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Journal Archiv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Vol. 22 , No. 4

The Impac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n the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 Sa Nyeo KimAffiliation: Yujin Kindergarten·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University of Kyonggi
Author: Sung Sook Pu*
Correspondence: * Pu, Sung Sook Tel: +82-31-249-9364 Fax: +82-31-249-9904 E-mail: pss@kgu.ac.kr

Journal Information
Journal ID (publisher-id):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Journal : KJHE
ISSN: 1226-0851 (Print)
ISSN: 2234-3768 (Online)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rticle Information
Received Day: 27 Month: 05 Year: 2013
Revised Day: 08 Month: 07 Year: 2013
Accepted Day: 08 Month: 07 Year: 2013
Print publication date: Month: 08 Year: 2013
Volume: 22 Issue: 4
First Page: 511 Last Page: 524
Publisher Id: KJHE_2013_v22n4_511
DOI: https://doi.org/10.5934/kjhe.2013.22.4.51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 results show that, first,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 and career level and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differed according to their career level. Second, communicative compet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focusing attention and responding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eaching 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focusing attention, analyzing and evaluating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Keywords: communicative competence, teaching efficacy, job satisfaction, 의사소통능력,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Ⅰ. 서 론

교사는 영유아를 위한 교육활동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기관이라는 조직 속에서 부모, 동료교사, 지역사회 인사 등 다양한 사람들과 인간관계를 맺는다. 그리고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성공적인 역할을 수행하려면 다양한 사람들과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원만하고 협력적인 대인관계를 맺어야 한다. 하지만 어떤 조직이나 어떤 관계도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으면 지속적이고 효율적이며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어렵다. 인간은 대인 의사소통 행위를 통하여 관계를 시작, 유지, 발전 및 종료시키기 때문이다(Applegate & Leichty, 1984).

조직은 구성원들의 의사소통 행위에 따라 다양한 성과를 얻게 되는데, 의사소통 행위는 의사소통능력에 의해 결정된다(Algyris, 1995). 의사소통능력이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을 통해 얼마나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가를 말하는 것으로(as cited in Lee & Kim, 2010), 적절성(appropriateness), 효과성(effectiveness)을 수반하는 의사소통에 관한 지식, 기술, 동기로 요약할 수 있다(Hur, 2003).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은 최근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09)에서 발표한 대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직업기초역량 6가지의 한 영역으로 제시된 바 있는데,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은 유아교사에게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서 교사 자신의 성공 뿐 아니라 담당 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주장되고 있고, 동료, 유아, 부모들과의 관계 향상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능력으로 주장되고 있다(Basaran, 2002).

최근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의사소통의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는 것은 듣기 능력인데, 의사소통 기술의 형성 과정에서 가장 주의를 기울일 가치가 있다(Fritz et al., 1999). 왜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깨어있는 시간의 60-70%를 의사소통을 하는데 보내고, 그 중 45% 이상을 듣는데 시간을 보내지만(Burton & Burton; 1997; Osborn & Osborn, 1994), 들은 내용의 75% 이상은 무시해버리기거나 잘못 이해하거나, 빨리 잊어버려 상호 소통에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이다(Bolton, 1986). 다시 말해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려면 상대방의 입장에서 상대방이 하는 말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하는 적극적인 경청을 해야 한다. 이렇게 적극적인 경청을 하는 것은 상대방의 생각을 존중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게 되고, 적극적인 경청은 듣기, 주의집중하기, 이해하고 해석하기, 분석하고 평가하기, 반응하기, 기억하기의 단계를 거친다(Browenell, 1989). 따라서 상대방에 대한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경청을 함으로써 상대방을 이해하고, 더불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함께 나누는 것은 성공적인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에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겠다.

특히 조직의 특성 상 유아의 가정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기관 내 구성원 간 관계가 밀접하고 집약적인 유아교육기관은 적극적인 경청을 통한 상호교류와 관계 형성이 매우 중요한 조직이라 볼 수 있다. Bae와 Wee(2004)의 연구에 따르면, 교사와 빈번하게 의사소통하는 어머니일수록 교사에 대해 긍정적인 의사소통 태도를 가지고 있었고, 빈번하게 의사소통하는 어머니의 자녀가 사회적 능력이 높았다. 이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 증진을 위해 어머니-교사 간 바람직한 의사소통이 중요한 변수임을 말해주는 것으로, 어머니와의 바람직한 소통을 위한 유아교사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유아교사에게 필수적인 의사소통능력에 대해 심도 있게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최근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교수효능감의 관련성을 검토한 연구(Kim et al., 2009)에서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일반적,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의 여러 하위요인들이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예측 변인으로 밝혀지면서 교수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교수효능감이란 교사 자신이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믿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Ashton, 1984; Gibson & Dembo, 1984), 교수-학습에 대한 일반적인 신념과 어떤 결과를 이루기 위하여 필요한 행동을 조직하고 수행할 수 있는 개인능력에 대한 판단 즉, 자신의 개인적 능력에 대한 신념이다(Bandura, 1986). 그리고 교수효능감은 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줌으로써 학습자에게 직접적이고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이다(Ashton, 1984).

일반적으로 교수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좀 더 자신의 학문적인 학습에 시간을 투자하고, 학습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시간을 좀 더 제공하며, 그들의 성취에 대해 칭찬을 많이 해주는 반면, 낮은 효능감을 가지고 있는 교사는 자신의 시간을 학습에 사용하지 않았고, 학생들이 즉각적인 수행 결과를 얻지 못하면 학생들을 쉽게 포기하고 그들의 실패를 비난한다(Gibson & Dembo, 1984). 그리고 교수효능감이 낮은 교사는 학생의 동기에 대해서 비판적, 보호적인 관점을 선호하고, 엄한 규칙을 갖고 학급활동을 통제하는 반면,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문제 학생들도 목표달성이 가능하고 가르칠 수 있다고 여기며, 문제 학생들의 학업적 문제는 별도의 노력을 통해서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Moon, 2005). 유치원 교사 대상의 과학교수효능감 연구(Cho & Seo, 2001)에서도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과학교육에 대해 확고한 방향성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효능감이 낮은 교사는 과학 활동을 많이 하지 않았고 유아들의 활동을 자발적으로 확장시켜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자신의 교수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기 때문에 학습자의 발달에 영향을 주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교수효능감은 교사 행동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말해준다. 즉,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유아들의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에 기여할 뿐 아니라 교사 자신의 교수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교수효능감에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영향을 미치고, 의사소통능력과 교수효능감이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Kim et al., 2009) 반면, 대인 간 원활한 소통 부재로 발생하게 되는 부정적 조직풍토, 동료 간 고립으로부터 오는 소외감, 교사-부모 간 비협조적인 관계는 교사의 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Gibson & Dembo, 1984, 1985). 유치원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역시 교수효능감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Kim, 2000), 이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교사의 다양한 의견 반영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부모-교사 간 긍정적 관계형성 및 원활한 의사소통,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유아의 바람직한 성장과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중요한 능력임을 보여준다. 하지만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교수효능감의 직접적인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밝힌 국내연구는 Kim et al.(2009)의 연구 정도가 있을 뿐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교수효능감의 상관관계 및 의사소통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지난 수십년간 직무만족이 직무수행과 관련된다고 밝혀지면서 유아교육을 포함한 여러 직종에서 직무만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직무만족도는 조직에서의 구성원이 자신의 직무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로서 ‘자신의 직무 및 직무환경과 관련된 요인과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느끼게 되는 감정의 상태 또는 개인이 자신의 직무와 관련된 경험을 평가함으로써 얻게 되는 감정의 상태’를 말한다(Lee, 2011). 직무 만족은 조직과 구성원의 발전 및 조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직무만족도가 낮으면 업무효율성 및 생산성의 저하, 구성원의 스트레스, 직무태만, 결근 등과 연관되어 이직률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지만, 직무만족도가 높으면 조직의 성과나 목표달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구성원의 직업 유지 및 업무 효율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ulver et al., 1990; Ma & MacMilan, 1999). 특히, 교사에게 있어 직무만족도는 교수활동과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교사의 효율적 역할수행을 위한 교수효능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Lee & Park, 2007).

직무만족도에 대한 관심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직무만족이 의사소통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는데,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Kim(2010)과 Park(2012)의 연구에서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및 의사소통 유형이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Kim(2011)의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높을수록 외적, 내적인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호텔 기업에서 상사의 촉진적 의사소통이 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게 되어 업무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Kim & Kim, 2006), 직업무용단원의 의사소통 수준이 향상되면 직무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2006). 그리고 의사소통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어 대인관계 능력이 증진되고, 스트레스가 줄었을 뿐만 아니라 내재적, 외재적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Ju, 2005). 이러한 결과들은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때 직무만족도가 향상되어 근무의욕, 사기, 조직효율성이 극대화된다는 것으로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은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조직 구성원 사이의 갈등을 해결, 조정할 뿐만 아니라 구성원 간 응집력을 강화시켜 대인관계 만족을 통한 직무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경영학과 간호학 분야에서 이루어졌고(Kim & Kim, 2006; Kim, 2006; Kim, 2010; Kim, 2011; Park, 2012),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교사에게 있어 직무만족도는 교수효능감과 관련되고, 교수활동과 프로그램의 질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유아교육기관이라는 조직 속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며 계속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은 반드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영향력뿐만 아니라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 및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교사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 및 의사소통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2. 유아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유아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204명이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Variable Categories N %
Age Less than 25 16 7.8
26~30 38 18.6
31~35 51 25.0
More than 36 99 48.5
Education One-year chlidcare teacher's education course 47 23.0
Two-years diploma 92 45.1
Bachelor's degree 57 27.9
Master's degree 8 3.9
Career Less than 3 75 36.8
4~7 61 29.9
8~12 56 27.5
More than 13 12 5.9
Type of institute Preschool 65 31.9
Childcare center 139 68.1
Total 204 100.0

<Table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아교사의 연령은 36세 이상(48.5%)이 가장 많았고, 학력은 전문대졸(45.1%)이 가장 많았다. 경력은 3년 이하(36.8%)가 가장 많았고, 근무기관별로는 어린이집 교사(68.1%)가 유치원 교사(31.9%)보다 많았다.

2. 연구도구
1) 의사소통능력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Browenell(1989)이 개발한 LPQ (Listening Profile Questionnaire)를 번안하여 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 Noh와 Pu(2012)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5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집중, 이해와 해석, 분석과 평가, 반응, 기억의 영역이고, 각 영역별 5문항씩 총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문에 대한 응답은 ‘매우 그렇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까지 5점 척도로 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의사소통 능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의사소통능력 척도의 Cronbach α는 .89이고, 구체적인 문항구성 내용 및 영역별 신뢰도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Scale of Communic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Sub-categories Item Number Cronbach α
Focusing attention 5 0.75
Comprehending and interpreting 5 0.69
Analyzing and evaluating 5 0.61
Responding 5 0.67
Remembering 5 0.58
Total 25 0.89

2) 교수 효능감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반두라(Bandura)가 1997년에 제작한 Teacher Efficacy Scale(TES)를 번안하여 유아교사에게 맞도록 수정·보완한 Koo(200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의사결정 효능감, 교수 자기효능감, 훈육 자기효능감, 부모참여 효능감, 유치원 긍정적 풍토조성의 5개 하위 영역, 총 2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매우 그렇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까지 5점 척도로 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0.91이고, 구체적인 문항구성 내용 및 영역별 신뢰도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Scale of Teaching Efficacy
Teaching
Efficacy
Sub-categories Item Number Cronbach α
Efficacy to influence decision making 2 0.74
Instructional self-efficacy 5 0.77
Disciplinary self-efficacy 3 0.77
Efficacy to enlist parental involvement 4 0.75
Efficacy to create a positive school climate 8 0.85
Total 22 0.91

3) 직무 만족도

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Jorde-Bloom이 1988년에 제작한 유치원 직무만족 측정도구(ECJSS: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ry)를 우리나라 실정이 맞게 수정·보완한 Kim(200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동료관계, 원장관계, 직무 자체, 근무 환경, 보수 승진, 사회적 인정의 6개 하위영역, 총 5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매우 그렇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까지 5점 척도로 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0.90이고, 구체적인 문항구성 및 영역별 신뢰도는 <Table 4>와 같다.

<Table 4> 
Scale of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Sub-categories Item Number Cronbach α
Relationship with co-workers 1, 2, 3, (4), (5), (6), (7), 8, (9), 10 10 0.81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10 0.87
The work itself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10 0.72
Working conditions 31, 32, 33, (34), (35), (6), 10 0..64
Pay and promotion opportunities 41, 42, 43, 44, (45), (46), 47, (48) 10 0.70
Social recognition 51, 52, 53, (54) 4 0.71
Total 54 0.90
※ (  )문항은 역코딩 문항임.

3. 연구절차

본 연구의 대상 선정을 위해 섭외한 유아교육기관은 경기도 소재 유치원 10곳, 어린이집 23곳으로 총 33개 기관이다. 그리고 선정된 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2011년 6월 20일부터 7월 30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배부와 회수는 우편이나 인편으로 이루어졌고, 최종적으로 220부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가운데 응답 표기가 정확하지 않거나 일부 문항을 표기하지 않은 설문지 16부를 제외한 20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유아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 효능감 및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Correlation(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아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에 대해 살펴보았고,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Variab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ge Less than25
(N=16)
26~30
(N=38)
31~35
(N=51)
More than36
(N=99)
Total
(N=204)
F p
M SD M SD M SD M SD M SD
Communicative
Competence
92.00 9.29 91.16 10.23 91.57 9.40 94.95 10.86 93.17 10.35 1.96 0.12
Teaching Efficacy 3.55 0.39 3.46 0.36 3.68 0.36 3.76 0.45 3.67 0.42 5.32** 0.01
②<④
Job Satisfaction 3.58 0.43 3.36 0.35 3.44 0.38 3.49 0.40 3.46 0.39 1.49 0.22
Education One-year chlidcare
teacher's education
course
(N=47)
Two-years
diploma
(N=92)
Bachelor's
degree
(N=57)
Master's degree
(N=8)
Total
(N=204)
F p
M SD M SD M SD M SD M SD
Communicative
Competence
93.19 10.18 92.08 10.22 94.21 10.74 98.13 9.73 93.17 10.35 1.15 0.33
Teaching Efficacy 3.62 0.38 3.59 0.40 3.78 0.44 4.01 0.54 3.67 0.42 4.44** 0.01
①,②<④
Job Satisfaction 3.43 0.43 3.53 0.42 3.47 0.34 3.43 3.43 3.46 0.39 0.76 0.52
Career Less than 3
(N=75)
4~7
(N=61)
8~12
(N=56)
More than 13
(N=12)
Total
(N=204)
F p
M SD M SD M SD M SD M SD
Communicative
Competence
91.84 10.73 92.52 11.04 93.89 8.25 101.33 10.46 93.17 10.35 3.17* 0.03
①,②,③<④
Teaching Efficacy 3.55 0.37 3.65 0.35 3.76 0.47 4.13 0.43 3.67 0.42 8.69*** 0.00
①,②,③<④
Job Satisfaction 3.45 0.37 3.42 0.38 3.49 0.41 3.64 0.51 3.46 0.39 1.24 0.30
* p<.05, ** p<.01, *** p<.001

<Table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령별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교수효능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F=5.32, p<.01)가 나타나, 36세 이상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26세~30세 교사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도 역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교수효능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F=4.44, p<.01)가 나타나, 대학원 졸 이상 교사의 효능감이 1년 보육교사양성과정, 전문대 졸 교사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경력이 많아질수록 높게 나타났고, 경력별 유의미한 차이(F=3.17, p<.05)가 나타나 13년 이상 경력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그 이하 경력 교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역시 경력이 많아질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력별 유의미한 차이(F=8.69, p<.001)가 나타나 13년 이상 경력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그 이하 경력 교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경력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1) 의사소통능력과 교수효능감의 관계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의사결정 효능감(r=.300, p<.001), 교수 자기효능감(r=.551, p<.001), 훈육 자기효능감(r=.523, p<.001), 부모참여 효능감(r=.419, p<.001), 유치원 긍정적 풍토조성 효능감(r=.540, p<.0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r=.622, p<.001)이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Table 6> 
Correlations among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eaching Efficacy

구체적으로 살펴봤을 때, 집중은 의사결정 효능감(r=.244, p<.001), 교수 자기효능감(r=.490, p<.001), 훈육 자기효능감(r=.497, p<.001), 부모참여 효능감(r=.413, p<.001), 유치원 긍정적 풍토조성 효능감(r=.486, p<.0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집중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r=.568, p<.001)이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이해와 해석은 의사결정 효능감(r=.179, p<.05), 교수 자기효능감(r=.474, p<.001), 훈육 자기효능감(r=.456, p<.001), 부모참여 효능감(r=.391, p<.001), 유치원 긍정적 풍토조성 효능감(r=.431, p<.0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이해와 해석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r=.518, p<.001)이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분석과 평가는 의사결정 효능감(r=.293, p<.001), 교수 자기효능감(r=.410, p<.001), 훈육 자기효능감(r=.364, p<.001), 부모참여 효능감(r=.325, p<.001), 유치원 긍정적 풍토조성 효능감(r=.473, p<.0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분석과 평가가 높을수록 교수효능감(r=.501, p<.001)이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반응은 의사결정 효능감(r=.309, p<.001), 교수 자기효능감(r=.481, p<.001), 훈육 자기효능감(r=.458, p<.001), 부모참여 효능감(r=.306, p<.001), 유치원 긍정적 풍토조성 효능감(r=.476, p<.001)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반응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r=.538, p<.001)이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기억은 의사결정 효능감(r=.203, p<.01), 교수 자기효능감(r=.401, p<.001), 훈육 자기효능감(r=.364, p<.001), 부모참여 효능감(r=.281, p<.001), 유치원 긍정적 풍토조성 효능감(r=.344, p<.0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사들은 기억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r=.421, p<.001)이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2)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연구결과 1에서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인구통계학적 요인(연령, 학력, 경력)의 효과를 제거한 관심변인의 순수한 효과를 보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소통능력 변인들 이외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하기 위해 이들 변수들을 통제변수로 회귀식에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7>와 같고,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변인의 공선성을 진단한 결과, VIF계수와 공차한계가 1에 가까워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서 다중공선성의 위험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urbin-Watson 계수도 1.93으로 2에 가까워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The Results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Table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델 1에서 연구대상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연령, 학력, 경력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모델 1의 설명력은 약 12.1%(F=9.16, p<.001)이며, 이 중 연령(t=2.16, p<.05)과 경력(t=3.73, p<.01)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2는 모델 1에 의사소통능력 하위변인을 추가로 회귀시킨 결과이다. 모델 2의 설명력은 약 45.4%(F=20.31, p<.001)로 나타나 모델 1에 비해 33.3%의 설명력이 증가하였고, 의사소통능력 하위변인인 집중(t=3.55, p<.001)과 반응(t=2.76, p<.01)이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집중과 반응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는 집중(β=.28)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반응(β=.21)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Table 8> 
Correlations among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Table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의사소통능력은 동료관계(r=.381, p<.001), 원장관계(r=.313, p<.001), 직무자체(r=.321, p<.001), 근무환경(r=.195, p<.01), 사회적 인정(r=.244, p<.0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r=.365, p<.001)가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봤을 때, 집중은 동료관계(r=.377, p<.001)와 원장관계(r=.276, p<.001), 직무자체(r=.280, p<.001), 근무환경(r=.214, p<.01), 사회적 인정(r=.240, p<.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집중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r=.356, p<.001)가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이해와 해석은 동료관계(r=.286, p<.001), 원장관계(r=.212, p<.01), 직무자체(r=.245, p<.001), 사회적 인정(r=.213, p<.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이해와 해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r=.270, p<.001)가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분석과 평가는 동료관계(r=.350, p<.001), 원장관계(r=.321, p<.001), 직무자체(r=.345, p<.001), 근무환경(r=.165, p<.05), 보수 승진(r=.150, p<.05), 사회적 인정(r=.234, p<.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분석과 평가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r=.374, p<.001)가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반응은 동료관계(r=.326, p<.001), 원장관계(r=.302, p<.001), 직무자체(r=.332, p<.001), 근무환경(r=.215, p<.01), 사회적 인정(r=.155, p<.05)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반응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r=.332, p<.001)가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기억은 동료관계(r=.219, p<.01), 원장관계(r=.172, p<.05), 사회적 인정(r=.160, p<.05)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기억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r=.160, p<.05)가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2)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연구결과 1에서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인구통계학적 요인(연령, 학력, 경력)의 효과를 제거한 관심변인의 순수한 효과를 보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소통능력 변인들 이외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하기 위해 이들 변수들을 통제변수로 회귀식에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9>와 같고,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변인의 공선성을 진단한 결과, VIF계수와 공차한계가 1에 가까워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서 다중공선성의 위험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urbin-Watson 계수도 1.83으로 2에 가까워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델 1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연령, 학력, 경력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모델 2는 모델 1에 의사소통능력 하위변인을 추가로 회귀시킨 결과이다. 모델 2의 설명력은 약 17.9%(F=5.32, p<.001)로 나타나 모델 1에 비해 17.0%의 설명력이 증가하였고, 의사소통능력 하위변인인 집중(t=2.06, p<.05)과 분석과 평가(t=2.14, p<.05)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집중, 분석과 평가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는 분석과 평가(β=.21)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으로 집중(β=.20)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9> 
The Results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를 살펴보고,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교수효능감 및 직무족도를 살펴본 결과, 의사소통능력은 연령과 학력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교수효능감은 연령, 학력, 경력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직무만족도는 일반적 특성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는 결과는, 유아교사 대상의 선행연구(Noh & Pu, 2012) 및 간호사 대상의 선행연구들(Kim, 2011; Park, 2012)과는 다른 결과이지만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을 조사한 Im과 Kim(2008)의 연구와는 동일한 결과이다. 의사소통능력과 경력 관련 선행연구 결과가 일관되지는 않지만, 경력이 높아질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게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간이 지날수록, 의사소통의 기회를 많이 가질수록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능력임을 보여준다. 즉, 대인관계에서 상황에 맞게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이 경력과 연관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경력이 많아질수록 직무나 인간관계 측면에서 소통과 협력의 기회를 많이 가지게 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유아교사들이 의사소통의 경험과 기회를 많이 갖고,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을 받았을 때 변화될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구나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관련된 Spitzberg와 Cupach의 2002년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난 사람의 교육적 성취도가 높고, 입사시험이나 인터뷰에서도 더 나은 결과를 보였으며, 직업적 성공을 이루기 위한 관계형성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as cited in Hur, 2003). 그리고 Lee와 Kim(2010)의 연구에서 의사소통 관련 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교육을 받지 않은 간호사 보다 의사소통 능력이 높고, 조직몰입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구성원으로서 역할수행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계발에 더 많은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의사소통과 경력 관련 선행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않아 후속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교수효능감이 연령, 경력, 학력별로 모두 차이가 나타났다는 결과는, 학력에 따라 효능감에 차이를 보였다는 선행연구(Bae, 2001; Lim, 2003; Pu & Kim, 2012)와 부분적으로 유사하지만,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교수효능감을 살펴본 결과 연령, 경력, 학력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는 Lee와 Park(2007)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이다. 교수효능감과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 변인 관련 선행연구 결과가 일관되지는 않지만, 연령과 학력이 높고, 경력이 높아질수록 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 자신이 영유아의 학습과 발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 교사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연령 변화에 수반되는 인지적, 정서적 변화와 교사의 학력, 직업에서의 시간의 경과와 경험에 따라 변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유아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은 교수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귀분석 결과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변인 중 집중과 반응이 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중, 반응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Kim et al.(2009)과 Kim(2000)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도 높아져 교사의 효과적 역할수행이 가능해짐을 보여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의사결정 효능감, 교수 자기효능감, 훈육 자기효능감 등의 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의사결정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있고, 유아를 가르치고 훈육하는 데 있어 교사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능력이 있다는 믿음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부모참여 효능감, 유치원 긍정적 풍토조성 효능감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부모 및 동료와의 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즉,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대인 간 원할한 소통 및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영향을 주고, 이를 통한 관계 만족이 교수효능감에도 영향을 주어 교수효능감이 높아졌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대인관계 만족과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영역 중 집중, 반응이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는, 교사가 적극적으로 듣는 과정 중 특히 상대방의 의견에 귀 기울여 집중하고, 그 의견을 제대로 이해하여 그에 맞게 반응하는 단계가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말해준다. 그리고 적극적으로 듣기의 과정 중 집중, 반응의 요소는 타인지향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때 많이 나타나고, 상대방에 대한 정서적 공감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된다(Bolton, 1986; Noh & Pu, 2012). 타인지향 소통과 정서적 교류는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유아교사의 경우 다른 학령기 교사에 비해 유아들과 보다 많은 정서적인 교류를 요구받고 있고 실제로 수행하기 때문이다(Lee, 2007). 따라서 의사소통능력의 과정 중 타인지향적이고, 정서적 요소가 개입된 집중, 반응의 단계가 교수효능감과 관계있고,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정서적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을 밝혀주는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 볼 수 있다. 나이 어린 유아들일수록 정서적 돌봄과 정서적 지지를 요구하게 되고, 정서적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유아의 정서적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정서 표현도 적극적으로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는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관계있고,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주었다는 Noh와 Pu(2012)의 연구결과가 뒷받침해준다. 따라서 유아를 돌보고 가르치는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교수효능감은 정서적 교류를 동반한 적극적인 듣기 과정이 포함된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상대방에 대한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경청을 함으로써 상대방을 이해하고, 거기에 맞게 반응하는 의소소통능력은 교사의 효율적 역할수행에 필수적임을 말해준다.

셋째, 유아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은 직무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동료관계, 원장관계, 직무자체, 근무환경, 사회적 인정 등의 직무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변인 중 집중, 분석과 평가가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석과 평가, 집중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도 간 유의한 상관이 있고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여러 선행연구(Kim, 2010; Kim, 2011; Park, 2012)와 일치하는 것으로 상대방의 입장을 잘 이해하면서 상대의 말을 효과적으로 듣는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동료관계, 원장관계, 직무자체, 근무환경, 사회적 인정 등의 직무만족도가 높다는 결과는, 근로의욕과 자기개발 욕구가 상승하고,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주기 때문에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개발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조직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은 보다 나은 인간관계를 형성시키고,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다른 직원과의 마찰경험이 적으며, 지각된 스트레스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감소된 스트레스로 인해 직무만족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Kim & Kim, 2006).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변인 중 집중, 분석과 평가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는 결과는, 듣기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집중, 분석과 평가 과정이 직무만족과 관련된다는 것으로,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상대의 말에 집중하고, 내용 이해와 반응을 위한 분석과 평가 과정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사 대상의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중 배려능력과 표현능력이 직무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Kim, 2011)와 의사소통능력 중 반응력이 가장 높게 나타나 직무와 관련이 있었다는 연구(Choi, 2010; Im & Kim, 2008)와 관련되는데, 타인의 말에 관심을 가지고 집중하여 듣는 것은 상대에 대한 존중과 배려능력이 있을 때 가능한 것이고, 상대의 말에 반응이나 표현을 잘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이 하는 말을 들으면서 분석과 평가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의사소통 과정에서는 상대에 대한 신뢰와 존중, 상대방에 대한 배려, 적극적인 경청 과정이 수반되므로, 이런 모든 과정이 업무수행이나 대인관계에서 좋은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직무만족에도 좋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이처럼 의사소통능력이 높을 때 효율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보다 나은 인간관계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므로,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욱이 의사소통 관련 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교육을 받지 않은 간호사 보다 의사소통 능력이 높고 조직 구성원으로서 역할수행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선행연구(Lee & Kim, 2010), 의사소통 집단 상담 훈련 프로그램이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능력, 외재적·내재적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선행연구(Park & Yeon, 2009)를 볼 때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본 연구는 경기 지역의 일부 유아교사에 국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기에 한계점이 있음을 밝히면서, 위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향상 및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는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 중 상대방의 말에 집중하고 반응을 잘하는 능력, 반응과 표현을 잘하기 위한 분석과 평가 능력이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나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향상과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예측 변인임을 보여주었고,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영역 중 집중, 반응, 분석과 평가 영역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의사소통능력은 시간의 경과와 경험, 교육적 프로그램 개입에 따라 개발이 가능함을 보여줌으로써 의사소통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References
1. C Algyris, Exploration in interpersonal competence, Journal of Applied Behavior Science, (1995), 1(3), p58-83.
2. J. L Applegate, G. B Leichty, Manag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cognitive and strategic determinants of competence, In R. N. Bosterm (Ed.), Competence in communication: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1984), p33-56, Beverly Hills, CA: Sage.
3. P. T Ashton,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1984), 35, p28-32, [https://doi.org/10.1177/002248718403500507] .
4. I. J Bae, S. K Wee, Relation of mother-teacher communication and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 age children in kindergarten, Journal of Young Child Studies, (2004), 7, p25-47.
5. M. Y Bae, Anxiety and the attitude on science, the efficacy of science teaching, and investing the correla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001).
6.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cognitive theory, NJ: Prentice-Hall, (1986).
7. K Basaran, Listening: An importan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 for leadership,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ross-cultural perspectives, Presentations given at the Open Forum, University of Oulu. Retrieved September 21, 2012, from http://herkules.oulu.fi/isbn9514268539/html/b2364.html, (2002).
8. R Bolton, People skills: How to assert yourself, listen to the others and resolve conflicts, Prentice-Hall, Inc, (1986).
9. J Brownell, Listening questionnaire. In C. G. Coakley, & A. D. Wolvin (eds.), Experiential listening: Tools for teachers and trainers New Orleans: Spectra Inc, (1989).
10. J Burton, L Burton, Interpersonal skills for travel and tourism, Essex: Addison Wesley Longman Ltd, (1997).
11. B. K Cho, S. Y Seo,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Teaching Practices and Children's Science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 Education, (2001), 21(4), p5-27.
12. J. H Choi, Relationship between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Ajou University, Korea, (2010).
13. S Culver, L Wolfle, L Cross, Testing a model of teacher satisfaction for blacks and whit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990), 27, p323-349, [https://doi.org/10.3102/00028312027002323] .
14. S Fritz, F. W Brown, J. P Lunde, E. A Banset, Interpersonal skill for readership, NJ: Printice Hall, (1999).
15. S Gibson, M. H Dembo, Teachers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84), 76, p569-582,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
16. S Gibson, M. H Dembo,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985), 86(2), p173-184, [https://doi.org/10.1086/461441] .
17. G. H Hu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2003), 47(6), p380-408.
18. S. B Im, E. K Kim,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difficult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preceptor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08), 17(4), p471-480.
19. J. S Ju, The Effects of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2005).
20. D. Y Kim, The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Styles of Nurses on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0).
21. E. Y Kim, A study on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 medical organization : Focusing on operating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 thesis, Catholic University, Korea, (2011).
22. H. J Kim,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Full-day Class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Kyungwon University, Korea, (2008).
23. K. G Kim, Y. C Kim, The effect of facilitative communication on job-esteem and job-stress in the hotel industry, Korea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006), 21(1), p131-151.
24. M. J Kim,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degree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the kindergartens,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000).
25. S. R Kim, H. K Chun, S. H Ahn, H. K Hong,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ing efficacy,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iew, (2009), 13(6), p5-25.
26. T.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professional dancers, Unpublished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2006).
27. S. J Koo, The 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level with par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2001).
28. KRIVET, Building diagnostic assessment system for vocational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 KRIVET, (2009).
29. H. S Lee, J. K Kim,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0), 16(4), p488-496,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4.488] .
30. J. H Lee, The Analysis of effects between job-satisfaction, burnout and perceive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in early childhood teaching,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07), 16(4), p199-210.
31. S. H Lee, Y. S Park, A Study on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7), 12(1), p31-50.
32. Y. M Lee, Job satisfaction and measures, Seoul, Kyungmoon.Publishers, (2011).
33. C. H Lim, Science Teaching Practi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by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3), 24(4), p258-272.
34. X Ma, R MacMilan, Influences of workplace condition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999), 93, p39-47, [https://doi.org/10.1080/00220679909597627] .
35. T. H Moon,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chievement Orientation and Teacher Efficac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5), 26(4), p21-33.
36. E. S Noh, S. S Pu,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wh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12), 43(4), p113-135.
37. M Osborn, S Osborn, Public speaking.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1994).
38. E. H Park,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Seoul, Changjisa, (2010).
39. S. H Park, A study on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s, communication skills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012).
40. S. H Park, M. H Yeon,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 Job Satisfaction-focused on Corporate Environmen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09), 10(2), p887-910.
41. S. S Pu, B. J Kim,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2), 21(4), p649-664, [https://doi.org/10.5934/KJHE.2012.21.4.649] .