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에 관한 선행연구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만을 초점으로 한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는 점에서 여기에서는 윤리적 소비 관련 기존 선행연구에서 파악되었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결과를 간단히 살펴본다.

윤리적 소비 의식은 윤리적 소비 실천을 위한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강조하며 홍연금 외(2011)는 대학생소비자 340명을 대상으로 윤리적 소비의 중요성과 윤리적 소비 실천 정도를 파악하였다. 중요성 및 실천 정도는 상거래 소비윤리, 구매운동, 불매운동, 녹색소비, 로컬소비, 공동체화폐운동, 공정무역, 소비절제와 간소화, 나눔 기부의 윤리적 소비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대학생소비자가 인식하는 윤리적 소비의 중요성 정도는 5점 척도에서 3.36점이었고, 구체적 영역에서의 중요성 인식은 소비절제와 간소화가 3.93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구매운동(3.71점), 상거래 소비윤리(3.67점), 불매운동(3.41점), 녹색소비(3.35점)와 공정무역(3.35점), 나눔·기부(3.13점), 공동체화폐운동(2.91점), 로컬소비(2.81점)의 순이었다. 윤리적 소비의 실천 정도는 5점 척도에서 소비절제와 간소화가 3.7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상거래 소비윤리(3.43점), 구매운동(3.24점), 불매운동(2.91점), 나눔·기부(2.85점), 녹색소비(2.76점), 공정무역(2.69점), 공동체화폐운동(2.32점), 로컬소비(2.30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윤리적 소비의 중요성에 대한 전반적 인식이나 구체적인 영역에서의 인식은 그리 높지 않다는 점과 구체적 영역에서 인식하는 중요성 정도가 실천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홍연금 외(2011)의 연구는 윤리적 소비 인식과 실천 간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시사점을 짚어볼 수 있다.

홍은실, 신효연(2010)은 800명의 대학생소비자를 대상으로 크게 세 가지 영역에서 윤리적 소비 행동을 분석하였다. 세 가지 영역은 속임, 손상, 오용 및 불법을 포함하는 상거래에서의 윤리적 소비 영역, 공정무역 제품, 기부와 나눔, 로컬소비를 포함하는 동시대 인류를 위한 윤리적 소비 영역, 녹색구매, 녹색사용, 녹색처분, 절제와 간소화를 포함하는 미래세대를 위한 윤리적 소비 영역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대학생소비자는 상거래에서의 윤리적 소비 행동이 3.64점으로 가장 높고, 미래세대를 위한 윤리적 소비 행동(3.11점), 동시대 인류를 위한 윤리적 소비행동(2.64점)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홍은실, 신효연(2010)은 특히 동시대 인류를 위한 윤리적 소비 실천이 제고될 수 있도록 TV, 신문 등 매체를 활용한 공정무역, 로컬소비, 기부와 나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제고하도록 함과 더불어 구체적인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여 제공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 실천은 윤리적 소비 인식과 더불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13세-18세 중·고등학교 청소년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윤리적 소비 교육 경험과 윤리적 소비행동의 관계를 파악하였던 정주원(2012)의 연구 역시 상거래에서의 윤리적 소비행동은 5점 만점에 3.41점, 미래세대를 위한 윤리적 소비행동은 3.17점, 동시대 인류를 위한 윤리적 소비행동은 2.86점으로 나타나 대체로 보통 수준의 윤리적 소비 실천이었고, 동시대 인류를 위한 윤리적 소비 실천이 가장 낮았다.

윤리적 소비 의식은 타인과 환경을 고려하는 소비를 위한 의식으로 지속가능한 패션 제품의 소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독특한 삶의 방식인 라이프스타일은 의생활에 가장 쉽게 반영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미실(2017)은 환경을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패션제품 소비에 미치는 윤리적 소비 의식 및 라이프스타일의 영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330명의 여대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사회윤리의식, 환경윤리의식, 공공윤리의식을 포함하는 윤리적 소비 의식, 상표추구형, 외모추구형, 신중형, 정보추구형을 포함하는 라이프스타일, 환경보존, 재활용 및 생태계를 고려하는 패션제품에 대한 선호 및 사용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윤리적 소비 의식은 라이프스타일보다 지속가능한 패션제품의 소비에 상대적으로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토대로 정미실(2017)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윤리적 소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을 주장하며 나아가 이러한 프로그램이 실제 소비행동으로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기존 선행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이다. 첫째, 윤리적 소비 의식 혹은 인식의 중요성이다. 둘째, 우리 사회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 의식이나 실천행동이 대체로 그리 높지 않다는 점이다. 셋째, 윤리적 소비 의식과 윤리적 소비 실천 수준은 동일하지 않다는 점이다.

3. 유아소비자의 소비자사회화에 대한 부모의 역할

소비자사회화는 소비자로서의 사회화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개개인이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행동 등을 습득해 나가는 과정을 의미한다(나종연, 이기춘, 1998; 이기춘, 김정은, 2012; Ward, 1974). 여기에서 소비자역할은 구매 역할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자원배분, 구매, 사용, 처분의 전 소비과정에서의 역할을 포함한다. 따라서 소비자사회화는 자원배분에서 처분에 이르는 전 소비과정에서의 소비자로서의 지식, 기능, 태도, 행동 등을 습득해 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유아는 소비자로서 어떻게 사회화되는가?

출생으로부터 만 6세에 이르는 유아기는 태도나 습관, 행동 등을 형성하는 첫 시기로, 이 시기에 형성된 태도, 습관, 행동 등은 이후 생애단계에서 보여주는 태도, 습관, 행동 등에 미치는 영향력 뿐 아니라 지속성 또한 매우 크고 길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화 시기이다(우수경 외, 2016). 이 시기의 유아는 자신이 접하는 주변의 다양한 작용인을 통해 사회화된다. 마찬가지로 유아기는 소비자사회화의 첫 시기로, 이 시기에 형성된 소비자로서의 태도나 습관, 행동 등은 소비자로서 이후 이어지는 생애단계에 미치는 영향력 뿐 아니라 지속성 또한 매우 크고 길다. 자원획득·배분, 구매, 사용 및 처분이라는 소비자 역할 측면에서 보면 소비자로서 유아의 역할이 다소 제한되기는 하나 유아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등원하기 이전부터 부모, 형제, 대중매체 등 유아가 접하는 다양한 소비생활 관련 작용인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여러 가지 소비 관련 상황을 접하고 경험하며 소비자로서 사회화된다(김효정, 2006; 이기춘, 김정은, 2012; 전예화, 제미경, 2012; Seefeldt et al., 2010; Stampfl et al., 1978; Ward, 1974).

소비자사회화의 대표적인 작용인은 부모, 형제, 대중매체, 친구, 동료이지만, 유아의 소비자사회화에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작용인은 부모이다(이기춘, 1999; 지옥정, 심영, 2018). 유아소비자는 유아기를 지나고 생애주기를 거치며 부모보다는 친구나 동료, 대중매체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영향을 받으며 소비자로서의 사회화 과정을 지속해 간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아기에 학습되고 체화된 소비자로서의 사회화는 성인 및 노년에 이르기까지 가장 근본적인 뿌리가 된다. 따라서 소비자사회화의 첫 시기인 유아기에 소비자사회화 작용인으로서의 부모의 소비 태도, 습관, 가치 및 행동 등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렇다면 부모의 소비 태도, 습관, 행동 등은 유아에게 어떻게 소비자사회화에 작용하는가?

유아기 자녀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부모와 함께 보내며 부모의 소비 태도, 습관, 행동 등을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관찰하고 모방하면서 부모의 소비 가치, 선호, 지식, 태도, 행동을 습득하고 학습하며 자신의 것으로 내재화한다(이기춘, 김정은, 2012). 뿐만 아니라 유아는 부모와의 시장놀이 등을 통해 언어 및 비언어로 부모와 상호작용하며 부모의 소비 가치, 태도, 행동 등을 익히고 모방한다(McNeal, 1992). 결과적으로 유아기 자녀는 모델링, 관찰과 같은 비언어적인 간접적 방식 뿐 아니라 교육, 훈련과 같은 언어적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직접적 방식으로 부모로부터 소비자사회화된다. 특히 일반적으로 어머니는 아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간을 유아기 자녀와 보낸다는 점은 유아의 소비자사회화에 대한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아소비자에 관한 기존 연구(권순남, 2014; 김효정, 2006; 문주영, 박명희, 2000; 여수영, 2005; 오정화, 2000; 이영자, 2001; 정현영, 김호, 2012; 제미경, 김영옥, 2002; 조미환, 2004)는 유아는 부모를 통하여 직·간접적으로 소비를 경험하며 소비자로서 사회화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유아의 경제교육에 미치는 어머니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이재정, 1999)는 특히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4. 소비자교육 관련 선행연구

여기에서는 윤리적 소비 의식, 태도 및 행동에 대한 소비자교육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던 기존 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윤리적 소비 교육에 대한 함의를 짚어본다.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비윤리 상거래 행동의 영향요인을 살펴본 김효정(2006)의 연구결과는 소비자 지식 및 태도가 비윤리적 상거래 행동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 지식이 많을수록, 소비자 태도가 바람직할수록 윤리적인 상거래 행동을 많이 하였다. 이를 토대로 김효정(2006)은 소비자 지식을 습득하고 바람직한 소비자 태도를 위한 소비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대학생소비자의 윤리적 소비 행동에 관한 연구에서 홍은실, 신효연(2010)은 윤리적 소비 행동에 미치는 소비교육 경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소비교육은 소비윤리 교육으로, 속임, 손상, 오용 및 불법 등과 관련된 상거래에서의 윤리적 소비, 공정무역 제품 소비, 기부와 나눔 소비, 사회의식적 소비 및 로컬소비의 동시대인류를 위한 윤리적 소비, 녹색구매, 녹색사용, 녹색처분 및 절제와 간소한 삶의 미래세대를 위한 윤리적 소비를 포함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소비교육 경험은 미래세대를 위한 윤리적 소비 중 단지 녹색처분 행동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소비 행동은 소비자교육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하며 정주원(2012)은 중·고등학교 청소년 소비자를 대상으로 윤리적 소비 행동에 대한 소비자교육 경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소비자교육 경험은 가정과 학교에서의 교육 경험을 포함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청소년 소비자는 소비자교육 경험과 윤리적 소비 행동 모두 대체로 높지 않았으나 소비자교육 경험이 있는 청소년 소비자는 소비자교육 경험이 없는 청소년 소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윤리적 소비 행동을 많이 하였다. 특히 가정에서의 소비자교육 경험이 학교에서의 교육경험보다 영향이 컸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주원(2012)은 윤리적 소비 행동에 대한 가정 및 학교에서의 소비자교육의 중요한 역할과 필요성을 지적하며 특히 본보기, 안내자로서의 부모의 윤리적 소비 교육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한편 환경교육으로 한정되기는 하나 다음과 같은 기존연구 또한 소비자교육의 중요성과 특히 가정에서 부모의 소비행동이나 태도로 보여주는 소비자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청소년 소비자의 환경보전행동을 살펴본 신소연(1993)의 연구결과는 환경교육 경험이 청소년 소비자의 환경보전행동에 가장 크게 기여하였고, 그 다음으로 어머니의 쓰레기 분리 배출 행동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에서의 부모 특히 어머니가 보여주는 소비자행동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박영옥, 신효식(1998)의 연구는 고등학교 여학생의 환경의식적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정에서의 환경보전운동 실시 정도, 환경보전에의 참여의식, 환경보전의식, 환경교육 수강경험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은희(1998)는 청소년 소비자의 생활폐기물 재활용에 미치는 환경교육 경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환경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재활용 수준이 높았다. 차정은(2000)은 청소년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부모와 친구, 교사, 대중매체로부터 모방, 강화, 사회적 상호작용을 의미하는 소비자사회화과정이라고 지적하였다. 청소년 소비자를 대상으로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을 살펴본 김시월(2003)의 연구결과는 녹색구매, 녹색사용, 녹색처분, 절제와 간소한 삶과 관련된 소비자교육의 수강 경험이 있는 집단이 수강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기존 연구결과는 윤리적 소비 교육의 중요성, 특히 가정에서의 윤리적 소비 교육의 중요성을 위한 부모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이해 및 실천 제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의 소비자사회화를 위한 유아부모 대상 윤리적 소비 교육을 모색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1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교육경험, 개념인식 및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은 어떠한가?
  • 1.2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교육경험과 개념인식 및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은 관련이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는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 윤리적 소비 교육 경험의 효과 등의 실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개념인식은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가를 아는 윤리적 소비에 대한 개념적 인식을 의미하며,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은 윤리적 소비에 대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 연구문제 2.1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은 어떠한가?
  • 2.2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과 실천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 2.3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교육경험 및 개념인식에 따른 윤리적 의식 및 실천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는 유아부모가 실제 소비생활에서 윤리적 소비를 어느 정도 의식하고 실천하는가, 이러한 의식과 실천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그리고 윤리적 소비교육경험, 개념인식 및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에 따라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실태 파악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2. 연구대상, 연구도구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아부모로, 연구 조사대상은 충청북도 청주에 소재한 17개 어린이집에 유아를 보내는 부모이다. 17개 어린이집은 편의적 방법으로 표집되었다.

연구도구는 설문지로, 설문지 문항은 크게 윤리적 소비의식 및 실천행동 영역과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의식 및 실천행동 영역은 자원배분, 구매, 사용 및 처분으로 이어지는 소비과정 단계에서 윤리적 소비를 실제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문항으로 기존의 문헌(홍연금, 송인숙, 2010; 천경희 외, 2017; 허은정, 김우성, 2012)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자원배분 단계는 8개 문항, 구매 단계는 10개 문항, 사용 단계는 12개 문항, 처분 단계는 9개 문항으로, 의식 문항과 실천행동 문항은 쌍을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그저 그렇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의 5점 리커트 총화척도 측정하였다. 이에 점수가 높을수록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의식 및 실천행동이 높은 것이다. 일반적 영역은 부모의 성별, 연령 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을 받아본 적이 있는가의 교육경험,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지를 아는가의 윤리적 소비 개념인식, 그리고 윤리적 소비에 대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의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을 포함하였다.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은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교육경험 여부로 측정하였고, 윤리적 소비 개념인식 및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개념인식 정도와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정도가 높은 것이다. 윤리적 소비 설문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소비자교육 전문가 3인의 검증을 거친 후 본 조사에 앞서 유아부모 10인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수정 보완하여 본조사용 최종설문을 작성하였다.

설문조사는 2018년 5월 2일부터 5월 30일까지로, 총 250부를 배부하고 215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설문지 6부를 제외한 20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3. 분석방법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1.1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연구문제 1.2를 위해 독립표본 t-test, 연구문제 2.1과 연구문제 2.2를 위해 대응표본 t-test, 연구문제 2.3을 위해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과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윤리적 소비 문항들 간의 내적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적일관성 확인 결과, 자원배분, 구매, 사용, 처분의 Cronbach's α는 각각 .787, .883, .868, .882로 소비단계를 구성하는 문항들 간의 내적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과정에서 소비단계별 윤리적 소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소비단계별 문항들을 유목화하였다(<표 1> 참조). 유목화된 소비단계를 살펴보면, 자원배분 단계는 예산수립과 지출, 이웃 사회 위한 기부, 계획적 지출의 3가지 유목, 구매 단계는 친환경 제품 및 지역공동체 살리기 구매, 환경친화적 기업 제품 구매, 환경지향적 구매 행동의 3가지 유목, 사용 단계는 지역공동체 살리기 및 환경친화적 사용, 자원 및 물건 절약의 2가지 유목, 처분 단계는 재활용 및 재사용, 쓰레기 분리 처분, 쓰레기 최소화의 3가지 유목으로 유목화되었다.

<표 1> 
윤리적 소비의 소비단계별 탐색적 요인 분석
구분 부하량 신뢰도 유목명
자원배분 목표 위한 저축 .810 .697 예산수립과 지출
수입범위 내에서 지출 .768
물건구매 전 계획수립 .671
사회/이웃 위해 일하는 비영리기구/단체에 정기기부 .823 .801 이웃 사회 위한 기부
사회/이웃 위해 나의 능력이나 재능 기부 .797
나눔은 넉넉해서가 아닌 아껴서 함 .678
수입과 지출은 항상 기록 .876 .857 계획적 지출
예산 계획에 따라 지출 .659
구매 지역농산물 이용 .763 .820 친환경 제품 및 지역공동체 살리기 구매
다소 비싼 가격이라도 유기농이나 친환경제품 구매 .740
공정여행 이용 .735
동물복지 제품 구매 .714
지역공동체 위해 대형유통점보다 재래시장 이용 .608
제조환경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기업 제품 구매 .836 .768 환경친화적 기업 제품 구매
환경인증 받은 기업 제품 구매 .772
환경/사회 문제 야기한 기업 제품 불매 .704
비닐봉지 사용을 줄이고자 장바구니 지참 .794 .647 환경지향적 구매 행동
필요품목 메모하여 필요한 만큼만 구매 .681
사용 천연제품 사용 .797 .857 지역공동체 살리기 및 환경친화적 사용
주로 우리 지역 농산물 먹기 .789
재생종이/재생화장지 등 재생용품 사용 .784
리필제품 사용 .738
외식보다 집에서 간소하게 요리해 먹기 .689
근거리는 자동차 대신 걷거나 자전거 타기 .619
물건을 잘 관리하여 오래 사용 .812 .801 자원 및 물건 절약
새 물건 사용 전 사용법 익히기 .732
전기, 물 절약 노력 .710
전기제품 사용 후 플러그 빼 놓기 .662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586
음식은 필요한 만큼만 준비하여 남기지 않기 .532
처분 사용치 않는 사용가능 물건 중고물품 상점/재활용 센터 보냄 .877 .820 재활용 및 재사용
아나바다장 이용 .835
빈 병 구분하여 빈용기 보증금을 돌려받기 .683
쓰레기 분리나 재활용에 대한 정부 정책/정보 알기 .585
형광등/일회용 건전지 따로 버리기 .811 .781 쓰레기 분리 처분
재활용 위한 종이팩과 종이는 분리 처분 .809
일반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는 분리 처분 .665
여행 장소에 쓰레기통이 없을 시 나의 쓰레기 갖고 오기 .817 .561 쓰레기 최소화
쓰레기 최소화 .597

4.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 유아부모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표 2> 참조), 성별은 대부분 여성으로 91.4%를 차지하였고, 연령은 평균 35.33세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대졸(81.8%)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고졸(11.5%), 대학원졸(6.7%)의 순이었다. 조사대상 유아부모는 전업주부가 25.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사무직(28.5%)이었으며, 전문직 관리직은 15.5%였다. 소득수준은 300만원-500만원 미만(47.8%)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300만원 미만(29.0%), 500만원 이상(23.2%)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수는 2명이 60.3%로 과반수이었고, 그 다음으로 1명(25.4%)의 순이었다.

<표 2> 
조사대상 유아부모의 일반적 특성
특성 빈도(%)
성별 남성 18(8.6)
여성 191(91.4)
연령(세) 평균(표준편차) 35.33(4.4)
교육수준 고졸 24(11.5)
대졸 이하 171(81.8)
대학원졸 14(6.7)
소득수준 300만원 미만 60(29.0)
300만원 - 500만원 미만 99(47.8)
500만원 이상 48(23.2)
직업 전업주부 38(25.3)
사무직 59(28.5)
전문직·관리직 32(15.5)
자영업 12(5.8)
기술직 10(4.8)
판매·서비스직 19(9.2)
기타 37(17.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연구문제 1.1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교육경험, 개념인식 및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표 3>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경험은 유아부모의 7.7%인 반면에 유아부모의 92.3%는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교육경험은 매우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지를 아는가의 개념인식은 알고 있음이 46.4%로 가장 많았고, 그저 그러함(33.0%), 모름(20.5%)의 순으로, 조사대상 유아부모의 과반수가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지 모른다(20.6%)거나 그저 그러하다(33.0%)고 하여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은 필요함이 75.1%로 가장 많은 반면에 필요없음은 3.8%에 불과하였다.

<표 3>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교육경험, 개념인식 및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구분 빈도(%)
교육경험 경험 16(7.7)
비경험 193(92.3)
개념인식 모름 43(20.6)
그저 그러함 69(33.0)
알고 있음 97(46.4)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필요없음 8(3.8)
그저 그러함 44(21.1)
필요함 155(75.1)

이상의 결과에서 흥미로운 점은 비록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경험이 없더라도,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많은 조사대상 유아부모가 부모교육으로 윤리적 소비가 필요하다고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는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부모교육이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윤리적 소비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한 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문제 1.2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교육경험에 따른 개념인식 및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4>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과 개념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경험이 있는 유아부모가 교육경험이 없는 유아부모에 비해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인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윤리적 소비 교육은 윤리적 소비의 개념적 인식을 제고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경험이 있는 유아부모는 교육경험이 없는 유아부모에 비해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부모교육 필요성을 인식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윤리적 소비 교육은 유아부모에게 윤리적 소비의 중요성을 인식시킴으로서 윤리적 소비에 대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케 한다고 볼 수 있다. 표로 제시하지 않았으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개념인식과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간의 상관분석 결과는 비록 상관 정도(.246)가 그리 높지는 않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즉,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가를 알고 있는 유아부모는 윤리적 소비에 대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을 통한 윤리적 소비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표 4>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교육경험에 따른 개념 인식 및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차이
교육경험 t-value
전체 평균(표준편차) 경험 평균(표준편차) 비경험 평균(표준편차)
개념 인식 3.26(.86) 4.06(.57) 3.20(.84) 4.025***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3.83(.67) 4.25(.58) 3.79(.67) 6.255**
** p<.01; *** p<.001

연구문제 2.1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정도와 연구문제 2.2의 의식과 실천행동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살펴보고자 소비 단계별로 대응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의식은 자원배분 단계의 예산수립과 지출, 구매 단계의 환경친화적 기업 제품 구매와 환경지향적 구매행동, 사용 단계의 자원 및 물건 절약, 처분 단계의 재활용 및 재사용, 쓰레기 분리 처분, 쓰레기 최소화가 4점대였으며 그 중 처분 단계의 쓰레기 최소화가 4.40점으로 가장 높았다. 윤리적 소비에 대한 실천행동은 처분 단계에서 쓰레기 최소화와 쓰레기 분리 처분만이 4점대였고, 그 중 쓰레기 분리처분이 4.21점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에 이웃·사회 위한 기부의 실천행동은 2.94점으로 가장 낮았다.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의식과 실천행동 간의 대응분석 결과에 의하면, 자원배분, 구매, 사용 및 처분 단계의 모든 유목에서 의식과 실천행동 간에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배분, 구매, 사용 및 처분 단계의 모든 유목에서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점수가 실천행동 점수보다 높았다.

<표 5> 
소비단계별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의식 및 실천행동
구분 의식 평균(표준편차) 실천행동 평균(표준편차) 대응차이 평균(표준편차) t-value
자원 배분 예산수립과 지출 4.30(.48) 3.84(.73) .45(.72) 9.084***
이웃 사회 위한 기부 3.64(.63) 2.94(.92) .70(.76) 13.308***
계획적 지출 3.85(.61) 3.27(.86) .58(.82) 10.102***
구매 친환경 제품 및 지역공동체 살리기 구매 3.54(.64) 3.09(.67) .44(.53) 12.089***
환경친화적 기업 제품 구매 4.16(.57) 3.65(.74) .51(.71) 10.218***
환경지향적 구매 행동 4.15(.56) 3.65(.83) .50(.77) 9.509***
사용 지역공동체 살리기 및 환경친화적 사용 3.84(.59) 3.48(.71) .37(.58) 9.121***
자원 및 물건 절약 4.21(.41) 3.88(.61) .32(.53) 8.594***
처분 재활용 및 재사용 4.03(.58) 3.22(.78) .80(.69) 16.815***
쓰레기 분리 처분 4.37(.49) 4.21(.63) .16(.59) 3.927***
쓰레기 최소화 4.40(.50) 4.04(.69) .36(.65) 7.985***
*** p<.001

이상에서 보여준 조사대상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의식 및 실천행동 정도, 의식과 실천행동 간의 차이 결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점이 주목할 만하다. 하나는 전 소비과정 단계의 모든 유목에서 의식 점수가 실천행동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다는 점이다. 즉,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 수준이 윤리적 소비 의식 수준보다 낮다. 소비자의 의식은 실천행동을 유도하는 동인이라는 점에서 윤리적 소비 의식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기는 하나 동일한 수준까지의 실천행동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의식은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서 그 의미가 감소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윤리적 소비 의식과 실천행동 간에 보여주는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이 실천행동으로 옮겨지도록 하는 노력이나 방안 또한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른 하나는 처분 단계의 쓰레기 분리 처분에 대한 실천행동 점수가 전 소비과정 단계의 실천행동 유목들 점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이다. 이는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199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정부의 쓰레기 분리 처분 관련 다양한 홍보 및 제도 시행의 효과일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쓰레기 분리 처분의 실천행동결과는 윤리적 소비 교육 방법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즉, 앞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이론적 관점에서 보면 소비자의 의식이 실천행동을 유도하는 동인이기는 하나, 의식의 변화가 단시간에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과 이에 따른 실천행동의 변화는 더더욱 시간을 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으로 홍보 및 제도, 혹은 실천경험 등을 통해 실천행동을 유도하는 실천교육이 선행되고 이를 통한 의식 변화를 시도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2.3의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에 따른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차이, 그리고 윤리적 소비 개념인식에 따른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각각 <표 6>과 <표 7>, <표 8>과 <표 9>이다. 먼저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에 따른 윤리적 소비 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표 6> 참조),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이 있는 유아부모는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이 없는 유아부모에 비해 자원배분단계의 계획적 지출, 사용 단계의 자원 및 물건 절약에 대한 의식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즉, 계획적 지출과 자원 및 물건 절약에서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이 있는 유아부모가 교육경험이 없는 유아부모에 비해 윤리적 소비 의식 점수가 높았다. 윤리적 소비 개념인식에 따른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 분석결과<표 7>에 의하면,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이 있는 유아부모가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이 없는 유아부모에 비해 자원배분 단계의 계획적 지출, 처분 단계의 재활용 및 재사용에 대한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즉, 계획적 지출과 재활용 및 재사용에서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이 있는 유아부모가 교육경험이 없는 유아부모에 비해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 점수가 높았다.

<표 6>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부모의 의식 차이
구분 경험 (n=16) 평균(표준편차) 비경험 (n=193) 평균(표준편차) t-value
자원 배분 예산수립과 지출 4.52(.36) 4.28(.49) 1.956
이웃·사회 위한 기부 3.83(.52) 3.62(.63) 1.297
계획적 지출 4.16(.35) 3.83(.62) 2.095*
구매 친환경 제품 및 지역공동체 살리기 구매 3.66(.47) 3.53(.65) .798
환경친화적 기업 제품 구매 4.25(.51) 4.15(.57) .691
환경지향적 구매 행동 4.38(.47) 4.13(.56) 1.658
사용 지역공동체 살리기 및 환경친화적 사용 4.05(.47) 3.82(.60) 1.503
자원 및 물건 절약 4.43(.46) 4.19(.41) 2.224*
처분 재활용 및 재사용 4.22(.47) 4.01(.58) 1.380
쓰레기 분리 처분 4.53(.45) 4.35(.49) 1.372
쓰레기 최소화 4.59(.52) 4.39(.50) 1.599
* p<.05

<표 7>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부모의 실천행동 차이
구분 경험 (n=16) 평균(표준편차) 비경험 (n=193) 평균(표준편차) t-value
자원 배분 예산수립과 지출 4.10(.54) 3.82(.74) 1.491
이웃 사회 위한 기부 3.35(.89) 2.90(.91) 1.900
계획적 지출 3.75(.66) 3.23(.87) 2.421*
구매 친환경 제품 및 지역공동체 살리기 구매 3.40(.50) 3.07(.68) 1.903
환경친화적 기업 제품 구매 3.77(.36) 3.64(.76) .679
환경지향적 구매 행동 3.93(.60) 3.62(.85) 1.446
사용 지역공동체 살리기 및 환경친화적 사용 3.78(.66) 3.45(.71) 1.798
자원 및 물건 절약 4.10(.58) 3.87(.61) 1.506
처분 재활용 및 재사용 3.63(.68) 3.19(.78) 2.166*
쓰레기 분리 처분 4.38(.54) 4.20(.64) 1.088
쓰레기 최소화 4.03(.64) 4.04(.70) -.056
* p<.05

<표 8>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개념인식에 따른 의식 차이
구분 모름 (n=43) 평균(표준편차) 그저 그러함 (n=69) 평균(표준편차) 알고 있음 (n=97) 평균(표준편차) F-value
자원 배분 예산수립과 지출 4.25(.50) ab 4.20(.56) a 4.38(.39) b 3.271*
이웃 사회 위한 기부 3.57(.81) ab 3.50(.57) a 3.77(.55) b 4.093*
계획적 지출 3.80(.70) 3.81(.59) 3.90(.58) .618
구매 친환경 제품 및 지역공동체 살리기 구매 3.56(.73) 3.42(.68) 3.61(.56) 1.837
환경친화적 기업 제품 구매 4.03(.59) a 4.11(.60) ab 4.24(.52) b 2.406*
환경지향적 구매 행동 4.15(.53) 4.12(.57) 4.18(.57) .174
사용 지역공동체 살리기 및 환경친화적 사용 3.76(.62) 3.79(.60) 3.91(.56) 1.342
자원 및 물건 절약 4.15(.39) 4.14(.40) 4.28(.42) 2.598
처분 재활용 및 재사용 3.90(.55) a 3.92(.69) a 4.16(.48) b 4.951**
쓰레기 분리 처분 4.26(.49) a 4.23(.47) a 4.51(.47) b 8.279***
쓰레기 최소화 4.21(.55) a 4.39(.45) b 4.49(.49) b 5.048**
* p<.05; ** p<.01; *** p<.001

<표 9> 
윤리적 소비 개념인식에 따른 유아부모의 실천행동 차이
구분 모름 (n=43) 평균(표준편차) 그저 그러함 (n=69) 평균(표준편차) 알고 있음 (n=97) 평균(표준편차) F-value
자원 배분 예산수립과 지출 3.87(.75) b 3.53(.78) a 4.06(.60) b 11.466***
이웃 사회 위한 기부 2.85(.98) ab 2.69(.84) a 3.16(.90) b 5.870**
계획적 지출 3.38(.84) 3.10(.85) 3.35(.88) 2.105
구매 친환경 제품 및 지역공동체 살리기 구매 3.04(.73) ab 2.93(.75) a 3.23(.56) b 4.309*
환경친화적 기업 제품 구매 3.64(.84) 3.53(.71) 3.74(.69) 1.681
환경지향적 구매 행동 3.63(.74) ab 3.44(.98) a 3.80(.73) b 3.917*
사용 지역공동체 살리기 및 환경친화적 사용 3.48(.79) ab 3.26(.65) a 3.62(.68) b 5.302**
자원 및 물건 절약 3.88(.65) b 3.64(.57) a 4.06(.57) b 10.357***
처분 재활용 및 재사용 3.14(.76) a 2.99(.72) a 3.43(.77) b 7.473***
쓰레기 분리 처분 4.26(.66) b 4.00(.62) a 4.34(.60) b 6.121**
쓰레기 최소화 3.95(.73) a 3.83(.77) a 4.23(.57) b 7.310***
* p<.05; ** p<.01; *** p<.001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자원배분 단계의 계획적 지출과 사용 단계의 자원 및 물건 절약을 제외한 모든 유목에서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이 있는 유아부모와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이 없는 유아부모 간에 윤리적 소비 의식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자원배분 단계의 계획적 지출과 처분 단계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제외한 모든 유목에서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이 있는 유아부모와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이 없는 유아부모 간에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의 효과는 장기적 관점에서 보아야 하지만 현재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윤리적 소비 교육을 점검해 볼 필요성을 시사한다.

윤리적 소비의 개념인식에 따른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차이를 분석한 결과(<표 8>과 <표 9> 참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인식에 따른 윤리적 소비 의식의 차이 분석결과<표 8>, 자원배분 단계의 예산수립과 지출, 이웃·사회 위한 기부, 구매 단계의 환경친화적 기업 제품 구매, 처분 단계의 재활용 및 재사용, 쓰레기 분리 처분 및 쓰레기 최소화에서 윤리적 소비 의식 점수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인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배분 단계의 예산수립과 지출, 이웃·사회 위한 기부에 대한 의식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유아부모가 그저 그러하다고 응답한 유아부모보다 점수가 높았다. 구매 단계의 환경친화적 기업 제품 구매에 대한 의식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유아부모가 모른다고 응답한 유아부모보다 점수가 높았다. 처분단계의 재활용 및 재사용, 쓰레기 분리 처분에 대한 의식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유아부모가 모른다 혹은 그저 그러하다고 응답한 유아부모보다 점수가 높았다. 처분 단계의 쓰레기 최소화에 대한 의식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을 알고 있다 혹은 그저 그러하다고 응답한 유아부모가 모른다고 응답한 유아부모보다 점수가 높았다.

윤리적 소비의 개념인식에 따른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의 차이 분석결과<표 9>, 자원배분 단계의 예산수립과 지출, 이웃·사회 위한 기부, 구매 단계의 친환경 제품 및 지역공동체 살리기 구매, 환경지향적 구매 행동, 사용 단계의 지역공동체 살리기 및 환경친화적 사용, 자원 및 물건절약, 처분 단계의 재활용 및 재사용, 쓰레기 분리 처분 및 쓰레기 최소화에서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 점수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인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배분 단계의 예산수립과 지출, 사용 단계의 자원 및 물건 절약, 처분 단계의 쓰레기 분리 처분에서의 실천행동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을 알고 있다 혹은 모른다고 응답한 유아부모가 그저 그러하다고 응답한 유아부모보다 점수가 높았다. 자원배분 단계의 이웃·사회 위한 기부, 구매 단계의 친환경 제품 및 지역공동체 살리기 구매, 환경지향적 구매 행동, 사용 단계의 지역공동체 살리기 및 환경친화적 사용에 대한 실천행동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유아부모가 그저 그러하다고 응답한 유아부모보다 점수가 높았다. 처분단계의 재활용 및 재사용에 대한 실천행동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유아부모가 모른다거나 그저 그러하다고 응답한 유아부모보다 점수가 높았다.

이상의 윤리적 소비의 개념인식에 따른 윤리적 소비의식 및 실천행동 결과는 비록 소비단계의 모든 유목에서 윤리적 소비 개념인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대체로 많은 유목에서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지를 알고 있는 유아부모는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점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앞에서 살펴본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에 따른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차이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단지 윤리적 소비 교육을 경험한 것보다는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가를 개념적으로 아는 것이 보다 의미있는 의식 및 실천행동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이는 윤리적 소비 교육을 단순히 경험하는 것보다는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가를 개념적으로 명확하게 인식할 수 윤리적 소비 교육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의 소비자사회화를 위한 유아부모 대상 윤리적 소비 교육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교육경험과 개념인식 및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경험 및 개념인식에 따른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차이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 중 최종 209명의 유아부모 자료를 토대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석결과로, 조사대상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경험은 단지 7.7%였고, 조사대상 유아부모의 46.4%만이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지 개념인식을 하였으며, 윤리적 소비에 대한 부모교육 필요성은 조사대상 유아부모의 3/4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인식 및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과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소비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윤리적 소비 의식 점수가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 점수보다 높았다. 자원배분단계의 계획적 지출, 사용 단계의 자원 및 물건 절약에서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에 따라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에 차이가 있었다. 자원배분 단계의 계획적 지출, 처분 단계의 재활용 및 재사용에서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에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에 차이가 있었다. 자원배분 단계의 예산수립과 지출, 이웃·사회 위한 기부, 구매 단계의 환경친화적 기업 제품 구매, 처분 단계의 재활용 및 재사용, 쓰레기 분리 처분 및 쓰레기 최소화에서 윤리적 소비의 개념 인식에 따라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에 차이가 있었다. 자원배분 단계의 예산수립과 지출, 이웃·사회 위한 기부, 구매 단계의 친환경 제품 및 지역공동체살리기 구매, 환경지향적 구매 행동, 사용 단계의 지역공동체 살리기 및 환경친화적 사용, 자원 및 물건 절약, 처분 단계의 재활용 및 재사용, 쓰레기 분리 처분 및 쓰레기 최소화에서 윤리적 소비의 개념인식에 따라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에 차이가 있었다.

분석결과에서 제시된 시사점은 윤리적 소비 교육의 필요성, 윤리적 소비에 대한 개념인식의 중요성, 부모교육을 통한 윤리적 소비 교육의 가능성, 윤리적 소비 의식과 윤리적 소비 실천을 연계하는 교육, 의식을 통한 실천행동변화 뿐 아니라 실천행동을 통한 의식 변화의 가능성, 현재의 윤리적 소비 교육에 대한 점검으로 집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제시된 시사점을 중심으로 유아부모 대상 윤리적 소비 교육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이다. 첫째,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소비 교육의 필요성이다.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과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가를 아는 개념인식은 관련이 있다는 분석결과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인식은 대체로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을 제고한다는 분석결과는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소비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경험은 조사대상 유아부모의 단지 7.7%에 불과하여 매우 미흡하였다. 이러한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교육경험 미흡이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소비 교육의 부재인지 혹은 윤리적 소비 교육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유아부모가 윤리적 소비 교육을 수혜하지 않는 것인지는 본 연구로서는 파악할 수 없지만 중요한 점은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소비 교육은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소비 교육은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가를 명확히 인식시키는 교육이어야 한다. 윤리적 소비 교육이 윤리적 소비의 개념적 인식을 제고하기는 하지만,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에 따른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분석결과와 윤리적 소비의 개념인식에 따른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분석결과를 비교해보면,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 그 자체보다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아는 개념인식이 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에 윤리적 소비 교육은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윤리적 소비 교육은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의식 뿐 아니라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을 동일하게 제고하는 연계 교육이어야 한다.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실천행동 점수가 의식 점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는 분석결과는 결국 실천행동에 변화를 가져오는 윤리적 소비교육이라기보다는 지식에 불과한 윤리적 소비 교육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유아기 자녀는 특히 부모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부모의 모델링을 통해 소비자사회화 된다(이기춘, 김정은, 2012; McNeal, 1992)는 점에서 부모의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을 가져오는 윤리적 소비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따라서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소비 교육은 단순한 지식에 의한 의식 제고 혹은 변화만이 아닌 실천행동으로 이어지는 실천적 동기부여 혹은 실천적 변화를 가져오는 교육이어야 한다. 처분 단계의 쓰레기 분리 처분에서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점수(4.21점)가 다른 유목들의 실천행동 점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며, 의식과 실천행동 간의 점수 차이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난 분석결과(<표 5> 참조)는 윤리적 소비실천행동을 제고하는 교육 방법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즉, 처분 단계의 쓰레기 분리 처분 분석결과는 앞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우리 정부가 1990년대부터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특히 쓰레기 분리 처분 관련 다양한 홍보 및 제도를 시행한 결과일 일 수 있다는 점에서 윤리적 소비 교육은 의식 변화에 따른 실천행동 변화의 방법도 가능하나 실천행동 변화에 따른 의식 변화의 방법도 활용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언급된 둘째 및 셋째 제언은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윤리적 소비 교육에 대한 점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윤리적 소비가 무엇인가를 개념적으로 인식하고,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윤리적 소비 교육 방법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파악해야 한다.

넷째, 윤리적 소비 교육은 어린이집에서 수행되고 있는 부모교육에 포함되도록 한다.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정도가 높다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어린이집에서 수행되고 있는 부모교육에 윤리적 소비 교육을 용이하게 포함시킬 가능성을 보여준다. 부모교육의 내용이 수혜자인 부모의 요구에 부응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면 부모교육의 만족도 및 효과는 제고될 가능성이 높다(우수경 외, 2016)는 점에서 윤리적 소비에 대한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결과는 그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비자교육의 가장 큰 어려움은 성인소비자를 한 곳에 집합하는 것(이기춘, 1999)이라는 점에서 어린이집에서 시행되고 있는 부모교육은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윤리적 소비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한 기회이자 장이 될 수 있다. 이에 어린이집에서 정기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부모교육을 통해 윤리적 소비 교육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윤리적 소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소비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전 소비단계에서 유아부모 자신의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이 이루어지는 것일 뿐 아니라, 유아기 자녀의 소비자사회화에 미치는 유아부모의 영향력을 고려한다면 결국 동일하게 유아기 자녀에게 윤리적 소비 의식 및 실천행동이 전달되고 유아기 자녀에게 체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에서 불구하고 아직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소비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교육경험, 개념인식 및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윤리적 소비에 대한 유아부모의 의식 및 실천행동을 살펴보고 비록 탐색적 수준이기는 하나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소비 교육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부모교육을 통한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교육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며 향후 이를 보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편의적 표본추출로 인한 조사대상의 편향 가능성 한계와 이로 인한 일반화의 한계를 지닌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대표성을 띤 표본추출을 토대로 조사를 수행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대체로 기술적 분석에 한정하여 영향 요인 등과 같은 설명적 분석이 실시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이는 탐색적 조사라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함께 조사대상의 편향 및 표본크기 등으로 인한 때문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하되 표본의 대표성을 고려하며 표본크기를 확대하여 영향요인 등과 같은 설명적 분석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 등 측정 문항의 한계이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은 단순히 교육을 받았는지 여부만을 확인하는 것으로 한정되었고, 경험한 윤리적 소비 교육의 내용, 방법 및 정도 등과 같은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측면에서의 윤리적 소비 교육에 대한 측정이 부재하여 유아부모의 윤리적 소비 교육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교육 내용 및 방법 등 윤리적 소비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단지 부모교육을 통한 윤리적 소비 교육의 가능성만을 파악하였다. 이에 향후 부모교육을 통한 윤리적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윤리적 소비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19년 한국생활과학회 하계학술대회에 발표된 논문임.


References
1. 고화정, 정순희(2007). 어머니의 소비자교육인식 및 소비자기능이 아동의 소비자기능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0(2), 29-51.
2. 권순남(2014). 소비자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소비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민재(2015). 생활과 윤리 과목의 윤리적 소비 내용에 대한 개선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353-375.
4. 김시월(2003). 청소년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6), 105-117.
5. 김효정(2006). 소비자의 비윤리 상거래 행동과 관련 변인 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5(6), 1015-1023.
6. 김희경(2014). 가치탐구모형에 기초한 환경친화적 유아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나종연, 이기춘(1998). 어머니의 아동기 자녀에 대한 소비자사회화수행. 대한가정학회지, 36(5), 107-123.
8. 문주영, 박명희(2000). 유아 소비자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p.161-169), 서울, 한국.
9. 문혁(2013). 윤리적 소비의 유형화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미혜, 강이주(2009). 윤리적 소비의 개념 및 실태에 대한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8(5), 1047-1062.
11. 박미혜(2015). 윤리적 소비와 관련한 소비자의 감정경험. 소비자학연구, 26(3), 27-58.
12. 박영옥, 신효식(1998). 여고생의 환경문제에 대한 소비자의식과 행동. 한국가정과학회지, 1(1), 44-65.
13. 배순영(2002). 녹색소비 관련 2010년 전망 및 동향. 소비자정책동향, 9호, 1-16.
14. 송인숙(2005). 소비 윤리의 내용과 차원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6(2), 37-56.
15. 송인숙, 천경희(2009). 대학생 소비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소비문화연구, 12(3), 21-45.
16. 송인숙, 천경희, 홍연금(2013). 윤리적 소비자가 경험하는 행복한 소비의 특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소비문화연구, 16(4), 1-27.
17. 송인숙, 천경희(2015). 생활협동조합 활동가의 윤리적 소비인식과 실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1(2), 141-167.
18. 신소연(1993). 청소년소비자의 환경보전능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여수영(2005). 도시와 농촌지역 유아의 경제개념 및 소비자 행동 비교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오정화(2000). 유아의 소비행동 실태와 부모의 소비행동지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우수경, 김현자, 신선희, 유영의, 김호, 김현정(2016). 유아교육개론. 서울: 학지사.
22. 이기춘(1999). 소비자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문사.
23. 이기춘, 김정은(2012). 소비자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문사.
24. 이승신, 김기옥, 김경자, 심영, 정순희(2003). 가계경제분석. 서울: 신정.
25. 이영자(2001). 시장놀이가 유아의 경제 기본개념 습득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재정(1999). 어머니의 소비자교육 인식과 유아의 경제 개념 발달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장은희(1998). 청소년 소비자의 생활폐기물 재활용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전상민(2016). 윤리적 소비동기의 발달: 도덕성 발달 이론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7(2), 151-179.
29. 전예화, 제미경(2012). 녹색소비 실천교육이 유아의 녹색 소비 인식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1(3), 527-537.
30. 정미실(2017). 윤리적 소비의식 및 라이프스타일이 지속가능패션 제품의 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9(4), 421-433.
31. 정주원(2012). 청소년의 윤리적 소비 교육경험과 윤리적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4(3), 191-208.
32. 정현영, 김호(2012).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279-299.
33. 제미경, 김영옥(2002). 유아의 경제 개념에 따른 유아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소비문화연구, 5(2), 159-178.
34. 조미환(2004). 어머니의 소비자행동, 소비자교육과 유아의 소비자행동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지옥정, 심영(2018). 윤리적 소비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실천. 유아교육연구, 38(5), 81-105.
36. 차정은(2000). 청소년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 의식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천경희, 송인숙, 홍연금, 윤명애(2012). ‘소비와 윤리’ 교과목 수강 대학생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과 실천행동의 변화. 한국생활과학회지, 21(3), 505-526.
38. 천경희, 홍연금, 윤명애, 송인숙(2014). 윤리적 소비의 이해와 실천. 서울: 시그마프레스.
39. 천경희, 홍연금, 윤명애, 송인숙, 이성림, 심영, 김혜선, 고애란, 제미경, 김정훈, 이진명, 박미혜, 유현정, 이승신(2017). 행복한 소비 윤리적 소비의 이해와 실천. 서울: 시그마프레스.
40. 하선혜, 서현아, 김산아(2018).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1), 183-204.
41. 허은정, 김우성(2012).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과 관련 요인 분석. 소비자학연구, 23(4), 105-130.
42. 허은정, 김우성(2014). 윤리적 소비행동에 따른 소비자 유형분류와 윤리적 소비동기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0(4), 95-114.
43. 홍연금, 송인숙(2010). 윤리적 소비에 대한 개념 논의와 실천 영역 연구. 소비자정책 교육연구, 6(4), 91-110.
44. 홍연금, 송인숙, 천경희(2011). 대학생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의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31(1), 114-129.
45. 홍은실, 신효연(2010). 대학생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와 관련 변인: 교육경험변인과 사회심리적 변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5), 131-149.
46. Barnett, C., Cafaro, P., & Newholm, T. (2005). Philosophy and ethical consumption. London: Sage.
47. Carrigan, M., & Attalla, A. (2001). The myth of the ethical consumer-Doethics matter in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8(7), 560-577.
48. Crane, A., & Matten, R. (2004). Business Eth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9. McNeal, J. (1992). Children as Consumers. Austin: University of Texas Bureau of Business Research.
50. Seefeldt, C., Castle, S., & Falconer, R. (2010). Social Studies for the Preschool Primary Child(8th Ed). New Jersey: Merrill/Person.
51. Siraj-Blatchford, J. (2009).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childhood.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41(2), 9-22.
52. Stampfl, R., Moschins, G., & Lawton, J. (1978). Consumer education and the preschool child. Journal of Consumer Affairs, 12(1), 12-29.
53. Vitell, S. J., Singhapakdi, A., & Thomas, J. (2001). Consumer ethics: An application and empirical testing of the Hunt-Vitell theory of ethic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8(2), 153-178.
54. Ward, S. (1974). Consumer socializ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