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8 , No. 6

[ Articl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8, No. 6, pp. 583-595
Abbreviation: KJHE
ISSN: 1226-0851 (Print) 2234-376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9
Received 29 Nov 2019 Accepted 11 Dec 2019
DOI: https://doi.org/10.5934/kjhe.2019.28.6.583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매개효과
이은경 ; 유영미*
인천광역시육아종합지원센터 팀장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Implementation of Children’s Right Resp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and Teacher-Child Conflict
Lee, Eunkyung ; Ryu, Youngmi*
Incheon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Seokyeo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 Ryu, Youngmi Tel: +82-2-940-7554, Fax: +82-2-940-7554 E-mail: ryuym0406@skuniv.ac.kr


ⓒ 2019,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ll rights reserv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implementation of children’s right respect on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and teacher-child conflictual relationship. This study involved 360 child-care teachers from 98 day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Gyeong-gi, and Chung-nam provinc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s completed by teacher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a Sobel test.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 that teachers’ implementation of children’s right respect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and teacher-child conflictual relationship.


Keywords: Teacher-child conflictual relationship,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Implementation of children’s right respect
키워드: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유아권리인식, 유아권리존중 실행

Ⅰ. 서론

현재 우리나라는 기관의 이용연령 하향화 및 조기 입학을 가속화시키는 사회현상에 직면함에 따라(한국보육진흥원, 2017), 과거 부모만이 자녀양육의 주된 역할자로 불리던 시대를 벗어나, 점차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자녀양육의 최대 역할자로 급부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으로 인해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전문성 확보의 필요성과 영향력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게 되었다(박경자 외, 2013). 또한 위와 같은 사회현상의 변화로 유아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보내는 시간이 상당히 늘어나게 되어 유아의 하루 일과 중 부모 다음으로 접촉이 가장 많은 교사가 유아와 긍정적 관계를 형성해야 하는 중요한 대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유아는 교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음으로써 전인적인 발달과 성장이 촉진될 뿐만 아니라, 이후 성인이 되어서도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유아는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사회구성원으로서 가져야 하는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를 배우게 되는데, 이때 교사는 유아에게 안전한 기저역할을 한다(권연희, 2012; DeMuller et al., 2000). 즉, 교사와 유아의 긍정적인 관계는 유아에게는 정서적 안정감을 주어 주변 환경을 적극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하고, 교사에게는 지지적이고 보호적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처럼 교사-유아 관계는 정서적 환경의 요소로 작용하여 유아가 발달능력을 습득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Arbeau et al., 2010; Hamre & Pianta, 2001).

교사와 유아는 서로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갈등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교사-유아 간 친밀한 관계는 유아로 하여금 자신감을 갖게 하고 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할 뿐만 아니라(박민지, 김민진, 2016), 유아의 기관적응과 전인적인 발달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이완정, 신수희, 2013). 유아의 이러한 관계 경험은 이후 초·중등학교에서 교사와의 관계 및 또래관계의 적응을 돕고, 학업에서 의미있는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오중근 외, 2013). 반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는 서로 간의 공감대와 조화로운 상호작용이 부족한 상태로 교사와 유아 사이에 라포가 결여된 관계(Pianta, 1994)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이러한 관계는 유아의 놀이성을 저하시키고 유아의 학습 활동의 자발적 몰입 방해, 타인과의 관계형성에서의 어려움, 문제행동 및 낮은 학업성취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김선희, 2009; Arbeau et al., 2010; Baker, 2006; Birch & Ladd, 1997; Eisenhower et al., 2007). 게다가 이러한 갈등관계 경험은 초등학교 이후에도 교사나 또래와의 갈등관계로 유지되어(이완정, 신수희, 2013) 학교생활 적응 및 성취수준에도 차이를 가져온다(안선희, 2013). 이와 같은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대한 논의들은 그동안 유아 측면의 전반적 특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되어 왔으나(Keogh & Burstin, 1988; Rudasill & Rimm-Kaufman, 2009), 관계란 일방향이 아닌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어린 유아보다 성숙한 성인이면서 전문성을 갖춘 교사에 의해 발현되는 작용이 강조되면서 교사-유아관계에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과 함께 교사 측면의 특성과 요소들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편, 최근 유아교육기관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 실태들은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의 극단적인 예라고 생각되어진다. 유아교육기관의 아동학대는 유아가 성인과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 존재라는 교사들의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나아가 교사가 유아의 권리를 존중하고 실행하는 데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유해미 외, 2011)고 보고한 연구에서 그 논거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권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의 권리를 존중하는 보육을 행동으로 실천할 때 교사-유아 관계에서의 갈등수준은 낮을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은 유엔아동권리협약(1989)에서 언급하고 있는 생존, 보호, 발달, 참여의 4가지 유아권리를 교사가 이해하고(김정화, 2014) 지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교사는 이러한 유아의 권리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생생활에서 유아의 권리를 존중하는 실천이 이루어져야 한다(김정화, 2014). 유아는 성인과 마찬가지로 동등한 권리를 가진 독립적인 인격체이므로(서정은, 2015), 교사는 유아에 대해 단순히 보호하고 양육하는 대상이 아니라 존엄한 권리를 가진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식해야 한다(최은혜, 2017). 유아의 개별적인 요구를 만족시키고 유아의 자발적 탐색을 존중하고 지원하는 교사의 신념도 유아를 권리존중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아동중심신념이 높은 교사일수록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가 낮았으며(유주연, 2017), 초등교사의 인권존중인식은 교사-학생 갈등관계의 수준과 긴밀한 관계가 있었다(윤준기, 2010). 이를 통해 볼 때 교사가 유아를 권리 보유자로 인정하는 인식이 교사-유아 갈등관계에 직접적이고 중요한 요소일 수 있을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한편, 유아기는 급격한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유아기의 발달특성이 구체적으로 반영된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이루어져야 한다(김진숙, 2009).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은 교사가 하루일과 안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과정에서, 유아의 개별적인 관심과 능력, 목표를 파악하고, 유아의 의견을 경청하면서 참여를 자극하며(김진숙, 서영숙, 2012),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에게 최대한 이익이 될 수 있도록 존중하며 행동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유아기는 자기인식과 주도성이 두드러지고, 호기심과 활동량이 많아지는 시기이며(이영 외, 2015), 사고력 확장과 사회성이 발달하여 또래와 교사와의 관계를 맺게 되고,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으로 발달해 가는 시기이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재교구준비, 정보획득, 매체 제공은 물론,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의 개별적인 요구와 표현을 인정해주고, 적절한 칭찬과 격려를 지원하는 상호작용을 하게 되면 유아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김진숙, 2009). 또한 교사는 유아가 갈등상황에 직면했을 때, 유아를 존중하는 태도와 자세로, 온정적이며 부드럽게 반응하고(황주희, 2013), 유아 스스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바탕으로 유아 스스로 합리적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유아권리존중 실행으로 교사-유아의 긍정적 관계를 도모할 수 있다(김진숙, 서영숙, 2012). 따라서 이러한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는 실제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편,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과 유아권리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본 국내 선행연구는 많지 않으나,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높을수록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수준이 높았음(김정화, 2014)을 보고하고 있다. 이는 유아교사가 자신의 신념이나 교수학습에 대해 반성적인 사고를 하는 수준에 따라 구체적 행동인 상호작용으로 연계되어 나타나게 된다는 선행연구(김진미, 2017)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수준과 유아권리존중 실행 수준과의 관련성을 예측해볼 수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관련이 있다면,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매개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해볼 수 있다. 그런데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관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교사의 행동적 측면보다는 스트레스, 기질, 우울감 등 교사의 내적 요인들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중점을 두고 연구되어 왔고(오경희, 2009), 교사의 신념이나 인식 수준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교사의 행동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 경로를 살펴보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매개변인인 유아권리존중 실행은 앞서 언급한 교사의 내적 요인들에 비해 교사의 외적인 행동적 측면의 변인으로서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어떠한 경로로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과정에 필요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요소들이 내재되어있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예측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영향을 미칠 때,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때 유아반 교사의 경력에 따라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및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차이가 있다는 일관된 선행연구결과(강인숙, 이희경, 2016; 김정화, 2014; 김진숙, 2009; 박연순, 2013; 신상화, 2016; 윤진주, 2017; 이유미, 안지혜, 2014)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경력을 통제변인으로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로 하여금 유아권리인식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실제 행동으로 실천, 발현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와의 건강하고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견인하고, 나아가 실천 중심의 유아권리 교사교육프로그램 계획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위해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1.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및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 2.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은 유아권리존중 실행을 매개로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만 3, 4, 5세 학급교사 36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선정을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및 충남 지역에 위치한 국공립, 직장, 민간, 법인, 가정, 부모협동 어린이집 98곳을 임의로 선정하여,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만 3세 담당교사 137명(38.1%), 만 4세 담당교사 65명(18.1%), 만 5세 담당교사 78명(21.7%), 혼합연령반 담임교사 80명(22.2%)이었다. 그중, 권리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는 319명(88.6%)으로 권리교육 경험이 없는 교사 41명(11.4%)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 도구
1)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대한 교사의 지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심숙영(2017)이 수정·보완한 Pianta(2001)의 교사-유아관계척도(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를 사용하였다. Pianta(2001)의 원래 척도는 친밀감, 갈등, 의존성의 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교사-유아 간 관계의 부정적이고 조화롭지 못한 상호작용, 적대적인 정도를 측정하는 갈등 영역의 12개 문항만을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가 부정적이고 공감 및 조화로운 상호작용이 부족하며 갈등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척도의 Cronbach’s α는 .89로 나타났다.

2)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Hart & Zeidner(1993)가 개발한 문항을 기초로 이재연과 강성희(1997)가 개발하고 김정화(2014)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유엔아동권리협약(1989)에 근거한 교사의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로 생존권(8문항), 보호권(9문항), 발달권(12문항), 참여권(11문항)의 4개 하위요인의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는 유아가 삶에 대해 갖는 기본적 권리가 있고, 유해한 것들로부터 안전하고 보호받을 수 있으며, 유아가 가진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성장에 필요한 수준의 생활을 누릴 수 있고, 유아가 하나의 인격체로서 권리행사를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를 지각하는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척도의 Cronbach’s α는 생존권 .75, 보호권 .81, 발달권 .88, 참여권 .89, 전체 .96으로 나타났다.

3) 유아권리존중 실행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진숙(2009)이 개발한 유아권리존중 실행 수준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유아권리존중의 실행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본 척도는 등원에서부터 오후 특별활동까지 총 8단계의 시간 순으로 구분되어 있는 ‘하루일과를 통한 존중 실행(19문항)’과 유아의 자율성존중, 의사존중, 개별성존중, 정보제공 4영역을 포함한 ‘아동최선의 이익 원칙을 기반한 존중 실행(21문항)’의 2개하위항목의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하루일과를 통한 존중 실행’의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는 하루일과 보육에서(등원, 정리, 용변, 소집단활동, 자유선택활동, 점심, 낮잠, 특별활동) 유아가 어려움 없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힘과 용기를 주며 존중하는 실행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아동최선의 이익 원칙에 기반한 존중 실행’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는 사소한 것까지도 유아들에게 기회를 주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하며, 교수-학습 과정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는 유아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기다려주며, 차별없이 유아 개개인의 특성을 배려하며, 유해정보로부터 유아를 보호하고 유아의 개별요구에 따라 정보를 이해하고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실행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척도의 Cronbach’s α 는 하루일과를 통한 존중 실행 .91, 아동최선의 이익 원칙에 기반한 존중 실행 .92, 전체 .95로 나타났다.

3. 연구 절차

연구도구의 적절성 및 응답 소요시간을 알아보기 위해 만 3, 4, 5세 유아반 담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에 소요된 시간은 대략 15분이었으며, 응답과정에서 별다른 문제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질문지는 남녀구분 없이 담당 유아반의 유아 1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 질문지는 어린이집에서의 평소 자신의 생각과 행동에 따라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자가 어린이집에 전화를 걸거나 직접 방문하여 본 연구의 목적, 방법 및 절차를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기관에 우편 및 이메일로 질문지 410부를 배부하고 우편이나 이메일, 또는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100% 회수하였다. 그 중 응답이 누락되고 불성실하거나 유아반 담당교사가 아닌데 응답한 50부를 제외한 총 360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4. 연구 모형

본 연구는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서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모형은 [그림 1][그림 2]와 같다.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유아권리존중 실행을 통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영향을 주는 부분 매개모형과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유아권리존중 실행을 통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영향을 주는 완전 매개모형으로 구성하였다.


[그림 1]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부분 매개모형


[그림 2]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완전 매개모형

5.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및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 측정 변인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교사 경력, 아동권리의식 교육경험에 따른 유아권리인식,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및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 및 t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서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검증 절차에 따라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으로 실시하였고, 매개변인의 통계적 유의성을 직접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문항평균 및 표준편차는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1> 
측정변인들의 문항평균 및 표준편차 (N=360)
M SD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2.64 .49
유아권리인식 생존권 4.34 .47
보호권 4.46 .49
발달권 4.44 .50
참여권 4.42 .52
전체 4.41 .46
유아권리존중 실행 하루일과를 통한 존중 실행 4.41 .43
아동최선의 이익 원칙에 기반한 존중 실행 4.28 .48
전체 4.34 .43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의 전체 문항평균은 2.64 (SD=.49)로 5점 척도의 ‘보통이다’와 ‘그렇지 않은 편이다’ 사이에 해당하므로 본 연구대상 교사들은 유아와의 갈등이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평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전체의 문항평균은 4.41 (SD=.46), 하위요인별로는 생존권 4.34(SD=.47), 보호권 4.46(SD=.49), 발달권 4.44(SD=.50), 참여권 4.42(SD=.52)으로 5점 척도의 ‘조금 그런 편이다’와 ‘매우 그렇다’ 사이에 해당하므로, 교사들은 유아들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대체로 높은 수준이라고 평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 전체의 문항평균은 4.34(SD=.43), 하위요인별로는 하루일과를 통한 존중 실행 4.41 (SD=.43)과 아동최선의 이익 원칙에 기반한 존중 실행 4.28(SD=.48)로 5점 척도의 ‘조금 그런 편이다’와 ‘매우 그렇다’ 사이에 해당하므로, 교사들은 유아들의 권리를 존중하며 실행하는 수준도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 경력에 따른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및 유아권리 존중 실행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한 일원분산분석 결과, 교사경력 1년 미만인 교사가 다른 교사들에 비해 교사-유아 갈등이 높고(F=3.09, p<.05), 유아의 보호권에 대한 인식(F=3.90, p<.01),및하루일과를통한존중실행수준(F=2.45, p<.05)이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추후분석에서는 교사의 경력을 통제하고 실시하였다.

아동권리의식교육경험에 따른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및 유아권리 존중 실행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한 독립표본 t검정 결과, 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교사-유아 간 갈등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t=2.04, p<.05).

2.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대한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매개효과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및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앞서 실시한 분석 결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교사의 경력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으므로 교사의 경력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대한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적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앞서 독립변인 간의 다중공선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표2>, 공차한계와 VIF값을 살펴본 결과, 공차 한계는 .17∼.97, VIF값은 1.02∼5.76로 다중공선성의 위험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Durbin-Watson계수도 1.8∼1.9로 잔차들 간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유아권리존중 실행,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간의 상관관계 (N=360)
구분 유아권리인식 유아권리실행 교사-유아 간 갈등
유아권리인식 - - -
유아권리실행 .55** - -
교사-유아 간 갈등 -.22** -.27** -
**p < .01

매개효과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가설검증 3가지 단계에서 아래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가설검증 1단계에서 독립변인(유아권리인식)이 매개변인(유아권리존중 실행)과 유의한 관계에 있어야 한다. 둘째, 가설검증 2단계에서 독립변인(유아권리인식)이 종속변인(교사-유아 간 갈등관계)과 유의한 관계에 있어야 한다. 셋째, 가설검증 3단계에서 매개변인(유아권리존중 실행)이 종속변인(교사-유아 간 갈등관계)과 유의한 관계에 있어야 한다. 넷째, 매개변인(유아권리존중 실행)의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종속변인(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대한 독립변인(유아권리인식)의 영향력이 줄어들어야 한다(독립변인의 2단계 β>3단계 β).

매개효과는 완전 매개효과와 부분 매개효과로 구분할 수 있다.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대해 가지는 영향력이 매개변수와 동시 투입했을 때, 사라졌을 경우 완전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독립변인의 영향력이 3단계에서 여전히 유의하지만 가설검증 2단계보다 감소하였을 경우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1)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서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1단계로 교사의 경력을 통제하고 독립변인인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매개변인인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은 교사 경력의 영향을 통제한 이후에도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55, p<.001). 이는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높을수록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높음을 의미한다. 교사의 경력이 유아권리존중 실행 변량의 1%를 설명하였고,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을 추가했을 때 유아권리존중 실행 변량의 총 31%를 설명하였다.

2)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미치는 영향

다음 단계로, 교사의 경력을 통제하고 독립변인인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종속변인인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은 교사 경력의 영향을 통제한 이후에도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21, p<.001). 이는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낮을수록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가 높음을 의미한다. 교사의 경력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변량의 1%를 설명하였고, 유아권리인식을 추가했을 때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변량의 총 6%를 설명하였다.

3)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대한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매개효과

세 번째 단계로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를 종속변인으로, 교사의 경력을 통제변인으로,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대한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의 영향을 살펴보면,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투입되었을 때,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의 회귀계수(β=-.09)가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투입되지 않았을 때의 유아권리인식 회귀계수(β=-.21, p<.001)보다 감소하였으며, 설명력은 8%로 총 3%증가하였다.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통제되었을 때, 종속변인인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대해 독립변인인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매개모형 [그림 1]과 완전매개모형 [그림 2][그림 2]의 완전매개모형이 최종 모형으로 선정되었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수행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Sobel test의 Z값이 –3.27(p<.01)로 유아권리존중 실행은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서 유의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표 3>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대한 유아권리인식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N=360)
종속변인 유아권리존중 실행
독립변인 1단계
β
2단계
β
경력 .11* .04
유아권리인식 - .55***
R2 .01 .30
R2 .01 .31
F 4.05* 77.73***
*p < .05. ***p < .001.

<표 4>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대한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N=360)
종속변인 교사-유아 간 갈등
독립변인 1단계
β
2단계
β
경력 -.12* -.09
유아권리인식 - -.21***
R2 .01 .05
R2 .01 .06
F 5.06* 10.63***
*p < .05. ***p < .001.

<표 5>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대한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N=360)
종속변인 교사-유아 간 갈등
독립변인 1단계
β
2단계
β
경력 -.12* -.08
유아권리인식 - -.09
유아권리존중 실행 - -.21***
R2 .01 .08
R2 .01 .09
F 5.06* 11.17***
*p < .05. ***p < .001.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를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시사점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측정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본 연구 대상 교사들은 유아와의 갈등관계가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Payne(2003)의 연구에서 교사가 관찰자보다 교사-유아 관계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를 하는 성향을 보였던 것과 같이, 본 연구에서도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측정이 자기보고에 근거해 이루어졌으므로 교사들이 실제보다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응답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본 연구대상 교사들은 유아들의 기본적 사항인 안전, 생존, 양육과 보호, 발달과 자율적 참여 등을 보장해야 한다는데 대해 높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이 어린이집의 전형적 역할인 영양공급과 안전을 기초로 유아의 발달을 이해하고 있고, 유아들로 하여금 다양한 상황에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내재되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반면, 김경희 외(2013), 이명순과 이은주(2013), 이희경과 이정원(2017)은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수준이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 중, 생존권과 보호권에 대해서만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으며, 김정화(2014)는 보호권과 발달권에서 높았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에 대한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위와 같은 하위요인 인식에 대한 일부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본 연구대상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난 것은 연구대상 교사들 중 88.6%가 이미 권리교육을 이수한 것을 반영한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권리교육 경험이 많은 교사들은 유아의 기본적 권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육을 통한 사고의 전환을 경험함으로써 교사들의 유아권리인식이 강화된 것이라고 추론해 볼 수 있다.

<표 6>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대한 매개분석 Sobel Test 결과 (N=360)
교사의 유아권리인식 → 유아권리존중 실행 →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Z -3.27 p-value 0.001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에서도 본 연구대상 교사들은 보육활동 과정 속에서 유아들의 개별적 요구에 맞추어 유아존중을 높은 수준으로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하루일과를 통한 존중 실행이 아동최선의 이익 원칙에 기반한 존중 실행보다 좀 더 높게 평정되었는데 이는 같은 척도를 사용하여 유아의 권리존중 실행을 살펴본 선행연구들(강인숙, 이희경, 2016; 이경열, 박영신, 2015; 이용주, 2015)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의 예비조사에 참여했던 교사들은 하루일과를 통한 존중 실행영역의 측정문항 내용들의 경우 교사가 실제 하루일과 순서대로 자신의 모습을 반추해볼 수 있어서 아동 최선의 이익에 기반한 존중실행 영역의 문항들에 비해 좀 더 수월하게 평정할 수 있었다고 보고한 바 있는데 본조사의 결과에도 이러한 경향이 반영되었을 수도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2.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서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매개효과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서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경력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서 유아권리존중 실행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높을수록 유아권리존중 실행 수준이 높고 이로 인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수준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은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는 유아를 성인과 동등한 권리를 가진 존재로 인식하며 성인과는 달리 유아기에 갖는 발달특성으로 인해 성인으로부터 보호받고 권리를 보장받아야 하는 입장에 놓여있다는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가 누려야 할 기본적 권리를 존중하는 태도나 상호작용 등의 실행 수준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한 선행연구들(김정화, 2014; 이유미, 안지혜, 2014; 이은경, 2018)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유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일련의 사고나 신념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져 나타나는 연계적 측면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학습자의 관점에서 교사가 지식을 단순히 아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행동해야 한다는 실천의 중요성을 밝힌 선행연구들은 교사의 역할 및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반성적 사고 능력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아짐을 밝혔고, 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 및 상호작용의 질적 제고를 위한 실천적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김진미, 2017; 최성규, 김성범, 2018). 이를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 해석해보면, 유아의 권리에 대한 교사의 세부적 인식과 반성적 사고를 기반으로 유아의 권리를 존중하는 태도나 상호작용 등의 실제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의 영향으로 나타난 유아권리존중 실행 수준은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은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역으로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 수준이 낮을수록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를 예측하는 요인임을 검증한 선행연구들(안선희, 2013; 정말숙, 이희영, 2014; 정미조, 김희진, 2009)을 지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학습대상에게 누구나 누려야 하는 권리에 대한 상호존중의 이행수준이 낮을 경우, 둘 간의 관계는 공감대를 형성하기 어렵고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기대하기 어려운 갈등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있다는선행연구결과(윤준기,2010;홍선미, 2017; 황주현, 2017)에 비추어 해석할 수 있다.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은 유아의 권리를 존중하는 교사의 행동을 통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간접적인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은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유의한 매개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던 본 연구결과는 교사의 인식이 어떠한 경로로 교사-유아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한다. 즉,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의 유아권리존중 실행이 완전 매개한다는 본 연구결과는, 유아와 갈등수준이 높은 교사들의 경우, 유아권리인식에 대한 내용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의 권리인식을 실제 교수행동으로 실천할 때 유아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낮추고 친밀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을 기반으로 한 유아권리를 존중의 실천적 행동을 구현해내기 위한 교사교육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먼저,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유아와 생활하며 마주치는 모든 상황에서 유아의 권리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유아의 권리를 존중하는 태도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아동권리교육은 온오프라인, 워크숍 등 다양한 형태로 아동관련 정부기관 및 민간단체에서 실행되어 왔다. 국내 아동관련 기관들은 아동권리인식과 더불어 인권감수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유아교사에게 교사-유아 간 상호 권리대상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해왔다(김인숙 외, 2011). 이것은 현대사회에서 아동권리 침해사례가 빈번하게 출현함과 동시에, 유엔에서 일반논평 7번의 영유아기의 아동권리를 공표함으로써 영유아의 최측근에 있는 성인인 부모와 교사의 책임과 의무의 당위성이 더욱 부각되었기 때문이다(서정은, 2015). 그러나 본 연구 대상을 포함해서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아동권리교육의 경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아권리를 존중하는 실행에 있어서 어려움을 호소하고있다(권혜진, 2014; 유해미 외, 2016; 이용교, 2004).

현재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아동권리 교육은 아동권리 및 유엔아동권리협약(1989)의 내용 이해 또는 아동학대와 폭력 예방에 초점을 둔 사례중심의 아동권리교육으로 진행되고있다. 아동권리 및 유엔아동권리협약(1989)의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동권리의 4대 기본권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와 같은 맥락으로, 아동권리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면, 유아교사 대상의 아동권리교육은 4대 기본권의 내용 이해와 더불어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위 기본권들이 실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우선, 유아교사들에게 학습이나 보육에 앞서서 가장 주안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생존권 보장이다. 교사들은 유아들이 충분한 영양섭취와 질병으로부터 보호받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유아교육기관의 식단 및 식수를 체크하고, 전염병 및 질병 예방을 위해 주변 환경을 점검해야 한다. 다음으로 생존권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보호권은 학대, 방임, 폭력은 물론 각종 안전사고와 유해한 모든 것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가 충족될 수 있도록, 유아교육기관 내 안전점검뿐만 아니라, 말과 몸짓으로 존중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또한, 교사는 유아발달에 영향을 주는 놀이, 문화, 교육, 정보제공, 의사표현, 종교 등에 대하여 개별적인 필요와 욕구를 고려하여 반응해줌으로써 유아의 발달권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끝으로 참여권은 유아들이 지금은 발달상 미숙하다 할지라도 모든 활동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실수하는 과정들을 통하여 깊이 사고하고 배울 수 있도록 이끄는 것이 참여권을 존중해 주는 교수방법인 것이다. 이러한 유아권리의 이해를 위한 교육뿐만 아니라, 이를 실행에 옮길 수 있는 교육의 형태 및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에는 아동권리를 주제로 한 교육들이 집합교육 형태에서 벗어나 소그룹이나 워크숍 형태로 운영되기도 하나,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충분한 훈련 프로그램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김인숙 외, 2011). 따라서 유아교사를 위한 권리교육프로그램은 참여적 활동을 포함한 모둠형태로 진행하고, 모둠 내에서 정보전달이 용이하며 이를 개별적 학습으로 실습해볼 수 있도록 융통성 있는 프로그램 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일회적 교육이 아닌, 유아교사의 근무 환경은 물론, 자격증, 경력과 같은 교사의 특성을 반영한 중단기 교육프로그램으로 구성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생활하는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의 권리를 찾아보고, 동시에 유아들의 권리를 함께 탐색해보면서 성인과 동등한 권리보유자임을 인식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의 권리를 존중하는 행동에 대해 교사로 하여금 사고하게 하고, 이를 실제로 모둠 안에서 실습해봄으로써 말과 태도, 몸짓 등을 훈련하는 경험을 갖게 하는 것이다. 교사는 이러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실제 보육현장에서 행동으로 실천하는 구체적인 훈련을 통해 유아와 갈등 수준을 낮추고 긍정적인 관계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면서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사가 유아와의 갈등관계 및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과 유아권리를 존중하는 실행 정도를 모두 자가 평정함으로써, 교사가 생각하는 유아에 대한 편견, 교사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이상향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Payne(2003)의 연구에서 교사와 관찰자가 유아를 평가했던 점을 고려하여 추후 연구에서는 교사 이외에 다른 관찰자를 통한 객관적 측정방법을 추가로 활용한다면 연구결과에 좀 더 신뢰성이 확보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는 담임 학급의 유아 명부에서 성별에 상관없이 이름이 중간에 위치한 유아를 선택하여 평정하도록 하였던 반면,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은 특정 유아를 지칭하기보다는 담임 학급 전체유아들을 고려하며 평정이 이루어졌다. 추후 연구에서는 교사와 개별 유아의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실행을 측정하는 것이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상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를 예방하거나 완화하고 보다 긍정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유아의 권리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일상적인 하루 일과 속에서 유아의 권리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상호작용을 해야 함을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2019년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References
1. 강정원, 김순자(2006).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 교사의 교수적 스트레스 및 교사-유아 관계. 아동학회지, 27(1), 17-30.
2. 강인숙, 이희경(2016). 유아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발달이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홀리스틱교육연구, 20(4), 49-66.
3. 권연희(2012).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유아-교사 관계가 위축행동에미치는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341-363.
4. 권혜진(2014). 낮잠시간 영유아 참여권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3(2), 5-30.
5. 김경희, 안소영, 한지숙(201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경험에 대한 아동의 인식연구. 아동과 권리, 17(2), 175-204.
6. 김선희(2009). 유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관계의 영향. 유아교육연구, 29(5), 203-224.
7. 김인숙, 현온강, 황소영, 정병수(2011). 유아교사를 위한 인권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국제아동인권센터.
8. 김정화(2014).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343-364.
9. 김진미(2017). 유아교사의 학습기회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4(1), 265-291.
10. 김진숙(2009).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진숙, 서영숙(2012).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 항목: 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권리존중보육의 실행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33-162.
12. 박경자, 황옥경, 문혁준(2013). 우리나라의 보육정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513-538.
13. 박민지, 김민진(2016). 또래 유능성, 자아존중감, 교사-유아관계와 유아 행복간의 구조 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20(1), 217-240.
14. 박연순(2013).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영아인권에 대한 인식과 인권 수행정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서정은(2015). 유아의 도전행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도전략과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영유아인권인식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신상화(2016).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 실행수준.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심숙영(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아동교육, 26(3), 187-206.
18. 안선희(2013). 교사-유아관계의 질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의 기질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81-299.
19. 오경희(2009). 유아-교사의 갈등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및 교사 변인.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오중근, 김대진, 신창훈(2013).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교사-학생의 관계에 관한 친밀감 형성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1), 81-102.
21. 유니세프한국위원회(1989). 아동권리협약의 기본 원칙. http://www.unicef.or.kr에서 인출.
22. 유주연(2017). 영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영아-교사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4(1), 51-74.
23. 유해미, 김은설, 황옥경, 김재원(2011).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아동권리 실태와 증진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4. 윤준기(2010). 초등학교 교사의 학생인권 존중이 교사-학생 관계,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윤진주(2017). 어린이집의 하루일과에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실행하는 영아권리존중보육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6), 407-417.
26. 이경열, 박영신(2015). 보육교사의 마음챙김, 행복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간의 관계.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3), 487-506.
27. 이명순, 이은주(2013). 아동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이행수준. 아동과 권리, 17(2), 265-284.
28. 이영, 김온기, 조성연, 이혜경, 이선원, 이정림, 나유미, 김상림, 나종혜(2015). 유아발달. 서울: 학지사.
29. 이용교(2004). 영유아보육시설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유아의 참여권의 신장방안. 아동권리연구, 8(2), 169-188.
30. 이용주(2015).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 보수와 승진에 대한 인식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과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0, 231-250.
31. 이유미, 안지혜(2014).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ㆍ보육복지연구, 18(3), 239-259.
32. 이은경(2018).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실행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완정, 신수희(2013). 취학직전 5세 유아의 또래 거부 및 선호와 교사-유아관계. 아동과 권리, 17(3), 393-416.
34. 이재연, 강성희(1997). 권리에 대한 아동의 인식. 아동권리연구, 1(1), 65-83.
35. 이희경, 이정원(2017).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에 대한 인식이 보육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1), 332-339.
36. 정말숙, 이희영(2014). 유아의 공격성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 및 교사-유아 갈등관계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3(4), 377-390.
37. 정미조, 김희진(2009).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 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30(3), 99-112.
38. 최성규, 김성범(2018). 특수교사의 생애사적 신념에 대한 연구: 비판적 사고 성향과 실천적 지식 내용의 상호 관계적 측면에서. 대한정치학회보, 26(2), 93-112.
39. 최은혜(2017). 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 및 어려움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한국보육진흥원(2017). 2017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41. 홍선미(2017).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 양육효능감, 모-자녀 관계 및 만2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황주현(2017). 어린이집 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황주희(2013).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사회적 기술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Arbeau, K. A., Coplan, R. J., & Weeks, M. (2010). Shyn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socio-emotional adjustment in grade 1.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4(3), 259-269.
4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46. Baker, J. A. (2006). Contribu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to positive school adjustment during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4(3), 211-229.
47.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48. DeMuller, E. K., Denham, S., Schmidt, M., & Mitchell, J. (2000). Q-sort assessment of attachment security during the preschool year: Links from home to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36(2), 274-282.
49. Eisenhower, A. S., Baker, B. L., & Blacher, J. (2007). Early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Contributions of behavioral, social, and self-regulatory competence.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5(4), 363-383.
50. Hamre, B. K., & Pianta, R. C. (2001). Early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trajectory of children’s school outcomes through eighth grade. Child Development, 72(2), 625-638.
51. Hart, S. N., & Zeidner, M. (1993). Children's rights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ion: Early findings of a cross national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 1(2), 165-199.
52. Keogh, B., & Burstin, N. (1988). Relationshipof temperament to prschoolers’ interactions with peers and teachers. Exceptional Children, 54(5), 456-461.
53. Payne, A. L. (2003). Measuring preschool children's percep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Developing and testing the "Feelings about My School and Teachers" instru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uburn, Auburn.
54. Pianta, R. C. (1994).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2(1), 15-31.
55. Pianta, R. C. (2001).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Professional manual. Odess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56. Rudshill, K. M., & Rimm-Kaufman, S. E. (2009).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The roles of child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4(2), 107-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